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466A -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466A
KR20190120466A KR1020180043380A KR20180043380A KR20190120466A KR 20190120466 A KR20190120466 A KR 20190120466A KR 1020180043380 A KR1020180043380 A KR 1020180043380A KR 20180043380 A KR20180043380 A KR 20180043380A KR 20190120466 A KR20190120466 A KR 2019012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s
sensing
disposed
electrodes
strain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692B1 (ko
Inventor
이인남
김장희
이상철
조아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692B1/ko
Priority to US16/358,048 priority patent/US10936137B2/en
Publication of KR2019012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장치는 제1 베이스층; 제1 베이스층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에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3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된다.

Description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장 생성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휘도 및 시야각이 크고,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위치와 압력을 하나의 모듈로써 감지할 수 있는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저항 센싱 방식을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입력 감지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장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3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패널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3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제1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age)를 구성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모듈을 통해 터치 위치 및 압력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입력 감지 패널 중 제1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입력 감지 패널 중 제2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터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한 I1-I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한 I1-I1'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압력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압력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정전 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소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소자는 시점에 따라 다른 소자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입력 감지 패널(200), 반사 방지 패널(300) 및 윈도우 패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과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다른 구성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된 당해 구성은 ““층””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패널은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을 포함한다. 이에 반해, 층은 상기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층””이라 표현하면, 다른 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 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베이스층은 일 실시예로 합성 수지 필름, 복합 재료 필름 및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 정의된다. 표시 패널(100)은 일 실시예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및 퀀텀 닷(quantum dot)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10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감지 패널(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과 입력 감지 패널(200)은 일 실시예로 제1 접착 부재(51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200)은 접촉된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의 위치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 패널(200)은 터치의 위치 및 압력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입력 감지 패널(200)은 표시 패널(200)과 부착되기 전이라면, 입력 감지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입력 감지 패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과 입력 감지 패널(200)은 일 실시예로 제2 접착 부재(52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윈도우 패널(400)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일 실시예로 위상 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 패널(300)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윈도우 패널(400)은 반사 방지 패널(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400)과 반사 방지 패널(300)은 일 실시예로 제3 접착 부재(53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400)은 외부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또는 입력 감지 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접착 부재(510 내지 530)는 일 실시예로, 감압 접착 부재(PSA),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 또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R)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달리, 입력 감지 패널(200), 반사 방지 패널(300) 및 윈도우 패널(400) 중 적어도 하나는 타 구성의 상부 면을 베이스층으로 하는 ““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감지 패널(2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면을 베이스면으로 하는 입력 감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층은 표시 패널(1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입력 감지 패널(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입력 감지 패널 중 제1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입력 감지 패널 중 제2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터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한 I1-I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한 I1-I1'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4의 경우 편의 상 제2 기판(220)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의 크기를 제1 기판(210)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의 크기보다 작게 도시한 것으로 실제 센싱 전극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 패널(200)은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기판(21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되, 표시 패널(100)의 상부면과 제1 접착 부재(510, 도 1 참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판(210)은 제1 베이스층(211),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 제1 터치 패드부(DP1) 및 제1 절연층(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각각의 도면 부호는 배치되는 행을 기준으로 지칭된다.
