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680A -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Google Patent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680A
KR20190117680A KR1020197027303A KR20197027303A KR20190117680A KR 20190117680 A KR20190117680 A KR 20190117680A KR 1020197027303 A KR1020197027303 A KR 1020197027303A KR 20197027303 A KR20197027303 A KR 20197027303A KR 20190117680 A KR20190117680 A KR 20190117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ging
dci
informatio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644B1 (ko
Inventor
김은선
김기준
고현수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 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CI에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 시스템이 도입되는 경우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 RAT에 비해 향상된 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assive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reliability 및 latency 에 민감한 서비스/UE 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New RAT에서는 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eMBB), massive MTC (m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 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CI에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DCI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DCI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DCI는 상기 단말의 피드백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피드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한 후에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DCI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DCI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DCI는 시스템 정보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은, 제 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제 1 DCI에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DCI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DCI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DCI는 상기 단말의 피드백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피드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DCI는 시스템 정보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R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PF 및 PO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NR에서의 페이징 프로시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멀티-빔 기반 동작과 함께하는 페이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페이징 DCI를 구성하는 일부 필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PI 에서의 비트 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페이징 DCI의 일부 필드의 구성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않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페이징 DCI의 일부 필드의 구성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않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LTE-A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 LTE-A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gNode B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혹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데이터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105)과 하나의 단말(110)을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5)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5), 심볼 변조기(120), 송신기(125), 송수신 안테나(130), 프로세서(180), 메모리(185), 수신기(190), 심볼 복조기(19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65), 심볼 변조기(170), 송신기(175), 송수신 안테나(135), 프로세서(155), 메모리(160), 수신기(140), 심볼 복조기(15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130, 135)가 각각 기지국(105) 및 단말(110)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은 SU-MIMO(Single User-MIMO) MU-MIMO(Multi User-MIMO)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하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여, 코딩하고, 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변조하여(또는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이 데이터 심볼들과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다중화하여 이를 송신기 (125)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제로의 신호 값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에서, 파일럿 심볼들이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 심볼일 수 있다.
송신기(12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또한,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 컨버팅(upconverting) 하여,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하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130)는 발생된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110)의 구성에서, 수신 안테나(13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140)로 제공한다. 수신기(140)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145)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이를 프로세서(155)로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145)는 프로세서(155)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획득하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50)로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 (150)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볼 디-매핑(demapping))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고, 디코딩하여,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145)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기지국(105)에서의 심볼 변조기(120)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에 의한 처리에 대해 상보적이다.
단말(110)은 상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65)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송신기(175)로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17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135)는 발생된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105)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05)에서, 단말(1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기(190)는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이어서, 심볼 복조기(195)는 이 샘플들을 처리하여, 상향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처리하여,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단말(110) 및 기지국(105) 각각의 프로세서(155, 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55, 18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160, 185)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60, 185)는 프로세서(18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55, 18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5, 18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55, 18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55, 18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60, 18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55, 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상기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단말, 기지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RRC 레이어를 통해 RRC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의 프로세서(155)와 기지국의 프로세서(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및 저장 기능 등을 제외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를 언급하지 않는다.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의 언급이 없더라도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및 저장 기능이 아닌 데이터 처리 등의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Millimeter Wave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개의 안테나 설치가 가능해 진다. 즉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5 by 5 cm의 패널(panel)에 0.5 lambda(파장) 간격으로 2-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100개의 안테나 element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에서는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를 사용하여 beamforming(BF)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쓰루풋(throughput)을 높이려고 한다.
이 경우에 안테나 element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 (transceiver unit)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 여개의 안테나 element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비용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개의 안테나 element를 맵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analog phase shifter)로 빔(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beaming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디지털 빔포밍(Digital BF)와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element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F)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element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이하, 먼저 3GPP LTE/LTE-A 시스템에서의 페이징(Paging)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페이징 절차(paging procedure)는 네트워크가 RRC_IDLE 모드인 단말에게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을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절차는 네트워크가 RRC_IDLE/RRC_CONNECTED 모드인 단말에게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알리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절차는 네트워크가 RRC_IDLE/RRC_CONNECTED 모드인 단말에게 ETWS 프라이머리 통지(primary notification) 및/또는 ETWS 세컨더리 통지(secondary notification)를 알리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절차는 네트워크가 RRC_IDLE/RRC_CONNECTED 모드인 단말에게 CMAS 통지(CMAS notification)를 알리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Paging Occasion(PO)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말의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기법이 정의된다. DRX를 사용하는 단말은 매 페이징 사이클(즉, DRX cycle)마다 한 번의 PO에서만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 PF)은 하나 이상의 PO(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PO은 페이징 메시지를 어드레싱(addressing)하는 PDCCH 상에 전송되는 P-RNTI가 존재할 수 있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PO은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체크하는 PF 내 특정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PF 및 PO는 단말의 IMSI 및 DRX 값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IMSI 및 DRX 값을 이용해서 PF 및 PO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MME로부터 전달받은 IMSI 값을 통해 단말 별 PF 및 PO를 계산할 수 있다.
DRX 파라미터(즉, 페이징/PCCH 구성 정보)는 공통적인 무선 자원 설정을 특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RRC 메시지인 공통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Common') IE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공통 무선 자원 설정 IE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SI) 메시지와 같은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SI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SIB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다음 표 1은 페이징(paging)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pct00001
다음 표 2 내지 표 5는 각각 페이징과 관련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해 설명한 표이다.
표 2 및 표 3은 FDD의 경우에 페이징과 관련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나타낸다.
P-RNTI가 PDCCH 상에서 전송되면, 또는 P-RNTI가 3MHz 보다 더 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MPDCCH 상에서 전송되면, PO는 다음 표 2와 같다.
Ns PO when i_s=0 PO when i_s=1 PO when i_s=2 PO when i_s=3
1 9 N/A N/A N/A
2 4 9 N/A N/A
4 0 4 5 9
P-RNTI가 1.4MHz 및 3MHz의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MPDCCH 상에서 전송되면, PO는 다음 표 3과 같다.
Ns PO when i_s=0 PO when i_s=1 PO when i_s=2 PO when i_s=3
1 5 N/A N/A N/A
2 5 5 N/A N/A
4 5 5 5 5
표 4 및 표 5는 TDD (all UL/이 configurations)의 경우에 페이징과 관련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나타낸다.
P-RNTI가 PDCCH 상에서 전송되면, 또는 P-RNTI가 3MHz 보다 더 큰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MPDCCH 상에서 전송되면, PO는 다음 표 4와 같다.
