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561A -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561A
KR20190121561A KR1020180045022A KR20180045022A KR20190121561A KR 20190121561 A KR20190121561 A KR 20190121561A KR 1020180045022 A KR1020180045022 A KR 1020180045022A KR 20180045022 A KR20180045022 A KR 20180045022A KR 20190121561 A KR20190121561 A KR 2019012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expansion valve
heat exchanger
flow path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874B1 (ko
Inventor
김지원
김정훈
김현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25B41/046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7/00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 F25B2327/001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of the internal combus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8Means for preventing liquid refrigerant entering into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3Oi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압축기 흡입유로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압축기 토출유로에 설치된 오일분리기와; 엔진과; 엔진과 압축기를 연결,분리하는 클러치와;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연결된 실외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액관으로 연결된 실내팽창밸브와; 실내팽창밸브와 연결된 실내열교환기와;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와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로 연결되며 실내열교환기와 기관으로 연결된 냉난방 절환밸브와; 엔진과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고 냉각수 라인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유로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보조 열교환기와; 액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된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압축기 토출유로와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와;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와; 난방운전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오일회수대기모드와,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오일회수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엔진에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이용한 냉동사이클 장치에 의해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 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일예는 가스 엔진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 난방 시키는 GHP(Gas Engine Heat Pump) 공기조화기가 있다.
상기 GHP 공기조화기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10-0722091 B1(2007년05월25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연통시키는 냉매통로에 바이패스 통로가 연결되고, 바이패스 통로 도중에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 및 서브 팽창밸브가 구비되며, 난방시 실외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조정하는 메인 팽창밸브가 냉매 통로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의 도중에 오일부족 현상이 발생되면, 사방밸브를 난방모드에서 냉방모드로 모드 전환하여 오일을 기액분리기로 회수할 수 있는데, 사방밸브의 모드 전환시,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에 의해 기액분리기 내에 급격한 압력변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큰 압력변동에 의해 기액분리기 내 액냉매는 압축기로 유입될 수 있고,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10-0722091 B1(2007년05월25일 공고)
본 발명은 오일회수를 위한 냉난방절환밸브의 모드 전환시 기액분리기 내 액냉매가 압축기로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가 연결된 압축기와; 압축기 흡입유로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압축기 토출유로에 설치된 오일분리기와; 엔진과; 엔진과 압축기를 연결,분리하는 클러치와;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연결된 실외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액관으로 연결된 실내팽창밸브와, 실내팽창밸브와 연결된 실내열교환기와;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와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로 연결되며 실내열교환기와 기관으로 연결된 냉난방 절환밸브와; 엔진과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고 냉각수 라인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유로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보조 열교환기와; 액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된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냉매유로를 연결하는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와; 냉매유로와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와; 압축기 토출유로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와;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난방운전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오일회수대기모드와,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오일회수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제어부는 오일분리기 내 오일이 설정 레벨 이하이면, 오일회수대기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오일회수대기모드 중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오일회수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일회수대기모드시, 엔진의 회전수를 설정 회전수로 감소시키고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는 제1모드와, 엔진의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로 감소시키고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제2모드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일회수모드의 