제1 베이스층(211)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에 대해 베이스 면을 제공한다. 제1 베이스층(211)은 일 실시예로 합성 수지 필름, 유리 기판, 유/무기 복합 재료 기판 등일 수 있다. 베이스층(211)은 단층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층이 서로 접착 부재 등을 통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은 제1 베이스층(211) 상에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각각은 복수의 제1 센싱부(SE1) 및 복수의 제1 연결부(cp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센싱부(SE1)는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되되, 복수의 제1 연결부(cp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은 열 방향으로, 제2 방향(d2)은 행 방향으로 예시한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은 각각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DP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부(DP1)는 연성 기판을 통해 터치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을 통해,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은 제1 베이스층(211) 상에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과 동일 층에 배치되되, 서로 절연된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각각은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각각은 복수의 제2 센싱부(SE2) 및 복수의 제2 연결부(cp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센싱부(SE2)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되되, 복수의 제2 연결부(cp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은 각각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DP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드부(DP1)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드부는 각각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연결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는 제2 센싱 전극(IE2-1) 및 제2 센싱 전극(IE2-2)는 제1 연결 전극(CE1)을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싱 전극(IE2-1) 및 제2 센싱 전극(IE2-2)은 제1 연결 전극(CE1)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전극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2 센싱 전극(IE2-5) 및 제2 센싱 전극(IE2-6)을 서로 직접 연결시키는 제3 연결 전극(CE3)과 같이, 제1 연결 전극(CE1) 및 제2 연결 전극(CE2)과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서로 이웃하지 않는 제2 센싱 전극끼리 직접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이웃한 제2 센싱 전극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후술하는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heat stone bridge)와 연결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터치 패드부(DP1)는 별도의 제1 연성 기판을 통해 터치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 및 제1 터치 패드부(DP1)를 통해, 상기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싱부(SE1) 및 복수의 제2 센싱부(SE2)는 일 실시예로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마름모 형상은 실질적으로 마름모 형상뿐만 아니라, 공정 조건 등을 고려하여 마름모에 가까운 다각형 형상 등도 포함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센싱부(SE1) 및 복수의 제2 센싱부(SE2)는 다각형 형상을 갖거나, 또는 센서부 및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컨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층(211)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의 배치 형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 모두 동일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절연층(212)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212)은 일 실시예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제1 절연층(212)은 탄성력을 가지면서 고유전율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절연층(212)은 아크릴(acrylic), 폴리 우레탄(poly urethane), PDMS(polydimethylsilox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절연층(212)은 탄성력을 가지면서 유전율을 갖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ㅗ 있다. 또한, 제1 절연층(212)은 접착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연층(212)을 통해,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기판(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기판(220)은 제2 베이스층(221),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 제2 터치 패드부(DP2) 및 제2 절연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및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각각의 도면 부호는 배치되는 열을 기준으로 지칭된다.
제2 베이스층(221)은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에 대해 베이스 면을 제공한다. 제2 베이스층(221)은 일 실시예로 제1 베이스층(211)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은 제2 베이스층(221) 상에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은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각각은 복수의 제3 센싱부(SE3) 및 복수의 제3 연결부(cp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3 센싱부(SE3)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되되, 복수의 제3 연결부(cp3)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은 각각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을 통해 제2 터치 패드부(DP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DP2)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드부는 각각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DP2)는 제2 연성 기판을 통해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은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 및 제2 터치 패드부(DP2)를 통해,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제2 베이스층(221) 상에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과 서로 절연된다. 또한,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각각 복수의 제4 센싱부(SE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센싱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제4 센싱부(SE4)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섬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4 센싱부(SE4)는 플로팅(floating) 상태일 수 있다.
복수의 제3 센싱부(SE3) 및 복수의 제4 센싱부(SE4)는 일 실시예로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제1 내지 제4 센싱부(SE1 내지 SE4)의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으며, 크기도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층(211) 상의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의 배치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절연층(222)은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및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2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제2 절연층(222)은 일 실시예로, 무기물, 유기물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22) 상에는 제2 접착 부재(5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절연층(222)은 제1 절연층(212)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절연층(222)이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2 접착 부재(5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및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터치 영역(TP, 도 4 참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영역(TP)은 표시 패널(100, 도 1 참조)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은 일 실시예로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및 AZO(Alumin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센싱 전극 간의 중첩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중첩이라고 표현하면 두 구성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overlap)되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은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과 중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a 센싱부(SE1a) 및 제1b 센싱부(SE1b)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센싱부를 예시한다. 제2a 센싱부(SE2a) 및 제2b 센싱부(SE2b)는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센싱부를 예시한다. 또한, 제3a 센싱부(SE3a) 및 제3b 센싱부(SE3b)는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센싱부를 예시하며, 제4a 센싱부(SE4a) 및 제4b 센싱부(SE4b)는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센싱부를 예시한다.
