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077A -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077A
KR20190124077A KR1020180048156A KR20180048156A KR20190124077A KR 20190124077 A KR20190124077 A KR 20190124077A KR 1020180048156 A KR1020180048156 A KR 1020180048156A KR 20180048156 A KR20180048156 A KR 20180048156A KR 20190124077 A KR20190124077 A KR 20190124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wireless device
goods
us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완
Original Assignee
이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완 filed Critical 이태완
Priority to KR102018004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4077A/ko
Publication of KR2019012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고,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User wireless apparatus for pickup support,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의 안정적 활성화를 위한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티드카 커머스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에 커머스(Commerce)를 결합한 개념으로, 결제수단과 연동되는 디지털 아이디를 자동차에 부여하여, 자동차 자체가 결제 플랫폼이 되는 상거래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는 2가지 방식이 있다.
첫번째 방식은 자동차에 별도로 부가되는 신호장치(예: 시거잭 형태로서, 시거잭 삽입구에 연결되는 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서비스 가맹점에서 감지하고, 이를 모바일 결제로 연동하는 기술이다.
전술된 신호장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장치(예: 스마트폰)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며 수신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불특정 대상으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즉, 전술된 신호장치와 연동되는 자동차가 서비스 가맹점에 진입할 때, 서비스 가맹점은 서비스 가맹점에 구비된 별도의 위치 인식 장비를 통해 전술된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가지고 진입 중인 자동차의 디지털 아이디를 판별하게 된다. 물론, 서비스 가맹점은 네트워크 연결된 운영서버를 통해 디지털 아이디의 판별, 판별된 디지털 아이디와 연계된 결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첫번째 방식은, 자동차에 별도로 부가되는 신호장치(예: 시거잭 형태의 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가하여야 하는 바,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커넥티드카 커머스 인프라 확장에 장애요인이 있다. 또한, 서비스 가맹점에서도 자동차의 진입 시 자동차에 부가된 별도의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 인식 장비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서비스 가맹점 모집에 있어서 비용 및 설비 설치 등으로 인한 한계가 있다.
더 나아가, 첫번째 방식은 신호장치로부터 불특정 대상으로 무작위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자동차의 디지털 아이디를 특정하는 방식이어서, 자동차의 디지털 아이디를 해킹하기 용이하며, 이를 통해 커넥티드카 커머스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는데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 전술된 신호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고유코드 및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라고 하더라도, 일회용 인증코드는 수학적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되는 유사난수로서, 양자 컴퓨터 등 컴퓨팅 고도화로 인해 매우 짧은 시간내 읽혀질 수 있는 정보 형태이므로 이또한 해킹 위협에 지속적으로 대비하기 어렵다.
이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된 첫번째 방식은 매장으로 진입하는 자동차의 디지털 아이디를 확인한 후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데, 자동차 내의 사용자로부터 주문된 물품을 잘 수령하였는지, 또는 원하는 서비스를 잘 받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부재하다. 이로 인해, 바쁜 영업시간대 또는 직원의 실수로 물품 또는 서비스가 대응되는 특정 자동차가 아닌 다른 자동차에 제공될 여지가 있고,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가 대응되는 특정 자동차에 제대로 전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문한 사용자의 악의적 의사에 의해 해당 매장에 진입하기는 하였으나, 급한 사정상 바로 출구를 통해 외부로 나갔다고 우기는 경우라면 매장에 진입한 근거리 통신내역만으로 이를 제재할 수 있는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CCTV 등의 설비가 더 추가적으로 요구되며, 개인정보 보호 내지 추가적인 설비 등으로 인해 서비스 확장에서 이또한 장애요소이다.
두번째 방식은 서비스 가맹점, 즉 매장에 진입할 때, DGPS(Differential GPS) 측위 기술을 기반으로 매장에 진입 중인 자동차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자동차에 대해 주유 서비스 등의 서비스 제공 또는 물품 제공하며, 자동차 내에서 인증코드 1회 입력을 거쳐 자동결제하는 기술이다.
