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069A -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 Google Patents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069A
KR20190118069A KR1020180041220A KR20180041220A KR20190118069A KR 20190118069 A KR20190118069 A KR 20190118069A KR 1020180041220 A KR1020180041220 A KR 1020180041220A KR 20180041220 A KR20180041220 A KR 20180041220A KR 20190118069 A KR20190118069 A KR 2019011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unction
hair dryer
air inle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069A/ko
Publication of KR2019011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기는 헤어 드라이 기능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측면 또는 하부 방향의 공기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에,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헤어 드라이, 및 청소 기능 각각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HAIR DRYER WITH FUNCTION FOR CLEANING}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그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 드라이기는 머리를 말리거나 성형을 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기기이다. 헤어 드라이기는 일반 가정과 헤어샵에서 머리를 감고 머리를 말리기 위하여, 또는 원하는 헤어 스타일로 변형을 가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헤어 드라이기는 팬이 작동하면 후방에 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적정량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가 전열 히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열기를 토출구로 토출시킨다. 전열 히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팬의 작동에 의해 흡기공으로 흡입된 공기를 그대로 토출 시키는 냉풍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온풍 및 냉풍 토출 기능은 제품에 따라 다시 강, 약으로 구분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헤어 드라이기는 사용시 머리카락이 빠지고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 후 바닥에 떨어진 머리카락들을 청소해야 했다. 종래에는 헤어 드라이기로 머리카락을 말리고 난 후에 일일이 머리카락을 청소해야 했는데, 머리카락은 정전기가 발생하여 청소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별도로 진공 청소기 등으로 청소해야 했다.
하지만, 매번 진공 청소기를 꺼내 전기 코드를 꼽고 머리카락의 청소를 하는 일은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은 머리카락을 청소하기 위하여 전력 소모량이 많은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는 것은 전력 낭비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3-0031473호(1993.12.30, 출원)으로는 헤어 드라이기의 후방에 흡입통이 설치되어, 흡입통을 통해 청소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청소기 겸용 헤어 드라이기가 개시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3069호(2017.05.29, 등록)에는 헤어드라이어의 후측에 거름망이 포함된 흡입구가 구성되어, 흡입구의 흡입 기능에 의해 청소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3069호(2017.05.29, 등록)에 개시된 청소기 겸용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다. 이러한 종래의 청소기 겸용 헤어 드라이어는 전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후측으로는 흡입구(131)가 구성된 헤어 드라이어 몸체(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청소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몸체(110)가 헤어 드라이어 몸체(130)의 흡입구(131)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청소기 겸용 헤어 드라이어는 헤어 드라이 기능을 이용하거나 청소 기능을 이용할 때, 모두 동일한 하나의 흡입구(131)를 통해서만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공기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 흡입을 위해 하나의 흡입구(131)를 이용하기 때문에,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때마다 매번 흡입구(131)의 머리카락이나 이물들을 제거 및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했다.
또한, 종래의 청소기 겸용 헤어 드라이어는 청소 기능으로 흡입되는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흡입구(131)로만 흡입 및 부착될 뿐, 헤어 드라이어 작동이 중지됐을 때는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보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헤어 드라이어 작동이 중지됐을 때는 헤어 드라이어의 기울임 방향이나 흔들림 등에 따라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다시 헤드 몸체(110)의 밖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의 공기 흡입 방향과 청소 기능 수행시의 공기 흡입 방향이 다르게 적용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헤어 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가 손잡이 하단의 측면부와 바닥면에 분리 구성되도록 하고, 헤어 드라이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측면부나 바닥면의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을 교번적으로 반복해서 이용하더라도 매번 공기 흡입구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는 헤어 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능으로 흡입된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기능 선택 캡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헤어 드라이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더라도 헤어 드라이기를 용이하게 비치해둘 수 있는 헤어 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는 손잡이 하단의 외주면을 이루는 측면 방향, 및 손잡이 바닥의 하부 방향으로 각각 공기 흡입구가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헤어 드라이 기능이나 청소 기능 수행 여부에 따라 측면 또는 하부 방향의 공기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또한,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 선택 캡에 의해, 헤어 드라이 기능이나 청소 기능별로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와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 선택 캡은 이물 흡입구가 복수의 필터와 함께 사이클론 유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청소 기능으로 흡입된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기능 선택 캡 내부에서 사이클론 구조로 이동 및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는 헤어 드라이 기능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측면 또는 하부 방향의 공기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에,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헤어 드라이, 및 청소 기능 각각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 기능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측면 또는 하부 방향의 공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을 교번적으로 반복해서 이용하더라도 각각의 공기 흡입구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청소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능에 따라 흡입된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기능 선택 캡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바, 헤어 드라이기 동작을 중지시키더라도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기를 간편하게 비치해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여유가 될 때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능 선택 캡에 보관된 이물 등을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으로는 청소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헤어 드라이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헤어 드라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헤어 드라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공기 흡입 및 이물 흡입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기는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성된 헤드, 헤드를 지지하는 손잡이(200), 및 손잡이(200)의 하단부에 조립 구성되어 청소 기능 수행시 이물 흡입 부재로 이용되는 기능 선택 캡(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토출구가 구성된 헤드는 헤어 드라이기의 주요 몸체를 이룬다.
