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843A -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843A
KR20190119843A KR1020180043295A KR20180043295A KR20190119843A KR 20190119843 A KR20190119843 A KR 20190119843A KR 1020180043295 A KR1020180043295 A KR 1020180043295A KR 20180043295 A KR20180043295 A KR 20180043295A KR 20190119843 A KR20190119843 A KR 20190119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unit price
price information
power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4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843A/ko
Publication of KR2019011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은 시간 태그와 상기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간 태그를 데이터 저장 및 통신 단계에서의 암호화 에 활용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POWER SYSTEM BASED ON REAL TIME POWER PRICE INFORMATION}
아래의 설명은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전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전력 공급의 부족 현상이 일어나서도 안되지만, 전력 공급 과잉 현상이 일어나서도 안 된다. 따라서, 전력 공급 사업자는 전력 수요가 높은 피크 시간대의 전기료를 더 높게 책정하고, 전기 수요 시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전력 수요가 낮은 심야 시간대의 전기료를 더 낮게 책정함으로써, 전기의 수요를 공급 범위 내로 유도하고자 하고, 고정된 심야 시간의 전기료를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전기료를 공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심야에 전기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은 시간 태그와 상기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전력 단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상기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에서 시간 태그는 상기 전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전력 소비단의 전력 사용량의 암호화를 위한 보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전력 단가 정보는 상기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그룹에 대하여, 상기 그룹별로 구별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에서 상기 전력 단가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전력 소비단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은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전력 사용량과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에서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ID 정보, 상기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시간 태그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태그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단가 정보로부터 상기 시간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에서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에서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기초하여,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되어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에서 암호화 값은 상기 암호화 값과 상기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는 시간 태그와 상기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단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전력 사용량과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가 전력 단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반영한 전력 단가 정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가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력 공급 사업자는 전력 생산이 부족함에 따라 전력 수요에 비해 전력 공급이 부족한 전력 공급 부족 현상뿐만 아니라, 전력 수요에 비해 생산되는 전력이 더 많아지는 전력 공급 과잉 현상도 일어나지 않도록 전력 생산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전력 생산량을 상황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정상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전력 공급 사업자는 피크 부하를 소화할 수 있는 대규모의 전력 생산 시설을 갖추고, 실시간 전력 수요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고, 대규모의 전력 생산 시설은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사업자는 전력 생산량 범위 내에서 전력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력 수요량이 적은 심야 시간의 전력 공급가를 낮게 책정하고, 책정된 전력 공급가를 사전에 공지하고, 공지에 따라 수요자가 심야에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심야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미리 고지하는 현 방식은 실시간 수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이하 설명되는 전력 시스템은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력 소비단에 제공함으로써, 전력 소비단의 전력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다. 분산된 전력 수요에 기초하여 피크 전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크 전력 관리를 통해 전력 생산 시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생산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전력 시스템은 전력 단가 제공 장치(110)를 통해 실시간 전력 단가에 대한 전력 단가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력 소비단(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소비단(150)의 에너지 소비 기기 제어부(151)는 에너지 소비 기기(153)의 전력 수요 및 제공된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 요청을 전력 공급 설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요청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 설비(130)는 전력 소비단(1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140)는 전력 소비단(150)가 사용한 전력량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140)는 전자식 전력량계로 예시할 수 있고,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120)는 검침서버로 예시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140)는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120)에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120)는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를 반영하여 전력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요금을 전력 소비단(150)에 부과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140)는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값을 저장하고,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120)에 제공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의 유지 및 통신 과정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가 전력 단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는 단계(160)에서 시간 태그와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공급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170)에서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는 전력 단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변경된 전력 단가에 대응하여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소비단의 사용자는 제공되는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을 사용할 적합한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도 전력 단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는 전력 단가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기적으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소비단은 전력 단가 정보를 통해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단은 내장된 디지털 시계를 수신한 전력 단가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에 포함된 시간 태그는 전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전력 소비단의 전력 사용량의 암호화를 위한 보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태그는 복수의 byte 단위의 정보일 수 있고, 시간 정보는 전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 따라 변경되는 값이므로, 전력 단가에 변경에 따라 고유할 수 있다. 