즉, 제1a 센싱부(SE1a) 및 제1b 센싱부(SE1b)는 각각 제4a 센싱부(SE4a) 및 제4b 센싱부(SE4b)와 중첩된다. 또한, 제2a 센싱부(SE2a) 및 제2b 센싱부(SE2b)는 각각 제3a 센싱부(SE3a) 및 제3b 센싱부(SE3b)와 중첩된다.
한편, 각 센싱부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3a 센싱부(SE3a), 제3b 센싱부(SE3b), 제4a 센싱부(SE4a) 및 제4b 센싱부(SE4b)의 크기는 제1a 센싱부(SE1a), 제1b 센싱부(SE1b), 제2a 센싱부(SE2a) 및 제2b 센싱부(SE2b)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센싱부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소정의 공차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의 합착 시, 발생될 수 있는 미스-얼라인(mis-align)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및 복수의 제3 신호 라인(IL3-1 내지 IL3-5)이 직접 제1 절연층(212)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한 제2 베이스층(221)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복수의 제1 신호 라인(IL1-1 내지 IL1-6)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IL2-1 내지 IL2-6)은 표시 패널(100, 도 1 참조)의 상부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제1 베이스층(211)이 표시 패널의 상부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위치 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는 도 2에 도시한 I1-I1'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은 터치 위치 감지 시, 감지 전극(Rx)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은 터치 위치 감지 시, 구동 전극(Tx)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터치 위치 감지 시, 제1a 센싱부(SE1a) 및 제1b 센싱부(SE1b)는 감지 전극으로 동작하며, 제3a 센싱부(SE3a) 및 제3b 센싱부(SE3b)는 구동 전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터치 위치 감지 시 플로팅 전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은 터치 위치 감지에는 활용되지 않는다. 즉, 터치 위치 감지 시, 제4a 센싱부(SE4a) 및 제4b 센싱부(SE4b)는 플로팅 전극으로 동작하는 반면, 제2a 센싱부(SE2a) 및 제2b 센싱부(SE2b)는 터치 위치 감지에 활용되지 않는다. 즉, 제2a 센싱부(SE2a) 및 제2b 센싱부(SE2b)는 터치 위치 감지에 활용되지 않는, 더미 전극으로 동작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 전극으로 동작하는 제1a 센싱부(SE1a) 및 플로팅 전극으로 동작하는 제4a 센싱부(SE4a) 사이에서 제1 커패시터(C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a 센싱부(SE1a) 및 제3a 센싱부(SE3a) 사이, 제1a 센싱부(SE1a) 및 제3b 센싱부(SE3b) 사이에서 각각 제2 커패시터(C2) 및 제3 커패시터(C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커패시터(C1 내지 C3)의 정전 용량은 전도성 물체에 의한 터치,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fg)에 의한 터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터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은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과 중첩되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과 중첩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2 센싱 전극(IE2-1 내지 IE2-6) 및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터치 위치 감지 시, 각각 복수의 제1 센싱 전극(IE1-1 내지 IE1-6) 및 복수의 제3 센싱 전극(IE3-1 내지 IE3-5)의 패턴 형상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압력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저항 감지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직접 연결되는 제2 센싱 전극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연결 전극(CE1)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제2 센싱 전극(IE2-1) 및 제2 센싱 전극(IE2-2)은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전극(CE2)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제2 센싱 전극(IE2-3) 및 제2 센싱 전극(IE2-4)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베이스층(211) 상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중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스트레인 게이지(ST1, ST2)는 제1 베이스층(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3, ST4)는 제1 베이스층(2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 각각은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를 구성하는 하나의 저항에 해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ST1)는 제4 저항(R4)으로, 제2 스트레인 게이지(ST2)는 제2 저항(R2)으로, 제3 스트레인 게이지(ST3)는 제1 저항(R1)으로, 제4 스트리인 게이지(ST4)는 제3 저항(R3)으로써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의 제1 전원(P1) 및 제2 전원(N1)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N1)은 일 실시예로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저항(R1)은 일단이 제1 전원(P1)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3 전원(N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R2)은 일단이 제1 전원(P1)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4 전원(P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3)은 일단이 제4 전원(P2)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2 전원(N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저항(R4)은 일단이 제3 전원(N2)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2 전원(N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전원(N2) 및 제4 전원(P2)의 전위 차는 0V이며, 이에 따라 제3 전원(N2) 및 제4 전원(P2)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압력 감지 패널(200_1),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가 배치된 영역 중 일부를 터치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에 대응되는 저항 중 일부에 변화가 생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는 상기 외부 압력에 의해 전극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되는 저항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저항 변화에 의해, 제3 전원(N2) 및 제4 전원(P2) 사이에 전압 차가 발생되어 이에 대응되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전압 차 또는 흐르는 전류량의 측정을 통해 사용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술한 터치 구동 회로는 상기 전압 차 또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1 베이스층(211) 중, 표시 패널(100, 도 1) 중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를 이용하여,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를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의 압력 검출이 필요한 영역에 배치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상기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압력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2)는 도 7에 도시된 제1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1)와 비교 시,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및 2개의 고정 저항을 사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2)는 제3 스트레인 게이지(ST3),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4), 제2 저항(R2) 및 제4 저항(R4)을 통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저항(R2) 및 제4 저항(R4)의 저항 값은 변하지 않는다. 