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264A -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264A
KR20190119264A KR1020180042476A KR20180042476A KR20190119264A KR 20190119264 A KR20190119264 A KR 20190119264A KR 1020180042476 A KR1020180042476 A KR 1020180042476A KR 20180042476 A KR20180042476 A KR 20180042476A KR 20190119264 A KR20190119264 A KR 2019011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
phase
identification cod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363B1 (ko
Inventor
조현동
박종규
유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4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363B1/ko
Priority to US16/381,618 priority patent/US11280878B2/en
Priority to CN201910292815.4A priority patent/CN110376554B/zh
Publication of KR2019011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25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ded signals, e.g. P.S.K.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01S7/0233Avoidance by phase multiple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01S7/0234Avoidance by code multiple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352Receivers
    • G01S7/354Extracting wanted echo-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제1 신호가 전송되는 입력 포트에 따라 제1 신호의 위상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제2 신호를 안테나부로 출력하는 위상 조절기 및 송신 신호가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위상 반전되거나 빔을 형성하도록 식별 코드에 따라 위상 조절기의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전송하는 포트 선택기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를 제공하여, 간섭을 최소화하고, 정확도와 신뢰성이 높으며 주파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Radar system and Transmit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정된 코드에 따라 상이한 위상을 갖는 송신 신호를 용이하게 생성하여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기술로서 수백 미터 반경에서 움직이거나 정지해있는 다른 차량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열악한 기상조건 또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 가능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목적으로 개발된 차량의 안전 운행 시스템이다.
레이더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은 자차와 주변의 물체 사이의 거리, 상대 속도 및 각도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안전 기능이나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정차 중 충돌 방지 기능, 주행 중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SCC)이나 자동 주차 기능은 차량에 장착된 레이더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와 주변의 물체 사이의 거리, 각도 또는 상대속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레이더 시스템은 전자파 신호인 송신 신호를 방사하고, 방사된 전자파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주변 물체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도로 상에 레이더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다른 레이더 시스템에서 방사된 송신 신호 또는 반사 신호 등에 의해 수신 신호에 간섭이 발생하여, 물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레이더 시스템을 장착 차량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어 감에 따라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폭의 한계로 인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차량 탑승자의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높은 신뢰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며, 이에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수신 신호와 간섭 신호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송신 신호를 지정된 식별 코드에 따라 용이하게 위상 조절하여 방사할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상 조절되어 방사된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식별함으로써,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정확도와 신뢰성이 높은 레이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동일 주파수 대역 내에서도 식별 코드에 따라 수신 신호와 간섭 신호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되는 입력 포트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출력하는 위상 조절기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위상 반전되거나 빔을 형성하도록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위상 조절기의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포트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조절기는 인접한 포트 사이에 기설정된 제1 위상차를 갖도록 링 형상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순차적 제1 내지 제4 포트가 배치되는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Ring Hybrid Coupler 또는 Rat Race Coupl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1 내지 제4 포트 중 제1 또는 제3 포트는 상기 입력 포트로서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포트는 상기 출력 포트로서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출력할 수 있다.
위상 조절기는 제1 및 제2 입력 포트와 제1 및 제2 출력 포트를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전송 선로와 2개의 전송 선로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브랜치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입력 포트로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제1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입력 포트로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제2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브랜치 라인 커플러(Branch Line Coupler 또는 Quadrauture Hybrid Coupler) 및 상기 브랜치 라인 커플러의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설정된 제3 위상차만큼 위상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부는 상기 위상 조절기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제1 및 제2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안테나는 상기 위상 조절기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의 빔이 기지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제1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은 수의 급전 소자가 배열된 안테나부,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출력하는 송신기,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전처리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따라 필터링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타겟에 반사된 반사 신호를 추출하는 수신기, 및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반사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는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믹싱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샘플링하여 수신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처리기, 및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에 대해 상기 코드 윈도우를 비교하여, 상기 반사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는 코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별 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생성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타겟 데이터로부터 상기 타겟의 속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타겟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코드는 의사 랜덤(pseudo random) 방식으로 생성되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확성과 신뢰성이 높고,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배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식별 코드에 따라 위상 조절된 송신 신호를 방사하고, 수신 신호를 송신 신호와 콘볼루션하여 식별 코드가 일치되는 수신 신호를 식별함으로써,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의 간섭 신호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레이더 시스템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식별 코드에 따라 동일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이 서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위상 조절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식별 코드에 따라 선택되는 포트 및 송신 신호의 위상 부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6 은 수신 데이터와 코드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수신 데이터와 코드 윈도우가 매칭되는 코드 매칭 포인트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대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상 조절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의 안테나부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의 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타겟 검출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100)은 신호 처리기(110), 송신기(120), 안테나부(130) 및 수신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기(110)는 신호 처리기(110)는 타겟 데이터로부터 타겟 정보를 획득하는 타겟 판별부(111) 및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생성기(112)는 식별 코드(Code)를 생성하여 송신기(120) 및 수신기(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 코드(Code)는 다수의 레이더 시스템 각각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 또는 반사 신호를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식별 코드(Code)는 기설정된 비트수의 길이를 갖는 데이터 열로 구성될 수 있다.
