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701A -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701A
KR20190118701A KR1020180041865A KR20180041865A KR20190118701A KR 20190118701 A KR20190118701 A KR 20190118701A KR 1020180041865 A KR1020180041865 A KR 1020180041865A KR 20180041865 A KR20180041865 A KR 20180041865A KR 20190118701 A KR20190118701 A KR 2019011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nion
tourmaline
patch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용
Original Assignee
고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용 filed Critical 고한용
Priority to KR102018004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701A/ko
Publication of KR2019011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59Accessories for dressings provided with visual effects, e.g. printed or colo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육통을 야기하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부위에 음이온을 공급시켜 근육통, 나아가서 근 파열을 예방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르말린(Tourmaline) 등 음이온 발생 소재를 이용한 피부를 통한 음이온 공급 수단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에 의하면 통기성 시트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형상의 투르말린 바인더를 설치하여 1mm 내외로 적층 형성토록 하고 이 시트를 일정 모양으로 잘라서 패치부의 중앙에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투르말린은 피부의 땀과 반응하여 음이온을 생성시켜 피부를 통하여 활성 산소가 발생한 근섬유에 침투시켜 활성 산소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최고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음이온 발생 소재를 피부에 완전히 밀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종전의 방식은 피부에 밀착이 되지 않아서 땀과의 반응성과 피부를 통한 침투성을 최고로 높이기 어려운 구조였으며, 피부에 밀착되는 패치형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은 투르말린 외의 잡다한 성분을 사용하여 음이온 투습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구조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르말린 등의 음이온 발생 소재만으로 이루어진 바인더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를 제안하고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Body patch with negative ion generating material installed}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육통을 야기하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부위에 음이온을 공급시켜 근육통, 나아가서 근 파열을 예방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대사의 부산물인 활성 산소
에너지를 생산하려면, 미토콘드리아는 숨 쉬는 공기로부터의 산소, 먹는 음식으로부터 지방 및 포도당을 필요로 한다.
숨쉬기와 음식 섭취라는 이런 두 가지 과정은 산화적 인산화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함께 결합된다. 그것은 미토콘드리아가 ATP라는 형식으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에는 먹는 음식의 환원된 형태로부터 전자를 전달하여 숨 쉬는 공기의 산소와 결합시켜 궁극적으로 물을 생성하는, 일련의 전자 전달 사슬이 있다.
이 프로세스로 ADP(아데노신 2인산)으로부터 ATP(아데노신 3인산)을 재충전하는 양자가 미토콘드리아 막 전체에 생성됩니다. ATP는 우리 신체 전체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그러나 그 과정은 또한 세포에 손상이 되는 활성 산소와 같은 부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근섬유를 사용하면 근섬유에 활성 산소가 발생되어 근섬유를 파괴하여 근육통이 발생되고 점점 파괴가 커지면 근섬유 파열이 발생하는 것이다.
활성 산소의 작동 원리
원자는 전자가 2개, 10개, 18개, 26개, 34개 등등일 때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 화학의 octet rule이다. 즉, 처음의 2에서 출발하여 계속해서 8을 더해나간 전자 개수일 때 안정되어 있고 이렇지 않을 경우 주위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안정된 상태로 나아가려 한다.
한 예로 원자번호 8번인 산소는 순수 산소 원자일 때 전자의 개수가 8개이다. 즉, 전자 2개를 주위로부터 빼앗을 경우 10개의 전자를 가지며 안정화되는데 이럴 경우 원자핵의 양성자는 8의 플러스 전하를 가지고 있는데 전자의 마이너스 전하는 10이므로 마이너스 전하가 2를 초과하는 -2가의 음이온 산소 원자가 되는 것이다. 전자의 개수가 8개인 순수한 산소 원자 자체가 바로 활성 산소이다. 안정화되기에는 전자가 2개 부족하며 실온에서 기체인 원자는 반응이 폭발적인 굉장히 라디칼(radical)할 물질인데 활성 산소가 이에 해당한다.
