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750A -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750A
KR20190117750A KR1020197028251A KR20197028251A KR20190117750A KR 20190117750 A KR20190117750 A KR 20190117750A KR 1020197028251 A KR1020197028251 A KR 1020197028251A KR 20197028251 A KR20197028251 A KR 20197028251A KR 20190117750 A KR20190117750 A KR 2019011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precoding matrix
transmitting
information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733B1 (ko
Inventor
젠친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전송 방법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 k는 양의 정수이고, N≥k≥1임 -; 및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장치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간의 빠른 스위칭이 구현되고, 적응형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가 가능한 한 빠르게 전체 측정될 대역폭을 탐색할 수 있으며, 채널 측정의 정확도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기준 신호 전송 방법, 수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7년 3월 24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지식산권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710186498.9호("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또는 LTE-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모드가 하향링크 다중 접속 모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의 하향링크 자원이 시간 영역의 관점에서 복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로 분할되고, 주파수 영역의 관점에서 여러 개의 서브캐리어로 분할된다.
일반적으로, 일반 상향링크(normal uplink)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2개의 타임슬롯(slot)을 포함하고, 각각의 타임슬롯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총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는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크기도 정의된다. RB는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고, 시간 영역에서 1/2개의 서브프레임(하나의 타임슬롯)의 지속시간을 가지고 있다. 즉, RB가 7개의 OFDM 심볼(symbol)을 포함한다. 일반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의 길이를 가진 타임슬롯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yclic prefix)의 길이를 가진 타임슬롯이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OFDM 심볼 내의 서브캐리어를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라고 한다. 따라서, 하나의 RB가 84개 또는 72개의 RE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에서, 2개의 타임슬롯 내의 한 쌍의 RB를 자원 블록 쌍(RB pair)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중에, 타임슬롯의 7개의 OFDM 심볼 중에서, 제4 OFDM 심볼이 상향링크 복조 파일럿이고, 다른 심볼은 데이터를 싣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의 3GPP 프로토콜에서, 4개의 상향링크 송신 안테나가 정의되며 또한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4개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가 지원되지만, 실제로는, 2개 이상의 PA를 가진 어떠한 단말기도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LTE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비교하여, 차세대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UE가 더 많은 상향링크 송신 안테나, 예를 들어 6개 또는 심지어는 8개의 상향링크 송신 안테나를 지원한다. 하지만, 비용 제한으로 인해, UE에 의해 실제로 지원되는 PA의 개수가 일반적으로 UE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UE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상이한 패널(panel)도 지원된다. 동일한 패널 내의 복수의 안테나들 간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상관관계가 있지만, 상이한 패널 내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채널 전송 특징과 차단 확률이 서로 다르다.
UE가 복수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고 또한 안테나가 상이한 패널에 위치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의 상이한 전송 요구사항에 따라 안테나 포트 그룹 간의 동적인 스위칭이 구현될 수 없으며, 또한 전체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채널 품질 측정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에서, UE가 기지국에 SRS를 전송하여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채널 품질 정보가 획득된다. UE가 P개(P≥1)의 송신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나 Q개(Q<P)의 PA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 UE가 Q개의 안테나 포트 그룹 간의 교번 스위칭(alternate switching)에 기초하여 P개의 안테나에 의한 SRS 전송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이 UE의 모든 송신 안테나와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들의 품질 정보와, UE의 모든 수신 안테나와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의 품질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성능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다.
본 출원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UE가 모든 안테나 상에서 가능한 한 빨리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탐색하고 또한 상향링크 기준 신호 전송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그룹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 k는 양의 정수이고, N≥k≥1임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수신된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상기 안테나 포트의 k번째 그룹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간의 빠른 스위칭이 구현되고, 스위칭 이후에 상기 기준 신호가 포트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상기 스위칭 이후에 상기 기준 신호 포트에 대해, 현재 전송 방식의 상이한 안테나 패널 구조와 전송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채널 전송 특징과 블로킹 확률이 고려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적응형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전송된 기준 신호가 전체 측정될 대역폭을 가능한 한 빨리 탐색할 수 있으며, 채널 측정의 정확도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효율이 향상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의 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계식
Figure pct00001
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2
이며,
n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상기 시간(n)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이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그룹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2 그룹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antenna panel information),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더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상기 그룹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전송 방식, 기준 신호 포트 개수, 또는 포트 번호 등과 같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요구사항에 따라 그룹화를 수행하고, 상향링크 안테나 포트의 적응형 그룹 및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그룹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P개의 안테나가 Q개의 안테나 포트 그룹 사이의 스위칭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 전송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UE의 모든 송신 안테나와 상기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 간의 채널들의 품질 정보 및 상기 UE의 모든 수신 안테나와 상기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간의 채널들의 품질 정보를 획득할 수 없고, 또한 상대적으로 큰 성능 손실이 야기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나타낸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에 적용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이고, k는 양의 정수이며, N≥k≥1임 - 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결정된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로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는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결정됨 - 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관계식
Figure pct00003
에 따라,
상기 결정된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4
이며,