코드 생성기(112)는 레이더 시스템(100) 운용 시에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식별 코드를 송신기(120) 및 수신기(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코드 생성기(112)가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코드 생성기(112)는 의사 랜덤(pseudo random) 함수를 이용하여 랜덤하게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타겟 판별부(111)는 수신기(140)에서 전송되는 타겟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정보에는 타겟의 유무 및 타겟의 거리와 속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레이더 시스템(100)에서 타겟 데이터로부터 타겟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신호 처리기(110)는 송신기(110)가 제1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기(110)는 제1 신호의 주파수 및 파형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신호 처리기(110)는 제1 신호가 첩(chirp) 신호의 파형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생성기(112)는 제1 신호의 파형에 대응하여 식별 코드(Code)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기(110)는 차량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장치 또는 ECU의 일부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통합제어장치 또는 ECU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의 저장장치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타겟 판별부(111) 및 코드 생성기(112) 등은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송신기(120)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코드 생성기(112)에서 생성된 식별 코드(Code)에 응답하여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위상 조절된 제2 신호를 안테나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송신기(120)는 신호 생성기(121), 포트 선택부(122) 및 위상 조절기(123)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21)는 발진기(Oscillator),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 등을 포함하여 신호 처리기(110)의 제어에 따른 파형을 갖는 제1 신호를 생성한다.
포트 선택부(122)는 코드 생성기(112)로부터 식별 코드(Code)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코드(Code)에 따라 위상 조절기(123)에 포함된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포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신호 생성기(121)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를 선택된 입력 포트로 전달한다. 여기서 포트 선택부(122)는 식별 코드(Code)의 비트 값에 따라 제1 신호의 전달 경로를 변경하는 일종의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위상 조절기(123)는 다수의 입력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제1 신호가 전송되는 입력 포트에 따라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제2 신호를 안테나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위상 조절기(123)는 다수의 입력 포트 각각과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 사이에서 조절되는 위상차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제1 신호가 전송되는 입력 포트에 따라 출력 포트로 출력되는 제2 신호의 위상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포트 선택부(122)가 위상 조절기(123)의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제1 신호를 전송할 입력 포트를 식별 코드(Code)에 응답하여 선택하면, 위상 조절기(123)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통해 안테나부(130)로 출력되는 제2 신호의 위상이 결정된다. 위상 조절기(1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안테나부(130)는 송신기(120)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신호를 방사하고,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140)로 전달한다. 안테나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131)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131)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132) 각각은 다수의 급전 소자가 배열된 어레이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131)는 위상 조절기(123)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에 따라 송신 신호의 세기 및 지향 방향을 가변하여 방사할 수 있다. 즉 송신 안테나(131)은 송신 신호의 빔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도1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 안테나(131)과 수신 안테나(132)를 별도로 구분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송신 안테나(131)과 수신 안테나(132)는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140)는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전처리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따라 필터링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타겟에 반사된 반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수신기(140)는 전처리기(141) 및 코드 필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기(141)는 안테나부(130)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와 위상 조절기(123)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를 믹싱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샘플링하여 수신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전처리기(141)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부(LNA: Low Noise Amplifier)와, 저잡음 증폭된 수신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Mixer)와, 믹싱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Amplifier)와, 증폭된 수신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수신데이터를 생성하는 샘플러, 디지털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코드 필터(142)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 윈도우를 생성하고, 전처리기(141)에서 획득된 수신 데이터에 대해 코드 윈도우를 비교하여, 반사 신호에 대한 타겟 데이터를 추출한다. 