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219A -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219A
KR20190117219A KR1020180040453A KR20180040453A KR20190117219A KR 20190117219 A KR20190117219 A KR 20190117219A KR 1020180040453 A KR1020180040453 A KR 1020180040453A KR 20180040453 A KR20180040453 A KR 20180040453A KR 20190117219 A KR20190117219 A KR 20190117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weight
adhesive sheet
film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978B1 (ko
Inventor
이희제
권윤경
박병수
노다은
김동규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4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 상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로 상기 점착 필름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0.12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필름의 아크릴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DHESIVE SHEET FOR POLARIZING PLATE PROTECTING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본 출원은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점착 초기부터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시트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기재를 고정하는 경우, 기재를 고정하기 위해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 시트가 선택된다.
한편, 각종 편광판이나 물품의 이동이나 보관에 있어, 정밀 기기의 내부에 먼지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테이프, 보호 시트, 보호 필름 등의 보호 물품으로 표면을 덮는 작업이 수행된다.
보호 필름의 경우 일반적으로 보호되는 부재나 물품과 접착시키기 위하여 점착 필름이 함께 마련된다. 이 점착 필름의 경우 보호되는 부재나 물품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도록 높은 재박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보호 필름을 부착 후 장시간 보관이나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추후 보호 필름이 대상 물품에 대하여 박리력이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경우, 대상 물품에 오염물질이 남게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보관 또는 장시간 보관시에도 박리력의 변화가 없으면서, 대전 방지 특성이 구현되는 보호 필름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9283호
본 출원은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 상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로 상기 점착 필름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0.12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필름의 아크릴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식 1]
5 < (B/A - 1)*100 < 60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A는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을 아크릴 기재에 접합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을 아크릴 기재에 접합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편광자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편광자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이 접하는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점착 필름에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여 대전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편광판 보호필름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아크릴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고온/장시간 보관시에도 초기 박리력에 대하여 박리력 편차가 거의 없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 상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로 상기 점착 필름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0.12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필름의 아크릴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식 1]
5 < (B/A - 1)*100 < 60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A는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을 아크릴 기재에 접합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을 아크릴 기재에 접합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점착 시트(103)는 편광판 보호필름(101)/점착 필름(102)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여 대전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편광판 보호필름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필름이 상기 특성을 갖게 됨에 따라, 피착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고온/장시간 보관에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기재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특히 아크릴 기재에 사용되는 경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기재나 TAC(triacetyl cellulose) 기재에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고온 경시 안정성이 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이형 필름은 두께가 매우 얇은 점착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점착 필름의 일면에 부착하는 투명층을 말하는 것이며,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시클로 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및 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시판되는 실리콘 처리 이형 필름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점착 시트(103)는 편광판 보호필름(101)/점착 필름(102)/이형 필름(104)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추후 편광판에 사용시 이형필름(104)는 제거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A는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아크릴 기재를 접합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A는 180° 각도 및 30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점착 시트를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아크릴 기재에 부착한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값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B는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아크릴 기재를 접합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B는 180° 각도 및 30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점착 시트를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아크릴 기재에 부착한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값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A는 10 gf/in 이상 80 gf/in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A는 15 gf/in 이상 80 gf/in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gf/in 이상 70 gf/i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gf/in 이상 70 gf/in 이하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B는 50 gf/in 이상 100 gf/in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B는 55 gf/in 이상 95 gf/in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gf/in 이상 95 gf/i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gf/in 이상 95 gf/in 이하 일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값이 상기 범위를 가짐으로써, 편광판 보호필름을 보호 대상이 되는 기재에서 제거하는 경우에도 보호 대상이 되는 기재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A 및 B가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값을 가짐으로써, 편광판 보호필름을 보호 대상이 되는 기재에 접합 후, 고온/장시간 보관시에도 박리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i 함유 무기염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상기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점착 필름의 아크릴 기재에 대한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이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부착시 재사용(rework)할 수 있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LiTFSI(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lithium salt)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상기 중량부가 포함되는 경우, 대전 방지 특성이 특히 우수하여 점착 필름의 박리시 정전기 발생량이 적은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상기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Li 함유 무기염 함량을 적게 사용하여도 대전 방지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나, 점착 필름의 박리시 정전기 발생량이 적은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암모늄 화합물을 갖는 유기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Pyridinium 계, Ammonium 계, Pyrrolidinium 계, Imidazolium 계 및 Phosphonium 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양이온; 및 BF4, PF6 및 TF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3M사의 FC-4400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각각의 성분 및 함량은 성분 분석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필름을 분석용 용매에 녹인 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GC(Gas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하여 성분 분석이 가능하며,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Si 성분은 NMR 분석을 통하여 성분 분석이 가능하고, Li 함유 무기염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분석으로 성분 분석이 가능하다.
