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628A -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628A
KR20190117628A KR1020197026640A KR20197026640A KR20190117628A KR 20190117628 A KR20190117628 A KR 20190117628A KR 1020197026640 A KR1020197026640 A KR 1020197026640A KR 20197026640 A KR20197026640 A KR 20197026640A KR 20190117628 A KR20190117628 A KR 20190117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redetermined condition
service state
ser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단말기 기술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을 가리킴 - ;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고, 현재 데이터 서비스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기는 모두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무선랜)과 같은 비 셀룰러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단말기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된 과정에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동하면, 단말기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자동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흔히 네트워크 연결의 일시적인 중단을 초래하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영상을 재생하거나 영상 통신 등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으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을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이 차하게 된다. 비 셀룰러 네트워크가 WLAN인 경우를 예로,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 전환 과정에서 초래된 네트워크 중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Selection Function, 접속망 발견과 선택 기능) 기술, Hotspot2.0(무선 핫스팟), LTE(Long Term Evolution, 장기 진화) 기술 및 WLAN을 집합하거나 LTE와 WLAN을 상호 작동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구현한다.
그러나, ANDSF 기술, Hotspot2.0, LTE 기술 및 WLAN을 집합하거나 LTE와 WLAN을 상호 작동하는 기술은 너무 복잡하고, 셀룰러 네트워크와 WLAN 시스템 간의 결합도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등 원인으로 인해, 상술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가 자체 운영하는 WLAN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기술의 사용 범위가 제한된다.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시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방안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을 가리킴 - ;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한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 타입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고 있거나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정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것을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소정의 전송 주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된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고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단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은 것,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가 소정의 전송 속도보다 작은 것, 및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2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연결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장치는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 중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에 제공된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송신기, 수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각각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술한 제1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 중 어느 한 가능한 구현방식에 제공된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구현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기술적 방안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를 검출한 경우,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이므로,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여, 현재 데이터 서비스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해야 할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설명 중 첨부 도면이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임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고 이러한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네트워크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제1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확정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제2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제3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제4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제5 네트워크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제1 연결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다른 제1 연결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 지도록,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듈’은 일반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서브 모듈’은 일반적으로 논리적으로 구분된 기능적 구성을 가리키며, 상기 ‘서브 모듈’은 순수한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복수 개’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가리킨다. ‘및/또는’은 관련된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이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 뒤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해석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본 발명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에 대해 소개한다. 현재, 단말기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된 과정에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동하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자동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흔히 네트워크 연결의 일시적인 중단을 초래하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으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을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영상을 재생하거나 영상 통신을 처리하고 있는 경우,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진행하면, 상기 온라인 영상의 재생은 중단되거나 상기 영상 통신은 중단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너무 복잡하고 기술의 응용에도 제한이 너무 많아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효율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현재 데이터 서비스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네트워크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단말기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WIFI(Wireless Fidelity, 와이파이) 신호일 수도 있고,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무선 신호일 수도 있다.
설명할 것은, 단말기가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퍼레이션은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일일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단말기는 이하 단계 102 ~ 단계 103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지 여부를 확정하므로,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 전환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셀룰러 네트워크의 소모를 절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전환하기를 열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진동, 벨소리, 팝업창 등 방식으로 상기 무선 신호를 이미 검출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시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수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102: 단말기는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을 가리킨다.
설명할 것은,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영상 재생 업로딩 또는 다운로딩 등과 같은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가리킨다. 상기 서비스 상태는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때의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는 것,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되지 않는 것,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것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오퍼레이션은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식: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상기 단말기가 현재 네트워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네트워크 중단은 단말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설명할 것은, 네트워크 데이터는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는 것은 단말기가 현재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어떠한 데이터의 전송도 진행하지 않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현재 네트워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은 단말기가 현재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화를 진행하지 않는 것,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통화를 진행하지 않는 것,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재생 또는 영상 다운로딩을 진행하지 않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식: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하면, 현재 전송 중인 네트워크 데이터는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데이터가 아닐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에 중단이 발생하여도, 사용자는 온라인 체험에 영향받는 것으로 느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오퍼레이션은 이하 (1) - (3)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 타입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2)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3)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상기 지정된 타입은 사전에 설정된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타입은 영상, 음성,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도 마찬가지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으며, 설정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개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속도 임계치도 마찬가지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속도 임계치는 20비트/초, 30비트/초 등일 수 있다.
