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974A -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974A
KR20190121974A KR1020180045519A KR20180045519A KR20190121974A KR 20190121974 A KR20190121974 A KR 20190121974A KR 1020180045519 A KR1020180045519 A KR 1020180045519A KR 20180045519 A KR20180045519 A KR 20180045519A KR 20190121974 A KR20190121974 A KR 20190121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ral
nasal
tube
contain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725B1 (ko
Inventor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조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수 filed Critical 조민수
Priority to KR102018004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7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약액이 수용되는 용기부;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약액이 흡입되어 사용자의 구강으로 분무되는 구강분무부; 및 상기 구강분무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구강분무부를 통해 날숨을 제공하면 약액이 사용자의 비강으로 분무되는 비강분무부;를 포함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UPPER AIRWAY SPRAYING DEVICE FOR COATING CHEMICAL LIQUID INTO ORAL CAVITY AND NASAL CAVITY}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과 비강 내에 액상의 약액을 분무 형태로 분사하여 넓게 도포할 수 있는 분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식이나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액이 포함된 스프레이가 많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약제 성분이 포함된 액체 등을 코 안쪽이나 입 안쪽으로 넓게 도포하여 호흡기 관련 질환의 자가 치료와 예방을 할 수 있다.
이런 약액을 코 안쪽 점막 즉, 비강으로 전달하기 위한 분무 장치는 코 관련 특정 질환이나 장애의 예방, 치료에 유용하다. 또한, 입 안쪽 즉, 구강을 대상으로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 장치 역시 구강 청결을 유지시키며, 해당 부위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유용하다.
종래 비강이나 구강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는 다양한 선행 기술로 공지되었다. 다만, 용기 내에 액상 형태로 존재하는 약액을 분무 형태로 분사하기 위해 분무 장치는 예를 들어, 수동이나 자동으로 작동되는 펌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장치는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수동 펌프의 경우, 분무는 구동력의 인가 정도에 따른 변동으로 대개 최적의 특성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수동 펌프 대신 가압 에어로졸 캐니스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품의 개수가 증가되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사용 연한이 짧으며, 일회성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비강 내 도포와 구강 내 도포를 위한 전용 분무 장치가 각각 별개의 제품으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상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각 용도에 맞게 사용하기 위해 분무 노즐 등을 교환하는 경우에도 교환상의 불편, 약액이 넓게 도포되지 않는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6376호 (2012.09.2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548호 (2017.09.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560호 (2015.10.3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246845호 (2013.03.18.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강 내 도포 및 비강 내 도포를 단일 장치를 통해 구현하되,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더라도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분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가격 경쟁력과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약액의 보충이 용이하고, 각 구성 부품의 교체나 교환이 편리하여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분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약액에 대한 분무가 일정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분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약액이 수용되는 용기부;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약액이 흡입되어 사용자의 구강으로 분무되는 구강분무부; 및 상기 구강분무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구강분무부를 통해 날숨을 제공하면 약액이 사용자의 비강으로 분무되는 비강분무부;를 포함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강분무부는 단부가 사용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부의 어느 일 외측에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호흡관; 및 일단이 상기 호흡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호흡관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들숨이나 날숨에 의한 공기가 강제 유출입되게 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는 제1스트로우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강분무부는 상기 호흡관과 이격 배치되며, 일 단부가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 밀착되는 형상의 원추분사관; 및 일단이 상기 원추분사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호흡관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상기 용기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원추분사관을 통해 강제 유입되어 상기 용기부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도되게 하고, 상기 호흡관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상기 용기부 내의 상측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강제 유입되어 상기 원추분사관 방향으로 유도되게 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스트로우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는 상면에 약액이 공급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하측부가 상기 용기본체와 밀폐 결합되고, 상측부 상단에는 상기 구강분무부와 상기 비강분무부가 각각 배치되도록 서로 각도를 달리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용기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우관 및 상기 제2스트로우관이 각각 끼움 결합되게 하는 끼움홈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트로우관과 상기 제2스트로우관은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우관 및 상기 제2스트로우관 사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격벽;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는 사용자가 구강 내 도포를 위해 들숨을 들이쉬고, 비강 내 도포를 위해 날숨을 내쉬면 약액이 분무 형태로 각 부위에 넓게 도포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신규한 구조와 이에 적용되는 원리에 의한다. 그 결과, 제품의 가격 경쟁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늘고 긴 형태의 제1스트로우관과 제2스트로우관에 공기가 강제 유출입되는 통공을 형성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약액을 분무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스트로우관과 제2스트로우관의 배치 방향을 조절하거나 그 사이에 격벽을 더 추가하여 일정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가 분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약액의 보충이 용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제1스트로우관이나 제2스트로우관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관리 등의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방향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 방향 일부 단면도.