도중에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일회수모드 이후에,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난방대기모드와,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를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난방운전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일회수모드의 도중에 오일분리기 내 오일이 설정 레벨 초과이면, 난방대기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난방대기모드의 도중에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차 미만이면 난방운전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난방대기모드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난방운전모드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할 수 잇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를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일회수모드 이전에 오일회수대기모드가 실시되고, 시스템의 고압과 저압의 차가 낮아진 상태에서 오일회수모드가 실시되므로, 기액분리기 내 액 냉매가 기액분리기 내 압력 변동에 의해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압축기의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오일회수대기모드시, 고압과 저압의 차가 단계적으로 감소되므로, 오일회수대기모드시의 압력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스템의 급격한 압력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오일회수모드의 도중에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가 클로즈되어, 오일회수모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신속한 오일 회수가 가능하며, 난방운전모드의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난방운전모드 이전에 난방대기모드가 살시되고 시스템의 고압과 저압의 차가 낮아진 상태에서 난방운전모드가 실시되므로, 기액분리기 내 액 냉매가 기액분리기 내 압력 변동에 의해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압축기의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냉매 유동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냉매 유동이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오일회수대기모드일 때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난방대기모드일 때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방운전과 오일회수운전과 난방운전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때의 고압과 저압 변화가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냉매 유동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냉매 유동이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클러치가 동력차단모드일 때의 구성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실외기(O)와, 복수개 실내기(I1)(I2)(I3)(I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O)는 복수개 실내기(I1)(I2)(I3)(I4)와 액관(L) 및 기관(G)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엔진(1)과, 압축기(2)와, 실외열교환기(3)과, 실내팽창밸브(4)와, 실내열교환기(5)와, 냉난방 절환밸브(6)와, 실외팽창밸브(12)와, 클러치(17)와,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18)와,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보조 열교환기(7)와, 바이패스 유로(8)과, 바이패스 밸브(9)와,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10)와;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진(1)은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1)은 회전수가 가변되게 구동될 수 있다. 엔진(1)은 최소 회전수와 최대 회전수 범위 내에서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엔진(1)에는 냉각수가 통과할 수 있는 냉각수유로(1')가 형성될 수 있고, 냉각수유로(1')에는 냉각수 라인(13)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각수 라인(13)에 연결되고 냉각수가 통과하는 방열유로가 형성된 라디에이터(14)와; 냉각수 라인(13)에 설치되어 엔진(1)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보조 열교환기(7)의 냉각수유로(71) 또는 라디에이터(14)로 안내하는 냉각수 밸브(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진(1)은 냉각수 라인(13)에 의해 보조 열교환기(7)와 라디에이터(14) 및 냉각수 밸브(15) 및 냉각수 펌프(16)와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 라인(13)은 엔진(1)의 냉각수유로(1')와 냉각수 밸브(16)를 잇는 엔진 출수라인(13A)와, 냉각수 밸브(15)와 보조 열교환기(7)의 냉각수유로(71)를 잇는 보조 열교환기 입수라인(13B)와, 보조 열교환기(7)의 냉각수유로(71)와 냉각수 펌프(16)를 잇는 보조 열교환기 출수라인(13C)와, 냉각수 밸브(15)와 라디에이터(14)를 잇는 라디에이터 입수 라인(13D)와, 라디에이터(14)와 냉각수 펌프(16)를 잇는 라디에이터 출수라인(13E)와, 냉각수 펌프(16)와 엔진(1)의 냉각수유로(1')를 잇는 엔진 입수라인(13F)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7)와 라디에이터(14)는 냉각수 라인(13)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냉각수 밸브(15)는 엔진 출수라인(13A)에서 유동된 냉각수를 보조 열교환기(7)로 유동되게 안내하거나 라디에이터(14)로 유동되게 안내할 수 있다.
냉각수 밸브(15)는 삼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의해 보조 열교환기(7)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보조 열교환기 공급모드로 제어되거나 라디에이터(14)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라디에이터 공급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엔진(1)은 클러치(17)에 의해 압축기(2)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러치(17)는 엔진(1)의 회전축과 압축기(2)의 구동축 중 적어도 하나와 풀리나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1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모드시, 엔진(1)의 회전축과, 압축기(2)의 구동축 사이에서 회전축의 회전력을 압축기(2)의 구동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러치(17)의 온시 클러치(17)는 동력전달모드일 수 있고, 엔진(1)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어 압축기(2)의 구동축을 구동시킬 수 있다.
클러치(1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차단모드시, 엔진(1)의 회전축과, 압축기(2)의 구동축 사이에서 회전축의 회전력을 압축기(2)의 구동축으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클러치(17)의 오프시 클러치(17)는 동력차단모드일 수 있고, 엔진(1)의 회전축이 회전되더라도 압축기(2)의 구동축은 정지일 수 있다.