전술된 DGPS 측위 기술은 LTE 기지국 및 GPS 정보를 결합해서 위치 측정하는 기술로서, 서비스 가맹점별로 자동차 위치 인식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되어 서비스 확산에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인증코드 1회 입력을 거쳐 결제하는 방식은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이 있은 후 인증코드 1회 입력을 통해 결제가 진행되는 방식임에 따라,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코드 입력이라는 불편을 초래한다. 그렇다고 사용자는 자동결제를 통해 본인의 최종 승인없이 결제 처리되는 것도 원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은 해킹 또는 동승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상당하며, 인증코드 입력을 지문 등 생체정보 입력방식으로 대체하더라도, 곧 도래될 4차 산업시대의 컴퓨팅 고도화 수준을 감안한 해킹 공격 또는 지문 도용을 위한 스캔 등에 의해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더더욱 지문 등 생체정보는 한번 뚫리면 대체 가능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현 수준에서도 보안전문가들에 의해 대안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많다.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안정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술된 기술적 필요요건만이 아닌 사업적 필요요건도 요구된다. 기존 드라이브 스루매장(패스트푸드, 커피매장 등)의 자동차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드라이브 스루 회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드라이브 스루에서 대기 가능한 자동차 대수가 한정적인 점을 감안한 것이다.
드라이브 스루매장을 설비하기 위해서는 매장 외 추가 공간(자동차가 순환하기 위한 C자형 매장내 도로)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설비를 갖추기 위한 비용이 상당하다. 도심 내에서는 매장 공간의 확대로 인한 임대비용이 향상되는데, 기존 일반매장에서도 용이하게 드라이브 스루매장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직장인들은 퇴직 후 또는 퇴직 전에도 창업으로서 자영업 방식의 창업을 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경험없는 창업으로 자영업의 폐점율도 상당하다. 김밥점을 창업하는데에 소요되는 비용은 대략 5500만원 내지 7800만원이 소요된다. 자영업 실패할 경우, 이 비용의 손실은 고스란히 창업자가 부담하고, 때에 따라 재기하기도 힘든 경우가 많다. 자동차로 이동하여 탑승한 채로 주문자가 원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하는 커넥티드카 커머스의 특성을 살려서 초기 창업자로 하여금 매장없이도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통해 사업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안까지 도출 가능하다면 커넥티드카 커머스의 활성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점까지 해결 가능하도록 지원 가능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3894(2006.01.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또는 일부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커머스)의 안정적 활성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고,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 인증키는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픽업 지원 방법은 사용자 무선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이 있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픽업 지원 방법은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상기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사용자 무선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이 있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상기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의 안정적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의 경우,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서비스 가맹점(매장)에서도 자동차의 진입을 파악하기 위한 위치인식 설비를 구축하지 않아도 자동차 및 매장 간에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기반으로 매장없이 사업 가능하도록 지원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아파트 등 자택을 통해 사업하거나, 창고형 매장을 통해 사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가 아닌 일반 오프라인 커머스에서도 적용 가능함에 따라, 운전자가 아닌 보행자에게도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에서, 매장으로 진입한 자동차 내로 물품 제공 또는 서비스 제공된 것을 인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매장을 드라이브 스루 매장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의 경우, 사용자 본인의 자동차는 물론이고, 이용 중인 택시에서도, 조수석에 동승한 동승자로서도, 또한 공유 자동차에서도 자유롭게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 자동차뿐 아니라, 각종 전자장비를 포함한 신형 자동차에서도 어떠한 추가 장비없이 커넥티드카로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커넥티드카를 구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동차 자체 또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간 연결된 형태로 커넥티드카를 구현함으로써,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커머스의 픽업 지점을 특정 위치(예: 매장 앞)가 아닌 능동적으로 부여된 위치(예: 매장 옆, 매장 근처의 주차장, 매장 근처 한산한 곳 등)로 설정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다수로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재 뿐만 아니라, 차후 보다 고도화된 컴퓨팅을 통한 해킹 또는 각종 보안 노출에 대비 가능한 강력한 보안 기능을 토대로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인 오프라인 커머스(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커머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무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적용된 서비스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적용된 서비스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적용된 서비스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자동차인 경우, 서비스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동차가 적용된 서비스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커넥티드카 구현 방식에 대해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자동차 및 스마트폰 연결 방식인 경우, 서비스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자동차 및 스마트폰이 적용된 서비스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 서비스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마트폰이 적용된 서비스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사용자 무선장치가 이동되는 목적지인 픽업지점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착 알림 후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착 알림 후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착 알림 후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안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보안 방식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픽업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의 안정적 활성화를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100)는 메모리(1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며,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고,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에 따라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대한 응답으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무선장치(100)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커넥티드카(예: 완성차 자체 형태, 또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간 연결된 형태 등) 또는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일상적으로 이용되는 모바일 장치를 일컫는다. 대표적으로, 상기에서는 커넥티드카 및 스마트폰만 언급하였다.
