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926A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6926A KR20190116926A KR1020190038889A KR20190038889A KR20190116926A KR 20190116926 A KR20190116926 A KR 20190116926A KR 1020190038889 A KR1020190038889 A KR 1020190038889A KR 20190038889 A KR20190038889 A KR 20190038889A KR 20190116926 A KR20190116926 A KR 20190116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tted fabric
- stitches
- knitting
- fabric portion
- bran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04B7/045—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with stitch-length regul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편성폭 도중에 편성포의 전후로 포개지는 부분을 갖도록 편성포를 좌우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갖고 편성포의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짜임으로 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뛰어난 품질을 갖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분기부에서의 기점이 되는 좌측 분기 기점부 및 우측 분기 기점부를, 서로 혼재된 상태에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공정A와, 좌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좌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B와, 우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우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C와, 공정B의 후에 제1좌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제2좌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제1좌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D와, 공정C의 후에 제1우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제2우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제1우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E를 구비한다. 혼재가 해소될 때까지 공정B, 공정C, 공정D, 및 공정E를 한다.
(해결수단)분기부에서의 기점이 되는 좌측 분기 기점부 및 우측 분기 기점부를, 서로 혼재된 상태에서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공정A와, 좌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좌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B와, 우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우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C와, 공정B의 후에 제1좌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제2좌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제1좌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D와, 공정C의 후에 제1우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제2우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제1우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E를 구비한다. 혼재가 해소될 때까지 공정B, 공정C, 공정D, 및 공정E를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성포의 편성폭 도중에, 편성포의 전후로 포개지는 부분을 갖도록 좌측 편성포부와 우측 편성포부로 분기(分岐)되는 분기부를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서는, 편성폭의 도중에 편성포를 좌우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갖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분기부 영역에서의 좌측 편성시작부에 계속되는 편성포부 및 우측 편성시작부에 계속되는 편성포부의 편성을, 이웃하는 스티치(stitch)(좌측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의 사이에 다른 스티치(우측 편성시작부의 스티치)가 형성된 하프 게이지 상태(half gauge state)에서 실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하프 게이지 상태에서 편성하면, 분기부 영역에서의 각 편성시작부에 계속되는 편성포부의 짜임이 다른 편성포부의 짜임과 비교하여 성글게 되기 쉽다. 예를 들면 V넥 조끼(V neck vest)에 있어서, V넥의 첨단부에서 내외로 포개지도록 좌측 칼라부와 우측 칼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좌측 칼라부 및 우측 칼라부의 짜임이 좌측 어깨부 및 우측 어깨부나 몸통부의 짜임과 비교하여 성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편성폭 도중에 편성포의 전후로 포개지는 부분을 갖도록 편성포를 좌우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갖고 편성포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짜임을 갖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 어느 하나의 상기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할 수 있고, 또한 전후의 상기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편성폭 도중에, 편성포의 전후로 포개지는 부분을 갖도록 좌측 편성포부와 우측 편성포부로 분기되는 분기부를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 중에서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스티치에 대하여, 상기 분기부에서의 기점이 되는 복수의 좌측 분기 기점부 및 복수의 우측 분기 기점부를, 일방의 분기 기점부의 이웃하는 스티치 사이에 타방의 분기 기점부의 1스티치 이상의 스티치가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공정A와,
상기 좌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좌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상기 좌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B와,
상기 우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상기 우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C와,
상기 공정B의 후에, 래킹 및 트랜스퍼를 사용하여,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상기 제2좌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상기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D와,
상기 공정C의 후에, 래킹 및 트랜스퍼를 사용하여,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상기 제2우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상기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E를
구비하고,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일방의 편성포부의 이웃하는 스티치 사이에 타방의 편성포부의 1스티치 이상의 스티치가 배치되는 혼재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상기 공정B, 상기 공정C, 상기 공정D, 및 상기 공정E를 한다.