제3 방식: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네트워크 중단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만 영향을 미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상기 네트워크 중단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되고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이고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면,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제4 방식: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현재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는 전송 시작 시간으로부터 전송되기 시작한 네트워크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는 단말기 운영체제의 버퍼링된 데이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버퍼링된 데이터, 셀룰러 네트워크 변조 복조기의 버퍼링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면, 네트워크 중단이 발생하였는지를 막론하고 단말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제5 방식: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한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일시적인 중단은 후속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사전에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30초, 1분, 2분 등이다.
제6 방식: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지 않음을 확정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네트워크 중단은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설명할 것은,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는 쇼핑 웹 페이지, 은행 공식 웹사이트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가 쇼핑 웹 페이지이고 현재 열려 있는 웹 페이지가 게임 웹 페이지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제7 방식: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하면, 네트워크의 일시적인 중단은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에 대해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를 통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더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된 상태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상태는 온라인 쇼핑 미지불 상태, 온라인 은행 미확정 상태 등일 수 있다.
설명할 것은, 상술한 적어도 한 방식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단말기는 하기 단계 203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오퍼레이션은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식: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전송 중인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현재 전송 중인 네트워크 데이터는 사용자가 중요시하는 데이터가 아닐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에 중단이 발생하여도, 사용자는 온라인 체험에 영향받는 것으로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중요한 데이터일 경우, 네트워크에 중단이 발생하면,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온라인 체험이 좋지 않다. 따라서, 단말기는 상기 전송 중인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더 확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중인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단말기가 전송 중인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을 확정하여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오퍼레이션은 이하 (1) - (3)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 타입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2)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3)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바로 확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바로 확정하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진행하지 않고 여전히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현재 영상 다운로딩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소비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상술한 제1 방식의 오퍼레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제2 방식: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네트워크 중단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면, 상기 네트워크 중단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되고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이고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이면,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제3 방식: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한 경우, 상기 전송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작거나 같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일시적인 중단은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시작 시간이 현재 시간이고 상기 지정된 시간 간격이 30초인 경우, 이때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전환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바로 확정한다. 그러나,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바로 확정하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진행하지 않고 여전히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데이터 서비스의 처리를 진행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전송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현재 네트워크 중단이 발생하든지를 막론하고 후속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상술한 제3 방식의 오퍼레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소모를 절약한다.
제4 방식: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하면, 일시적인 네트워크 중단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에 대한 영향은 비교적 작으며 단말기의 후속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에 대한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지정된 상태인지를 계속하여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하면, 상기 단말기는 현재의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바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하면, 일시적인 네트워크 중단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에 대한 영향은 비교적 작으므로, 단말기가 현재의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바로 확정하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진행하지 않고 여전히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데이터 서비스의 처리를 진행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상술한 제4 방식의 오퍼레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소모를 절약한다.
설명할 것은, 상술한 적어도 한 방식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하기 단계 204의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3: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단말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단말기는 직접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가끔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으면, 단말기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는 효율이 낮아진다. 또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경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될 수 있으면,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될 수 없으면,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확정한다.
설명할 것은, 단말기는 상술한 방식을 통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을 통해 판단할 수도 있다.
설명할 것은, 상술한 제1 방식을 통해, 단말기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으나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단말기는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는 것을 확정하면 네트워크 전환을 진행하지 않는다.
(2)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은 것,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가 소정의 전송 속도보다 작은 것, 및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2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 또는 전송 속도가 비교적 낮으면, 단말기가 현재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처리 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낮춘다. 또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단말기가 상기 비교적 낮은 신호 강도에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후속 네트워크가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의 처리를 진행할 수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낮춘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설명할 것은,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는 30db(데시벨), 40db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 소정의 강도 임계치도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정의 강도는 50db, 60db 등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전송 속도도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전송 속도는 20kb/s, 30kb/s 등일 수 있다.