픽업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통하거나, 사용자 무선장치(100)와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구분 가능하다.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통해 픽업지점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전술된 커넥티드카와 같이 이동기능이 포함된 경우이다.
사용자 무선장치(100)와 함께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기능이 포함되지 않아 교통수단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며, 자동차와 같은 교통수단의 도움을 받아 픽업지점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 무선장치(100)와 함께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교통수단에 실어져서 함께 이동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 보행을 통해 픽업지점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픽업지점은 사용자에 의해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특정 위치로서, 매장(또는, 매장에 준하는 역할을 하는 장소, 이하, 언급되는 매장은 매장에 준하는 역할을 하는 장소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 앞을 디폴트로 정하거나, 능동적으로 위치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픽업지점을 능동적으로 위치 설정한다는 것은 매장 앞이 혼잡하거나, 일시 정차 등을 위한 교통요건이 허락되지 않는 경우에 매장 근처의 주차장, 매장 근처의 한산한 곳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도심 내 매장, 도로를 끼고 있지 않은 매장이라고 하더라도 용이하게 픽업지점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에 대응되는 다수의 픽업지점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장 앞, 매장 근처의 제1 주차장, 매장 근처의 제2 주차장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한 장치의 ID이자,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하기 위해 픽업지점까지 도달한 장치의 ID이다. 즉, 커넥티드카 이면 커넥티드카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이고, 스마트폰이면 스마트폰을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이다.
여기서,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을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이고, 이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동차를 통해 픽업지점에 도달할 때,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는 픽업지점에 도달되거나, 도달된 자동차만 확인하고도 특정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주문시에 차량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된 차량정보를 주문내역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자동차 내 사용자에게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가 온전히 전달된 것까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하 해당 부분에서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장치 인증키를 통해 탑승된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차와 스마트폰 간에 어떠한 추가 장치를 전혀 구비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본인의 자동차는 물론이고, 이용 중인 택시에서도, 조수석에 동승한 동승자로서도, 또한 공유 자동차에서도 자유롭게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라면 본인의 스마트폰을 통해 탑승 중인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커넥티드카 커머스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전자장비를 포함한 신형 자동차뿐만 아니라, 구형 자동차까지 어떠한 추가 장비 없이도 커넥티드카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매장에서도,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매장 근처 진입을 파악하기 위한 위치인식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매장의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점주, 직원 등 관련자 모두 포함)의 스마트폰만 있으면 서비스 구축이 가능하다. 필요할 경우, 매장의 전용 단말을 통하거나, 더 포함하여 관련 서비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는 주문한 장치의 ID를 특정하고,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대상을 특정하는 데에 활용한 장치의 ID를 특정하는 것 외에,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보안 기능까지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현재 뿐만 아니라, 차후 보다 고도화된 컴퓨팅을 통한 해킹 또는 각종 보안 노출에 대비 가능한 강력한 보안 기능을 토대로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인 오프라인 커머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전술된 장치 인증키는 다양한 보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보호되거나, 특정 보안 기능을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장치 인증키는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장치 인증키를 패턴없는 보안 또는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생성하는 구체적인 원리는, 특허출원 PCT/KR2016/008296, 10-2017-0178994, 10-2017-0119988, 10-2017-0130261, 10-2017-0134613, 10-2017-0142984, 10-2017-0148176, 10-2017-0142985, 10-2017-0043952, 10-2016-0093978, 10-2015-0130338, 10-2015-0130316, 10-2015-0106917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을 통해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주문 시에 위치된 지점을 일컫는 것이고, B는 매장과 대응되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픽업지점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주문시부터 픽업지점에 위치한채로, 주문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A 및 B가 매우 근사한 위치 간격이거나, 동일 위치일 수 있다.