n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상기 시간(n)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이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그룹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 UE의 전송 요구사항에 따라, 대응하는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 UE가 상기 포트 그룹 정보의 표시에 따라 상기 포트들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고, 상기 UE의 상향링크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의 유연한 적응형 그룹 및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이 구현되며, 상기 UE의 모든 안테나가 전체 대역폭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고 또한 채널 측정의 정확도와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음 -;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를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를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 및/또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UE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구성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단말 장치 UE에 전송한다. 상기 행렬 인덱스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이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이기 때문에, 상기 UE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빠르게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의 값이 상기 UE의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 내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필요한 DCI 지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권장되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따라 상기 UE에 대한 적절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UE는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한다. 따라서,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대응하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이 UE 측의 복수의 가능한 안테나 패널 구조에 적응할 수 있고, 상이한 안테나 패널 패턴의 최적 프리코딩 행렬 구성이 구현되며, 데이터 전송의 성능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UE는 적응형 전송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 예를 들어 상이한 전송 방식, 및 상기 UE의 포트의 개수와 포트 번호를 상기 기지국에 추천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단말 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음 -;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 및/또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 예를 들어 U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제3 양태와 제3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송수신기, 프로세서, ?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양태와 제2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제4 양태와 제4 양태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본 출원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에 포함된 일부 단계 또는 모든 단계가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USCH에 대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의 표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의 다른 표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를 결정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안테나 패널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코드워드 구조에 대응하는 안테나 패널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신호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 장치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수신 장치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무선 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송신단 장치와 수신단 장치일 수 있다.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기지국(NodeB), 진화된 NodeB(eNodeB), 5세대(the fif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장치, Wi-Fi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무선 릴레이 노드, 무선 백홀 노드(wireless backhaul node), 및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무선 송신 기능과 무선 수신 기능을 갖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UE는 단말기,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MT), 원격 장치(remote terminal, RT),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AT), 또는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UA)라고도 할 수 있다.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자체 조직화 모드(self-organizing mode) 또는 비인가 모드에서 분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UE는 다른 모드에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UE와 무선 통신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또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적용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경우, 송신 장치가 기지국이고, 대응하는 수신 장치가 UE이다.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경우, 송신 장치가 UE이고, 대응하는 수신 장치가 기지국이다. D2D 데이터 전송의 경우, 송신 장치가 UE이고, 대응하는 수신 장치도 UE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SRS 포트 그룹 스위칭 방법이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 시스템, 및 WCDMA 시스템, 4G 시스템, 4.5G 시스템, 및 5G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적용 시나리오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적응형 안테나 그룹화(adaptive antenna grouping) 및 적응형 안테나 그룹화에 기반한 동적 안테나 스위칭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이한 패널에 대응하는 채널 전송 특징과 차단 확률이 서로 다르지만, 상이한 전송 방식이 상이한 기준 신호 전송과 측정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송신 다이버시티의 전송 방식이 높은 신뢰도를 요구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상이한 패널에 위치하는 복수의 안테나가 SRS 포트의 그룹화 중 가능하면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됨으로써, 상향링크 신호 전송시 랜덤 블로킹으로 인한 사용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의 중단을 극복할 수 있다. 폐루프 전송 모드의 경우, 더 높은 채널 품질 측정 정밀도가 요구된다. 동일한 패널 내의 복수의 안테나에 대해 정확한 채널 품질 측정이 구현될 수 있도록, SRS 포트의 그룹화 중에, 동일한 패널에 위치하는 복수의 안테나가 가능하면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일부 채널 품질 정보, 예를 들어 2개의 편광 방향 사이에서 위상 회전 정보를 추적하기 위해, 동일한 안테나 패널에 위치하는 복수의 안테나에 기초하여 측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측정 결과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기준 신호 전송을 예로 들면,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된다. 제1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장치는 UE이다.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단계 201: 기지국이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UE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이다. 즉, UE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한다.
N은 UE에 포함된 포트 그룹의 개수를 나타낸다. N이 1이면, 제1 그룹 정보가 기준 신호 포트의 하나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N이 1보다 크면, 제1 그룹 정보가 기준 신호 포트의 2개 이상의 그룹의 그룹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준 신호 포트의 각각의 그룹의 정보는 포트 그룹과 기준 신호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포트 개수, 또는 다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포트의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기준 신호 포트 개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상이한 포트 그룹에 포함된 기준 신호 포트 개수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모든 기준 신호 포트가 3개의 그룹, 즉 제1 그룹, 제2 그룹, 및 제3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각각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은 2개의 기준 신호 포트 번호를 포함하고, 제2 그룹과 제3 그룹은 3개의 포트 번호를 각각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에서, 제2 그룹과 제3 그룹의 포트 개수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다음의 그룹화 중에, 임의의 2개의 그룹에 포함된 모든 포트 번호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UE가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UE가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시그널링일 수 있다. 계층 1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일 수 있다. 계층 2 시그널링은 MAC CE 시그널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시그널링 중 어느 시그널링이 기지국에 의해 기준 신호 그룹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지가 요구사항 및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202: UE가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고, N≥k≥1이다.
단계 203: UE가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N이 1이면, UE는 제1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제1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k는 n이고, UE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N이 1보다 크면, UE는 N개의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의 정보로부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선택하고, N≥k>1이며; UE는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이다. 대응하는 기준 신호는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UE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이다.