또한, 실제 응용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뿐만아니라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는 4G LTE, 3G WCDMA(Wideband Code Divis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Time Division -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는 IEEE802.11a/b/g/n/ac/ad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국제 전기전자기술자협회 802.11a/b/g/n/ac/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및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를 포함하면, 저장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간의 매칭관계에 따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와 상기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와 상기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가 매칭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설명할 것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간의 매칭관계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간의 매칭관계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4G LTE와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IEEE802.11ac이 서로 매칭되는 것,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3G WCDMA와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IEEE802.11g이 서로 매칭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가 4G LTE이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 4G LTE와 매칭되는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는 IEEE802.11ac이므로, 상기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가 IEEE802.11ac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드가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며,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단계 104: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계속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한다.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을 바로 진행하면, 네트워크 중단을 초래하므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계속하여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신호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이하 적어도 하나의 경우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도 있다.
제1 경우: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고 있거나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정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것을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소정의 전송 주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중단이 발생하여도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으므로,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완료를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의 주기가 비교적 길면,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기본적으로 완료된 것을 증명하며, 이때 네트워크 중단이 발생하면,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소정의 전송 주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할 것은, 상기 소정의 전송 주기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전송 주기는 100ms(밀리세컨드), 200ms 등일 수 있다.
제2 경우: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된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설명할 것은, 단말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오퍼레이션은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일일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3 경우: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고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설명할 것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통해, 단말기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현재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한 후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고,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의 순리로운 처리를 보장하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상기 단말기는 또한 후속 인터넷 접속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소모를 절약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비스 상태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의 지정된 시간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102의 오퍼레이션을 다시 수행하여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시간은 1분, 5분, 10분 등일 수 있다.
설명할 것은,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먼저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며,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계속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며, 부착 또는 결합의 오퍼레이션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의 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를 검출한 경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가 처리 완료된 것을 검출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고, 현재 데이터 서비스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를 통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지 여부를 더 확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네트워크 연결 장치이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판단 모듈(201), 확정 모듈(202) 및 제1 연결 모듈(203)을 포함한다.
판단 모듈(201)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확정 모듈(202)은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을 가리킨다.
제1 연결 모듈(203)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확정 모듈(202)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서브 모듈(2021);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2022);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3 확정 서브 모듈(2023);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4 확정 서브 모듈(2024);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한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5 확정 서브 모듈(2025);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6 확정 서브 모듈(2026); 및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7 확정 서브 모듈(20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2022)은,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 타입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방식;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방식;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고 있거나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정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제1 모니터링 모듈(204);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것을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소정의 전송 주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2 연결 모듈(205);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2 모니터링 모듈(206); 및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된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3 연결 모듈(207);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고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3 모니터링 모듈(208); 및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4 연결 모듈(209);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2f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결합 모듈(210);
상기 서비스 상태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는 제4 모니터링 모듈(211);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5 연결 모듈(212);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2g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 모듈(203)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결합 서브 모듈(2031);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2032); 및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1 연결 서브 모듈(2033);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2h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결 모듈(203)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는 획득 서브 모듈(2034) -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제8 확정 서브 모듈(2035) -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은 것,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가 소정의 전송 속도보다 작은 것, 및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2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2 연결 서브 모듈(2036); 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를 검출한 경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가 처리 완료된 것을 검출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고, 현재 데이터 서비스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를 통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할지 여부를 더 확정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실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31), 수신기(32), 송신기(33), 메모리(34) 및 버스(3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3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각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32) 및 송신기(33)는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컴포넌트는 하나의 통신칩일 수 있으며, 통신칩에는 수신 모듈, 송신 모듈 및 변조 복조 모듈 등이 포함되어 정보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고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34)는 버스(35)를 통해 프로세서(31)에 연결된다.
