KR20190124765A -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765A
KR20190124765A KR1020197029103A KR20197029103A KR20190124765A KR 20190124765 A KR20190124765 A KR 20190124765A KR 1020197029103 A KR1020197029103 A KR 1020197029103A KR 20197029103 A KR20197029103 A KR 20197029103A KR 20190124765 A KR20190124765 A KR 2019012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ccess
access carrier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492B1 (ko
Inventor
바오쿤 산
잉휘 유
오딜 롤링거
저 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은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액세스가 수행될 수 있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정보 및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 따라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중,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알려진 제1 액세스 캐리어에 따라,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서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지만, 액세스 캐리어를 랜덤하게 선택하지는 않고, 또한 기지국은, 지시된 제1 액세스 캐리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어,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캐리어가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와 다른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고,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 기술, 특히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단말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를 개시하고 복수의 캐리어 상의 페이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 절차이며, NB-IoT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절차 중 하나이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의 목적은 통신 연결 설정, 업링크 동기화 획득, 업링크 자원 적용 등을 포함한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의 개시는 몇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는, 랜덤 액세스 개시 동안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유휴 상태 랜덤 액세스 및 연결 상태 랜덤 액세스로 분할된다. 연결 상태 랜덤 액세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능동적으로 개시되는 랜덤 액세스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오더(order)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개시되는 랜덤 액세스로 추가로 분할된다. PDCCH 오더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랜덤 액세스를 트리거할 때, 네트워크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캐리어를 시그널링(signaling)으로 표시한다. 캐리어 상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도된 1 회 이상의 액세스 시도가 모두 실패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키고, 랜덤 액세스를 재시도하기 위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새로운 캐리어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그러나, 기지국은 보통 일부 특정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할 새로운 캐리어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된 캐리어 및 해당 캐리어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자원이 기지국에 의해 예약되어 있음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에 따라 충돌 확률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캐리어에 대해 예약된 자원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간섭을 야기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은,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위해 새로운 캐리어를 랜덤하게 선택하지만 랜덤하게 선택한 캐리어 및 해당 캐리어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자원이 기지국에 의해 예약된 자원임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 충돌 확률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은 랜덤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해결 방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캐리어를 포함하는 리스트, 즉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사전 획득할 수 있다. 리스트는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에서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본 해결 방안에 제한되지 않는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한 후,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액세스 캐리어를 지시한다. 그러나,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가능한 커버리지 제한으로 인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복수 회의 액세스가 실패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를 재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해결 방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는, 랜덤하게 선택되지 않고,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은 또한,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예약된 자원을 구성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와 다른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충돌을 피하고 간섭을 줄인다.
특정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non-anchor) 캐리어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
전술한 해결 방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방식이 제공된다. 그 하나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직접 획득되고, 랜덤 액세스에 사용되는 제2 액세스 캐리어는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액세스 캐리어 정보에서 결정된다. 다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 대해 스크리닝(screening)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기 위해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스크리닝되고(screened out),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획득되고, 제2 액세스 캐리어는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 대해 스크리닝이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기 위해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스크리닝되고, 이후 제2 액세스 캐리어는 계산을 통해 획득된,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된다. 이것은 앵커 캐리어를 선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모든 캐리어의 수량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은,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가,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 및 이용 가능한 액세스 캐리어의 수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선택적으로,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의 수량으로 나눈 나머지와 동일하다.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의 수량으로 나눈 나머지와 동일하다.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으로 나눈 나머지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랜덤 액세스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모듈 - 여기서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프로세싱 모듈에 의해 획득한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 여기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에 의해 획득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 여기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모든 캐리어의 수량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고, 또는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포함함 -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랜덤 액세스 장치의 구현에서,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제3 측면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 측면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을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구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명령, 즉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교환하여,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추가로 통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4 측면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측면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5 측면은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즉,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측면의 구현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구현한다.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캐리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대신에, 기지국에 의해 이미 알려진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서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또한, 지시된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여,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 캐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와 다른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고,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에 대한 간섭을 피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제1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장치의 제2 실시 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랜덤 액세스의 대부분은, 단말 디바이스가 요구할 때,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구성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자원을 직접 그리고 랜덤하게 선택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된다.