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075A -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 Google Patents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075A
KR20190121075A KR1020180044574A KR20180044574A KR20190121075A KR 20190121075 A KR20190121075 A KR 20190121075A KR 1020180044574 A KR1020180044574 A KR 1020180044574A KR 20180044574 A KR20180044574 A KR 20180044574A KR 20190121075 A KR20190121075 A KR 20190121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damping
variable nozzle
slid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403B1 (ko
Inventor
최원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4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2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specially adapted for units of the bush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진동 및 소음을 절연시키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노즐을 이용하여 광범위한 주파수의 자동차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 시키는 에어댐핑부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노즐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에 있어서, 가변노즐모듈은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소음 및 진동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회전 방향을 달리하는 모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원주면 일측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로드; 상단면에 나선형 돌기의 하부와 결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스크류로드의 회전에 따라 좌우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더;및 슬라이더 하부를 면접하여 둘러싸되 슬라이더와 측면에는 이격을 두어 일측에 형성된 소정의 폐공간으로 가변노즐의 노즐구멍을 형성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함으로써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소음, 진동, 불쾌감) R&H(Ride and Handling; 승차감, 핸들링) 능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AIR DAMPING BUSH WITH VARIABLE NOZZEL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진동 및 소음을 절연시키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노즐을 이용하여 광범위한 주파수의 자동차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에어댐핑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운행에는 엔진의 진동,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필수적으로 수반되고, 이를 절연하기 위해 현가장치(suspension) 혹은 댐핑부시(damping bush) 등을 사용한다. 댐핑부시는 현가장치의 체결부위를 비롯하여 자동차 샤시의 각종 부품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부의 압축 또는 인장에 따라 댐핑부시가 변형 및 회복되는 과정을 통해 그 진동 및 변형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댐핑부시는 고무와 같이 탄성력 있는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액체실 혹은 에어챔버를 형성하여 액체실 혹은 에어챔버 사이의 좁은 통로로 유체를 유동시켜 발생하는 유체의 저항을 통해 진동을 감쇠시킨다. 이때 유체는 자동차의 중량 상승 방지를 위해 공기를 활용한 에어댐핑부시가 시중의 자동차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 10-2014-0062628 호(부시 구조)는 에어댐핑 방식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소음 및 상하 거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댐핑부시에 있어서, 부시의 에어챔버 수를 늘려 공기의 유동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소음 및 진동 감소 효과를 상승시킨 에어댐핑부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브래킷을 이용하여 두 개의 에어부시를 연결함으로써 2차 댐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노즐의 단면적은 고정되어 있어 2차 댐핑에도 불구하고 좁은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진동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 10-1488282 호(에어 댐핑 방식 부시)는 에어댐핑 방식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챔버를 잇는 공기 유동로의 단면적과 길이를 달리하여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높은 진동은 단면적이 크고 길이가 짧은 유동로를 통하여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진동은 단면적이 작고 길이가 긴 유동로를 통하여 감소시키는 에어댐핑부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여전히 에어댐핑부시가 진동의 주파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어,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 감소를 위해서는 다수의 에어댐핑부시를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4-0062628 호 한국등록특허 제 10-1488282 호
본 발명은 기존의 에어댐핑부시에 있어 자동차 진동의 주파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단일의 에어댐핑부시만으로도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댐핑부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이너파이프, 아웃파이프, 인슐레이터 상부와 아웃파이프 하부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에어챔버, 에어챔버 사이에 위치한 노즐 및 가변노즐모듈을 포함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에 있어서, 가변노즐모듈은,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소음 및 진동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회전 방향을 달리하는 모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원주면 일측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로드; 상단면에 나선형 돌기의 하부와 결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스크류로드의 회전에 따라 좌우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더;및 슬라이더 하부를 면접하여 둘러싸되 슬라이더와 측면에는 이격을 두어 일측에 형성된 소정의 폐공간으로 가변노즐의 노즐구멍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빈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노즐 및 아웃파이프에 홈이 형성되어 노즐 및 아웃파이프의 홈에 가변노즐모듈이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노즐의 노즐구멍과 가변노즐모듈의 노즐구멍이 맞닿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변노즐의 노즐구멍은 스크류로드의 회전에 따라 너비가 변화하고 슬라이더의 좌우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단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로드의 나선형 돌기는 가변노즐의 노즐구멍 너비 변화에 대응 