도 10은 비강 내 도포를 위한 분무 장치의 사용 개념도.
도 11은 구강 내 도포를 위한 분무 장치의 사용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는 사용자의 날숨이나 들숨을 이용하여 공기와 약액을 서로 혼합시킨 후 이를 분무 형태로 변환하여 분사하는 방법으로 구강과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무 장치는 용기부(10), 구강분무부(20), 비강분무부(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기부(10)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강분무부(20)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약액이 사용자의 구강 안쪽으로 분무되도록 한다. 그리고, 비강분무부(30)는 구강분무부(20)에서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가 구강분무부(20)를 통해 날숨을 제공하면 약액이 사용자의 비강 안쪽으로 분무되도록 한다. 이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부(10)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밀봉, 밀폐 등이 용이하게 단일 몸체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용기부(10)를 심하게 흔들거나 눕히더라도 용기부(10) 외부로 약액이 누수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부(10)는 정면에서 이를 바라볼 때, 사용자가 핸드헬드(handheld)하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다각형 구조를 갖는다. 이 때, 바닥면은 평평한 표면에 직립 가능하도록 평평하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부면에는 구강분무부(20)와 비강분무부(30)의 효과적인 배치를 위해 경사면(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경사면(15)은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갖는 제1경사면(15a)과 제2경사면(1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15)에는 구강분무부(20)와 비강분무부(30)가 용기부를 각각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부(10)의 외측면은 사용자의 그립감 향상을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의 내측면은 약액의 장기간 보관에 용이하며, 쉽게 변질되지 않도록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강분무부(20)는 호흡관(22)과 제1스트로우관(24)이 결합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호흡관(22)은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으로 내부는 중공되어 사용자의 날숨이나 들숨에 의한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호흡관(22)은 그 단부가 사용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면 사용자가 입을 오므려 물기 쉽도록 횡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런, 호흡관(22)은 용기부(10)의 어느 일 외측에 용기부(10)의 바닥면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호흡관(22)은 용기부(10)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일 경사면(15)에 연통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부착된다.
제1스트로우관(24)은 길고 가늘며,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 때, 제1스트로우관(24)의 일단은 호흡관(22)과 연통되도록 용기부(10)의 연통공을 관통하여 호흡관(22)의 중공을 따라 삽관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스트로우관(24)의 타측은 용기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이 때, 타측 타단은 약액 내에 잠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로우관(24)은 호흡관(22)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용기부(10)의 바닥면 측 코너를 향한다.
한편, 제1스트로우관(24)에는 호흡관(22)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들숨이나 날숨에 의한 공기가 강제 유출입되게 하는 제1통공(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공(25)은 제1스트로우관(24)의 어느 일 외주면을 내측으로 비스듬히 커팅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통공(25)은 제1스트로우관(24)의 일단이 호흡관(22)과 연통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부(10)의 제1경사면(15a) 내측벽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비강분무부(30)는 원추분사관(32)과 제2스트로우관(34)이 결합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원추분사관(32)은 호흡관(22)과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원추분사관(32)은 내부가 관 형태로 중공되어 약액이나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 역할을 한다. 또한, 원추분사관(32)은 일 단부가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원추분사관(32)은 사용자의 콧구멍 크기에 따라 그 삽입되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제2스트로우관(34)은 제1스트로우관(24)과 동일,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설계 변경에 따라 치수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2스트로우관(34)은 일단이 원추분사관(32)과 연통되게 원추분사관(32)의 중공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관되어 고정 결합된다. 또한, 타측이 용기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어 타측 타단은 제1스트로우관(24)과 유사하게 용기부(10)의 바닥면 측 코너를 향하게 된다.
