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502B1 - 코를 통한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코를 통한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502B1
KR101547502B1 KR1020107009821A KR20107009821A KR101547502B1 KR 101547502 B1 KR101547502 B1 KR 101547502B1 KR 1020107009821 A KR1020107009821 A KR 1020107009821A KR 20107009821 A KR20107009821 A KR 20107009821A KR 101547502 B1 KR101547502 B1 KR 10154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delivery device
supply unit
substance
mater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478A (ko
Inventor
퍼 지젤 듀페슬랜드
콜린 데이비드 쉘드레이크
Original Assignee
옵티노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노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옵티노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6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61M15/001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located upstream of the dispenser, i.e. not traversed by the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8Activated by ex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61M11/08Pocket atomiser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5Preventing manual activation in absence of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75Mechanical
    • A61M2205/8281Mechanical spring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코를 통한 전달 장치 및 대상의 코의 기도로 물질을 운반하는 방법으로, 코를 통한 전달 장치는 대상의 구강인두 연막의 닫힘이 일어나게 대상이 사용시 내쉬는 숨이 통과하는 마우스 피스 (519); 코의 기도로 전달되기 위하여 사용된 물질이 통과하는 노즐 (549) 을 포함하며 대상의 콧구멍에 맞추기 위한 노우즈 피스(517); 및 노우즈 피스의 노즐을 통하여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수동 작동 물질 공급 유닛 (52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를 통한 전달 장치{NASAL DELIVERY DEVICES}
본 발명은 코를 통한 전달 장치, 그리고 물질을 운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의 한가지로서, 또한 서스펜션 (현탁액) 혹은 용액 혹은 약제를 함유한 파우더로서, 코의 기도에 대한 특히 전신 또는 국소의 약제 혹은 백신을 전달하는 것이다.
도 15 와 관련하여, 코의 기도 (1) 는 비중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비강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도 (1) 는 부비강 소공 (3) 과 나팔관 소공 (5) 과 같은 많은 소공과 후세포를 포함하고 있으며, 코의 점막에 의해 늘어서 있다. 코의 기도 (1) 는 비인두 (7) 과 구강 (9) 그리고 하부 기도 (11) 와 연통하며, 코의 기도 (1) 는 비인두 (7) 의 앞쪽지역, 구강인두 (oropharyngeal) 연막 (13) 의 개폐에 의하여 구강 (9) 과 선택적 연통을 하고 있다. 연막 (13) 은 종종 연구개로 언급되며, 이는 구강 (9) 을 통해 숨내쉼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같은, 구강 (9) 에 소정의 정압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지듯이, 닫힌 위치에서는 실선으로 그려져 있으며, 열림 위치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치료를 요하는 많은 코의 상태들이 있다. 그러한 한가지 사례는 코의 염증 특히 비염은 알레르기성인지 비알레르기성 질환이든 간에 종종 감염과 연계되어 있고 정상적인 코의 기능을 방해한다. 예로서, 코의 기도의 알레르기성 혹은 비 알레르기성 염증은 코 선반의 발기성 조직의 코막힘과 함께, 눈물흘림 (lacrimation), 물기가 많은 점액의 분비, 재채기, 그리고 가장 흔한 증상인 가려움으로 인구 중 10퍼센트와 20퍼센트 사이에서 전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해되듯이, 코막힘은 코의 호흡을 지연시키고 입으로의 숨쉬기를 촉진시키며 코골이 및 수면장애를 이끈다. 다른 코의 상태로는 부비연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코의 폴립 (비강내에 생기는 작은 덩어리), 비대성의 아데노이드 (인두편도) 그리고 중이염, 부비강 질환 그리고 감소된 후각 작용을 포함한다.
특정한 코 상태의 치료에서 국부의 의약 투여는 선호되며, 특히 코 막힘을 치료하거나 경감시키는 경우에 코의 점막이 주된 병리학적인 경로인 곳에서 그러하다. 보통 흔하게 국소적으로 전달된 약제는 충혈 완화제, 항스타민제 (알레르기 치료제), 크로모글리케이트 (cromoglycates), 스테로이드, 항생제를 포함한다. 현재, 항염증제로 잘 알려진 약제 중에서 국부적 스테로이드는 코막힘에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부적 충혈 완화제는 코막힘을 경감시키는 용도로 추천되고 있다. 국부적 충혈 완화제, 스테로이드, 그리고 항 미생물체를 통한 비대성 아데노이드, 만성적인 분비기관의 이염 매체의 치료는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제안되고 있다. 게다가 국부적 약제의 투여는 비인두, 부비강 (paranasal) 부인강, 그리고 이관의 앞쪽 부분에 위치한 염증과 같은 염증증상을 치료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약제는 또한 코의 경로를 통하여 전신으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코의 경로는 예를 들어 옥시토신 그리고 칼시토닌 및 빠른 전신의 흡수를 위하여 많은 혈류량 그리고 코 점막의 넓은 표면 지역에 이롭게 제공하는 항 편두통 구성물과 같은 진통제 (analgetics), 호르몬과 같은 약제의 전신 전달에 있어서 좋은 투여 경로를 제공한다.
코를 통한 전달은 작용의 빠른 시작을 요구하는, 예를 들면 진통제, 구토방지제, 인슐린, 항간질제 (antiepileptics), 진정제, 최면제 (hypnotica), 그리고 예를 들면 심혈관 약제와 같은 다른 약제들의 약 투여에 있어서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의 투여가 빠른 작용의 시작을 제공할 것이고, 투입과 비슷한 속도로서, 그리고 구강투여에 의한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작용할 것이 예상된다. 구강 투여에 이어지는 위의 상황은 작용의 시작을 더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많은 급성 상태의 치료로서 코를 통한 투여는 구강투여에 비하여 유리하다.
코롤 통한 전달은 현대의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술을 통하여 생산된 단백질과 팹티드의 약물 투여에 효과적인 전달 루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한 물질을 위하여, 장내의 신진대사, 및 간에서의 간초회통과 (first-pass-effect) 는 신뢰할 수 있고 비용 효율적인 전달에 상당한 방해물임을 나타낸다.
게다가 본 발명의 코를 통한 전달을 이용한 기술을 사용한 코에 의한 전달은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 파킨슨 병과 같은 정신 질환과 그리고 대뇌 안쪽의 감염등 현재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곳에서, 많은 보통의 신경의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임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코를 통한 전달 기술은 후각 지역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후각지역은 비강보다 높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혈액뇌관문 (blood-to-brain barrier, BBB) 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뇌척수계 (CSF) 및 뇌와 교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유일한 곳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를 통한 전달 기술은 백신의 효과적인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기대된다.
약제의 전달과는 별도로, 액체, 특히 생리 식염수를 가지는 코의 점막의 관개 (끌어들임) 가 입자들과 분비물을 제거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코의 점막의 점액 운반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통 사용된다. 이러한 해결책들은 활성 약제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약제전달을 위해서도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투여는 필수적이나, 그것은 손상 없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약물투여 범위가 좁은, 잠재적인 약재, 잠재적으로 심각한 역효과의 약제 그리고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상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를 포함하는 영향력이 강한 약제의 투여에 대해서는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 몇 가지의 상태에서 특정상황, 예를 들면 당뇨병과 같은 상황에 맞는 개별화된 투여가 필수적이다. 당뇨병에서는 사실상 많은 다른 상태에서 약제의 투여량은 가급적 실시간 측량에 기반한다. 현재 혈액 샘플들은 대게 빈번하게 사용되나 대상의 숨 내쉼에서의 분자의 분석이 여러 사례에서 혈액 분석의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숨 분석은 위궤양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 유문의 감염과 같은 증상을 진단을 위하여 현재 사용된다.
WO-A-2000/051672는 비강을 통한 양쪽 방향으로의 흐름, 즉, 코의 격막 뒤부분의 여백 근처에서 그리고 다른 콧구멍으로부터의 반대 방향에서 한쪽 콧구멍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에서 물질 전달, 특히 약제 전달용 전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양쪽 방향의 공기의 흐름은 전달을 위한 대상을 조절하고 보다 안락한 전달 상황을 제공하여 코의 점막 안에서 감각 신경을 자극하는데 이롭게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의 비강에 물질을 전달을 제공하고, 특히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인 전달 장치로서 코를 통한 전달 장치와, 코를 통한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대상이 사용할 때 숨을 내쉼이 대상의 구강인두 연막 (oropharyngeal velum) 의 닫힘을 일으키게 하는 마우스 피스; 코의 기도로 전달되기 위하여 사용된 물질이 통과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대상의 콧구멍에 맞추기 위한 노우즈 피스; 노우즈 피스의 노즐을 통하여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작동 물질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의 코의 기도에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코를 통한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를 통한 전달 장치는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는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대상의 숨내쉼으로 인하여 동작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숨에 의해 작동되는 기구이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를 비작동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에 결합되고,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래치 부재를 작동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는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서 팽창되는 팽창가능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 사이에 유체 연통로가 없는 닫힘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 시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으로 노우즈 피스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도록 열림 위치 사이에서 동작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숨내쉼으로 배출된 공기가 노우즈 피스를 통하여 운반되게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은 대상에 의하여 수동으로 눌러지게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로딩 힘(loading force)에 의해 동작 가능하며, 물질 공급 유닛을 작동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에 로딩 힘을 가하도록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로딩 기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은 전달 장치에 의해서 운반되는 물질의 용량을 제공하는 물질 보관 챔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은 물질 보관 챔버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하여, 물질 보관 챔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 부재는 각각의 위치 사이에서 피스톤 부재의 움직임으로 물질이 측정된 투여량만큼 운반되도록 각각의 다양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 부재는 몸체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피스톤 부재 중 하나와 몸체는 각 위치를 규정하는 트랙를 포함하는 트랙을 포함하며, 다른 피스톤 부재와 몸체는 피스톤 부재의 동작에 각각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트랙에 위치하는 팔로어(follow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은 두 개별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가지는 2용량 (duo-dose) 펌프 유닛이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는 제 1 및 제 2 챔버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챔버 각각은 전달 장치에 의해서 운반되기 위한 재조합 물질을 제공하도록 재조합의 물질 구성이 제공되며, 각각의 물질 구성을 따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는 전달 장치에 의하여 운반되기 위한 재조합 물질을 제공하는 물질 구성의 재조합 물질을 깨졌을 때 제공하도록 제 1 및 제 2 챔버를 통상적으로 분리하는 취약 부재(frangible member)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파괴 부재를 포함하며, 이는 하우징에 물질 보관 챔버에 들어맞아 취약 부재를 깨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은 파우더 물질의 운반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은 액체 물질의 운반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물질은 에어로졸 (연무제) 로서 전달된다.
한 실시예에서, 물질은 제트로서 전달된다.