가능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터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슬라이더를 모터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슬라이더를 모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함으로써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R&H(Ride and Handling) 능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파수의 진동에 대응이 가능한바 에어댐핑부시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도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어, 크기가 다른 다수의 에어댐핑부시를 필요로 하지 않아 에어댐핑부시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경량화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진동의 주파수에 대응이 가능한 바 특정 주파수에서 노즐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반공진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에어댐핑부시에 조립할 수 있어 기존의 에어댐핑부시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에어댐핑부시 구조를 나타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1c는 도 1a의 B-B선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변노즐모듈이 종래의 에어댐핑부시 구조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C 영역의 확대 단면도로, 도 3a는 저주파수 특성을 가진 진동이 에어댐핑부시에 전달 되었을 때의 가변노즐모듈의 단면적이 감소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고주파수 특성을 가진 진동이 에어댐핑부시에 전달 되었을 때의 가변노즐모듈의 단면적이 증가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는 노즐의 단면적이 고정적인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른 각기 다른 노즐의 단면적을 가진 다수의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b는 노즐의 단면적이 가변인 단일의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른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에어댐핑부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댐핑부시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무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인슐레이터(100), 인슐레이터(100)와 아웃파이프(200) 사이의 공간으로서 공기가 유동되는 에어챔버(1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댐핑부시 구조는 공기의 유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브래킷으로 부시를 연결하여 에어챔버(101) 수를 늘림으로써 자동차의 상하 거동을 더 감소 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이미 정해져 있는 바 진동의 주파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의 진동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1b는 도 1a의 A-A 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B-B선을 도시하는 단면도로 종래 에어댐핑부시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다. 도 1b와 도 1c를 참조하면, 에어댐핑부시의 댐핑 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데,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력이 이너파이프(110)에 전해지고, 이너파이프(110)에 의해 분리된 에어챔버(101)에 압력이 일정 방향으로 가해짐에 따라 일측의 에어챔버(101)는 압축되고 타측의 에어챔버(101)는 팽창되는 현상이 교대로 발생하며 이로 인해 공기가 노즐(120)을 통과하면서 진동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세한 진동 감쇠 원리는 한국공개특허 제 10-2014-0062628 호에 공개되어 있는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변노즐모듈(300)이 종래의 에어댐핑부시에 조립된 것을 나타낸다. 가변노즐모듈(300)은 종래의 에어댐핑부시에 있던 노즐(120)과 아웃파이프(200)에 홈을 형성한 후 노즐(120)과 아웃파이프(200)의 홈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에는 노즐(120)의 노즐구멍과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이 맞닿아 일측의 에어챔버(101)에서 빠져 나온 공기가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과 노즐(120)의 노즐구멍 모두를 통과하여 타측의 에어챔버(101)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가변노즐모듈(300)의 구조를 알 수 있다. 가변노즐모듈(300)은 모터(310), 스크류로드(320), 슬라이더(330) 및 고정블럭(34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전자적 제어 장치인 ECM(Electric Control Module)에 연결되어 있고 ECM은 엔진 제어가 가능한 ECU(Electric Control Unit)에 연결되어 있어 엔진 rpm의 상승 또는 하강, 출력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ECU의 엔진 거동에 따른 신호가 ECM에 전달되면 ECM이 모터(31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ECM은 ECU뿐만 아니라 진동감지센서에도 연결될 수 있어, 엔진의 거동에 따른 진동뿐만 아니라 그 외에 자동차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모터(31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ECM은 주파수의 높낮이에 따라 모터(310)의 작동방향을 결정하고, 주파수 변화 속도에 따라 모터(310)의 작동속도 역시 결정할 수 있다.
스크류로드(320)는 모터(310)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원주면 일측에 나선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는 ‘ㄴ’자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스크류로드(320)에 연결되어 좌우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며 스크류로드(320)와의 결합을 위해 스크류로드(320)의 나선형 돌기에 결합 가능한 홈이 상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로드(320)가 모터(310)의 가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로드(320)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330)가 좌우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고정블럭(340)은 슬라이더(330) 하부를 면접하여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써 슬라이더(330)와 측면에는 이격을 두고 있어 일측에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폐공간이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120)구멍이 되며, 타측의 이격이 위치한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슬라이더(330)의 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더(330)가 스크류로드(3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바, 스크류로드(320)의 회전으로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 너비가 변화되고, 슬라이더(330)의 좌우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고정블럭(340)과 형성하는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스크류로드(320)의 나선형 돌기는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 너비 변화에 관여하는 바, 그 폭이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 최대 너비와 최소 너비의 차보다 클 수 있다.