보안 정보는 전력 사용량의 암호화를 위한 임의의 숫자열 또는 문자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는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그룹별로 구별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되는 전력 단가 정보는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그룹들(예를 들어, 가정용 전력을 공급받는 그룹, 산업용 전력을 공급받는 그룹 등)에 따라 구별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는 그룹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전력 소비단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각각의 그룹들은 그룹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일괄적으로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 여부 및 전력 사용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 결과에 따라 전력 사용단은 전력 제공 요청을 전력 공급 설비에 전송할 수 있고, 전력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전력 소비단은 전력 공급 설비로부터 실시간 전력 단가가 반영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반영한 전력 단가 정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전력 단가 정보(210, 220, 230)는 전력 소비단에 포함된 각각의 그룹에 대한 전력 단가 정보 및 전력 단가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및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는 전력 소비단과 동기화를 위해 전력 소비단에 전력 단가 정보(210, 220, 230)를 정기적으로 제공하거나, 전력 단가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전력 소비단에 전력 단가 정보(210, 220, 23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단가 정보(210) 및 전력 단가 정보(220)는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전력 단가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시간 태그 1 및 시간 태그 2는 서로 다른 시간 정보를 포함하지만, 전력 단가 정보(210) 및 전력 단가 정보(220)에 포함된 전력 단가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단가 정보(230)는 전력 단가 변경에 의해 소비단에 제공된 전력 단가 정보일 수 있고, 시간 태그(230)는 전력 단가가 변경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력 단가 정보(230)에 포함된 전력 단가는 전력 단가 정보(210, 220)에 포함된 전력 단가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력 단가 정보(210, 220, 230)은 전력 소비단에 포함된 그룹에 따라 별도로 결정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가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단계(310)에서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과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330)에서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 단가가 적용되기 시작한 시점에 대한 정보 및 적용이 종료된 시점에 대한 정보,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 시간 태그 및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시간 태그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 단가 정보로부터 시간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식별된 시간 태그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통해 전력 단가 제공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식별된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ID 정보, 전력 사용량 및 시간 태그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ID <exclusive or> 실제 전력 사용량 <exclusive or> 시간 태그'의 방식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암호화 값을 생성하는 방법은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시간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가지는 시간 태그를 사용하는 임의의 연산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의해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될 수 있고, 제공된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을 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소비단의 전력 사용량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기 위하여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암호화 값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암호화 값을 통해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 시간 태그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시간 태그에 대응되는 전력 단가 및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을 산정하고, 전력 소비단에 산정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기초하여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되어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암호화 값을 그대로 수신하거나, 암호화 값을 재암호화하여 수신할 수 있다. 암호화 값을 재암호화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는 재암호화를 위해 사용될 이전 시점의 암호화 값에 대응되는 시점에 대한 시점 정보를 추가로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값은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과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 요금을 계산하고자 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암호화 값 <exclusive or> 이전 시점에 대응되는 암호화 값'의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재암호화 방식은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암호화 값과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의 임의의 연산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대하여 오랜 시간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한, 지난 시간 동안의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인지하기 힘들고,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은 외부에서 해킹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시간 태그를 통해 식별된 전력 사용량 정보(410, 42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정보(410, 420, 430)는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 단가가 적용되기 시작한 시점에 대한 정보 및 적용이 종료된 시점에 대한 정보,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 시간 태그 및 암호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500)는 시간 태그와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단가 정보 생성부(510),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부(520) 및 전력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 생성부(510)는 전력 단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전력 단가 제공부(520)는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500)는 동기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고, 전력 단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반영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태그는 전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전력 소비단의 전력 사용량의 암호화를 위한 보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단가 정보는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그룹에 대하여, 그룹별로 구별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600)는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과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생성부(610) 및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전력량계일 수 있고, 적산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력량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 정보 생성부(610)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600)의 ID 정보, 전력 사용량 및 시간 태그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암호화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 값의 생성 방법은 도 3을 통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600)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시간 태그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 단가 정보로부터 시간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시간 태그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의해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되고, 제공된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기초하여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되어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암호화 값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재암호화 방식은 도 3을 통해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시간 태그와 상기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의 단위당 가격이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상기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태그는,
    상기 전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전력 소비단의 전력 사용량의 암호화를 위한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단가 정보는,
    상기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그룹에 대하여, 상기 그룹별로 구별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단가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전력 소비단에 제공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방법.