헤드의 내부에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통풍팬, 통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 모터와 가열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등이 포함된다.
손잡이(200) 하단의 외주면을 이루는 측면 방향, 및 바닥의 하부 방향에는 공기 흡입구(250)가 각각 구성된다. 즉, 손잡이(200) 하단의 외부 측면부를 따라서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가 구성되고, 손잡이(200)의 바닥면에는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가 구성된다.
손잡이(200) 하단 측면부, 및 바닥부에 측면 방향 및 하부 방향 흡입구(250)가 각각 구성됨으로 인해, 통풍팬과 모터, 및 가열 히터와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헤드가 아닌 손잡이(200)이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 헤드나 손잡이(200)에 구성된 통풍팬이 작동하면 공기 흡입구(250)를 통해 적정량의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가 가열 히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열기는 토출구로 토출된다. 반면, 전열 히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풍팬의 작동에 의해 공기 흡입구(250)로 흡입된 공기를 그대로 토출 시키는 냉풍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온풍 및 냉풍 토출 기능은 제어 모듈에 의해 강, 약 기능으로 구분되어 작동되기도 한다.
기능 선택 캡(300)은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감싸도록 손잡이(200)의 하단부에 조립 구성된다.
기능 선택 캡(300)은 헤어 드라이기의 헤어 드라이 기능,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측면 방향 및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결착된다.
기능 선택 캡(300)은 헤어 드라이기의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에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강함으로써,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는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200)의 하단부에 결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헤어 드라이기는 외부로 노출된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헤드의 토출구로 토출시킨다. 따라서,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에는 외부로 노출된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가 막혀있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반면, 기능 선택 캡(300)은 헤어 드라이기의 청소 기능 수행시에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와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를 모두 감싸도록 상승하여, 손잡이(200)의 하단부에 결착될 수 있다.
청소 기능 수행시에는 기능 선택 캡(300)이 상승해서 측면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를 모두 감싸기 때문에 기능 선택 캡(300)에 구성된 이물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기의 기능 선택 캡(300)에 구성된 이물 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바닥의 이물 및 머리카락 등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헤어 드라이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헤어 드라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 드라이기의 손잡이(200)에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의 상측부에 제1 돌출부(210)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0)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의 상측부에 손잡이(2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손잡이(200)에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의 하측부에 제2 돌출부(220)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220)는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의 하단, 및 하부 방향 흡입구의 상단 사이에 손잡이(2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기능 선택 캡(300)은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며 하단부 방향으로 원통 지름이 좁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선택 캡(300)의 내부 측면 상단부에는 손잡이(200)의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와 조립 또는 결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부(340)가 구성된다.
도 3의 A 부분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선택 캡(300) 내부의 캡 고정부(340)에는 소정을 기울기를 갖고 형성된 고정 홈이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기능 선택 캡(30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고정 홈이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에 의해 미끄러져 결착된다.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에는 기능 선택 캡(300)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기능 선택 캡(300)의 고정 홈이 제2 돌출부(22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제2 돌출부(220)에 의해 미끄러져 결착된다.