상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가 상기 분기부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2좌측 편성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좌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이는 공정F와,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가 상기 분기부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2우측 편성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우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이는 공정G를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를 가터 조직으로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좌측 분기 기점부 및 우측 분기 기점부의 각 분기 기점부로서, 일방의 분기 기점부의 이웃하는 스티치 사이에 타방의 분기 기점부의 1스티치 이상의 스티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의 각 분기 기점부에 연결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의 각 편성포부는 하프 게이지 상태에서 편성되게 되어, 이 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는 성글게 보인다. 그러나 그 후에,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면서 상기 하프 게이지 상태(제1좌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의 혼재상태)를 해소하는 편성을 하기 때문에, 혼재가 해소된 장소에서는 이웃하는 스티치 사이의 싱커루프(sinker loop)가 짧아지게 되어, 성긴 스티치가 순차적으로 해소된다. 그리고 상기 혼재가 완전하게 해소된 후에는, 각 편성포부는 이웃하는 편침을 사용하는 총침상태(full gauge state)에서 편성되게 되어, 성긴 스티치가 존재하지 않고, 편성포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짜임으로 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뛰어난 품질을 갖는 편성포를 얻을 수 있다.
분기부의 형성에 있어서는,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스티치에 대하여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 등의 늘림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형성함으로써, 각 분기 기점부를 총침상태에서 편침에 결합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각 분기 기점부는 전후의 니들베드로 각각 분기된 상태에서 편침에 결합되게 되어, 스티치 상호간에 편사가 복잡하게 얽힌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스플릿 편성 등의 늘림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고, 좌측 분기 기점부 및 우측 분기 기점부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분기부에서는, 스티치 상호간에 편사의 복잡한 얽힘이 없이 심플하고, 편성도 용이하다. 또한 편사의 종류에 관계 없이 스티치가 가로·세로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어, 분기부로 편사에 걸리는 부하가 다 집중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분기부의 강도도 늘어난다.
좌측 편성포부 및 우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임으로써, 예를 들면 V넥과 같이 좌측 편성포부와 우측 편성포부에서 각도를 갖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미려한 분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를 가터 조직으로 편성함으로써,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가 말리기 어려워서, 좌측 편성포부 및 우측 편성포부의 측단부(側端部)에 생길 수 있는 말림을 방지하기 쉽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편성된 V넥 조끼의 앞쪽몸통의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전반부분(前半部分)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후반부분(後半部分)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전반부분(前半部分)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후반부분(後半部分)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이하, FD)와 하부 뒤쪽 니들베드(이하, BD), 및 이들 FD와 BD의 상방에 설치되고 하부의 니들베드와 동일한 피치로 다수의 편침(編針)이 나란하게 설치된 상부 앞쪽 니들베드(이하, FU)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이하, BU)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four-bed 橫編機)를 사용한 V넥 조끼(V neck vest)의 편성례를 설명한다. 이 횡편기는,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하고, BD, BU는 좌우로 래킹(racking)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횡편기는, 4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편성된 V넥 조끼(편성포)(1)의 개략도이다. V넥 조끼(1)는,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이 무봉제(無縫製)로 통(筒) 모양으로 편성되어 있다. V넥 조끼(1)의 앞쪽몸통은, 베이스 편성포부(2)와, 도1의 Y-Y 상의 분기부(分岐部)(3)로부터 좌우로 분기된 좌측 편성포부(4) 및 우측 편성포부(5)를 구비한다. 분기부(3)는, 좌측 편성포부(4)의 일부와 우측 편성포부(5)의 일부가 편성포의 전후로 포개지도록 형성된다. 좌측 편성포부(4)는, 분기부(3)를 기점으로 하여 V넥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와,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코스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좌측 편성포부(42)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편성포부(5)는, 분기부(3)를 기점으로 하여 V넥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51)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코스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우측 편성포부(52)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2)는 몸통부를 구성하고, 제1좌측 편성포부(41)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는 각각 좌측 칼라부 및 우측 칼라부를 구성하고, 제2좌측 편성포부(42) 및 제2우측 편성포부(52)는 각각 좌측 어깨부 및 우측 어깨부 등을 구성한다. 제1좌측 편성포부(41)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는, V넥의 첨단부(尖端部)에 있어서의 분기부(3)의 부근에서 편성포가 전후로 포개지는 부분을 갖는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는, 제1좌측 편성포부(41)가 전방측(외측)에 위치하고, 제1우측 편성포부(51)가 후방측(내측)에 위치하도록 포개져 있다.
