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473A -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473A
KR20190116473A KR1020197027498A KR20197027498A KR20190116473A KR 20190116473 A KR20190116473 A KR 20190116473A KR 1020197027498 A KR1020197027498 A KR 1020197027498A KR 20197027498 A KR20197027498 A KR 20197027498A KR 20190116473 A KR20190116473 A KR 2019011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pressure
carrier
acrylonitr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185B1 (ko
Inventor
베아트리체 잘러트
미하엘 예거
카이롱 림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9011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3Natural or synthetic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9J1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09J2201/618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9/00Presence of diene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표면 중 하나 위에 감압 접착제 화합물 층 HS1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으로서, (i) 캐리어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고, (ii) 감압 접착제 화합물 층 HS1이 감압 접착제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 화합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수지를 함유하고, 접착제 수지의 비율이 총 30 내지 130 phr인, 감압 접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본 발명은, 광범위 스트레칭(extensive stretching)에 의해 다시 분리될 수 있는 결합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높은 탄성(elastic) 또는 가소 신장성(plastic extensibility)을 갖고, 결합면 내, 즉, 0°의 제거 각도에서 광범위 스트레칭에 의해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재탈착될 수 있는 감압 접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US 4,024,312 A, DE 33 31 016 C2, WO 92/11332 A1, WO 92/11333 A1, DE 42 22 849 C1, WO 95/06691 A1, DE 195 31 696 A1, DE 196 26 870 A1, DE 196 49 727 A1, DE 196 49 728 A1, DE 196 49 729 A1, DE 197 08 364 A1, DE 197 20 145 A1, DE 198 20 858 A1, WO 99/37729 A1 및 DE 100 03 318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하기에서 스트립핑 가능한(strippable) 감압 접착 테이프로서 언급된다.
이러한 종류의 스트립핑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작업이 개시되는 비-감압 접착 그립 영역(non-pressure-sensitive adhesive grip region)을 갖는, 한 면 또는 양면이 감압성인 접착 필름 스트립의 형태로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감압 접착 테이프의 특정 적용은 DE 42 33 872 C1, DE 195 11 288 C1, US 5,507,464 B1, US 5,672,402 B1 및 WO 94/21157 A1을 포함하는 공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정 구체예는 또한 DE 44 28 587 C1, DE 44 31 914 C1, WO 97/07172 A1, DE 196 27 400 A1, WO 98/03601 A1 and DE 196 49 636 A1, DE 197 20 526 A1, DE 197 23 177 A1, DE 197 23 198 A1, DE 197 26 375 A1, DE 197 56 084 C1, DE 197 56 816 A1, DE 198 42 864 A1, DE 198 42 865 A1, WO 99/31193 A1, WO 99/37729 A1, WO 99/63018 A1, WO 00/12644 A1 및 DE 199 38 693 A1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스트립핑 가능한 접착 필름 스트립의 용도의 바람직한 분야는 특히 주거, 작업, 및 사무실(office) 부문에서 경량 내지 중간-중량 물품을 잔류물 없이, 그리고 비파괴적으로 재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작업 및 사무실 부문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400 ㎛ 초과의 상당한 두께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랩탑(laptop)의 생산과 같은 소비자 가전 산업에서, 그것들이 사용된 후 처분시 개별 구성요소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열망이 계속 커지고 있다. 이후, 일부 구성요소가 재사용되거나 재활용될 수 있거나, 적어도 분리 처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산업에서 이형 가능한 접착제 결합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여기서, 특히, 요망에 따라 높은 유지력(holding power)을 보유하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는 탈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먼저 전처리되어야 하는 접착 스트립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구성한다. 소비자 가전 부문에서, 최종 디바이스는, 극히 얇고, 이에 따라 모든 개별 구성요소가 또한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극히 얇은 접착 스트립이 선호된다.
캐리어 없이 작용하는, 매우 얇은 스트립핑 가능한 접착 스트립이 사용되는 경우, 인열의 빈도가 증가한다(DE 33 31 016 C2 참조). 그러나, 접착 스트립이 인열되면, 탈착은 일반적으로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접착 스트립의 잔류물이 접합부로 다시 튀어나오고, 이에 따라 그립 탭(grip tab)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WO 92/11333 A1에는 < 50%의 스트레칭 후 탄력성(resilience)을 갖는 고도로 스트레칭 가능한 필름을 캐리어로서 사용하는, 스트립핑 가능한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WO 92/11332 A1에는 결합면에서 당김으로써 재탈착가능하고, 사용되는 캐리어가 고도로 스트레칭 가능한, 실질적으로 비탄력성(nonresilient) 필름일 수 있는, 접착 필름 스트립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는 오로지, 높은 결합 강도를 달성할 수 없고, 예를 들어,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접착제에 대한 경우에 비해서 스트레칭 동안 보다 작은 박리 접착력(peel adhesion) 손실을 겪는, UV-가교된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이다.
WO 2010/141248 A1과 같은 추가의 공보에는 마찬가지로 낮은 박리 접착력을 나타내는, 감압성 폴리이소부틸렌 접착제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발포된, 비감압성 접착 필름 캐리어를 갖는, 스트립핑 가능한 접착 필름 스트립은 WO 95/06691 A1, DE 196 49 727 A1, DE 196 49 728 A1, DE 196 49 729 A1 및 DE 198 20 858 A1에 기재되어 있다. 포움(foam) 물질의 중간 캐리어로 인해, 접착 필름 스트립에 대해 200 ㎛ 미만의 얇은 두께는 가능하지 않다.
발포된 감압 접착제 시스템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폴리머 포움은 두 가지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은 그 자체가 첨가되든, 또는 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것이든 간에 블로잉 가스(blowing gas)의 효과를 통해서이고, 두 번째 방식은 중공 구체를 물질 매트릭스내로 도입시키는 것을 통해서이다. 후자의 경로에 의해 생성된 포움은 신택틱 포움(syntactic foam)으로서 지칭된다.
중공 마이크로비드(microbead)로 발포된 조성물은 포움 셀(foam cell)의 균질한 크기 분포를 갖는 한정된 셀 구조가 주목할 만하다. 중공 마이크로비드를 사용하면, 공극이 없는 폐쇄-셀 포움이 얻어지며, 그 특징에는 개방-셀 변형체와 비교하여 더스트(dust) 및 액체 매질에 대한 보다 우수한 밀봉 작용이 포함된다. 또한,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발포된 물질은 압력 및 온도 하에서 비가역적인 붕괴 경향이 더 크며, 흔히 보다 낮은 응집 강도를 나타낸다. 발포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비드가 팽창성 마이크로비드("마이크로벌룬(microbaloon)"으로도 지칭됨)인 경우, 특히 유리한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이들의 유연한 열가소성 폴리머 쉘(thermoplastic polymer shell)로 인해, 이러한 종류의 포움은 비팽창성의, 비폴리머 중공 마이크로비드(예를 들어, 중공 유리 구체)로 채워진 것들보다 더 높은 적응력을 갖는다. 마이크로비드는, 예들 들어, 사출 성형 부재의 경우에 규정 대로 제조 허용오차에 대한 보상에 대해 보다 우수한 적합성을 가지며, 또한 이들의 포움 특성으로 인해 열 응력을 보다 잘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쉘의 열가소성 수지의 선택을 통해 포움의 기계적 특성에 더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움이 매트릭스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갖는 경우에도, 단독의 폴리머 매트릭스에 의한 것보다 높은 응집 강도를 갖는 포움을 생산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거친 표면에 대한 적응력과 같은 전형적인 포움 특성은 감압 접착 포움에 대한 높은 응집 강도와 조합될 수 있다.
EP 0 257 984 A1에는 적어도 한면 상에 발포된 접착제 코팅을 갖는 접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 코팅 내에 폴리머 구체가 함유되고, 이는 이후 탄화수소 액체를 포함하고, 승온에서 팽창한다. 감압 접착제의 스캐폴드 폴리머(scaffold polymer)는 고무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벌룬이 중합 전 또는 후에 첨가된다. 감압 접착제의 마이크로벌룬은 용매로부터 가공되고 성형되어 접착 테이프를 형성한다. 발포 단계는 논리상 코팅 작업 후에 일어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세-거친 표면(micro-rough surface)이 얻어진다. 이는 특히 재배치 가능성(repositionability)과 같은 특성을 가져온다. 마이크로벌룬을 사용하여 발포된 자가-접착제의 미세-거친 표면에 의한 보다 우수한 재배치가능성 효과는 또한 DE 35 37 433 A1 또는 WO 95/31225 A1과 같은 다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미세-거친 표면은 기포-비함유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용도가 또한 EP 0 693 097 A1 및 WO 98/18878 A1에 개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벌룬을 사용하여 발포된 감압 접착제는 또한 명세서 US 4,885,170 A 및 EP 1 102 809 B에 공지되어 있지만, 여기에서 그러한 조성물은 재탈착가능하지 않은 영구 접착을 위한 접착 테이프용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소비자 가전 산업의 디바이스 중에는, 전자식, 광학식 및 정밀 디바이스가 있으며, 이러한 적용의 맥락에서, 특히 표장의 등록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Goods and Services for the Registration of Marks(Nice 분류))의 제9류로 분류되는 디바이스; 이것들이 전자식, 광학식 또는 정밀 디바이스, 및 또한, 제14류(NCL(10-2013))에 따른 시계, 손목시계(watch) 및 크로노미터(chronometer)인 경우라면 제10판(NCL(10-2013)),
예컨대, 특히,
● 과학, 해양, 측정, 사진, 필름, 광학, 계량, 측정, 신호, 모니터링, 구조 및 지시 장치 및 기기;
● 전기를 전도, 전환, 변환, 저장, 조절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기기;
● 화상 기록, 처리, 전송, 및 재생 디바이스, 예컨대, 텔레비전 등;
● 음향 녹음, 처리, 전송, 및 재생 디바이스, 예컨대, 방송 디바이스 등;
● 컴퓨터, 계산 기기 및 데이터-처리 디바이스, 수학적 디바이스 및 기기, 컴퓨터 부속품, 사무실 기기(예를 들어, 프린터, 팩스, 복사기, 타자기), 데이터-저장 디바이스;
● 통신 기능이 있는 다기능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전화기 및 자동 응답기;
● 화학적 및 물리적 측정 디바이스, 제어 디바이스, 및 기기, 예컨대, 배터리 충전기, 멀티미터(multimeter), 램프 및 유속계(tachometer);
● 항해 디바이스 및 기기;
● 광학 디바이스 및 기기;
● 의료 디바이스 및 기기 및 스포츠맨을 위한 것들;
● 시계, 손목시계 및 크로노미터;
● 태양 전지 모듈, 예컨대, 전기 화학 염료 태양 전지, 유기 태양 전지 및 박막 전지; 및
● 소화 장비가 있다.