압축기(2)에는 압축기 흡입유로(21) 및 압축기 토출유로(22)가 연결될 수 있고, 압축기(2)는 엔진(1)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엔진(1)의 구동에 따른 압축기(2)의 구동시, 압축기 흡입유로(21)의 냉매는 압축기(2)로 흡입되어 압축기(2) 내부에서 압축될 수 있고,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는 압축기 토출유로(2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압축기(2)는 실린더와 피시톤을 갖는 로터리 압축기구나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구로 구성될 수 있고, 압축기(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의 구동축은 클러치(17)와 직접 연결되거나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될 수 있고, 엔진(1)의 회전수 가변시, 압축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용량 가변식 압축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23)는 압축기 흡입유로(21)에 설치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6)에서 유동된 기상냉매와 액냉매 중 액냉매는 기액분리기(23)에서 담겨질 수 있고, 기상냉매는 기액분리기(23)에서 압축기(2)로 흡입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23)는 압축기(2) 또는 압축기 흡입유로(21)에 오일 회수관(25)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오일분리기(24)는 압축기 토출유로(22)에 장착된 오일분리기(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에서 토출된 냉매와 오일은 오일분리기(24)에서 분리될 수 있고, 오일분리기(24)에서 냉매와 분리된 오일은 오일 회수관(26)을 통해 기액분리기(23)나 압축기 흡입유로(21)로 유동된 후 압축기(2)로 회수될 수 있다.
오일분리기(24)는 오일의 량을 감지할 수 있는 오일 센서(27)가 장착될 수 있다. 오일 센서(27)는 오일분리기(24) 내 오일의 레벨(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오일 레벨센서일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3)는 냉난방 절환밸브(6)와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31)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3)는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것으로서, 실외열교환기(3)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3)는 실외팽창밸브(12)와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3)는 실외팽창밸브(12)와 연결 튜브(32)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열교환기(3)로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팽창밸브(4)는 실외팽창밸브(12)와 액관(L)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팽창밸브(4)는 실내열교환기(5)와 함께 실내기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5)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팬(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 실내기(I1)(I2)(I3)(I4) 각각은 실내팽창밸브(4)와, 실내팽창밸브(4)와 연결된 실내열교환기(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실내기(I1)(I2)(I3)(I4) 각각은 실내팽창밸브(4)와 실내열교환기(5) 및 실내팬(52)을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6)는 압축기 흡입유로(21) 및 압축기 토출유로(22) 각각과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3)와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31)로 연결되며 복수개 실내기(I1)(I2)(I3)(I4)와 기관(G)으로 연결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6)는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제어되는 사방밸브일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6)는 냉방모드시, 압축기 토출유로(22)의 냉매를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31)로 안내함과 아울러 기관(G)의 냉매를 압축기 흡입유로(21)로 안내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6)는 난방모드시, 압축기 토출유로(22)의 냉매를 기관(G)으로 안내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31)의 냉매를 압축기 흡입유로(21)로 안내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7)는 엔진(1)과 냉각수 라인(13)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7)는 냉매와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냉매-냉각수 열교환기일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7)는 엔진(1)에서 유동된 냉각수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방열시키는 냉각수 방열 열교환기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열교환기(7)는 냉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3)에서 응축된 후 바이패스 팽창밸브(9)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일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7)에는 냉각수 라인(13)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유로(71)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7)는 냉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3)에서 응축된 냉매가 실내팽창밸브(4) 및 실내열교환기(5)를 바이패스하면서 통과하는 바이패스 열교환기일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8)는 액관(L) 중 실외열교환기(3)와 실내팽창밸브(4) 사이와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8)는 액관(L) 중 실외팽창밸브(12)와 실내팽창밸브(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팽창밸브(9)는 바이패스 유로(8)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10)는 바이패스 팽창밸브(9)와 냉매유로(72)를 연결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11)는 냉매유로(72)와 압축기 흡입유로(21)를 연결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11)는 압축기 흡입유로(21) 중 냉난방 절환밸브(6)와 기액분리기(2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은 압축기 토출유로(22)와 압축기 흡입유로(21)를 연결할 수 있다.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의 일단은 압축기 토출유로(22) 중 오일분리기(24)와 냉난방 절환밸브(6)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의 타단은 압축기 흡입유로(21) 중 냉난방 절환밸브(6)와 기액분리기(2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은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에 설치될 수 있다.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의 개방시, 오일분리기(24)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실외열교환기(3)와 실외팽창밸브(12)와 실내팽창밸브(4) 및 실내열교환기(5)를 바이패스 한 후, 기액분리기(23)로 유동될 수 있다.