제2스트로우관(34)은 호흡관(22)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용기부(10) 외부의 공기가 원추분사관(32)을 통해 강제 유입되어 용기부(10)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도되게 한다. 한편, 제2스트로우관(34)에는 호흡관(22)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용기부(10) 내의 상측 빈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강제 유입되어 원추분사관(32) 방향으로 유도되게 하는 제2통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통공(35)은 제1통공(25)과 마찬가지로 제2스트로우관(34)의 어느 일 외주면을 내측으로 비스듬히 커팅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통공(35)은 제2스트로우관(34)의 일단이 원추분사관(32)과 연통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부(10)의 제2경사면(15b) 내측벽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스트로우관(24)과 제2스트로우관(34)은 제1통공(25)과 제2통공(35)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제1통공(25)을 거쳐 용기부(10)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통공(35)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즉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 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는 용기부(10), 구강분무부(20), 비강분무부(30) 등을 포함한다.
용기부(10)는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용기본체(12)와 용기캡부(14)를 포함한다. 즉, 용기부(10)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하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분리나 결합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이와 같이, 용기부(1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면 약액의 보충이 용이하여 분무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스트로우관(24)이나 제2스트로우관(34)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관리 등이 편리하다.
용기본체(12)는 유리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 때, 용기본체(12)의 상면에는 약액이 공급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투입구(13)는 용기본체(12)의 상면에서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체결면의 개구일 수 있다.
용기캡부(14)는 크게 하측부와 상측부로 구분될 수 있고, 하측부는 용기본체(12)와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원통체결면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용기캡부(14)의 하측부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용기캡부(14)의 상측부 상단에는 구강분무부(20)와 비강분무부(30)가 각각 배치되는 경사면(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사면(15)은 경사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제1경사면(15a), 제2경사면(15b) 및 제1경사면(15a)과 제2경사면(15b) 사이의 단차를 제거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경사면(15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강분무부(20)는 호흡관(22)과 제1스트로우관(24)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호흡관(22)과 제1스트로우관(24)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 이미 상술한 바, 동일하게 반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이하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 구강분무부(20)는 제1스트로우관(24)의 일단이 호흡관(22)과 연통되는 방식에서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용기캡부(14)의 경사면(15) 내측면에는 제1스트로우관(24)이 끼움 결합되게 하는 끼움홈돌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끼움홈돌부(16)는 제1경사면(15a)의 내측면에 연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끼움홈돌부(16)에 결합되는 제1스트로우관(24)은 용기본체(12)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호흡관(22)과 제1스트로우관(24)을 연결하는 부위에서 유로는 절곡되어 그 흐름 방향이 달라진다. 이 때, 호흡관(22)과 제1스트로우관(24)를 연결하는 부위에는 소정의 연결공간(17)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용기캡부(14)의 경사면(15) 내측면에는 제2스트로우관(34)이 끼움 결합되게 하는 끼움홈돌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원추분사관(32)과 제2스트로우관(34)을 연결하는 부위에서 유로는 절곡되어 그 흐름 방향이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원추분사관(32)과 제2스트로우관(34)를 연결하는 부위에는 소정의 연결공간(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스트로우관(24)과 제2스트로우관(34)은 제1통공(25)과 제2통공(35)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제1통공(25)과 제2통공(35)은 제1스트로우관(24)과 제2스트로우관(34)이 끼움홈돌부(16)에 각각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단차가 발생하도록 그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제1통공(25)을 거쳐 용기부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통공(35)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바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스트로우관(24)과 제2스트로우관(34)의 타측 단부는 용기본체(12)의 바닥면에서 동일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Ⅸ' 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되, 용기캡부(14)에 격벽(18)이 더 추가되어 있을 뿐이다. 이런 격벽(18)은 예를 들어, 용기캡부(14)의 상측부 상단을 구성하는 연결경사면(15c)의 내측면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격벽(18)은 제1스트로우관(24) 및 제2스트로우관(34) 사이 공간을 가로지를 수 있다. 그 결과, 공기는 격벽(18)에 의해 차단되어 제1통공(25)과 제2통공(35) 사이를 바로 직접 흐를 수 없게 된다.
