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758A -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758A
KR20190116758A KR1020180039750A KR20180039750A KR20190116758A KR 20190116758 A KR20190116758 A KR 20190116758A KR 1020180039750 A KR1020180039750 A KR 1020180039750A KR 20180039750 A KR20180039750 A KR 20180039750A KR 20190116758 A KR20190116758 A KR 2019011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ailure
load pattern
line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6221B1 (en
Inventor
심재만
박종문
유성훈
Original Assignee
네오트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트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트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21B1/en
Publication of KR2019011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B61L2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0Locking mechanisms for points; Means for indicating the setting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4Measuring peak values or amplitude or envelope of ac or of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01R19/2509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line converte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 converter monitoring apparatus can comprise: a load pattern measuring unit measuring a load current measured during operation of a line converter and generating a load pattern; a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a position of a tongue rail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e converter; and a fault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a fault occurring in the line converter using the load pattern and the detection signal.

Description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본 출원은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로전환기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고장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nitoring a line 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 changer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failure of a line changer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determining a type of failure.

철도가 산업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여 열차의 안정적인 주행을 위하여 철도에서의 구성 요소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선로전환기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안전하게 변경시키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선로전환기의 고장에 따라 열차 탈선 등의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고장 탐지가 매우 중요하다.As the proportion of railways to the industry is increasing, management of components in railway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rains. In particular, the track diverter is an important component to safely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in, and early failure detec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cause a major accident such as train derailment due to the failure of the track diverter.

선로전환기의 고장 진단은 많은 인력이 투입되며, 열차의 운행 시간이 종료된 늦은 시간에 진행되어 현재 시스템으로는 실시간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Diagnosis of the line changeover is a lot of manpower is input, the late run time of the train is running lat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detected in real time with the current system.

한국공개특허 제2000-0006607호Korean Laid-Open Patent No. 2000-0006607

본 출원은, 선로전환기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고장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ine switching device monitoring device that can detect the failure of the line switch in real time, and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type of fail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는, 선로전환기의 동작시 계측되는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부하패턴을 생성하는 부하패턴측정부; 상기 선로전환기의 동작에 따른, 텅레일(쇄정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검지신호 수신부; 및 상기 부하패턴 및 검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로전환기에 발생한 고장을 판별하는 고장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 lin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 pattern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load pattern by using a load current measured during operation of the line changer; A detection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a position of a tongl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e switcher; And a failure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a failure occurring in the line changer by using the load pattern and the detection signal.

여기서 상기 부하패턴 측정부는, 상기 부하전류를 실효치(RMS: Root Mean Square)로 환산하고, 상기 실효치를 샘플링하여, 상기 부하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may convert the load current into a root mean square (RMS), sample the effective value, and generate the load pattern as the load pattern.

여기서 상기 부하패턴 측정부는, 상기 부하패턴을 기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복수의 시간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may divide the load pattern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여기서 상기 검지신호 수신부는, 정위에 위치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반위에 위치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텅레일을 이동시키는 캠바에 의하여 터치되면,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터치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검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when the first limit switch located in the positive position or the second limit switch located in the face is touched by the cam bar for moving the tongue rail, the first limit switch or the second limit switch is touched It can receive a detection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the.

여기서, 상기 캠바는 경사면과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바가 상기 정위 또는 반위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경사면을 지나 상기 수평면 상에서 상기 캠바와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캠바의 경사면에 접촉할 때부터 상기 검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Here, the cam ba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and a horizontal plane, and when the cam bar moves to the face or face, the first limit switch or the second limit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cam bar on the horizontal plan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The first limit switch or the second limit switch may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am bar.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전류량,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패턴형상 및 상기 검지신호의 수신타이밍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로 전환기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fault detection unit may determine the failure of the line changer by using any one of a current amount in each time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a pattern shape in each time section, and a reception timing of the detection signal. have.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초기 지연 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지연값 이상이면, 상기 선로전환기의 주파수 변환기(Frequency Converter)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failure detector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a frequency converter of the line converter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nitial delay period set in the load patter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delay value.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잠김해제구간 또는 잠김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최대피크값이 잠김피크값을 초과하면 상기 텅레일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장치에 걸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잠김해제구간 또는 잠김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잠김값을 초과하면 상기 잠금장치를 구동하는 모터에 걸림 또는 고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failure detection unit, if the maximum peak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unlocking section or the locking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exceeds the locking peak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rail has occurred,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unlocking section or the locking section exceeds the reference locking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jam or stuck in the motor driving the locking device.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최대피크값이 동정피크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동정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동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텅레일에 걸림이나 고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fault detection unit, if the maximum peak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exceeds the identification peak value, or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exceeds the reference identification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jamming or sticking has occurred.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종료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종료값을 초과하면, 상기 텅레일을 구동하는 모터의 성능저하 또는 상기 모터의 위치검지 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end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exceeds the reference end value, the fault detection unit may be determined by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motor driving the tong rail or malfunc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motor. have.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잠김 해제 또는 잠김 구간에서 추출한 복수개의 연속된 샘플들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턴형상이 기준 잠김패턴과 상이하면 상기 선로전환기의 주파수 변환기 또는 모터 위치 감지 센서의 오류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failure detection unit generates a pattern shape including a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from a plurality of consecutive samples extracted in the unlocking or locking interval set in the load pattern, and if the generated pattern shape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locking pattern It may be determined by an error of the frequency converter or the motor position sensor of the line converter.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 구간에서 추출한 복수개의 연속된 샘플들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턴형상이 기준 동정패턴과 상이하면 상기 텅레일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failure detection unit generates a pattern shape including a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from a plurality of consecutive samples extract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and if the generated pattern shape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identification pattern, the tow rail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driving of.