한 실시예에서, 노우즈 피스는 대상의 콧구멍과 타이트한 실링 조임을 제공하는 실링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의 콧구멍에 끼워지며, 물질이 통과하여 운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노우즈 피스, 노우즈 피스의 노즐을 통하여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작동 물질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대상의 콧구멍에 노우즈 피스를 맞추는 단계; 대상의 코의 기도에 물질을 하게 물질 공급 유닛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코의 기도에 물질을 운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노우즈 피스의 끼우는 단계는 대상의 콧구멍을 활용하여 노우즈 피스가 밀봉되도록 대상의 콧구멍에 노우즈 피스를 끼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대상의 구강인두 연막을 닫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며, 구강인두 연막을 단든 단계는 대상의 구강인두 연막을 닫도록 마우스 피스를 통하여 대상이 숨을 내쉬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 사이에 유체 연통로가 없는 닫힘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 시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으로 노우즈 피스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도록 열림 위치 사이에서 동작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는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대상의 숨내쉼으로 인하여 동작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숨에 의해 작동되는 기구이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를 비작동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에 결합되고,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래치 부재를 작동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는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서 팽창되는 팽창가능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물질 구성으로부터 물질을 재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대상의 코의 기도로 물질을 운반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마우스 피스; 노우즈 피스는 코의 기도로 전달되기 위하여 사용된 물질이 통과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대상의 콧구멍에 맞추기 위한 노우즈 피스;, 노우즈 피스의 노즐을 통하여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작동 물질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이하의 참고용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를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를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은 도 7 의 전달 장치의 유량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도 9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례로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례로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 는 인간 대상의 상부 호흡기관의 관의 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 ~1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작동 숨내쉼 작동의 코를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15) 을 포함하고, 대상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17), 마우스 피스 (19), 대상이 사용 시 마우스 피스를 통하여 숨을 내쉼, 대상의 비강에 물질을 운반 시 수동적으로 작동하는 물질 공급 유닛 (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15) 은 몸체 (21),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 부 및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있는 비작동 위치와, 도 1b 에서와 같이, 물질 공급 유닛 (20) 이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를 포함한다.
래치 기구 (23) 는 몸체 (21) 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힌지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래치 부재 (27), 비작동 위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안쪽 위치) 에 래치 부재 (27) 를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 요소 (29,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 요소) 및 래치 부재에 결합되고,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요소 (29) 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래치 부재 (27) 를 작동 위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바깥쪽 위치) 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요소 (31) 를 포함하며, 작동 위치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의 작동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래치 부재 (27) 는 후방에 대면하는 요소로 물질 공급 유닛 (20) 의 대응 멈춤쇠 (57) 에 맞물려 작동하며, 래치 부재 (27)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동작을 방지하며, 래치 부재 (27)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 공급 유닛 (20) 의 대응 멈춤쇠 (27) 로부터 빠져나오는 멈춤쇠 (33)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 (31) 는 팽창가능한, 신축적이며 탄력있는 요소인 것을 포함하며, 그것은 마우스 피스 (19) 로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팽창되며, 래치 부재 (27) 가 물질 공급 유닛 (20) 의 작동이 가능한 열림 위치로 움직이는 것에 작동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대상이 마우스 피스 (19) 를 통하여 숨을 내쉬어 래치 부재 (27) 를 물질 공급 유닛 (20) 이 작동 가능한 열림 위치로 충분히 변위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 요소 (31) 는 래치 부재 (27) 를 열림 위치로 움직이게 마우스 피스 (19) 에 소정 압력을 발생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상의 연막의 닫힘이 물질 공급 유닛 (20) 의 작동 전에 확보된다.
노우즈 피스 (17) 는 몸체 (41) 를 포함하며, 이는 노우즈 피스 (17) 를 대상의 코의 비강 및 마우스 피스 (19) 와 유체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45) 로 안내하는 외부 가이드 표면 (43, 이 실시예에서 전형에서 절두 원추 요소) 을 규정하며, 공기 흐름은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대상의 마우스 피스 (19) 를 통한 숨내쉼으로 전달되며, 아웃렛 유닛 (47) 은 운반 채널 (45) 안에 위치하는 대상의 코의 기도로 물질을 운반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47) 은 대상의 코의 기도로 물질을 운반하는 노즐 (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49) 은 운반 채널 (45) 안에서 동축으로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아웃렛 유닛 (47) 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물질 보관 챔버 (51), 물질 보관 챔버 (51) 로부터 아웃렛 유닛 (47) 및 그의 노즐 (49, 이 실시예에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로 물질을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액추에이터 (53)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53) 는 피스톤 요소 (54), 액추에이팅 부재 (55, 여기서는 버튼 형상) 를 포함하며, 피스톤 요소는 물질 보관 챔버 (51)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액추에이팅 부재는 피스톤 부재 (54) 와 연결되고, 수동적으로 작동가능하며, 여기서는 대상에 의해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을 작동시키기 위해 손가락 혹은 엄지로 누르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팅 부재 (55) 는 전방을 대면하는 표면으로 래치 부재 (27) 가 닫혀 비작동 위치일 때, 래치 부재 (27) 의 멈춤쇠 (33) 와 맞물려 작동할 수 있으며, 물질 공급 유닛 (20) 의 작동을 막는 멈춤쇠 (57) 및 바깥 후방 쪽으로 펼쳐지는 면으로 물질 공급 유닛 (20) 의 작동의 시작에 따라서 열림 위치에서 래치 부재 (27) 를 유지하는 맞춤 면 (5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단일 투여 유닛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두 가지 혹은 복수의 측량된 물질의 투여량을 운반하기 위하여 2용량 혹은 다용량 유닛이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작동 시에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기계적 운반 펌프, 특히 액체 운반 펌프 혹은 파우더 운반 펌프를 포함한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건조된 파우더로서 그것의 작동 시에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그것의 작동 시에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 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작동하는 코의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1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117), 마우스 피스 (1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1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수동적으로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1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115) 는 몸체 (121), 이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신장된 관형 부를 포함하며, 관형 부는 그 단부에 구멍 (123) 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물질 공급 유닛 (120, 이 실시예에서는 물질 보관 챔버 (151) 의 기부로서 규정됨) 의 작동부가 돌출된다.
하우징 (115) 은 마우스 피스 (119) 와 노우즈 피스 (117) 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물질 공급 유닛 (1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117) 를 통하여 공기 흐름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출) 을 제공하도록, 도 2c 및 2d 에 도시되어 있는 닫힘 및 열림 위치에서 동작이 가능한 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이하에서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밸브 어셈블리 (125) 는 도 2c 및 2d 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주 몸체 (127) 및 닫힘 및 열림 위치에서 몸체 (127)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밸브 요소 (129) 를 포함한다.
몸체 (127) 는 그 안에 밸브 요소 (129) 가 배치된 밸브부 (131, 이 실시예에서 관형부), 및 밸브부 (131) 의 하류이며 노우즈 피스 (117) 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안쪽 플레어링 전방부 (133, 이 실시예에서 안쪽으로 테이퍼된 부분) 를 포함한다.
몸체 (127) 의 밸브부 (131) 및 밸브 요소 (129) 는 각각 밸브 구멍 (137,139) 을 포함하며, 이는 밸브 요소 (129)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도 2d 에 도시되어 있듯이 밸브 요소 (129)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노우즈 피스 (117) 는 노우즈 피스 (1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143) 을 규정하는 몸체부 (141), 마우스 피스 (1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119) 와 유체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14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14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14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14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1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149) 은 운반 채널 (14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1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1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1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120) 은 물질 공급 유닛 (120) 의 작동부로서 하우징에서 구멍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물질을 보관하는 물질 보관 챔버 (151), 및 물질 보관 챔버 (151) 를 일반적으로 대상의 손가락 혹은 엄지로 누름으로써 작동할 수 있으며 물질 보관 챔버 (151) 로부터 아웃렛 유닛 (147) 및 그의 노즐 (149), 여기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측정된 물질 투여량을 운반하는 기계적 운반 펌프 (153)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151) 는 밸브 어셈블리 (125) 의 밸브 요소 (129) 에 물질 공급 유닛 (120) 의 작동과 동시에 그와 함께 움직이도록 연결되며, 밸브 어셈블리 (125) 의 개구, 여기서는 스프레이, 그에 의한 물질 및 공기 흐름, 여기서는 공기 분출,은 대상의 비강으로 동시에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153) 는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액체 운반 펌프이나 변형례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153) 는 작동 시에 파우더화된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파우더 운반 펌프가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120) 은 연속적인 운반 작동에서 물질의 다양하게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다용량 유닛이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1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화된 투여량의 전달을 위한 단일 투여 유닛 혹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달에서 작동 시 물질의 2개의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2용량 유닛이 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120) 은 작동 시에 건조된 파우더로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120) 은 작동 시에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물질의 측량환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1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 e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2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217), 마우스 피스 (2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2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220), 및 로딩 힘에 의해 동작 가능하며, 물질 공급 유닛을 작동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에 로딩 힘을 가하도록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로딩 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 (215) 는 몸체 (223),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 부 및 마우스 피스 (219) 와 노우즈 피스 (217) 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물질 공급 유닛 (2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217) 를 통하여 공기 흐름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출) 을 제공하도록 도 3c 및 3e 에 도시되어 있는 닫힘 및 열림 위치에서 동작이 가능한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몸체 (223) 는 준비 위치일 때, 로딩 기구 (221) 의 로딩 부재 (259) 를 래칭하는 래치 요소 (224, 이 실시예에서 멈춤쇠) 를 포함하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밸브 어셈블리 (225) 는 도3c 및 3e 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주 몸체 (227) 및 닫힘 및 열림 위치에서 몸체 (227)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밸브 요소 (229) 를 포함한다.
몸체 (227) 는 그 안에 밸브 요소 (229) 가 배치된 밸브부 (231, 이 실시예에서 관형부), 및 밸브부 (231) 의 하류이며 노우즈 피스 (217) 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안쪽 플레어링 전방부 (233, 이 실시예에서 안쪽으로 테이퍼된 부분) 를 포함한다.