이 때, 격벽(18)은 용기본체(1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스트로우관(24) 및 제2스트로우관(34)과 동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날숨이나 들숨에 의한 영향은 격벽(18)에 의해 차단되어 약액이 제1스트로우관(24)과 제2스트로우관(34) 사이에서 직접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살펴 본 것처럼,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는 사용자가 구강 내 도포를 위해 들숨을 들이쉬고, 비강 내 도포를 위해 날숨을 내쉬면 약액이 분무 형태로 각 부위에 넓게 도포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종래와 차별화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가격 경쟁력과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분무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비강 내 도포를 위한 분무 장치의 사용 개념도이고, 도 11은 구강 내 도포를 위한 분무 장치의 사용 개념도이다.
먼저, 비강 내 도포법을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비강분무부(30)의 단부 즉, 원추분사관(32)이 콧구멍에 밀착되도록 삽입하고, 구강분무부(20)의 단부 즉, 호흡관(22)을 입 안으로 삽입하여 문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날숨을 내쉬어 입 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호흡관(22)을 통해 용기부(10) 측으로 불어 넣는다. 이 때, 날숨의 대부분은 호흡관(22), 제1스트로우관(24)의 타측 단부를 거쳐 토출되어 용기부(10) 내에 수용된 약액이 제2스트로우관(34)으로 유입되어 원추분사관(32)을 통해 유출되도록 한다. 한편, 날숨의 나머지는 제1통공(25)을 통해 용기부(10) 상측 내부 빈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는 제2통공(35)을 통해 공기가 제2스트로우관(34)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 결과, 제2스트로우관(34)을 통해 이송되는 약액은 제2통공(35)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고, 원추분사관(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원추분사관(32)을 통해 비강으로 분출되는 혼합액은 내외부의 압력의 차이 등으로 인해 넓게 분무된다.
다음, 구강 내 도포법을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구강분무부(20)의 단부 즉, 호흡관(22)을 입 안으로 삽입하여 문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들숨을 내쉬어 입 안으로 공기를 들이 마쉰다. 마쉬는 순간, 약액은 입 안으로 분무된다. 이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약액이 제1스트로우관(24)을 통해 유입됨과 동시에 용기부(10)의 외부 공기 또한 원추분사관(32)을 통해 유입되고 제2통공(35)을 통해 용기부(10)의 상측 내부 공간으로 토출됨에 따라 용기부(10)의 상측 빈 공간의 공기 중 일부가 제1통공(25)을 통해 제1스트로우관(24)으로 유입되어 약액과 혼합되는 현상에 기인한다. 이 때, 호흡관(22)을 통해 구강으로 분출되는 혼합액은 내외부의 압력의 차이 등으로 인해 넓게 분무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용기부 20: 구강분무부
30: 비강분무부 22: 호흡관
24: 제1스트로우관 32: 원추분사관
34: 제2스트로우관 12: 용기본체
13: 투입구 14: 용기캡부
15: 경사면 16: 끼움홈돌부
18: 격벽

Claims (7)

  1. 약액이 수용되는 용기부;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약액이 흡입되어 사용자의 구강으로 분무되는 구강분무부; 및
    상기 구강분무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구강분무부를 통해 날숨을 제공하면 약액이 사용자의 비강으로 분무되는 비강분무부;를 포함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분무부는
    단부가 사용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부의 어느 일 외측에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호흡관; 및
    일단이 상기 호흡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호흡관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들숨이나 날숨에 의한 공기가 강제 유출입되게 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는 제1스트로우관;를 포함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분무부는
    상기 호흡관과 이격 배치되며, 일 단부가 사용자의 콧구멍에 삽입 밀착되는 형상의 원추분사관; 및
    일단이 상기 원추분사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호흡관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상기 용기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원추분사관을 통해 강제 유입되어 상기 용기부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도되게 하고, 상기 호흡관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상기 용기부 내의 상측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강제 유입되어 상기 원추분사관 방향으로 유도되게 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스트로우관;를 포함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면에 약액이 공급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하측부가 상기 용기본체와 밀폐 결합되고, 상측부 상단에는 상기 구강분무부와 상기 비강분무부가 각각 배치되도록 서로 각도를 달리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용기캡부;를 포함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우관 및 상기 제2스트로우관이 각각 끼움 결합되게 하는 끼움홈돌부가 형성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로우관과 상기 제2스트로우관은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우관 및 상기 제2스트로우관 사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격벽;이 더 형성되는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KR1020180045519A 2018-04-19 2018-04-19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KR10213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9A KR102138725B1 (ko) 2018-04-19 2018-04-19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9A KR102138725B1 (ko) 2018-04-19 2018-04-19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74A true KR20190121974A (ko) 2019-10-29
