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587A -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587A
KR20190115587A KR1020180038464A KR20180038464A KR20190115587A KR 20190115587 A KR20190115587 A KR 20190115587A KR 1020180038464 A KR1020180038464 A KR 1020180038464A KR 20180038464 A KR20180038464 A KR 20180038464A KR 20190115587 A KR20190115587 A KR 2019011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outlet
inlet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만
Priority to KR102018003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587A/ko
Publication of KR2019011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벽 주전자는 상방이 개방된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내통(11); 및 상기 내통의 관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내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선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물코(12);가 마련된 내부주전자(10); 상기 내부주전자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개방된 상단 테두리가 상기 내통의 개방된 투입구 상단 테두리와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외통(21); 및 상기 외통의 관통공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물코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내측면과 상기 내부물코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물코(22);가 마련된 외부주전자(20);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30); 및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내부주전자의 외부로 외부주전자를 덮어씌워 내, 외부주전자가 일정간격 서로 이격된 진공부를 형성하고, 내부주전자의 투입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역시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하며, 배출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를 마련하여 내통으로 투입 저장되는 내용물을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전자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저장품에 대한 상태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FOR MAKING PENT ROOF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내통 및 내부물코가 마련된 내부주전자의 외부로 외통 및 외부물코가 마련된 외부주전자를 덮어씌워 내, 외부주전자가 일정간격 서로 이격된 진공부를 형성하고, 내부주전자의 투입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역시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하며, 배출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가 마련되는 된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전자라 함은 물을 끓이거나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금속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주전자는 내부공간을 갖고 중앙 상단부에 외부로 관통된 투입구를 갖는 주전자본체와, 이 주전자본체의 외주면 일측에 연통 연결되어 내부공간의 음료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코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투입구커버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주전자는 주전자본체와 물코와 투입구커버의 전체적인 외형이 단일벽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전자본체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의 열과 용이하게 접촉되어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되면서 내용물 보관이 안전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열차단 구조를 갖는 주전자가 제시된 바 있다.
일례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주전자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단부 내주면에 바닥판이 결합되고 상단부 내주연이 내측 동심원상으로 소정폭 절곡 연장되어 일정 내경의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단 절곡 연장부와 상단 내주면 사이에 실리콘고무링이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 외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연부가 상기 외부용기의 실리콘고무링에 삽입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단 개방부에 하단 외주면이 삽입되어 용착되도록 동심원상으로 단턱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확개되어 상부에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따르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역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에만 공간부를 형성할 뿐 하단부와 덮개 및 물따르개 등의 부분에는 단열 구조가 적용되지 않아 충분한 단열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7410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내통 및 내부물코가 마련된 내부주전자의 외부로 외통 및 외부물코가 마련된 외부주전자를 덮어씌워 내, 외부주전자가 일정간격 서로 이격된 진공부를 형성하고, 내부주전자의 투입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역시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하며, 배출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를 마련하여 내통으로 투입 저장되는 내용물을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는 상방이 개방된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관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내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선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물코;가 마련된 내부주전자; 상기 내부주전자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개방된 상단 테두리가 상기 내통의 개방된 투입구 상단 테두리와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외통; 및 상기 외통의 관통공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물코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내측면과 상기 내부물코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물코;가 마련된 외부주전자;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및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커버는,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판; 및 상기 외주판의 하단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판과의 사이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커버의 외주판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주전자의 투입구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커버의 외주판 일측에 상기 투입구커버가 상기 투입구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와 내부주전자의 내부 사이의 밀봉이 가능하게 되는 실링부재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커버는, 상기 배출구 선단인 외부물코의 일측에 연결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축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개폐부를 