상기 분석용 용매로는 에탄올, 톨루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점착 필름을 녹일 수 있으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AR(polyarylate), PCO(polycylicolefin),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ES(polyethersulphone) 및 COP(cycloolefin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의 두께는 10 ㎛ 이상 10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5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이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추후 편광자에 접착하여 사용함에 있어, 편광자 보호필름과의 부착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대전 방지 특성이 특히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3 ㎛ 이상 500 ㎛ 이하인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3 ㎛ 이상 2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고온/장시간 점착 필름을 피착 기재에 부착시에도 피착 기재가 오염되지 않으며, 특히 점착 필름을 제거함에 있어 이물질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g/mol 내지 500만g/mol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분자량이 균일하지 않고 어떤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이 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 분자량 중의 하나로,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분석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는 또한 상용성 등의 기타 기능성 향상의 관점에서, 초산비닐, 스틸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공중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관능기가 -OH인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인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분산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경화제, 경화 촉매, 경화 지연제 및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경화제, 경화 촉매 및 경화 지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HDI Trimer, HMDI(Hexamethylene diisocyanate), TDI(Toluene diisocyanate), IPDI(Isophorone diisocyanate) 및 XDI(Xylyle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는 Iron(3) Acetylacetonate, DBTDL(Dibutyltin dilaurate), 및 Aluminum Acetylaceton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 지연제는 Acetylacetone 일 수 있으며, 이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 지연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경화제, 경화 촉매 및 경화 지연제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점착 시트의 요구 물성인 박리력 특성을 맞출 수 있으며, 가사시간(Pot life)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는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 가사시간(Pot life)은 점착 필름을 사용함에 있어, 경화제 또는 용매를 혼합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성 화합물은 헥산디올디(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프로필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산성 변형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상품명으로 일본 동아합성사의 TO-2348, TO-2349) 등의 다가 알코올을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의 수산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다가 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O-아실옥심계 화합물, 티옥산톤계 화합물,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쿠마린계 화합물 및 벤조페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3',4'-디메톡시페닐)-6-트리아진,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 프로판산, 2,4-트리클로로메틸-(4'-에틸비페닐)-6-트리아진 또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비페닐)-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비이미다졸 또는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Irgacure-907) 또는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369)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Ciba Geigy 社의 Irgacure OXE 01, Irgacure OXE 02와 같은 O-아실옥심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또는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또는 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 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3,3'-카르보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또는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Cl]-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등을 단독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열개시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편광자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편광자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의 일면이 