엔진(1)과, 압축기(2)와, 실외열교환기(3)와, 냉난방 절환밸브(6)와, 보조 열교환기(7)와, 바이패스 유로(8)과, 바이패스 밸브(9)와,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10)와,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11)과, 실외팽창밸브(12)와, 냉각수 라인(13)과, 라디에이터(14)와, 냉각수 밸브(15)와, 냉각수 펌프(16)와,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 및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는 모두 실외기(O)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흡입유로(21)의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하는 저압센서(10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토출유로(22)의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하는 고압센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실외기(O)를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부일 수 있고, 엔진(1), 냉난방 절환밸브(6), 바이패스 팽창밸브(9), 실외팽창밸브(12), 냉각수 밸브(15)와, 클러치(17)와,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 및 실외팬(33)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따라, 냉난방 절환밸브(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난방운전의 도중에 오일회수운전의 개시조건이면, 진행중이던 난방운전을 중단하고 오일회수운전을 실시할 수 있고, 오일회수운전의 종료조건이면, 진행중이던 오일회수운전을 중단하고 난방운전으로 복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운전시,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과 같이 운전되게 냉난방 절환밸브(6)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운전의 전,후에 클러치(1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운전의 전,후에 실내팽창밸브(4)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 실외팽창밸브(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난방운전을 난방운전모드(D)로 칭하여 설명하고, 오일회수운전을 오일회수모드(B)로 칭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방운전과 오일회수운전과 난방운전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때의 고압과 저압 변화가 도시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00)는 공기조화기를 오일회수대기모드(A)와, 오일회수모드(B)와, 난방대기모드(C)와, 난방운전모드(D)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기조화기를 오일회수대기모드(A), 오일회수모드(B), 난방대기모드(C), 난방운전모드(D)의 순서로 제어할 수 있고, 난방운전모드(D) 후, 다시 오일회수대기모드(A)를 재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 오일회수모드(B), 난방대기모드(C), 난방운전모드(D)의 순서로 이어지는 제어 사이클 동안 엔진(1)을 부하에 따라 회전수가 가변되는 가변 회전수(RO)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엔진(1)을 설정 회전수(R1)나 최저 회전수(R2)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 회전수(R1)는 최저 회전수(R2) 보다 높은 회전수일 수 있다. 설정 회전수(R1)는 난방운전모드(D)의 가변 회전수(RO) 보다 낮은 회전수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 오일회수모드(B), 난방대기모드(C), 난방운전모드(D)의 순서로 이어지는 제어 사이클 동안 클러치(17)을 동력차단모드나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 오일회수모드(B), 난방대기모드(C), 난방운전모드(D)의 순서로 이어지는 제어 사이클 동안 팽창밸브(4)(9)(12)를 최대 개도로 개방하는 개방모드로 제어하거나, 팽창밸브(4)(9)(12)의 개도를 가변시키는 개도 가변모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 오일회수모드(B), 난방대기모드(C), 난방운전모드(D)의 순서로 이어지는 한 제어 사이클 동안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모드나 클로즈모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 오일회수모드(B), 난방대기모드(C), 난방운전모드(D)의 순서로 이어지는 한 제어 사이클 동안 냉난방 절환밸브(6)을 냉방모드나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오일회수대기모드(A)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오일회수대기모드(A)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모드(D)인 도중에 개시될 수 있다. 오일회수대기모드(A)는 난방운전모드(D)의 도중에 압축기(2)의 오일이 부족인 조건 즉, 오일회수조건이면 개시될 수 있다. 오일회수조건은 오일분리기(24) 내 오일이 설정 레벨 이하인 경우일 수 있고, 제어부(100)는 난방운전모드(D) 도중에 오일분리기(24) 내 오일이 오일회수 레벨 이하인 조건이면, 오일회수대기모드(A)를 개시할 수 있다.