코드 필터(142)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수신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를 갖는 코드 윈도우를 비교하여 수신 데이터에서 코드 윈도우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타겟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코드 필터(142)는 일예로 수신 데이터와 코드 윈도우의 각 비트와 곱하여 합한 값이 최대가 되는 수신 데이터를 타겟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에서 식별 코드에 따라 방사된 송신 신호와 유사한 패턴을 갖는 데이터로서, 수신 신호에서 송신 신호가 타겟에 반사된 반사 신호 성분에 대한 데이터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은 식별 코드에 따라 송신 신호를 방사하고,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송신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레이더 시스템에서 방사된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 주파수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레이더 시스템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 생성기(121)가 레이더 시스템(100)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제1 신호를 안정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는 안정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송신기(120)의 신호 생성기(121)가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직접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안정화 시간으로 인해 송신 신호의 위상이나 빔 형상 등을 신속하게 변경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100)는 포트 선택부(122) 및 위상 조절기(123)를 포함하여, 식별 코드에 따라 제1 신호의 전달 경로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송신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거나 송신 신호가 형성하는 빔의 크기 및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위상 조절기(123)가 송신기(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위상 조절기(123)는 송신기(12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코드 필터(142)가 수신기(14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코드 필터(142)는 신호 처리기(11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기(110)와 신호 생성기(121), 포트 선택부(122) 및 코드 필터(142) 중 적어도 하나는 집적회로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대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위상 조절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위상 조절기(123)가 일예로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Ring Hybrid Coupler 또는 Rat Race Coupler)(220)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2에서는 일예로 집적회로 칩(210)이 신호 처리기(110)와 신호 생성기(121), 포트 선택부(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집적회로 칩(210)이 포트 선택부(122)를 포함하는 경우, 집적회로 칩(210)은 위상 조절기(123)의 입력 포트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송신 포트(TP1, TP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220)는 링 형상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4개의 포트(P1 ~ P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포트(P1 ~ P4)는 각각 링 형상의 중앙부를 따라 λ/4(여기서 λ는 제1 신호의 파장이다)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양단의 제1 및 제4 포트(P1, P4)는 3*λ/4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4개의 포트(P1 ~ P4)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포트들 간에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서로 90도 위상차를 가지며, 제1 및 제4 포트(P1, P4) 사이에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270도 위상차를 갖게 된다.
도 2에서는 일예로, 제1 포트(P1) 및 제3 포트(P3)가 각각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로서, 제1 및 제2 송신 포트(TP1)에 연결되고, 제4 포트(P4)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P4)로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TX)에 연결된다.
따라서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220)는 제1 포트(P1)를 통해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신호와 27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를 제4 포트(P4)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제3 포트(P3)를 통해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신호와 9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를 제4 포트(P4)를 통해 출력한다. 즉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220)는 제1 신호가 제1 포트(P1)을 통해 입력되는지, 또는 제3 포트(P3)를 통해 입력되는지에 따라 제2 신호의 위상을 180도 전환하여 송신 안테나(TX)로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TX)는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방사한다.
이에 포트 선택부(122)는 식별 코드에 따라 제1 포트(P1)에 연결되는 제1 송신 포트(TP1) 또는 제3 포트(P3)연결되는 제2 송신 포트(TP2)를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송신 신호의 위상을 빠르고 용이하게 180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포트(P2)는 종단 저항(terminating resistance)과 같은 종단 수단에 연결되어 반사파로 인한 잡음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식별 코드에 따라 선택되는 포트 및 송신 신호의 위상 부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식별 코드가 일예로 8비트의 데이터 길이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10110010"의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포트 선택부(122)는 식별 코드의 비트 값이 1이면 제1 신호를 제1 송신 포트(TP1)를 통해 위상 조절기(123)의 제1 포트(P1)로 출력하고, 식별 코드의 비트 값이 0이면 제1 신호를 제2 송신 포트(TP2)를 통해 위상 조절기(123)의 제3 포트(P3)로 출력한다.