Ns PO when i_s=0 PO when i_s=1 PO when i_s=2 PO when i_s=3
1 0 N/A N/A N/A
2 0 5 N/A N/A
4 0 1 5 6
P-RNTI가 1.4MHz 및 3MHz의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MPDCCH 상에서 전송되면, PO는 다음 표 5와 같다.
Ns PO when i_s=0 PO when i_s=1 PO when i_s=2 PO when i_s=3
1 1 N/A N/A N/A
2 1 6 N/A N/A
4 1 1 6 6
다음 표 6은 확장된 DRX에서의 페이징(paging in extended DRX)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2
다음 표 7은 DCI 포맷 6-2에 대해 설명한 표이다.
Figure pct00003
도 2는 PF 및 PO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DTX cycle 내에 복수 개의 PF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PF에는 복수 개의 PO가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NR 페이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NR에서의 페이징 프로시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TRP 혹은 기지국의 셀(the TRP or the cell of the eNB)과 하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한다(S210).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MIB 및/또는 SIB를 수신한다. MIB 및/또는 SIB는 SFN (System Frame Number) 및 hyper SFN을 시그널링(혹은 지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PI)는 상기 단말을 깨우는 (wake-up) 신호에 해당한다.
단말은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PI) 혹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페이징 인터벌(paging interval)을 계산한다. 페이징 인터벌은 UE ID 및 /또는 선택된 빔 인덱스 (예를 들어, # 2)에 기초하여 계산된 PO, 페이징 타임 윈도우, 페이징 (무선) 프레임 및/또는 페이징 하이퍼 프레임일 수 있다. 페이징 인터벌은 UE ID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PI는 PDCCH 상에서의 P-RNTI와 같이 RNTI일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는 PDSCH 상에서 전송된다.
기지국(eNB)은 기지국이 안테나 빔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스윕(sweep)하는 페이징 인터벌에서 다중 빔을 전송한다(S220). 상이한 빔은 상이한 시간 인터벌(예를 들어, BRS (Beam Reference Signal)와 함께 하는 심볼들 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딘다. 이들 빔은 UE들의 그룹, UE 식별자들의 그룹, 특정 타입의 UE (예를 들어, 지연 허용 장치들 또는 차량 UE들), 특정 UE 카테고리, 특정 서비스, 서비스 그룹을 나타내는 PI를 전송한다. PI는 또한 어떤 빔 인덱스가 피드백에 포함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단말은 상이한 시간 간격에서 상이한 빔들을 수신함으로써 각 빔의 품질을 측정한다(S230). 단말은 모든 빔 중에서 가장 높은 측정 품질을 제공하는 빔을 선택한다. 대안으로, 단말은 측정된 품질이 임계치 이상인 빔을 선택한다(S230).
단말이 모니터링하는 PO에서 PI가 수신되고, 및/또는 PI가 상기 단말의 페이징을 위한 것이라면, 단말은 피드백을 기지국으로 보낸다(S240). 피드백은 선택된 빔의 빔 인덱스를 나타낸다. 피드백은 다음 옵션들 중 하나에 의해 전송할 수 있습니다.
옵션 1: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세트 또는 랜덤 액세스 자원은 선택된 빔을 지시한다. 빔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세트 또는 랜덤 액세스 자원 사이의 매핑은 기지국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단말로 시그널링된다.
옵션 2: 피드백은 선택된 빔 인덱스와 단말의 ID가 포함된 MAC 제어 요소(MAC Control Element)이다.
옵션 3: 피드백은 선택된 빔 인덱스와 단말의 ID가 포함된 RRC 메시지이다. RRC 접속 설정 절차, RRC 접속 재개 절차, RRC 접속 재설정 절차 또는 RRC 셀 업데이트 절차 중에 RRC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메시지 또는 Cell Update 메시지 일 수있다.
단말은 피드백을 보낸 후에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피드백은 선택된 빔을 통해 전송된다.
기지국은 선택된 빔의 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하면(S240), 기지국은 단말 ID 및/또는 빔 인덱스에 기초하여 계산된 PO에 선택된 빔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S250). 피드백이 전송된 후 일정 기간 동안, 단말은 선택된 빔이 전송되는 PO의 전체 또는 일부에서 선택된 빔만을 모니터링한다(S260). 즉, 단말은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선택된 빔만을 모니터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통해 타이머의 값을 수신한다. 상기 기간 동안 단말 ID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즉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단말은 페이징 인터벌들 또는 PO들에서 모든 빔들을 모니터링한다.
다음 표 8은 NR에서의 페이징 관련한 RAN 2의 표준 사항을 설명한다.
Figure pct00004
이하는 NR에서 페이징 전송 관련하여 RAN1 #88 meeting에 제출한 출원인의 기고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 표 9 및 표 10은 본 출원인의 기고의 내용이다.
Figure pct00005
도 4는 멀티-빔 기반 동작과 함께하는 페이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빔 기반 동작과 함께하는 NR 시스템에서 다음 표 10의 두 가지 옵션들이 페이징 메시지 전송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또한, 다음 표 11은 빔 스윕핑되는 paging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혹은 PI와 관련하여 3GPP RAN1 Jan. Adhoc meeting에 제출한 출원인의 기고 내용이다.
Paging delivery mechanism needs to be designed not only for UEs in RRC_IDLE mode but also for UEs in RRC_INACTIVE mode and it is FFS whether the same mechanism will be applied for both modes. Most of procedures may be up to RAN2 design whether the paging message is unicasted or broadcasted but more essential aspect of paging delivery/design in RAN1 perspective is paging indicator design. Hence, we propose to study on the paging indicator design including sequence design itself, whether it is UE dedicated, and etc.