스크류로드(320), 슬라이더(330) 및 고정블럭(340)의 재질은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메탈을 이용할 수 있고 부시의 경량화 측면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3a는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저주파수의 진동 및 소음이 발생했을 때 가변노즐모듈(300)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높은 진동 및 소음이 발생했을 때 가변노즐모듈(300)의 모습을 나타낸다.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클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저주파 진동에 대해 공기 저항이 크고 상대적으로 높은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공기 저항이 낮다.
이와 반대로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저주파 진동에 대해 공기 저항이 낮고 상대적으로 높은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 진동에 대해서는 공기 저항이 크다.
따라서 저주파 진동이 발생한 경우 도 3a와 같이 모터(310)를 슬라이더(330)가 모터(3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시켜 고정블럭(340)과 슬라이더(330) 사이의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 단면적인 x를 작게 하여 저주파수 진동에 대한 공기 저항을 낮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켜 저주파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고주파 진동이 발생한 경우 도 3b와 같이 모터(310)를 슬라이더(330)가 모터(310)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시켜 고정블럭(340)과 슬라이더(330) 사이의 가변노즐모듈(300)의 노즐구멍 단면적 x'를 크게 하여 고주파수 진동에 대한 공기 저항을 낮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켜 고주파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가변노즐모듈(300)의 구비 여부에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부품은 같은 에어댐핑부시를 사용한 조건에서의 진동 감쇠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노즐(120)의 단면적이 고정적이며 단면적이 다양한 다수의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른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별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b는 가변노즐모듈(300)을 종래의 에어댐핑부시에 조립하여, 노즐(120)의 단면적이 가변인 단일의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른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동적인 하중이나 진동을 받는 물체에 발생한 진동은 내부에 존재하는 감쇠 요인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동은 소멸하게 된다. 이는 외부에서 가한 에너지가 내부 감쇠 요인에 의한 감쇠로 손실되기 때문인데, 이때 감쇠에 의한 손실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손실계수가 쓰인다.
손실계수란, 진동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수로써 손실계수가 클수록 감쇠가 많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진동 감쇠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철이나 알루미늄 같은 금속의 손실계수는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과 같이 매우 낮은 반면 진동 감쇠가 잘 일어나 댐핑 부시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고무의 손실계수는 1.0으로 높다.
도 4a와 도 4b의 그래프의 왼쪽 세로축은 고무의 동강성을 나타나고, 오른쪽 세로축은 손실계수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진동 혹은 소음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동강성이란, 동적인 힘 또는 동정 모멘트와 이에 의한 동적인 변위 및 변형과의 관계에서의 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고무는 점탄성 물질로써 입력하중이 정적일 때는 정강성을 갖지만 주파수를 갖는 동하중에 대해서는 주파수 특성의 동강성을 가지게 된다. 동강성이 커지면 고무의 감쇄계수도 비례하여 커져 동강성이 높으면 진동 감쇠도 많이 일어나게 된다.
그래프의 굵은 실선은 주파수에 따른 고무의 동강성을 나타내고, 굵은 실선 아래 가는 실선과 점선은 주파수에 따른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를 나타낸다. 굵은 실선을 참조하면 입력 하중 혹은 진동의 주파수가 높아질 수록 고무의 동강성은 커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4a 및 도 4b에서 가는 실선과 점선을 살펴보면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의 변화는 고무의 동강성 변화와 정비례하여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무를 통한 진동 감쇠뿐만 아니라 에어챔버(101) 및 노즐(120)을 활용한 공기 유동을 통한 진동 감쇠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4a의 점선은 단면적이 가장 큰 노즐(120)이 장착된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를 나타내고, 왼쪽으로 갈 수록 단면적이 작은 노즐(120)이 장착된 에어댐핑부시의 손실계수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고정적인 경우 주파수의 특성에 따라 단면적 조절이 불가한 바 손실계수 그래프가 각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별로 특정 주파수에서만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만 진동 감쇠가 잘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커짐에 따라 실선의 최고점인 최대 손실계수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손실계수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커지면 고주파수 영역의 진동은 감쇠할 수 있으나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은 감쇠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넓은 주파수 영역의 진동 감쇠를 위해서는 노즐(120)의 노즐구멍 단면적이 다양한 에어댐핑부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은 주파수 영역내에서 가변노즐모듈(300)을 활용하여 가변적으로 노즐(120)의 단면적을 조정하는 경우, 주파수가 변화하더라도 주파수 영역 전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손실계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의 주파수가 변화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감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단면적에 따른 특정 주파수의 진동에 대한 손실계수 파악이 가능하다면 단면적을 조절하여 반공진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인슐레이터