오일센서(26)는 오일분리기(24) 내 오일의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값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잇고, 제어부(100)는 오일센서(26)에서 감지된 오일 레벨이 오일회수 레벨 이하이면, 난방운전모드(D)를 정지하고 오일회수대기모드(A)를 개시할 수 있다.
오일회수대기모드(A)는 시스템의 고압과 저압이 신속하게 근접해지도록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평압화하는 모드로서, 일종의 평압화모드일 수 있다.
오일회수대기모드(A)는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하고,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하고,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회수대기모드(A)시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것은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을 최대 개도로 개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제어부(100)는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시, 엔진(1)을 정지시키지 않고, 엔진(1)을 설정 회전수(R1)나 최저 회전수(R2)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조건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하는 것과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는 것과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것을 함께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부의 제어가 시간차를 두고 실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대기모드(A)시, 제1모드(A1)와 제2모드(A2)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모드(A1)시, 엔진(1)를 설정 회전수(R1)로 제어하고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할 수 있다.
난방운전모드(D) 중에 가변 회전수(RO)로 구동 중이던 엔진(1)은 오일회수대기모드(A)시 정지되지 않고 계속 구동되되, 오일회수대기모드(A)가 개시되기 이전 보다 낮은 설정 회전수(R1)로 구동될 수 있다.
오일회수대기모드(A)의 제1모드(A1)시, 엔진(1)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1)로 낮춰지고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가 개방되면, 시스템의 고압은 오일회수대기모드(A)의 이전보다 점차 낮아질 수 있고, 시스템의 저압은 오일회수대기모드(A)의 이전보다 점차 높아질 수 있으며, 시스템의 고압과 저압의 차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모드(A2)시, 엔진(1)의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R2)로 감소시키고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며,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모드로 개방할 수 있다.
오일회수대기모드(A)의 제2모드(A2)는 제1모드(A1)가 설정시간 실시된 후, 개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시스템의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범위 이내일 때 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일회수대기모드(A)의 제2모드(A2)시, 클러치(17)가 동력차단모드로 제어되면, 압축기(2)는 점차 감속되고,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가 개방모드로 개방되면, 시스템의 고압과 저압은 신속하게 근접해질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모드(A1)시 고저압차를 1차적으로 줄인 후, 제2모드(A2)시 고저압차를 2차적으로 줄일 수 있고, 오일회수대기모드(A)의 전체 기간 동안 시스템 내부의 압력 변동은 크지 않게 하면서, 시스템의 고저압차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모드(A2)의 도중에,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난방운전모드(D)와 같이, 개도 가변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오일회수모드(B)에 대해 설명한다.
오일회수모드(B)는 오일회수대기모드(A)가 실시된 이후에 실시되는 모드로서, 시스템이 충분히 평압화된 상태에서 개시될 수 있다. 오일회수모드(B)는 오일회수대기모드(A) 중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고압센서(104)에서 감지된 고압과 저압센서(102)에서 감지된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오일회수모드(B)를 개시할 수 있다.