또한, UE에 의해 결정된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가 UE가 기준 신호를 현재 전송하는 포트와 다르면, 시간 n에, UE는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먼저 결정하여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로 전환하고, 그런 다음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202에서 UE가 N개의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의 정보에 따라 N개의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한다는 것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n),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가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E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횟수(K)에 따라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한다는 것은,
상이한 시나리오 및 요구사항에 따라, UE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거나 또는 전환하는 기능이 2가지 상태, 즉 "활성화(enabled)" 상태 또는 "비활성화(disabled)" 상태로 적응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UE의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기능이 활성화 상태에 있으면, 사용자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를 선택할 수 있고, 한 번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포트 번호가 주파수 호핑(hopping)에서의 기준 신호 전송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계식
Figure pct00005
에 따라,
결정되는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06
이며,
n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시간(n)에서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이며, mod는 모듈로 연산(modulo operation)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UE가 시간(n)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는 2가지 방식을 제공한다.
시간(n)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는 방식이, UE가 주파수 호핑 상태에 있고 또한 N이 2이면, 즉 UE가 2개의 그룹의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관계식
Figure pct00007
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8
이며,
n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시간(n)에서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로서 채널 측정 과정에서 UE가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탐색(traverse)하는 데 필요한 횟수를 나타낸다.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는 서브프레임, 타임슬롯, 최소 타임슬롯, 및 OFDM 심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시간(n)은 서브프레임 n, 또는 타임슬롯 n, 또는 최소 타임슬롯 n, 또는 OFDM 심볼 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은 앞에서 정의된 시간 단위와 다른 임의의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n이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면, k(n)은 서브프레임 n에서 기준 신호가 전송될 때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 포트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UE는 채널 측정 과정에서 다른 기준 신호 송신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K번 전송하고,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더 탐색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채널 품질 측정의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k를 결정하는 다른 방식은, 마찬가지로, UE의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는 기능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안테나 포트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간(n)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그룹의 인덱스가 k(n)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UE의 주파수 호핑 상태가 활성화된다고 가정하면, UE의 모든 기준 신호 송신 안테나 포트가 4개의 그룹(N=4)으로 그룹화되면, 기준 신호가 4개의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제2 관계식
Figure pct00009
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10
이며,
n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시간(n)에서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로서 UE가 채널 측정 과정에서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탐색하는 데 필요한 횟수를 나타낸다.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본 출원에서, 다른 관계식 또는 사전 정의된 방식이 UE가 시간(n)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단계 201에서, UE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이 제2 그룹 정보에 따라 제1 그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도록 UE가 제2 그룹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2 그룹 정보는 UE의 안테나 패널 정보,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안테나 패널 정보는 UE의 모든 안테나의 분포 구조와 패널 패턴(panel pattern), 또는 다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패널 패턴 정보는 패널의 개수 및 P개(P≥1)의 패널의 분포 패턴, 또는 다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패널의 분포 패턴 정보는 기지국과 사용자 측에 사전 정의된 복수의 패널 분포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4개의 안테나 패널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11
는 2개의 편광 방향에서 한 쌍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나타내고, 상이한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들이 단말 장치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되며,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 패널 패턴이 생성된다.
기준 신호 포트 정보는 UE의 기준 신호 포트의 개수, 각각의 기준 신호 포트의 포트 번호,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는 모든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의 그룹화 이후에 생성되는 그룹 정보로서 UE에 의해 권장되는 그룹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든 안테나 포트가 번호의 홀수와 짝수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그룹 정보를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모든 안테나 포트가 P개의 안테나 패널에 따라 P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여기서, 패널에 위치하는 안테나 포트가 하나의 그룹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제2 그룹 정보 내의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는 단계 201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기지국이 UE의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기지국이 UE에 대해 구성하는 상향링크 전송 방식에 따라, 제2 그룹 정보와 동일한 안테나 포트 그룹 정보를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UE에 의해 기지국에 보고된 제2 그룹 정보는 UE가 측정을 통해 이전에 획득한 UE의 전송 방식 정보 또는 채널 품질 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품질 결과는 CQI와 같은 상향링크 채널 품질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UE에 의해 요구되는 상이한 전송 방식에 따라 수신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 예를 들어 상향링크 송신 다이버시티(uplink transmit diversity), 개방 루프 전송 모드, 및 폐루프 전송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방식에 따라, UE에 전달될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UE)가, 기준 신호 포트의 수신된 그룹 정보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UE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들 간의 빠른 스위칭이 구현되고, 기준 신호가 스위칭 이후에 포트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스위칭 