KR102138725B1 KR102138725B1 (ko) 2020-07-28

Family

ID=6842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19A KR102138725B1 (ko) 2018-04-19 2018-04-19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1479B1 (en) * 2022-02-01 2023-07-18 Green Sky Creation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cannabinoid mixture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177A (ko) * 2005-06-27 2008-03-19 코스 라이프 싸이언시즈, 인크. 호흡 작동식 약물 전달 시스템과 전달 방법
KR20120106376A (ko) 2011-03-18 2012-09-26 박지용 비강세척 용기
KR101246845B1 (ko) 2011-03-18 2013-03-25 박지용 비강세척 용기
US20130180524A1 (en) * 2010-09-02 2013-07-18 Sipnose Ltd. Nasal delivary device
KR101324023B1 (ko) * 2004-09-15 2013-11-01 옵티노즈 에이에스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KR101547502B1 (ko) * 2007-10-03 2015-08-26 옵티노즈 에이에스 코를 통한 전달 장치
KR101566560B1 (ko) 2007-03-06 2015-11-05 라이노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코 세척 장치
KR101782548B1 (ko) 2017-08-07 2017-09-27 임금빈 비강 세척용기
JP6264368B2 (ja) * 2012-04-20 2018-01-24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鼻腔洗浄水の噴射容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23B1 (ko) * 2004-09-15 2013-11-01 옵티노즈 에이에스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KR20080025177A (ko) * 2005-06-27 2008-03-19 코스 라이프 싸이언시즈, 인크. 호흡 작동식 약물 전달 시스템과 전달 방법
KR101566560B1 (ko) 2007-03-06 2015-11-05 라이노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코 세척 장치
KR101547502B1 (ko) * 2007-10-03 2015-08-26 옵티노즈 에이에스 코를 통한 전달 장치
US20130180524A1 (en) * 2010-09-02 2013-07-18 Sipnose Ltd. Nasal delivary device
KR20120106376A (ko) 2011-03-18 2012-09-26 박지용 비강세척 용기
KR101246845B1 (ko) 2011-03-18 2013-03-25 박지용 비강세척 용기
JP6264368B2 (ja) * 2012-04-20 2018-01-24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鼻腔洗浄水の噴射容器
KR101782548B1 (ko) 2017-08-07 2017-09-27 임금빈 비강 세척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1479B1 (en) * 2022-02-01 2023-07-18 Green Sky Creation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cannabinoid mix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725B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776B2 (en) Nebulizer breathing system
US11413407B2 (en) Aerosol delivery device
JP5118290B2 (ja) 補助入口ポート付きネブライザ
US2266706A (en) Nasal atomizing inhaler and dropper
EP0957960B1 (en) Breathing circuit apparatus for a nebulizer
US5170782A (en) Medicament nebulizer with improved aerosol chamber
US10137260B2 (en) Nebulizer kit and nebulizer
US7047968B2 (en) Device for generating a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device)
KR102660867B1 (ko) 에어로졸 전달 장치
US20090050138A1 (en) Inhaler
US20190314584A1 (en) Internal Nebulizer Seal and Method of Use
KR20190121974A (ko)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EP3441097B1 (en) Nebulizer for aerosolizing a liquid with a detachable cover including a valve system
EP3441098B1 (en) Nebulizer for aerosoltherapy made of sub-units detachably secured together
US20190111223A1 (en) Device for medical breathing treatment
US8439030B2 (en) Nebulizer device
WO2007068341A1 (en) A mask for aerosol therapy
ITBS20030075U1 (it) Ampolla nebulizzatrice con abbattitore di particelle grossolane del ne bulizzato
EP3459577B1 (en) Nebulizer for aerosolizing a drug solution with an inner flared-out structure limiting the aerosol waste
US11998684B2 (en) Dosing system for a nebulizer
KR20200098188A (ko) 다기능 상기도 분무 장치
EP3721928B1 (en) Nebulizer for aerosolizing a liquid with comfortable nose piece
EP3641863B1 (en) Dosing system for an inhalation device,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for dosing liquid to an inhalation device
KR20240041082A (ko) 약액 카트리지 및 휴대용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JPH057246U (ja) 吸入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