고정 지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킨 상태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봉부재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단부가 상기 개폐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편; 및 상기 힌지편의 타단부에 중앙부가 힌지 연결되고, 일단부에 상기 외부물코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 조작되는 지렛대부와, 타단부에 상기 외부물코 방향으로 가압하여 개폐부가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하고 외측으로 잡아당겨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손잡이가 마련된 락킹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손잡이를 외부물코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지렛대부와 손잡이가 상기 외부물코의 외측면과 직각을 이루는 지점을 임계점으로 설정하고 이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 손잡이가 외부물코쪽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임계점에서의 힘균형이 파괴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힌지편과 락킹편의 힌지연결위치 및 길이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방에 투입구를 갖는 내통의 관통공에 내부물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내통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에서 상하로 나누어진 외통의 상, 하반부를 상하방에서 덮어씌워 상반부의 상단부는 상기 내통의 투입구 상단부와 연결하고 나서 상기 외통의 상, 하반부를 연결하여 내, 외통 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내부물코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으로 외부물코를 덮어씌워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물코의 배출구와 연결하여 내, 외부물코 간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입구커버가 투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투입구커버의 외주판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투입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커버는, 상판의 일측에 손잡이를 마련하고,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판을 형성하며, 상기 외주판의 하단부 테두리에 하판을 연결하여 상, 하판 및 외주판으로 둘러싸인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선단인 외부물코의 일측에 힌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축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마련하며,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개폐부를 고정 지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배출구커버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 외통 및 내, 외부물코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일측에 상기 공간과 관통되는 미세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 내를 진공으로 만든 후 상기 미세통공을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은 소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내통 및 내부물코가 마련된 내부주전자의 외부로 외통 및 외부물코가 마련된 외부주전자를 덮어씌워 내, 외부주전자가 일정간격 서로 이격된 진공부를 형성하고, 내부주전자의 투입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역시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하며, 배출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를 마련하여 내통으로 투입 저장되는 내용물을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전자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저장품에 대한 상태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주전자는 내부주전자(10)와 외부주전자(20)와 투입구커버(30)와 배출구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주전자(10)는 상방이 개방된 투입구(11a)가 형성되고 외주면 중앙부위에 관통공(11b)을 갖는 구 형상의 내통(11) 및 상기 내통(11)의 관통공(11b)에 후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내통(11)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상향 연장된 선단부에 배출구(12a)가 형성되는 길다란 주둥이 형상의 내부물코(1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통(11)은 투입구(11a)의 테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직립관체(11c)가 마련되고 이 직립벽체(11c)의 내주면에 나사산(1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주전자(20)는 상기 내부주전자(10)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개방된 상단 테두리가 상기 내통(11)의 개방된 투입구(11a)의 직립벽체(11c)의 상단 테두리와 밀봉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공(21a)을 갖는 외통(21) 및 상기 외통(21)의 관통공(21a)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물코(12)의 배출구(12a)와 연결되어 내측면과 상기 내부물코(12)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물코(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커버(30)는 상기 투입구(11a)를 개폐시키는 뚜껑 형상으로, 상기 투입구커버(30)는, 중앙에서 상향 돌출된 손잡이(31a)가 마련된 상향 라운드진 원판 형상의 상판(31)과, 상기 상판(3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판(32) 및 상기 외주판(32)의 하단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판(31)과의 사이에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상판(31)과 동일 구조를 갖는 하판(3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커버(30)의 외주판(32)에는 상기 내부주전자(10)의 투입구(11a)의 직립벽체(11c)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d)과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커버(30)의 외주판(32) 상측에 상기 투입구커버(30)가 상기 투입구(11a)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와 내부주전자(10)의 내통(11)의 내부 사이의 밀봉이 가능하게 되는 실링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35)는 상기 외주판(32)의 상단 테두리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32b)를 마련하고 이 오목홈부(32b)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커버(40)는 배출구(12a)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배출구커버(40)는, 상기 배출구(12a) 선단인 외부물코(22)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힌지부(41)와, 상기 힌지부(41)에 일측이 연결되어 축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12a)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2) 및 상기 개폐부(4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2a)를 폐쇄시킨 상태의 개폐부(42)를 고정 지지하는 락킹부(4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42)의 일측에 상기 배출구(12a)를 폐쇄시킨 상태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봉부재(42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43)는, 일단부가 상기 개폐부(42)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편(43a) 및 상기 힌지편(43a)의 타단부에 