접하는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108)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편광자(107)/접착제층(106)/편광자 보호필름(105)/점착 필름(102)/편광판 보호필름(10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편광자(107)의 일면이 적층된 구조이며, 편광자(107)의 접착제층(106)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접착제층(106)/편광자 보호필름(105)/점착 필름(102)/편광판 보호필름(101)이 순차적으로 더 적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이 사용된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요오드를 흡수한 PVA(poly vinyl alcohol)를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PVA 필름을 수용액에 담가 팽윤(swelling)시키는 팽윤하는 단계, 상기 팽윤된 PVA 필름에 편광성을 부여하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PVA 필름을 연신(stretch)하여 상기 이색성 염료 물질을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연신 단계, 및 상기 연신 단계를 거친 PVA 필름의 색을 보정하는 보색 단계를 거쳐 편광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편광판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은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필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LCD-TF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11)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액정 패널(109)의 일면에 편광자(107)/접착제층(106)/편광자 보호필름(105)/점착 필름(102)/편광판 보호필름(10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편광판이 적층된 구조이며, 액정 패널(109)의 편광자(107)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제2 편광판(110)이 적층된 구조이다. 상기 제2 편광판도 마찬가지로 편광자(107)/접착제층(106)/편광자 보호필름(105)/점착 필름(102)/편광판 보호필름(10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액정 패널, VA(Vertical Alignment) 모드 액정 패널,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액정 패널 또는 TN(Twisted Nematic) 모드 액정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lethyl acrylate)를 95:5의 중량비율로 공중합 한 고형분 농도가 약 40%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로써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 대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HDI trimer, 제품명: DR750HD) 5중량부, 경화지연제(acetylacetone) 7.5 중량부 및 diketonate를 리간드로 갖는 철 화합물(Fe(Ⅲ) Acetylacetonete) 0.05 중량부, 및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량부를 균일하게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Li 함유 무기염
(중량부)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중량부)
실시예1 LiTFSI
(0.05)
FC-4400
(0.5)
PDMS
(0.5)
실시예2 LiTFSI(0.07) FC-4400
(0.5)
PDMS
(0.5)
실시예3 LiTFSI(0.1) FC-4400
(0.5)
PDMS
(0.5)
비교예1 LiTFSI(0.15) FC-4400
(0.5)
PDMS
(0.5)
비교예2 LiTFSI(0.2) FC-4400
(0.5)
PDMS
(0.5)
비교예3 LiTFSI(0.2) FC-4400
(0.5)
PDMS
(1)
비교예 4 LiTFSI(0.0.5) - -
상기 표 1에 있어서, 상기 LiTFSI 및 상기 FC-4400은 3M사의 Li 함유 무기염 및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제품이고, 상기 PDMS는 모멘티브사의 L-7200을 사용하였다.
(2) 점착 시트의 제조
상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일면에 바코팅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시킨다. 건조 직후 이형필름을 적층하고, 40℃ 에서 48시간 경화시켜 15㎛ 두께의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아크릴 기재를 부착한 것에 대한 박리력 A(gf/in), 박리력 B(gf/in), 박리력 변화율, ESD, 및 오염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A
(gf/in)
B
(gf/in)
박리력 변화율
(%)
ESD
(Kv)
오염성
실시예1 60 68 13 0.07 OK
실시예2 61 73 19 0.07 OK
실시예3 64 91 42 0.12 OK
비교예1 72 128 77 0.13 OK
비교예2 79 149 88 0.12 OK
비교예3 65 88 35 0.16 NG
비교예 4 82 98 19 1.34 OK
1. 박리력 A(gf/in): 아크릴 기재 위에 제조한 점착 시트를 라미한 후에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측정하였다.
2. 박리력 B(gf/in): 아크릴 기재 위에 제조한 점착 시트를 라미한 후에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한다.
3. ESD(Electrostatic discharge): ESD는 보호필름 박리시 측정하는 박리 대전압으로, SHISHIDO사의 STATIRON DZ-4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샘플과의 측정 거리는 3cm로 고정하였다. 점착 시트의 박리 속도는 30m/min이고 박리 각도는 180°로 점착 시트를 아크릴 기재로부터 박리하면서 발생하는 박리 대전압(Kv)을 의미한다.
4. 오염성: 아크릴 기재에 제조한 점착 시트를 라미하고, 50℃ 조건에서 하루 이상 방치하고, 오염성 평가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점착 시트가 라미된 반대면에 Black Tape를 라미하였다. 그리고, 점착 시트를 아크릴 기재로부터 박리/부착을 반복하여 인위적으로 기포를 혼입시킨 후 상온에서 하루 이상 방치하였다. 기포가 포함된 점착 시트를 50℃에서 3시간 열처리 진행 이후 육안으로 오염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기포 자국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경우 OK로 표시하였고, 기포 자국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경우 NG로 표시하여 분류하였다.