이후에 기준 신호 포트에 대해, 현재 전송 방식의 상이한 안테나 패널 구조과 전송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채널 전송 특징과 차단 확률이 고려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적응형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고, 전송된 기준 신호가 가능한 한 빨리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탐색할 수 있으며, 채널 측정의 정확도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효율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UE에 의해 보고된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그룹 정보는 UE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포트의 개수와 포트 번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UE는 총 8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8개의 안테나 포트는 각각 0부터 7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UE에 의해 보고된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UE의 포트의 개수와 포트 번호 및 현재 전송 방식에 따라 8개의 포트를 그룹화하고, 제1 그룹 정보를 생성하며, 제1 그룹 정보를 UE에 전달한다. UE는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제1 그룹 정보의 지시에 따라,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룹 정보의 표시는, 제1 그룹 정보에서, 포트 번호 0, 포트 번호 1, 포트 번호 4, 및 포트 번호 5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포트 번호 2, 포트 번호 3, 포트 번호 6, 및 포트 번호 7이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포트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는 포트 그룹 정보의 표시에 따라, 시간(n)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한다. 또한,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의 표시에 따라, UE는 시간 기준 신호가 전송될 때마다 사용되는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한다. 여기서, 각각의 포트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채널 측정 과정에서, 기준 신호가 4회 전송되고, 다음 4개의 기준 신호 포트 그룹이 4회의 전송에 각각 사용된다. 여기서, 각각의 기준 신호 포트 그룹에 대응하는 포트 번호가 {0, 1, 4, 5}, {2, 3, 6, 7}, {2, 3, 6, 7}, 및 {0, 1, 2, 3}에 대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제1 그룹 정보의 다른 표시를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구현은 구체적으로, UE가 수신된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에 따라 기준 신호를 6회 전송하고, 기준 신호가 2개의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 그룹 상에서 매번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UE는 기준 신호가 6회 중 매번 전송될 때 사용되는 포트 번호가 각각 {0, 1}, {1, 2}, {2, 3}, {3, 4}, {4, 5}, 및 {5, 6}이라고 결정하고, 그런 다음 UE는 그룹화된 안테나 포트 번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고 기준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에 의해 UE에 전달된 안테나 포트 그룹 정보는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이나 RLC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DCI나 MAC CE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UE 측에서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로서 채널 측정 과정에서 UE가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탐색하는 데 필요한 횟수이다. 주파수 호핑 기능이 기준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지만,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로서 UE가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측정하고 탐색하는 데 필요한 횟수가 사용자에 대한 셀-특정(cell-specific) 및/또는 사용자-특정(user-specific) 기준 신호 대역폭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신호 대역폭 구성 파라미터의 경우, 다음의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라. 예를 들어, 기준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등일 수 있다.
(표 1) 상향링크 대역폭(
Figure pct00012
), 및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의 값
Figure pct00015
(표 2) 상향링크 대역폭(
Figure pct00016
), 및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의 값
Figure pct00019
(표 3) 상향링크 대역폭(
Figure pct00020
), 및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의 값
Figure pct00023
(표 4) 상향링크 대역폭(
Figure pct00024
), 및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의 값
Figure pct00027
전술한 표 1 내지 표 4는 상이한 상향링크 대역폭과 상이한 SRS 대역폭 구성의 경우에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의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Figure pct00030
는 SRS가 한 번에 전송될 때 주파수 영역 대역폭을 나타낸다. SRS를 UE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이 측정될 대역폭보다 작을 때마다, SRS 주파수 호핑(hopping)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SRS 주파수 호핑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RS 주파수 호핑 대역폭(SRS hopping bandwidth)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지정되며, 파라미터 값의 범위가 일반적으로
Figure pct00031
이다.
Figure pct00032
이면, UE는 SRS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UE는 UE의 SRS 전송 대역폭이 주파수 호핑 대역폭보다 작은 경우에만 주파수 호핑을 수행한다. 이는 UE-특정 SRS 대역폭이 나타내는 트리 구조 노드가 부모 노드(부모 노드의 대역폭이 트리 내의 주파수 호핑 대역폭임)를 가지고 있다는 것과, 부모 노드가 복수의 자식 노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UE가 SRS 주파수 호핑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표 1에서,
Figure pct00033
이고
Figure pct00034
이라고 가정하면, 측정될 필요가 있는 대역폭이 36 PRB이고;
Figure pct00035
이면, SRS를 매번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이 4개의 PRB이며,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탐색하는 데 9회의 전송이 필요하다. 표 1 내지 표 3에서,
Figure pct00036
는 레벨-1 노드의 개수를 나타낸다. 표 1에서
Figure pct00037
을 예로 들면, 은 이 레벨에 하나의 노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39
은 이 레벨에 3개의 노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이 동일한 방식으로 추론될 수 있다. 도 1은
Figure pct00042
이고,
Figure pct00043
이며,
Figure pct00044
인 경우의 트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pct00045
이고
Figure pct00046
인 경우,
Figure pct00047
에 대응하는 측정될 대역폭을 탐색하는 데 9회의 SRS 전송이 필요하다.
안테나 포트 그룹에 기초하여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이 제2 네트워크 장치 UE의 전송 요구사항에 따라, 대응하는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포트 그룹 정보의 표시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장치 UE가 상향링크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포트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고, UE의 상향링크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의 유연한 적응형 그룹 및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이 구현되며, UE의 모든 안테나가 전체 대역폭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고, 채널 측정의 정확도와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 유닛(601), 처리 유닛(602), 및 전송 유닛(60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저장 유닛과 같은 다른 기능 유닛 또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601)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이다.
처리 유닛(602)은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고, N≥k≥1이다.