도2 및 도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의 V넥 조끼(1)의 분기부(3)에서부터 좌측 편성포부(4) 및 우측 편성포부(5)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이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좌측 칸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우측 칸은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니들베드의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우측 칸에 있어서, A∼T의 검은 점은 편침을 나타내고, 사각형 표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다이아몬드 표시는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동그라미 표시는 제2좌측 편성포부(42), 제2우측 편성포부(52), 및 뒤쪽몸통을 구성하는 뒤쪽 편성포부(6)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역삼각형은 급사구(給絲口)(9)를 나타낸다. 각 편성공정에서 편성동작에 관계되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냄과 아울러, 당해 편성공정에서 새롭게 편성된 스티치는 검게 칠하여 나타낸다. 테두리 안을 비워둔 스티치는, 편침에 결합되는 구스티치(舊stitch)를 나타낸다. 또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바늘의 수는 실제의 편성보다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스티치를 이동할 때에 이루어지는 BD, BU의 래킹상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고 있다.
S1에는, 급사구(9)를 사용하여, 지면(紙面)의 좌측방향을 향하여 FD의 편침(S∼B)을 포함하는 연속된 편침을 사용하여 앞쪽몸통의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2)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또한 지면의 우측방향을 향하여 BD의 편침(B∼S)을 포함하는 연속된 편침을 사용하여 뒤쪽몸통의 뒤쪽 편성포부(6)의 스티치를 형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1의 상태에 있어서, FD에 결합되는 스티치열(stitch列) 중에서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스티치에 대하여, 분기부(3)에서의 기점(起點)이 되는 좌측 분기 기점부(左側 分岐 起點部)(40) 및 우측 분기 기점부(50)를 설정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분기 기점부(40) 및 우측 분기 기점부(50)는, FD의 편침(D∼Q)에 결합되는 연속된 스티치에 대하여 1개씩 스티치를 걸러서 교대로 설정되어 있고, FD의 편침(D, F, H, J, L, N, P)에 결합되는 스티치가 좌측 분기 기점부(40)이고, FD의 편침(E, G, I, K, M, O, Q)에 결합되는 스티치가 우측 분기 기점부(50)이다. S1은 공정A에 상당한다.
S2 및 S3에서는, 좌측 분기 기점부(40)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41)를 가터 조직(garter structure)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코스방향(course方向)으로 연장되는 제2좌측 편성포부(42)를 플레인 조직(plain structure)으로 편성한다. S2에서는, FD의 편침(E, G, I, K, M, O, Q)에 결합되는 스티치(우측 분기 기점부(50))를 BU의 편침(E, G, I, K, M, O, Q)으로 트랜스퍼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D의 편침(S, R, P, N, L, J, H, F, D)에 결합된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S2에서는, 가터 조직이 되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편성한다. S3에서는, FD의 편침(F, H, J, L, N, P)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BU의 편침(F, H, J, L, N, P)으로 트랜스퍼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D의 편침(D)에 결합된 스티치, BU의 편침(F, H, J, L, N, P)에 결합된 스티치, FD의 편침(R, S)에 결합된 스티치, 및 FD의 편침(S)의 지면의 우측방향(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으로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S3에서는, BU의 편침에 결합된 스티치에 계속하여 가터 조직이 되는 백 스티치(back stitch)를 편성한다. S2 및 S3은 공정B에 상당한다.
S4에서는, BU의 편침(E∼Q)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E∼Q)으로 트랜스퍼한다. S5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D의 편침(S∼B)에 결합된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여, 뒤쪽 편성포부(6)를 편성한다.
S6 및 S7에서는, 우측 분기 기점부(50)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51)를 가터 조직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우측 편성포부(52)를 플레인 조직으로 편성한다. S6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D의 편침(B, C, E, G, I, K, M, O, Q)에 결합된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S6에서는, 가터 조직이 되는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한다. S7에서는, FD의 편침(E, G, I, K, M, O)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BU의 편침(E, G, I, K, M, O)으로 트랜스퍼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D의 편침(Q)에 결합된 스티치, BU의 편침(O, M, K, I, G, E)에 결합된 스티치, FD의 편침(C, B)에 결합된 스티치, 및 FD의 편침(B)의 지면의 좌측방향(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으로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S7에서는, BU의 편침에 결합된 스티치에 계속하여 가터 조직이 되는 백 스티치를 편성한다. S6 및 S7은 공정C에 상당한다.
S8에서는, BU의 편침(E, G, I, K, M, O)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E, G, I, K, M, O)으로 트랜스퍼한다. S8의 상태에서는, 좌측 분기 기점부(40)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우측 분기 기점부(50)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는, FD의 편침(D∼Q)의 연속된 편침에 1개씩 스티치를 걸러서 교대로 결합되어 있다.