상기 박리력 A는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아크릴 기재를 접합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A는 180° 각도 및 3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점착 시트를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아크릴 기재에 부착한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값이다.
상기 박리력 B는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아크릴 기재를 접합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B는 180° 각도 및 3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점착 시트를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아크릴 기재에 부착한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값이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필름은, 점착 필름에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함으로써, 피착 기재(아크릴 기재)에 부착시의 박리력이 고온/장시간 보관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박리력 A에 대하여 박리력 B에 대한 변화율이 50 %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박리력 변화율이 50% 이하의 값을 가짐으로써, 본 출원에 따른 편광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의 제거가 용이하며, 편광자의 편광자 보호필름에 점착제의 오염물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ESD값이 1.34Kv로 0.5Kv 이하인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ESD값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비교예 4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점착 시트의 박리시 정전기 발생량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1: 편광판 보호필름
102: 점착 필름
103: 점착 시트
104: 이형 필름
105: 편광자 보호필름
106: 접착제층
107: 편광자
108: 편광판
109: 액정 패널
110: 제2 편광판
111: 액정 표시 장치

Claims (13)

  1. 점착 필름; 및
    상기 점착 필름 상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
    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로
    상기 점착 필름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Li 함유 무기염;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 및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Li 함유 무기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01 중량부 이상 0.12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필름의 아크릴 기재에 대한 박리력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점착 시트:
    [식 1]
    5 < (B/A - 1) * 100 < 60
    상기 식 1에 있어서,
    상기 A는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을 아크릴 기재에 접합 후 23℃에서 4시간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을 아크릴 기재에 접합 후 60℃에서 3일 보관 후 측정한 박리력(gf/in)을 의미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점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는 50 gf/in 이상 100 gf/in 이하인 것인 점착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3 ㎛ 이상 500 ㎛ 이하인 것인 점착 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의 두께는 1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인 점착 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분산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경화제, 경화 촉매, 경화 지연제 및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점착 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관능기가 -OH인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인 것인 점착 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0.1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 시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대전 방지제는 암모늄 화합물을 갖는 유기염인 것인 점착 시트.
  1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의 상기 편광자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편광자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청구항 1 내지 10의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상기 접착제층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과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점착 필름의 일면이 접하는 것인 편광판.
  12.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은, 청구항 11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13. 청구항 11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40453A 2018-04-06 2018-04-06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453A KR102235978B1 (ko) 2018-04-06 2018-04-06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453A KR102235978B1 (ko) 2018-04-06 2018-04-06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19A true KR20190117219A (ko) 2019-10-16
KR102235978B1 KR102235978B1 (ko) 2021-04-02

Family

ID=6842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453A KR102235978B1 (ko) 2018-04-06 2018-04-06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283A (ja) 1999-05-13 2006-11-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剤付き物品
KR20140079353A (ko) * 2011-10-19 2014-06-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재박리용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70079559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7155368A2 (ko) * 2016-03-11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283A (ja) 1999-05-13 2006-11-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剤付き物品
KR20140079353A (ko) * 2011-10-19 2014-06-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재박리용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70079559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7155368A2 (ko) * 2016-03-11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978B1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54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1706820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2400004B (zh) 粘合剂组合物、包含粘合剂组合物的粘合膜、包括粘合膜的背板膜和包括粘合膜的塑料有机发光显示器
EP3747969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comprising same, backplate film comprising adhesive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adhesive film
EP3750964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comprising same, backplate film comprising adhesive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comprising adhesive film
TW201627447A (zh) 黏著劑組合物及黏著膜
EP3812438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comprising same, backplate film comprising adhesive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comprising adhesive film
EP3812436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comprising same, back plate film comprising adhesive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comprising adhesive film
EP3812440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on film comprising same, backplate film comprising adhesion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comprising adhesion film
KR10156605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EP3812437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comprising same, backplate film comprising adhesive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adhesive film
KR102235978B1 (ko)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8114B1 (ko) 광학 필름
KR102040294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3275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5136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7333852B2 (ja) 粘着フィルム
KR20210049542A (ko) 코팅 조성물,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70050337A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79079A (ko) 광학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