  6.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전력 사용량과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ID 정보, 상기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시간 태그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태그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단가 정보로부터 상기 시간 태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기초하여,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되어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상기 암호화 값과 상기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방법.
  12. 시간 태그와 상기 시간 태그에 대응하는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단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전력 소비단에 제공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단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력 단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생성된 전력 단가 정보를 상기 전력 소비단에,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태그는,
    상기 전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전력 소비단의 전력 사용량 정보의 암호화를 위한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단가 정보는,
    상기 전력 소비단에 포함되는 그룹에 대하여, 상기 그룹별로 구별된 전력의 단위당 가격을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
  16. 에너지 소비 기기의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전력 사용량과 시간 태그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의 ID 정보, 상기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시간 태그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값을 생성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는,
    전력 단가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시간 태그를 포함하는 전력 단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단가 정보로부터 상기 시간 태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의 요청에 기초하여, 이전 시점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에 기초하여 재암호화되어 상기 전력 사용량 검침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 사용량 정보 저장 장치.
KR1020180043295A 2018-04-13 2018-04-13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KR20190119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95A KR20190119843A (ko) 2018-04-13 2018-04-13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95A KR20190119843A (ko) 2018-04-13 2018-04-13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43A true KR20190119843A (ko) 2019-10-23

Family

ID=6846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95A KR20190119843A (ko) 2018-04-13 2018-04-13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9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36B1 (ko) * 2022-12-21 2023-05-12 주식회사 이엔에스앤씨 전력 거래 플랫폼을 통하여 개인 간 전력거래 계약 체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36B1 (ko) * 2022-12-21 2023-05-12 주식회사 이엔에스앤씨 전력 거래 플랫폼을 통하여 개인 간 전력거래 계약 체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3580A1 (en) Management of a power-distribution system
US20160182233A1 (en) Power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 smart grid
JP6675717B2 (ja) 電力取引履歴生成システム
CN106501599B (zh) 双芯电能表数据交换有效性确定方法及系统及双芯电能表
EP1768303A1 (en) Time authentication device, time authent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integrated circuit, and time authentication system
US20140164775A1 (en) Major management apparatus, authorized managemen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for delegation management, and delegation management methods thereof
JP5214748B2 (ja) 電力使用量計算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10801A1 (en) Power usage calculation system
JP5905286B2 (ja) 電力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電力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制御方法
CN103827636B (zh) 管理设施仪表通信的系统和方法
JP2015517160A (ja) 外部メモリ解読のために構成された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
JP2012058998A (ja) サーバ、課金サーバ、電力使用量計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401808B2 (en) Measur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or, key management device, and consumption calculating system
US20120051542A1 (en) Remote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security function and remote electric power metering system using the same
US8121743B2 (en) Power restor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4930361A (zh) 智能发电和定位
KR101900609B1 (ko) 전력수요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수요관리시스템
KR20190119843A (ko) 실시간 전력 단가 정보에 기초한 전력 시스템
JP2011186721A (ja) 電力管理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サーバ、電力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23837A1 (en) Secure communication execution for datacenter power control
JP4916213B2 (ja) 使用電力量把握システム
JP6157900B2 (ja) データ管理装置、メータ装置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US9429602B2 (en) Partial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power usage amount calculation system, and partial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KR20210051017A (ko)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CN112528239A (zh) 软件自动授权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