몸체 (227) 의 밸브부 (231) 및 밸브 요소 (229) 는 각각 밸브 구멍 (237,239) 을 포함하며, 이는 밸브 요소 (129)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도 3e 에 도시되어 있듯이 밸브 요소 (229)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노우즈 피스 (217) 는 노우즈 피스 (2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243) 을 규정하는 몸체부 (241), 마우스 피스 (2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219) 와 유동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24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14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24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24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2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249) 은 운반 채널 (24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2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2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2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220) 은 하우징 (215) 의 몸체 (223) 안에 배치되며 물질을 보관하는 물질 보관 챔버 (251), 및 물질 보관 챔버 (251) 를 일반적으로 대상의 손가락 혹은 엄지로 누름으로써 작동할 수 있으며 물질 보관 챔버 (251) 로부터 아웃렛 유닛 (247) 및 그의 노즐 (249), 여기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측정된 물질 투여량을 운반하는 기계적 운반 펌프 (253) 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251) 는 밸브 어셈블리 (225) 의 밸브 요소 (229) 에 물질 공급 유닛 (220) 의 작동과 동시에 그와 함께 움직이도록 연결되며, 여기서는 스프레이인 밸브 어셈블리 (225) 의 개구, 그에 의한 물질 및 공기 흐름, 여기서는 공기 분출, 은 대상의 비강으로 동시에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253) 는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액체 운반 펌프이나 변형례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253) 는 작동 시에 파우더화된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파우더 운반 펌프가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220) 은 연속적인 운반 작동에서 물질의 다양하게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다용량 유닛이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화된 투여량의 전달을 위한 단일 투여 유닛 혹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달에서 작동 시에 물질의 2개의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2용량 유닛이 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20) 은 작동 시에 건조된 파우더로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20) 은 작동 시에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물질의 측량환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2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 기구 (221) 는 운반 힘을 가지고 로드되는 구동 부재 (255), 로드될 때, 구동 부재 (255) 에 운반 힘을 가하는 바이어싱 요소 (257, 이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로 여기서는 압축 스프링), 운반 힘을 제공하도록 바이어싱 요소 (257) 를 로드하도록 수동적으로 작동가능한 로딩 부재 (259) 및 바이어싱 요소 (257) 의 바이어스 하에서 구동 부재 (255) 를 해제하도록 수동적으로 작동가능한 액추에이팅 부재 (261) 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팅 부재 (261) 는 어떤 편리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환자 설명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예에서, 개선된 운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우즈 피스 (217) 에 대하여 콧구멍 입구의 네어 (nare) 을 고정시키거나 밀어넣는데 집게 손가락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팅 부재 (261) 는 대상의 엄지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부재 (255) 는 하우징 (215) 에서 래치 요소 (224) 의 대응품인 래치 요소 (263), 여기서는 멈춤쇠를 포함하며,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래치된 위치에서 구동 요소 (255) 를 보통 래치하며, 액추에이팅 부재 (261) 의 수동 동작에 의하여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작동 위치로 해제하도록 래치 요소 (224, 263) 가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로딩 부재 (259) 는 한번에 더 낮은 그 끝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엄지에 의하여 바이어싱 요소 (257) 를 로딩하는 로딩 버튼 (267) 을 포함하며, 이는 도 3c의 제 1의 언로딩 위치로부터 도 3d의 제 2의 로딩된 위치로 움직인다.
이 실시예에서 로딩 부재 (259) 는 로딩된 위치에서 로딩 부재 (259) 를 래치하도록 작동하여 구동 부재 (255) 에 대항하여 바이어싱 요소 (257) 를 로딩 상태로 유지시키는 멈춤쇠 (269), 여기서는 바깥방향을 향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팅 부재 (261) 은 대상의 손가락 혹은 엄지로 대상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액추에이팅 버튼 (271), 액추에이팅 버튼 (271) 에 연결되며, 하우징 (215) 의 래칭 부재 (224) 와 함께 맞물린 래칭으로부터 구동 부재 (255) 의 래칭 요소 (224) 를 변위시켜,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된 위치로부터 도 3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위치로 구동 부재 (255) 를 해제하는 작동 요소 (273, 이 실시예에서는 핀) 를 포함하며, 여기서, 구동 부재 (255) 는 물질 공급 유닛 (220) 을 작동하도록 구동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물질 보관 챔버 (251) 의 변위에 의해서 아웃렛 유닛 (247) 으로 물질의 투여량을 노즐 (249, 이 실시예에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로부터 운반한다.
도 4a 및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3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317), 마우스 피스 (3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3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3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315) 은 물질 공급 유닛 (320) 을 수용하며, 그 끝단에 구멍 (323) 을 포함하며, 그를 통하여 물질 공급 유닛 (320,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351) 의 기부로 규정됨) 의 작동부가 돌출되는 몸체 (321),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부, 를 포함한다.
몸체 (321) 는 마우스 피스 (319) 와 액체 유동이 있는 인렛 (325) 과 노우즈 피스 (317) 와 액체 유동이 있는 아웃렛 (327) 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 (315) 은 이 실시예에서 고리모양 립 시일인 실링 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몸체 (321) 의 내측 원주부에 배치되어 물질 보관 챔버 (351) 에 맞는 실링을 제공하며, 그로 인하여 작동 구멍 (323) 을 통하여 숨내쉼 공기 흐름이 빠져가는 것을 방지한다.
노우즈 피스 (317) 는 노우즈 피스 (3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343) 을 규정하는 몸체부 (341), 마우스 피스 (3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319) 와 유체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34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34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34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34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3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349) 은 운반 채널 (34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3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3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3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320) 은 물질 공급 유닛 (320) 의 액추에이팅 부로서 하우징 (315) 에서 구멍 (323) 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물질을 보관하는 물질 보관 챔버 (351), 및 물질 보관 챔버 (351) 를 누름으로써, 물질 보관 챔버 (351) 로부터 아웃렛 유닛 (347) 및 그의 노즐 (349), 여기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로 측정된 물질 투여량을 운반하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위치로 작동될 수 있는 기계적 운반 펌프 (353) 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351) 는 마우스 피스 (319) 안으로 대상이 내쉰 숨이 노우즈 피스 (317) 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 (320) 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작동 혹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몸체 (321) 의 인렛 (325) 을 닫도록 구성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 공급 유닛 (320) 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물질 공급 유닛 (3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317) 를 통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출 형태의 공기흐름이 제공되도록 몸체 (321) 의 입구 (325) 를 여는, 여기서는 헤드 부인 본체부 (355)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353) 는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액체 운반 펌프이나 변형례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353) 는 작동 시에 파우더화된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파우더 운반 펌프가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320) 은 연속적인 운반 작동에서 물질의 다양하게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다용량 유닛이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3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화된 투여량의 전달을 위한 단일 투여 유닛 혹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달에서 작동 시에 물질의 2개의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2용량 유닛이 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320) 은 작동 시에 건조된 파우더로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320) 은 작동 시에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물질의 측량환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3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4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417), 마우스 피스 (4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4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4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415) 는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부인 몸체 (421) 를 포함하며, 이는 그 단부에 구멍 (423) 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물질 공급 유닛 (420, 이 실시예에서는 물질 보관 챔버 (451) 의 기부로서 규정됨) 의 작동부가 돌출된다.
하우징 (415) 은 마우스 피스 (419) 와 노우즈 피스 (417) 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물질 공급 유닛 (4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417) 를 통하여 공기 흐름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출) 을 제공하도록 도 5a 및 5b 에 도시되어 있는 닫힘 및 열림 위치에서 동작이 가능한 밸브 어셈블리 (425) 를 더 포함하며, 이하에서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밸브 어셈블리 (425) 는, 도5a 및 5b 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몸체부 (427) 및 닫힘 및 열림 위치에서 몸체부 (427)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밸브 요소 (429) 를 포함한다.
몸체부 (427) 및 밸브 요소 (429) 는 각각 밸브 구멍 (437,439) 을 포함하며, 이는 밸브 요소 (429)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도 5b 에 도시되어 있듯이 밸브 요소 (429)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하우징 (415) 은 몸체 (421) 의 안쪽 주변부에 위치하며, 밸브 어셈블리 (425) 의 밸브 요소 (429) 와 밀봉 밀착을 제공하며, 그로 인하여 활성화된 구멍 (423) 을 통하여 내쉼 공기 흐름이 달아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 고리모양의 립 시일인 실링 요소 (449) 를 포함한다.
노우즈 피스 (417) 는 노우즈 피스 (4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453) 을 규정하는 본체부 (451), 마우스 피스 (4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419) 와 유체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45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45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45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45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45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459) 은 운반 채널 (45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45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45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45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420) 은 아웃렛 유닛 (457) 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물질의 측정된 투여량을 포함하는 물질 보관 챔버 (461), 및 물질 보관 챔버 (461) 로부터 아웃렛 유닛 (457) 및 그의 노즐 (459), 여기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측정된 물질 투여량을 운반하도록 물질 보관 챔버 (461) 을 통하여 공기 흐름을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한 기계적 운반 펌프 (463) 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461) 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PC) 의 관형부로 기계적 운반 펌프 (463) 와 유동적으로 연결된 인렛 및 아웃렛 유닛 (457) 과 유동적으로 연결된 아웃렛을 포함하며, 인렛과 아웃렛과 함께 전형적으로 알루미늄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포일과 같은 포일이며 인렛 및 아웃렛에 열밀봉된 취약 부재 (465, 467) 를 포함하고, 이는 보통 물질 보관 챔버 (461) 에서 물질을 보관하며, 기계적 운반 펌프 (463) 의 작동에 의해 파괴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게적 운반 펌프 (463) 는 물질 보관 챔버 (461) 의 인렛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공기 챔버 (471) 및 도 5a에 도시된 휴식 위치와 도 5b에 도시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배치된 피스톤 부재 (473) 를 포함하며, 여기서, 피스톤 부재 (473) 는 공기 챔버 (471) 안으로 구동되어 그 안에 보관된 공기를 압축 및 추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부재 (473) 는 여기서 버튼 형상의 액추에이터 요소 (475) 를 포함하며, 이는 하우징 (415) 의 액추에이팅 구멍 (423) 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대상의 손가락 혹은 엄지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부재 (473) 는 밸브 어셈블리 (425) 의 밸브요소 (429) 와 그와 함께 이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밸브 요소 (429) 는 피스톤 부재 (473) 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비작동 혹은 휴식 위치에 있을 때에, 대상에 의한 숨내쉼 시에 노우즈 피스 (417) 를 통한 공기 흐름의 전달을 막기 위하여, 닫힌 포지션에 있으며, 도 5b에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피스톤 부재 (473) 가 물질 공급 유닛 (4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417) 를 통하여 이 실시예에서 공기의 분출 형태인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 시에 열림 위치로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4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화된 투여량의 전달을 위한 단일 투여 유닛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461) 은 교체 가능하여 전달 장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부재 (473) 는 앞쪽 끝에서 피스톤 부재 (473) 의 앞에서 취약 요소 (465,467) 하나 혹은 두 개를 피어싱하게 작용하는 파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461) 는 일반적으로 약 3mm 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mm 에서 3mm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작은 직경의 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461) 는 하이드로옥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HPMC) 캡슐 혹은 젤라틴과 같은 캡슐 일 수 있다. 캡슐은 000, 00, 0, 1, 2, 3, 4, 혹은 5 의 어떤 사이즈 일 수 있다.