기술 개발은 설계가 점점 더 작고 더 가벼운 디바이스의 방향으로 점점 더 나아가고 있어서, 디바이스의 소유자들은 디바이스를 항상 휴대할 수 있게 되었고, 대개 일반적으로 휴대하고 있다. 이는 이제 그러한 디바이스의 낮은 중량 및/또는 적당한 크기의 실현에 의해 점점 더 달성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상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지칭된다. 이러한 개발 추세로, 정밀 및 광학 디바이스에 점점 더 (또한) 전자 부품이 제공됨으로써 최소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휴대성으로 인해, 이들은 증가된 부하, 특히, 예를 들어, 가장자리에 충격을 가하거나 떨어지거나, 가방 안의 다른 단단한 물체에 닿거나, 그 밖에 단순히 휴대되는 것 자체와 관련된 영구적인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 부하에 주어진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고 거의 또는 전혀 움직이지 않는 "부동" 디바이스보다 수분 노출, 및 온도 영향 등으로 인한 부하에 더 큰 정도로 주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감압 접착 스트립이 이의 예기치 않게 양호한 특성(매우 높은 내충격성, 광범위 스트레칭 동안 인열에 대한 낮은 민감성, 즉, 낮은 인열 민감성)으로 인해 여기서 특별한 이점을 갖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휴대용 디바이스가 하기에서 열거되며, 하기 목록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대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하여 어떠한 불필요한 제한을 가하려는 것은 아니다.
●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촬영 부속품(예컨대, 조명 미터(light meter), 플래시건(flashgun), 다이어프램(diaphragm), 카메라 케이스, 렌즈 등), 필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 소형 컴퓨터(모바일 컴퓨터(mobile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핸드헬드 계산기), 랩탑, 노트북, 넷북(netbook), 울트라북(ultrabook),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handheld), 전자 다이어리(electronic diary) 및 수첩(organizer)(소위, "전자 수첩(electronic organizer)" 또는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탑(palmtop)), 모뎀(modem),
● 컴퓨터 부속품 및 전자 디바이스용 조작 유닛, 예컨대, 마우스, 드로잉 패드(drawing pad), 그래픽 태블릿(graphics tablet), 마이크로폰(microphone), 스피커(loudspeaker), 게임 컨솔(games console), 게임패드(gamepad), 리모콘(remote control), 원격 조작 디바이스(remote operating device), 터치패드(touchpad),
● 모니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감응식 스크린(touch-sensitive screen)(센서 스크린, 터치스크린 디바이스(touchscreen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 전자 책("e-북(e-book)")용 리딩 디바이스(reading device),
● 미니 TV, 포켓 TV, 영화 재생 디바이스, 비디오 플레이어,
● 라디오(미니 및 포켓 라디오 포함), 워크맨(Walkman), 디스크맨(Discman), 뮤직 플레이어(music player), 예를 들어, CD, DVD, 블루-레이(Blue-ray), 카세트, USB, MP3, 헤드폰,
● 무선 전화기,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양방향 라디오, 핸즈프리 전화기(hands-free telephone), 사람 소환 디바이스(호출기(pager), 삐삐(bleeper)),
● 휴대 제세동기(mobile defibrillator), 혈당 측정기, 혈압 모니터, 스텝 카운터(step counter), 맥박계(pulse meter),
● 손전등(torch),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 모바일 탐지기(mobile detector), 광학 돋보기(optical magnifier), 쌍안경, 야간 투시 디바이스(night vision device),
● GPS 디바이스, 네비게이션 디바이스(navigation device), 위성 통신을 위한 휴대용 인터페이스 디바이스(portable interface device),
●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USB 스틱(stick), 외장 하드 드라이브(external hard drive), 메모리 카드(memory card)),
● 손목시계, 디지털 시계, 회중 시계, 체인 시계, 스톱워치(stopwatch).
이들 디바이스의 경우, 특별한 요건은 접착 테이프가 요망에 따라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핸드폰이 떨어져서 지면에 부딪칠 때 접착 테이프의 고정력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접착 스트립이 높은 내충격성을 가져야 한다. DE 10 2015 206 076 A1에는, 결합의 면에서 실질적으로 광범위 스트레칭을 통해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재탈착될 수 있는, 감소된 탈착력 및 높은 내충격성을 갖는 이러한 종류의 감압 접착 스트립으로서, 감압 접착 스트립이 하나 이상의 감압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중간 캐리어 층으로 이루어지며, 감압 접착 스트립이 오로지 명시된 접착제 층과 임의로 존재하는 중간 캐리어 층으로만 이루어지고, 감압 접착 스트립의 외측 상면 및 외측 하면이 명시된 접착제 층 또는 층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감압 접착제 층들 모두가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가 마이크로벌룬으로 발포되고 특히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 및 점착부여 수지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는, 감압 접착 스트립이 기재되어 있다.
DE 10 2012 223 670 A1은 결합면에서 실질적으로 광범위 스트레칭에 의해 재탈착 가능한 적어도 2개, 더욱 특히, 3개의 층으로 구성된 감압 접착 필름 스트립으로서, 제1의 접착제 외층이 적어도 한 면에 존재하는 캐리어를 갖고, 접착제 층이 비닐 방향족 블록 코폴리머 및 점착부여 수지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된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적어도 75% 정도(전체 수지 분율 기준)로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0℃ 초과의 DACP(디아세톤 알콜 운점)를 갖는 수지가 선택되며, 캐리어가 적어도 100%의 파단시 연신율 및 50% 초과의 탄력을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감압 접착 필름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는 이에 따라 고도로 신장 가능하고 큰 정도로 탄성이다. 또한, 큰 부분의 점착부여 수지는, 고정력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로, 접착제 층에서부터 캐리어로 이동할 수 없다.
DE 10 2015 215 247 A1호는 베이스 폴리머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및 또한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로서, 점착부여 수지가 30 내지 130 phr이고,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들) 중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0 내지 30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감압 접착제는 비용이 절감되며, 다양한 매질에서 장기간 저장 후에도 어떠한 박리 접착력도 손실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부터의 스트립핑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의 문제는 특히, 예를 들어, 결합면에 대해 45°초과, 예컨대, 결합면에 대해 90°의 각도에서 떼어낼 때 이들이 빈번히 찢어진다는 것이다. 탈착은 이후 일반적으로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접착 스트립의 나머지가 접합체에 다시 튀어 오르고, 그에 따라서 더 이상 그립 탭이 이용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예를 들어,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의 경우인데, 이들이 코팅된 폴리우레탄 캐리어와 어셈블리에서 이들을 사용될 때에도 그러하다. 그러나, 특히,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스트립핑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이용 가능한 공간이 점점 더 적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찢김 없이 결합면에 대해, 예를 들어, 90°와 같이 45°초과의 각도에서도 떼어낼 수 있는 스트립핑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에 대한 요구가 있다. 예로는 배터리 장착에서 그러한 스트립핑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의 사용이다. 또한, 내충격성이 더 개선된 스트립핑 가능한 감압 접착 테이프에 대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면에 대해, 예를 들어, 90°와 같이 45°초과의 각도에서 광범위 스트레칭, 즉, 당김에 의해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재탈착될 수 있는 감압 접착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목적은 결합면에 대해, 예를 들어, 90°와 같이 45°초과의 각도에서 광범위 스트레칭 동안 접착 스트립의 인열 민감성, 즉, 찢김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감압 접착 스트립이 전형적으로 개선된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감압 접착 스트립에 의해, 즉, 캐리어 및 캐리어의 표면 중 하나 위에 배치된 감압 접착제의 층 HS1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에 의해 달성되고, 여기서,
(i) 캐리어는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고,
(ii) 감압 접착제의 층 HS1은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30 내지 130 phr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서, 신장성 캐리어, 즉, 적어도 떼어내는 방향(캐리어의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일 수 있음)으로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와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 층의 조합은 광범위 스트레칭, 특히, 결합면에 대해, 예를 들어, 90°와 같이 45°초과의 각도에서 광범위 스트레칭 동안 인열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특히 결합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에서 광범위 스트레칭에 의해 찢김에 대한 단지 약간의 민감성으로,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재탈착될 수 있다. 가능한 각도는, 예를 들어, 0°, 즉, 특히 결합면에서 0°, 또는 결합면에 대해, 예를 들어, 90°와 같이 45°초과이다. 상이한 각도, 예컨대, 0°, 또는, 예를 들어, 45°초과에서 광범위 스트레칭 시에, 감압 접착 스트립은 또한 잔류물 없이 매우 용이하게 탈착되며; 따라서, 분명하게는, 광범위 스트레칭의 과정 동안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점착성의 뚜렷한 감소가 있다. 또한, 명시된 조합은 생성된 감압 접착 스트립의 측면에서, 전형적으로 횡방향 충격 강도로도 불리는 x,y-면, 뿐만 아니라 침투 충격 강도로도 불리는 z-면에서 개선된 내충격성을 야기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전형적으로 높은 박리 접착력을 나타낸다.
종속항은 감압 접착 스트립의 유리한 구체예에 관한 것이다.
액체 고무는 40℃ 미만의 연화점(Ts)을 갖다는 점에서 고체 고무와 상대적으로 구별된다. 따라서, 고체 고무는 40℃ 미만의 연화점(Ts)을 갖는 않는 것이 특징이다. 올리고머 화합물, 폴리머 화합물, 및 수지의 연화점(Ts)에 대한 데이터는, 적절한 단서 적용으로(달리 존재하는 절차로 비튜멘(bitumen) 대신에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 샘플의 분석), DIN EN 1427:2007의 링 앤 볼 방법(ring and ball method)을 기초로 하고; 측정은 글리세롤 배쓰에서 이루어진다.