즉, 입력 감지 패널(200_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스트레인 게이지(ST3) 및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4)의 저항 변화량을 통해, 제3 전원(N2) 및 제4 전원(P2) 사이의 전압 차 또는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복수의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의 개수, 각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를 구성하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 스트레인 게이지의 위치 및 고정 저항의 개수 등은 사용자의 터치 압력 검출이 필요한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 감지 패널(200)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 및 압력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200)은 터치 위치 센싱 모드 및 터치 압력 센싱 모드에 따라, 시분할 구동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위치 또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즉, 터치 위치 센싱을 위한 구동 신호와 터치 압력 센싱을 위한 구동 신호를 시분할함으로써, 각 센서 간 노이즈(noise)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센싱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터치 위치 센싱을 위한 구동 신호가 먼저 제공된 이후, 터치 압력 센싱을 위한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하나의 입력 감지 패널(200)을 통해 터치 위치 및 압력을 모두 센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외장 압력 센서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장치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전면적으로 압력 센서를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정전 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터치 영역(TP')은 제2 센싱 전극(IE2-1) 및 제2 센싱 전극(IE2-2)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점에서 도 4에 도시한 터치 영역(TP')과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싱 전극(IE2-1) 및 제2 센싱 전극(IE2-2) 중 적어도 하나의 정전 용량 변화를 통해서도, 사용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의 제2a 센싱부(SE2a) 및 제3a 센싱부(SE3a)를 예로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판(210)의 제2a 센싱부(SE2a) 및 제2 기판(220)의 제3 센싱부(SE3a)는 터치 압력 검출을 위한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판(220)의 제3 센싱부(SE3a)는 일 실시예로 그라운드(GND)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a 센싱부(SE2a) 및 제3a 센싱부(SE3a) 사이에는 제4 커패시터(C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터치 구동 회로는 제2a 센싱부(SE2a) 및 제2 기판(220)의 제3 센싱부(SE3a)는 터치 압력 검출을 위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압력(F)이 가해지는 경우 제4 커패시터(C4)의 정전 용량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 전극(IE2-3) 내지 제2 센싱 전극(IE2-6)은 제2 및 제3 연결 전극(CE2, CE3)을 통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를 구성함으로써, 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경우, 정전 용량 및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정전 용량 방식을 통한 압력을 검출하는 영역과, 저항 변화를 통해 압력을 검출하는 영역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기판(22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각각은 복수의 제4 센싱부(SE4) 및 복수의 제4 연결부(cp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4 센싱부(SE4)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되되, 복수의 제4 연결부(cp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각각 복수의 제4 신호 라인(IL4-1 내지 IL4-5)을 통해 제2 터치 패드부(DP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은 복수의 제4 신호 라인(IL4-1 내지 IL4-5) 및 제2 터치 패드부(DP2)를 통해,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4 센싱 전극(IE4-1' 내지 IE4-5')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연결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되는 제4 센싱 전극(IE4-1') 및 제4 센싱 전극(IE4-2')는 제4 연결 전극(CE4)을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센싱 전극(IE4-1') 및 제4 센싱 전극(IE4-2')은 제4 연결 전극(CE4)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센싱 전극(IE4-4') 및 제4 센싱 전극(IE4-5')는 제5 연결 전극(CE5)을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센싱 전극(IE4-4') 및 제4 센싱 전극(IE4-5')은 제5 연결 전극(CE5)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 각각에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기판(210)에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제2 기판(220)에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와 중첩될 수 있다. 각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3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3)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는 제1 기판(2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스트레인 게이지(ST5 및 ST6)는 제2 기판(2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6)는 도 13에 도시된 제3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WS3)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와 제5 및 제6 스트레인 게이지(ST5 및 ST6)는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저항 변화가 적은 제5 및 제6 스트레인 게이지(ST5 및 ST6)를 제1 내지 제4 스트레인 게이지(ST1 내지 ST4)와 교차시킴으로써, 제3 전원(N2) 및 제4 전원(P2) 사이의 전위차를 더욱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압력 검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입력 감지 패널;
210: 제1 기판;
220: 제2 기판;
300: 반사 방지 패널;
400: 윈도우 패널;

Claims (20)