다른 예로 원자번호 17번인 염소는 전자의 개수가 17개이므로 1개의 전자만 탈취하면 안정화되기에 더욱더 라디칼하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사용된 독가스가 바로 염소이다. 염소는 인체에 유입된다면 바로 생명을 앗아갈 정도로 라디칼한 물질이다.
octet rule에 따랐을 때 전자 개수가 1개가 부족하면서 실온에서 기체인 물질은 지극히 라디칼하여 호흡기로 들이마시면 즉시 사망하는 인체에 치명적인 독소가 된다. 예를 들면 원자번호 9번 플루오린과 원자번호 17번 염소는 맹독성 기체인 것이다.
octet rule에 따랐을 때 전자 개수가 2개가 부족하면서 실온에서 기체인 물질은 인체에 해를 입히지만 호흡기로 들이마셔도 즉시 사망할 정도는 아니다. 예를 들면 원자번호 8번 산소(즉, 활성 산소)와 원자번호 16번 황(즉, 유황)이 있다.
나아가서 octet rule에 따랐을 때 전자 개수가 3개가 부족하다면 보다 덜 라디칼하리라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소보다는 덜 라디칼하지만 그래도 인체에 충분히 라디칼한 물질인 에너지 대사의 부산물로 발생된 활성 산소는 즉시 주위의 인체 세포로부터 부족한 전자 2개를 탈취하면서 세포를 파괴하게 된다.
근섬유가 힘을 써서 발생한 활성 산소는 바로 그 자리에 있는 근섬유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근육통이 발생하게 된다. 현미경으로도 잘 안 보일 정도의 자그마한 근육통에서 시작되지만 파괴된 근섬유가 치유되기 전에 다시 활성 산소에 의하여 파괴되면 점점 더 파괴 범위가 커져서 나중에는 육안으로도 확인될 정도로 파열되는 것이고 결국 수술대에 올라야 되겠지만, 이 모든 것의 시작점과 경과점과 종착점은 활성 산소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섬유가 과도한 운동만으로도 파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근섬유는 매우 단단하여 과도한 운동만으로는 결코 파열되지 않는다. 과도한 운동의 결과 발생한 활성 산소에 의해서 근섬유가 파열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같은 말이지 않냐”라는 의견이 있을 수 있는데, 완전히 다르다. 즉, 과도한 운동을 했지만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경우, 과도한 운동을 하고도 근섬유가 파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근섬유 파열은 과도한 운동을 할 경우 피할 수 없는 결과물로 알고 있지만, 피할 수 있다는 것이 ‘근섬유 파열의 활성 산소 핵심 역할론’의 핵심이다. 이 이론의 도입으로 스포츠계에서는 혁명적인 변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야구 선발 투수의 경우 5일 쉬고 등판하는 일정을 소화하여 한 해 20승을 거두는 투수가 어깨의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경우 2일 쉬고 등판하는 일정을 소화할 수 있다면 한 해 50승이라는 비현실적인 승수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다만, 근섬유를 파괴하는 활성 산소는 얌전히 경기가 끝날 때까지 기다려 주지 않고 발생하는 즉시 근섬유를 파괴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경기 중에 즉시즉시 활성 산소를 제거해 줄 수 있는 수단을 찾아내는 것이 이 이론을 증명해 줄 선결 과제일 것이다.
음이온의 활성 산소 제거 원리
octet rule에 따라 우주에는 세 가지 종류의 안정된 상태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순수 원자 자체로 안정된 상태이다. 원자 번호 2번인 헬륨은 순수 원자 그 자체로 안정된 상태이다. 원자 번호 10번인 네온(Ne), 원자 번호 18번인 아르곤(Ar)도 마찬가지이다. 이 원소들은 주변으로부터 전자를 탈취할 필요도 없고, 안정화되기 위하여 다른 원소들과 합쳐져서 분자를 구성할 필요도 없으니 반응성이 극히 약한 물질이다.