힌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420) 은 일반적으로 2 ~ 6, 다수의 물질 보관 챔버 (461)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물질 공급 유닛 (420) 의 각각의 작용을 위하여 물질 보관 챔버 (461) 의 연속되는 하나에 위치되도록 움직일 수 있는 탄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탄창은 회전식 탄창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창은 각 물질 보관 챔버 (461) 를 기계적 운반 펌프 (463) 및 아웃렛 유닛 (457) 과 연통하게 측면으로 끓어내는 유연 혹은 고정 배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탄창은 노우즈 피스 (417) 와 개별적 요소 혹은 통합적 요소로 교환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교체 때 물질 보관 챔버의 아웃렛를 파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파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파괴 요소는 노우즈 피스 (417) 를 밀착 시에 물질 보관 챔버 (461) 의 아웃렛을 파괴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도록 노우즈 피스 (417) 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461) 가 탄창으로 제공될 때, 물질 보관 챔버 (461) 는 탄창의 움직임에 물질 보관 챔버 (461) 의 아웃렛의 파괴를 제공하도록 탄창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반 펌프 (463) 는 밸브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공기가 노우즈 피스 (417) 혹은 마우스 피스 (419) 를 통하는 것 이외의 것으로부터 끌릴 수 있게 하며, 전 운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피스톤 부재 (473) 는 피스톤 부재 (473) 가 공기 챔버 (471) 로부터 후퇴될 때, 유동 채널 만을 통하여 공기가 끌리며, 액추에이터 요소 (475) 가 대상의 손가락 혹은 엄지로 눌릴 때, 손가락 혹은 엄지가 유동 채널을 막아 공기 챔버 (471) 에 보관된 공기의 압축을 제공하도록 유동 채널을 막도록, 전방 피스톤 면으로부터 엑추에이터 요소 (475) 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유동 채널을 포함한다.
도 6a ~ 6f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수동으로 작동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5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517), 마우스 피스 (5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5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5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515) 은 몸체 (521),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부를 포함하며, 이는 물질 공급 유닛 (520) 을 수용하며, 그 단부에 구멍 (123) 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물질 공급 유닛 (120, 이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 부재 (555) 로 규정됨) 의 작동부가 돌출된다.
몸체 (521) 은 마우스 피스 (519) 와 유동 연통하는 인렛 (525) 과 노우즈 피스 (517) 와 유동 연통하는 아웃렛 (527) 을 포함한다.
하우징 (515) 은 이 실시예에서 고리모양 립 시일인 실링 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몸체 (521) 의 내측 원주부에 배치되어 작동부 (555) 에 맞는 실링을 제공하며, 그로 인하여 작동 구멍 (523) 을 통하여 숨내쉼 공기 흐름이 빠져가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 (529) 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 (515) 은 이 실시예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러그인 탐지 요소 (531) 를 포함한다. 이는 액추에이터 부재 (555) 안에서 트랙 (577) 안에 위치되어 있으며, 더 자세한 것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노우즈 피스 (517) 는 노우즈 피스 (5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543) 을 규정하는 몸체부 (541), 마우스 피스 (5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519) 와 유체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54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54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54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54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5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549) 은 운반 채널 (54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5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5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5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520) 은 아웃렛 유닛 (547) 에 물질의 측정된 용량을 운반하도록 작동시키는 기계적 운반 펌프 (553) 와 그 펌프 (553) 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여기서는 손가락 혹은 엄지로 누름으로써 작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 (555) 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520) 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달에서 작동 시에 물질의 2개의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2용량 유닛이며, 피스톤 부재 (573) 는 연속적인 전달 시 위치로 전진된다.
액추에이터 부재 (555) 는 작동 구멍 (523) 을 통하여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이 빠져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 (521) 의 내측 원주부에서 실링 부재 (529) 와 들어맞어 실링인 하우징 (515) 의 몸체 (521) 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이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형상의 본체부 (575) 를 포함한다.
본체부 (575) 는 하우징 (515) 에서 탐지 요소 (531) 를 수용하는 바깥 원주부면에 트랙 (577) 을 포함한다.
이 트랙 (577) 은 몸체 (521) 에 대하여 액추에이터 부재 (555) 의 개별 위치를 규정하는 다수의 정지부, 이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두 정지부 (579a, 579b) 를 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트랙 (577) 은 트랙부 (581a, 581b) 의 각 외곽 단부와 함께, 정지부 (579a, 579b) 를 규정하며, 액추에이터 부재 (555) 의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및 제 2 트랙부 (581a, 581b) 및 제 1 및 제 2 트랙부 (581a, 581b) 와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3 트랙부 (583)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트랙부 (581a, 581b) 사이, 하우징 (515) 안에서 액추에이터 부재 (555) 의 회전에 의해서 탐지 요소 (531) 는 이동된다.
액추에이터 부재 (555) 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다수의, 이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밸브 구멍 (589, 591) 를 포함하는 밸브부 (587) 를 포함하며, 제 1 밸브 구멍 (589) 은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부재 (555) 가 제 1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515) 의 인렛 (525) 과 함께 유동적으로 연통할 수 있으며, 제 2 밸브 구멍은 도 6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작동 위치에 액추에이터 부재 (555) 가 있을 때, 하우징 (515) 의 인렛 (525) 과 유동적으로 연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공기 흐름은 물질 공급 유닛 (520) 의 동작과 함께 대상의 코의 비강에 물질의 투여량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 공기의 분출 형태로서 노우즈 피스 (517) 를 통하여 동시에 전달되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펌프 (553) 는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액체 운반 펌프이나 변형례에서, 펌프 (553) 는 그 작동에 의해 파우더화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파우더 운반 펌프일 수 있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520) 은 작동 시에 건조된 파우더로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520) 은 작동 시에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물질의 측량환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5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수동 작동의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하우징 (6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617), 마우스 피스 (6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6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6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615) 은 물질 공급 유닛 (620) 을 수용하며, 그 끝단에 구멍 (323) 을 포함하며, 그를 통하여 물질 공급 유닛 (620,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651) 의 기부로 규정됨) 의 작동부가 돌출되는 몸체 (621),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부, 를 포함한다.
몸체 (621) 는 마우스 피스 (619) 와 액체 유동이 있는 인렛 (625) 과 노우즈 피스 (617) 와 액체 유동이 있는 아웃렛 (627) 을 더 포함한다.
몸체 (621) 는 유동 조절 장치 (629) 를 포함하며, 이는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과 함께, 몸체 (621) 의 인렛 (625) 과 아웃렛 (627) 사이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의 유량, 유동 프로파일, 유동 지속을 포함하는 유동 특성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자는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의 유동 특성을 조절함에 의해서 전달된 물질의 퇴적 패턴이 크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운반 물질의 퇴적 특징을 조절하기 위하여 간단한 기구를 제공하도록 마음 먹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을 확장하며,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과 함께 인렛 (625) 과 아웃렛 (627) 사이의 유동 채널의 유효부가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 동안에 소정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유동 조절 장치 (629) 는 안에 여기서는 고리 모양 요소의 형태의 구멍 (631)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유동 조절 장치 (629) 는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 (스트로크) 의 끝에서 아웃렛 (627) 및 인렛 (625) 사이의 유동 채널의 실질적 폐쇄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동 조절 장치 (629) 는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 (스트로크) 의 끝에서 아웃렛 (627) 및 인렛 (625) 사이의 유동 채널의 일부의 폐쇄, 예를 들어 유동 채널의 유효 면적의 50%감소, 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 (615) 은 물질 보관 챔버 (651) 에 맞는 실링을 제공하며, 작동하는 구멍 (623) 을 통한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관형부 (635) 를 포함한다.
도 8 에서는 2초 동안 내쉰 숨의 공기 흐름에 (I)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의 끝에서 유동 채널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유동 조절 장치 (629) 와 (II)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 움직임의 끝에서 유동 채널의 유효면을 50% 감소시키는 유동 조절 장치 (629) 를 포함하며, (III) 유동 조절 장치가 없는 장치로부터 얻어진 유동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노우즈 피스 (617) 는 노우즈 피스 (6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643) 을 규정하는 몸체 (641), 마우스 피스 (6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619) 와 유체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64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64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64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64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6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649) 은 운반 채널 (64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6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6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6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은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액추에이터 부재로서 하우징 (615) 에서 구멍 (623) 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물질을 보관하는 물질 보관 챔버 (651), 및 물질 보관 챔버 (651) 를 누름으로써, 물질 보관 챔버 (651) 로부터 아웃렛 유닛 (647) 및 그의 노즐 (649), 여기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측정된 물질 투여량을 운반하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위치로 작동될 수 있는 기계적 운반 펌프 (653) 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651) 는 마우스 피스 (619) 안으로 대상이 내쉰 숨이 노우즈 피스 (617) 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 (620) 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작동 혹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몸체 (621) 의 인렛 (625) 을 닫도록 구성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 공급 유닛 (620) 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617) 을 통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출 형태의 공기흐름이 제공되도록 몸체 (621) 의 입구 (625) 를 여는, 여기서는 헤드부인 본체부 (655) 를 포함한다. 상술하였듯이, 본체부 (655) 는 이 실시예에서 작동 위치로 물질 공급 유닛 (620) 의 움직임에 유동 체널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의 유동 특성을 변경하도록 유동 조절 장치 (629) 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653) 는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액체 운반 펌프이나 변형례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653) 는 작동 시에 파우더화된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파우더 운반 펌프가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은 연속적인 운반 작동에서 물질의 다양하게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다용량 유닛이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화된 투여량의 전달을 위한 단일 투여 유닛 혹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달에서 작동 시에 물질의 2개의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2용량 유닛이 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은 작동 시에 건조된 파우더로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은 작동 시에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물질의 측량환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6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9b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수동 작동의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막기 위하여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고 번호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는 노우즈 피스 (317) 와 마우스 피스 (319) 의 배치가 주로 다르며, 하방으로 향하는 pMDI의 밸브 스템을 가진 물질 공급 유닛으로서 pMDI 를 사용하는 배치이다.
이 실시예에서, pMDI 는 통의 기부의 수동 하방 압축에 의해서 작동한다. 변형례에서 장치는 측방 작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물질 운반의 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활용을 통하여 pMDI의 작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 기구는 측방향으로 눌릴 때, 통을 하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하나 이상의 피봇 요소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봇 요소는 닫힘 위치에서 노우즈 피스 (317) 및/혹은 마우스 피스 (319) 를 보호하는 캡을 가지고, 물질 공급 유닛 (320) 의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작동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0a~10d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수동 작동의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장치는 이 실시예에서, 두 반쪽 쉘 (915a, 915b) 인 하우징 (915), 대상의 코의 비강에 끼우기 위한 노우즈 피스 (917), 마우스 피스 (919) 를 통하여 대상의 내쉼이 있을 때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대상이 사용 시 숨을 내쉬는 마우스 피스 (919), 그리고 비강으로 물질을 공급하는데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물질 공급 유닛 (9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915) 은 물질 공급 유닛 (920) 을 수용하며, 그 끝단에 구멍 (923) 을 포함하며, 그를 통하여 물질 공급 유닛 (920,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951) 의 기부로 규정됨) 의 작동부가 돌출되는 몸체 (921), 이 실시예에서 신장된 관형부,를 포함한다.
몸체 (921) 는 마우스 피스 (919) 와 유동 연통하는 인렛 (925) 과 노우즈 피스 (917) 와 유동 연통하는 아웃렛 (92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 (921) 는 내부 원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여기서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929, 929) 를 포함하며, 이는 작동 위치일 때 인렛 (925) 을 확보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위치를 고정하며, 여기서는 몸체부 (955) 에 들어맞으며, 비작동 위치일 때 물질 공급 유닛 (920) 에 의해서 폐쇄되도록 작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 (915) 은 물질 보관 챔버 (951) 에 맞는 실링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며, 작동하는 구멍 (923) 을 통한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관형부 (935) 를 포함한다.