A 지점에서 사용자 무선장치(100)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주문 내역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장치 인증키를 기반으로 인증 처리한 것을 토대로, 주문과 대응되는 매장(300)에 주문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매장(300)에서는, 주문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매장(300)의 픽업지점에 도달할 스케줄에 맞춰서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를 준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B 지점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B 지점에 도달한 것을 매장(300)의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매장(300)의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매장 밖의 픽업지점으로 직접 나와서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픽업지점에 도달한 이후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까지 짧은 시간(예: 30초) 내에 가능하다.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을 매장의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하, 해당 도면들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사용자 및 매장 관련자(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1 이상에게 실시간 또는 대략적인 위치정보로서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략적인 위치정보라 함은 매장(300)의 픽업지점까지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려줄 수 있는데, 30분전, 20분전, 10분전, 5분전, 1분전 등과 같이 알림 정보를 줌으로서, 사용자는 매장까지의 도달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매장 관련자는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의 준비시간, 도달 예정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매장 관련자는 도달 예정에 임박한 알림을 받은 경우, 미리 픽업지점에 도달하여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도달즉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참고로, 결제과정은 주문시에 선 결제한 후 픽업지점에 도달해서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하는 방식과, 픽업지점에 도달해서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하는 시점에 결제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문 시점에 선 결제하는 방식은 간편하지 않은 일반적인 결제 타입이라 할지라도 픽업지점에서 바로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픽업지점에 도달해서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은 신속/정확하게 결제 처리 가능한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픽업지점에서 짧은 시간 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이동해야 하는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 특성에 따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완성차 자체의 커넥티드카(100-1)인 경우, 커넥티드카 내의 단말 화면을 통해 바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고, 주문된 내역에 대한 정보와 자동차의 장치 인증키를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200)는 인증 처리 이후, 주문 내역에 대한 정보를 대응되는 매장(300)에 제공한다.
매장(300)에서는, 커넥티드카(100-1)가 매장에 도달한 것에 대한 알림을 확인하고, 매장(300)의 해당 직원이 매장(300) 밖의 픽업 지점으로 이동하여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를 커넥티드카(100-1)의 차량 번호를 확인한 것을 토대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번호를 포함한 차량 정보는 상기 주문 내역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픽업 서비스는 커넥티드카 구현 방법들 중 스마트폰 연결하는 타입 또는 차량 자체에 이동통신모듈을 장착하는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차량 근거리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방식은 매장 및 자동차에 근거리 통신모듈을 부가적으로 설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픽업 서비스를 적용하는데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의 커넥티드카 구현 방법들 중 스마트폰 연결하는 타입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자 무선장치(100-2)가 자동차의 통신모듈(100-2-1) 및 스마트폰(100-2-2)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통신모듈(100-2-1)과 스마트폰(100-2-2) 간 블루투스 연결이 이루어지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동차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스마트폰(100-2-2) 에서 확보하고, 확보된 자동차의 블루투스 통신 ID를 토대로 스마트폰(100-2-2) 의 장치 인증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장치 인증키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패턴없는 보안 또는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이라 함은 양자암호통신에서 순수난수 방식으로 보안값을 생성하는 것과 같이, 순수난수 방식으로 보안값을 생성하는 보안 방식을 일컫는 것인데, 양자암호통신과 달리 비양자역학적인 방식으로 생성하는 것에 차별화한 보안 방식이다.
이를 통해, 특정 자동차에 대응되는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완성차 자체의 커넥티드카(100-1) 형태이거나, 자동차 및 스마트폰을 조합한 커넥티드카(100-2) 형태인 경우에는 특정 자동차별로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장치 인증키를 자동차의 디지털 아이디로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자동차에 대응되는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탑승 중인 자동차에 일시적인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구분될 필요가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스마트폰(100-3)인 경우이다. 즉, 스마트폰(100-3)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중인 경우, 탑승된 자동차에 대한 디지털 아이디를 스마트폰(100-3)의 장치 인증키로 갈음할 수 있다. 이는, 자동차에 탑승중인 사용자에게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족한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에 대한 것으로서, 자동차에 탑승 중인 사용자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특정 자동차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인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특정 자동차별로 디지털 아이드를 부여할 수 있는 방식들이 적합하다.