오일회수모드(B)는 클러치(17)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6)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고압과 저압이 동일하거나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일 경우, 시스템은 충분히 평압화된 상태이고, 이와 같이 시스템이 평압화된 상태에서 냉난방절환밸브(6)가 난방모드에서 냉방모드로 전환되면, 기액분리기(23) 내의 압력은 크게 변동되지 않게 된다. 즉, 냉난방절환밸브(6)가 난방모드에서 냉방모드로 전환되더라도 기액분리기(23) 내의 액냉매는 압축기 흡입유로(21)로 유입되지 않고 기액분리기(23) 내에 잔존할 수 있으며, 압축기(2)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모드(B)시 엔진(1)을 최저 회전수(R2) 보다 높은 설정 회전수(R1)나 가변 회전수(RO)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모드(B)의 도중에 엔진(1)을 설정 회전수(R1) 보다 높은 가변 회전수(RO)로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모드(B)의 도중에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오일회수모드(B)는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가 개방인 상태에서 오일이 회수되는 제3모드(B1)과,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가 클로즈인 상태에서 오일이 회수되는 제4모드(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모드(B1)는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오일을 회수하는 모드일 수 있고, 제4모드(B2)는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18)를 제외한 시스템 전체의 오일을 회수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오일회수모드(B)의 개시시,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는 개방인 상태이고, 오일회수모드(B)의 도중에 압축기 토출유로(22)의 냉매 중 일부는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18) 및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통과하면서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18) 내의 오일을 압축기 흡입유로(21)로 압송할 수 있다.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18) 내 오일이 충분히 회수되면, 실외열교환기(3)나 실내열교환기(5) 내의 오일이 신속하게 회수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제4모드(B2)의 경우, 제3모드(B1)의 경우 보다 다량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3)나 실내열교환기(5)를 통과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3)나 실내열교환기(5)의 오일은 제4모드(B2)시 보다 신속하게 회수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모드(B)가 개시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예를 들면, 2분)이 경과되면,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오일회수모드(B)에 의해 시스템내 오일이 충분히 회수되면,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모드(B)를 정지하고, 난방대기모드(C)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오일회수모드(B)의 도중에 오일분리기(24) 내 오일이 난방복귀 레벨 이상이면, 난방대기모드(C)를 개시할 수 있다. 난방복귀 레벨은 오일회수 레벨보다 높게 설정된 레벨일 수 있다.
오일회수모드(B)시 공기조화기는 냉방모드와 같이 운전되므로, 시스템의 고저압차는 클 수 있고, 제어부(100)는 공기조화기가 다시 곧바로 난방운전모드(D)로 복귀되기 이전에, 시스템의 고저압차를 다시 낮추기 위해 난방대기모드(C)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난방대기모드(C)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대기모드(C)는 오일회수모드(B) 이후에,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난방대기모드(C)시, 제어부(100)는 엔진(1)을 최저 회전수(R2)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난방대기모드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난방대기모드(C)시, 공기조화기는 오일회수대기모드(A)와 같이, 시스템의 고저압차가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난방대기모드(C)의 도중에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도 가변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난방운전모드(D)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운전모드(D)는 난방대기모드(C)가 실시된 이후에 실시되는 모드로서, 시스템이 충분히 평압화된 상태에서 개시될 수 있다. 난방운전모드(D)는 난방대기모드(C) 중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고압센서(104)에서 감지된 고압과 저압센서(102)에서 감지된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난방운전모드(D)를 개시할 수 있다.
난방운전모드(D)는 제어부(100)는 클러치(18)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6)를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난방운전모드(D)시, 엔진(1)을 최저 회전수(R2) 보다 높은 가변회전수(RO)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난방운전모드(D)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난방대기모드(C)에 의해 고압과 저압이 동일하거나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일 경우, 시스템은 충분히 평압화된 상태이고, 이와 같이 시스템이 평압화된 상태에서 난방운전모드(D)가 개시되어, 냉난방절환밸브(6)가 냉방모드에서 난방모드로 전환되면, 기액분리기(23) 내의 압력은 크게 변동되지 않게 된다. 즉, 냉난방절환밸브(6)가 냉방모드에서 난방모드로 전환되더라도 기액분리기(23) 내의 액냉매는 압축기 흡입유로(21)로 유입되지 않고 기액분리기(23) 내에 잔존할 수 있으며, 압축기(2)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9)를 개방하고,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오일회수 대기단계(S1)(S2)(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회수 대기단계(S1)(S2)(S3)(S4)는, 난방운전모드(D)의 도중에 오일센서(26)에서 감지된 오일 레벨이 오일회수 레벨 이하이면, 실시될 수 있다.