메모리(3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모듈(36)을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36)은 생성 모듈(361), 송신 모듈(362) 및 수신 모듈(36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 중 관련 생성 단계를 구현하도록 생성 모듈(361)을 수행한다. 프로세서(31)는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 중 관련 송신 단계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송신 모듈(362)을 수행한다. 프로세서(31)는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 중 관련 수신 단계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수신 모듈(363)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34)는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피롬(EPROM), 피롬(PROM), 롬(ROM), 자기저장장치, 플래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기능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기능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통신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기 편리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매체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이상의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어떠한 수정, 동등교체 및 개진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네트워크 연결 방법으로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을 가리킴 - ;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한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 타입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고 있거나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정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것을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소정의 전송 주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된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고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단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은 것,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가 소정의 전송 속도보다 작은 것, 및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2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10. 네트워크 연결 장치로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액세스 가능한 비 셀룰러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상기 무선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처리되는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가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확정 모듈 -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을 가리킴 - ;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1 연결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제2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4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존재함을 확정한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간 간의 전송 시간 간격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5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지 않음을 확정하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6 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음을 확정한 경우,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제7 확정 서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지정된 타입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방식;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가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방식;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네트워크 데이터가 현재 전송되고 있거나 전송될 네트워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정하면,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제1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것을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소정의 전송 주기보다 크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2 연결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2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된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3 연결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상태를 통해 지정된 웹 페이지가 현재 열려있고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현재 지정된 상태임을 확정하면,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3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지정된 웹 페이지의 페이지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4 연결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결합 모듈;
    상기 서비스 상태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는 제4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5 연결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모듈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결합 서브 모듈;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연결을 끊지 않고,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 및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으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1 연결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모듈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제1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하는 획득 서브 모듈 - 상기 네트워크 상태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제8 확정 서브 모듈 -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1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은 것,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전송 속도가 소정의 전송 속도보다 작은 것, 및 상기 무선 신호의 현재 신호 강도가 제2 소정의 강도 임계치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상기 제3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하는 제2 연결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KR1020197026640A 2017-02-15 2017-02-15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90117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3641 WO2018148890A1 (zh) 2017-02-15 2017-02-15 网络连接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628A true KR20190117628A (ko) 2019-10-16

Family

ID=6317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640A KR20190117628A (ko) 2017-02-15 2017-02-15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00059843A1 (ko)
EP (1) EP3582549B1 (ko)
JP (1) JP6961708B2 (ko)