여기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텅레일을 반위에서 정위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구간의 시작시간부터 반위 검지 신호의 감지 종료시점까지의 제1 유지시간과, 정위 검지 신호의 감지 시점부터 상기 동정구간의 종료시간까지의 제2 유지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유지시간 및 제2 유지시간이 기준 유지시간범위를 벗어나면, 리미트 스위치 또는 텅 레일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tungsten rail is moved from the face to the face, the fault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holding time from the start time of the identification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to the end of the detection of the face detection signal, and the time of detection of the face detection signal. To measure the second holding time from the identification period to the end time, and if the first holding time and the second holding time are outside the standard holding time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limit switch or the tongue rail.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고장검출부에서 추출한 고장의 종류에 따라 심각도를 분류하고, 상기 심각도에 따른 경고 단계를 설정하여, 각각의 경고 단계에 대응하는 경고를 출력하는 고장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lin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y the seve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ailure extracted by the failure detection unit, set the warning step according to the severity, warning corresponding to each warning step It may further include a failure analysis unit for outputting.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olution of the said subject does not enumerate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는, 선로전환기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고장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선로전환기에 대한 고장 검출 및 고장 진단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선로전환기의 관리에 필요한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사람이 관리하기 어려운 시간에도 선로전환기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monitoring a lin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failure of the line changer in real time, and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type of failure. That is, since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fault detection and fault diagnosis for the line changer,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manpower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line chang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iagnosis of the line changer even in a time difficult for human manag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는, 부하패턴에 설정된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전류량,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패턴형상, 검지신호의 수신타이밍 등을 이용하여 선로전환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므로, 정확한 고장검출 및 고장진단이 가능하다. The apparatus for monitoring a line 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line changer by using the amount of current in each time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the pattern shape in each time section, the reception timing of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like. As a result, accurate fault detection and fault diagnosis are possibl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의 부하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지신호 생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ine switch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oad pattern of the line converte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generation of detec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ine switch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로전환기(1) 및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line changeover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ne changer 1 and a line changer monitoring apparatus 100.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line converter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선로전환기(1)는 선로가 분기되는 곳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선로전환기(1)는 캠바(미도시)를 구동시켜 쇄정유닛(1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쇄정유닛(11) 상에 고정된 텅레일(t)은 좌측 레일에 부착되거나 우측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선로전환기는 침목형 선로전환기 또는 노즈 가동형 선로전환기 등일 수 있다. The track switch 1 is installed where the track is branched, and can control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train. That is, the line converter 1 may drive a cam bar (not shown) to move the locking unit 11 to the left or right, in which case the tungsten t fixed on the locking unit 11 is the left rail. It can be attached to or attached to the right rail. Here, the line converter may be a sleeper type line converter or a nose-operated line converter.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텅 레일(t)이 우측 레일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열차가 직진 방향으로 운행할 수 있으며, 텅레일(t)이 좌측 레일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열차가 우측 방향으로 운행할 수 있다. 여기서, 텅레일(t)의 밀착방향에 따른 열차의 운행방향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tongue rail 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rail, the train may travel in a straight direction, and when the tongue rail 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rail, the train runs in the right direction. can do. Her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contact direction of the t-rail (t)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선로전환기(1)에 의하여 열차의 운행방향이 결정되므로, 선로전환기(1)가 고장나거나 오동작하는 경우에는 열차사고 등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선로전환기(1)의 동작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여, 고장발생여부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train is determined by the track switcher 1, when the track switcher 1 malfunctions or malfunctions, there is a risk of large-scale damage such as a train accid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line changer 1 to determine whether a failure occurs.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선로전환기(1)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선로전환기(1)의 고장 발생여부 및 고장의 종류 등을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선로전환기(1)의 동작시 계측되는 부하전류와, 텅레일(t)의 정위 또는 반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리미트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검지 신호를 이용하여, 선로전환기(1)에 대한 고장판별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100 may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line switch 1, and may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line switch 1 has a failure or the type of a failure. In detail, the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100 receives a load current measured when the line switch 1 operates and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limit sensor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tungle t, respectively. By using this method, failure determination and monitoring of the line changer 1 can be performed.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부하패턴측정부(110), 검지신호 수신부(120), 고장검출부(130) 및 고장분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0 for monitoring a line chang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load pattern measuring unit 110, a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120, a failure detecting unit 130, and a failure analyzing unit 140. It may include.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1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부하패턴측정부(110)는 선로전환기(1)의 동작시 계측되는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부하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부하전류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될 수 있다. 이후, 부하패턴측정부(110)는 부하전류를 도3(b)와 같이 먼저 실효치(RMS: Root Mean Square)로 환산하고,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효치를 샘플링하여 부하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부하패턴측정부(110)는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하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하패턴을 생성하는 경우, 측정된 부하전류를 구간별, 요소별 상수로 취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논리적인 판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정된 부하전류와 실효치, 부하패턴은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110 may generate a load pattern by using the load current measured when the line converter 1 operates. The load current can be measured as shown in Fig. 3A. Subsequently,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110 converts the load current into a root mean square (RMS) as shown in FIG. 3 (b), and then, as shown in FIG. Can be generated. That is,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110 may generate a load pattern as shown in FIG. 4 by using the load current. When the load pattern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measured load current can be treated as a constant for each section and elemen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logical judgment. The measured load current, rms value, and load pattern can be stored in a database.