감압 접착제의 층 HS1에서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이 30 내지 130 phr인 경우, 감압 접착제의 층은 특히 동시에 접착성과 응집성에 대한 양호한 값으로 특징화된다.
용어 "점착부여 수지"는 점착성을 증가시키는 수지-기반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본 특허 출원의 목적상, 점착부여 수지는 폴리머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각각 phr("고무 100 당 부(parts per hundred rubber)")로 본 특허 출원에서 주어지는 데이터는 감압 접착제, 즉, PSA의 모든 고체 고무 성분 100중량부 당 상대 성분의 중량부를 의미하고, 그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점착부여 수지 또는 액체 고무를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서, 감압 접착제(PSA)의 층 HS1에 마주하는 캐리어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것은 감압 접착제(PSA)의 층 HS2이다. PSA 층 HS2는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이 앞에 있는 PSA 층 HS1과 같이 PSA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PSA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 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30 내지 130 phr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PSA 층 HS1 및 HS2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캐리어의 표면 중 하나 위에 "배치된" PSA 층 HS1 또는 HS2의 개념은 본 특허 출원에서 각각의 PSA 층이 캐리어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즉, 표면 위에 바로 배치되게 하는 배치를 지칭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한 배치는 PSA 층 HS1 또는 HS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층은 광범위 스트레칭에 의해, 더욱 특히, 결합면에 대해 45°초과의 각도에서 감압 접착 스트립의 잔류물-비함유 및 비파괴적 탈착력에 대립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서, PSA 층 HS1 및/또는 HS2, 및 더욱 특히 PSA 층 HS1 및 HS2는 캐리어의 두 표면 중 각각 하나와 직접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서, PSA 층 HS1 및/또는 HS2, 더욱 특히 PSA 층 HS1 및 HS2는 외부 PSA 층이다. 이는 감압 접착 스트립이 바람직하게는 외측 상면 및 외측 하면을 갖고, 외측 상면 및 외측 하면이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갖지 않고, 더욱 특히, 감압 접착 스트립의 일부인 다른 접착제 층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되기 전에, 감압 접착 스트립은 한 면 또는 양면이 라이너로 커버링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에 따르면, 라이너(이형 페이퍼, 이형 필름)은 감압 접착 스트립의 구성 성분이 아니라, 대신에 단지 이의 생산, 저장을 돕거나 다이 컷팅에 의한 전진 가공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 함유되는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와 대조적으로, 라이너는 접착제 층에 단단하게 접합되지 않는다.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층 HS1, 및,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서 존재하는 경우,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층 HS2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PSA 층이다. 이러한 종류의 감압 접착 스트립에서, 본 발명에 따라 관찰되는 이점, 즉, 전형적으로 x,y-면과 z-면 둘 모두에서의 높은 내충격성은 특히 우수한 효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의 문맥에서,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30 내지 130 phr임)를 추가로 포함하는 PSA로 이루어진 PSA 층을 의미한다. 추가로,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30 내지 130 phr임)를 추가로 포함하는 PSA를 의미한다.
한 가지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적어도 250%의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 및
캐리어의 표면 중 하나 위에 배치되고,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30 내지 130 phr임)를 추가로 포함하는 PSA로 이루어지는, PSA 층 HS1; 및
임의로 추가의, PSA 층 HS1에 마주하는 캐리어의 표면 위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30 내지 130 phr임)를 추가로 포함하는 PSA로 이루어지는, PSA 층 HS2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면 및 양면 접착 테이프는 결합면에 대해 45°초과의 각도에서 제거할 때에도 최대 낮은 정도의 인열 민감성을 특징으로 하고, 추가로 뛰어난 내충격성, 즉, 횡방향 충격 강도 및 침투 충격 강도를 갖는다.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양면 접착 테이프는 상술된 바와 같다. 본 특허 출원의 의미에서 접착 테이프는 한 면 또는 양면이 접착제로 코팅된 시트형 또는 테이프형 캐리어 구조체, 그에 따라서 통상적인 테이프뿐만 아니라 라벨, 절편, 다이 컷(펀칭된, 접착제-코팅된, 시트형 캐리어 구조체), 및 2차원적으로 연장되는 구조체(예를 들어, 필름) 등, 예컨대, 다층 장치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인 것으로 이해된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중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10 내지 25 wt%, 및 더욱 특히 15 내지 20 wt%이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특히 낮은 인열 민감성 및 특히 높은 내충격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중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분율의 총합은 바람직하게는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50 wt%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에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가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중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10 내지 25 wt%, 및 더욱 특히 15 내지 20 wt%이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중의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분율의 총합은,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0 w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wt%, 및 더욱 특히 2 내지 10 wt%이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에서, 베이스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또는 액체 및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로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SA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외의 폴리머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폴리머는 90 wt% 초과, 바람직하게는 95 wt% 초과의 정도로 고체 및 임의로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에는, 적어도 세 개의 합성 니트릴 고무 S1, S2, 및 S3의 배합물이 존재하고, 여기서
(a) 배합물은 DSC에서 적어도 세 개의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상-분리되고,
(b) 적어도 하나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 초과이고, 하나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 미만이고,
(c)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1은 35 wt%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고,
(d)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2는 25 wt% 초과 및 35 wt% 미만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고,
(e)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3은 25 wt% 이하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는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도메인의 결과로, 저온 충격 강도 및 저온에서의 접착력이 증가되고;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도메인의 결과로, 고온에서의 결합 강도 및 압력 및 온도하에 다이 컷의 치수 안정성이 얻어진다.
적어도 세 개의 합성 니트릴 고무 S1, S2, 및 S3의 그러한 배합물을 포함하는 PSA 층 HS1 및/또는 HS2에서,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1의 중량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총 니트릴 고무 분율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wt%이고;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2의 중량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총 니트릴 고무 분율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90 wt%이고;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3의 중량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총 니트릴 고무 분율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wt%이다.
니트릴 고무 S1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Eni Chem으로부터 EuropreneTM으로서, 또는 Bayer로부터 KrynacTM 및 PerbunanTM으로부터, 또는 Zeon으로부터 BreonTM 및 Nipol NTM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수소화된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Bayer로부터 TherbanTM으로서 및 Zeon으로부터 ZetpolTM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고온 또는 차가운 온도에서 중합된다. 니트릴 고무 S1은 35 wt% 초과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는다. 그러나, 완전한 상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은, 이후 S1의 총 분율을 기준으로 하여, 60 wt% 미만이어야 한다. 추가 기준은 니트릴 고무 S1의 유리 전이 온도이다. 미세상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한 가지 바람직한 버전에서 DSC에서의 정적 유리 전이 온도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초과여야 한다. 니트릴 고무 S1에 대한 추가 기준은 무우니 점도(Mooney viscosity)이다. 저온에서 높은 가요성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은 120 미만(100℃에서 무우니 ML 1+4, DIN 53523에 따름)이어야 한다. 그러한 니트릴 고무의 상업적 예는, 예를 들어, Zeon Chemicals로부터의 NipolTM 40-5이다.
니트릴 고무 S2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Eni Chem으로부터 EuropreneTM으로서, 또는 Bayer로부터 KrynacTM 및 PerbunanTM으로부터, 또는 Zeon으로부터 BreonTM 및 Nipol NTM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수소화된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Bayer로부터 TherbanTM으로서 및 Zeon으로부터 ZetpolTM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고온 또는 차가운 온도에서 중합된다. 니트릴 고무 S2는 35 wt% 미만 및 25 wt% 초과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는다. 추가 기준은 니트릴 고무 S2의 유리 전이 온도이다. 미세상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한 가지 바람직한 버전에서, DSC에서의 정적 유리 전이 온도는 -2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이어야 한다. 니트릴 고무 S2에 대한 추가 기준은 무우니 점도이다. 저온에서 높은 가요성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은 100 미만(100℃에서 무우니 ML 1+4, DIN 53523에 따름)이어야 한다. 그러한 니트릴 고무의 상업적 예는, 예를 들어, Zeon Chemicals로부터의 BreonTM N33C50 이다.
니트릴 고무 S3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Eni Chem으로부터 EuropreneTM으로서, 또는 Bayer로부터 KrynacTM 및 PerbunanTM으로부터, 또는 Zeon으로부터 BreonTM 및 Nipol NTM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수소화된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Bayer로부터 TherbanTM으로서 및 Zeon으로부터 ZetpolTM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고온 또는 차가운 온도에서 중합된다. 니트릴 고무 S3은 25 wt% 미만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는다. 그러나, 완전한 상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은, 이후 S3의 총 분율을 기준으로 하여, 4 wt% 초과여야 한다. 추가 기준은 니트릴 고무 S3의 유리 전이 온도이다. 미세상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한 가지 바람직한 버전에서, DSC에서의 정적 유리 전이 온도는 -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어야 한다. 니트릴 고무 S3에 대한 추가 기준은 무우니 점도이다. 저온에서 높은 가요성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은 100 미만(100℃에서 무우니 ML 1+4, DIN 53523에 따름)이어야 한다. 그러한 니트릴 고무의 상업적 예는, 예를 들어, Zeon Chemicals로부터의 NipolTM 1034-60이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가공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예컨대, 합성 고무와,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wt% 이하의 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특히 이 시점에 언급될 수 있는 대표예는 특히 상용성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타입을 포함한다.