도 12는 스마트폰(100-3)만으로 자동차에 디지털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매장(300)에서도 자동차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인식 장비를 설비하지 않아도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매장(300)의 픽업지점에 도달하면, 도달 알림이 매장(300) 내 직원에게 전달되고, 이를 확인한 직원이 상기 픽업지점으로 이동해서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자동차 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더 나아가, 직원이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자동차 내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자동차 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무선장치(예: 스마트폰, 100-3)으로 제공하고,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확인한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승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버(200), 사용자 및 매장(300)은 모두 금번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 내역에 대한 인증 처리를 한 내역을 공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픽업지점에 도달한 후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을 받지 못했다거나, 물품 또는 서비스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등의 커머스 안정화에 지장을 초래하는 요소들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매장(300)의 픽업지점을 특정 위치(예: 매장 앞)가 아닌 능동적으로 부여된 위치(예: 매장 옆, 매장 근처의 주차장, 매장 근처 한산한 곳 등)로 설정하는 것 외에, 다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픽업지점을 제1 지점(예: 매장 앞), 제2 지점(예: 제1 주차장) 및 제3 지점(예: 제2 주차장)으로 다수개로 설정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3개로 설정된 다수의 픽업지점을 5개 등으로 더 확장하거나, 1개로 축소하는 것과 같이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커머스 활성화 여부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된 다수의 픽업지점들 중 자유롭게 어느 한 지점을 선택하거나, 매장 관련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된 지점만 선택 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다수의 픽업지점들 중 어느 한 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할 경우에는, 주문 내역 정보에 픽업지점의 선택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될 필요가 있다.
매장 관련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된 지점을 선택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제1 지점에 정차 등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이면, 매장 관련자는 제2 지점 및 제3 지점의 사용자 선택을 차단할 수 있고, 제1 지점이 혼잡한 경우에는 제2 지점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며, 제2 지점마저 혼잡한 경우에는 제3 지점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2 지점(예: 제1 주차장) 및 제3 지점(예: 제2 주차장)은 매장 전용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매장(300)에서 주변 주차시설 또는 옆 건물의 주차장 등과 제휴를 통해 확보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픽업지점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매장에 도착 알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는,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위치를 GPS, DGPS(Differential GPS), 양자나침반 등과 같은 측위 기술을 통해 지속적으로 판별한 정보를 기반으로 픽업지점에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도달된 경우, 도달완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무선장치(100)에서 서버(200)로 제공하고, 이후 서버(200)에서 매장(더 구체적으로는, 매장 내 전용단말 또는 매장의 직원 스마트폰 310)에 도착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매장 관련자(예: 직원)은 도착 알림 정보를 확인한 후, 픽업 지점으로이동해서 제공할 준비가 완료된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매장 관련자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사용자 바로 앞에서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증 처리를 위해, 본인의 스마트폰(310)을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무선장치(100)로 전송 처리한다.
이후, 사용자는 본인의 사용자 무선장치(100)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만족했다면, 이에 응답하여 메시지 내 승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의 인증 처리에 협조하게 된다. 이에 대한 내역은 서버(200), 사용자 및 매장(300) 모두에게 공유 가능하다.
여기서, 메시지 내 승인 버튼을 터치하면, 사용자 승인으로 간주하여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장치 인증키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장치 인증키가 서버(200)로 전송 처리되며, 이를 토대로 인증 처리하게 된다.
매장 관련자가 본인의 스마트폰(310)을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 처리할 때도, 매장 관련자의 스마트폰(310)에 대한 장치 인증키를 서버(200)에서 제공받아 이또한 보안 처리할 수 있다.