기능 선택 캡(300)의 캡 고정부(340)가 손잡이(200)의 제2 돌출부(220)에 결착됨으로써, 손잡이(200) 하단부의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는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 방향 흡입구는 기능 선택 캡(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헤어 드라이기의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에는 기능 선택 캡(300)이 화살표 방향의 하단부로 이동하여 캡 고정부(340)가 손잡이(200)의 제2 돌출부(220)에 결착되도록 한다. 이에, 손잡이(200) 하단부의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가 외부로 노출되며, 하부 방향 흡입구는 기능 선택 캡(300)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유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선택 캡(300)은 원통형 구조의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부(340)가 구성된 상부 캡(350), 및 상부 캡(350)의 하단부에 상부 캡(350)과 결착되도록 구성된 하부 캡(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캡(360)은 청소 기능 수행시 이물 흡입 및 이물 보관 부재로 이용된다.
상부 캡(350)과 상기 하부 캡(360)의 관통 영역에는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와 대응되도록 제1 필터(351)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필터(351)의 일 방향 또는 하단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공간이 유지되도록 제2 필터(361)가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2 필터(361)는 제1 필터(351)와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제1 필터(351)의 일 방향 또는 하단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헤어 드라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헤어 드라이기의 청소 기능 수행시에는 기능 선택 캡(300)을 화살표로 도시된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켜서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와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를 모두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이때는 기능 선택 캡(300)의 캡 고정부(340)가 손잡이(200)의 제1 돌출부(210)에 결착됨으로써, 손잡이(200) 하단부의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와 하부 방향 흡입구가 모두 기능 선택 캡(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헤어 드라이기의 청소 기능 수행시에는 기능 선택 캡(300)이 화살표 방향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캡 고정부(340)가 손잡이(200)의 제1 돌출부(210)에 결착되도록 한다. 이에, 손잡이(200) 하단부의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와 하부 방향 흡입구는 모두 기능 선택 캡(300)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유지된다.
도 4의 B 부분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선택 캡(300) 내부의 캡 고정부(340)에는 소정을 기울기를 갖고 형성된 고정 홈이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기능 선택 캡(30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고정 홈이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제1 또는 제2 돌출부(210,220)에 의해 미끄러져 결착된다.
청소 기능 수행시에는 기능 선택 캡(300)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기능 선택 캡(300)의 고정 홈이 제1 돌출부(21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제1 돌출부(210)에 의해 미끄러져 결착된다. 이에, 기능 선택 캡(300)이 측면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250)를 모두 감싸면, 기능 선택 캡(300)에 구성된 이물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기능 선택 캡(300)의 이물 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바닥의 이물 및 머리카락 등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기능 선택 캡(300)의 상부 캡(350)과 상기 하부 캡(360)의 관통 영역에는 제1 필터(351)와 제2 필터(361)가 구성되므로, 흡입된 이물과 머리카락 등은 제1 필터(351)나 제2 필터(361)에 걸러진다.