S9∼S11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가 1개씩 스티치를 걸러서 교대로 혼재(混在)하는 혼재영역에 있어서, 래킹 및 트랜스퍼를 사용하여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일부를 다시 배열한다. S9에서는, FD의 편침(D∼Q)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BU의 편침(D∼Q)으로 트랜스퍼한다. S10에서는, BD, BU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1바늘분 래킹하고, BU의 편침(P)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Q)으로 트랜스퍼한다. 그 후에 BD, BU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1바늘분 더 래킹하고, BU의 편침(D, F, H, J, L, N)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F, H, J, L, N, P)으로 트랜스퍼한다. FD의 편침(F, H, J, L, N, P, Q)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이다.
S11에서는, BD, BU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3바늘분 래킹하고, BU의 편침(E)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D)으로 트랜스퍼한다. 그 후에 BD, BU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1바늘분 더 래킹하고, BU의 편침(G, I, K, M, O, Q)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E, G, I, K, M, O)으로 트랜스퍼한다. FD의 편침(D, E, G, I, K, M, O)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이다.
S11의 상태에서는, FD의 편침(F∼O)의 연속된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가, 제1좌측 편성포부(41)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 중 일방(一方)의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스티치의 사이에 타방(他方)의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배치된 혼재영역의 스티치이다. 한편 FD의 편침(P, Q) 및 편침(D, E)에 있어서의 연속된 편침 각각에 결합되는 스티치가, 혼재가 해소된 스티치이다. 여기에서 혼재가 해소된 상태라는 것은,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가 제2좌측 편성포부(42)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제2좌측 편성포부(4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상태,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가 제2우측 편성포부(52)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제2우측 편성포부(5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상태 중에서 적어도 일방의 상태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S9 및 S10은 공정D에 상당하고, S9 및 S11은 공정E에 상당한다.
S12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D의 편침(B∼S)에 결합된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여, 뒤쪽 편성포부(6)를 편성한다.
그 후에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가 1개씩 스티치를 걸러서 교대로 혼재된 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S2∼S12를 반복한다. 실시형태에서는 S12의 상태로부터 S2∼S12를 3회 반복한다. 구체적으로는, 1회째의 반복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를 가터 조직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코스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좌측 편성포부(42)를 편성한다(공정B). 또한 제1우측 편성포부(51)를 가터 조직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제2우측 편성포부(52)를 편성한다(공정C). 그 후에 FD의 편침(F∼O)에 결합되는 스티치(S12를 참조)에 대하여, 래킹 및 트랜스퍼를 사용하여, FD의 편침(F, H, J, L, N)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H, J, L, N, O)으로 트랜스퍼하고, FD의 편침(G, I, K, M, O)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F, G, I, K, M)으로 트랜스퍼한다(공정D 및 공정E).
이러한 1회째의 반복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FD의 편침(N, O, P, Q) 및 편침(D, E, F, G)의 연속된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각각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가 해소되어 있고, FD의 편침(H∼M)의 연속된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가 잔존한 상태이다. 또한 공정B∼공정E를 2회 더 반복함으로써, S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가 완전하게 해소되어, FD의 편침(K∼Q)의 연속된 편침에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가 결합되고, FD의 편침(D∼J)의 연속된 편침에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가 결합된다.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가 완전하게 해소된 상태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는 제2좌측 편성포부(42)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제2좌측 편성포부(4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고,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는 제2우측 편성포부(52)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제2우측 편성포부(5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다.
S13의 후에, 좌측 편성포부(4)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임(공정F)과 아울러, 우측 편성포부(5)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임(공정G)으로써, V넥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S13의 후에, FD의 편침(K∼Q)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M∼S)으로 트랜스퍼하여, FD의 편침(R, S)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함과 아울러, FD의 편침(D∼J)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FD의 편침(B∼H)으로 트랜스퍼하여, FD의 편침(B, C)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좌측 편성포부(4) 및 우측 편성포부(5)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가 각각 2스티치 감소된다.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는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더블 스티치의 형성과 새로운 스티치의 형성을 반복하여 함으로써, 제1좌측 편성포부(41)가 분기부(3)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따라 제2좌측 편성포부(42)측(암홀측)으로 경사짐과 아울러, 제1우측 편성포부(51)가 분기부(3)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따라 제2우측 편성포부(52)측(암홀측)으로 경사지는 V넥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는 수는 2스티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1스티치씩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들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1)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분기 기점부(40)와 우측 분기 기점부(50)를 1개씩 스티치를 걸러서 교대로 설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좌측 분기 기점부(40)(좌측 분기 기점부(40)에 계속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를 『□』, 우측 분기 기점부(50)(우측 분기 기점부(50)에 계속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를 『◇』이라고 하면, □◇◇□□◇, □□◇□□◇ 등을 들 수 있다.