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 발생된 충돌을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오더에 의해 트리거되는 랜덤 액세스를 설계하고, 오더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자원을 나타내는 것은, 기지국이 일부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 액세스 충돌의 확률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일부 특별한 시나리오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오더에 의해 트리거된 랜덤 액세스에 대해서만 일부 자원을 예약할 수 있다. 오더를 수신한 단말 디바이스는 이러한 예약된 자원을 이용하여 충돌 확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오더에 의해 트리거되는 일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랜덤 액세스가 여러 번 실패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레벨을 변경하고, 새로운 시도를 개시하기 위해 랜덤하게 캐리어를 선택한다는 것을 배경기술의 해결 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들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캐리어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랜덤하게 선택된 캐리어 및 자원이 기지국에 의해 예약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충돌 확률이 크게 증가한다. 네트워크 또는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경우, 이들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캐리어에 대해 예약된 자원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단말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의 주된 이유는, 단말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레벨이 변경된 후에 선택된 캐리어가 랜덤하고, 이는 기지국에 대해 알 수 없고 제어할 수 없다는 점이이다. 본 시나리오를 위한 새로운 캐리어 선택 방법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선택이 규칙적이고 기지국에 대해 제어 가능하다는 것이 또한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기초로, 본 출원은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 결정 해결 방안을 제공하여, 기지국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은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낮은 복잡성 및 낮은 전력 소비가 요구되는 eMTC 시스템 및 NB-IoT 시스템과 같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스템, 종래의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진화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IoT 통신 시스템에서, 해결 방안은 기지국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다른 서비스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 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이동 전화("셀룰러" 전화라고도 함)와 같은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휴대용, 포켓 사이즈, 핸드 헬드,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내 이동 장치일 수 있고,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은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전화, 무선 전화 세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콘솔 (Mobile Conso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 터미널(Remote 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또는 사용자 장비(User Device or User Equipment), 예를 들어, 컴퓨터, 가전 제품, 자동차 또는 텔레비전으로 지칭 될 수 있다. 이것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과 관련된 기지국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디바이스라고도 하며, 단말을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디바이스이다. 기지국은,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NB(NodeB)일 수 있고,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진화형 NodeB((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미래형 5G 네트워크의 gNodeB 등일 수 있다. 이것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법의 제1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은 다음의 구체적인 특정 구현 단계를 포함한다.
S101.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할 때, 기지국은 커버리지 레벨, 서브 캐리어 인덱스 및 캐리어 인덱스와 같은 사용된 파라미터를 단말 디바이스에 지시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커버리지 레벨, 서브 캐리어 인덱스 및 캐리어 인덱스에 기초하여,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자원 구성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캐리어 위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리턴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그러나, 단말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레벨의 영향 및,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액세스 캐리어를 이용하여 복수 회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 후, 기지국에 의해 리턴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받지 않는 다른 문제점으로 인해, 단말 디바이스는 실제 상황에 기초하여 액세스 구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레벨이 증가한 후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대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서 새로운 랜덤 액세스 캐리어, 즉 본 해결 방안의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해결 방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더 이상 랜덤하게 캐리어를 선택하지 않고,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를 재결정하여, 기지국이,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어, 간섭을 피하기 위한 조정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다.
전술한 해결 방안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기지국에 의한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인 계산 방식은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 및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사용되는 모든 캐리어의 수량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의 수량으로 나눈 나머지는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로 사용된다.
제2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여기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다.
전술한 해결 방안은 단말 디바이스가 우선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스크리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를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의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스크리닝되어 새로운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의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스크리닝되어 새로운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한다. 그 획득 방식은,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 및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위해 사용된 모든 캐리어의 수량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 및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위해 사용된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의 수량으로 나눈 나머지와 동일하다.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으로 나눈 나머지와 동일하다.
S102.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 및 제2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의해 리턴된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수신하면, 액세스는 성공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의해 리턴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해결 방안의 특정 구현에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기 전에,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캐리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대신, 기지국에 의해 이미 알려진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에서 새로운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또한, 지시된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여,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 캐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와 다른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고,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에 대한 간섭을 피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다음은 본 해결 방안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한 몇몇 특정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첫 번째 구현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PDCCH 오더에 의해 트리거되는 랜덤 액세스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의 여러 시도가 실패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다음, 원래의 PDCCH 오더의 Carrier_index(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제1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 다음,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리지 레벨 증가 후에 획득한 현재 커버리지 레벨에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는,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에서의 캐리어 구성 및 해당 구성에서의 캐리어 시퀀스에 기초하여 선택되어 새로운 캐리어 리스트(즉,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새로운 캐리어 인덱스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Carrier_index_new = Carrier_index mod (현재 커버리지 레벨에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의 수량), 여기서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나타낸다. 그리고, 새로운 랜덤 액세스 캐리어는 Carrier_index_new를 이용하여 새로운 캐리어 리스트에서 결정된다.