한편, 부하패턴측정부(110)는 부하패턴을 기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복수의 시간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패턴은 전체 측정구간(A), 초기 지연구간(B), 잠김 해제 구간(C), 동정구간(D), 잠김 구간(E) 및 종료구간(F)으로 각각 구별할 수 있다.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110 may divide the load pattern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load pattern is the entire measurement section (A), the initial delay section (B), the unlocking section (C),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the locking section (E) and the end section (F). ) Can be distinguished.

구체적으로, 전체 측정구간(A)은 선로전환기(1)가 텅 레일(t)을 1회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하고, 초기 지연구간(B)은 선로전환기(1)의 동작시 초기에 소요되는 지연시간에 해당한다. 잠김 해제 구간(C)은 쇄정유닛(11)이 이동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하는 시간구간에 해당하며, 동정구간(D)은 쇄정유닛(11)을 이동시켜 텅레일을 정위에서 반위, 또는 반위에서 정위로 이동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또한, 잠김구간(E)은 쇄정유닛(11)이 이동된 정위 또는 반위에 고정되도록 잠그는 구간에 해당하며, 종료구간(F)은 텅 레일의 이동이 종료된 이후의 예비구간에 해당한다. Specifically, the entire measurement section A corresponds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line changer 1 to move the tongue rail t once, and the initial delay section B is initially determined when the line changer 1 operates. Corresponds to the delay time required. The unlocking section (C) corresponds to the time interval for releasing the lock so that the locking unit (11) is movable, and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moves the locking unit (11) to shift the tongue rail from position to position or from position to position. Corresponds to the moving section. In addition, the locking section (E) corresponds to a section for locking the locking unit 11 is fixed to the moved position or face, the end section (F) corresponds to the preliminary section after the movement of the tongue rail.

여기서, 각각의 시간구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선로전환기(1)의 설계시 각각의 시간구간에서 소요될 것으로 설정한 시간간격으로 구별하거나, 선로전환기(1)의 동작을 측정하여 각각의 구간에 대하여 소요된 평균시간 등으로 시간간격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부하패턴측정부(110)가 부하패턴에 나타난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each time period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For example, when designing the line converter 1, the time interval set to be consumed in each time period is distinguished, or the time interval is measured by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each section by measuring the operation of the line switch 1. Can be set in adva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110 may automatically distinguish the patterns shown in the load patterns by analyzing them.

검지신호 수신부(120)는 선로전환기(1)의 동작에 따른 텅레일(t)의 위치를 나타내는 검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위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s1)가 위치하고, 반위에는 제2 리미트 스위치(s2)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후, 캠바(cb)가 이동하여 텅레일(t)을 이동시키는 경우, 제1 리미트 스위치(s1)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s2)는 캠바(cb)와 터치할 수 있으며, 캠바(cb)와 터치한 리미트 스위치(s1, s2)는 터치에 대응하여 검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120 may receive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rail 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e switch 1. The first limit switch s1 may be positioned at the position and the second limit switch s2 may be positioned at the position. Subsequently, when the cam bar cb moves to move the tongue rail t, the first limit switch s1 or the second limit switch s2 may touch the cam bar cb and the cam bar cb. The touched limit switches s1 and s2 may output detection signals in response to the touch.