한 가지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하는 PSA는 고체 및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하나 이상의 점착부여 수지, 바람직하게는 에이징 억제제(들), 및 임의로 이형 보조제의 조성물이다. 또한, 임의로, 가소제, 충전제 및/또는 염료가 전형적으로 소량으로 추가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불활성 이형 보조제, 예컨대, 활석, 실리케이트(활성, 점토, 운모), 아연 스테아레이트, 및 PVC 분말과, 더욱 특히, 3 phr의 규모로 혼합될 수 있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에서,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 phr,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 phr, 및 더욱 특히 60 내지 100 phr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형적으로 특히 우수한 접착성과 응집성 값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착부여 수지로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PSA 층 HS1 및/또는 HS2에서, 특히 수소화된 및 비수소화된 탄화수소 수지 및 폴리테르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것들 중에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수소화된 폴리머(예를 들어, Escorez 5300er 시리즈; Exxon Chemicals), 바람직하게는 C8 및 C9 방향족 물질의 수소화된 폴리머(예를 들어, Regalite 및 Regalrez 시리즈; Eastman Inc., 또는 Arkon P 시리즈; Arakawa)가 우선하여 적합하다. 이러한 수지는 순수한 방향족 스트림으로부터 폴리머의 수소화를 통해, 또는 달리 상이한 방향족 물질들의 혼합물을 기반으로 한 폴리머의 수소화에 기인할 수 있다. C8 및 C9 방향족 물질의 부분 수소화 폴리머(예를 들어, Regalite 및 Regalrez 시리즈; Eastman Inc. 또는 Arkon M; Arakawa), 수소화 폴리테르펜 수지(예를 들어, Clearon M; Yasuhara), 수소화 C5/C9 폴리머(예를 들어, ECR-373; Exxon Chemicals), 방향족 개질된 선택적으로 수소화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유도체(예, Escorez 5600er 시리즈; Exxon Chemicals)가 또한 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점착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그리고 혼합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는, 예를 들어, 04478554133731482074628455411980660994/1117595/2577497/07963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배합물 성분으로서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이중 결합의 부재가 가교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한, 예를 들어,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가교 촉진제가 사용되는 경우, 비수소화 수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수소화 수지의 비수소화 유사체인 다른 비수소화 탄화수소 수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로진-기반 수지(예를 들어, Foral, Foralyn)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로진 수지는, 예를 들어, 천연 로진, 중합된 로진, 부분 수소화 로진, 완전 수소화 로진, 이러한 종류의 로진의 에스테르화 생성물(예컨대, 글리세롤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메틸 에스테르), 및 로진 유도체(예컨대, 불균화 로진, 푸마르산-개질된 로진, 및 라임-개질된 로진)을 포함한다.
점착부여 수지는 임의로 α-피넨 및/또는 β-피넨 및/또는 δ-리모넨, 또는 테르펜-페놀계 수지를 기반으로 한 폴리테르펜 수지이다.
이들의 어떠한 요망되는 조합물이 요건에 따라 생성된 PSA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문헌["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by Donatas Satas (van Nostrand, 1989)]에서 지식 상태의 설명이 명백하게 참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수지는 테르펜-페놀계 수지 및/또는 폴리테르펜, 및 특히 테르펜-페놀계 수지이고, 예로는 상표명 Dertophene하에 DRT에 의해 또는 상표명 Sylvares하에 Arizona에 의해 시판되는 것들과 같은 테르펜-페놀계 수지가 있다.
광학적 및 기술적 접착제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PSA는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염료 또는 에이징 억제제(오존방지제, 산화방지제(일차 및 이차), 광 안정화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는 하기와 같다:
● 예를 들어, 입체 장애된 페놀과 같은, 일차 산화방지제,
● 예를 들어, 포스파이트 또는 티오에테르와 같은, 이차 산화방지제,
● 예를 들어, UV 흡수제 또는 입체 장애된 아민과 같은, 광 안정화제.
충전제는 강화 또는 비강화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실리콘 디옥사이드(흄드 실리카와 같은 불규칙형, 바늘형, 또는 구형), 필로실리케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아연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 옥시하이드록사이드이다.
광학적 및 기술적 접착제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의 농도는,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0 w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wt% 이하, 및 더욱 특히 5 wt%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고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에서, 모든 첨가된 물질(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및 점착부여 수지 외에), 예컨대, 합성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충전제 및/또는 염료 및/또는 에이징 억제제의 분율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총 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2 wt%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열거된 물질들은 PSA에 반드시는 아니지만 대신에 단지 임의로 존재하지 않으며; 다시 말해서, PSA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요망되는 조합의 이러한 물질의 첨가 없이도, 이에 따라 합성 고무 및/또는 엘라스토머 및/또는 충전제 및/또는 염료 및/또는 에이징 억제제 없이도 기능한다.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PSA 층 HS1 및/또는 HS2는, 특히 내충격성의 추가 개선의 가능하고 전형적인 결과로, 발포된다. 발포는 특히 마이크로벌룬의 도입 및 후속 팽창을 통해 달성된다.
"마이크로벌룬"은 열가소성 폴리머 쉘을 갖는, 탄성적이고 이에 따라 이의 바닥 상태에서 팽창 가능한 중공 마이크로비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이해된다. 이러한 구체는 저-비등 액체 또는 액화 가스로 채워진다. 사용되는 쉘 물질은, 특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VDC, PVC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저비등 액체로서 적합한 것은, 특히, 압력하에서 액화 가스의 형태로 폴리머 쉘에 담겨 있는 저급 알칸의 탄화수소, 예를 들어, 이소부탄 또는 이소펜탄에 의해 보유된다.
마이크로벌룬의 노출, 특히, 열에 대한 노출은 외부 폴리머 쉘의 연화를 야기시킨다. 동시에, 쉘 내에 존재하는 액체 블로잉 가스는 이의 가스 상태로 변환된다. 이러한 경우에, 마이크로벌룬은 비가역적 확장을 거치고, 3-차원으로 팽창한다. 팽창은 내부 및 외부 압력이 동일할 때 종료된다. 폴리머 쉘은 보존되기 때문에, 결과는 폐쇄된 셀 포움(closed-cell foam)이다.
다수 유형의 마이크로벌룬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데, 이는 본질적으로 이의 크기(비팽창된 상태에서 6 내지 45 μm의 직경) 및 이들의 팽창에 필요한 개시 온도(75 내지 220℃)가 상이하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마이크로벌룬의 한 가지 예에는 Akzo Nobel로부터의 Expancel® DU 제품(DU = 건조 비팽창됨(dry unexpanded))이 있다.
비팽창된 유형의 마이크로벌룬은 또한, 약 40 중량% 내지 45 wt%의 고형물 분율 또는 마이크로벌룬 분율을 갖는 수성 분산액 형태, 및 추가적으로, 폴리머-결합된 마이크로벌룬(마스터배치) 형태로, 예를 들어, 대략 65 wt%의 마이크로벌룬 농도를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로 입수 가능하다. DU 제품과 같이, 마스터배치와 마이크로벌룬 분산액 둘 모두는 발포된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생산을 위해 적합하다.
발포된 PSA 층 HS1 및/또는 HS2는 대안적으로 사전-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이라고 또한 불리는 것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으로, 팽창은 폴리머 매트릭스로의 혼입 전에도 일어난다. 사전-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은, 예를 들어, 명칭 Dualite®하에 또는 Akzo Nobel로부터의 제품명 Expancel xxx DE(건조 팽창된)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마이크로벌룬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PSA에서 이용되는 경우, PSA 층 HS1 및/또는 HS2에서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평균 직경은 전형적으로 10 내지 200 μm, 예컨대, 20 내지 50 μm 또는 60 내지 100 μm이다. PSA 층에서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평균 직경은 500배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하에 감압 접착 스트립의 저온파단 에지(cryofracture edge)를 기초로 결정된다. 감압 접착 스트립의 5개의 상이한 저온절단 에지의 SEM 현미경 사진 상에 보이는 분석 중인 PSA 층 중의 각각의 마이크로벌룬의 직경은, 본 특허 출원의 의미에서,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형성된 PSA 층의 공동의 평균 직경을 나타내는 모든 확인된 직경들의 산술 평균과 함께 그래프로 확인된다. 현미경 사진 상에 보이는 마이크로벌룬의 직경을 그래프로 확인하는 것은, SEM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분석 중인 PSA 층에서 각 개별적인 마이크로벌론에 대한 임의의(2차원) 방향에서의 이의 최대 확장을 수행하고, 최대 확장을 상기 마이크로벌룬의 직경으로 간주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발포가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마이크로벌룬은 포뮬레이션에 배치, 페이스트 또는 비신장된 또는 신장된 분말로서 공급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용매 중의 현탁액으로 존재할 수 있다.
PSA 층 HS1 및/또는 HS2의 PSA 중의 마이크로벌룬의 비율은,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wt% 초과 내지 1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wt% 내지 5 wt%, 및 더욱 특히 0.5 내지 1.5 wt%이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특히 높은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감압 접착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팽창 가능한 중공 미소구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머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또한, 비팽창 가능한 중공 미소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한 모든 것은 실제로 모든 가스-함유 공동이 영구적으로 불침투성인 멤브레인에 의해 폐쇄된다는 것이고, 여기서 이러한 멤브레인이 탄성적이고 열가소성으로 신장성 폴리머 혼합물, 또는, 예를 들어, 탄성 및 플라스틱 가공에서 가능한 온도 스펙트럼에서 비열가소성인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다른 첨가제와 상관없이 선택되는 PSA 층 HS1 및/또는 HS2에 대하여 고체 폴리머 구체, 중공형 유리 구체, 고체 유리 구체, 중공형 세라믹 구체, 고체 세라믹 구체 및/또는 고체 탄소 구체("탄소 마이크로벌룬")가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발포된 PSA의 절대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990 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970 kg/m3, 더욱 특히 500 내지 900 kg/m3이다. 상대 밀도는 화학식이 동일한 본 발명의 비발포된 PSA의 밀도에 대한 본 발명의 발포된 PSA의 밀도의 비율을 기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포된 PSA의 상대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99, 더욱 바람직하게는 0.45 내지 0.97, 더욱 특히 0.50 내지 0.90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PSA 층 HS1에 마주하는 캐리어 표면 위에는, 베이스 폴리머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상이한 폴리머로만 이루어지는 PSA로서, PSA가 이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PSA로 이루어지는 PSA 층 HS2가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PSA 층 HS2의 PSA에서, 베이스 폴리머는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로만 이루어지고, 더욱 특히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는 PSA에 존재하지 않는다. PSA 층 HS2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PSA는 특히 요망되는 방식으로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점착부여 수지는 블록 코폴리머의 엘라스토머 블록과 상용 가능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PSA 층 HS1,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또한, 마찬가지로 PSA 층 HS2는 외측 PSA 층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 스트립은 신장 가능한 캐리어, 즉,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층 HS1; 및 베이스 폴리머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상이한 폴리머로만 이루어진 PSA로 이루어진 PSA 층 HS2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PSA는 이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주로 비닐방향족 물질(A 블록),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로 형성된 폴리머 블록 (i), 및 이와 동시에 주로 1,3-디엔(B 블록), 예컨대,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 또는 이 둘의 코폴리머의 중합으로 형성된 블록 (ii)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는 A-B, A-B-A, (A-B)n, (A-B)nX 또는 (A-B-A)nX 구조를 갖는 블록 코폴리머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무를 포함하고, 여기서,
- 서로 독립적인 블록 A는 적어도 하나의 비닐방향족 물질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이고,
- 서로 독립적인 블록 B는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컨쥬게이션된 디엔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이거나, 그러한 폴리머의 부분 수소화 유도체이고,
- X는 커플링 시약 또는 개시제의 라디칼이고,
-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블록 A를 구성하기 위한 비닐방향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또는 다른 스티렌 유도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포함한다. 블록 B를 위한 모노머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에틸부타디엔, 페닐부타디엔, 피페릴렌, 펜타디엔, 헥사디엔, 에틸헥사디엔, 및 디메틸부타디엔, 및 또한 이러한 모노머들의 임의의 요망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 예컨대, 특히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의 비율은, PSA 층 HS2의 전체 PSA를 기준으로 하여, 총 적어도 2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wt%, 및 이와 동시에 75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wt% 이하, 매우 바람직하게는 55 wt% 이하이다.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의 분율이 너무 낮은 경우, PSA의 응집성이 비교적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의 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결국 PSA는 거의 감압 접착제가 아닌 결과가 초래된다.
