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017A -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017A
KR20210051017A KR1020190135739A KR20190135739A KR20210051017A KR 20210051017 A KR20210051017 A KR 20210051017A KR 1020190135739 A KR1020190135739 A KR 1020190135739A KR 20190135739 A KR20190135739 A KR 20190135739A KR 20210051017 A KR20210051017 A KR 2021005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smart meter
blockchain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신동명
고상준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웨어(주) filed Critical 엘에스웨어(주)
Priority to KR102019013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017A/ko
Publication of KR2021005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04L2209/3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한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간의 전력 데이터를 포함한 다수의 정보 및 요청을 송, 수신할 때,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의 송, 수신 및 데이터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 전력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데이터, 전력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스마트미터기;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암호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증을 통해 요청을 확인하고 전달받은 요청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 공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Blockchain based power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해 전력 사용자로부터 전력 공급자에게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전력량 데이터 위, 변조 및 보안 취약점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 해결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확장되며 스마트미터기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측정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미터기이다. 이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해 전력 사용자와 전력공급자는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주고받을 수 있어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력량 수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시간대별 전력량 수요를 예측해 전력 생산을 조절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미터기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9년 6월 제주도의 스마트그리드 시범단지를 시작으로 2010년 전기연구원, 한전 등을 중심으로 기술 실증을 시작해 스마트그리드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과 유럽 역시 각 국의 전력회사를 중심으로 스마트미터기를 보급하여 스마트그리드시스템의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미터기는 다양한 보안 취약점을 갖고 있다.
첫째, 전력 사용자 또는 악의를 품은 공격자가 스마트미터기의 데이터를 조작하여 전력 공급자에게 잘못된 데이터를 전달하여 전력 사용량을 의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 사용자나 공격자의 의도대로 데이터를 위, 변조 할 수 있다.
둘째, 전력 사용자는 자신의 전력 사용 데이터를 전력 공급자에게 전달하는데, 이를 통해서 전력 사용자의 전력 사용 패턴 또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외출 상태, 전력 사용량 등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할 수 있다.
셋째, 전력 공급자는 이익을 취하기 위해 전력 사용자에게 사용료가 비싼 값을 주고 전기를 사용하도록 잘못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전력 사용자가 올바른 데이터를 전달하였으나 공급자의 임의로 전력 사용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넷째, 공격자가 외부에 존재하는 스마트미터기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스마트미터기 자체를 훼손하거나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 사이의 통신에 접속하여 보안 코드를 알아내서 악용할 수 있다.
이러한 취약점들로 인해 스마트미터기를 통한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등의 보안 요구사항이 존재한다.
한편, 블록체인 기술이 다양한 보안 취약점 문제들의 해결 방법이 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이라는 작은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임의로 데이터 수정이 불가능하고 데이터의 변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원장 관리 기술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한 데이터 송, 수신 시, 위협이 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간의 신뢰도 높은 데이터 전달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를 통해,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의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 1 측면은 전력 사용자와 공급자간의 데이터 송, 수신 시 데이터의 암호화이다.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 방식은, AES, HIGHT, ARIA, LEA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간의 신뢰도 높은 통신을 통해 송, 수신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 2 측면은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현이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체인의 블록은, 스마트미터기의 유일한 정보, 전력 데이터 정보, 사용자의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미터기의 유일한 정보는, 인증기관으로부터 스마트미터기에 발급된 인증서,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데이터 정보는, 전력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자의 시간 별 전력 공급 비용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전력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 모두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대한 위, 변조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력 공급자는 스마트미터기에 대한 인증을 확인 가능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 전력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데이터, 전력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스마트미터기;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암호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증을 통해 요청을 확인하고 전달받은 요청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 공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미터기는 AES, HIGHT, ARIA, LEA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서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와 상기 전력 공급 서버에 요청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상기 전력 공급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검증에 성공한 뒤, 상기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공급을 요청 받았을 때, 요청한 데이터 및 전력을 암호화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저장을 요청 받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전달받은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을 요청한 상기 전력 공급 서버는 상기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력 공급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기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는 전력을 요청한 상기 스마트미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방법은, 스마트미터기가,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 전력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데이터, 전력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전력 공급 서버가, 암호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증을 통해 요청을 확인하고 전달받은 요청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한 데이터 송, 수신 시, 위협이 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간의 신뢰도 높은 데이터 전달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를 통해,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의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미터기를 사용하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가 전력 데이터를 송, 수신 할 때,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을 정리하고,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에 대해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 데이터를 신뢰도 높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사용 전력량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사용 전력량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스마트미터기(100_1, 100_2, ..., 100_n),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전력 공급 서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다수의 스마트미터기(100_1, 100_2, ..., 100_n)와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양방향 통신시,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스마트미터기(100_1, 100_2, ..., 100_n, 이하 통칭하여 '100'으로 함)는 전력 공급자로부터 인증된 인증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마트미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번호를 포함하고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다. 또한, 전력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력 공급자와 송, 수신하여 전력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또한, 전력 사용자에 대한 고유 데이터를 포함하고 고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과정에서 AES, HIGHT, ARIA, LEA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요청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서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와 전력 공급 서버(400)에 요청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전력 공급 서버(400)로 전달한다.