보안이 필요한 단계마다 장치 인증키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는 커머스의 특성, 보안 적용이 요구되는 단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장치 인증키의 제공이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픽업지점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통해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픽업지점에 도달이 예정된 근접 시점에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픽업지점에 도착했습니까?' 메시지가 자동으로 팝업되어 사용자는 YES 터치만으로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간략 위치정보 제공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라면, 주문 이후 바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픽업지점에 도착했습니까?' 메시지를 자동으로 단말 화면에 팝업 시켜놓고, 픽업 지점에 도달한 이후 사용자로 하여금 YES 터치만으로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매장 관련자(예: 직원)은 도착 알림 정보를 확인한 후, 픽업 지점으로이동해서 제공할 준비가 완료된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매장 관련자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사용자 바로 앞에서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증 처리를 위해, 본인의 스마트폰(310)을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무선장치(100)로 전송 처리한다.
이후, 사용자는 본인의 사용자 무선장치(100)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만족했다면, 이에 응답하여 메시지 내 승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의 인증 처리에 협조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장치(100)가 매장(300)에 도달한 이후 정확한 픽업지점을 입력해서 매장(300)에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장(300)이 마트인 경우, 마트의 지하 4층에 위치된 주차장인 B4의 19번 주차자리에 주차한 이후, 'B4 19'를 입력함으로서 도착 알림을 개시할 수 있다.
물론, 마트인 경우에도 미리 픽업지점(예: B1 차량 출구 지점, 매장 앞 별도 위치 등)이 등록되어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바로 응답하여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능하다.
이후, 매장 관련자(예: 직원)은 도착 알림 정보를 확인한 후, 픽업 지점으로이동해서 제공할 준비가 완료된 해당 물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매장 관련자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사용자 바로 앞에서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증 처리를 위해, 본인의 스마트폰(310)을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무선장치(100)로 전송 처리한다.
이후, 사용자는 본인의 사용자 무선장치(100)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만족했다면, 이에 응답하여 메시지 내 승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의 인증 처리에 협조하게 된다.
이는, 백화점, 마트 등과 같은 대형 매장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주차장 특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매장 관련자가 근접 배달해주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매장에서 원하는 쇼핑만을 즐긴 후, 생활용품 및 장보기 물품 등을 본인의 주차 위치로 근접 배달시켜서 효율적인 쇼핑을 즐길 수 있다. 매장(300)에서는, 고객의 다양한 상품 접근성을 높여서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으며, 원거리 배달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동차 등으로 이동 중에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한 후, 마트 등의 매장에 잠시 들려 주문된 물품 또는 서비스를 바로 픽업할 수도 있음에 따라, 주문 후 배달 제공받는 기존 배달 서비스와 달리 주문 및 배달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 간격까지 대기할 필요없이 원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여러 사정(예: 아기와 동승한 엄마 사용자)으로 인해 마트 등의 매장에 장보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용이한 서비스가 될 것이며, 매장 입장에서도 매출 증대 및 원거리 배달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어서 상호 윈윈 서비스이다.
도 17은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 방식을 적용한 장치 인증키 생성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된 특허를 통해 설명된다.
자동차 자체가 순수난수를 유발하는 하드웨어가 되어 핸들링, 차체 움직임, 도어 개폐, 배터리 충전/소모량 등의 물리적으로 유발되는 현상들을 관측하고, 이를 비트 변환하는 방식으로 보안 로그값을 지속적으로 패턴없이 변경하고, 이후 소정의 인증이 요구될 때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최종 보안 룰에 따라 최종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원리이다.
도 18 및 19도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 방식을 적용한 장치 인증키 생성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된 특허를 통해 설명된다.
이 경우는, 스마트폰 자체가 순수난수를 유발하는 하드웨어가 된다. 예를 들어, 5개의 소스 스택으로 관리는 경우를 들면, 바로 전 스마트폰 사용이 이어폰 연결인 경우 이어폰 연결에 대한 소스가 형성되고, 형성된 신규 소스는 5개의 소스 스택인 동기화 테이블에 업로드되고, 동기화 테이블 중 가장 오래된 소스가 제거되는 과정이 스마트폰 사용이 있을 때마다 반복되고(3시간 등 주기설정도 가능), 이 동기화 테이블은 서버와 동기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후, 장치 인증키의 생성이 요구되는 시점에 서버에서는 도 18의 5개의 소스 스택들 중 순수난수를 생성하기 위한 대상소스들을 서버에서 생성한 순수난수 기반의 선택 룰에 따라 추출하며, 추출된 대상소스들을 토대로 순수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구조이다.