  1.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3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되는 입력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제1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 중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되는 입력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 중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제2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제2 스트레인 게이지와 중첩되는 입력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은 플로팅 전극인 입력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압력 센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3 센싱 전극에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입력 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이 배치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덮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연결되는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3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과 연결되는 제2 터치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1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패널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3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제1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구성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패널은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중 다른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제2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상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중첩되는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 중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센싱 전극은 제3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3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제3 스트레인 게이지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 센싱 전극은 플로팅 전극인 입력 감지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입력 감지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이 배치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복수의 제3 센싱 전극이 배치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덮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패널은,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연결되는 제1 터치 패드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3 센싱 전극과 연결되는 제2 터치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터치 압력 센싱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3 센싱 전극에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되는 표시 장치.
KR1020180043380A 2018-04-13 2018-04-13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5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80A KR102457692B1 (ko) 2018-04-13 2018-04-13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358,048 US10936137B2 (en) 2018-04-13 2019-03-19 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80A KR102457692B1 (ko) 2018-04-13 2018-04-13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66A true KR20190120466A (ko) 2019-10-24
KR102457692B1 KR102457692B1 (ko) 2022-10-21

Family

ID=6816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80A KR102457692B1 (ko) 2018-04-13 2018-04-13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36137B2 (ko)
KR (1) KR102457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78A (ko) * 2020-07-21 2022-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07241B2 (en) * 2020-09-28 2022-11-2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having shielding for touch sensing electrodes and/or pressure sensing electro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791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하이딥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KR20180036469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179U (ja) 2009-02-18 2009-04-30 陞昶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ルチセンサタッチパッド
US20130018489A1 (en) 2011-07-14 2013-01-17 Grunthaner Martin Paul Combin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US9158407B2 (en) 2012-08-29 2015-10-13 Sharp Kabushiki Kaisha Capacitive touch panel with a ‘dual layer’ force sensor
KR102193781B1 (ko) * 2013-10-29 2020-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US10496215B2 (en) * 2016-04-29 2019-12-03 Synaptics Incorporated Sensing for touch and force
KR102648676B1 (ko) 2018-04-27 202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791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하이딥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KR20180036469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692B1 (ko) 2022-10-21
US10936137B2 (en) 2021-03-02
US20190317626A1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676B1 (ko)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5624B1 (ko)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983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665957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一体型表示装置
US20190051708A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put sensing unit
TWI537638B (zh) 附有輸入裝置之顯示裝置
JP6807370B2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20110135196A (ko)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21705A (ko) 인셀 터치 패널
US20150355752A1 (en) Sensor-equipped display device
KR20130017745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JP2016004281A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US10627970B2 (en) Display device
US20170357345A1 (en) Display device and detection device
KR102457692B1 (ko)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7466030B2 (ja) 表示装置
US11216136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KR20190071034A (ko) 표시장치
KR20110100872A (ko) 터치 패널
KR20200120821A (ko)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