구체적으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바(cb)에는 경사면(f1)과 수평면(f2)이 존재할 수 있으며, 캠바(cb)가 정위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s1)가 캠바(cb)의 경사면(f1)을 지나서 수평면(f2) 상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리미트 스위치(s1)는 캠바(cb)가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면(f1)과 접촉할 수 있으며, 캠바(cb)의 이동이 종료되어 텅레일(t)이 정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s1)가 캠바(cb)의 수평면(f2)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미트 스위치(s1)는 캠바(cb)에 의하여 눌리게 되는 경우에 검지신호를 생성하므로, 경사면(f1)과 접촉할 때부터 정위 검지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캠바(cb)가 반위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리미트 스위치(s2)가 반위 검지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신호 수신부(120)는 제1 리미트 스위치(s1)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s2)가 전송하는 정위 검지신호 또는 반위 검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한 검지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텅레일(t)이 정위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반위에 위치하는 지를 판별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cam bar cb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1 and a horizontal surface f2, and when the cam bar cb moves to the top, the first limit switch s1 may be present. The contact may be maintained on the horizontal surface f2 past the inclined surface f1 of the cam bar cb. That is, the first limit switch s1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f1 while the cam bar cb is moving. When the cam bar cb is finished and the tongue rail t is positioned at the positive position, the first limit switch s1 may be formed. One limit switch s1 may contact the horizontal plane f2 of the cam bar cb. Here, since the first limit switch s1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pressed by the cam bar cb, the first limit switch s1 may generate and transmit a stereotactic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f1. Even when the cam bar cb moves to the face, the second limit switch s2 can generate and transmit the face detection signal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detection signal receiver 120 may receive a position detection signal or a fac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limit switch s1 or the second limit switch s2. That is,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ongle (t) is located in position or face.

고장검출부(130)는 부하패턴 및 검지신호를 이용하여, 선로전환기(1)에 발생한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검출부(130)는 부하패턴에 설정된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전류량,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패턴형상, 검지신호의 수신타이밍 등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1)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a failure occurring in the line switch 1 using the load pattern and the detection signal. Specifically,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failure of the line switch 1 by using the amount of current in each time period set in the load pattern, the pattern shape in each time period, the reception timing of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like. have.

먼저, 고장검출부(130)는 시간구간에서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1)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First, the failure detector 130 may determine the failure of the line switch 1 using the amount of current in the time interval.

고장검출부(130)는 초기 지연 구간(B)에 포함되는 전류의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평균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지연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계산된 평균값이 기준 지연값 이상인 경우에는, 선로전환기(1)의 주파수 변환(frequency converter)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초기 지연 구간(B)은 선로전환기(1)가 동작하기 전이므로, 정상인 경우에는 초기 지연 구간(B)에 기준 지연값 이상 전류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초기 지연구간(B)에 기준 지연값 이상의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로전환기(1)의 주파수 변환기의 초기 스타트 업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장검출부(130)는 초기 지연 구간(B)에서의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지연값 이상이면, 선로전환기(1)의 주파수 변환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The failure detector 130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nitial delay period B, and compare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with a preset reference delay value. Here, wh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elay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frequency converter of the line converter 1. That is, since the initial delay section B is before the line switch 1 operates, in the normal case, no curr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delay value should occur in the initial delay section B. FIG. When a current higher than the reference delay value occurs in the initial delay section B,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initial start-up function of the frequency converter of the line converter 1. Therefore, the failure detector 130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occurs in the frequency converter of the line switch 1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 the initial delay period 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delay value.

또한, 고장검출부(130)는 잠김해제구간(C) 또는 잠김구간(E)에 포함된 전류의 최대피크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최대피크값을 미리 설정된 잠김피크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최대피크값이 잠김피크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텅레일(t)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장치에 걸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정상인 경우에 비하여 잠금장치의 구동을 위해 더 높은 전류가 소요되는 것은, 잠금장치가 구동하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장검출부(130)는 잠금장치에 걸림 등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장검출부(130)는 잠김해제구간(C) 또는 잠김구간(E)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평균값이 기준잠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구동하는 모터에 걸림 또는 고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extract the maximum peak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unlocking section (C) or the locking section (E),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extracted maximum peak value with a preset lock peak value. Subsequently, when the maximum peak value exceeds the locked peak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jam has occurred in the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oe rail t. The higher current required to drive the lock as compared to the normal case can be seen that more force is required to drive the lock. Therefore,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such as a jam in the locking device has occurred.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unlocking section C or the locking section E. Whe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exceeds the reference locking value, the motor driving the locking device It can be determined that jamming or sticking has occurred.