페이징 상에서의 피드백 메커니즘(feedback mechanism on the paging)
RRC idle 혹은 RRC inactive mode에 있는 단말은 전력 절약을 위한 DRX mode에 있으면서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해서 wake-up 해야 하는 시점에 대해서 DRX mode로 들어가기 전에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로부터 시그널링을 받을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PO (Paging Occasion)과 PF (Paging Frame)을 지정받았다. NR에서 달라지는 부분은, 멀티 빔 환경에서의 빔포밍의 영향으로, 하나의 PO 내이 복수 개의 슬롯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이 상기 표 9에 기술되어 있는데, 관련 내용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O는 멀티 시간 슬롯(multiple time slots)(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OFDM 심볼)으로 구성될 수 있다. PO에서 시간 슬롯들의 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각 시간 슬롯에서 하향링크 전송 빔(들)의 다른 세트를 이용하거나 반복하여 페이징을 전송할 수 있다. 페이징이 빔 스윕핑을 이용하여 전송될 때 페이징 메시지 또는 PI가 이용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PO에서 페이징 DCI(페이징 DCI는 ‘DCI’ 등으로 다양하게 명명 가능함)를 수신/디코딩한 경우, 해당 PO에서 페이징 메시지도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NR에서 단말이 특정 PO에서 페이징 DCI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PO에서 페이징 메시지도 수신하면, 네트워크는 상기 특정 PO에서 페이징 DCI와 페이징 메시지를 빔 스윕핑 방식으로 전송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PO의 시간 단위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입장에서는 네트워크의 페이징 채널에 대한 빔 스윕핑 동작으로 인해 하향링크 자원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페이징을 수신하는 단말의 관점에서, 단말은 PO에서 페이징 DCI를 수신/디코딩할 수 있으며, 페이징 메시지는 반드시 페이징 DCI가 전송된 PO에서 전송될 필요는 없다. 보다 효율적인 자원 운용을 위해서, 페이징 DCI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빔 스윕핑되어 전송된다. PO가 다수의 슬롯(혹은 시간 슬롯)으로 구성될 때, 단말은 해당 PO에서 지시된 슬롯 길이 단위로 페이징 DCI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다만, idle 혹은 inactive mode에서 단말이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시간-주파수 획득(time-frequency acquisition) 및 빔 획득(beam acquisition)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SS(Synchronization Signal) 전송 시점에 맞추어 단말은 PO 이전에 미리 깨어 빔 스윕핑되는 SS block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가장 좋은 품질로 수신되는 SS block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PO에서 전송되는 페이징 DCI 및 페이징 메시지 역시 SS block이 전송되는 빔 패턴과 동일한 pattern으로 전송되므로, 가장 좋은 품질로 수신되는 SS block 인덱스를 결정한 단말은 자신이 디코딩해야 하는 PO 내의 슬롯 및 페이징의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PO에서 페이징 DCI와 페이징 메시지는 빔 스윕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은 PO에서 페이징 DCI 혹은 후술할 PI를 수신하게 되고, 단말의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은 PO에서 수신한 페이징 DCI 혹은 PI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PI는 단말을 깨우는 일종의 wake up signal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PI에서 자신의 단말 ID에 관련된 정보가 검출되면, 단말은 자신으로의 데이터가 있음을 이해하고, sleep mode 혹은 DRX mode에서 깨어나 데이터 수신을 준비한다. 또한, 해당 PI는 해당 단말로 하여금 상향링크로의 특정 정보 전송을 트리거(trigger)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해당 PI에 대해서 ACK 신호, 혹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등의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통해서 기지국(gNB)은 타겟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해당 방향으로만 전송해야 할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때, 해당 방향으로만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이를 디코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DCI 전송을 수반할 수 있다.
페이징 지시자(PI) 설계 방식 1 - 페이징 DCI 내의 PI
이하에서는 PI 설계 및 단말의 PI 검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PI를 통해서 특정 단말 혹은 특정 단말 그룹 혹은 특정 빔(또는 빔 그룹)의 단말들로 하여금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명령할 수 있다.
페이징 DCI를 이용한 PI 전송 방식은 단말 ID 별 P-RNTI 혹은 단말 ID 그룹별 P-RNTI를 사용하여 단말 혹은 단말 그룹을 특정할 수 있다. 즉, 한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P-RNTI(Paging-RNTI)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한 PO 내의 각각의 슬롯 마다(페이징 DCI 가 시간분할다중화(TDM)될 수 있음), 혹은 PO의 한 슬롯 내에(페이징 DCI가 주파수분할다중화(FDM) 될 수 있음) 복수 개의 페이징 DCI가 전송될 수 있으며, 각 페이징 DCI는 서로 다른 P-RNTI로 CRC 커버링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DCI를 수신할 때 idle mode 혹은 inactive mode에서의 자신의 (temporary) ID를 이용하여 자신의 P-RNTI를 유추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 단말은 다음과 같이, 자신의 ID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1에 의해서 PO를 알아낸다.
Figure pct00007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단말은 자신의 ID를 이용하여, PO뿐 아니라, P-RNTI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해당 P-RNTI를 이용하여 디코딩한 페이징 DCI 내의 PI 필드에서 몇 번째 PI에 해당하는지, 또한 특정 PI 내에서 몇 번째 bit 가 자신에게 할당된 지시자 비트 인지 유도해 낼 수 있다. 단말이 이러한 정보를 유도해 낼 수 있도록, 즉 Paging DCI 내의 PI 필드에서의 UE 위치 및 UE 그룹핑 정보들을 유도해 낼 수 있는 필요한 정보들을 기지국이 UE에게 사전에 전송해야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페이징 DCI에는 PI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DCI 내에 PI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PI를 통해서 페이징 DCI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해야 하는 단말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지국은 P-RNTI를 이용하여 단말을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단말들을 PI 및 PI의 비트 필드를 통해서 단말들을 서브-그룹핑 및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PI는 다음의 실시 예와 같이 비트 맵(bit map)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페이징 DCI를 구성하는 일부 필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페이징 DCI에 복수 개의 PI 필드(PI 0,..., PI N)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PI는 특정 P-RNTI 내에서 단말을 서브-그룹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PI 에서의 비트 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각 PI의 비트들은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특정 단말을 가리킬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DCI에 들어가는 PI의 개수 및 PI 별 단말 수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P-RNTI 내에서 어떤 PI에 속하는 몇 번째 bit가 자신을 호출하는 bit인지 자신의 단말 ID를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도 6의 실시 예에서, PI 필드의 각 비트는 한 단말을 특정하여 지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특정 단말 그룹을 특정 혹은 지정할 수도 있다.