전술한 해결 방안에서, 새로운 캐리어 리스트는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R-13 타입의 단말)는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에서만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앵커 캐리어에 대한 부하(load)는 비교적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재선택 동안 앵커 캐리어가 사용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앵커 캐리어에 대한 부하의 추가적인 증가를 피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두 번째 구현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PDCCH 오더에 의해 트리거되는 랜덤 액세스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의 여러 시도가 실패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의 PDCCH 오더의 Carrier_index(즉,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한 후,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액세스 캐리어가 결정될 때, 다음 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캐리어 인덱스가 구체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
Carrier_index_new = Carrier_index mod (현재 커버리지 레벨에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의 수량), 여기서 mod는 모듈로 연산을 나타낸다. 그리고, 새로운 랜덤 액세스 캐리어는, Carrier_index_new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에 의한 구성 브로드캐스트의 캐리어 리스트에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인덱스 값 0은 리스트에 있고 현재 커버리지 레벨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1 캐리어를 나타내고, 값 1은 리스트에 있고 현재 커버리지 레벨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2 캐리어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레벨이 변경된 이후에 사용된 캐리어는 랜덤하게 선택되지 않고, 선택 방식 및 대응하는 식은 프로토콜에 명시되며, 기지국은, 단말이 커버리지 레벨을 변경할 때 어떤 새로운 캐리어가 사용되는지를 알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구성을 통해 대응하는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셀 재선택(인터 주파수 셀 재선택)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재선택을 통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에 위치한 셀로 변경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에 대한 QoffsetSCPTM이 관련 계산에 도입된다. 그러나 오프셋은 이웃하는 셀 관련 계산에서만 나타나고, 구체적으로, 다음 Rn에서만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Rs는 서빙 셀에 사용되고 Rn은 다른 이웃 셀에 사용된다. 새로 도입된 QoffsetSCPTM은 Qoffset 계산에만 포함된다. 재선택 동안, 셀 재선택 조건은, 캠핑(camp)을 위해, Rn > Rs 인 모든 셀 중에서 가장 적합한 셀이 선택되는 것이다. 재선택이 완료된 후, 단말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의 셀에 대해 캠핑을 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은, 이전의 타겟 이웃 셀에서 서빙 셀로 변경된다. Rs는 더 이상 QoffsetSCPTM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다른 이웃 셀들이 위치한 주파수들도 관련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한다면, 단말은, 재선택을 통해, 이들 셀로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즉, "핑퐁 효과"가 발생한다.
"핑퐁 효과"를 피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오프셋은 서빙 셀 및 인접 셀 모두의 대응하는 계산에 적용된다.
가능한 계산 방식 1은 다음과 같다.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 QoffsetSCPTM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 QoffsetSCPTM
즉, QoffsetSCPTM은 독립 오프셋으로 사용되며 Rs 및 Rn 계산에 명시적으로 더해진다. 단말 디바이스가, 가능한 한 선택을 통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프셋의 값은 음이 아닌 값 또는 양의 값이다.
다른 계산 방식 2는 다음과 같다.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 QoffsetSCPTM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 QoffsetSCPTM
즉, QoffsetSCPTM은 독립 오프셋으로 사용되며 Rs 및 Rn 계산에 명시적으로 더해진다. 단말 디바이스가, 가능한 한 선택을 통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프셋의 값은 양이 아닌 값이 또는 음의 값이다.
또한, 오프셋은 암시적 오프셋으로서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오프셋의 값은 기존 오프셋에 암시적으로 더해진다. 예를 들어, 계산 방식 3은 다음과 같다.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서빙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이 존재하는 경우, QHyst 값은 QHyst 더하기 멀티캐스트 오프셋, 예를 들어, QoffsetSCPTM에 해당하고, 또는 Qoffsettemp 값은 Qoffsettemp 값 더하기 또는 빼기 멀티캐스트 오프셋, 예를 들어, QoffsetSCPTM에 해당한다. 이 경우, 멀티캐스트 오프셋의 값은 양이 아닌 값, 음이 아닌 값, 양의 값 및 음의 값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웃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이 존재하는 경우, Qoffsetfrequency 값은 Qoffsetfrequency 더하기 QoffsetSCPTM 값에 해당한다. 이 경우 QoffsetSCPTM 값은 양이 아닌 값 또는 음의 값이다.