전송 유닛(603)은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602)은 구체적으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602)은 추가적으로,
관계식
Figure pct00048
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Figure pct00049
이며,
n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시간(n)에서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며, K≥1이고;
N=2인 경우,
제1 관계식
Figure pct00050
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N=4인 경우,
제2 관계식
Figure pct00051
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전송 유닛(603)은 추가적으로, 제2 그룹 정보를 제1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그룹 정보는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01)은 추가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 유닛(701), 처리 유닛(702), 및 전송 유닛(70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저장 유닛과 같은 다른 기능 유닛 또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유닛(701)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이다.
수신 유닛(703)은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이고, k는 양의 정수이며, N≥k≥1이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703)은 추가적으로, 기준 신호 포트의 k번째 그룹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703)은 추가적으로,
관계식
Figure pct00052
에 따라,
결정된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Figure pct00053
이며,
n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시간(n)에서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이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701)은 추가적으로,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그룹 정보는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702)은 제2 그룹 정보에 따라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유닛(703)은 추가적으로,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기준 신호 포트의 수신된 그룹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N개의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 중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k번째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2 네트워크 장치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들 간의 빠른 스위칭이 구현되고, 스위칭 이후에 기준 신호가 포트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스위칭 이후에 기준 신호 포트의 경우, 현재 전송 방식의 상이한 안테나 패널 구조과 전송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채널 전송 특징과 차단 확률이 고려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적응형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고, 전송된 기준 신호가 측정될 전체 대역폭을 가능한 한 빨리 탐색할 수 있으며, 채널 측정의 정확도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표시 정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UE가 복수의 상이한 안테나 패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이 안테나 패널의 다른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가 동일하고 포트 번호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는 상이한 패널 패턴으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는 상이한 코드북 구성에 대응하고 있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측의 안테나 포트 패널 패턴 2(pattern 2)에서의 포트 번호 1과 포트 번호 2 사이의 거리가 큰 안테나 거리(큰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코드북 구성)이지만, 패널 패턴 3(pattern 3)에서의 포트 번호 1과 포트 번호 2 사이의 거리가 작은 안테나 거리(작은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코드북 구성)이다. 따라서, 안테나 포트 패널 패턴 2와 패널 패턴 3에 대응하는 코드북 구성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패널 패턴에서 안테나 포트에 대한 최적 코드북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UE 측에서 패널 패턴에 대한 코드북 구성을 최적하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큰 프리코딩 행렬 집합, 즉 코드북이 기지국 및 UE 측에 사전 정의된다. UE의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프리코딩 행렬 집합 또는 코드북은 모든 상이한 패널 패턴의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UE가 송신 안테나 포트 상에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가중 계수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UE의 송신 안테나 포트의 간섭성 정보(coherent information)에 따라 적절한 코드북 부분집합 또는 프리코딩 행렬 부분집합으로부터 사전 정의된 큰 코드북 또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을 선택하고, 코드북 부분집합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UE에 전송한다. 따라서, UE의 일부 안테나 포트가 차단되기 때문에, 기지국이 전송되는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이 방지되거나, 또는 신호 전송 성능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UE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가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이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다.
단계 902: 기지국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UE에 전송하고, UE가 제1 인덱스 집합 중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UE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RLC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DCI), 또는 계층 2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CE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는, 기지국이 DCI 지시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UE에 전송하는 것이다.
단계 903: UE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비스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SRS와 같은 상향링크 기준 신호가 전송된다.
UE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한다.
UE가 기지국으로부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그런 다음 UE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에 따라 코드워드 인덱스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기지국과 UE 간에 이전에 수행된 측정의 결과에 따라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0부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23까지의 총 24개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로 구성되는 코드북 또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코딩 행렬 집합이 3개의 인덱스 집합에 대응하는 3개의 부분집합(즉, 3개의 후보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이 있음)로 분할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또한 대응하는 인덱스 집합이 각각 0 내지 7, 8 내지 15, 및 16 내지 23이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인덱스 집합 내의 인덱스가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제1 인덱스 집합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0 내지 7을 포함하다고 가정하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0"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이
Figure pct00054
이다.
하지만, 전술한 24개의 프리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UE와 기지국에 대해 사전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UE에 전송하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후보 인덱스 집합의 집합 번호만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DCI 지시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UE에 전달된다. 따라서, DCI 지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UE는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RLC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예를 들어,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계층 2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CE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 또는 RL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UE에 전송하는 것이다.
다른 선택적인 구현은, 단계 901 이전에, UE가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어느 부분 집하이 선택되어야 하는지를 기지국에 추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프리코딩 행렬은 안테나 포트 개수 구성에서 UE의 모든 프리코딩 행렬의 전체 집합이다. 예를 들어,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모든 안테나 패널 구조 아래에 프리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집합이거나, 또는 모든 안테나 거리 아래에 프리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집합이다.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최적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UE에 전달한다. 또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가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에서 다시 번호가 매겨지고 제한되는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이므로, 기지국이 DCI를 이용하여,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UE에 전송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제2 프리 코딩 행렬 집합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비교하여, DCI 지시 시그널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UE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UE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구성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UE에 전송한다.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중에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가 선택되고 또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이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이므로, UE에 의해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빠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가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에서 다시 번호가 매겨지고 제한되는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이므로,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비교하여, DCI 지시 시그널링이 감소된다.