두 번째는 이온 상태이다. 앞서의 마이너스 전하가 2를 초과하는 -2가 산소 음이온이 그 예이다. 반대로 플러스 전하가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이온이 된다. 예를 들면 원자 번호 3번인 리튬(Li)은 전자 1개를 버려서 안정화되려고 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때 전자는 2개 양성자는 3개이므로 양성자가 1개 초과하는 +1가 양이온이 되는 것이다. 이온 상태도 더 이상 주변으로부터 전자를 탈취할 필요도 없고, 안정화되기 위하여 다른 원소들과 합쳐져서 분자를 구성할 필요도 없으니 반응성이 극히 약한 물질이다.
세 번째는 분자 상태이다. 물 분자(H2O)의 경우 수소 원자 2개와 산소 원자 2개가 결합한 것이다. 이때 원자 번호 1번인 수소의 전자 1 개씩 2개와 원자 번호 8번인 산소의 전자 8개를 합치면 총 전자 개수가 10개로 안정된 상태인 것이다. 즉, 분자를 이루면 분자 단위의 전자는 공유된 채로 octet rule이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자 상태도 더 이상 주변으로부터 전자를 탈취할 필요도 없고, 안정화되기 위하여 다른 원소들과 합쳐져서 분자를 구성할 필요도 없으니 반응성이 극히 약한 물질이다. 다만, 외부로부터의 전기 자극 등을 받으면 전기 분해되어 수소 음이온과 산소 음이온으로 분리된다는 특징이 다른 점이다.
이 중에 음이온은 활성 산소를 제거해 줄 수 있다. 즉, -2가 산소 음이온(전자 10개)이 활성 산소(전자 8개)와 만나면 산소 분자(O2)를 이룬다. 산소 분자의 총 전자 개수가 18개로 octet rule에 의해 안정된 상태이며, 산소 분자는 인체에 무해하므로 산소 음이온을 통하여 활성 산소가 제거된 것이다.
또한, -1가 수소 음이온(전자 2개) 2개와 활성 산소(전자 8개)가 만나면 물 분자(H2O)를 이룬다. 이때 단순하게 합쳐진 물 분자의 총 전자 개수가 12개이므로 남는 전자 2개를 버리게 되는데(결국 최종적인 물 분자의 총 전자 개수 10개로 안정화 됨), 버려진 전자 2개는 다른 활성 산소와 결합하여 -2가 산소 음이온으로 변하게 된다. 결국 수소 음이온과 활성 산소의 결합으로 인체에 무해한 물 분자와 산소 음이온이 발생되므로 수소 음이온을 통하여 활성 산소가 제거된 것이다.
따라서 경기 중에 즉시즉시 이러한 -2가 산소 음이온과 -1가 수소 음이온을 근섬유에 공급해 줄 수 있는 수단을 찾아낼 수만 있다면 활성 산소로 인한 근섬유 파열의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인체에 음이온을 공급하려는 수단
인체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수단은 음식과 공기를 들 수 있다.
먼저 음식에 음이온이 함유된 최고의 음식은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이다.*?*비타민 A는 노란색 채소에, 비타민 C는 과일에, 비타민 E는 견과류에 많이 들어 있다. 하지만, 음식을 통한 음이온 공급은 소화 기관을 통한 흡수와 혈류를 통한 근섬유로의 전달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경기 중에 즉시 활성 산소가 발생된 근섬유로의 음이온 공급과는 거리가 멀다.
다음 공기에 음이온이 풍부한 함유된 장소는 폭포수 주변이나 파도가 치는 바닷가 등이다. 하지만, 호흡을 통하여 혈액으로 음이온을 공급하고 혈류를 통하여 근섬유로 전달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역시 경기 중에 즉시 활성 산소가 발생된 근섬유로의 음이온 공급과는 거리가 멀다.
즉, 경기 중에 발생된 활성 산소로 근섬유가 이미 파괴된 이후에 음이온이 전달된다면 이미 늦은 것이다.
피부를 통하여 음이온을 공급하려는 수단
음식과 공기를 통하여 음이온 공급 수단 이외에 최근에는 피부를 통하여 음이온을 공급하려는 수단들이 등장했다. 음이온이 방출되는 목걸이, 팔찌 등이 그 예이다.