KR (1) KR20190117628A (ko)
CN (1) CN110249661B (ko)
AU (1) AU2017398782A1 (ko)
BR (1) BR112019016880A2 (ko)
CA (1) CA3053427C (ko)
MX (1) MX2019009719A (ko)
RU (1) RU2735615C1 (ko)
SG (1) SG11201907480WA (ko)
WO (1) WO2018148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716A1 (zh) * 2017-06-23 2018-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分流方法、装置、接入点设备及终端
WO2020237506A1 (zh) * 2019-05-28 2020-1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配置方法及装置、业务处理方法及装置和基站
CN111818594A (zh) * 2019-07-31 2020-10-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11630883B (zh) * 2020-03-20 2023-09-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1770491B (zh) * 2020-06-08 2024-01-02 上海依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链路建立方法及装置
US20220345988A1 (en) * 2021-04-26 2022-10-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anagement of wireless service to minimize disruption
CN114867075A (zh) * 2022-06-09 2022-08-05 西安紫光展锐科技有限公司 无线网络切换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7606B2 (en) * 2004-04-05 2010-10-19 Daniel J. LIN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s between stationary terminals and remote devices through mobile devices
US7613171B2 (en) * 2004-08-31 2009-11-03 Ephraim Zehavi Cellular network service over WLAN
CN101674615B (zh) * 2008-09-09 2014-02-1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异构网络之间的切换方法、装置和系统
US8185120B2 (en) * 2010-03-26 2012-05-22 Microsoft Corporation Cellular service with improved service availability
CN102413531B (zh) * 2011-11-30 2014-03-26 上海顶竹通讯技术有限公司 多模终端的网络切换装置及方法
CN103139858B (zh) * 2011-12-01 2016-07-0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CDMA与WiFi无缝切换的方法、系统以及手机终端
JP5349665B1 (ja) * 2012-09-28 2013-11-20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813395A (zh) * 2012-11-09 2014-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用户在不同网络间进行无缝移动的方法及wog
CN103856997A (zh) * 2012-11-30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无线局域网的方法和系统
CN103024843A (zh) * 2012-11-30 2013-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接入网络的方法和系统
CN103024844A (zh) * 2012-12-03 2013-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流量切换方法及装置
WO2014161194A1 (en) * 2013-04-03 2014-10-0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connection switching
EP3029997B1 (en) * 2013-07-30 2019-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handover method and system
CN104349415B (zh) * 2013-08-01 2018-01-3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数据包的发送方法及装置
WO2015032036A1 (zh) * 2013-09-04 2015-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蜂窝网络和无线局域网络互操作的方法和设备
CN104427567B (zh) * 2013-09-04 2019-10-01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实现ip移动的方法及系统、接入点设备、无线接入控制器
JP2015095678A (ja) * 2013-11-08 2015-05-1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先切替装置、通信先切替方法、及び通信先切替プログラム
CN103731907A (zh) * 2013-12-24 2014-04-16 广西大学 基于多网络融合的网络选择方法和多模终端设备
US9510251B2 (en) * 2013-12-31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l handoff initiation in hybrid networks
US9326205B2 (en) * 2014-03-04 2016-04-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Handover method based on seamless mobility conditions
EP3114878B1 (en) * 2014-03-04 2019-07-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Handover method based on seamless mobility conditions
JP6174263B2 (ja) * 2014-07-24 2017-08-02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EP3203776A4 (en) * 2014-09-29 2017-10-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3427C (en) 2021-10-26
RU2735615C1 (ru) 2020-11-05
CA3053427A1 (en) 2018-08-23
JP2020511819A (ja) 2020-04-16
BR112019016880A2 (pt) 2020-04-14
EP3582549A4 (en) 2020-01-01
CN110249661A (zh) 2019-09-17
MX2019009719A (es) 2019-10-07
CN110249661B (zh) 2021-09-17
SG11201907480WA (en) 2019-09-27
WO2018148890A1 (zh) 2018-08-23
US20200059843A1 (en) 2020-02-20
EP3582549B1 (en) 2020-12-23
JP6961708B2 (ja) 2021-11-05
EP3582549A1 (en) 2019-12-18
AU2017398782A1 (en)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7628A (ko)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CN109890069B (zh) 网络连接方法、终端、基站及计算机存储介质
US8433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reporting neighbor information to facilitate automatic neighbor relations
US11627507B2 (en) Network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US10764805B2 (en)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CN110162314B (zh) 一种软件升级管理的方法、服务器、终端、装置及存储介质
CN110446235B (zh) 通话模式确定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1496946B2 (en) Transmission path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698688A (zh) 基于5g共建共享的终端驻留方法、网络设备和通信网络
WO2020114048A1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US20230300703A1 (en) Cel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1800892A (zh) 无线双频网络的连接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660653B (zh) 一种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0048382A1 (zh) 业务标识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WO2020043059A1 (zh) 显示业务标识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127878A1 (zh) 繁忙指示的传输方法及装置
US20180152562A1 (en) Multi-party call method and device for multi-channel terminal
WO2022057828A1 (zh) 测量方法、测量装置、终端及网络设备
WO2020048337A1 (zh) 业务标识显示方法及相关产品
CN112385253B (zh) 网络状态显示方法及装置
CN112399515A (zh) 通信处理方法及装置
US20230309191A1 (en) Emergency cal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14745759B (zh) 确定驻留小区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0043101A1 (zh) 业务标识显示控制方法及装置
US9445452B2 (en) Directed application control of user device ra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