페이징 지시자(PI) 설계 방식 1에서는, 단말의 PO 내의 페이징 DCI 모니터링/검출 단위가 PO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슬롯 단위일 때, 단말은 각 슬롯 단위로 페이징 DCI 검출을 시도한다. 단말이 페이징 DCI 검출을 시도하는 시간 단위 및 검색 공간(search space)은 미리 네트워크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페이징 지시자(PI) 설계 방식 2 - PI 시퀀스 전송
기지국이 페이징 DCI의 특정 필드에 PI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식과 달리, 기지국은 PI를 특정 시퀀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I 시퀀스 전송 방식을 위해서 네트워크는 단말 별 PI 시퀀스를 별도로 부여할 수 있다. PI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체 시퀀스 세트가 정의되어야 하고, 해당 시퀀스 세트 중에서 특정 시퀀스가 각 단말에게 미리 사전에 할당된다.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받은 해당 시퀀스를 이용하여 PO에서 PI 검출을 시도한다. 한 PO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롯이 있을 때, PO 내의 각 슬롯에서 복수 개의 PI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단말들을 그룹핑하고, 각 단말 그룹별로 PI 검출을 하는 주파수(예를 들어, subband, BWP(BandWidth Part) 등)를 지정할 수 있다. 즉, PO 내의 각 슬롯에서 복수의 PI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PI 시퀀스는 cross correlation 성능이 좋은 시퀀스 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시점에서 자신에게 부여되는 PI 시퀀스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단말은 해당 PI 시퀀스가 전송되는 주파수(예를 들어, subband)에 대한 정보도 단말 ID를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자신의 ID를 이용하여 PI 시퀀스를 유도하고, PI 시퀀스 별 (혹은 PI 시퀀스 그룹 별) 주파수(예를 들어, subband)는 미리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단말은 상기 사전에 설정된 PI 시퀀스 별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PI 시퀀스가 전송되는 해당 주파수(예를 들어, subband)에서 PI 검출을 수행한다. 단말은 단말 자신에게 부여된 PI 시퀀스가 검출하면, 이에 대한 피드백을 상향링크로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PI는 단말 별로 정적(static)으로 부여될 수 있다. 또는, PI는 PO의 서브프레임 혹은 슬롯 인덱스, SFN 혹은 PF 인덱스, P-RNTI 그리고 단말의 ID, 혹은 단말 ID 그룹 혹은 빔 ID의 함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은 자신이 부여받은 단말 ID (단말 ID 그룹 혹은 빔 ID), P-RNTI 와 PO를 수신한 시점의 함수로부터 PI를 도출해 내서 PI 검출을 시도한다.
페이징 지시자(PI) 설계 방식 2에서는, PO 내의 PI 검출 단위가 복수 개의 슬롯으로 구성될 때, 단말은 각 슬롯 단위로 PI 검출을 시도한다. 단말이 PI 검출을 시도하는 시간 단위 및 검색 공간은 미리 네트워크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 검색(retrieval)의 Configurability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방식 1) 페이징 DCI/페이징 메시지 전송방식
기지국이 PO에 페이징 DCI와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는, 기지국이 PO에 페이징 DCI를 전송하고, 페이징 메시지는 페이징 DCI 내의 정보에 따라 상기 PO 이외의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PO에서 페이징 DCI를 블라인드 검출한다.
방식 2) 페이징 지시(paging Indication) 전송 방식
PI(Paging Indication)이 PO에서 전송되고, 하향링크로의 페이징 메시지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피드백에 의해서 트리거된다. 네트워크가 특정 단말 혹은 단말 그룹을 깨우는 PI를 전송하고, 해당 PI를 수신한 타겟 단말/단말 그룹은 미리 약속된 자원에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한다. 이 경우 피드백은 ACK 시그널링 혹은 별도로 할당해 둔 프리앰블 시퀀스/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을 페이징 함에 있어서, 상기 언급한 두 개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PO에 페이징 DCI(with 페이징 메시지 or without 페이징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과 별도의 페이징 물리 채널(예를 들어, PI 시퀀스)을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을 페이징 함에 있어서, 상기 방식 1과 방식 2중 어떤 방식으로 전송할 지 미리 단말에게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단말은 방식 1을 사용할 것이라는 시그널링을 받은 경우, 단말은 특정 혹은 모든 PO에서 페이징 DCI에 대한 검출을 시도한다. 단말은 네트워크으로부터 방식 2를 사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라는 시그널링을 받은 경우, 단말은 해당 PO에서 PI 검출을 시도한다. 네트워크는 페이징 메시지 크기가 큰 경우, 즉, 페이징 메시지가 일정 크기(예를 들어, L bits) 이상인 경우, 네트워크는 PI 시퀀스 방식으로 혹은 페이징 DCI 내의 PI 정보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트리거할 수 있다. 페이징 DCI가 검출되거나 PI 시퀀스 가 검출된 경우, 단말은 상기 언급한 후속 동작을 수행한다.
PI 에서의 상향링크 피드백(UL feedback on the PI)
기지국은 PI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트리거하는 경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해야 하는 자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피드백 자원 할당 방식 1) 단말은 상향링크 피드백 전송을 위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PI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상향링크 피드백 전송을 위해 별도의 프리앰블 및/또는 주파수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 별 혹은 단말 그룹별로 각각 프리앰블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 혹은 단말 그룹 별로 별도의 P-RNTI가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시스템 내에 복수의 페이징 단말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 각 페이징 단말 그룹당 하나 이상의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 단말 그룹별로, 즉, P-RNTI 별로 PI(예를 들어, 시퀀스 또는 비트 필드)가 지정될 수 있으며, P-RNTI 별로 상향링크 피드백을 위해서 사용하는 자원이 각각 할당될 수 있다. P-RNTI 별로 자원 할당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RNTI 별 (RACH) 프리앰블 및 시간/주파수 할당(즉, P-RNTI 별 프리앰블/시간/주파수 자원 할당)될 수 있다.