하지만 피부와 밀착되지 아니하여 사실상 피부를 통한 음이온 흡수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음이온이 필요한 활성 산소 발생 부위에 맞춤형으로 음이온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이온 목걸이 등에서 사용하는 음이온 발생 물질(게르마늄, 모나자이트 등)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은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선을 함유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43960호(2017.4.4. 출원)는 일체형인 투르말린 볼이 설치된 스판덱스 원단을 이용한 발열 신체 밴드와 발열 언더셔츠 및 분리형인 투르말린 볼이 설치된 스판덱스 원단 등을 이용한 발열 패드와 이것의 고정 방법은 신체에 밀착시키는 문제와 방사선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해당 신체 부위에 맞춤형인 해당 신체 밴드를 사용해야 하며 이것을 다른 신체 부위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94778호(2008.1.8. 등록)는 투르말린이 함유된 실리콘 패치로 종래의 패치가 1회 사용에 그치는 것을 고려하여 영구적으로 반복적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지만, 땀 등에 오염이 되어 세탁을 하게 되면 투르말린이 쓸려져 나가서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를 차단하는 두꺼운 실리콘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 패치가 완전히 피부에 밀착이 되어야 효과를 발휘하지만 밀착력이 없어서 음이온 피부 흡수 효과는 거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26873호(2009.11.6. 등록)는 희토류 광물이 포함된 피부 접착형 패치로 수액 패치의 내부에 충진된 수액 혼합 분말을 통하여 인체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모나자이트와 투르말린이 포함된 희토류 광물 층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인체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접착형 패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인체의 노폐물 제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모나자이트를 통하여 음이온을 공급한다는 원리이므로 전적으로 투르말린을 통하여만 음이온을 공급하는 것과는 달리 방사선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르말린이 이 발명의 패치를 이루는 수많은 성분 중에 일부로서 매우 제한적인 효과를 미침에 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32833호(2012.03.27. 등록)는 적색 셰일을 함유한 통증 및 염증 완화용 패치로 통증 완화를 기대하고 있지만, 적색 셰일에 함유된 수많은 물질 중 음이온이 발생되는 물질에서 방사된 음이온이 통증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음이온 외에 방사선이 방사된다는 점을 회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치에 설치된 투르말린을 피부에 더 완전하게 밀착시켜서 투르말린의 음이온 생산을 극대화하고, 피부를 통한 음이온 공급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신체 어느 부위든 원하는 부위에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탁의 불편함 및 세탁 시 효과 감소를 회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두껍고 땀 흡수가 안 되는 소재로 제작하여 피부 트러블 등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이온 발생 물질에 의한 유해한 방사선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체에 간편하게 부착하고 떼어낼 수 있는 패치에 투르말린을 설치하고 운동 시 많은 에너지를 쓰는 부위에 부착할 수 있게 하여 피부를 통하여 근섬유에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운동 시 근섬유의 에너지 대사의 부산물인 활성 산소가 근섬유를 파괴하는 것을 이 음이온이 막아내어 근육통을 예방하고, 나아가서 근 파열(근육 파열, 건 파열, 인대 파열)을 방지하는 데 기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투르말린 등을 통하여 근섬유에 음이온을 경기 중에 공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투르말린(Tourmaline)은 전기석으로도 불리며, 우라늄, 자철광과 더불어 3대 자연적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로 꼽히고 있다.
투르말린의 전기 발생 원리는 다음과 같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태양풍 속에는 음이온이 있는데, 따라서 실내에는 음이온이 적고, 실외에는 음이온이 실내의 2배, 자연 휴양림에는 6배, 민물 저수지에는 10배, 바닷가 갯바위에는 20배의 음이온이 존재한다.
이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음이온이 투르말린 입자의 플러스 전극에 흡수되어 마이너스 전극으로 운반된다. 자연적으로 마이너스 전극 측에서 마이너스 전자 하나가 밀려나가게 되어 전기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 전기에 물이 닿으면 물 분자가 전기 분해되면서 수소음이온과 산소음이온이 생성된다.