위상 조절기(123)는 제1 신호가 제1 포트(P1)로 수신되는지 제3 포트(P3)로 수신되는지에 따라 180위상 반전된 제2 신호를 출력 포트인 제4 포트(P4)로 출력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P1)로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의 송신 신호 위상을 + 위상이라고 하면, 제3 포트(P3)로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의 송신 신호의 위상은 180도 반전되므로 ?? 위상이라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수신 데이터와 코드 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수신 데이터와 코드 윈도우가 매칭되는 코드 매칭 포인트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코드에 따라 송신 신호가 송신 안테나(TX)를 통해 방사된 송신 신호는 타겟에 반사되어 수신 안테나(RX)로 수신 신호가 수신된다. 이때, 수신 안테나(RX)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에는 송신 신호가 타겟에 반사된 반사 신호뿐만 아니라, 간섭 신호가 포함된다. 여기서 간섭 신호는 주변 잡음뿐만 아니라, 다른 레이더 시스템에서 방사된 송신 신호 또는 반사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레이더 시스템(100)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갖는 송신 신호를 방사하므로, 송신 신호가 반사된 반사 신호 또한 송신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수신기(140)는 수신 신호에서 송신 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신호를 식별함으로써, 반사 신호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기(140)의 전처리기(141)는 수신 신호와 위상 조절기(123)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를 믹싱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샘플링하여 수신 데이터(RX data)를 획득하여, 코드 필터(142)로 전송한다.
그리고 코드 필터(142)는 식별 코드(Code)에 대응하는 코드 윈도우를 생성하여 수신 데이터(RX data)를 코드 윈도우와 비교한다. 이때 코드 필터(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수신 데이터(RX data)에 대해 코드 윈도우를 이동하면서, 수신 데이터(RX data)와 코드 윈도우 사이의 비교값이 최대가 되는 포인트에서의 수신 데이터(RX data)를 타겟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일예로 코드 필터(142)는 수신 데이터(RX data)와 코드 윈도우의 각 비트와 곱하여 합한 값을 비교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필터(142)는 수신 데이터와 코드 윈도우 사이의 비교값이 최대가 되는 코드 매칭 포인트에서 수신 신호 중 반사 신호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는 포트 선택부(122)가 식별 코드에 따라 제1 및 제2 송신 포트(TP1, TP2)를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송신 신호의 위상이 180도 전환되어 출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트 선택부(122)는 식별 코드에 따라 제1 송신 포트(TP1) 또는 제2 송신 포트(TP2)를 중 하나로 제1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1 송신 포트(TP1) 및 제2 송신 포트(TP2)를 모두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포트 선택부(122)가 제1 송신 포트(TP1) 또는 제2 송신 포트(TP2)를 중 하나로 제1 신호를 출력하면, 특정 위상의 송신 신호가 안테나부(130)를 통해 방사되는 반면, 제1 및 제2 송신 포트(TP1, TP2)를 모두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하면, 제1 및 제3 포트(P1, P3) 각각을 통해 입력된 제1 신호가 링형 중앙부에서 서로 상쇄됨으로써, 안테나부(130)가 송신 신호를 방사하지 않게 된다.
이는 식별 코드에 따라 송신 신호의 위상을 전환하는 것과 유사하게 송신 신호가 식별 코드에 따른 패턴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여 레이더 시스템(100)이 용이하게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대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위상 조절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도 집적회로 칩(210)이 신호 처리기(110)와 신호 생성기(121), 포트 선택부(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집적회로 칩(210)은 위상 조절기(123)의 입력 포트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송신 포트(TP1, TP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위상 조절기(820)는 일예로 브랜치 라인 커플러(Branch Line Coupler 또는 Quadrauture Hybrid Coupler)(821) 및 지연 선로(822)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브랜치 라인 커플러(820)는 2개의 입력 포트(IP1, IP2)와 2개의 출력 포트(OP1, OP2)를 포함한다. 2개의 입력 포트(IP1, IP2) 중 제1 입력 포트(IP1)는 제1 송신 포트(TP1)에 연결되고, 제2 입력 포트(IP2)는 제2 송신 포트(TP2)에 연결된다. 그리고 브랜치 라인 커플러(820)는 제1 및 제2 입력 포트(IP1, IP2)와 제1 및 제2 출력 포트(OP1, OP2)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전송 선로와 2개의 전송 선로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브랜치 라인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전송 선로와 2개의 브랜치 라인의 길이는 각각 λ/4(여기서 λ는 제1 신호의 파장이다)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입력 포트(IP1)로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출력 포트(OP1)로는 제1 신호와 9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가 출력되고, 제2 출력 포트(OP2)로는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가 출력된다. 반면, 제2 입력 포트(IP2)로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출력 포트(OP1)로는 제1 신호와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가 출력되고, 제2 출력 포트(OP2)로는 9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가 출력된다.