노우즈 피스 (917) 는 노우즈 피스 (917) 와 대상의 비강 사이에서 밀봉 맞춤을 제공하여 외부 실링 표면 (943) 을 규정하는 몸체 (941), 마우스 피스 (919) 를 통한 대상의 내쉰 숨에서 공기 흐름이 대상의 코의 기도를 통하여 안으로 선택적으로 들어오도록 마우스 피스 (919) 와 유체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내부 운반 채널 (945),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전달하기 위하여 운반 채널 (945) 내부에서 위치하는 아웃렛 유닛 (947)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947) 은 물질을 대상의 코의 기도로 운반하기 위한 노즐 (949)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949) 은 운반 채널 (945) 안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 (949) 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의 전달을 위하여 노즐 (949) 은 액체의 칼럼으로서 액체 제트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렛 유닛 (947) 의 말단부는 대상의 비강 안에서 적어도 대략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에서 약 3㎝ 사이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물질 공급 유닛 (320) 의 액추에이터 부재로서 하우징 (915) 에서 구멍 (923) 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물질을 보관하는 물질 보관 챔버 (951), 및 물질 보관 챔버 (951) 를 누름으로써, 물질 보관 챔버 (951) 로부터 아웃렛 유닛 (947) 및 그의 노즐 (949), 여기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로 측정된 물질 투여량을 운반하도록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도 10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위치로 작동될 수 있는 기계적 운반 펌프 (953) 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951) 는 마우스 피스 (619) 안으로 대상이 내쉰 숨이 노우즈 피스 (917) 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 (920) 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929, 929) 에 의해 위치되는 본체부 (955) 의 위치와 함꼐, 비작동 혹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몸체 (921) 의 인렛 (925) 을 닫도록 구성되고,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 공급 유닛 (920) 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작동과 동시에 노우즈 피스 (917) 를 통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출 형태의 공기흐름이 제공되도록 몸체 (921) 의 입구 (925) 를 여는, 전형적으로 덮개이며, 여기서는 헤드부인 본체부 (955)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953) 는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액체 운반 펌프이나 변형례에서 기계적 운반 펌프 (953) 는 작동 시에 파우더화된 물질의 측량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파우더 운반 펌프가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연속적인 운반 작동에서 물질의 다양하게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다용량 유닛이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물질의 단일 측량화된 투여량의 전달을 위한 단일 투여 유닛 혹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달에서 작동 시에 물질의 2개의 측정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한 2용량 유닛이 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작동 시에 건조된 파우더로서 물질의 측량화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건조된 파우더 운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작동 시에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물질의 측량환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에서,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측량된 압축가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HFA) 압축가스나 그와 유사한 물질을 서스펜션 혹은 용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11b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수동 작동의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제 9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막기 위하여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고 번호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는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있는 비작동 위치와 도 11b 에서와 같이, 물질 공급 유닛 (920) 이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 (963) 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래치 기구 (963) 는 몸체 (921) 에 움직일 수 있게,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래치 부재 (967) 와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작동되는 래치 기구 (963) 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요소 (969) 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래치 부재 (967) 를 작동 위치, 이 실시예에서 바깥쪽 위치로 움직이게 하면서, 래치 기구 (963) 와 함께 비작동 위치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안쪽 위치) 에 래치 부재 (967) 를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 요소 (969,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 요소)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래치 부재 (967) 는 내쉰 숨의 압력이 피스톤 요소 (971) 에 바이어스 요소 (969) 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작동 위치로 래치 부재 (967) 를 움직이도록 마우스 피스 (919) 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피스톤 보어 (973)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치된 피스톤 요소 (971), 작동 위치에 래치 부재 (967) 가 있을 때, 멈춤쇠의 작동을 허락하도록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대응 멈춤쇠 (977) 와 맞춤으로부터 빠져나가며, 래치 부재 (967)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멈춤쇠의 작동을 방지하며,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대응 멈춤쇠 (977) 에 걸리도록 작동하는 멈춤쇠 (975) 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대상이 마우스 피스 (919) 를 통하여 숨을 내쉬어 래치 부재 (967) 를 물질 공급 유닛 (290) 은 작동가능한 열림 위치로 충분히 변위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 (963) 는 래치 부재 (967) 를 열림 위치로 움직이게 마우스 피스 (919) 에 소정 압력을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의도 하지 않은 동작이 예방되며, 대상의 연막의 닫힘이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작동 전에 확보된다.
도 12a 및 12b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작동의 코릍 통한 전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제 9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막기 위하여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고 번호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는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도 1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있는 비작동 위치와 도 12b 에서와 같이, 물질 공급 유닛 (920) 이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 (983) 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래치 기구 (983) 는 몸체 (921) 에 움직일 수 있게, 이 실시예에서는 유연하게 연결되어 있는 래치 부재 (987) 를 포함하며, 래치 요소 (988) 와 마우스 피스 (919) 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래치 요소 (988) 를 지지하는 여기서는 다이어프램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 요소 형태인 가요성 요소 (989) 를 포함하며, 가요성 요소 (988) 와 함께, 비작동 위치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안쪽 위치) 에 래치 요소 (988) 를 바이어스하며,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작동되는 래치 기구 (983) 는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작동이 가능하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요소 (989) 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열림, 작동 위치로, 이 실시예에서 바깥쪽 위치로, 래치 요소 (988) 를 움직이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래치 요소 (988) 는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대응 멈춤쇠 (993) 에 맞물려 작동하며, 래치 부재 (987)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동작을 방지하며, 래치 부재 (987) 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동작을 가능하게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대응 멈춤쇠 (993) 로부터 빠져나오는 멈춤쇠 (991) 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대상이 마우스 피스 (919) 를 통하여 숨을 내쉬어 래치 부재 (987) 를 물질 공급 유닛 (920) 은 작동 가능한 열림 위치로 충분히 변위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 기구 (983) 는 래치 부재 (987) 를 열림 위치로 움직이게 마우스 피스 (919) 에 소정 압력을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상의 연막의 닫힘이 물질 공급 유닛 (920) 의 작동 전에 확보된다.
본 발명의 코를 통한 전달 장치는 후각 지역에의 전달을 제공하며, 그러한 지역은 코의 비강의 위쪽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혈액뇌관문 (blood-to-brain barrier, BBB) 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뇌척수계 (CSF) 및 뇌와 교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유일한 곳이다.
코를 통한 전달 장치에 의한 물질을 전달은 다음을 포함한다:
앤지오텐신 앤타고니스트 (angiotensin antagonists) ;
앤지오텐신 리셉터 블로커, AT1 리셉터 앤타고니스트. 사탄 (sartans) 로 알려져 있으며, 로사탄 (losartan, Merck & Co 가 Cozaar (RTM) 로 판매함) 을 포함하는 앤지오텐신 (AT) Ⅱ 수용기 길항제;
앤지오텐신 컨버팅 엔자임 인히비터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s) ;
글리신 리셉터 앤타고니스트 (glycine receptor antagonists) ;
안티-히스타민 (Anti-histamines), 특히, 디메본 (dimebon, 디클로라이드 염으로 제공되는 2,3,4,5-테트라하이드로-3, 8-디메틸-5-[2- (6-메틸 3-피리디닐) 에틸]-1H-피리도[4,3-b]인돌) 과 같은 넌셀렉티브 안티-히스타민 (non-selective antihistamines);
모르핀 (morphine) ;
글리코겐 신타아제 키나아제 3 인히비터 (Glycogen synthase kinase 3 (GSK3) inhibitors), 그 내용은 참고로서 여기에 포함되는 US-A-7300943 및 US-A-7300944에 개시된 대체 (substituted) 피라졸로[3,4-b]피리딘-6-온, 그 내용은 참고로서 여기에 포함되는 US-A-7202245에 개시된 대체 4-아미노[1,2,4]트리아졸로[4,3-a]퀴녹살린, 그 내용은 참고로서 여기에 포함되는 US-A-6417185,US-A-6489344, US-A-7037918, US-A-7045519 and US-2006/0089369에 개시된 피리미딘 및 피리딘 파생물 및 리튬;
에터너셉트 (Wyeth 에서 ENBREL (RTM) 으로 판매함), by Wyeth), 인프릭스맙 (Centocor, Inc 에서 REMICADE (RTM) 로 판매함) 및 아달리무맙 (Abbott Laboratories 에서 HUMIRA (RTM) 로 판매함) 을 포함하는 종양 괴사 인자 (TNF) 블로커;
옥시토신;
알츠하이머의 질병, 헌팅톤 질병, 파키슨 질병, 치매, 그리고 뇌졸중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과 상태들을 포함하며, 조울증, 당뇨병, 정신분열증, 우을증, 불안, 탈모, 암, 비만, 아테롬성 심혈관 질병, 본태성 고혈압, 다낭성 난소 증후군, X 증후군, 국소성 빈혈, 특히 뇌의 국소성 빈혈, 정신적 외상의 뇌 부상, 면역결핍, 자폐증, 불감증, 모성 행동의 조절, 여성 성적 행동의 조절, 남성 성적 행동의 조절, 사회 행동의 조절, 남성 그리고 여성 공격의 조절을 포함하여, 사회적 기억력의 촉진, 사회적 인지를 포함하며, 그리고 암수 한쌍의 결합, 학습 촉진, 기억력 촉진, 열의 억제를 포함하는 신경성 질병과 상태를 치료법 및, 예를 들면 암환자 에서 돌발성 통증의 치료에서와 같은 통증 완화의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청구한 청구범위의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예로서, 위에 설명한 마우스 피스는 대상의 몸구조에 따라서 각, 회전 위치 및 길이가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가요성 혹은 힌지 연결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장치는 무너진 혹은 접힌 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는 사고나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너진 혹은 접힌 구조로 잠금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외부의 물질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접힌 혹은 무너진 구조에서 마우스피스를 닫는 구성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WO-A-2000/05167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비강을 통하여 압력에서 양쪽 방향의 전달을 달성하도록 대상의 한 개의 콧구멍을 통하여 코의 격막의 뒤쪽의 가장자리 주변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서 대상의 다른 콧구멍으로 나오는 압력으로 물질을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변형례에서, 전달 장치는 코의 비강을 통하여, 양쪽 방향의 전달을 성취하기 위하여 그것은 충분하지 않은 감소된 압력에서 물질을 운반하는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런 실시예도 타겟화된 전달을 성취하는 데, 특히 코의 비강의 어떤 지역이 커프 부재에 의해 방해될 때, 연막 닫힘을 위하여 제공하는데 있어서, 알려져 있는 전달 장치와 비교하여 여전히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치료 시점 (point of care) 세팅 시 약제 상품의 재조합에서 운반 물질의 재조합을 허락한다. 물질 구성 요소는 액체/액체 나 혹은 가루/액체 혹은 가루/가루 일 수 있다. 일반적인 활용은 동결 건조된 약제 상품의 재조합을 포함한다.