- P-RNTI 별 프리앰블 할당, 페이징 피드백을 위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간/주파수는 셀 별 혹은 페이징 존 별로 할당될 수 있다(즉, P-RNTI 별 시간/주파수 할당이 아닌, 복수의 페이징 그룹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공유)
- 페이징 피드백을 위한 프리앰블은 셀 별 혹은 페이징 존 별로 할당(즉, 복수의 페이징 그룹이 프리앰블을 공유함),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간/주파수는 페이징 그룹별/P-RNTI 별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자신의 PI를 검출한 단말은 일정 시간 이내(이를 피드백 윈도우라 명명한다)에 상향링크로 신호 전송을 해야 한다. 네트워크는 페이징 설정(paging configuration)을 시그널링해 줄 때 해당 피드백 윈도우도 함께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피드백 윈도우로 설정되어 일정 구간을 지시할 수 있고, 혹은 특정 시점, 예를 들면 m 슬롯 이후 값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해당 피드백을 상향링크로 전송한 이후,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해서 별도의 DCI 검출을 시도한다. 단말이 해당 DCI 검출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 즉 응답 윈도우(Response Window)는 네트워크가 별도로 설정해 줄 수 있고 단말에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단말은 피드백 전송 이후, 응답 윈도우 시간 구간 동안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DCI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단말은 해당 응답 윈도우 시간 동안 DCI 검출을 시도한다. 해당 응답 윈도우는 PO와 다른 별개의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단말은 해당 DCI 역시 페이징 DCI로 명명할 수 있으나, 이 경우의 페이징 DCI는 상기 PO에서 전송되는 페이징 DCI와 달리 빔 스윕핑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말이 DCI 검출을 위해서 모니터하는 시간 단위(예를 들어, 슬롯 길이) 역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PO에서 전송되는 페이징 DCI를 제 1 페이징 DCI, PI에 대한 피드백에 따라서 혹은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 및 자원할당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전송되는 페이징 DCI를 제 2 페이징 DCI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방식 1의 경우, PO에 제 1 페이징 DCI가 전송되지 않고 PI만 전송되는 방식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PO에서 PI 검출만을 시도하고, PI가 PO에서 검출된 경우, 피드백 윈도우 이내에서 단말은 미리 지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PI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하고, 피드백 전송 이후 응답 윈도우 구간 동안 페이징 DCI 검출을 시도한다. 이 경우, 페이징 DCI는 상기 설명과 같이 제 1 페이징 DCI/제 2 페이징 DCI로 구분되지 않는다.
상향링크 피드백 자원 할당 방식 2) 기지국이 단말로 하여금 상향링크로 PI에 대해서 상향링크로 피드백을 하도록 명령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 1 페이징 DCI를 통해 해당 상향링크 피드백을 위해서 사용할 시간/주파수 자원을 별도로 할당(혹은 지정/지시)해 줄 수 있다. 상향링크 피드백을 ACK 정보 전송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자원 할당이 RACH 자원처럼 많은 양이 할당될 필요는 없다. 해당 자원은 1) P-RNTI 별로, 2) PI 별로, 3) PI 내의 단말 별로 할당될 수 있다. 피드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세트는 미리 설정(configure)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페이징 DCI를 통해 특정 단말을 페이징하면서 해당 단말이 피드백을 위해 사용할 자원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단말은 지시된 피드백 자원을 이용해서 제 1 페이징 DCI 및 PI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식 1)과 마찬가지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해서 제 2 페이징 DCI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단말이 해당 DCI 검출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 즉 응답 윈도우는 네트워크가 별도로 단말을 위해 설정하고 시그널링해 줄 수도 있다. 단말은 해당 응답 윈도우 시간 동안 DCI 검출을 시도한다. 해당 응답 윈도우는 PO와 다른 별개의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단말이 제 2 페이징 DCI 검출을 시도하는 시간 구간, 응답 윈도우 혹은 제 2 페이징 DCI가 전송되는 시점(slot or mini-slot)을 제 1 페이징 DCI에서 알려줄 수 있다.
본 방식은, 기지국이 PO에서 제 1 페이징 DCI를 전송하면서, 제 1 페이징 DCI에 PI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에서 적용될 수 있다. PO에서 페이징 DCI와 페이징 메시지가 모두 전송될 수도 있다. 특정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제 1 페이징 DCI에서 PI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을 요청하는 경우와 요청하지 않는 경우를 다이나믹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이 PO에서 PI를 전달하는 DCI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분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아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1. P-RNTI를 다르게 할당하는 방법 - PI를 전달하는 DCI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요청하는 DCI가 서로 다른 P-RNTI를 사용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2. DCI 내의 플래그(flag)를 이용하는 방법 - DCI 내의 특정 Flag에 피드백 요청 여부를 알리는 혹은 PI field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비트 필드가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해당 필드의 설정에 의해서 단말은 PI의 존재 여부 및 피드백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PI 필드를 이용하여 단말의 피드백을 명령하면서 필요한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을 해당 슬롯 (PO 내의 slot)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PO에서 전송되는 제 1 페이징 DCI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정보 1)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페이징 DCI는 PI 존재 여부를 알리는 필드 및 해당 슬롯에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자원 할당 정보, MC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2) PI를 전송하는 페이징 DCI의 경우, PI 존재 여부를 알리는 필드, PI(s), PI의 특정 field가 ON되는 경우, 상향링크 피드백 위해 페이징된 단말이 사용할 자원 정보, 제 2 페이징 DCI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 정보 (예를 들어, 전송 시점, 제 2 페이징 DCI 모니터링 윈도우(응답 윈도우), 제 2 페이징 DCI 검색 공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징 DCI 모니터링
단말은 PO에서 PO를 구성하는 각 슬롯 단위로, 혹은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해 주는 시간 단위로 제 1 페이징 DCI 검출 혹은 PI 검출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페이징 메시지가 PI(제 1 페이징 DCI에 의한 PI 이거나 시퀀스를 이용한 PI 인 경우 모두 포함)에 의한 피드백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 해당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해서 단말은 페이징 DCI (혹은 제 2 페이징 DCI)를 수신/디코딩해야 하는데, 해당 제 2 페이징 DCI 를 검출하기 위한 시점 및 검출 단위에 대해서도 별도의 시그널링이 있어야 한다.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는 한 단말은 PO에서의 PI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한 동일한 시간 단위로 응답 윈도우 내에서 제 2 페이징 DCI)검출을 시도한다. 혹은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으면, 단말은 해당 시스템 대역에서 데이터에 대한 default numerology가 정의되어 있다면, 응답 윈도우 내에서 해당 numerology(slot/mini-slot) 단위로 제 2 페이징 DCI 검출을 시도한다.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별도로 제 2 페이징 DCI 검출을 위한 시간 단위 및 여타 numerology (e.g. subcarrier spacing)에 대해서 시그널링을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정보 대로 DCI 검출을 시도한다. 즉, 단말의 피드백에 의한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제 2 페이징 DCI 검출하는 단위는 PO에서 PI (혹은 제 1 페이징 DCI)검출에 사용하는 단위와 다를 수 있다.
페이징 DCI/메시지 전달 및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지시 방식
상술한 PI 및 단말의 피드백 지시(indication) 이외에도 페이징을 통해서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정보 크기가 적은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를 DCI format 6-2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송한다. DCI format 6-2가 페이징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거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해당 DCI format에 특정 1 bit flag를 두어서, 해당 DCI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인지(예를 들어, if the flag = 1),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정보를 담고 있는지(예를 들어, if the flag = 0)를 지시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 포함될 수 있는 시스템 정보에는 systemInfoModification, etws-Indication, cmas-Indication, eab-ParamModification 등이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DCI format 6-2는 eMTC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와 페이징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는 없다.
