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631A -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631A
KR20190115631A KR1020180038548A KR20180038548A KR20190115631A KR 20190115631 A KR20190115631 A KR 20190115631A KR 1020180038548 A KR1020180038548 A KR 1020180038548A KR 20180038548 A KR20180038548 A KR 20180038548A KR 20190115631 A KR20190115631 A KR 2019011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luid
hollow
particles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봉권
Original Assignee
문봉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봉권 filed Critical 문봉권
Priority to KR102018003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631A/ko
Publication of KR2019011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은 입경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는 상기 입자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구형입자이며, 표면에 다수개의 표면 돌기를 포함함에 따라 조리용기 뚜껑을 통과하는 유체를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고, 여과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Cooking container lid including hollow particle aggregate for fluid filtra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미세먼지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각종 여과 장치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유체 여과장치,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정수기 등은 기체 또는 액체를 여과하기 위한 중공(中空)을 포함하는 필터 입자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을 포함하는 필터 입자는 입자 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갖는 물질로, 유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여과하여 유체의 청정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냄새는 공기 중의 먼지와 반응하여 악취로 변질될 수 있어 가정 또는 식당 또한, 조리 시 발생하는 냄새를 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8170호는 필터에 사용될 수 있는 구상 유기 폴리머-실리콘 화합물 복합 입자, 중공 입자 및 그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균 입자 지름이 5∼65㎚, 평균 진원도가 0.90 이상, 또한 실리콘 화합물의 쉘의 두께가 1∼20㎚인 중공 입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공을 포함하는 필터 입자는 정화대상인 유체가 통과될 때의 투과도가 낮다. 또한, 정화대상인 유체와의 접촉 표면적이 제한적이이고, 유체 여과가 반복됨에 따라 세균과 곰팡이 등을 여과하므로 다량의 세균과 곰팡이들이 서식한다. 이에, 유체 정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817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를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고,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유체가 통과될 때의 투과도가 높으며, 여과대상인 유체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 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은,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체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뚜껑본체의 일부에 상기 손잡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입경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는 상기 입자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구형입자이며, 표면에 다수개의 표면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 돌기의 길이 방향 연장선(A)은, 상기 표면 돌기가 위치되는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일측을 지나는 접선(B)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는 입경이 0.001 ~ 0.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30 ~ 40부피%, 입경이 1.0 ~ 9.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40 ~ 50 부피%, 및 입경이 10 ~ 100.0 ㎛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10 ~ 30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총 부피에 대하여 상기 중공이 차지하는 부피는 30 ~ 70 부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돌기는 상기 중공 내 표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따르면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를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고,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유체가 통과될 때의 투과도가 높으며, 여과대상인 유체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 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은 뚜껑본체(100), 상기 뚜껑본체(100)에 체결되는 손잡이(200), 및 상기 뚜껑본체(100)의 일부에 상기 손잡이(200)를 조립할 수 있으며 입경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체결구(300)를 포함한다. 이에, 조리용기에서 발생한 증기와 같은 유체가 상기 체결구(300)를 통해 정화되어 배출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는 다수개의 여과 입자들이 모여 이루어진 덩어리 형태일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는 여과 입자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10)을 포함하는 중공 구형입자이며, 표면에 다수개의 표면 돌기(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은 해당 분야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일예로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는 은, 구리, 아연, 카드뮴, 수은, 안티몬, 금, 알루미늄, 백금, 팔라듐, 활성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규조토, 규산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산화망간,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퍼라이트, 탈크,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항균물질을 포함함에 따라 유체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에 대한 여과 물질 흡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10)은 여과 입자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여과 대상의 유체와 접촉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동시에, 여과 입자에 대한 여과 대상의 유체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총 부피에 대하여 상기 중공이 차지하는 부피는 30 ~ 70 부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 부피%일 수 있다.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총 부피에 대하여 상기 중공이 차지하는 부피가 30 부피% 미만일 경우 여과 대상의 유체와 접촉 표면적이 제한적일 수 있어 여과 효율이 낮아질 수 있고, 여과 입자에 대한 여과 대상의 유체 투과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총 부피에 대하여 상기 중공이 차지하는 부피가 70 부피%를 초과할 경우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결함이 생길 수 있어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표면 돌기(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 돌기(20)는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표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로 여과 대상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돌기(20)는 도 2의 (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10) 내 표면에도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에서, 상기 표면 돌기(20)의 길이 방향 연장선(A)은, 상기 표면 돌기(20)가 위치되는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일측을 지나는 접선(B)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에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여과 대상이 통과할 때, 별도의 외력 또는 공정 없이 상기 여과 대상 내에서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여과 입자에 대한 여과 대상의 유체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 돌기(20)의 길이 방향 연장선(A)은, 상기 표면 돌기(20)가 위치되는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일측을 지나는 접선(B)에 대하여 10 ~ 80 ° 로 경사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60 °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이 10 ° 미만이거나 80 °를 초과할 경우 상기 여과 대상 내의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회전운동 속도가 낮아져 여과 효율 향상이 제한적일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는 입경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포함한다. 이에, 여과대상 유체 내의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투과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경 크기가 작은 여과용 입자만을 포함하는 여과 입자 집합체와 비교하여 유체 투과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입경 크기가 큰 여과용 입자만을 포함하는 여과 입자 집합체와 비교하여 여과 효율 높은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입경이 0.001 ~ 0.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30 ~ 40부피%, 입경이 1.0 ~ 9.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40 ~ 50 부피%, 및 입경이 10 ~ 100.0 ㎛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10 ~ 30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입경이 0.001 ~ 0.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가 30 부피% 미만일 경우 여과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4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에 대한 유체의 투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입경이 1.0 ~ 9.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가 40 부피% 미만일 경우 여과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5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에 대한 유체의 투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입경이 10 ~ 100.0 ㎛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가 10 부피% 미만일 경우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에 대한 유체의 투과성이 떨어질 수 있고 30 부피%를 초과할 경우 여과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중공 20 : 표면 돌기
100 : 뚜껑본체 200 : 손잡이
300 : 체결구