즉 제1 및 제2 출력 포트(OP1, OP2)로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는 제1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가 제1 입력 포트(IP1)인지 또는 제2 입력 포트(IP2)인지에 따라 90도 또는 -90도 위상차를 갖고 출력된다.
지연 선로(822)는 제1 및 제2 출력 포트(OP1, OP2) 중 하나에 연결되어 브랜치 라인 커플러(820)에서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 중 하나를 90도 위상 지연하여 출력한다. 도 9에서는 지연 선로(822)가 제1 출력 포트(OP1)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지연 선로(822)는 제2 출력 포트(OP2)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연 선로(822)는 브랜치 라인 커플러(820)의 전송 선로 및 브랜치 라인과 동일하게 λ/4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브랜치 라인 커플러(820)에서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가 90도 또는 -90도 위상차를 가지므로, 제1 출력 포트(OP1)에 지연 선로(822)가 연결되면, 지연 선로(822)에 의해 제1 출력 포트(OP1)를 통해 출력되는 제2 신호가 90도 위상 지연된다.
따라서 제1 입력 포트(IP1)을 통해 제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연 선로(822)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와 제2 출력 포트(OP2)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는 모두 제1 신호에 대해 180도 위상차를 갖는 동일 신호로 출력된다. 즉 안테나부(130)로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는 동일 위상을 갖는 신호로 출력된다.
반면, 제2 입력 포트(IP2)을 통해 제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연 선로(822)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는 제1 신호에 대해 270도 위상차를 갖고, 제2 출력 포트(OP2)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는 제1 신호에 대해 90도 위상차를 갖는다. 즉 안테나부(130)로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는 180도 위상차를 갖는 신호로 출력된다.
따라서 포트 선택부(122)는 식별 코드에 따라 제1 입력 포트(IP1)에 연결되는 제1 송신 포트(TP1) 또는 제2 입력 포트(IP2)연결되는 제2 송신 포트(TP2)를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안테나부(130)로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가 동일한 위상을 갖거나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안테나부(130)가 위상 조절기(123)에서 전달되는 2개의 제2 신호를 각각 인가받는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를 포함한다.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는 각각 다수의 급전 소자가 배열된 어레이 안테나일 수 있으며,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는 일예로 λ/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의 안테나부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의 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식별 코드에 따라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되는 2개의 송신 신호 사이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식별 코드에 따라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되는 2개의 송신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식별 코드에 따른 빔 패턴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도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가 λ/2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포트 선택부(122)는 식별 코드의 해당 비트값이 1인 경우 제1 입력 포트(IP1)로 제1 신호를 출력하고, 비트값이 0인 경우에 제2 입력 포트(IP2)로 제1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식별 코드의 비트값이 0(Code 0)이면, 포트 선택부(122)는 제2 입력 포트(IP2)로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위상 조절기(123)는 180도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제2 신호를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로 출력한다. λ/2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가 각각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2 신호를 수신하므로,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로부터 동일한 거리의 지점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된 신호가 서로 상쇄된다. 그러나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 각각과의 거리가 λ/2만큼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된 신호가 결합되어 최대 진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1의 좌측과 같이,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에 형성되는 빔이 +45도 및 -45도 방향에서 최대가 되는 패턴을 갖는다.