NR에서는 다중 아날로그 빔의 도입으로 인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페이징 방식 자체의 기능 강화 및 성능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페이징 DCI는 1) PI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지시자(예를 들어, flag), 2) 단말 피드백 트리거링을 요청하는 지의 여부를 알리는 지시자(예를 들어, flag), 3)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지시 정보가 페이징 DCI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알리는 지시자(예를 들어, flag) 및 4)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I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flag가 ON인 경우, 페이징 DCI는 해당 페이징 DCI의 타겟 단말 그룹핑 및 단말 정보를 알리는 PI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PI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flag가 OFF 인 경우, 페이징 DCI의 PI 필드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 피드백 트리거링을 요청하는 지의 여부를 알리는 flag가 ON인 경우, 페이징 DCI는 단말 피드백을 위해 사용할 자원 정보(예를 들어, RACH 자원)를 시그널링하는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단말 피드백을 위해 사용할 자원 정보가 사전에 단말에 전달되어 단말과 네트워크 간 약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 피드백을 위해 사용할 자원 정보는 페이징 DCI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사전에 시그널링받은 단말 피드백을 위해 사용할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 피드백 트리거링을 요청하는 지의 여부를 알리는 해당 flag가 OFF인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피드백을 하지 않고, PI가 전송되는 경우 PI를 확인한 후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PI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페이징 DCI 내의 페이징 메시지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지시 정보가 페이징 DCI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알리는 flag가 ON 인 경우, 페이징 DCI 내에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전달하는 특정 필드가 존재함이 지시된다. 단말은 해당 페이징 DCI 내에서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한다.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있다고 지시(indication)된 경우, UE는 SI가 전송되는 시점에서 SI 획득을 시도한다.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지시 정보가 페이징 DCI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알리는 flag가 OFF 인 경우, 단말은 DCI 내에서 시스템 정보(SI)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정보 획득을 시도하지 않는다. 해당 DCI 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지시정보를 전달하는 특정 필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목적을 위해서 reserved 될 수 있다. 혹은 해당 필드는 다른 시그널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시스템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여부는 페이징 메시지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페이징 DCI 내에 flag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페이징 DCI의 default value는 모든 flag가 OFF 되어 있는 값이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페이징 DCI를 구성하는 방식들의 실시 예를 아래에 도시였다.
도 7은 페이징 DCI의 일부 필드의 구성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I flag 필드를 두어 해당 flag가 OFF(예를 들어, 0)인 경우, 해당 DCI는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리는 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RA) 정보 필드와 시스템 정보(SI) 업데이트 지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PI flag가 ON(예를 들어, 1)인 경우, PI flag 값이 OFF인 경우의 RA 필드는 PI field로 재해석되어 페이징 DCI는 PI 정보를 전달하는 PI 필드와 SI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이후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를 수신하고, 해당 DCI에서의 RA 정보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 수신/복조를 시도한다. 만약 PI 필드 내에 자신의 단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SI 필드만을 디코딩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고,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주기에 맞추어 SI 획득을 시도한 후 sleep mode로 들어갈 수 있으며, SI 업데이트가 없는 경우 바로 sleep mode로 들어갈 수 있다.
PI flag가 ON 되어 있는 경우, 선택적으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을 요청하는 피드백 flag 필드를 구성할 수 있는데, 해당 피드백 flag가 ON이 된 경우, 단말은 PI 필드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향링크로 단말 피드백을 전송하고, 단말 피드백 flag 가 OFF되어 있는 경우, 이후 시점에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옵션 3 동작
단말은 PI 필드 내에 자신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단말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이후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를 수신하고, 해당 DCI에서의 자원할당(RA) 정보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 수신/복조를 시도한다.
Option 4 동작
또는, PI 필드 내에 자신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단말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이후 상향링크로 RACH(Random Access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RS(Sounding Rerefence Symbol) 등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이후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를 수신하고 해당 DCI에서의 RA 정보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 수신/복조를 시도한다.
Forward compatibility 지원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설계하는 방식에 있어서, 초기 단계에서는 네트워크는 페이징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은 페이징 DCI 수신 및 페이징 메시지 수신/복조를 하는 형태의 페이징 방식 (설명의 편의상 이를 옵션 1이라고 칭한다)을 설계하고, 진화 단계에서는 네크워크는 PI를 전송하고 페이징 지시자를 수신한 다수의 단말 중 페이징 지시자에서 지시된 단말은 이후에 페이징 DCI 수신 및 페이징 메시지 수신/복조를 하는 형태의 페이징 방식 (설명의 편의상 이를 옵션 3이라 칭함), 또는 진화의 단계에서는, 네트워크는 PI를 전송하고, PI를 수신한 다수의 단말 중 PI에서 지시된 단말은 이후에 상향링크 신호(예, RACH, PUCCH, SRS 등)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이후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를 수신하고, 수신된 DCI에서의 RA 정보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 수신/복조를 시도하는 형태의 페이징 방식 (설명의 편의상 이를 옵션 2라고 칭함)을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화적인 방식의 페이징 설계에 있어서, 초기 단계의 옵션(예를 들어, 옵션 1)을 구현한 네트워크와 단말의 페이징 동작(단말이 상기 PI 필드를 포함하는 DCI를 수신하였을 때의 페이징 동작), 진화 단계의 옵션(예를 들어, 옵션 2, 옵션 3 등)을 구현한 네트워크와 초기 단계의 옵션 1을 구현한 단말과 진화 단계의 옵션 (예를 들어, 옵션 2, 옵션 3 등)을 구현한 단말이 공존하는 상황에서의 단말의 페이징 동작(단말이 상기 PI 필드를 포함하는 DCI를 수신하였을 때의 페이징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 단계의 옵션에서는 PO에서 깨어난 단말 중 페이징의 대상이 되는 단말이 없는 경우, DCI 필드의 PI 필드를 ON으로 셋팅(setting)하며, 이때 모든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읽지 않고 다시 sleep mode로 들어갈 수 있다. 만약, SI 필드의 일부 bit가 트리거링 되는 경우 (예, 시스템 정보(SI) 업데이트), 모든 단말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특정 시점에서 관련된 동작 (예를 들어, SI 업데이트)를 시도한다. 또한, RRC CONNECTED 상태의 단말은 PI 필드의 ON/OFF 여부와 관계 없이, SI 필드의 bit의 트리거링 여부를 판단하여, 이후 동작을 수행한다.