또한, 기지국이 UE에 의해 권장된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따라 UE에 대한 적절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UE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따라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UE 측에서 가능한 복수의 안테나 패널 구조에 적응할 수 있고, 상이한 안테나 패널 패턴의 최적 프리코딩 행렬 구성이 구현되며, 데이터 전송의 성능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구성하는 경우, 시스템 내에서 M개(M>1)의 프리코딩 행렬 집합이 사전 정의된다. 여기서, 각각의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안테나 포트 패널 패턴에 대응하고, 각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가 나타내는 코드워드가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한다. 즉, 각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 중 번호가 매겨지는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에서 사전 정의된 M개의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코드워드 구조가 UE의 복수의 안테나 포트의 분포 및 복수의 안테나 포트 사이의 안테나 거리와 관련되어 있다. 패널 패턴 1(pattern 1)과 패널 패턴 4(pattern 4)에서의 동일한 편광방향의 4개의 안테나 포트 간의 안테나 거리가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기지국이 프리코딩 행렬 집합을 구성하는 경우, 기지국은 패널 패턴 1(pattern 1)과 패널 패턴 4(pattern 4)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코드워드를 큰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일부 코드워드라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큰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코드워드는, LTE-A 시스템의 4개의 안테나 포트의 이중-코드북 구성(dual-codebook configuration)에서 큰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코드워드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패턴 2(pattern 2)와 패널 패턴 3(pattern 3)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코드워드가 작은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일부 코드워드이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작은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코드워드는 LTE-A 시스템의 4개의 안테나 포트의 이중-코드북 구성에서 작은 안테나 거리에 적용 가능한 코드워드일 수 있다. 또한, 패널 패턴 1(pattern 1)과 패널 패턴 4(pattern 4)에서의 동일한 편광방향의 4개의 안테나 포트 간의 안테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상이한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패널 패턴 1과 패널 패턴 4에 대해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UE 측의 상이한 패널 패턴이 상이한 안테나 포트 구조에 대응하지만, 상이한 안테나 포트 구조에 대응하는 포트 차단 확률이 다르다. 따라서, UE의 송신 안테나 포트의 차단으로 인해 UE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코딩 행렬 집합을 구성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이한 안테나 패널 구조에 대해 상이한 프리코딩 행렬 집합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이 열 선택 벡터(column selection vector)와 위상 회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표 5를 참조하면, 표 5는 순위가 1인 4개의 상향링크 안테나의 프리코딩 행렬의 집합을 나타낸다. 여기서, 전술한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서 열 선택 벡터와 위상 회전에 의해 형성된 코드워드의 인덱스는 표 5의 인덱스 16 내지 인덱스 23을 포함한다. UE 측의 상이한 안테나 패널 구조에 따르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프리 코딩 행렬의 구성에는 0이 아닌 다른 원소가 존재한다.
(표 5)
Figure pct00055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4개의 안테나 포트가
Figure pct00056
이라고 가정한다.
인덱스가 16 내지 23인 프리코딩 행렬이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프리코딩 행렬로서 안테나 차단 시나리오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이다. 즉,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기지국이 UE에 대해 구성하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전술한 표의 인덱스 16 내지 인덱스 23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집합이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고 UE에 의해 수신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16 내지 23이다. UE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될 때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UE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2개의 그룹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그룹의 안테나 포트가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하나의 그룹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단말 장치에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 유닛(1101), 처리 유닛(1102), 및 전송 유닛(1103)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101)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데이터가 전송될 때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이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다.
전송 유닛(1103)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비스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SRS와 같은 상향링크 기준 신호가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1101)은 추가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전송 유닛(1103)은 추가적으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1101)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또는 RL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DCI 지시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술한 장치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기지국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 유닛(1201), 처리 유닛(1202), 및 전송 유닛(1203)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1202)은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이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인덱스 값도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다.
전송 유닛(1203)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유닛(1201)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202)은 추가적으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낸다.
전송 유닛(1203)은 추가적으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1201)은 추가적으로,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202)은 추가적으로,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에 따라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결정하고,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에 따라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다.