(2)실시형태에서는, 분기부(3)의 폭과 좌측 칼라부 및 우측 칼라부의 각 폭을 동일하게 설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기부(3)의 폭과 좌측 칼라부 및 우측 칼라부의 각 폭이 다른 경우에, 예를 들면 제1좌측 편성포부(41)(제1우측 편성포부(51))는 좌측 칼라부(우측 칼라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3)실시형태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를 가터 조직으로 편성하였지만, 리브 조직이나 플레인 조직으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좌측 편성포부(42) 및 제2우측 편성포부(52)도 플레인 조직의 편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브 조직이나 가터 조직으로 편성할 수도 있다.
(4)실시형태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가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1우측 편성포부가 후방측에 위치하여 포개지도록 편성하였지만, 제1우측 편성포부(51)가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1좌측 편성포부가 후방측에 위치하여 포개지도록 편성할 수도 있다.
(5)실시형태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가 해소될 때까지 공정B → 공정C → 공정D → 공정E의 순서대로 반복하였지만, 각 공정의 반복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정C → 공정B → 공정E → 공정D나, 공정B → 공정D → 공정C → 공정E의 순서대로 반복할 수도 있다. 또한 좌측 분기 기점부(40) 및 우측 분기 기점부(50)의 스티치 수에 따라서는, 공정A → 공정B → 공정C → 공정D → 공정E를 1회하는 것만으로 상기 혼재를 해소할 수도 있다.
(6)실시형태에서는, 공정D 및 공정E에 대하여,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함에 있어서, BD, BU를 기준위치(S1의 BD, BU의 위치)로부터 각각 좌우로 2바늘분의 래킹을 하고 있지만, 래킹량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사 등을 사용할 때에 있어서는 더 큰 래킹량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 1공정에 있어서의 제1좌측 편성포부(41)(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를 제2좌측 편성포부(42)측(제2우측 편성포부(5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시키는 스티치의 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치의 혼재가 해소될 때까지 각 공정의 반복을 3회 실시하였지만, 그 횟수를 줄일 수도 있다.
(7)실시형태에서는,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가 완전하게 해소된 후에 V넥의 개구부를 형성하였지만,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스티치와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스티치의 혼재를 해소하면서 V넥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좌측 편성포부(41)의 일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51)의 일부에서 혼재가 해소되면, 혼재영역이 잔존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혼재가 해소된 스티치를 사용하여 상기 더블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8)실시형태에서는, V넥 조끼의 편성례를 설명하였지만, 폴로셔츠(polo shirt)의 플래킷(placket)과 같이 웨일방향을 따라 병행(竝行)하여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좌측 칼라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우측 칼라부)를 갖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도 있다. 플래킷과 같은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제1우측 편성포부는, S13의 후에 스티치의 폭줄임(narrowing)을 하지 않고, C자 모양으로 반환편성(return knitting)을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1 : V넥 조끼(편성포)
2 : 베이스 편성포부
3 : 분기부
4 : 좌측 편성포부
40 : 좌측 분기 기점부
41 : 제1좌측 편성포부
42 : 제2좌측 편성포부
5 : 우측 편성포부
50 : 우측 분기 기점부
51 : 제1우측 편성포부
52 : 제2우측 편성포부
6 : 뒤쪽 편성포부
9 : 급사구
2 : 베이스 편성포부
3 : 분기부
4 : 좌측 편성포부
40 : 좌측 분기 기점부
41 : 제1좌측 편성포부
42 : 제2좌측 편성포부
5 : 우측 편성포부
50 : 우측 분기 기점부
51 : 제1우측 편성포부
52 : 제2우측 편성포부
6 : 뒤쪽 편성포부
9 : 급사구
Claims (3)
-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 어느 하나의 상기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racking)할 수 있고, 또한 전후의 상기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편성폭 도중에, 편성포의 전후로 포개지는 부분을 갖도록 좌측 편성포부와 우측 편성포부로 분기(分岐)되는 분기부를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stitch列) 중에서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스티치에 대하여, 상기 분기부에서의 기점(起點)이 되는 복수의 좌측 분기 기점부 및 복수의 우측 분기 기점부를, 일방의 분기 기점부의 이웃하는 스티치 사이에 타방(他方)의 분기 기점부의 1스티치 이상의 스티치가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공정A와,
상기 좌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좌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좌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상기 좌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B와,
상기 우측 분기 기점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우측 편성포부를 편성하여, 상기 우측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공정C와,
상기 공정B의 후에, 래킹 및 트랜스퍼를 사용하여,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상기 제2좌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상기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D와,