반면, 식별 코드의 비트값이 1(Code 4)이면, 포트 선택부(122)는 제1 입력 포트(IP1)로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위상 조절기(123)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2개의 제2 신호를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로 출력한다.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가 동일한 위상을 갖는 제2 신호를 수신하므로,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로부터 동일한 거리의 지점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된 송신 신호가 결합된다. 그에 반해 2개의 송신 안테나(TX1, TX2) 각각과의 거리가 λ/2만큼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된 송신 신호가 서로 상쇄된다.
그러므로 도 11의 우측과 같이, 송신 안테나(TX1, TX2)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에 형성되는 빔이 0도 및 180도 방향에서 최대가 되는 패턴을 갖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 시스템(100)은 식별 코드에 따라 송신 신호의 빔 패턴을 가변함으로써, 지향 방향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송신 신호의 지향 방향이 식별 코드에 따라 가변되므로, 결과적으로 특정 위치의 타겟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갖게 된다.
그리고 수신기(140)는 식별 코드의 패턴에 따라 수신 안테나(132)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로부터 용이하게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타겟 검출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타겟 검출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송신기(120)의 신호 생성기(121)가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210). 신호 생성기(121)은 신호처리기(11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주파수와 파형을 갖는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기(110)의 코드 생성기(112)는 식별 코드를 획득한다(S1220). 코드 생성기(112)는 미리 저장된 식별 코드를 획득하거나 식별 코드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코드 생성기(112)가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에, 식별 코드는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포트 선택기(122)는 신호 생성기(12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코드 생성기(112)로부터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식별 코드에 따라 위상 조절기의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포트를 선택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한다(S1230).
위상 조절기(123)는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제1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따라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출력 포트를 통해 안테나부(130)로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안테나부(130)는 수신된 제2 신호에 따라 송신 신호를 방사한다(S1240).
이때 안테나부(130)에서 방사되는 송신 신호는 식별 코드에 따라 위상이 가변될 수 있으며, 송신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빔의 패턴이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송신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빔의 지향 방향이 식별 코드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수신기(140)의 전처리기(141)는 안테나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를 변환하여 수신 데이터를 획득한다(S1250). 전처리기(141)는 수신 신호와 위상 조절기(123)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를 믹싱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샘플링하여 수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코드 필터(142)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 윈도우를 생성하고, 전처리기(141)에서 획득된 수신 데이터에 대해 코드 윈도우를 비교하여, 반사 신호에 대한 타겟 데이터를 획득한다(S1260). 그리고 타겟 판별부(111)는 수신기(140)에서 전송되는 타겟 데이터를 분석하여 타겟 정보를 획득한다(S1270).
따라서 안테나부(130)를 통해 방사되는 송신 신호는 식별 코드에 따라 위상이 조절되거나, 송신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가변된다. 그리고 안네타부(130)로 수신된 수신 신호로부터 송신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신호에 포함된 간섭 신호와 반사 신호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레이더 시스템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레이더 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파수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레이더 시스템 110: 신호 처리기
120: 송신기 130: 안테나부
140 : 수신기 220 :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
820 : 브랜치 라인 커플러 TX1 : 제1송신안테나
TX2 : 제2송신안테나

Claims (11)

  1.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되는 입력 포트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출력하는 위상 조절기;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위상 반전되거나 빔을 형성하도록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위상 조절기의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포트 선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조절기는
    인접한 포트 사이에 기설정된 제1 위상차를 갖도록 링 형상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순차적 제1 내지 제4 포트가 배치되는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Ring Hybrid Coupler 또는 Rat Race Coupler)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1 내지 제4 포트 중 제1 또는 제3 포트는 상기 입력 포트로서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포트는 상기 출력 포트로서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조절기는
    제1 및 제2 입력 포트와 제1 및 제2 출력 포트를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전송 선로와 2개의 전송 선로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브랜치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입력 포트로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제1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입력 포트로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로 제2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제2 신호를 출력하는 브랜치 라인 커플러(Branch Line Coupler 또는 Quadrauture Hybrid Coupler); 및
    상기 브랜치 라인 커플러의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설정된 제3 위상차만큼 위상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 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위상 조절기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제1 및 제2 송신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안테나는 상기 위상 조절기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제2 신호 사이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의 빔이 기지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제1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위상차는 90도이고, 상기 제2 위상차는 -90도이며, 제1 간격은 λ/2(여기서 λ는 제1 신호의 파장이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의 송신 장치.