도 13a 및 13b는 제 2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물질 보관 챔버 (151) 는 각각은 개별 물질 구성 (S1, S2) 을 보관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1001, 1003) 및 여기서는 멤브레인 형태의 취약 요소 (1005) 를 포함하며, 이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챔버 (1001, 1003) 를 통상적으로 분리하며, 도 13b 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달 장치의 운반을 위하여 재조합 물질 (S) 를 제공하도록 파괴 시 물질 구성 (S1, S2) 의 재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취약 부재 (1005) 는 물질 보관 챔버 (151) 에 갑작스런 충격의 작용으로 부서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챔버 (1001,1003) 는 물질 보관 챔버 (151) 를 흔들면 취약 부재 (1005) 가 파괴되는 구성의 헐거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그리고 14b는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로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물질 보관 챔버 (151) 는 각각은 개별 물질 구성 (S1, S2) 을 보관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1011, 1013) 및 여기서는 멤브레인 형태의 취약 요소 (1005) 를 포함하며, 이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챔버 (1011, 1013) 를 통상적으로 분리하며, 도 14b 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달 장치의 운반을 위하여 재조합 물질 (S) 를 제공하도록 파괴 시 물질 구성 (S1, S2) 의 재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 (115) 은 하우징 (115) 에 물질 보관 챔버 (151) 를 맞추면 취약 부재 (1015) 를 파괴하도록 구성된 파괴 요소 (1021) 를 포함한다. 변형례에서, 파괴 요소 (1021) 는 이 실시예에서 운반 펌프 (153) 의 딥 튜브이며, 물질 보관 챔버 (151) 가 맞춰지는 운반 펌프 (153) 의 일부에 의해서 파괴 요소 (1021) 가 제공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파괴 요소 (1021) 는 버튼과 같은 수동 작동 요소일 수 있으며, 이는 수동으로 취약 부재 (1015) 를 파괴한다. 이 실시예에서, 수동 작동 요소는 물질 보관 챔버 (151) 에 맞춰지기 전에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동 작동 요소는 물질 보관 챔버 (151) 가 하우징 (115) 에 맞춰질 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 물질의 재조합에 관련된 이 실시예가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른 변형례에서 전달 장치는 청각, 후각 혹은 시각 인디케이터와 같은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는 장치의 작동에 앞서 마우스 피스 (19, 119, 219, 319, 419, 519, 619, 919) 에서 적절한 압력이 달성됨을 표시하기 위한 팝업 벌룬 혹은 휘슬일 수 있다.
추가 변형례에서, 전달 장치는 장치의 작동 후에 표시를 제공하는 예를 들면, 휘슬 혹은 팝업 벌룬과 같은 청각, 후각 혹은 시각의 인디케이터로서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변형례에서, 전달 장치는 호흡 작동되는 유량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노우즈 피스 (17, 117, 217, 317, 417, 517, 617, 917) 는 경사진 비대칭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면 타원 혹은 원형 팁과 같은 다른 대칭 구성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칭 구조의 특별한 장점은 전달 장치가 마우스 피스 (19, 119, 219, 319, 419, 519, 619, 919) 가 노출되며,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필터를 가진 마우스 피스 (19, 119, 219, 319, 419, 519, 619, 919) 에 부착된 튜브를 통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전달된 공기 흐름을 지향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기능은 예를 들면 정신적 외상의 대상, 예로서 사고에 연루된 대상 혹은 간질로 인하여 고통 받는, 의식이 없는 혹은 협업할 수 없는 대상에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대칭 배치의 다른 장점은 노우즈 피스 (17, 117, 217, 317, 417, 517, 617, 917) 가 다른 크기의 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치의 길이 및 구성이 변형되게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노즐 아웃렛 (47, 147, 247, 347, 447, 547, 647, 947) 의 팁은 노우즈 피스 (17, 117, 217, 317, 417, 517, 617, 917) 의 팁과 함께, 노즐 아웃렛 (47, 147, 247, 347, 447, 547, 647, 947) 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플러시 혹은 실질적으로 플러시 될 수 있다. 노즐 아웃렛 (47, 147, 247, 347, 447, 547, 647, 947) 에서 몇 가지 물질은 침전물을 남길 수 있다. 예로서, 스테로이드 서스펜션은 크리스탈 침전물을 남긴다.
추가 변형례에서, 전달 장치는 가요성 튜브형 요소의 형태의 마우스 피스 (19, 119, 219, 319, 419, 519, 619, 919) 를 포함하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46)

  1. 대상의 코의 기도에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코를 통한 전달 장치에 있어서,
    대상이 사용할 때 숨을 내쉼이 대상의 구강인두 연막(oropharyngeal velum)의 닫힘을 일으키게 하는 마우스 피스;
    코의 기도로 전달되기 위하여 사용된 물질이 통과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대상의 콧구멍에 맞추기 위한 노우즈 피스; 및
    노우즈 피스의 노즐을 통하여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작동 물질 공급 유닛
    을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대상의 숨내쉼으로 인하여 동작 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며, 숨에 의해 작동되는 기구인,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를 비작동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상기 래치 부재에 결합되고,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상기 래치 부재를 작동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는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서 팽창되는 팽창가능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와 상기 노우즈 피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 사이에 유체 연통로가 없는 닫힘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 시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으로 노우즈 피스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도록 열림 위치 사이에서 동작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숨내쉼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노우즈 피스를 통하여 운반되게 상기 마우스 피스와 상기 노우즈 피스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대상에 의하여 수동으로 눌러지게 구성되어 있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로딩 힘에 의해 동작 가능하며, 물질 공급 유닛을 작동하도록 상기 물질 공급 유닛에 로딩 힘을 가하도록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로딩 기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상기 전달 장치에 의해서 전달되는 물질의 용량을 제공하는 물질 보관 챔버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상기 물질 보관 챔버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 보관 챔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는 각각의 위치 사이에서 피스톤 부재의 움직임으로 물질이 측정된 투여량만큼 운반되도록 각각의 다양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는 몸체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 부재 중 하나와 몸체는 각 위치를 규정하는 트랙부를 포함하는 트랙을 포함하며, 다른 피스톤 부재와 상기 몸체는 피스톤 부재의 동작에 각각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트랙에 위치하는 팔로어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두 개별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가지는 2용량 (duo-dose) 펌프 유닛인,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보관 챔버는 제 1 및 제 2 챔버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챔버 각각은 전달 장치에 의해서 운반되기 위한 재조합 물질을 제공하도록 재조합의 물질 구성이 제공되며, 각각의 물질 구성을 따로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보관 챔버는 전달 장치에 의하여 운반되기 위한 재조합 물질을 제공하는 물질 구성의 재조합 물질을 깨졌을 때 제공하도록 제 1 및 제 2 챔버를 통상적으로 분리하는 취약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 물질 보관 챔버가 들어맞아 취약 부재를 깨도록 구성되는 파괴 부재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파우더 물질 또는 액체 물질의 운반을 제공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에어로졸 또는 제트로서 전달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피스는 대상의 콧구멍과 타이트한 실링 조임을 제공하는 실링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움직임과 함께 작동하며, 상기 노우즈 피스를 통하여 운반되는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의 유동 주기, 유량, 유동 프로파일과 같은 유동 특성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유동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 장치는 물질 공급 유닛의 작동 움직임과 함께 노우즈 피스로의 유동 채널의 유효 면적이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작동 움직임 이후에 소정의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물질 공급 유닛의 가동부를 형성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4. 대상의 코의 기도에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코를 통한 전달 장치에 있어서,
    대상이 사용할 때 숨을 내쉼이 대상의 구강인두 연막(oropharyngeal velum)의 닫힘을 일으키게 하는 마우스 피스;
    코의 기도로 전달되기 위하여 사용된 물질이 통과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대상의 콧구멍에 맞추기 위한 노우즈 피스;
    물질 공급 유닛을 수용하며, 상기 마우스 피스와 유체 연통하는 인렛과, 상기 노우즈 피스와 유체 연통하는 아웃렛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노우즈 피스의 노즐을 통하여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작동 물질 공급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수동 작동에 대해 제 1의, 휴식 위치로부터 제 2의, 작동 위치로 이동가능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인렛은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몸체부가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개방됨으로써, 상기 노우즈 피스를 통해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수동 작동과 동시에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래치 기구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되지 않는 제 1의, 비작동 위치와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이 작동될 수 있는 제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대상의 숨내쉼으로 인하여 동작 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며, 숨에 의해 작동되는 기구인,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래치 부재를 비작동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기구는 상기 래치 부재에 결합되고,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 상기 래치 부재를 작동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는 대상의 숨내쉼에 의해서 팽창되는 팽창가능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와 상기 노우즈 피스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마우스 피스와 노우즈 피스 사이에 유체 연통로가 없는 닫힘 위치와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 시 물질 공급 유닛의 동작으로 노우즈 피스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도록 열림 위치 사이에서 동작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1. 제 24 항에 있어서,
    숨내쉼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노우즈 피스를 통하여 운반되게 상기 마우스 피스와 상기 노우즈 피스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대상에 의하여 수동으로 눌러지게 구성되어 있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3. 제 24 항에 있어서,
    로딩 힘에 의해 동작 가능하며, 물질 공급 유닛을 작동하도록 상기 물질 공급 유닛에 로딩 힘을 가하도록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로딩 기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상기 전달 장치에 의해서 전달되는 물질의 용량을 제공하는 물질 보관 챔버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상기 물질 보관 챔버로부터 물질의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 보관 챔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는 각각의 위치 사이에서 피스톤 부재의 움직임으로 물질이 측정된 투여량만큼 운반되도록 각각의 다양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는 몸체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 부재 중 하나와 몸체는 각 위치를 규정하는 트랙부를 포함하는 트랙을 포함하며, 다른 피스톤 부재와 상기 몸체는 피스톤 부재의 동작에 각각의 위치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트랙에 위치하는 팔로어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두 개별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가지는 2용량 (duo-dose) 펌프 유닛인,
    코를 통한 전달 장치.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보관 챔버는 제 1 및 제 2 챔버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챔버 각각은 전달 장치에 의해서 운반되기 위한 재조합 물질을 제공하도록 재조합의 물질 구성이 제공되며, 각각의 물질 구성을 따로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보관 챔버는 전달 장치에 의하여 운반되기 위한 재조합 물질을 제공하는 물질 구성의 재조합 물질을 깨졌을 때 제공하도록 제 1 및 제 2 챔버를 통상적으로 분리하는 취약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 물질 보관 챔버가 들어맞아 취약 부재를 깨도록 구성되는 파괴 부재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피스는 대상의 콧구멍과 타이트한 실링 조임을 제공하는 실링 요소를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3.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움직임과 함께 작동하며, 상기 노우즈 피스를 통하여 운반되는 내쉰 숨의 공기 흐름의 유동 주기, 유량, 유동 프로파일과 같은 유동 특성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유동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 장치는 물질 공급 유닛의 작동 움직임과 함께 노우즈 피스로의 유동 채널의 유효 면적이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의 작동 움직임 이후에 소정의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물질 공급 유닛의 가동부를 형성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 유닛은 파우더 물질 또는 액체 물질의 운반을 제공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에어로졸 또는 제트로서 전달되는,
    코를 통한 전달 장치.