제1 필터(351)와 제2 필터(361)는 상부 캡(350)에 조립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필터(361)는 양동이 형태로 제1 필터(351)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공기 흡입 및 이물 흡입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선택 캡(300)의 하부 캡(360)에는 사이클론 유로 형태로 이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갖고 하부 캡(36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이물 흡입구(362)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물 흡입구(362)는 나사산 회전 형태로 사이클론 유로 구조를 이루도록 하부 캡(360)을 내면을 따라 구성됨으로써, 흡입된 이물이 하부 캡(360) 내부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기능 선택 캡(300)이 측면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250)를 모두 감싸는 상태에서는 기능 선택 캡(300)의 내부에서 I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와 측면 방향 흡입구(250)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에, 흡입된 이물이 I' 화살표와 방향을 따라 이물 흡입구(362)과 하부 캡(36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2 필터(361)는 양동이 형태로 제1 필터(351)를 감싸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능 선택 캡(300) 내부로 흡입된 이물들은 제2 필터(36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이렇게 기능 선택 캡(300) 내부로 흡입된 이물들은 기능 선택 캡(300) 내부에 보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기는 헤어 드라이 기능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250)가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에,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헤어 드라이, 및 청소 기능 각각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 기능 또는 청소 기능에 따라 측면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250)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 기능과 청소 기능을 교번적으로 반복해서 이용하더라도 각각의 공기 흡입구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청소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능에 따라 흡입된 이물이나 머리카락들이 기능 선택 캡(3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기능 선택 캡(300)에 보관된 이물 등을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으로는 청소 사용자의 편의성와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200: 손잡이
210: 제1 돌출부
220: 제2 돌출부
250: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
300: 기능 선택 캡
340: 캡 고정부
350: 상부 캡
351: 제1 필터
361: 제2 필터
360: 하부 캡
362: 이물 흡입구

Claims (8)

  1.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성된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하단의 외주면을 이루는 측면 방향, 및 바닥의 하부 방향에 각각 구성된 공기 흡입구;
    상기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 및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감싸도록 조립 구성되어, 청소 기능에 따른 이물 흡입 부재로 이용되는 기능 선택 캡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의 상측부에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의 하측부에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캡은
    원통형 구조의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부가 구성되고,
    헤어 드라이 기능 수행시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부가 상기 제2 돌출부에 결착됨으로써, 상기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가 외부로 도출되도록 하는
    헤어 드라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캡은
    청소 기능 수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부가 제1 돌출부에 결착됨으로써, 상기 측면 방향 공기 흡입구와 상기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를 모두 감싸도록 구성되는,
    헤어 드라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캡은
    원통형 구조의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부가 구성된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의 하단부에 상기 상부 캡과 결착되도록 구성되어 청소 기능 수행시 이물 흡입 및 이물 보관 부재로 이용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캡은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캡의 관통 영역에 상기 하부 방향 공기 흡입구와 대응되도록 구성된 제1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적어도 일 방향 또는 하단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 필터와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필터의 일 방향 또는 하단부를 덮도록 구성된 제2 필터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양동이 형태로 상기 제1 필터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캡에는 사이클론 유로 형태로 이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갖고 상기 하부 캡의 내부 측면을 따라 구성된 이물 흡입구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이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이 상기 제2 필터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
    헤어 드라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흡입구는
    나사산 회전 형태로 사이클론 유로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캡을 내면을 따라 구성됨으로써 흡입된 이물이 상기 하부 캡 내부면을 따라 회전 및 보관되도록 하는,
    헤어 드라이기.
KR1020180041220A 2018-04-09 2018-04-09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KR20190118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20A KR20190118069A (ko) 2018-04-09 2018-04-09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20A KR20190118069A (ko) 2018-04-09 2018-04-09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69A true KR20190118069A (ko) 2019-10-17

Family

ID=6842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20A KR20190118069A (ko) 2018-04-09 2018-04-09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0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50B1 (ko) 2021-10-22 2022-03-14 이준혁 머리카락 청소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50B1 (ko) 2021-10-22 2022-03-14 이준혁 머리카락 청소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493B2 (en) Hair dryer and smoother
EP2366044B1 (en) Dryer
KR101490979B1 (ko)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KR100833885B1 (ko)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KR20130104439A (ko)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KR20190118069A (ko) 청소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EP2109389A1 (en) Nozzle for cleaner
KR101616062B1 (ko)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20120079871A (ko)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JP6708851B2 (ja) 乾燥装置
US20180282933A1 (en) Dryer appliances with improved vent ducts
KR20200127800A (ko) 펫 드라이어
KR101523524B1 (ko) 원심팬이 내장된 헤어드라이기
KR102313647B1 (ko) 의류건조기
KR20190089295A (ko) 청소기 겸용 다기능 헤어드라이어
US7980252B2 (en) Nail drying and decorating assembly
JP3677260B2 (ja) 洗濯乾燥機
US20120005913A1 (en) Clothes dryer lint filter mechanism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WO2017043016A1 (ja) 衣類乾燥装置
KR19990036306U (ko) 모발가습용 빗
KR200364342Y1 (ko) 머리카락 청소기를 겸한 헤어드라이어
KR101599487B1 (ko) 원심팬이 내장된 헤어드라이
KR101629305B1 (ko) 진공청소기
JP2005349057A (ja) 空気清浄機兼布団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