또한, 고장검출부(130)는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구간(D)에 포함된 전류의 최대피크값과 전류의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최대피크값과 평균값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동정피크값과 기준동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피크값이 동정피크값보다 크거나 평균값이 기준동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텅레일에 걸림이나 고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maximum peak valu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set in the load pattern, the maximum peak value and the average value, respectively, the preset peak peak value and reference identification value Can be compared with Here, when the maximum peak value is larger than the identification peak value or the average value exceeds the reference identification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jam or sticking occurs in the tongue rail.

이외에도, 고장검출부(130)는 종료구간(F)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종료값을 초과하면, 텅레일을 구동하는 모터의 성능 저하 또는 모터의 위치검지센서에 오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정상인 경우에는 종료구간(F)에서 이미 동작이 완료되어 선로전환기(1)에서 부하전류가 기준종료값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료구간(F)에서 기준종료값 이상의 전류가 발생하는 것은,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어 종료구간(F)에서도 기존의 구간에서의 동작을 진행하는 경우나, 이미 잠금 등 모터의 동작이 완료되었으나 모터의 위치검지센서에 이상이 존재하여 모터를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end section (F)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end value,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driving the tongue rail or the malfunc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motor has occurred. can do. That is, in the normal case, the operation is already completed in the end section F so that the load current does not occur more than the reference end value in the line converter 1. Therefore, the generation of a curren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end value in the end section F may result in a de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and the operation of the motor, such as a lock, is already completed in the end section F. Howev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otor is continuously operated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motor.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장검출부(130)가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패턴형상을 이용하여 고장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to detect a failure using the pattern shape in each time section.

구체적으로, 고장검출부(130)는 잠김 해제구간(C) 또는 잠김 구간(E)에서 복수개의 연속된 샘플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샘플들의 크기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생성한 패턴형상을 미리 설정한 기준 잠김패턴과 비교하여, 기준 잠김패턴과 생성한 패턴형상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정상인 경우에는 시간순서에 따라 증가와 감소의 정형화된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증가->감소->증가->감소->증가). 따라서, 추출한 패턴형상이 정형화된 기준 잠김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로전환기(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김 해제구간(C) 또는 잠김 구간(E)에서의 패턴형상이 상이한 경우에는, 선로전환기(1)의 주파수 변환기 또는 모터 위치 감지 센서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extract a plurality of consecutive samples in the unlocking section C or the locking section E, and generates a pattern shape including a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for the size of the extracted samples. can do. Thereafter, the generated pattern shape is compared with the preset reference locking pattern, and when the reference locking pattern and the generated pattern sha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That is, in the normal case, there may be a formal pattern of increase and decrease according to time sequence (increase-> decrease-> increase-> decrease-> increase). Therefore, when the extracted pattern shape does not match the standard reference locking pattern,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occurs in the line switch 1. Specifically, when the pattern shape in the unlocking section C or the locking section E is differ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rror of the frequency converter or the motor position detecting sensor of the line switch 1 occurs.

또한, 고장검출부(130)는 동정 구간(D)에서도 각각의 샘플들을 추출하여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형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패턴형상을 기준 동정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한 패턴형상이 기준 동정패턴과 상이한 경우에는, 텅레일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extract a pattern shape including a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by extracting each sample even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and compare the extracted pattern shape with a reference identification pattern. Here, when the generated pattern shape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identification pattern,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driving the tong rail.

추가적으로, 고장검출부(130)는 검지신호의 수신타이밍을 이용하여 선로 전환기(1)의 고장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4를 참조하면, 고장검철부(130)는 텅레일(t)을 반위에서 정위로 이동하는 경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구간(D)의 시작시간부터 반위 검지 신호의 감지 종료시점까지의 제2 유지시간(T2)과, 정위 검지 신호의 감지 시점부터 동정구간의 종료시간까지의 제1 유지시간(T1)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후, 고장검출부(130)는 제1 유지시간(T1)과 제2 유지시간(T2)을 기준 유지시간범위와 비교할 수 있으며, 제1 유지시간(T1) 또는 제2 유지시간(T2)이 기준 유지시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텅 레일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a failure of the line switch 1 using the reception timing of the detection signal. That is, referring to FIG. 4, when the fault detection unit 130 moves the tongue rail t from the face to the face, from the start time of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set in the load pattern to the end of detection of the face detection signal. The second holding time T2 and the first holding time T1 from the time of detect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to the end time of the identification section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Thereafter,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compare the first holding time T1 and the second holding time T2 with a reference holding time range, and the first holding time T1 or the second holding time T2 is based on the comparison. If it is out of the holding time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limit switch or the tongue rail.