전력 공급 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검증에 성공한 뒤,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력 공급을 요청 받았을 때, 요청한 데이터 및 전력을 암호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분산 저장을 요청한다.
분산 저장을 요청 받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전달받은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저장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을 요청한 전력 공급 서버(400)는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공급 서버(4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는 전력을 요청한 스마트미터기(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100)를 사용하여 소비 전력량을 전력 공급 서버(400)에 전달하고, 전력을 요청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미터기(100)는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 전력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데이터, 전력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를 AES, HIGHT, ARIA, LEA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스마트미터기(100)는 상기 과정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301단계).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는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요청한다(302단계).
분산 저장을 요청 받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서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와 전력 공급 서버(400)에 요청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전력 공급 서버(400)로 전달한다(303단계).
암호화 데이터를 전달받은 전력 공급 서버(400)는 검증을 통해 요청을 확인하고 전달받은 요청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저장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검증에 성공한 뒤,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력 공급을 요청 받았을 때, 전력 공급 서버(400)는 요청한 데이터 및 전력을 암호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분산 저장을 요청한다(304단계).
분산 저장을 요청 받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전달받은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저장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을 요청한 전력 공급 서버(400)는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에 전력을 공급한다(305단계).
전력 공급 서버(4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200)는 전력을 요청한 스마트미터기(100)에 전력을 공급한다(306단계).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 전력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데이터, 전력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스마트미터기;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암호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증을 통해 요청을 확인하고 전달받은 요청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 공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미터기는 AES, HIGHT, ARIA, LEA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서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와 상기 전력 공급 서버에 요청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상기 전력 공급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검증에 성공한 뒤, 상기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공급을 요청 받았을 때, 요청한 데이터 및 전력을 암호화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저장을 요청 받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전달받은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을 요청한 상기 전력 공급 서버는 상기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력 공급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기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는 전력을 요청한 상기 스마트미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미터기가, 전력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데이터, 전력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미터기의 고유 데이터, 전력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스마트미터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전달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분산 저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블록에 분산된 암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전력 공급 서버가, 암호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증을 통해 요청을 확인하고 전달받은 요청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90135739A 2019-10-29 2019-10-29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KR20210051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39A KR20210051017A (ko) 2019-10-29 2019-10-29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39A KR20210051017A (ko) 2019-10-29 2019-10-29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017A true KR20210051017A (ko) 2021-05-10

Family

ID=7591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739A KR20210051017A (ko) 2019-10-29 2019-10-29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0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3365A (zh) * 2022-01-11 2022-04-15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呼伦贝尔供电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监控电表系统
KR102391186B1 (ko) * 2021-11-24 2022-04-28 엘에스웨어(주) 비밀 공유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외부 명령 출력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186B1 (ko) * 2021-11-24 2022-04-28 엘에스웨어(주) 비밀 공유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외부 명령 출력 방법 및 시스템
CN114363365A (zh) * 2022-01-11 2022-04-15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呼伦贝尔供电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监控电表系统
CN114363365B (zh) * 2022-01-11 2023-10-13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呼伦贝尔供电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监控电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4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based cross-entity authentication
US115331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based cross-entity authentication
CN107770115B (zh) 在对等网络中分发数字内容的方法和系统
KR101851261B1 (ko) 사설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 중앙집중형 원격검침 보안시스템
US11310208B1 (en) Secure time service
US201902950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cryptocurrency wallet identifiers with digital certificates
US20160261690A1 (en) Computing device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using a secure decentralized transaction ledger
CN110933125A (zh) 区块链实体、链下实体、认证设备及用于执行协作的方法
CN104980477A (zh) 云存储环境下的数据访问控制方法和系统
CN111934870B (zh) 区块链网络中的根证书更新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CN109727132A (zh) 区块链共识节点的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1160915B (zh) 一种在数字版权管理中实现准确计费的方法及装置
CN112733178A (zh) 基于数字证书认证的跨链信任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US20130212380A1 (en) Securely upgrading or downgrading platform components
KR20190115515A (ko) Pki 기반의 사물인터넷 기기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KR20210051017A (ko)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량 데이터 관리 및 암호인증 시스템
EP2936761B1 (en) Technique for enabling a client to provide a server entity
CN115796871A (zh) 基于区块链的资源数据处理方法、装置和服务器
KR20190111261A (ko)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보안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8951A (ko) 고유의 코드 서명 키들의 보안 관리 및 개인화
CN114567491A (zh) 一种基于零信任原则与区块链技术的医学病历共享方法与系统
De Carvalho et al. Secure cloud storage service for detection of security violations
KR20180024389A (ko) 키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997215B2 (en) Secret protection during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CN113869901B (zh) 密钥生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