땀샘은 인체의 입술과 남성의 생식기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 존재하는데, 이 땀은 대부분이 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투르말린에서 발생된 전기로 인하여 수소음이온과 산소음이온이 만들어 진다.
또한 전기로 인하여 피부에 열감이 느껴지게 되는데, 이 열감으로 인하여 피부에서는 땀이 발생하게 되고, 땀의 전기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음이온 중 일부 또는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음이온이 다시 투르말린의 플러스 전극에 흡수되어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는 땀을 다시 전기 분해하는 연쇄 순환 작용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여 투르말린 패치를 신체에 부착하게 되면 부착하는 내내 열감을 느끼게 되고 이 열감은 전기 분해가 일어났고 음이온이 발생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만일 운동을 하는 중이라면 자연스럽게 땀이 발생할 것이고, 과도한 운동을 한다면 비례적으로 더욱 많은 땀이 발생하리란 것은 주지의 사실일 것이다. 이러한 땀은 투르말린의 연료나 마찬가지이므로 그 양에 비례한 전기와 음이온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투르말린 패치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은 운동량에 비례하는 ‘운동량 맞춤형 음이온’인 것이며, 에너지를 많이 발생시킨 부위에 땀이 특히 많이 발생할 것이므로 ‘해당 부위 맞춤형 음이온’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르마린 패치는 경기 중에 해당 부위에 발생한 활성 산소를 경기 중에 해당 부위에 운동량에 비례한 적절한 음이온을 공급함으로써 제거하는 획기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르말린은 방사선을 내포한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타 물질(게르마늄, 모나자이트 등)과 달리 인체의 땀을 투르말린에서 발생한 전기로 전기 분해하여 수소음이온과 산소음이온을 만들어 낸다는 청정 음이온 생성 루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에 부착시키는 패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패치에 설치된 투르말린 등을 피부에 더 완전하게 밀착시켜서 투르말린의 음이온 생산을 극대화하고, 피부를 통한 음이온 공급을 극대화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형 패치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신체 어느 부위든 원하는 부위에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1회용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세탁의 불편함 및 세탁 시 효과 감소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성을 갖춘 얇은 소재로 제작하여 피부 트러블 등의 불편함이 없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르말린만을 사용함으로써 기타 음이온 발생 물질에 의한 유해한 방사선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법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법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법 개요도
본 발명은 투르말린 등을 이용한 피부를 통한 음이온 공급 수단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에 의하면 통기성 시트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형상의 투르말린(Tourmaline) 바인더를 설치하여 1mm 내외로 적층 형성토록 하고 이 시트를 일정 모양으로 잘라서 접착형 패치부의 중앙에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르말린(Tourmaline)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영구적인 전기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이 결정에 수분(H2O)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수분을 전기 분해하면서 자체적으로 발열을 하게 되고, 음이온(수소음이온 2개와 산소음이온 1개)을 생성시킨다.
상기 투르말린은 접착제 및 수지와 혼합하여 통기성 시트의 한 쪽 면에 점 또는 기타 모양의 투르말린 바인더로 설치되는데, 상기 투르말린 바인더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땀 등의 수분이 투르말린 바인더와 접촉하여 전기 분해되면서 발열이 일어나면서 음이온이 피부를 통하여 근섬유에 공급되게 된다.