오일회수 대기단계(S1)(S2)(S3)는 엔진(1)의 회전수를 설정 회전수(R1)로 제어하고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하는 제1과정과, 제1과정 도중에 엔진(1)의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R2)로 감소시키고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며,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제2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클러치(17)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6)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오일회수운전단계(S4)(S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회수운전단계(S4)(S5)는 고압센서(104)에서 감지된 고압과 저압센서(102)에서 감지된 저압의 차(P)가 설정값 미만이면, 오일회수모드(B)를 개시할 수 있다.
오일회수운전단계(S4)(S5)는 엔진(1)을 최저 회전수(R2) 보다 높은 회전수로 구동시키거나 설정 회전수(R1) 보다 높은 회전수로 구동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오일회수운전단계(S4)(S5)의 도중에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오일회수운전단계(S4)(S5)는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가 개방인 상태에서 오일이 회수되는 제3과정과,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가 클로즈인 상태에서 오일이 회수되는 제4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회수운전단계(S4)(S5)는 그 개시 시점부터 설정시간(예를 들면, 2분)이 경과되면,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난방 대기단계(S6)(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방 대기단계(S6)(S7)는 오일회수단계(S5)의 도중에 오일분리기(24) 내 오일이 난방복귀 레벨 이상이면, 개시될 수 있다.
난방 대기단계(S6)(S7)는 오일회수단계(S5) 이후에, 클러치(17)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난방 대기단계(S6)(S7)는 엔진(1)을 최저 회전수(R2)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개방할 수 있다.
난방 대기단계(S6)(S7)는 그 도중에 팽창밸브(4)(9)(12) 즉, 실내팽창밸브(4)와, 실외팽창밸브(12)와, 바이패스 팽창밸브(9)를 개도 가변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클러치(17)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냉난방절환밸브(6)를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난방운전단계(S8)(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방운전단계(S8)(S9)는 난방 대기단계(S6)(S7) 이후에 실시되는 단계로서, 난방 대기단계(S6)(S7) 도중에 고압센서(104)에서 감지된 고압과 저압센서(102)에서 감지된 저압의 차(P)가 설정값 미만이면, 개시될 수 있다.
난방운전단계(S8)(S9)는 엔진(1)을 최저 회전수(R2) 보다 높은 회전수로 구동시킬 수 있다. 난방운전단계(S8)(S9)는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1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엔진 2: 압축기
3: 실외열교환기 4: 실내팽창밸브
5: 실내열교환기 6: 냉난방 절환밸브
7: 보조 열교환기 9: 바이패스 팽창밸브
10: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 11: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
12: 실외팽창밸브 17: 클러치
19: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 27: 오일센서
100: 제어부 102: 저압센서
104: 고압센서

Claims (9)

  1.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가 연결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에 설치된 오일분리기와;
    엔진과;
    상기 엔진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분리하는 클러치와;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연결된 실외팽창밸브와;
    상기 실외팽창밸브와 액관으로 연결된 실내팽창밸브와,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연결된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기관으로 연결된 냉난방 절환밸브와;
    상기 엔진과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라인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유로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보조 열교환기와;
    상기 액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된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상기 냉매유로를 연결하는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와;
    상기 냉매유로와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와;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와;
    난방운전시,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오일회수대기모드와, 상기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냉난방절환밸브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오일회수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분리기 내 오일이 설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오일회수대기모드를 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회수대기모드 중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오일회수모드를 개시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일회수대기모드시,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설정 회전수로 감소시키고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는 제1모드와,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로 감소시키고 상기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제2모드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회수모드의 도중에 상기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회수모드 이후에, 상기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난방대기모드와,
    상기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냉난방절환밸브를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난방운전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회수모드의 도중에 상기 오일분리기 내 오일이 설정 레벨 초과이면, 상기 난방대기모드를 개시하고,
    상기 난방대기모드의 도중에 고압과 저압의 차가 설정차 미만이면 상기 난방운전모드를 개시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대기모드시,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난방운전모드시,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하는 공기조화기.