마찬가지로, 명시적 표시 및 암시적 표시가 혼합되는 다른 표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서빙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은 명시적으로 존재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가능한 한 선택을 통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프셋의 값은 음이 아닌 값 또는 양의 값이다.
이웃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은 암시적으로 존재한다. 이웃 셀에서의 암시적 존재 방식은 전술한 이웃 셀의 계산에서의 암시적 표현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이웃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이 존재하면, Qoffsetfrequency 값은 Qoffsetfrequency 더하기 QoffsetSCPTM 값에 해당한다. 이 경우 QoffsetSCPTM 값은 양이 아닌 값 또는 음의 값이다. 계산 방식 4는 다음과 같다.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 QoffsetSCPTM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마찬가지로, 명시적 표시 및 암시적 표시가 혼합되는 다른 표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서빙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은 명시적으로 존재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가능한 한 선택을 통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프셋 값은 양이 아닌 값 또는 음의 값이다.
이웃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은 암시적으로 존재한다. 이웃 셀에서의 암시적 존재 방식은 전술한 이웃 셀의 계산에서의 암시적 표현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이웃 셀의 계산에서, 멀티캐스트 오프셋이 존재하면, Qoffsetfrequency 값은 Qoffsetfrequency 더하기 QoffsetSCPTM 값에 해당한다. 이 경우 QoffsetSCPTM 값은 양이 아닌 값 또는 음의 값이다. 계산 방식 5는 다음과 같다.
Rs = Qmeas,s + QHyst - Qoffsettemp - QoffsetSCPTM
Rn = Qmeas,n - Qoffset - Qoffsettemp
또한, 오프셋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단말 디바이스가 일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에서 캠핑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위치한 주파수에서의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종료된 후, 서빙 셀의 품질이 양호하면, 단말은 셀 재선택 서비스를 트리거하지 않는다. 이 경우, 많은 양의 단말이 해당 주파수에 대해 캠핑하고, 그 결과 주파수의 부하는 상대적으로 무거울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 셀 재선택 측정 규칙에서, 유휴 상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을 제한하기 위해, 2 개의 측정 임계 값이 시스템 메시지 내에 정의된다: 인트라 주파수 측정 임계 값 SIntraSearchP 및 인터 주파수 측정 임계 값 SnonIntraSearchP. 서빙 셀의 측정 량이 해당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임계 값이 인트라 주파수 측정 임계 값보다 높은 경우, 즉 Srxlev > SIntraSearchP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서빙 셀의 임계 값이 인터 주파수 측정 임계 값보다 높은 경우, 즉 Srxlev > SnonIntraSearchP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인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종료한 후, 단말은 서빙 셀에 머무르고, 단말 디바이스가, 재선택을 통해, 캠핑을 위해 다른 주파수/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이웃 셀 측정을 트리거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이 위치한 주파수에서의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종료된 후,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서빙 셀의 측정 트리거 임계 값을 무시하고 인접 셀 측정을 시작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는 인트라 주파수 셀 측정 임계 값 SIntraSearchP를 무시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종료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인트라 주파수 측정 임계 값을 무시하고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시작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인터 주파수 셀 측정 임계 값 SnonIntraSearchP를 무시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종료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인터 주파수 측정 임계 값을 무시하고 인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인트라 주파수 셀 측정 임계 값 SIntraSearchP 및 인터 주파수 측정 임계 값 SnonIntraSearchP를 무시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종료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인트라 주파수 측정 임계 값 및 인터 주파수 측정 임계 값을 무시하고, 인트라 주파수 측정 및 인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한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장치의 제1 실시 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액세스 장치(10)는: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모듈(11) - 여기서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고,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프로세싱 모듈(11)에 의해 획득한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듈(1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측에 기술적 해결 방안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랜덤 액세스 장치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방법 실시 예의 그것과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모듈(11)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11)은 구체적으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 여기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11)에 의해 획득한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싱 모듈(11)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 여기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은: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모든 캐리어의 수량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고, 또는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는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포함함 - 구성된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랜덤 액세스 장치의 제2 실시 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해결 방안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장치(10)는: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13)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측에 기술적 해결 방안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랜덤 액세스 장치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방법 실시 예의 그것과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구현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특정 구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명령, 즉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교환하여,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추가로 통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송신기, 수신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은 또한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즉,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전술한 구현에서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방법 실시 예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가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방법 실시 예들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메모리(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 디스크(optical dis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Claims (14)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고, 상기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non-anchor) 캐리어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은: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모든 캐리어의 수량 및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 및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된 상기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방법.