투르말린 바인더에 의한 ‘발열’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인데, 전기가 발생하였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43960호를 이용하여 제품화한 신체 밴드(어깨)를 사용해 본 수백 명의 사용자들의 99%가 이러한 ‘발열’을 경험하였으며, 운동한 다음 날 어깨 통증이 평소보다 감소했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땀이 날 경우 더욱더 열감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은 땀과의 관련성을 강하게 나타내 주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몇 시간이든 착용하는 내내 열감이 느껴지는 것은 투르말린 바인더에 계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백 명의 사용자들이 운동한 다음 날 어깨 통증이 감소했음을 느꼈다는 것은 음이온이 피부를 통하여 근섬유에 전달되었다는 증거가 될 수 있고, ‘근섬유 파열의 활성 산소 핵심 역할론’이 옳다는 증거가 될 수 있고, 음이온에 의하여 활성 산소가 제거될 수 있다는 주장이 옳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투르말린 바인더는 투르말린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야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노출된 투르말린 광석 또는 분말은 에폭시 수지 등으로 강하게 붙잡아 둔다고 하더라도 기계 세탁을 실시할 경우 이탈되어 나감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투르말린을 활용한 발열 제품의 안내문에는 “세탁을 하지 않거나, 세제 없이 가볍게 조물조물 손빨래를 하거나, 중성 세제로 가볍게 조물조물 손빨래를 하라”라는 권고 사항이 빠짐없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임시방편에도 한계가 있고, 더러움을 참고 참다가 결국 더러움을 제거하기 위해 기계 세탁을 할 경우 투르말린의 효과가 사라져서 결과적으로 투르말린을 활용한 발열 제품을 못 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회용 투르말린 바인더가 설치된 패치로 투르말린을 활용한 발열 제품을 만들었다.
또한, 강한 찜질 효과를 위하여 투르말린 바인더에 포함되어 있는 투르말린의 비중을 높인다면 이를 투르말린이 설치된 발열부(이하 ‘투르말린 설치부’)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지와 접착제의 비중을 낮출 수밖에 없다. 또한, 투르말린 설치부를 몸에 착용할 때 늘어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은 투르말린 설치부에 설치된 투르말린 바인더가 쉽게 이탈되게 하는 원인 요소이므로 시중에 나와 있는 강한 찜질 효과의 투르말린 발열 제품의 거의 대부분은 잠수복에 사용되는 두꺼운 인조 고무 원단인 네오프렌(neoprene)에 투르말린을 설치하여 투르말린 설치부가 늘어나지 않도록 조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네오프렌은 고무 원단이므로 통기성이 없고 땀을 흡수하지 않아 장시간 착용 시 피부가 짓무르는 등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1회용이므로 투르말린 바인더가 이탈됨을 그리 걱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얇은 통기성 투르말린 설치부로 제작이 가능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1회용이 아닌 계속적인 사용을 염두에 둔 제품은 두꺼운 네오프렌 원단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투르말린 설치부가 피부에 완전히 밀착하는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투르말린 설치부는 피부에 완전히 밀착하여야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제기능이라 함은 피부에서 발생한 땀을 전기 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기능과 발생된 음이온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기능을 말하는데, 전자와 후자 모두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어야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43960호를 이용하여 제품화한 신체 밴드(어깨)를 사용해 본 수백 명의 사용자들 중에 발열이 되지 않는다고 피드백이 온 사용자들을 조사해 보면 거의 대부분은 자신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착용하여 피부에 완전히 밀착이 되지 않은 사용자들이었다. 이 사용자들에게 정확한 사이즈를 제공한 결과 거의 대부분 발열이 된다는 피드백을 다시 받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얇고 신축성이 있는 투르말린 설치부를 얇고 신축성이 있는 접착 패치로 신체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신체에 완전히 밀착되기에 상기 제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43960호를 이용하여 제품화한 신체 밴드는 어깨,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등 착용 대상 신체 부위 맞춤형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해당 신체 부위 이외에는 상기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어깨 밴드를 발목에 착용하여서는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접착형 패치이므로 어깨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발목에 사용하든 팔꿈치에 사용하든 제약이 없는 것이다. 이는 접착형 패치로 된 파스를 연상하면 이해하기 쉬운데, 접착형 패치로 된 파스를 근육통이 발생한 부위에 붙이듯 본 투르말린 접착형 패치를 환부에 붙이면 되는 것이다.