Claims (5)

  1.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체결되는 손잡이, 및 상기 뚜껑본체의 일부에 상기 손잡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입경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는 상기 입자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구형입자이며, 표면에 다수개의 표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돌기의 길이 방향 연장선(A)은, 상기 표면 돌기가 위치되는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의 일측을 지나는 접선(B)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입경이 0.001 ~ 0.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30 ~ 40부피%, 입경이 1.0 ~ 9.999㎛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40 ~ 50 부피%, 및 입경이 10 ~ 100.0 ㎛ 인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10 ~ 30 부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총 부피에 대하여 상기 중공이 차지하는 부피는 30 ~ 7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돌기는 상기 중공 내 표면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KR1020180038548A 2018-04-03 2018-04-03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KR20190115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48A KR20190115631A (ko) 2018-04-03 2018-04-03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48A KR20190115631A (ko) 2018-04-03 2018-04-03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31A true KR20190115631A (ko) 2019-10-14

Family

ID=6817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548A KR20190115631A (ko) 2018-04-03 2018-04-03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6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170A (ko) 2007-06-26 2010-04-13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상 유기 폴리머-실리콘 화합물 복합 입자, 중공 입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170A (ko) 2007-06-26 2010-04-13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상 유기 폴리머-실리콘 화합물 복합 입자, 중공 입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0573A1 (en) Multi-layered composite filter media and pleated filter element constructed therefrom
US7297263B2 (en) Efficient water filters
WO2008106276A3 (en) Purifier insert with a tablet dispenser and indicator
JP4917234B2 (ja) セラミックフィルター及び浄水方法
JP4642843B2 (ja) 気体浸透性ポリマ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06322543A (zh) 一种空气净化器
CN1835802A (zh) 使用掺铁离子交换剂处理水的装置
RU2003132696A (ru) Фильтры и фильтрующие материал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удале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и способы для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190115631A (ko)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KR102611950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용 다기능 복합 필터
KR20190115633A (ko)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를 포함하는 조리용 불판
KR100901069B1 (ko) 마이크로 필터가 포함된 활성탄 블록
KR200462817Y1 (ko) 필터하우징의 호환성이 가능한 정수필터
KR200291201Y1 (ko) 다단 필터방식의 정수기
KR101925897B1 (ko) 유체 여과용 중공 입자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KR20170116515A (ko) 일체형 복합정수필터
KR101449508B1 (ko) 정수기용 필터
KR200432774Y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
CN104382455A (zh) 一种便携式过滤吸管
JP2008279451A (ja) 浄水器用円筒形フィルタ部材の製造方法
CN206051717U (zh) 一种具有高效过滤功能的滤芯
KR101339660B1 (ko) 정수기용 필터
CN204245831U (zh) 一种便携式过滤吸管
KR200446239Y1 (ko) 반도체 산업용 가스 여과필터
US20070028572A1 (en)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