구체적으로, 반위검지신호는 제2 리미트 스위치(s2)가 캠바(cb)의 경사면(f1)을 내려올때까지 유지되므로, 동정구간(D) 내에서 반위검지신호가 검지될 수 있다. 이후 경사면(f1)을 모두 내려온 경우에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정위검지신호는 동정구간(D)이 완료되기 전에 제1 리미트 스위치(s1)가 캠바(cb)의 경사면(f1)에 접촉할때부터 정위검지신호가 감지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후, 동정구간(D)이 완료되면 제1 리미트 스위치(s1)는 캠바(cb)의 수평면(f2)과 접촉하여 정위검지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anti-counter detection signal is maintained until the second limit switch s2 descends the inclined surface f1 of the cam bar cb, the anti-counter detection signal can be detected with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FIG. Thereafter, when all the slopes f1 are lowered, signals may not be input. On the other hand, the stereotactic detection signal may be detected when the first limit switch s1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f1 of the cam bar cb before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is completed. Thereafter, when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is completed, the first limit switch s1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ne f2 of the cam bar cb to maintai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따라서, 동정구간(D) 내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제1 유지시간(T1)과 제2 유지시간(T2)는 캠바와 리미트 센서의 상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지시간(T1) 또는 제2 유지시간(T2)이 허용된 기준 유지시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텅 레일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Therefore, each of the first holding time T1 and the second holding time T2 sens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D may be determined by states of the cam bar and the limit sensor. Therefore, when the first holding time T1 or the second holding time T2 is out of the allowable reference holding time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limit switch or the tongue rail.

이외에도, 고장검출부(130)는 부하전류가 측정되지 않거나, 부하전류의 측정이 중간에 중단되는 등 다양한 경우를 검출하여, 고장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ailure by detecting a variety of cases, such as the load current is not measured, or the measurement of the load current is interrupted in the middle.

고장분석부는(140)는 고장검출부(130)에서 추출한 고장의 종류에 따라 심각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심각도에 따른 경고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고장분석부(140)는 각각의 경고 단계에 대응하는 경고를 출력하여, 운영자에게 고장발생을 알릴 수 있다. The failure analysis unit 140 may classify the seve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ault extracted from the failure detection unit 130 and set a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severity. Then, the failure analysis unit 140 may output a warning corresponding to each warning step, to notify the operator of the failure.

예를들어, 아래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심각도를 상, 중, 하로 구별하고, 각각의 심각도에 대응하는 경고 단계를 설정하여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경고 단계에 해당하는 발생조건은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따라서, 고장분석부(140)는 발생조건에 해당하면, 각각의 경고 단계를 구별하여 대응하는 경고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severity can be classified into high, medium, and low, and an alert level corresponding to each severity can be set to generate an alert. Here, the occurrenc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each warning step may be set in advance. Therefore, when the failure analysis unit 140 corresponds to the occurrence condi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each warning step and output a corresponding warning.

심각도Severity 경고 단계Warning steps 발생조건occurrence condition 후속조치Follow-up Ha 1단계 경고Tier 1 warning 1) 1개소 이상 단위 경고 1단계 발생1) 1 step or more unit warning occurs 점검 요청Check request medium 2단계 경고Tier 2 warning 1) 1개소 이상 단위 경고 2단계 발생2) 전체 대비 10% 이상 단위 경고 1단계 발생1) One or more unit warnings occur in two stages 2) More than 10% of unit warnings occur in one stage 점검 요청Check request Prize 3단계 경고Tier 3 warning 1) 1개소 이상 단위 경고 3단계 발생2) 전체 대비 10% 이상 단위 경고 2단계 발생1) One or more unit warnings occur in three levels 2) More than 10% of unit warnings occur in two levels 점검 요청Check request

한편, 각각의 경고 단계에 해당하는 발생조건은 아래 표2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ccurrenc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each warning step may be set according to Table 2 below.