음이온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진 물질 중 투르말린을 제외한 다른 물질(게르마늄, 모나자이트 등)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기전이 아니다. 따라서 광물질 자체에서 음이온이 발생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대부분은 방사선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이온은 체내에서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인체 세포를 보호하지만, 방사선은 인체 세포를 파괴한다. 그러므로 투르말린을 제외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광물질은 인체에 이롭다고 단정하여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게르마늄 등의 광물질로 주로 목걸이나, 팔찌의 형태로 제품을 제공하고 있는데, 피부와의 유격이 심하여 피부를 통하여 극히 적은 양이 흡수될 수밖에 없으며, 목걸이라면 목, 팔찌라면 팔목에 이렇게라도 흡수된 음이온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위(예를 들면 어깨)에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데 극히 적은 기여를 할 것이라는 것은 굳이 실험해 보지 않더라도 확실하다.
따라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은 가장 청정한 음이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고, 피부에 밀착시켜서 피부를 통한 흡수율을 최고로 올린다든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위(예를 들면 어깨)에 부착하여 해당 부위 활성 산소 제거에 대한 기여율을 최고로 올린다든지 하는 본 발명의 장점은 시중의 음이온 목걸이형·팔찌형 제품과 비교할 때 더욱더 두드러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10)는 얇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든 통기성 시트(11)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형상의 투르말린 바인더(12)를 설치하여 1mm 내외로 적층 형성토록 하고, 이 시트를 일정 모양으로 잘라서 얇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든 접착형 패치부(13)의 중앙에 제품 제조자가 설치함(14)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일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10)는 접착형 패치로서 해당 신체 부위에 붙이는 방식(15)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일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10)는 사용 후 해당 신체 부위에서 떼어낸 후 버림(16)으로써 공식적인 제품 수명을 다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20)는 얇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든 통기성 시트(21)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형상의 투르말린 바인더(22)를 설치하여 1mm 내외로 적층 형성토록 하고 이 시트를 일정 모양으로 잘라서(이하 ‘분리형 투르말린 설치부’) 얇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든 접착형 패치부(23)의 중앙에 제품 사용자가 설치함(24)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20)는 접착형 패치로서 해당 신체 부위에 붙이는 방식(25)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20)는 사용 후 해당 신체 부위에서 떼어낸 후 접착형 패치부는 버림(26)으로써 접착형 패치부의 공식적인 수명을 다하게 되고, 분리형 투르말린 설치부(27)는 분리하여 다른 접착형 패치부(28)에 설치함(29)으로써 재사용하게 된다. 이때 분리형 투르말린 설치부의 재사용 횟수 및 기간은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효과가 없다고 판단하는 시기까지일 것이다.
본 발명의 자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30)는 얇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든 접착형 패치부(31)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 형상의 투르말린 바인더(32)를 설치하여 1mm 내외로 적층 형성토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자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30)는 접착형 패치로서 해당 신체 부위에 붙이는 방식(33)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자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30)는 사용 후 해당 신체 부위에서 떼어낸 후 버림(34)으로써 공식적인 제품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인 “접착형 패치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신체 어느 부위든 원하는 부위에 부착할 수 있고, 간편하게 1회용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세탁의 불편함 및 세탁 시 효과 감소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통기성을 갖춘 얇은 소재로 제작하여 피부 트러블 등의 불편함이 없게 되고, 투르말린만을 사용함으로써 기타 음이온 발생 물질에 의한 유해한 방사선을 방지한다”라는 것을 해결해 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일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11: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
12: 음이온 발생 소재
13: 접착형 패치
14: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를 제품 제조자가 접착형 패치에 설치함
15: 제품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함
16: 전체를 버림
20: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21: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
22: 음이온 발생 소재
23: 접착형 패치
24: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를 제품 사용자가 접착형 패치에 설치함
25: 제품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함
26: 접착형 패치만을 버림
27: 재활용하려는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
28: 또 다른 접착형 패치
29: 재활용하려는 분리형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를 제품 사용자가 접착형 패치에 설치함
30: 자체형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31: 음이온 발생 소재 설치부인 접착형 패치
32: 음이온 발생 소재
33: 제품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함
34: 전체를 버림

Claims (4)

  1. 피부와 접촉하는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의 상층에 이 시트를 피부에 접착시켜 줄 수 있는 접착 패치가 있고, 상기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의 표면에는 음이온 발생 소재가 분쇄된 광물층이 무기질 바인더를 개재하여, 일정 간격 또는 비일정 간격의 도트(dot) 또는 소정의 모양으로 인쇄 또는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피부 접착형 패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무기질 바인더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음이온 발생 소재는, 0.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음이온 발생 소재는 투르마린(tourmaline) 50~1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는 이 시트를 피부에 접착시켜 줄 수 있는 접착 패치에 제조 과정에서 부착되어 제조되어 이를 신체에 붙인 후 떼어내면 상기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를 재활용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패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는 이 시트를 피부에 접착시켜 줄 수 있는 접착 패치와 분리되어 있어서 이를 사용자가 결합시켜 사용하며, 이를 신체에 붙인 후 떼어내면 분리하여 접착 패치는 재활용할 수 없어서 폐기하고, 상기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시트는 다른 접착 패치에 결합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패치.