즉, 이와 같은 장치 인증키 생성방식은 전파방해, 해킹 등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한다고 하더라도 그 획득된 데이터만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또한, 향후 양자컴퓨터 등을 통한 컴퓨팅 능력이 현재보다 더 고도화된다고 하더라도 최종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방식이 양자암호통신의 순수난수 생성방식과 같이 패턴이 전혀 없으며, 이로 인해 컴퓨팅 능력을 통한 패턴 유추도 불가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픽업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 무선장치(100)에서, 매장을 선택한 후 원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사용자 무선장치(100)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한다(S100).
이후, 교통수단을 통하는 등의 방식으로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에 도달한다(S102).
이후, 픽업지점에서, 물품 또는 서비스를 매장 관련자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물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104).
S104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본인이 제공받은 물품 또는 서비스를 확인하고, 제공받은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무선장치(100)의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승인을 할 수 있다(S106).
S106 단계에서, 사용자 승인이 있는 경우 사용자 무선장치(100)에서 자동으로 장치 인증키가 전송 처리될 수 있다(S108).
참고로, 결제과정은,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시점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픽업하는 시점에 진행 가능하다.
앞서 설명된 픽업 지원 과정의 각 단계들을 사용자 무선장치와 결합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되거나, 사용자 무선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위 각 단계들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커머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커머스의 안정적 활성화를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100-1, 100-2, 100-3: 사용자 무선장치
100-2-1: 통신모듈
100-2-2: 스마트폰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200: 서버
300: 매장
310: 매장 관련자의 무선장치(예: 스마트폰)

Claims (6)

  1.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고,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인증키는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생성되는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3. 사용자 무선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이 있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업 지원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상기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픽업 지원 방법.
  5. 사용자 무선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통해 물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미리 등록된 픽업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픽업지점에 도달한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로부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승인이 있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승인에 따라 상기 물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장치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6. 제5 항에 있어서,
    비양자역학적 패턴없는 보안을 통해 상기 장치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80048156A 2018-04-25 2018-04-25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90124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56A KR20190124077A (ko) 2018-04-25 2018-04-25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56A KR20190124077A (ko) 2018-04-25 2018-04-25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77A true KR20190124077A (ko) 2019-11-04

Family

ID=6857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156A KR20190124077A (ko) 2018-04-25 2018-04-25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40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894A (ko) 2003-04-23 2006-01-11 에스비씨 나울리지 벤처스 엘.피. 무선 전자 드라이브-스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894A (ko) 2003-04-23 2006-01-11 에스비씨 나울리지 벤처스 엘.피. 무선 전자 드라이브-스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27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US20200344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CN109074691B (zh) 在与多个访问控制装置交互时捕获个人用户意图
CN107111948B (zh) 用于安全性和包裹交换效率的地理接近度交通工具提醒和访问系统
US8963717B2 (en) Mobile device initiated retail transac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security tag detachment
US9117355B2 (en) Wireless signal actuated security tag
US20150019304A1 (en) Vehicle Rental Method and System
KR102324592B1 (ko) 제 3 자 사용을 위해 차량에 대한 액세스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7182482A (ja) オンライン・レンタル・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レンタル方法
JP4122035B2 (ja) 位置情報を用いた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および位置情報を用いた認証方法
CN106097504A (zh) 一种酒店自行入住的实现方法
US20180354139A1 (en) System and method used by individuals to shop and pay in store via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US20190102728A1 (en) Parc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1277741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an at least partly autonomous vehicle
US11037264B2 (en) Selective arrival notification system
KR20180012370A (ko) 선주문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주문 정렬 방법
KR20190124077A (ko) 픽업 지원용 사용자 무선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73163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741374B2 (ja) オンライン・レンタル・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レンタル方法
JP7395578B2 (ja) ユニバーサル個人識別信号
US201901562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O20192173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KR20180056514A (ko) 블랙박스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KR20180110301A (ko)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KR20180056515A (ko) 차량항법장치와 연계된 차량 이동 기반 무선 선주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