심각도Severity 경고
단계
warning
step
발생 조건에 대한 진단 결과Diagnosis result about occurrence condition 비고Remarks
진단 조건Diagnostic conditions 초기
지연
구간
Early
delay
section
잠김
해제
구간
Locked
release
section
동정
구간
Sympathy
section
잠김
구간
Locked
section
종료
구간
End
section
Ha 1단계Stage 1 1)전류량 진단1) Current amount diagnosis ×× ×× ×× 2)패턴진단2) pattern diagnosis ×× ×× ×× 3)검지신호진단3) Detection signal diagnosis ×× ×× ×× ×× medium 2단계Tier 2 1)전류량 진단1) Current amount diagnosis ×× ×× ×× 2)패턴진단2) pattern diagnosis ×× ×× ×× ×× 3)검지신호진단3) Detection signal diagnosis ×× ×× ×× ×× ×× Prize 3단계Tier 3 1)전류량 진단1) Current amount diagnosis ×× ×× ×× ×× 2)패턴진단2) pattern diagnosis ×× ×× ×× ×× 3)검지신호진단3) Detection signal diagnosis ×× ×× ×× ×× ××

고장분석부(140)는 경고 단계에 따라 경고를 발생시켜, 운영자에게 선로전환기(1)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고장분석부(140)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경고문구를 출력하여 운영자에게 경고를 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운영자의 휴대전화 등으로 경고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이메일 등을 발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Failure analysis unit 140 may generate a warning according to the warning step, to inform the operator that the failure occurs in the line switch (1). In this case, the failure analysis unit 140 may output a warning sound or output a warning sentence to a display device to notify the operator of the warn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send an alert text message or send an e-mail or the like to the operator's mobile phon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선로 전환기 11: 쇄정유닛
100: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110: 부하패턴측정부
120: 검지신호 수신부 130: 고장검출부
140: 고장분석부
1: Line changer 11: Locking unit
100: line converter monitoring device 110: load pattern measurement unit
120: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130: fault detection unit
140: failure analysis unit

Claims (14)

선로전환기의 동작시 계측되는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부하패턴을 생성하는 부하패턴측정부;
상기 선로전환기의 동작에 따른, 텅레일(쇄정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검지신호 수신부; 및
상기 부하패턴 및 검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로전환기에 발생한 고장을 판별하는 고장검출부를 포함하는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A load pattern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load pattern by using a load current measured during operation of the line changer;
A detection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a position of a tongl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e switcher; And
And a failure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a failure occurring in the line changer by using the load pattern and the detec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패턴 측정부는
상기 부하전류를 실효치(RMS: Root Mean Square)로 환산하고, 상기 실효치를 샘플링하여, 상기 부하패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And converting the load current into a root mean square (RMS), sampling the effective value, and generating the load pattern as the load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패턴 측정부는
상기 부하패턴을 기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복수의 시간구간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ad pattern measuring unit
And the load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신호 수신부는
정위에 위치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반위에 위치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텅레일을 이동시키는 캠바에 의하여 터치되면,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터치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검지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When the first limit switch located at the position or the second limit switch located at the position is touched by the cam bar for moving the tongue rail, the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first limit switch or the second limit switch in response to the touch.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바는 경사면과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바가 상기 정위 또는 반위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경사면을 지나 상기 수평면 상에서 상기 캠바와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캠바의 경사면에 접촉할 때부터 상기 검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m ba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When the cam bar moves to the face or face, the first limit switch or the second limit switch passes the inclined surface and maintains contact with the cam bar on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first limit switch or the second limit switch generat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am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전류량, 각각의 시간구간에서의 패턴형상 및 상기 검지신호의 수신타이밍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로 전환기의 고장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ailure detection unit
A line changer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ailure of the line changer is determined by using any one of the amount of current in each time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the pattern shape in each time section, and the reception timing of the detection signal.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초기 지연 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지연값 이상이면, 상기 선로전환기의 주파수 변환기(Frequency Converter)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And determining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a frequency converter of the line converter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nitial delay period set in the load patter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delay valu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잠김해제구간 또는 잠김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최대피크값이 잠김피크값을 초과하면 상기 텅레일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장치에 걸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잠김해제구간 또는 잠김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잠김값을 초과하면 상기 잠금장치를 구동하는 모터에 걸림 또는 고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If the maximum peak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unlocking section or the locking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exceeds the locking peak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rail has occurred,
The device for monitoring the line 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ed or stuck in the motor driving the lock device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 the unlocking section or the locking section exceeds the reference locking valu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최대피크값이 동정피크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동정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동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텅레일에 걸림이나 고착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If the maximum peak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exceeds the identification peak value, or if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exceeds the reference identification value, the jammed or stuck on the towrail has occurred.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종료구간에 포함된 전류의 평균값이 기준종료값을 초과하면, 상기 텅레일을 구동하는 모터의 성능저하 또는 상기 모터의 위치검지 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If the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included in the end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exceeds the reference end value, the line changer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motor driving the tongue rail or malfunc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the motor.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잠김 해제 또는 잠김 구간에서 추출한 복수개의 연속된 샘플들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턴형상이 기준 잠김패턴과 상이하면 상기 선로전환기의 주파수 변환기 또는 모터 위치 감지 센서의 오류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Generating a pattern shape including an increasing or decreasing pattern from a plurality of consecutive samples extracted in the unlocking or locking interval set in the load pattern, and if the generated pattern shape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locking pattern, the frequency converter of the line converter Or determining by an error of the motor position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 구간에서 추출한 복수개의 연속된 샘플들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턴형상이 기준 동정패턴과 상이하면 상기 텅레일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A pattern shape including an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is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consecutive samples extracted in the identification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When the generated pattern shape is different from a reference identification pattern, an abnormality occurs in driving of the tow rail. And a line switch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텅레일을 반위에서 정위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부하패턴에 설정된 동정구간의 시작시간부터 반위 검지 신호의 감지 종료시점까지의 제1 유지시간과, 정위 검지 신호의 감지 시점부터 상기 동정구간의 종료시간까지의 제2 유지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유지시간 및 제2 유지시간이 기준 유지시간범위를 벗어나면, 리미트 스위치 또는 텅 레일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ault detection unit
When the tungsten rail is moved from the face to the face, the first holding time from the start time of the identification section set in the load pattern to the end of detection of the face detection signal, and the end of the identification section from the detection time of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Measuring a second holding time up to a time, and if the first holding time and the second holding time are out of the reference holding time range, determining that the limit switch or the tongue rail has fail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에서 추출한 고장의 종류에 따라 심각도를 분류하고, 상기 심각도에 따른 경고 단계를 설정하여, 각각의 경고 단계에 대응하는 경고를 출력하는 고장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전환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ailure analysis unit for classifying the seve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ailure extracted by the failure detection unit, setting a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outputting a warning corresponding to each warning step. .
KR1020180039750A 2018-04-05 2018-04-05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KR102086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50A KR102086221B1 (en) 2018-04-05 2018-04-05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50A KR102086221B1 (en) 2018-04-05 2018-04-05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58A true KR20190116758A (en) 2019-10-15
KR102086221B1 KR102086221B1 (en) 2020-03-06