점착부여 수지가 PSA 층 HS2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PSA에 존재하는 경우, 존재하는 수지의 양은, 각각의 경우에 PSA 층 HS2의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wt%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wt%이다.
PSA 층 HS2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PSA에서 선택된 점착부여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wt%의 정도로(총 수지 분율 기준),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0℃ 초과의 DACP(디아세톤 알콜 운점)를 갖는 수지이고, 수지는 더욱 특히 탄화수소 수지 또는 테르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종류의 비극성 점착부여 수지는 극성 캐리어로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으며, 그에 따라서 장기간 안정성인 점착성을 갖는 PSA 층, 및 또한 장기간 안정성인 인장 강도를 갖는 인접한 캐리어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PSA 층 HS1 및/또는 HS2는, 이들의 조성에 상관없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μm, 예컨대, 20 내지 50 μ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PSA의 코트중량은, 실질적으로 무용매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g/m2, 및 특히 20 내지 75 g/m2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 즉,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및 더욱 특히 적어도 500%, 예컨대, 적어도 60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다. 캐리어는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및 더욱 특히 종방향과 횡방향 둘 모두의 명시된 파단시 연신율 값을 갖는다.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의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의 스트레칭성은, 예를 들어, 0° 또는 90°와 같이 결합면에 대해 상이한 제거 각도의 경우에 상응하는 방향으로의 광범위 스트레칭에 의해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탈착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예를 들어, 캐리어로서 작용하는 것은 매우 스트레칭 가능한 필름일 수 있다.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의 예는 WO 2011/124782 A1, DE 10 2012 223 670 A1, WO 2009/114683 A1, WO 2010/077541 A1, WO 2010/078396 A1로부터의 투명한 구체예이다.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및 더욱 특히 80% 초과의 탄력을 갖는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의 탄성 분율이 적어도 종방향 또는 횡방향, 더욱 특히 종방향과 횡방향 둘 모두로 소성 분율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캐리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μm, 및 더욱 특히 50 내지 100 μm의 범위이다.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캐리어는, 상응하는 방향으로 또는 사용하는 힘이 지나치게 크지 않으면서 상응하는 방향으로, 감압 접착 스트립의 간단한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20 N/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N/mm2 미만의 50% 연신 응력을 갖는다.
캐리어는, 추가로 단축 또는 이축 배향되었을 수 있는, 필름-형성 또는 압출 가능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한다. 폴리우레탄은 전형적으로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화학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가교된 중축합물이다. 개개 성분들의 특성 및 이러한 것이 사용되는 비율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스트레칭 가능한 물질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포뮬레이터(formulator)에게 이용 가능한 원료는, 예를 들어, EP 0 894 841 B1 및 EP 1 308 492 B1에 명시되어 있다.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이다.
또한, 폴리올레핀은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또는 헥실렌으로부터 제조되며, 이러한 경우에 순수한 모노머는 각 경우에서 중합될 수 있거나, 명시된 모노머들의 혼합물이 공중합된다. 중합 공정을 통해, 그리고 모노머의 선택을 통해, 예를 들어, 연화 온도 및/또는 인장 강도와 같은 폴리머 필름의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캐리어가 구성될 수 있는 추가의 원료를 알고 있다. 더욱이, 요망되는 스트레칭성을 실현하기 위해 캐리어에서 고무-기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를 위한 출발 물질로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또는 이로부터 생성된 배합물로서, 천연 고무는 원칙적으로 순도 및 점도의 요망되는 수준에 따라, 모든 입수 가능한 등급, 예를 들어, 크레이프(crepe), RSS, ADS, TSR 또는 CV 제품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합성 고무 또는 합성 고무들은 무작위적으로 공중합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들(SBR), 부타디엔 고무들(BR), 합성 폴리이소프렌들(IR), 부틸 고무들(IIR),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들(XIIR), 아크릴레이트 고무들(ACM),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들(EVA) 및 폴리우레탄들 및/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를 위한 물질로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 가능한 것은 블록 코폴리머이다. 여기서, 개별적인 폴리머 블록은 서로에 공유 결합된다. 블록들의 연결은 선형 형태, 또는 그 밖의 별-모양 또는 그라프트 코폴리머 변형체일 수 있다. 유리하게 사용 가능한 블록 코폴리머의 한 가지 예는, 두 개의 말단 블록이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의 연화 온도를 갖고, 중간 블록이 최대 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의 연화 온도를 갖는 선형 트리블록 코폴리머이다. 더 고도의 블록 코폴리머, 예를 들어, 테트라블록 코폴리머가 마찬가지로 사용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의 연화 온도를 갖고, 최대 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의 연화 온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블록으로 폴리머 사슬에서 서로 분리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적어도 두 개의 폴리머 블록이 블록 코폴리머에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폴리머 블록의 예는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하이드로푸란, 폴리디엔,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 수소화된 폴리디엔, 예컨대, 폴리에틸렌-부틸렌 또는 폴리에틸렌-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탄디올 아디페이트 또는 폴리헥산디올 아디페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비닐방향족 모노머의 폴리머 블록, 예컨대,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알킬 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α],[β]-불포화된 에스테르의 폴리머 블록, 예컨대, 특히,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당업자라면 상응하는 연화 온도를 알고 있다. 대안적으로, 당업자는 이들을, 예를 들어, 문헌(Polymer Handbook [J. Brandrup, E. H. Immergut, E. A. Grulke (Eds.), Polymer Handbook, 4th edn. 1999, Wiley, New York])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폴리머 블록은 코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서, 필름-형성 특성을 향상시키고/거나, 결정상 세그먼트의 형성 경향을 감소시키고/거나, 기계적인 특성을 특히 향상시키거나 달리 적절한 경우 손상시키는 추가의 성분 및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또한 적절할 수 있다.
추가로, 캐리어로서 적합한 것은 웹 형태의 포움 물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됨)이다.
캐리어는 다층 구성, 또는 단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는 단층으로만 이루어진다.
또한, 캐리어는 외층, 예를 들어, 접착제로부터의 성분이 캐리어로 또는 이 반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리어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층은 또한 수증기 및/또는 산소가 층을 통해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캐리어 상의 PSA 또는 PSA들의 보다 효과적인 고정을 위해, 캐리어는 공지된 수단, 예컨대, 코로나, 플라즈마 또는 화염(flaming)에 의해 전처리될 수 있다. 프라이머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이상적으로, 사전처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캐리어의 뒷면은 접착방지 물리적 처리 또는 코팅에 주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한 면 또는 양면이 라이너로, 다시 말해서, 양면이 접착방지 코팅을 갖는 임시 캐리어로 커버링될 수 있다. 라이너(이형 페이퍼, 이형 필름)는 접착 테이프의 일부가 아니고, 대신에 단지 이의 생산 또는 저장을 위한 보조물 또는 다이 컷팅에 의한 추가 가공을 위한 보조물이다. 또한, 접착 테이프 캐리어와 반대로, 라이너는 접착제 층에 단단하게 접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전형적인 가공 형태는 접착 테이프 롤, 및 또한 예를 들어 다이 컷 형태로 얻어지는 종류의 접착 스트립이다. 모든 층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cuboid)의 형태를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모든 층들은 이들의 전면적에 걸쳐 서로 접합된다. 임의로, 비접착성 그립 탭 영역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시작하여 탈착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감압 접착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20 μm 내지 6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μm 내지 200 μ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PSA는 용액으로부터 및 용융물로부터 모두 생산되고 가공될 수 있다. 캐리어에 대한 PSA의 적용은 직접 코팅에 의해 또는 라미네이션, 특히, 핫 라미네이션(hot lamination)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중의 용액에서 접착제를 포함한 PSA는, 예를 들어, 인그레이브드-롤러(engraved-roller) 적용, 바 코팅(bar coating), 멀티롤 코팅(multiroll coating)에 의해, 또는 프린팅 공정으로 캐리어 상에 코팅될 수 있고, 후속적으로 용매가 건조 터널 또는 건조 오븐에서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는 또한 무용매 공정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상, 베이스 폴리머는 압출기에서 가열되고 용융된다. 추가의 절차 단계, 예컨대, 기재된 첨가제와의 혼합, 여과 또는 탈기가 압출기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용융물은 이후 캘린더에 의해 캐리어 상에 코팅된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전자 장치,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 예컨대, 태블릿, 휴대폰, 스마트 워치, 및 다른 착용물에서 결합 부분을 위해 사용된다. 이는, 예를 들어, 배터리를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은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이에 존재하는 소량의 공간에 대해 결합시키기에 매우 유용한데, 그 이유는 여기에 빈번하게 요구되는 광범위 스트레칭의 경우에도 이는, 찢김 없이, 통상적으로 결합 표면에 대해 45°초과의 각도로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재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기 기재되는 도면 및 또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체예가, 이에 의해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제한하려는 어떠한 의도 없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층 감압 접착 스트립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3-층 감압 접착 스트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예를 들어, 결합면에 대해 45°초과의 각도에서 광범위 스트레칭에 의해 찢김 없이,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재탈착 가능한 세 개의 층(1, 2, 3)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을 나타낸 것이다. 스트립은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1), 즉,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바람직하게는 종방향과 횡방향 둘 모두로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는 캐리어로 이루어지고, 캐리어(1)는 단층 구체예이다. 양면 상의 캐리어 위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의 외층(2, 3)이 존재한다. 캐리어 층(1)의 돌출 단부는 그립 탭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을 나타낸 것이다. 감압 접착 스트립은 서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세 개의 층(1, 2, 3), 즉, 단층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1) 및 본 발명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접착제의 양면 외층(2 및 3)으로 이루어진다. 광범위 스트레칭(특히, 결합면에 대해 45°초과의 각도에서)을 달성하도록 당기기 위한 그립 탭을 생성시키기 위해, 감압 접착 스트립의 한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또는 페이퍼(4)의 실리콘화된 조각의 적용에 의해 양면 상에 비접착성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1 - 본 발명의 감압 접착 스트립의 생산:
각각의 경우에 PSA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2 wt%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ipol 401, 5 wt%의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ipol 1312 LV, 및 33 wt%의 점착부여 수지 Dertophene T를 함유하는 감압 접착제(PSA)를 이중-시그마 니딩 후크(double-sigma kneading hook)가 구비된 니딩 장치에서 용매-기반 화합물로 균질화시켰다. 사용된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이었다. 니딩 장치를 수 냉각에 의해 냉각시켰다. 접착제의 명시된 구성 성분은 하기와 같이 특징화된다:
Figure pct00001
우선, 첫 번째 단계에서,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ipol 401를 23℃에서 12시간 동안 동량의 메틸 에틸 케톤으로 사전팽윤시켰다. 이러한 소위 예비 배치를 후속적으로 2시간 동안 니딩하였다. 그 후에, 다시, 상기 선택된 양의 메틸 에틸 케톤 및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ipol 1312 LV를 두 단계로 첨가하고, 각각의 경우에 10분 동안 니딩하였다. 이어서, Dertophene T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 20분 동안 균질한 니딩과 함께 50 wt%의 고형물 함량으로 메틸 에틸 케톤 중의 용액으로서 첨가하였다. PSA의 최종 고형물 함량을 메틸 에틸 케톤의 첨가에 의해 30 wt%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PSA를 상업적 실험실 코팅 테이블(예를 들어, SMO(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서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23 μm 두께의 라이너 상에 코팅하였다. 메틸 에틸 케톤을 강제-공기 건조 캐비넷에서 105℃로 10분 동안 증발시키고, 그에 따라 PSA를 건조시켰다. 코팅 동안 슬롯 폭을 용매의 증발 후에 달성되는 PSA 층의 두께가 35 μm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어서, 종방향과 횡방향 둘 모두로 250% 초과의 파단시 연신율 및 80 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이러한 PSA 층을 갖는 양면 상에 라미네이션시켰다. 결과는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PSA 층 및 스트레칭 가능한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였다.