진화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네트워크가 있고, 초기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과 진화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 PO에서 깨어난 단말 중 페이징 대상이 되는 단말의 종류에 따라 PI 필드를 사용하여 초기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것인지 혹은 진화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대상이 되는 단말에 초기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 및 진화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 모두가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PI 필드를 OFF로 설정하여 초기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를 수신한 초기 단계 단말 및 진화 단계 단말은 초기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페이징 대상이 되는 단말 중 초기 단계 옵션을 구현한 단말이 없고 진화 단계의 단말들만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PI 필드를 ON으로 설정함으로써 초기 단계 단말이 sleep mode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진화 단계 단말 중 PI로 페이징을 지시받은 단말은 진화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며, 진화 단계 단말 중 페이징 지시자로 지시받지 못한 단말은 sleep mode로 들어간다.
만약 단말은 PI 필드 내에 자신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단말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시 sleep mode로 들어갈 수 있으며, 단말은 SI 필드를 확인하는데, (SI 필드는 시스템 정보를 전달해 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정 값을 두어(예를 들어, 0000..00)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없음이 지시된 경우, 단말은 다시 sleep mode로 들어갈 수 있다.
PI flag가 ON 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은 선택적으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을 요청하는 피드백 flag 필드를 설정해 둘 수 있는데, 해당 피드백 flag가 ON이 된 경우, 단말은 PI 필드에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단말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향링크로 단말 피드백을 전송하고, 단말 피드백 flag 가 OFF되어 있는 경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는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9는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않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페이징 DCI를 수신한다(S810). 페이징 DCI에는 PI flag가 포함될 수 있는데, 단말은 PI flag가 지시하는 값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820). 페이징 DCI에서 PI flag OFF(예를 들어, PI flag ='0')인 경우, 단말은 수신한 페이징 DCI가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리는 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RA) 정보 필드와 시스템 정보(SI) 업데이트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해석한다(S830). 단말은 RA 필드에서 지시하는 대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디코딩을 수행한다(S840). 이후,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860).
한편, PI flag가 ON(예를 들어, PI flag='1')인 경우, 단말은 PI flag 값이 OFF인 경우의 RA 필드는 PI field로 재해석되어 페이징 DCI는 PI 정보를 전달하는 PI 필드와 SI 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S83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84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이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실으나르는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850). 그리고,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860).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845), 단말은 S850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860).
도 9는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페이징 DCI를 수신한다(S910). 페이징 DCI에는 PI flag가 포함될 수 있는데, 단말은 PI flag가 지시하는 값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920). 페이징 DCI에서 PI flag OFF(예를 들어, PI flag ='0')인 경우, 단말은 수신한 페이징 DCI가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리는 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RA) 정보 필드와 시스템 정보(SI) 업데이트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해석한다(S930). 단말은 RA 필드에서 지시하는 대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디코딩을 수행한다(S940). 이후,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960).
한편, PI flag가 ON(예를 들어, PI flag='1')인 경우, 단말은 PI flag 값이 OFF인 경우의 RA 필드는 PI field로 재해석되어 페이징 DCI는 PI 정보를 전달하는 PI 필드와 SI 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S93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94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피드백 flag가 지시하는 값을 판단한다(S950). 피드백 flag가 '1'을 지시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한다(S955). 그리고,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실어나르는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960). 그리고,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970).
한편, 피드백 flag가 '0'을 지시하면(즉, 상향링크 피드백이 요구되지 않음을 지시), 단말은 상향링크 피드백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실어 나르는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960). 그리고,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970). Paging DCI내에서 피드백 필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flag가 ‘0’을 지시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만약,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945), 단말은 S950 내지 S960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970).
페이징 DCI를 구성하는 방식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음 도 10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페이징 DCI의 일부 필드의 구성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SI flag 값이 OFF(예를 들어, 0)이면, 페이징 DCI의 일부분은 RA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SI flag 값이 ON(예를 들어, 1)이면, 단말은 RA 필드는 PI 필드와 SI 필드로 해석할 수 있다. 기지국은 DCI에 도 8의 경우와 같이 피드백 flag 필드를 설정하여 PI 필드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된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피드백을 요청할 수도 있다.
Forward compatibility 지원
먼저, 초기 단계의 옵션에서는 PO에서 깨어난 단말 중 페이징의 대상이 되는 단말이 있는 경우 기지국은 DCI 필드의 SI 필드를 OFF으로 셋팅(setting)하며, 이때 모든 단말은 RA 필드를 읽고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복조한다. 또한, 초기 단계의 옵션에서는 SI 필드 중 일부 내용이 트리거링되는 경우 (예를 들어, SI 업데이트), SI 필드를 ON으로 셋팅(setting)하며, 모든 단말은 SI 필드의 비트 상태를 확인하고 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특정 시점에서 관련된 동작(예를 들어, SI 업데이트)를 시도한다. 또한, RRC CONNECTED 상태의 단말은 SI 필드가 ON으로 셋팅된 경우, SI 필드의 bit의 트리거링 여부를 판단하여, 이후 동작을 수행한다.
진화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네트워크가 있고, 초기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과 진화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에, PO에서 깨어난 단말 중 페이징 대상이 되는 단말의 종류에 따라 SI 필드를 사용하여 초기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것인지 혹은 진화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대상이 되는 단말에 초기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 및 진화 단계의 옵션을 구현한 단말 모두가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SI 필드를 OFF로 설정하여 초기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를 수신한 초기 단계 단말 및 진화 단계 단말은 초기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페이징 대상이 되는 단말 중 초기 단계 옵션을 구현한 단말이 없고 진화 단계의 단말들만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SI 필드를 ON으로 설정하여 초기 단계 단말은 SI 필드를 확인한 후 sleep mode로 들어갈 지 혹은 SI 업데이트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진화 단계 모든 단말은 SI 필드를 확인하여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진화 단계 단말 중 PI로 페이징을 지시받은 단말은 진화 단계 옵션의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도 11은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않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페이징 DCI를 수신한다(S1110). 페이징 DCI에는 SI flag가 포함될 수 있는데, 단말은 SI flag가 지시하는 값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1120). 페이징 DCI에서 SI flag OFF(예를 들어, SI flag ='0')인 경우, 단말은 수신한 페이징 DCI가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리는 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RA)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해석한다(S1130). 단말은 RA 필드에서 지시하는 대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디코딩을 수행한다(S1140). 이후,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160).
한편, SI flag가 ON(예를 들어, PI flag='1')인 경우, 단말은 페이징 DCI는 PI 정보를 전달하는 PI 필드와 SI 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S113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14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이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실어나르는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150). 그리고,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160).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145), 단말은 S1155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160).
