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435A - 나노 기포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나노 기포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435A
KR20190124435A KR1020180048386A KR20180048386A KR20190124435A KR 20190124435 A KR20190124435 A KR 20190124435A KR 1020180048386 A KR1020180048386 A KR 1020180048386A KR 20180048386 A KR20180048386 A KR 20180048386A KR 20190124435 A KR20190124435 A KR 2019012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air
nano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무영
김충일
박현주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4435A/ko
Publication of KR2019012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3/0411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4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bubbling installation are mounted
    • B01F23/231141Mounting auxiliary devices, e.g. pumps or compressors in a particular place on the bubbling installation, e.g. unde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3/0446
    • B01F2003/0416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구조의 튜브를 이용한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유입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이중 배출관,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 및 공기를 이중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배출관을 구비하고 내부 배출관에는 유체를, 외부 배출관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내부 배출관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통해 내부 배출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나노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 기포 발생 장치{NANO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구조의 튜브를 이용한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포는 액체나 고체 내에 기체가 유입되어 거품처럼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포는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거나, 폭발 등에 의해 물을 정화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이를 위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 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포 발생 장치는 펌프를 이용하여 물과 공기를 흡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기존의 기포 발생 장치는 나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의 노즐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223호(2008.05.2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나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유입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이중 배출관,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 및 공기를 이중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배출관을 구비하고 내부 배출관에는 유체를, 외부 배출관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내부 배출관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통해 내부 배출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나노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서 이중 배출관의 개략 투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서 이중 배출관의 개략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00)과, 유입관(100)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이중 배출관(200), 유입관(100)으로 유입되는 유체 및 공기를 이중 배출관(200)으로 배출시키는 펌프(P)를 포함한다.
유입관(100)은 외부에서 유체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름이 일정한 관 형태이다. 이러한 유입관(100)은 펌프(P)와 연결되며, 펌프(P)에 의해 외부의 유체와 공기가 유입관(100)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유입관(100)으로 유입되는 유체로 물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서 이중 배출관의 개략 투영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서 이중 배출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중 배출관(200)은 이중 배관 구조로서, 펌프(P)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와 공기를 이용하여 나노 기포를 생성하여 배출한다. 이를 위해서, 이중 배출관(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배출관(220)과 외부 배출관(210)을 포함한다.
내부 배출관(220)은 펌프(P)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즉, 물을 배출시킨다. 내부 배출관(220)의 내면은 스파이럴 구조로서, 돌출된 나선형의 가이드(222)가 형성되어 펌프(P)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도록, 즉,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내부 배출관(220)에는 외부 배출관(21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 배출관(220) 내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입홀(221)이 형성된다.
공기 유입홀(221)은 외부 배출관(210)과 내부 배출관(220) 사이로 주입된 공기가 내부 배출관(2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공기 유입홀(221)은 내부 배출관(220)에 다수개가 형성되며, 도 3을 참조하면,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공기가 경사지게 내부 배출관(2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공기 유입홀(221)에서 배출되는 나선 방향의 공기의 힘이 더해져 가이드(222)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를 더욱 크게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입홀(221)은 외부 배출관(210)에서 내부 배출관(220)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기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여 나노 기포를 더욱 쉽게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 유입홀(221)은 다수개가 상기 가이드(222)에 대응되도록 내부 배출관(220)에 나선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외부 배출관(210)은 펌프(P)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시킨다. 외부 배출관(210)과 내부 배출관(220) 사이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펌프(P)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한다. 여기서, 내부 배출관(220)의 유체가 외부 배출관(210)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외부 배출관(2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내부 배출관(22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배출관의 길이를 길게 하여 나노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배출관을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배출관 자체를 나선형태로 말아서 배출관을 설치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배출관을 구비하고 내부 배출관에는 유체를, 외부 배출관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내부 배출관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통해 내부 배출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나노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유입관 200: 배출관
210: 외부 배출관 220: 내부 배출관
221: 공기 유입홀 222: 가이드
P: 펌프

Claims (3)

  1. 유체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이중 배출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 및 공기를 이중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배출관은,
    외부 배출관과,
    상기 외부 배출관의 내부에 단면이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도록 내면이 돌출된 나선형의 가이드가 형성된 스파이럴 구조이며, 상기 외부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로 유출되도록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내부 배출관을 포함하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홀은 다수개가 상기 내부 배출관에서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나노 기포 발생 장치.
KR1020180048386A 2018-04-26 2018-04-26 나노 기포 발생 장치 KR20190124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86A KR20190124435A (ko) 2018-04-26 2018-04-26 나노 기포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86A KR20190124435A (ko) 2018-04-26 2018-04-26 나노 기포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435A true KR20190124435A (ko) 2019-11-05

Family

ID=6857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86A KR20190124435A (ko) 2018-04-26 2018-04-26 나노 기포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44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23Y1 (ko) 2006-12-08 2008-05-30 김신숙 미세기포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23Y1 (ko) 2006-12-08 2008-05-30 김신숙 미세기포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412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
JP6210846B2 (ja) マイクロバブルスプレー装置
CN107321204A (zh) 微气泡产生器
JP2007021343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CN208990587U (zh) 微纳米气泡发生装置
US20170157635A1 (en) Shower head capable of providing shower feeling without water spray plate
TWM483123U (zh) 氣體溶解於液體的生成裝置及流體噴頭
KR20200048869A (ko) 기포 발생 장치
JP201300062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203639247U (zh) 管道加药或管道曝气装置
CN103253724B (zh) 快速微气泡溶气装置
KR102305212B1 (ko) 기포 발생 장치
JP6646300B2 (ja) 汚水浄化用の気泡発生装置及び汚水浄化方法
JP5912347B2 (ja) 推力増進装置
KR20170096674A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190124435A (ko) 나노 기포 발생 장치
KR101530609B1 (ko) 나노 버블 장치
TWM488339U (zh) 迴旋除泡裝置
JP2015509158A5 (ko)
KR20200048870A (ko) 기포 발생 장치
JP4982744B2 (ja) 流体混合器および流体混合方法
JP2015196154A (ja) 二流体ノズルユニット
KR20210096489A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2017221919A (ja) 微細気泡発生装置、シャワーヘッドおよび混相流体処理装置
CN207278189U (zh) 一种脉冲钻头短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