비교예 2 - 본 발명이 아닌 감압 접착 스트립의 생산:
50.0 wt%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 Kraton D1102AS, 45.0 wt%의 점착부여 수지 Dercolyte A115, 4.5 wt%의 점착부여 수지 Wingtack 10, 및 0.5 wt%의 에이징 억제제 Irganox 1010로부터 벤진/톨루엔/아세톤 중의 40 wt% 강도 접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해된 구성 성분의 중량 분율은 각각의 경우에 생성된 PSA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PSA의 명시된 구성 성분은 하기와 같이 특징화된다:
Figure pct00002
이어서, PSA를 상업적 실험실 코팅 테이블(예를 들어, SMO(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서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23 μm 두께의 라이너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공기 건조 캐비넷에서 105℃로 10분 동안 증발시키고, 그에 따라 PSA를 건조시켰다. 코팅 동안 슬롯 폭을 용매의 증발 후에 달성되는 PSA 층의 두께가 35 μm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어서, 종방향과 횡방향 둘 모두로 250% 초과의 파단시 연신율 및 80 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이러한 PSA 층을 갖는 양면 상에 라미네이션시켰다. 결과는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PSA 층 및 스트레칭 가능한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였다.
결과: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PSA 층 및 스트레칭 가능한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갖는 실시예 2로부터의 양면 접착 테이프에 비해,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PSA 층 및 스트레칭 가능한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갖는 실시예 1로부터의 양면 접착 테이프는 결합면에 대해 90°의 각도로 광범위 스트레칭 시에 유의하게 감소된 인열 민감성을 나타냈다(표 1 참조). 거의 모든 제3 감압 접착 스트립은 비교예의 스트핍핑 시에 찢어졌지만, 실시예 1로부터의 감압 접착 스트립 모두는 찢김 없이 스트립핑 가능했다. 따라서, 놀랍게도, 스트레칭 가능한 캐리어를 갖는 접착 테이프에서,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PSA 층을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층으로 교체하는 것은 결합면에 대해 90°의 제거 각도에서도 인열 민감성의 유의한 감소를 야기하였다.
또한, 놀랍게도, 양면 접착 테이프에서,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PSA 층을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PSA 층으로 교체하는 것은, 각각 DuPont x,y 및 DuPont z 측정으로부터의 결과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횡방향 충격 강도, 즉, x,y-방향의 내충격성, 및 또한 침투 충격 강도, 즉, z-방향의 내충격성의 증가를 야기하였다.
양면 접착 테이프에서 PSA 층의 명시된 교체에 의해, 감압 접착 스트립의 박리 접착력을 상승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했다.
Figure pct00003
표 1: 본 발명 및 본 발명이 아닌 감압 접착 스트립의 특징.
시험 방법
모든 측정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실시하였다. 기계적 데이터 및 기술적 접착제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확인되었다:
연화점 T s
올리고머 화합물, 고분자 화합물, 및 수지의 연화 온도라고도 불리는 연화점 Ts에 대한 수치는 적절한 적용 조항을 갖는 DIN EN 1427:2007에 따라 링 & 볼 방법을 기반으로 하며(역청 대신에, 달리 절차는 유지하면서,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 샘플의 분석); 측정은 글리세롤의 배쓰에서 이루어졌다.
파단시 연신율 , 인장 강도, 50% 연신 응력
캐리어의 파단시 연신율, 인장 강도, 및 50% 연신시 응력을 20 mm의 폭을 갖는 시편 타입 2의 캐리어의 샘플 스트립을 사용하여, 분당 100 mm의 분리 속도로, DIN EN ISO 527-3을 기초로 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클램핑 조(clamping jaw)의 초기 간격은 100 mm였다. 시험 조건은 23℃ 및 50% 상대 습도였다.
탄력 또는 탄성
100%로 스트레칭시키고, 이 스트레칭을 30초 동안 유지한 후, 정지함으로써 탄력을 측정하였다. 1분의 대기 시간 후, 길이를 다시 측정하였다.
탄력을 이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Rs = ((L100 - Lend)/L0)·100
상기 식에서, R = 탄력(%)
L100: 100% 스트레칭 후 길이
L0: 스트레칭 전 길이
Lend: 1분 정지 후 필름 길이
여기서 탄력은 탄성에 상응한다.
인열에 대한 민감성
분석 중인 접착 테이프에서 10 mm 폭 및 40 mm 길이의 20개의 스트립을 펀칭하였다. 이러한 스트립들을 에탄올로 컨디셔닝된 PC 플레이트에 30 mm의 길이에 걸쳐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10 mm의 그립 탭을 남겼다. 두 개의 PC 플레이트가 같은 높이로 서로의 위에 놓이는 방식으로, 제2 PC 플레이트를 결합된 스트립의 제2 면에 접착시켰다. 어셈블리를 4 kg 롤러로 10회 롤 다운시켰다(앞뒤로 5회). 48시간의 박리 증가 시간 후에, 20개의 스트립을 하기와 같이 결합된 접합체로부터 그립 탭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스트립핑시켰다:
a) 결합면에 대해 90°의 각도, 또는 대안적으로
b) 0°의 각도(즉, 결합면에서).
결가는 선택된 각도에서 스트립핑 시에 20개의 시편 중 몇 개가 찢어지는 지로 이루어졌고, 결과는 %로 보고되었다.
횡방향 충격 강도(x-y 면에서의 DuPont 시험)
분석 중인 감압 접착 스트립의 샘플을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절단하였다(외부 치수 33 mm x 33 mm; 프레임 폭 2.0 mm; 내부 치수(윈도우 컷아웃) 29 mm x 29 mm). 이 샘플을 PC 프레임 상에 접착시켰다(외부 치수 45 mm x 45 mm; 프레임 폭 10 mm; 내부 치수(윈도우 컷아웃) 25 mm x 25 mm; 두께 3 mm). 감압 접착 스트립의 다른 면 상에 35 mm x 35 mm의 PC 윈도우를 접착시켰다. PC 프레임, 접착 테이프 프레임, 및 PC 윈도우를 기하학적 중심 및 대각선이 각각의 경우에 층층이 되도록(코너-대-코너(corner-to-corner)) 결합시켰다. 결합 면적은 248 mm2였다. 결합을 248N으로 5초 동안 가압하고, 23℃/50% 상대 습도에서의 컨디셔닝으로 48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저장 직후, PC 프레임, 감압 접착 스트립, 및 PC 윈도우의 접착 어셈블리를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샘플 마운트에 PC 프레임의 돌출 에지에 의해 클램핑시켰다. 샘플 마운트를 이후 DuPont 충격 시험기 상에 제공된 홀더에 중앙으로 삽입하였다. 300 g으로 칭량된 충격 헤드를, 20 mm x 3 mm의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스트라이킹 기하학적 구조가 PC 윈도우의 상향으로 향하는 단부-접합면 상에서 중앙에 같은 높이로 놓이도록 삽입하였다.
150 g의 질량을 갖는 추를 3 cm의 높이에서 샘플 마운트, 샘플, 및 충격 헤드로 형성된 어셈블리의 상응하는 배열 상에 수직으로 낙하시키되(측정 조건 23℃, 50% 상대 습도), 추를 두 개의 가이드 로드 상에 가이딩하였다. 낙하된 추의 높이는 도입된 충격 에너지가 횡방향 충격 하중의 결과로 샘플을 파괴할 때까지 3 cm 단계식으로 증가되었고, PC 윈도우는 PC 프레임에서 분리되었다.