상기 공정C의 후에, 래킹 및 트랜스퍼를 사용하여,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상기 제2우측 편성포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상기 분기부에서의 스티치를 다시 배열하는 공정E를
구비하고,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의 일방의 편성포부의 이웃하는 스티치 사이에 타방의 편성포부의 1스티치 이상의 스티치가 배치되는 혼재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상기 공정B, 상기 공정C, 상기 공정D, 및 상기 공정E를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가 상기 분기부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2좌측 편성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좌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이는 공정F와,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가 상기 분기부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2우측 편성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우측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웨일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줄이는 공정G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 편성포부 및 상기 제1우측 편성포부를 가터 조직(garter structure)으로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73504A JP2019183311A (ja) | 2018-04-05 | 2018-04-05 | 編地の編成方法 |
JPJP-P-2018-073504 | 2018-04-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6926A true KR20190116926A (ko) | 2019-10-15 |
Family
ID=6799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8889A KR20190116926A (ko) | 2018-04-05 | 2019-04-03 | 편성포의 편성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9183311A (ko) |
KR (1) | KR20190116926A (ko) |
CN (1) | CN110344169A (ko) |
DE (1) | DE10201920470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82421B (zh) * | 2022-01-11 | 2023-02-28 |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 一种改善全成型罗纹下摆门襟边扭斜的编织方法及针织物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4018A (ja) | 1984-06-18 | 1986-01-09 | Canon Inc |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
-
2018
- 2018-04-05 JP JP2018073504A patent/JP2019183311A/ja active Pending
-
2019
- 2019-04-02 CN CN201910258897.0A patent/CN110344169A/zh not_active Withdrawn
- 2019-04-02 DE DE102019204703.3A patent/DE10201920470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9-04-03 KR KR1020190038889A patent/KR201901169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4018A (ja) | 1984-06-18 | 1986-01-09 | Canon Inc |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9183311A (ja) | 2019-10-24 |
DE102019204703A1 (de) | 2019-10-10 |
CN110344169A (zh) | 2019-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6667B2 (en) | Knitted fabric having open part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 |
KR101201238B1 (ko) |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 |
US5836177A (en) | Binding-off method, bound knitted fabric, and CAD apparatus therefor | |
EP2226417A1 (en) | Fabric knitting method, and fabric | |
KR101577287B1 (ko) | 편성포의 편성방법 | |
CN102086560B (zh) | 针织物的编织方法和针织物 | |
JP6541621B2 (ja) |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 |
EP2565308A1 (en) | Joining method of neighbor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knitted fabric | |
KR100854959B1 (ko) | 횡편기로 편성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 |
JP2017115282A (ja) | 編地の編成方法 | |
JP4852092B2 (ja) |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 |
JP3968100B2 (ja) | 筒状編地の編成方法 | |
JPWO2002077344A1 (ja) | 伏目処理された編地および伏目処理方法 | |
JP2016037678A (ja) |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 |
US20150075227A1 (en) | Knitted fabric with reduced cracks, knitting method therefor, and design system using the knitting method | |
KR20190116926A (ko) | 편성포의 편성방법 | |
EP2418310B1 (en) | Joining method of adjacent knitted fabric parts, and knitted fabric | |
US6079232A (en) | Widening method | |
EP2208814A1 (en) | End-connecting method for doubly-cylindrical fabric | |
KR20180028031A (ko) | 편성포의 편성방법 | |
JP2010281010A (ja) | ニットウエアのv首部編成方法 | |
KR102291022B1 (ko) | 편성포의 접합방법 및 접합된 편성포 | |
KR102266801B1 (ko)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 |
JP5274237B2 (ja) | ニットパンツの編成方法とニットパンツ | |
KR101384192B1 (ko) | 니트웨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