선택적으로, 전송 유닛(1203)은 구체적으로, 시그널링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또는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송 유닛(1203)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또는 RL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전송 유닛(1203)은 구체적으로, 시그널링을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또는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송 유닛(1203)은 DCI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특정 하드웨어 구현에서, 본 출원은 단말 장치,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UE를 더 제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송수신기(1301), 프로세서(1302), 및 메모리(130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2)는 단말 장치의 제어 중심이다. 프로세서(1302)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이용하여 전체 네트워크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네트워크 측 장치의 다양한 기능 및/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2)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또는 CPU와 NP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칩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PLD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 어레이 논리(generic array logic, 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303)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유형의 메모리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01)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비디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각의 노드 또는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송수신기는 각각의 노드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301)는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 포트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제1 네트워크 장치에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도 6에서, 수신 유닛(601)에 의해 구현될 기능이 단말 장치의 송수신기(1301)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302)에 의해 제어되는 송수신기(13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 처리 유닛(602)에 의해 구현될 기능도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13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더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제1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송수신기(1401), 프로세서(1402), 및 메모리(14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2)는 네트워크 장치(기지국)의 제어 중심이다. 프로세서(1402)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이용하여 전체 네트워크 측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네트워크 측 장치의 다양한 기능 및/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또는 CPU와 NP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칩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PLD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 어레이 논리(generic array logic, 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403)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유형의 메모리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엘리먼트 내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송수신기(1401)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 또는 다른 네트워크 측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송수신기는 단말 장치 또는 다른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401)는 전술한 실시예의 도 2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고, 도 7에서 장치 실시예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수신 유닛(701)에 의해 구현될 기능이 기지국의 송수신기(1401)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402)에 의해 제어되는 송수신기(1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전송 유닛(703)에 의해 구현될 기능도 기지국의 송수신기(1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402)에 의해 제어되는 송수신기(1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처리 유닛(702)에 의해 구현될 기능이 프로세서(14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말 장치(1300)와 기지국(1400)은 추가적으로,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도 9에 도시된 모든 방법 절차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 장치(1300)는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의 모든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기지국(1400)은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모든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모든 유닛의 기능이 대응하는 송수신기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본 출원에 따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에 포함된 일부 단계 또는 모든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이 필요한 일반적인 하드웨어 플랫폼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기본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ROM/RAM,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일부 부분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음)에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호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는 방법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되며,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구현이지만,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39)

  1.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그룹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 k는 양의 정수이고, N≥k≥1임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계식
    Figure pct00057
    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58
    이며,
    n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상기 기회 n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그룹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2 그룹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antenna panel information),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6.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이고, k는 양의 정수이며, N≥k≥1임 -
    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기준 신호 포트의 결정된 k번째 그룹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로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는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결정됨 -
    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관계식
    Figure pct00059
    에 따라,
    상기 결정된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60
    이며,
    n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상기 기회 n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인,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그룹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antenna panel information),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11.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음 -;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 및/또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5.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단말 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음 -;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 및/또는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19.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장치에 배치되고,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k는 양의 정수이고, N≥k≥1임 -; 및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적으로,
    관계식
    Figure pct00061
    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Figure pct00062
    이며,
    n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상기 기회 n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추가적으로, 제2 그룹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그룹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antenna panel information),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24.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에 배치되고,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 상기 제1 그룹 정보는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N≥1임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N개의 그룹 중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이고, k는 양의 정수이며, N≥k≥1임 -
    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는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회(occasion),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개수(N), 및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K)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관계식
    Figure pct00063
    에 따라,
    상기 결정된 k번째 그룹의 기준 신호 포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Figure pct00064
    이며,
    n은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기회를 나타내고, k(n)은 상기 기회 n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결정되는 상기 안테나 포트 그룹 번호(k)를 나타내며, K는 상기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횟수를 나타내고, K≥1인,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2 그룹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안테나 패널 정보(antenna panel information), 기준 신호 포트 정보, 및 기준 신호 포트의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2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 포트의 제1 그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추가적으로,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29.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단말 장치에 배치되고,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음 -; 및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리코딩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으며,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33.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기지국에 배치되고,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는 단말 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각각의 인덱스는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 내의 프리코딩 행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은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고, 상기 제1 인덱스 집합 내의 어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값도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음 -;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및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나타냄 -;