  7. 다수의 급전 소자가 배열된 안테나부;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제2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로 출력하는 송신기;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전처리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따라 필터링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타겟에 반사된 반사 신호를 추출하는 수신기; 및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반사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타겟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신호 처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되는 입력 포트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서로 상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로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조절기;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위상 조절기의 다수의 입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포트로 전달하는 포트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믹싱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샘플링하여 수신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처리기; 및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에 대해 상기 코드 윈도우를 비교하여, 상기 반사 신호에 대한 타겟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는 코드 필터;
    를 포함하는 레이더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별 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생성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타겟 데이터로부터 상기 타겟의 속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타겟 판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의사 랜덤(pseudo random) 방식으로 생성되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KR1020180042476A 2018-04-12 2018-04-12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KR10209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6A KR102093363B1 (ko) 2018-04-12 2018-04-12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US16/381,618 US11280878B2 (en) 2018-04-12 2019-04-11 Radar system and transmission apparatus therefor
CN201910292815.4A CN110376554B (zh) 2018-04-12 2019-04-12 雷达系统以及用于该雷达系统的发送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6A KR102093363B1 (ko) 2018-04-12 2018-04-12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64A true KR20190119264A (ko) 2019-10-22
KR102093363B1 KR102093363B1 (ko) 2020-03-25

Family

ID=6816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76A KR102093363B1 (ko) 2018-04-12 2018-04-12 레이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0878B2 (ko)
KR (1) KR102093363B1 (ko)
CN (1) CN11037655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41B1 (ko) * 2019-11-21 2020-04-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배열 iff 안테나와 전송선로 가변형 고각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기 구축함용 피아식별장치
KR102224381B1 (ko) * 2020-04-14 2021-03-0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배열 iff 안테나와 전송선로 가변형 고각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기 구축함용 피아식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9160A1 (en) * 2019-10-18 2021-04-21 Furuno Electric Compan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in water bodie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000A (ja) * 2000-09-22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
JP2002525641A (ja) * 1998-09-29 2002-08-13 イギリス国 近接測定装置
KR100374911B1 (ko) * 1994-06-01 2003-05-09 로버트보슈게젤샤프트미트베슈랭크터하프퉁 레이다송신기/수신기
KR20070008312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원형편파안테나를 구비한 레이더 시스템
KR100964338B1 (ko) * 2010-01-25 2010-06-1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레이더 수신기의 송신신호 제거장치
KR100971765B1 (ko) * 2009-12-07 2010-07-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광대역 모노펄스 위상 비교기
KR20130016884A (ko) *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만도 바룬을 포함하는 레이더 시스템
KR20160132461A (ko) * 2014-03-12 2016-11-18 사브 에이비 편파 다이버시티용 안테나 시스템
KR20170072325A (ko) * 2014-11-26 2017-06-26 발레오 레이더 시스템즈, 인크. 자동차 레이더 시스템에서 각도 분해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1781A (en) * 1996-05-20 1998-03-24 Delco Electronics Corp. Continuous wave wideband precision ranging radar
US6587072B1 (en) * 2002-03-22 2003-07-01 M/A-Com, Inc. Pulse radar detection system
JP2005142736A (ja) * 2003-11-05 2005-06-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受信特性評価システム
US7791530B2 (en) * 2006-01-05 2010-09-07 Autoliv Asp, Inc. Time duplex apparatus and method for radar sensor front-ends
US20080278370A1 (en) * 2007-05-09 2008-11-13 Rudolf Lachner Rf-frontend for a radar system