KR1020107009821A 2007-10-03 2008-10-03 코를 통한 전달 장치 KR101547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719299.0A GB0719299D0 (en) 2007-10-03 2007-10-03 Nasal delivery devices
GB0719299.0 2007-10-03
GB0806808.2 2008-04-15
GB0806808A GB2459266A (en) 2007-10-03 2008-04-15 Nasal delivery devices
PCT/GB2008/003377 WO2009044172A1 (en) 2007-10-03 2008-10-03 Nasal delivery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478A KR20100068478A (ko) 2010-06-23
KR101547502B1 true KR101547502B1 (ko) 2015-08-26

Family

ID=4004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821A KR101547502B1 (ko) 2007-10-03 2008-10-03 코를 통한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5) US9067034B2 (ko)
EP (2) EP2653183B1 (ko)
JP (3) JP5778422B2 (ko)
KR (1) KR101547502B1 (ko)
CN (1) CN101918061B (ko)
AU (1) AU2008306635A1 (ko)
BR (1) BRPI0817502A2 (ko)
CA (1) CA2701409C (ko)
DK (1) DK2653183T3 (ko)
ES (2) ES2538674T3 (ko)
GB (3) GB0719299D0 (ko)
HK (1) HK1145467A1 (ko)
IL (1) IL204787A0 (ko)
MX (2) MX355727B (ko)
PL (1) PL2653183T3 (ko)
RU (1) RU2506096C2 (ko)
WO (1) WO20090441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74A (ko) * 2018-04-19 2019-10-29 조민수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KR20190123104A (ko) * 2018-04-23 2019-10-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상기도 분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4272D0 (en) 2001-06-12 2001-08-0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ZA200306564B (en) 2001-02-26 2004-10-15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270D0 (en) 2002-07-02 2002-08-14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311570D0 (en) 2003-05-20 2003-06-25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7588033B2 (en) 2003-06-18 2009-09-15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improving ventilation in a lung area
GB0319119D0 (en) 2003-08-14 2003-09-17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US7406966B2 (en) 2003-08-18 2008-08-05 Menlo Lifesciences, Llc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ventilation with nasal interface
GB0320171D0 (en) 2003-08-28 2003-10-01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420513D0 (en) *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503738D0 (en) * 2005-02-23 2005-03-3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JP2009508645A (ja) 2005-09-20 2009-03-05 ルッツ フレイテッグ, 患者の呼吸を補助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10478574B2 (en) 2006-01-19 2019-11-19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GB0604444D0 (en)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605799D0 (en) 2006-03-23 2006-05-03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JP5191005B2 (ja) 2006-05-18 2013-04-24 ブリーズ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気管切開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GB2438834A (en) * 2006-06-08 2007-12-12 Optinose As Intranasal protein administration
GB2440316A (en) 2006-07-25 2008-01-30 Optinose As Nasal inhaler with scrubber
WO2008019102A2 (en) 2006-08-03 2008-02-14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inimally invasive respiratory support
GB0623728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623731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
GB0623732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244819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244818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powder delivery device
WO2008144589A1 (en) 2007-05-18 2008-11-27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ensing respiration and providing ventilation therapy
CN101873875B (zh) 2007-09-26 2014-11-12 呼吸科技公司 用于在通气治疗中提供吸气和呼气流释放的方法和装置
WO2009042973A1 (en) 2007-09-26 2009-04-02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GB0719299D0 (en) 2007-10-03 2007-11-1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CN101459908B (zh) * 2007-12-13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订阅方法、系统、服务器
ES2648196T3 (es) 2008-02-07 2017-12-29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Dispositivo aerosol circunferencial
EP2274036A4 (en) 2008-04-18 2014-08-13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BREATHING AND CONTROLLING INSUFFLATOR FUNCTIONS
JP5758799B2 (ja) 2008-04-18 2015-08-05 ブリー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呼吸作用を感知し、人工呼吸器の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2326376B1 (en) 2008-08-22 2019-07-24 Breathe Technologies, Inc. Devices for providing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n open airway interface
US10252020B2 (en) 2008-10-01 2019-04-09 Breathe Technologies, Inc. Ventilator with biofeedback monitoring and control for improving patient activity and health
KR20110083651A (ko) * 2008-10-08 2011-07-20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가청 표시기 수단을 갖는 흡입기
US9132250B2 (en) 2009-09-03 2015-09-15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non-invasive ventilation including a non-sealing ventilation interface with an entrainment port and/or pressure feature
US9962512B2 (en) 2009-04-02 2018-05-08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non-invasive ventilation including a non-sealing ventilation interface with a free space nozzle feature
JP5758875B2 (ja) 2009-04-02 2015-08-05 ブリー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侵襲性換気システム
US9084660B2 (en) * 2009-06-25 2015-07-21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Inhaler
CN102762250B (zh) 2009-09-03 2017-09-26 呼吸科技公司 用于包括具有夹带端口和/或压力特征的非密封通气界面的无创通气的方法、系统和装置
CA2807416C (en) 2010-08-16 2019-02-19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using lox to provide ventilatory support
GB201015371D0 (en) 2010-09-14 2010-10-27 Optinose As Nasal delivery
JP6297329B2 (ja) 2010-09-30 2018-03-20 ブリー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鼻インタフェース装置
BR122021002471B8 (pt) 2011-03-03 2022-10-25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droga nasal
US9949923B2 (en) * 2011-03-15 2018-04-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WO2012154859A1 (en) 2011-05-09 2012-11-15 Impel Neuropharma Inc. Nozzles for nasal drug delivery
US20140352692A1 (en) * 2012-01-23 2014-12-04 Sanofi Sa Dose Counting Mechanism for an Inhalation Device and Inhalation Device
MX352029B (es) * 2012-02-24 2017-11-07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US10179216B2 (en) * 2012-02-24 2019-01-15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MX358061B (es) 2012-02-24 2018-08-03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CN104470569B (zh) * 2012-06-28 2018-04-27 美国政府(由卫生和人类服务部的部长所代表) 用于疫苗和其它治疗试剂的鼻干粉递送系统
US11554229B2 (en) 2013-03-26 2023-01-17 OptiNose Inc. Nasal administration
JP2016520378A (ja) * 2013-04-28 2016-07-14 インペル ニューロ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用単位用量コンテナ
USD761951S1 (en) 2013-05-23 2016-07-19 Optinose As Nosepiece unit
GB2516434B (en) * 2013-07-19 2015-11-25 Consort Medical Plc Fluid delivery device
CA3129707C (en) 2013-08-20 2023-04-25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Inhaler
CA2913828C (en) 2013-08-20 2022-04-12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Inhaler
CA2913811C (en) 2013-08-20 2022-06-07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Inhaler
US11278682B2 (en) 2014-11-09 2022-03-22 Sipnose Ltd. Device and method for aerosolized delivery of substance to a natural orifice of the body
US11471618B2 (en) * 2014-11-09 2022-10-18 Sipnose Ltd. Adjustable dosing delivery and multi sectioned drug compartment
DE202013105715U1 (de) * 2013-08-22 2014-02-19 Sipnose Ltd.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vorbestimmten Menge einer Substanz an eine natürliche Öffnung des Körpers
US11992604B2 (en) 2014-11-09 2024-05-28 Sipnose Ltd.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substance to a body cavity
US11116914B2 (en) 2014-11-09 2021-09-14 Sipnose Ltd. Device and method for aerosolized delivering of substance to a natural orifice of the body
ITRM20130562A1 (it) 2013-10-11 2015-04-12 Manuele Casale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a sostanza in forma di aerosol
EP2868334B1 (de) 2013-11-05 2017-01-11 Benedict Gerber Nasendusche
US10441654B2 (en) 2014-01-24 2019-10-15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Research Institute Inc. SMC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U2015279154A1 (en) * 2014-06-25 2017-01-12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JP6322844B2 (ja) * 2014-06-25 2018-05-16 東興薬品工業株式会社 医療用シリンジに用いられる点鼻用噴霧ノズル
FR3025110B1 (fr) * 2014-09-02 2016-12-23 Univ Francois-Rabelais De Tours Dispositif de pulverisation nasale de produit fluide
JP6402992B2 (ja) * 2014-10-03 2018-10-10 株式会社タニタ ガス測定装置、ガス測定システム、ガス測定方法、およびガス測定プログラム
CN107106792B (zh) 2014-11-19 2020-08-18 奥普蒂诺斯公司 经鼻给药
JP6384834B2 (ja) * 2015-01-30 2018-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粉体投与容器
JPWO2016152825A1 (ja) * 2015-03-24 2018-01-1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吸引器具
DE202015004852U1 (de) * 2015-07-06 2016-10-13 5med GmbH Nasenapplikator
MX2018002895A (es) 2015-09-10 2018-07-06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nasal en linea.
CN109152891B (zh) * 2016-03-24 2022-11-08 特鲁德尔医学国际公司 具有电子指示器的呼吸护理系统
WO2018112054A1 (en) * 2016-12-13 2018-06-21 Nanometics Llc Pump spray or pressurized aerosol device with applicator arm
US10368502B2 (en) 2017-09-25 2019-08-06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744967B2 (en) * 2017-09-26 2023-09-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US10792449B2 (en) 2017-10-03 2020-10-06 Breathe Technologies, Inc. Patient interface with integrated jet pump
US11833292B2 (en) * 2017-10-09 2023-12-05 Pearl Therapeutics, Inc. Drug delivery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7191099B2 (ja) 2017-11-21 2022-12-16 インペ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浸漬管を備えた鼻腔内装置
CN111372635B (zh) 2017-11-21 2022-08-16 英倍尔制药公司 带有入口接口的鼻内装置
FR3074051B1 (fr) * 2017-11-29 2019-11-22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synchronise avec l'inhalation
AU2019205318B2 (en) 2018-01-05 2022-02-03 Impel Pharmaceuticals Inc. Intranasal delivery of dihydroergotamine by precision olfactory device
AU2019205329B2 (en) 2018-01-05 2023-04-20 Impel Pharmaceuticals Inc. Intranasal delivery of olanzapine by precision olfactory device
CN110115790B (zh) * 2018-02-07 2021-08-06 心诚镁行动医电股份有限公司 雾化器组件及其气流主要导引件
WO2019195944A1 (en) 2018-04-12 2019-10-17 Fortitude Corp. Intranasal drug delivery device, system, and process
EP4378502A2 (en) * 2018-05-08 2024-06-05 Akroswiss AG Bi-dose nasal spray
CH714774B1 (de) * 2018-05-08 2019-09-13 Akroswiss Ag Bi-Dosis Nasenspray.