  4. 피부에 접착시키는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소재의 접착 패치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음이온 발생 소재가 분쇄된 광물층이 무기질 바인더를 개재하여, 일정 간격 또는 비일정 간격의 도트(dot) 또는 소정의 모양으로 인쇄 또는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피부 접착형 패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 패치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무기질 바인더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음이온 발생 소재는, 0.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음이온 발생 소재는 투르마린(tourmaline) 50~1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KR1020180041865A 2018-04-11 2018-04-11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KR20190118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65A KR20190118701A (ko) 2018-04-11 2018-04-11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65A KR20190118701A (ko) 2018-04-11 2018-04-11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701A true KR20190118701A (ko) 2019-10-21

Family

ID=6846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865A KR20190118701A (ko) 2018-04-11 2018-04-11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7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571B1 (ko) 2019-12-30 2020-05-13 이정음 유효성분이 담지된 패치의 제조방법
CN113350047A (zh) * 2021-06-03 2021-09-07 嫒赟(上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离子卫生巾
KR20230044746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유로아시아 피부 케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571B1 (ko) 2019-12-30 2020-05-13 이정음 유효성분이 담지된 패치의 제조방법
CN113350047A (zh) * 2021-06-03 2021-09-07 嫒赟(上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离子卫生巾
KR20230044746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유로아시아 피부 케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8701A (ko)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WO2011153328A1 (en) Light therapy systems and methods
US20150217098A1 (en) Therapeutic elastic tape
US20060002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apy to an individual
AU2005244238A1 (en) Dermal system of two patches detachably secured to each other for providing therapy to an area of the body
KR20190118703A (ko)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통기성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JP5088906B2 (ja) 炭酸ガスミスト圧浴システム
WO2021080867A1 (en) Adhesive tape for therapeutic use
WO2003015661A2 (en) Treatment patch
PL14584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gent,in particular that relieves spasms,to be adhesively bound to skin
KR20190042144A (ko) 인체 동맥·정맥이 지나가는 특정 부위와 다른 신체에 비하여 과다하게 사용되지만 재생력이 떨어지는 특정부위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체를 설치하며, 실리콘사가 포함된 키네시오 테이핑 압박 의류 등
KR20220149011A (ko) 음이온 발생 소재가 설치된 피부 접착형 신체 패치
CN207100731U (zh) 一种基于电流刺激的智能防晕车手环
KR20190041348A (ko) 인체 동맥·정맥이 지나가는 특정 부위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체를 설치하며, 실리콘사가 포함된 키네시오 테이핑 압박 의류 등
US20170296381A1 (en) Sportswear cooling system
WO2011039895A1 (ja) 発熱具
CN210642641U (zh) 复合能量手套
CN212065745U (zh) 一种可拆卸式理疗护腕
CN102151196A (zh) 波能共振高负离子化经络穴位气疗贴布
CN212279986U (zh) 充电式加热口罩
CN211634236U (zh) 复合能量经络刷
JP3317640B2 (ja) アイマスク
KR200361677Y1 (ko) 찜질기
JP2001187155A (ja) トルマリンを含む磁気治療シート
CN216777313U (zh) 一种中医腰背理疗康复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