여러 샘플로 시험을 비교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E [j] = 높이 [m] * 추의 질량 [kg] * 9.81 kg/m*s2
생성물당 다섯 개의 샘플을 시험하고, 평균 에너지 값을 횡방향 충격 강도 특유의 수로 보고하였다.
침투 충격 강도(z 면에서 DuPont 시험)
분석 중인 감압 접착 스트립의 샘플을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절단하였다(외부 치수 33 mm x 33 mm; 프레임 폭 2.0 mm; 내부 치수(윈도우 컷아웃) 29 mm x 29 mm). 이 샘플을 PC 프레임 상에 접착시켰다(외부 치수 45 mm x 45 mm; 프레임 폭 10 mm; 내부 치수(윈도우 컷아웃) 25 mm x 25 mm; 두께 3 mm). 감압 접착 스트립의 다른 면 상에 35 mm x 35 mm의 PC 윈도우를 접착시켰다. PC 프레임, 접착 테이프 프레임, 및 PC 윈도우를 기하학적 중심 및 대각선이 각각의 경우에 층층이 되도록(코너-대-코너) 결합시켰다. 결합 면적은 248 mm2였다. 결합을 248N으로 5초 동안 가압하고, 23℃/50% 상대 습도의 컨디셔닝으로 48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저장 직후, PC 프레임, 감압 접착 스트립, 및 PC 윈도우의 접착 어셈블리를 어셈블리가 수평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샘플 마운트에 PC 프레임의 돌출 에지에 의해 클램핑시켰다. 이러한 경우에, PC 윈도우가 PC 프레임 아래에서 자유롭게 매달아지도록(접착 테이프 시편으로 고정), PC 프레임을 샘플 마운트 위의 돌출 에지 상에 평평하게 놓았다. 샘플 마운트를 이후 DuPont 충격 시험기 상에 제공된 홀더에 중앙으로 삽입하였다. 150 g으로 칭량된 충격 헤드를, 24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스트라이킹 기하학적 구조가 위에서부터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PC 윈도우의 표면 상에서 중앙에 같은 높이가 되게 놓이는 방식으로 삽입하였다.
150 g의 질량을 갖는 추를 5 cm의 높이에서 샘플 마운트, 샘플, 및 충격 헤드로 형성된 어셈블리의 상응하는 배열 상에 수직으로 낙하시키되(측정 조건 23℃, 50% 상대 습도), 추를 두 개의 가이드 로드 상에 가이딩하였다. 낙하된 추의 높이는 도입된 충격 에너지가 횡방향 충격 하중의 결과로 샘플을 파괴할 때까지 5 cm 단계식으로 증가되었고, PC 윈도우는 PC 프레임에서 분리되었다.
여러 샘플로 시험을 비교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E [j] = 높이 [m] * 추의 질량 [kg] * 9.81 kg/m*s2
생성물당 다섯 개의 샘플을 시험하고, 평균 에너지 값을 침투 충격 강도 특유의 수로 보고하였다.
직경
PSA 층에서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평균 직경은 500배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SEM)하에 감압 접착 스트립의 저온파단 에지를 기초로 결정하였다. 감압 접착 스트립의 5개의 상이한 저온절단 에지의 SEM 현미경 사진 상에 보이는 분석 중인 PSA 층 중의 각각의 마이크로벌룬의 직경은, 본 특허 출원의 의미에서, 마이크로벌룬에 의해 형성된 PSA 층의 공동의 평균 직경을 나타내는 5개의 SEM 현미경 사진에서 확인되는 모든 직경들의 산술 평균과 함께, 그래프로 확인되었다. 현미경 사진 상에 보이는 마이크로벌룬의 직경을 그래프로 확인하는 것은, SEM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분석 중인 PSA 층에서 각 개별적인 마이크로벌론에 대한 임의의(2차원) 방향에서의 최대 확장을 수행하고, 최대 확장을 상기 마이크로벌룬의 직경으로 간주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유리 전이 온도( T g )
유리 전이 온도와 동의어로 지칭되는 유리 전이점은 DIN 53 765, 특히 섹션 7.1 및 8.1에 따르되, 모든 가열 및 냉각 단계에서 10 K/min의 균일한 가열 및 냉각 속도로 동적 주사 열량계(DSC)에 의한 측정의 결과로서 보고하였다(DIN 53 765 비교; 섹션 7.1; 주 1). 샘플의 초기 질량은 20 mg였다.
DACP
5.0 g의 시험 물질(분석 중인 점착부여 수지 시편)을 건조 시험관에 칭량하고, 5.0 g의 자일렌(이성질체 혼합물, CAS [1330-20-7], ≥ 98.5%, Sigma-Aldrich #320579 또는 유사함)을 첨가하였다. 시험 물질을 130℃에서 용해시키고, 이후에, 80℃로 냉각시켰다. 빠져나가는 임의의 자일렌을 새로운 자일렌으로 보충했고, 이에 따라, 5.0 g의 자일렌으로 복구되었다. 이후, 5.0 g의 디아세톤 알콜(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 CAS [123-42-2], 99%, Aldrich #H41544 또는 유사함)을 첨가하였다. 시험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시험관을 흔들어 주었다. 이러한 목적상, 용액을 100℃까지 가열하였다. 수지 용액을 함유한 시험관을 이어서 Novomatics Chemotronic Cool 운점 측정 기기에 삽입하고, 그 안에서 110℃까지 가열하였다. 이를 1.0 K/분의 냉각 속도로 냉각시켰다. 운점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였다. 이러한 목적상, 용액의 탁도가 70%인 온도를 기록하였다. 결과는 ℃로 보고하였다. DACP 값이 낮을수록, 시험 물질의 극성이 더 높다.
밀도
캐리어에 적용된 접착제 층의 두께에 대한 코트중량의 비율을 형성시킴으로써 접착제의 비발포된 및 발포된 층의 밀도를 확인하였다.
코트중량은, 캐리어에 적용된 이러한 종류의 접착제 층의 절편(이의 길이 및 이의 폭의 측면에서 규정된 절편)의 질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치수를 갖는 사용된 캐리어의 절편의(공지되거나 별도로 확인 가능한) 질량을 차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의 두께는 캐리어에 적용된 그러한 접착제 층의 절편(이의 길이 및 이의 폭의 측면에서 규정된 절편)의 두께를 측정하고, 동일한 치수를 갖는 사용된 캐리어의 절편의(공지되거나 별도로 확인 가능한) 두께를 차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의 두께는 1 μm 미만의 편차의 정확성을 갖는 상업적 두께 게이지(센서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두께의 편차가 확인되면, 3회 이상의 대표적인 위치에서의 측정 평균치를 보고하였고, 그에 따라 특히 주름, 접힌 부분, 및 반점 등에서 측정을 포함하지 않았다.
코트중량
PSA 층의 코트중량(g/m2)은, 캐리어에 적용된 이러한 종류의 접착제 층의 절편(이의 길이 및 이의 폭의 측면에서 규정된 절편)의 질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치수를 갖는 사용된 캐리어의 절편의(공지되거나 별도로 확인 가능한) 질량을 차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두께
이미 언급된 접착제 층의 두께와 같이, 감압 접착 스트립의 또는 캐리어 층의 두께는 또한 1 ㎛ 미만의 편차의 정확성을 갖는 상업적 두께 게이지(센서 기기)를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두께의 편차가 확인되면, 3회 이상의 대표적인 위치에서의 측정 평균치를 보고하였고, 그에 따라 특히 주름, 접힌 부분, 및 반점 등에서 측정을 포함하지 않았다.
180° 박리 접착력 시험
박리 강도(박리 접착력)를 PSTC-1를 기초로 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i)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μm 두께의 PET 필름, 및 (ii) 본 특허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의, 상기 필름에 적용된 감압 접착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0.5 cm 너비의 스트립 형태의 접착 테이프를 표면이 아세톤으로 미리 세정된 ASTM 강판 형태의 시험 기재에, 4 kg 롤러를 사용하여 테이프를 앞뒤로 5회 롤 다운시킴으로써 결합시켰다. 판을 클램핑시키고, 접착 테이프를 이의 자유 단부를 통해 300 mm/min의 속도로 인장 시험기 상에서 판으로부터 180°의 박리 각도로 제거하고, 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N/cm로 보고하고(즉, 접착 테이프의 폭에 표준화됨), 3회의 측정으로부터 평균내었다.
고형물 함량
고형물 함량은 PSA에서 증발될 수 없는 구성 성분의 분율의 척도이다. 이를, PSA를 칭량한 후, 120℃의 건조 캐비넷에서 2시간 동안 증발될 수 있는 분획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칭량함으로써 중량 측정으로 결정하였다.

Claims (21)

  1.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표면 중 하나 위에 배치된 감압 접착제의 층 HS1을 포함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으로서,
    (i) 상기 캐리어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어도 25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갖고,
    (ii) 상기 감압 접착제의 층 HS1이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이 30 내지 130 phr인, 감압 접착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에 마주하는 캐리어의 표면 위에 감압 접착제의 층 HS2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3. 제2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2가 마찬가지로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이 30 내지 130 phr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중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0 내지 45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wt%, 및 더욱 특히 15 내지 20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가 추가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중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10 내지 25 wt%, 및 더욱 특히 15 내지 20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에서, 베이스 폴리머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로만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외의 폴리머가 상기 감압 접착제에 존재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에서, 적어도 세 개의 합성 니트릴 고무 S1, S2, 및 S3의 배합물이 존재하고, 여기서,
    (a) 상기 배합물이 DSC에서 적어도 세 개의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상-분리되고,
    (b) 적어도 하나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초과이고, 하나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 미만이고,
    (c) 상기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1이 35 wt% 이상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고,
    (d) 상기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2가 25 wt% 초과 및 35 wt% 미만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갖고,
    (e) 상기 니트릴 고무 또는 고무들 S3가 25 wt% 이하의 아크릴로니트릴 분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에서,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의 총합이 40 내지 120 phr,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 phr, 및 더욱 특히 60 내지 100 phr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에서, 사용된 점착부여 수지가 테르펜-페놀계 수지 및/또는 폴리테르펜, 바람직하게는 테르펜-페놀계 수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 HS2가 동일한 조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1.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에 마주하는 캐리어의 표면 위에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진 감압 접착제의 층 HS2가 배치되고, 상기 감압 접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상이한 폴리머로만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가 베이스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2. 제11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2의 감압 접착제에서, 베이스 폴리머가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로만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 이외의 폴리머가 상기 감압 접착제에 존재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2의 감압 접착제가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가 감압 접착제의 외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 접착제의 층 HS1 및/또는 HS2가 10 내지 200 μm, 예를 들어, 20 내지 50 μm의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어도 3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및 더욱 특히 적어도 500%, 예컨대, 적어도 60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및 더욱 특히 80% 초과의 탄력(resilience)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더욱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20 N/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N/mm2 미만의 50% 연신 응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고, 상기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단층으로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10 내지 2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μm, 및 더욱 특히 50 내지 100 μm의 두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스트립.