도 12는 단말 피드백 flag 필드가 페이징 DCI에 존재하는 경우의 페이징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페이징 DCI를 수신한다(S1210). 페이징 DCI에는 SI flag가 포함될 수 있는데, 단말은 SI flag가 지시하는 값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1220). 페이징 DCI에서 SI flag OFF(예를 들어, SI flag ='0')인 경우, 단말은 수신한 페이징 DCI가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를 알리는 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RA)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해석한다(S1230). 단말은 RA 필드에서 지시하는 대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디코딩을 수행한다(S1240). 이후,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270).
한편, SI flag가 ON(예를 들어, SI flag='1')인 경우, 단말은 SI flag 값이 OFF인 경우의 RA 필드는 PI field로 재해석되어 페이징 DCI는 PI 정보를 전달하는 PI 필드, SI 필드 및 피드백 flag 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S103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245). 단말은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피드백 flag가 지시하는 값을 판단한다(S1250). 피드백 flag가 '1'을 지시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한다(S1255). 그리고,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실어나르는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260). 그리고,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270).
한편, 피드백 flag가 '0'을 지시하면(즉, 상향링크 피드백이 요구되지 않음을 지시), 단말은 상향링크 피드백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실으나르는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260). 그리고, 단말은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270).
만약, PI 필드 내에 단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245), 단말은 S1250 내지 S1260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SI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SI 전송 시점에 맞추어 업데이트된 SI를 획득할 수 있다(S1270).
이상에서 설명된 제안들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은 3GPP LTE/LTE-A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 NR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산업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4)

  1.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CI에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DCI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DCI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DCI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DCI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I는 시스템 정보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I는 상기 단말의 피드백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피드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한 후에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
  9.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제 1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제 1 DCI에 페이징 지시자(paging indicator)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포함하는,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DCI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DCI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가 상기 제 1 DCI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페이징 지시자 필드에 상기 단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DCI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I는 시스템 정보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 정보 필드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 시점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CI는 상기 단말의 피드백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피드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피드백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단말.
KR1020197027303A 2017-03-24 2018-03-23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2174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5986P 2017-03-24 2017-03-24
US62/475,986 2017-03-24
US201762480556P 2017-04-03 2017-04-03
US62/480,556 2017-04-03
US201862616523P 2018-01-12 2018-01-12
US62/616,523 2018-01-12
PCT/KR2018/003476 WO2018174659A1 (ko) 2017-03-24 2018-03-23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680A true KR20190117680A (ko) 2019-10-16
KR102174644B1 KR102174644B1 (ko) 2020-11-05

Family

ID=6358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303A KR102174644B1 (ko) 2017-03-24 2018-03-23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06197B1 (ko)
JP (1) JP6829324B2 (ko)
KR (1) KR102174644B1 (ko)
CN (1) CN110521252B (ko)
ES (1) ES2932358T3 (ko)
WO (1) WO2018174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524A1 (ko)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케이티 페이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598B1 (ko) * 2017-02-02 2022-10-17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스위핑된 다운링크 빔들에서 페이징 블록들의 전송을 위한 장치들
CN115052342A (zh) * 2018-09-28 2022-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指示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JP7068216B2 (ja) * 2019-03-11 2022-05-16 株式会社Kddi総合研究所 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037444B (zh) * 2019-12-25 2022-09-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Csi-rs指示的方法及设备
CN115836556A (zh) * 2020-05-14 2023-03-21 Idac控股公司 与空闲模式相关联的wtru功率节省
WO2022040901A1 (en) * 2020-08-25 2022-03-0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aging techniques for latency and power optimization
CN115997389A (zh) * 2020-11-03 2023-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寻呼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6547933A (zh) * 2020-12-03 2023-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180A (ja) * 1987-12-14 1989-06-20 Iizeru:Kk スキャンコンバータ
JPH01163276A (ja) * 1987-12-18 1989-06-27 Hakusui Chem Ind Ltd 硬質被膜形成組成物
KR101702440B1 (ko) * 2010-07-08 2017-02-0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모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0248B (zh) * 2008-11-03 2013-08-28 夏普株式会社 系统信息获取方法、用户设备及通信系统
US8446868B2 (en) * 2009-05-07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lind decoding resul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238621B (zh) * 2010-04-29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物理下行共享信道传输公共数据的方法和系统
WO2012150822A2 (ko) * 2011-05-03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
EP2941077B1 (en) * 2013-01-18 2019-06-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Pdsch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WO2016183768A1 (en) * 2015-05-18 2016-11-2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of enhanced paging
BR112017025074A2 (pt) * 2015-05-27 2018-08-07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determinação de aquisição de mensagens de sistema, dispositivo de terminal e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WO2017028024A1 (en) * 2015-08-14 2017-02-23 Mediatek Singapore Pte. Ltd. Paging and random access response (rar) scheduling and dci form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180A (ja) * 1987-12-14 1989-06-20 Iizeru:Kk スキャンコンバータ
JPH01163276A (ja) * 1987-12-18 1989-06-27 Hakusui Chem Ind Ltd 硬質被膜形成組成物
KR101702440B1 (ko) * 2010-07-08 2017-02-0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모터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524A1 (ko)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케이티 페이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6197B1 (en) 2022-10-26
EP3606197A1 (en) 2020-02-05
CN110521252B (zh) 2022-10-11
ES2932358T3 (es) 2023-01-18
EP3606197A4 (en) 2021-02-17
WO2018174659A1 (ko) 2018-09-27
JP2020510381A (ja) 2020-04-02
CN110521252A (zh) 2019-11-29
JP6829324B2 (ja) 2021-02-10
KR102174644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747B2 (en) Method for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terminal for same
KR102174644B1 (ko)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1025333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executing beam recovery,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EP2659715B1 (en) Energy-saving base station and method
US1154685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00007686A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207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27560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86715A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using non-terrestrial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CN115669196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寻呼和专用系统信息的方法和装置
US116719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arch space for power saving
US20230156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86217A (ko) 비지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2042244B (zh) 非许可频段中的寻呼方法和设备
KR202301542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dt 동안 rna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1096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그룹 기반 사이드 링크 cqi 관리 방법 및 장치
EP4203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ging operation
US20230328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rrc_inactive
KR202301529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23305A (ko) 페이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8376A (ko) 스마트 중계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및 장치
KR20200110590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저 복잡도 위치 측위 신호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