DE102019109079B4 (de) * 2018-07-03 2020-06-04 MO GmbH & Co. KG Aerosol-Dispersionseinrichtung
WO2020018959A1 (en) 2018-07-19 2020-01-23 Impel Neuropharma, Inc. Respiratory tract delivery of levodopa and dopa decarboxylase inhibitor for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WO2020142206A1 (en) 2019-01-03 2020-07-09 Impel Neuropharma, Inc. Nasal drug delivery device
BR112021023049A8 (pt) 2019-05-17 2022-10-18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nasal de uso único
CN114040793A (zh) 2019-06-09 2022-02-11 Kblv医疗有限责任公司 用于药物递送的远程调节和监控的装置和系统及其方法
IL294485A (en) 2020-01-22 2022-09-01 Seelos Therapeutics Inc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nmda antagonists
US11660407B2 (en) 2020-05-14 2023-05-30 Eli Lilly And Company Nasal delivery device with safety rod
US11878111B2 (en) * 2020-06-24 2024-01-23 Max Azevedo Venturi inhalation device
TW202310825A (zh) 2021-05-14 2023-03-16 美商西羅斯醫療公司 減少nmda受體拮抗劑之副作用
WO2022241214A1 (en) 2021-05-14 2022-11-17 Seelo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using nmda receptor antagonists
US11984211B2 (en) 2021-08-30 2024-05-14 Isaac Abadi System and method for utilization of data from remote regulation and monitoring of drug delivery
CN115282411A (zh) * 2022-01-14 2022-11-04 温州医科大学 利用鼻嗅区递送药物入脑的输送系统及其应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387A1 (en) 1999-07-23 2004-09-23 Mannkind Corporation Unit dose cartridge and dry powder inhaler
US20050252508A1 (en) 2004-02-05 2005-11-17 Joachim Koerner Dosing device
WO2007068896A1 (en) 2005-12-12 2007-06-21 Glaxo Group Limited Manifold for use in medicament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436A (en) 1898-06-07 Inhaler
US642748A (en) 1899-02-23 1900-02-06 Arthur Manners Inhaler.
US658436A (en) 1900-05-28 1900-09-25 Hans Hennerich Groth Insufflator.
US746749A (en) 1903-03-18 1903-12-15 George E Seidel Nasal medicator.
US794641A (en) 1905-03-06 1905-07-11 Alfred H Ramey Inhaler.
US902832A (en) 1907-09-20 1908-11-03 Edward F Philbrook Inhaler.
BE483136A (ko) * 1947-09-04 1942-06-30
DE3040641A1 (de) * 1980-10-29 1982-05-27 C.H. Boehringer Sohn, 6507 Ingelheim Mundrohr fuer dosieraerosol-geraete
JPS6297564A (ja) * 1985-10-23 1987-05-07 松下電工株式会社 酸素発生装置
AU641268B2 (en) * 1990-07-27 1993-09-16 Franco Del Bon Inhalation device
US5388572A (en) 1993-10-26 1995-02-14 Tenax Corporation (A Connecticut Corp.)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piston to aerosolize dose and deliver same
ES2145421T3 (es) 1995-01-23 2000-07-01 Direct Haler A S Inhalador.
US5797392C1 (en) 1996-01-22 2001-01-09 Direct Haler As Inhaler
EP0986413B1 (en) 1997-05-27 2004-09-01 Direct-Haler A/S Inhaler for powdered medicaments
FR2775668B1 (fr) 1998-03-04 2000-05-19 Tebro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eclenche par l'inhalation
US7045519B2 (en) 1998-06-19 2006-05-16 Chiron Corporation Inhibitors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
US6489344B1 (en) 1998-06-19 2002-12-03 Chiron Corporation Inhibitors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
DE29818662U1 (de) * 1998-10-20 2000-03-02 Wischerath Josef Gmbh Co Kg Inhalator
GB9904906D0 (en) * 1999-03-03 1999-04-28 Djupesland Per G Device
WO2000051672A1 (en) * 1999-03-03 2000-09-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14272D0 (en) 2001-06-12 2001-08-0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21568D0 (en) * 2001-09-06 2001-10-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015309D0 (en) 2000-06-21 2000-08-16 Djupesland Per G Apparatus
ZA200306564B (en) 2001-02-26 2004-10-15 Optinose As Nasal devices.
DE60205093T2 (de) 2001-03-15 2006-05-24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Vernebler mit kühlkammer
DE60134428D1 (de) 2001-04-10 2008-07-24 Becton Dickinson Co Arzneiverabreichungssystem mit halter und arzneimittelbehälter
GB2414414B (en) * 2001-06-12 2006-03-2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2395909B (en) * 2001-09-06 2005-02-16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207422D0 (en) 2002-03-28 2002-05-08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07817D0 (en) 2002-04-04 2002-05-15 Optinose As Nasal devices
GB2403154B (en) * 2002-04-04 2007-01-24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09494D0 (en) 2002-04-25 2002-06-05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270D0 (en) 2002-07-02 2002-08-14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904D0 (en) 2002-07-09 2002-08-21 Team Holdings Uk Lt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GB0300008D0 (en) 2003-01-02 2003-02-05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JP2006521343A (ja) 2003-03-27 2006-09-21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置換4−アミノ[1,2,4]トリアゾロ[4,3−a]キノキサリン
GB0311570D0 (en) 2003-05-20 2003-06-25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313355D0 (en) * 2003-06-10 2003-07-16 Glaxo Group Ltd Nozzle
CA2529083A1 (en) 2003-06-27 2005-01-06 Pfizer Products Inc. Pyrazolo[3,4-b]pyridin-6-ones as gsk-3 inhibitors
CA2525245C (en) 2003-06-27 2010-10-19 Pfizer Products Inc. Pyrazolo[3,4-b]pyridin-6-ones as gsk-3 inhibitors
GB0319119D0 (en) 2003-08-14 2003-09-17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320171D0 (en) 2003-08-28 2003-10-01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USD530815S1 (en) 2004-03-19 2006-10-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SE0400942D0 (sv) * 2004-04-08 2004-04-08 Henrik Arnberg Composition and method
GB0420513D0 (en)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503738D0 (en) 2005-02-23 2005-03-3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US20060289006A1 (en) * 2005-06-27 2006-12-28 Kos Life Sciences, Inc. Breath actuated nasal drug delivery system
US10478574B2 (en) 2006-01-19 2019-11-19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GB0602980D0 (en) 2006-02-14 2006-03-29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WO2007093784A1 (en) 2006-02-14 2007-08-23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604319D0 (en) 2006-03-03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livery
GB0604444D0 (en)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605799D0 (en) 2006-03-23 2006-05-03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GB2437488A (en) 2006-04-25 2007-10-31 Optinose As Pharmaceutical oily formulation for nasal or buccal administration
GB2438834A (en) 2006-06-08 2007-12-12 Optinose As Intranasal protein administration
GB2440316A (en) 2006-07-25 2008-01-30 Optinose As Nasal inhaler with scrubber
GB0623732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623728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623731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
WO2008122018A1 (en) 2007-04-02 2008-10-09 Abbott Respiratory Llc Breath actuated nasal pump
GB244818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powder delivery device
GB244819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719299D0 (en) 2007-10-03 2007-11-1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WO2009102976A2 (en) 2008-02-15 2009-08-20 Timothy Sean Immel Aerosol therapy device with high frequency delivery
JP2009210607A (ja) * 2008-02-29 2009-09-17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US20110318345A1 (en) 2008-09-15 2011-12-29 Optinose As Nasal delivery
GB201015371D0 (en) 2010-09-14 2010-10-27 Optinose As Nasal delivery
US9949923B2 (en) 2011-03-15 2018-04-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US10179216B2 (en) 2012-02-24 2019-01-15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MX358061B (es) 2012-02-24 2018-08-03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MX352029B (es) 2012-02-24 2017-11-07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EP4062939A1 (en) 2013-03-26 2022-09-28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US11554229B2 (en) 2013-03-26 2023-01-17 OptiNose Inc. Nasal administration
USD723156S1 (en) 2013-05-23 2015-02-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USD761951S1 (en) 2013-05-23 2016-07-19 Optinose As Nosepiece unit
USD725769S1 (en) 2013-05-23 2015-03-3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CN107106792B (zh) 2014-11-19 2020-08-18 奥普蒂诺斯公司 经鼻给药
US20220296825A1 (en) 2018-10-04 2022-09-22 Optinose As Exhalation delivery system for and method of treating sinus dise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387A1 (en) 1999-07-23 2004-09-23 Mannkind Corporation Unit dose cartridge and dry powder inhaler
US20050252508A1 (en) 2004-02-05 2005-11-17 Joachim Koerner Dosing device
WO2007068896A1 (en) 2005-12-12 2007-06-21 Glaxo Group Limited Manifold for use in medicament dispen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974A (ko) * 2018-04-19 2019-10-29 조민수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KR102138725B1 (ko) * 2018-04-19 2020-07-28 조민수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KR20190123104A (ko) * 2018-04-23 2019-10-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상기도 분무 장치
KR102140739B1 (ko) * 2018-04-23 2020-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상기도 분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5467A1 (en) 2011-04-21
US20220031980A1 (en) 2022-02-03
US10252010B2 (en) 2019-04-09
US20160101249A1 (en) 2016-04-14
CA2701409C (en) 2017-06-20
PL2653183T3 (pl) 2015-11-30
US9067034B2 (en) 2015-06-30
RU2010117362A (ru) 2011-11-20
MX355727B (es) 2018-04-27
EP2197525A1 (en) 2010-06-23
JP5778422B2 (ja) 2015-09-16
AU2008306635A1 (en) 2009-04-09
GB0719299D0 (en) 2007-11-14
CA2701409A1 (en) 2009-04-09
JP6234421B2 (ja) 2017-11-22
BRPI0817502A2 (pt) 2015-03-24
IL204787A0 (en) 2010-11-30
DK2653183T3 (en) 2015-06-08
EP2197525B1 (en) 2013-07-24
GB0806808D0 (en) 2008-05-14
JP2014166593A (ja) 2014-09-11
EP2653183A1 (en) 2013-10-23
GB2459266A (en) 2009-10-21
GB0818230D0 (en) 2008-11-12
ES2538674T3 (es) 2015-06-23
WO2009044172A1 (en) 2009-04-09
MX2010003697A (es) 2010-06-01
US11083858B2 (en) 2021-08-10
US20110088690A1 (en) 2011-04-21
CN101918061B (zh) 2014-08-27
JP2010540147A (ja) 2010-12-24
CN101918061A (zh) 2010-12-15
ES2436496T3 (es) 2014-01-02
JP2016026109A (ja) 2016-02-12
RU2506096C2 (ru) 2014-02-10
US20230248925A1 (en) 2023-08-10
JP6183855B2 (ja) 2017-08-23
US20190290864A1 (en) 2019-09-26
GB2453841A (en) 2009-04-22
EP2653183B1 (en) 2015-03-04
US11602603B2 (en) 2023-03-14
KR20100068478A (ko)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502B1 (ko) 코를 통한 전달 장치
US11033696B2 (en) Nasal delivery devices
US8511303B2 (en) Nasal delivery devices
EP1988953B1 (en) Delivery device
WO2003020350A1 (en) Nasal delivery device
GB2471973A (en) Nasal delivery device
AU2014233542B2 (en) Nasal delivery devices
AU2007202918A1 (en) Nas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