KR1020197027498A 2017-02-24 2018-01-29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KR102287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3092.5 2017-02-24
DE102017203092.5A DE102017203092A1 (de) 2017-02-24 2017-02-24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PCT/EP2018/052137 WO2018153618A1 (de) 2017-02-24 2018-01-29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473A true KR20190116473A (ko) 2019-10-14
KR102287185B1 KR102287185B1 (ko) 2021-08-05

Family

ID=6118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498A KR102287185B1 (ko) 2017-02-24 2018-01-29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10732A1 (ko)
EP (1) EP3585852B1 (ko)
KR (1) KR102287185B1 (ko)
CN (1) CN110337477B (ko)
DE (1) DE102017203092A1 (ko)
WO (1) WO2018153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2679A1 (de) * 2018-12-19 2020-06-25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ftklebemasse auf Basis von Acrylnitril-Butadien-Kautschuk sowie Klebeband, enthaltend diese Haftklebemasse
DE102020215673A1 (de) * 2019-12-19 2021-06-24 Tesa Se Klebeband mit geschäumter Haftklebemasseschicht und Strukturierung auf der Oberfläche
DE102020215674A1 (de) * 2019-12-19 2021-06-24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ebebands mit geschäumter Haftklebemasseschicht und Strukturierung auf der Oberfläch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902A (ko) * 2012-07-23 2014-02-04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 테이프용 감압 접착제 및 접착 테이프에서의 이의 용도
US20150206076A1 (en) * 2014-01-21 2015-07-23 1Efficiency, Inc. Cloud based energy portfolio builder to build and manage energy and utilities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buildings
KR20150097696A (ko) * 2012-12-19 2015-08-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분리가능한 접착 스트립
WO2016156305A1 (de) * 2015-04-02 2016-10-06 Tesa Se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WO2017025492A1 (de) * 2015-08-11 2017-02-16 Tesa Se Haftklebstoff auf basis von acrylnitril-butadien-kautschuken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312A (en) 1976-06-23 1977-05-17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extensible and elastic backing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DE3331016A1 (de) 1983-04-06 1984-10-11 Beiersdorf Ag, 2000 Hamburg Klebfolie fuer wiederloesbare klebbindungen
JPH0414434Y2 (ko) 1985-04-08 1992-03-31
ZA876122B (en) 1986-08-21 1989-04-26 Minnesota Mining & Mfg Pressure-sensitive tape construction incorporating resilient polymeric microspheres
US4885170A (en) 1988-03-24 1989-12-05 Eli Lilly And Company Antibiotic A80509
US5516581A (en)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TW215105B (ko) 1990-12-20 1993-10-21 Minnesota Mining & Mfg
WO1992011332A1 (en) 1990-12-20 1992-07-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DE4222849C2 (de) 1992-07-11 2000-02-10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Streifens einer Klebefolie für wiederlösbare Verklebung
DE4233872C2 (de) 1992-09-30 1994-07-28 Beiersdorf Ag Wiederablösbarer, selbstklebender Haken
EP0690688A1 (en) 1993-03-23 1996-01-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 support using stretch releasing adhesives
JP3417596B2 (ja) 1993-04-07 2003-06-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弾性微小球を含有する粘着フィルム
DE69430376T2 (de) 1993-08-31 2002-11-14 Minnesota Mining & Mfg Entfernbares schaumstoff-klebeband
US5507464A (en) 1994-03-22 1996-04-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 support using stretch releasing adhesives
US5514122A (en) 1994-05-16 1996-05-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eminine hygiene pad
DE4428587C2 (de) 1994-08-12 1996-06-13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4431914C2 (de) 1994-09-08 1996-10-17 Beiersdorf Ag Streifen einer Klebfolie für eine rückstandsfrei wiederlösbare Verklebung und dessen Verwendung
DE19511288C2 (de) 1995-03-28 1997-04-03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doppelseitig klebenden Klebfolien-Abschnittes für eine Fixierung oder Aufhängung eines Gegenstandes
WO1997007172A1 (en) 1995-08-11 1997-0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with controlled sequential release
DE19531696A1 (de) 1995-08-29 1997-03-06 Beiersdorf Ag Mehrfache Verwendung eines Klebfolien-Laminats
FR2751338B1 (fr) 1996-07-17 1998-09-04 Plasto Sa Adhesif double face demontable
JP3612394B2 (ja) 1996-10-25 2005-01-1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649728A1 (de) 1996-11-30 1998-06-18 Beiersdorf Ag Klebeband
DE19649729A1 (de) 1996-11-30 1998-06-04 Beiersdorf Ag Klebeband
DE19649727A1 (de) 1996-11-30 1998-06-04 Beiersdorf Ag Klebeband
DE19649636A1 (de) 1996-12-02 1998-06-04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Klebeband-Abschnitts
DE19708364A1 (de) 1997-03-01 1998-09-03 Beiersdorf Ag Haltevorrichtung
DE19720145A1 (de) 1997-05-14 1998-11-19 Beiersdorf Ag Doppelseitiges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DE19723198A1 (de) 1997-06-03 1998-12-10 Dynamit Nobel Ag Drückwal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irnverzahnten Werkstückes
DE19723177A1 (de) 1997-06-03 1998-12-10 Daimler Benz Ag Spannungsgesteuerter wellenlängenselektiver Photodetektor
DE29723614U1 (de) 1997-06-21 1999-01-28 Beiersdorf Ag Klebefolienstreifen-Verbund und seine Verwendung
US6972141B1 (en) 1997-12-12 2005-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laminate and separable fastener
DE19756084C2 (de) 1997-12-17 2002-05-02 Tesa Ag Zerstörungs- und rückstandsfrei wiederlösbares Befestigungssystem für innen und außen
DE19756816C1 (de) 1997-12-19 1999-02-04 Beiersdorf Ag Bilderrahmen mit Eckbefestigung
US6120867A (en) 1998-01-27 2000-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tape laminate
DE19820858A1 (de) 1998-05-09 1999-11-18 Beiersdorf Ag Klebeband
US6106937A (en) 1998-06-05 2000-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enhanced removal feature
US6103152A (en)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6162534A (en) 1998-08-31 2000-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secondary release member
DE19842865A1 (de) 1998-09-19 2000-03-30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19842864A1 (de) 1998-09-19 2000-03-30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19938693A1 (de) 1999-08-14 2001-02-22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und seine Verwendung
DE10003318B4 (de) 2000-01-27 2009-04-16 Tesa Ag Haftklebemasse und ihre Verwendung
DE10113422A1 (de) * 2001-03-20 2002-10-02 Tesa Ag Klebfolienstreifen
DE102005035905A1 (de) * 2005-07-28 2007-02-01 Tesa Ag Nitrilkautschuk Blends zur Fixierung von Metallteilen auf Kunststoffen
CN102015945B (zh) 2008-03-14 2017-12-15 3M创新有限公司 可拉伸剥离粘合带
DE102008023741A1 (de) * 2008-05-09 2009-11-12 Tesa Se Haft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Druckplatt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379659A1 (en) 2008-12-31 2011-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able adhesive tape
WO2010078396A2 (en) 2009-01-02 2010-07-08 Emory University Compounds, intermediat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KR20120024928A (ko) 2009-06-04 2012-03-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연신 분리가능한 감압성 접착제
FR2957905B1 (fr) 2010-03-29 2012-04-06 Otor S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fert de decoupes pour boites d'emballage
DE102014208264A1 (de) * 2014-04-30 2015-11-05 Tesa Se Hilfsklebeband für eine wiederablösbare Klebefoli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902A (ko) * 2012-07-23 2014-02-04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 테이프용 감압 접착제 및 접착 테이프에서의 이의 용도
KR20150097696A (ko) * 2012-12-19 2015-08-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분리가능한 접착 스트립
US20150206076A1 (en) * 2014-01-21 2015-07-23 1Efficiency, Inc. Cloud based energy portfolio builder to build and manage energy and utilities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buildings
WO2016156305A1 (de) * 2015-04-02 2016-10-06 Tesa Se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WO2017025492A1 (de) * 2015-08-11 2017-02-16 Tesa Se Haftklebstoff auf basis von acrylnitril-butadien-kautschu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3618A1 (de) 2018-08-30
KR102287185B1 (ko) 2021-08-05
CN110337477A (zh) 2019-10-15
DE102017203092A1 (de) 2018-08-30
EP3585852B1 (de) 2021-06-30
US20200010732A1 (en) 2020-01-09
CN110337477B (zh) 2021-08-24
EP3585852A1 (de)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596Y1 (ko) 분리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KR102000233B1 (ko) 재탈착 가능한 접착 스트립
US20180079937A1 (en) Removable contact-adhesive tape
CN108699418B (zh) 压敏胶粘剂、包含其的自胶粘产品和复合物材料
CN111247221A (zh) 具有部分发泡的自胶粘物质的胶粘条
US20220380641A1 (en) Foamed adhesive mass layer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the foamed adhesive mass layer
KR102287185B1 (ko)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KR102580311B1 (ko) 분리 가능한 접착 스트립
CN112088197B (zh) 用于制造用微球发泡的自胶粘剂组合物层的方法
CN114729251B (zh) 压敏粘合剂化合物,和自粘产品,以及包含后者的复合材料
KR20210110615A (ko)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기반으로 한 감압 접착제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