101: 에어챔버
110: 이너파이프
120: 노즐
200: 아웃파이프
300: 가변노즐모듈
310: 모터
320: 스크류로드
330: 슬라이더
340: 고정블럭

Claims (6)

  1. 인슐레이터, 이너파이프, 아웃파이프, 상기 인슐레이터 상부와 상기 아웃파이프 하부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에어챔버, 상기 에어챔버 사이에 위치한 노즐 및 가변노즐모듈을 포함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에 있어서,
    상기 가변노즐모듈은, 상기 에어댐핑부시에 입력되는 소음 및 진동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회전 방향을 달리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원주면 일측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스크류로드;
    상단면에 상기 나선형 돌기의 하부와 결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로드의 회전에 따라 좌우 직선 운동을 하는 슬라이더;및,
    상기 슬라이더 하부를 면접하여 둘러싸되 상기 슬라이더와 측면에는 이격을 두어 일측에 형성된 소정의 폐공간으로 가변노즐의 노즐구멍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빈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및 상기 아웃파이프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 및 아웃파이프의 홈에 상기 가변노즐모듈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노즐구멍과 상기 가변노즐모듈의 노즐구멍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노즐의 노즐구멍은 상기 스크류로드의 회전에 따라 너비가 변화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에 따라 단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로드의 나선형 돌기는 상기 가변노즐의 노즐구멍 너비 변화에 대응 가능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모터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모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KR1020180044574A 2018-04-17 2018-04-17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KR10244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74A KR102441403B1 (ko) 2018-04-17 2018-04-17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74A KR102441403B1 (ko) 2018-04-17 2018-04-17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75A true KR20190121075A (ko) 2019-10-25
KR102441403B1 KR102441403B1 (ko) 2022-09-07

Family

ID=6842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74A KR102441403B1 (ko) 2018-04-17 2018-04-17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4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899A (en) * 1985-10-28 1989-08-22 Nissan Motor Co., Ltd. Bushing type vibration insulator
JPH0960687A (ja) * 1995-08-25 1997-03-04 Nok Megurasutikku Kk 液体封入式ブッシュ
US20090140479A1 (en) * 2007-12-03 2009-06-04 Markoski Jon E Variable compliance suspension bushing
KR20140062628A (ko) 2012-11-14 2014-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시 구조
KR101488282B1 (ko) 2009-12-02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댐핑 방식 부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899A (en) * 1985-10-28 1989-08-22 Nissan Motor Co., Ltd. Bushing type vibration insulator
JPH0960687A (ja) * 1995-08-25 1997-03-04 Nok Megurasutikku Kk 液体封入式ブッシュ
US20090140479A1 (en) * 2007-12-03 2009-06-04 Markoski Jon E Variable compliance suspension bushing
KR101488282B1 (ko) 2009-12-02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댐핑 방식 부시
KR20140062628A (ko) 2012-11-14 2014-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403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53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102509209B1 (ko) 듀얼 맴브레인 내장형 노즐플레이트를 가지는 엔진 마운트
US20090241890A1 (en) Damping force variator
JPS60159437A (ja) 自動車における弾性的な支持部のための液力式吸振装置
US7052003B2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KR102441401B1 (ko) 단방향 댐핑 멤브레인이 구비된 유체봉입마운트
US4693491A (en) Suspension system
US5184702A (en) Hydraulic damper
KR101755716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KR102441403B1 (ko) 가변노즐모듈을 구비한 에어댐핑부시
KR20180102233A (ko) 차량용 엔진마운트
KR100501361B1 (ko) 차량의 반 능동 마운트 장치
JPH0533824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
KR101499211B1 (ko) 유동량 자체 조절 가능한 엔진 마운트
KR100398287B1 (ko)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마운트
KR100204905B1 (ko) 감쇠력이 조절가능한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20110037685A (ko) 디커플러 일체형 하이드로 부쉬 마운트
JPH09217775A (ja) 減衰装置
KR101857038B1 (ko) 하이드로 마운트 노즐구조
KR100254348B1 (ko) 개도가변형 오리피스와 이를 이용한 인슐레이터
KR102586455B1 (ko)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KR20180028608A (ko) 차량용 가변형 엔진마운트
KR100559873B1 (ko) 차량의 엔진마운트
JPS6281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