  7.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 및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모듈 - 여기서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수행하는 캐리어이고, 상기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프로세싱 모듈에 의해 획득한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듈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 획득한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에 의해 획득한 상기 제1 캐리어 정보 리스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비 앵커 캐리어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커버리지 레벨을 증가시킨 후에 획득한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을 지원하는 모든 캐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인덱스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은: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모든 캐리어의 수량 및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결정하고, 또는 상기 새로운 커버리지 레벨에 대해 사용된 비 앵커 캐리어의 수량 및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캐리어의 상기 인덱스를 포함함 - 구성된, 랜덤 액세스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액세스 캐리어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장치.
  13. 메모리,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랜덤 액세스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디바이스.
  14.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랜덤 액세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장 매체.
KR1020197029103A 2017-03-24 2017-03-24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102271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8185 WO2018170919A1 (zh) 2017-03-24 2017-03-24 随机接入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765A true KR20190124765A (ko) 2019-11-05
KR102271492B1 KR102271492B1 (ko) 2021-06-30

Family

ID=6358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103A KR102271492B1 (ko) 2017-03-24 2017-03-24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22184A1 (ko)
EP (1) EP3582574B1 (ko)
JP (1) JP7060611B2 (ko)
KR (1) KR102271492B1 (ko)
CN (1) CN110463331B (ko)
WO (1) WO2018170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9532B (zh) * 2020-01-09 2023-01-0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覆盖增强等级的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820A (ko) * 2010-03-18 2012-12-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요소 반송파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랜덤 액세스 설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0314B2 (en) * 2008-12-16 2012-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initial access in a multi-carrie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ES2905362T3 (es) * 2009-04-23 2022-04-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y aparato para acceso aleatorio en comunicaciones inalámbricas multiportadoras
EP2453598A4 (en) * 2009-07-07 2015-08-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CARRIERS IN A MULTI-CARRIER SYSTEM
CN102056297B (zh) * 2009-11-02 2013-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多载波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和设备
WO2011097803A1 (zh) * 2010-02-11 2011-08-1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基于载波聚合通信系统中检测随机接入失败的方法和装置
CN102845119B (zh) * 2010-04-06 2016-01-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基于载波聚合的处理物理随机接入信道传输的方法和装置
US8395985B2 (en) *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CN107079438B (zh) * 2014-11-06 2022-03-0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US20170238284A1 (en) * 2016-02-05 2017-08-17 Mediatek Inc. Multi-Carrier Operation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7734667A (zh) * 2016-08-12 2018-02-23 夏普株式会社 执行随机接入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7734714B (zh) * 2016-08-12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和装置、用户终端
EP3574700B1 (en) * 2017-01-30 2020-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ssion at a changed coverage enhancement (ce) level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820A (ko) * 2010-03-18 2012-12-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요소 반송파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랜덤 액세스 설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1662* *
3GPP R2-17021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0919A1 (zh) 2018-09-27
JP7060611B2 (ja) 2022-04-26
CN110463331B (zh) 2022-04-12
KR102271492B1 (ko) 2021-06-30
CN110463331A (zh) 2019-11-15
EP3582574B1 (en) 2023-07-12
EP3582574A4 (en) 2020-03-04
EP3582574A1 (en) 2019-12-18
JP2020515183A (ja) 2020-05-21
US20200022184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054B2 (en) Random access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9451549B (zh) 语音回退方法、装置与终端设备
US11812475B2 (en)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8024938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Base Station, Terminal, and System
CN108024385B (zh) 随机接入的方法、网络设备和用户设备
CN111372293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9655022B2 (en) Method of cell reselection
US114838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24172B2 (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access method
US20230156538A1 (en) Cell selection or reselect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es
CN113923741A (zh) 一种小区接入方法、装置、介质及终端
CN112020899A (zh) 网络接入方法及相关设备
US2018010348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271492B1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N113273249A (zh) 用于小区选择和重选的系统和方法
CN113678563B (zh) 随机接入方法及相关设备
CN112312499A (zh) 一种小区重选方法及其装置
US20230363010A1 (en) Random access typ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7616852A (zh) 用于增强上行链路覆盖的方法、设备和系统
CN117560787A (zh) 随机接入资源确定方法、终端、装置及存储介质
CN117643154A (zh) 基于增强上行覆盖的传输方法、门限的配置方法以及装置
CN117177315A (zh) 小区重选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设备
CN113747520A (zh) 一种小区重选方法及相关装置
CN114745746A (zh) 异频测量周期调整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2152400A (ja) 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