  8.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가 연결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에 설치된 오일분리기와;
    엔진과;
    상기 엔진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분리하는 클러치와;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연결된 실외팽창밸브와;
    상기 실외팽창밸브와 액관으로 연결된 실내팽창밸브와,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연결된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 및 압축기 토출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연결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기관으로 연결된 냉난방 절환밸브와;
    상기 엔진과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라인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유로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보조 열교환기와;
    상기 액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된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팽창밸브와 상기 냉매유로를 연결하는 보조 열교환기 입구유로와;
    상기 냉매유로와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보조 열교환기 출구유로와;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핫가스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운전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상기 핫 가스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냉난방절환밸브를 냉방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를 동력차단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실내팽창밸브와, 실외팽창밸브와, 바이패스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를 동력전달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냉난방절환밸브를 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1020180045022A 2018-04-18 2018-04-18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462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022A KR102462874B1 (ko) 2018-04-18 2018-04-18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022A KR102462874B1 (ko) 2018-04-18 2018-04-18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61A true KR20190121561A (ko) 2019-10-28
KR102462874B1 KR102462874B1 (ko) 2022-11-03

Family

ID=6842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022A KR102462874B1 (ko) 2018-04-18 2018-04-18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7792A (zh) * 2021-09-28 2021-12-0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5307234A (zh) * 2022-08-05 2022-11-08 南京天加环境科技有限公司 高效制热的燃气热泵冷热水机组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314A (ja) * 2000-07-13 2002-01-2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冷媒分岐ユニット
KR20050078534A (ko) *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22091B1 (ko) 2005-03-23 2007-05-25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엔진 구동식 공기조화기
KR101673846B1 (ko) * 2016-04-11 2016-11-09 대성히트펌프 주식회사 히트펌프 시스템의 오일회수 운전제어방법 및 오일회수 운전제어기능을 갖는 히트펌프 시스템
JP2018035979A (ja) * 2016-08-30 2018-03-08 大阪瓦斯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検査方法、及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314A (ja) * 2000-07-13 2002-01-2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冷媒分岐ユニット
KR20050078534A (ko) *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22091B1 (ko) 2005-03-23 2007-05-25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엔진 구동식 공기조화기
KR101673846B1 (ko) * 2016-04-11 2016-11-09 대성히트펌프 주식회사 히트펌프 시스템의 오일회수 운전제어방법 및 오일회수 운전제어기능을 갖는 히트펌프 시스템
JP2018035979A (ja) * 2016-08-30 2018-03-08 大阪瓦斯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検査方法、及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7792A (zh) * 2021-09-28 2021-12-0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5307234A (zh) * 2022-08-05 2022-11-08 南京天加环境科技有限公司 高效制热的燃气热泵冷热水机组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874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162B2 (ja) 空気調和装置
US737711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75171B2 (ja) 冷凍装置
EP1526341B1 (en) Multi-unit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70894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15122056A1 (ja) 空気調和装置
WO2006085557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40103352A (ko) 냉동 장치
KR10246287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55850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2012270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887929B2 (ja) 冷凍装置
JP5517891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8063091A (ja) 冷房機能付き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5765325B2 (ja) 冷凍装置
KR2010007940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114341571B (zh) 制冷装置
KR2015012468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4371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고압상승 방지방법
KR102104818B1 (ko) 칠러
KR10246287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032183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61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422097B1 (ko) 공기조화기
JP6634590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