Family

ID=6820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750A KR102086221B1 (en) 2018-04-05 2018-04-05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0215A (en) * 2019-11-27 2020-02-28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Point switch fault typ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900A (en)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Monitoring device of railroad switch point for railw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07A (en) 1999-03-26 2000-02-07 이경락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ignal equipment difficulty in train
JP2009083577A (en) * 2007-09-28 2009-04-23 Sankosha Co Lt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electric switching machine, and its device
JP2010254177A (en) * 2009-04-27 2010-11-11 Kyosan Electric Mfg Co Ltd Maintenance data coll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07A (en) 1999-03-26 2000-02-07 이경락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ignal equipment difficulty in train
JP2009083577A (en) * 2007-09-28 2009-04-23 Sankosha Co Lt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electric switching machine, and its device
JP2010254177A (en) * 2009-04-27 2010-11-11 Kyosan Electric Mfg Co Ltd Maintenance data collection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0215A (en) * 2019-11-27 2020-02-28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Point switch fault typ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CN110850215B (en) * 2019-11-27 2021-11-12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Point switch fault typ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221B1 (en)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974B1 (en) Controller for switch machine
KR101001712B1 (en) Detec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rail damage position
KR1002889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ignal equipment difficulty in train
KR10208622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point machine
KR20090123406A (en) Detec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rail damage
CN101563283A (en) Condition monitoring method
CN103764480A (en) Railway signaling system with redundant controllers
KR20140029971A (en) Real-time monitering and diagnostic system for turn-out branching-off point and crossing
WO2024067481A1 (en) Railway vehicle pantograph-catenary wear anomal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9011039A1 (en) Turnou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49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normal operation of arc detecting in power system
KR100945854B1 (en) Fault detection circuit of railroad signal controller
KR102209844B1 (en) Rail fracture decision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rail fracture using the same
CN108982988B (en) Power failure early warning diagnosis method
KR101381869B1 (en) Release detection apparatus for bolt and nut using washer
KR101448012B1 (en) Release detection apparatus for bolt and nut using spring washer and conductor
CN110412391A (en) A kind of monitoring method for urban track traffic pantograph
CN113049920A (en) Switch cabinet partial discharge and temperature onlin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798303B1 (en) Train integrity monitoring apparatus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rain
CN103675778A (en) Detecting device for local oscillator signal
CN209417193U (en) A kind of safety return circuit breakpoint detection system
KR102146168B1 (en) A life checking system of ATC decoder board components and the managing method of ATC decoder board using thereof
US3474542A (en) Wheel gauge detector system
CN111855023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wear condition of guide sliding surface of wedge
KR20150046947A (en) Lamp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