    상기 전송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프리코딩 집합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부분집합에 따라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36.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프리코딩 행렬 집합의 정보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싣고 있으며, 상기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계층 1 시그널링, 및 계층 2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37.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38.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9.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명령을 판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명령에 따라,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197028251A 2017-03-24 2018-03-21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2287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86498.9 2017-03-24
CN201710186498.9A CN108632001A (zh) 2017-03-24 2017-03-24 一种参考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PCT/CN2018/079748 WO2018171614A1 (zh) 2017-03-24 2018-03-21 一种参考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750A true KR20190117750A (ko) 2019-10-16
KR102287733B1 KR102287733B1 (ko) 2021-08-06

Family

ID=6358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251A KR102287733B1 (ko) 2017-03-24 2018-03-21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23161B2 (ko)
EP (2) EP3588830B1 (ko)
JP (1) JP6967604B2 (ko)
KR (1) KR102287733B1 (ko)
CN (4) CN108964866B (ko)
BR (1) BR112019019885A2 (ko)
CA (1) CA3055797C (ko)
WO (1) WO2018171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7781A1 (en) * 2017-01-09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ybrid-srs combination signaling
CN110505695A (zh) * 2018-05-18 2019-1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数据传输指示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0056642A1 (zh) * 2018-09-19 2020-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7341251B2 (ja) * 2019-04-29 2023-09-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端末装置からの参照信号の送信
US11251919B2 (en) * 2019-05-17 2022-02-15 Qualcomm Incorporated Panel selection for user equipment with multiple panels
WO2021035389A1 (en) * 2019-08-23 2021-03-0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odification of sounding procedure configuration
US11570809B2 (en) * 2020-03-06 2023-01-31 Qualcomm Incorporated Compac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a two-step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CN114513289A (zh) * 2020-11-16 2022-05-1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2570A1 (zh) * 2010-01-11 2011-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预编码矩阵的信令指示方法、基站和终端
WO2013023586A1 (zh) * 2011-08-15 2013-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预编码信息发送方法、预编码方法、基站及终端
WO2017031672A1 (zh) * 2015-08-24 2017-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预编码信息发送、反馈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53969T1 (de) * 2006-06-20 2010-01-15 Huawei Tech Co Ltd Verfahren zum reduzieren des rückmeldeinformations-overhead in vorcodiertren mimo-ofdm-systemen
CN101547066B (zh) * 2008-03-25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mu-mimo方式的下行预编码信息指示方法
CN101272364B (zh) * 2008-05-05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mu-mimo的预编码指示方法及装置、控制方法
CN101340228B (zh) * 2008-08-07 2014-05-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参考信号的传输方法
CN101686110B (zh) * 2008-09-26 2012-10-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多输入多输出系统、及其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CN101777945B (zh) * 2009-01-12 2013-05-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多天线通信系统中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基站
CN102612823B (zh) * 2009-08-14 2015-09-09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多天线的无线通信系统中传输下行链路基准信号的方法及装置
CN102035615B (zh) * 2009-09-27 2013-06-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mimo的下行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2056220B (zh) 2009-10-28 2014-02-1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信道测量的方法及装置
US9253784B2 (en) * 2010-01-11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resource block bundling in LTE-A systems
CN102237951B (zh) * 2010-04-30 2014-03-0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小区八天线端口的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传输方法和设备
CN103546241B (zh) * 2010-05-04 2017-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预编码矩阵索引及进行预编码的方法和装置
CN101924606B (zh) * 2010-08-16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pusch传输的上行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系统
US9252930B2 (en) * 2011-01-07 2016-02-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equipment
CN102595514B (zh) * 2011-01-12 2015-03-1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非周期性探测参考信号的配置方法
WO2012134535A1 (en) 2011-04-01 2012-10-04 Intel Corporation Enhanced node b and method of transmitting physical-downlink control channels (pdcchs) in a lte-a system
CN102255643B (zh) * 2011-06-30 2013-12-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预编码矩阵指示及信号传输方法、系统和设备
WO2013015606A2 (en) 2011-07-25 2013-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32707A (ko)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팬택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3096346A (zh) * 2011-11-03 2013-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参考信号srs发送和信道检测的方法、装置及终端
WO2013147476A1 (ko) 2012-03-24 2013-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858402B1 (en) * 2012-06-04 2019-08-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received power measurement method, terminal, base station and system
CN104303431B (zh) 2013-04-03 2018-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及设备
CN105659655B (zh) * 2013-09-27 2019-05-14 英特尔公司 Csi-rs天线端口扩展和3d码本设计
CN107196749B (zh) * 2013-12-31 2020-03-3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测量、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装置
WO2017020201A1 (en) * 2015-07-31 2017-02-09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mrs indication
US10631159B2 (en) * 2016-09-01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UE capability reporting for dual-polarization wireless communication
US11038566B2 (en) * 2017-01-06 2021-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coding a transmission from a multi-panel antenna arr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2570A1 (zh) * 2010-01-11 2011-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预编码矩阵的信令指示方法、基站和终端
WO2013023586A1 (zh) * 2011-08-15 2013-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预编码信息发送方法、预编码方法、基站及终端
WO2017031672A1 (zh) * 2015-08-24 2017-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预编码信息发送、反馈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2192 *
3GPP TS36.211 v14.2.0* *
3GPP TS36.212 v14.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7201A1 (en) 2020-01-02
WO2018171614A1 (zh) 2018-09-27
EP3588830A4 (en) 2020-03-04
EP3588830B1 (en) 2021-03-03
EP3905578A1 (en) 2021-11-03
KR102287733B1 (ko) 2021-08-06
BR112019019885A2 (pt) 2020-04-22
CA3055797A1 (en) 2018-09-27
CN110603771B (zh) 2021-04-20
CN108632001A (zh) 2018-10-09
JP2020516124A (ja) 2020-05-28
CN109257153A (zh) 2019-01-22
CN108964866A (zh) 2018-12-07
EP3588830A1 (en) 2020-01-01
CN108964866B (zh) 2020-03-20
CN110603771A (zh) 2019-12-20
CN109257153B (zh) 2020-03-20
US11323161B2 (en) 2022-05-03
JP6967604B2 (ja) 2021-11-17
CA3055797C (en)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35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KR102287733B1 (ko)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US202003293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ference signal
US11239880B2 (en) DMRS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US201900824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and Data Channels with Group Reference Signal
KR20200038986A (ko) 정보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7030202B2 (ja) リソース指示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KR102612338B1 (ko) 무선 시스템들에서 준-코-로케이션 정보의 시그널링
KR20200067864A (ko) 비-프리코더 매트릭스 표시자(pmi) 채널 상태 정보(csi) 피드백을 위한 포트 인덱스 신호전송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11870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communication system
CN114071748A (zh) 信号传输方法、终端和网络设备
KR20240037191A (ko) 대규모 업링크 송신기들을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 송신들
KR20240054326A (ko) 다중-trp 동작을 위한 향상된 csi 보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