JP2009080024A (ja) * 2007-09-26 2009-04-16 Fujitsu Ltd 探知測距装置および探知測距方法
JP5262924B2 (ja) * 2009-03-31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Rfidシステムおよび無線装置
JP5655516B2 (ja) * 2010-11-12 2015-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ーダ装置
JP6105473B2 (ja) * 2011-08-12 2017-03-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ダ装置
US8912957B2 (en) * 2011-12-12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Reconfigurable millimeter wave multibeam antenna array
JP2014106058A (ja) * 2012-11-26 2014-06-09 Fujitsu Ltd 探知測距装置及び干渉信号特定方法
BR112015019881A2 (pt) * 2013-02-19 2017-07-18 Toyota Motor Co Ltd radar e método de detecção de objetos
KR20150015067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US9711853B2 (en) * 2013-08-07 2017-07-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Broadband low-beam-coupling dual-beam phased array
JP2016151425A (ja) * 2015-02-16 2016-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ーダ装置
CN106353740A (zh) * 2016-10-14 2017-01-25 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工程学院 一种基于时序脉冲编码的无线电应答标校设备
KR102662232B1 (ko) * 2016-11-28 2024-05-02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다중입력 다중출력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JP6917735B2 (ja) * 2017-03-07 2021-08-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ダ装置及びレーダ方法
LU100172B1 (en) * 2017-04-12 2018-10-15 Iee Sa Interference mitigation in automotive Radar systems by artificial Doppler modulation
KR102401188B1 (ko) * 2017-08-28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레이더를 이용한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397095B1 (ko) * 2017-11-17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레이더를 이용한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11B1 (ko) * 1994-06-01 2003-05-09 로버트보슈게젤샤프트미트베슈랭크터하프퉁 레이다송신기/수신기
JP2002525641A (ja) * 1998-09-29 2002-08-13 イギリス国 近接測定装置
JP2002101000A (ja) * 2000-09-22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
KR20070008312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원형편파안테나를 구비한 레이더 시스템
KR100971765B1 (ko) * 2009-12-07 2010-07-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광대역 모노펄스 위상 비교기
KR100964338B1 (ko) * 2010-01-25 2010-06-1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레이더 수신기의 송신신호 제거장치
KR20130016884A (ko) *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만도 바룬을 포함하는 레이더 시스템
KR20160132461A (ko) * 2014-03-12 2016-11-18 사브 에이비 편파 다이버시티용 안테나 시스템
KR20170072325A (ko) * 2014-11-26 2017-06-26 발레오 레이더 시스템즈, 인크. 자동차 레이더 시스템에서 각도 분해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41B1 (ko) * 2019-11-21 2020-04-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배열 iff 안테나와 전송선로 가변형 고각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기 구축함용 피아식별장치
KR102224381B1 (ko) * 2020-04-14 2021-03-0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배열 iff 안테나와 전송선로 가변형 고각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차기 구축함용 피아식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76554A (zh) 2019-10-25
US20190317185A1 (en) 2019-10-17
KR102093363B1 (ko) 2020-03-25
CN110376554B (zh) 2023-05-30
US11280878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6063B (zh) 雷达设备和处理雷达信号的方法
CN108120958B (zh) 具有多输入多输出天线的雷达装置
US11874363B2 (en) Radar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therefor
CN108120957B (zh) 雷达装置及其天线装置
US11796662B2 (en) Radar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therefor
CN110376554B (zh) 雷达系统以及用于该雷达系统的发送设备
US20120050092A1 (en) Multi-range radar system
EP0965859A1 (en) A radar
US20110163906A1 (en) Radar apparatus, antenna apparatus, and data acquisition method
JP2004512543A (ja) レーダ装置およびレーダ装置の駆動方法
JP4573518B2 (ja) 物体位置決定方法、物体の範囲及び方位の測定方法及び物体の範囲及び方位測定用センサ
JP2003139849A (ja) レーダ装置
US20220373675A1 (en) Switchable FMCW/PMCW Radar Transceiver
WO2007023371A1 (en) Grating lobe assisted search radar system utilising antenna with multiple elements
JPH09304519A (ja) マルチビームfmレーダ装置
US8958408B1 (en) Coded aperture scanning
CN112736494A (zh) 一种低成本双极化相控阵天线及处理方法
JP2006091029A (ja) レーダ装置
KR102207567B1 (ko) 차량용 레이더 및 이의 탐지 성능 개선 방법
US8482454B2 (en) Monostatic multi-beam radar sensor, as well as method
CN113625280A (zh) 车辆用雷达装置、雷达装置的控制方法及车辆用雷达系统
US8325083B2 (en) Radar apparatus
CN217639503U (zh) 一种毫米波雷达发射装置
RU2586882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ложных радиолокационных целей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12000921B2 (en) Rada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