중앙부가 다시 힌지 연결되고, 일단부에 상기 외부물코(22)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 조작되는 지렛대부(43b1)와, 타단부에 상기 외부물코(22) 방향으로 가압하여 개폐부(42)가 배출구(12a)를 폐쇄하도록 하고 외측으로 잡아당겨 배출구(12a)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손잡이(43b2)가 마련된 락킹편(43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43)는 상기 손잡이(43b2)를 외부물코(22)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지렛대부(43b1)와 손잡이(43b2)가 상기 외부물코(22)의 외측면과 직각을 이루는 지점을 임계점(힘의 균형점)으로 설정하고 이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 손잡이(43b2)가 외부물코(22)쪽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임계점에서의 힘의 균형이 파괴되어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힌지편(43a)과 락킹편(43b)의 힌지연결위치 및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중벽 주전자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방에 투입구(11a)를 갖는 내통(11)의 관통공(11b)에 내부물코(12)를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내통(11)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에서 상하로 나누어진 외통(21)의 상, 하반부를 상하방에서 내통(11)을 향해 덮어씌워 상반부 외통의 상단부는 상기 내통(11)의 투입구(11a)의 직립벽체(11c) 상단부와 연결하고 나서 상기 외통의 상, 하반부를 연결하여 내, 외통(11,21) 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내부물코(12)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으로 외부물코(22)를 덮어씌워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21a)과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물코(12)의 배출구(12a)와 연결하여 내, 외부물코(12,22) 간에 공간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투입구커버(30)를 제작하기 위해, 상판(31)의 중앙에 손잡이(31a)를 마련하고, 상기 상판(3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판(32)을 형성하며, 상기 외주판(32)의 하단부 테두리에 하판(33)을 연결하여 상, 하판(31,33) 및 외주판(32)으로 둘러싸인 폐쇄공간이 형성된 투입구커버(30)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커버(30)가 투입구(11a)에 나사 결합되도록 투입구커버(30)의 외주판(32)에 나사산(32a)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투입구(11a)의 직립벽체(11c)의 내주면에 나사산(11d)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주판(32)의 상단부 테두리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부(32b)를 형성하고 이 오목홈부(32b)에 실링부재(35)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배출구(12a) 선단인 외부물코(22)의 일측에 힌지부(41)를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41)에 일측이 연결되어 축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12a)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2)를 마련하며, 상기 개폐부(4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2a)를 폐쇄시킨 상태의 개폐부(42)를 고정 지지하는 락킹부(43)를 포함하는 배출구커버(40)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외통(21)의 일측에 내, 외통 및 내, 외부물코 사이의 공간과 관통되는 미세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 내를 진공으로 만든 후 상기 미세통공을 폐쇄시켜 본 발명의 이중벽 주전자의 제조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든 부위의 연결은 가급적 용접 등을 통해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중벽 주전자의 투입구커버(30)를 열고 내통(11) 내부에 보존하고자 하는 액체를 투입한 후 다시 투입구커버(30)를 나사 체결 방식으로 닫는다.
이렇게 하여 나사 체결이 완료되면 실링부재(35)에 의해 투입구(11a)가 완전히 밀봉된 상태가 된다.
그러고 나서, 배출구(12a)를 배출구커버(40)를 닫아 배출구(12a)까지 완전히 밀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내통(11) 내부의 액체는 처음 투입된 상태를 장시간 지속하면서 안정적인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은 소정의 제조방법을 통해 내통 및 내부물코가 마련된 내부주전자의 외부로 외통 및 외부물코가 마련된 외부주전자를 덮어씌워 내, 외부주전자가 일정간격 서로 이격된 진공부를 형성하고, 내부주전자의 투입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역시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하며, 배출구를 밀봉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를 마련하여 내통으로 투입 저장되는 내용물을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전자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저장품에 대한 상태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발명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주전자 11 : 내통
11a : 투입구 11b : 관통공
11c : 직립벽체 11d : 나사산
12 : 내부물코 12a : 배출구
20 : 외부주전자 21 : 외통
21a : 관통공 22 : 외부물코
30 : 투입구커버 31 : 상판
31a : 손잡이 32 : 외주판
32a : 나사산 32b : 오목홈부
33 : 하판 35 : 실링부재
40 : 배출구커버 41 : 힌지부
42 : 개폐부 42a : 밀봉부재
43 : 락킹부 43a : 힌지편
43b : 락킹편 43b1 : 지렛대부
43b2 : 손잡이

Claims (6)

  1. 상방이 개방된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관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내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선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물코;가 마련된 내부주전자;
    상기 내부주전자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개방된 상단 테두리가 상기 내통의 개방된 투입구 상단 테두리와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외통; 및 상기 외통의 관통공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물코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내측면과 상기 내부물코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물코;가 마련된 외부주전자;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구커버; 및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구커버;
    를 포함하는 이중벽 주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커버는,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판; 및
    상기 외주판의 하단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판과의 사이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하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주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커버는,
    상기 배출구 선단인 외부물코의 일측에 연결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축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개폐부를 고정 지지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주전자.
  4.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방에 투입구를 갖는 내통의 관통공에 내부물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내통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에서 상하로 나누어진 외통의 상, 하반부를 상하방에서 덮어씌워 상반부의 상단부는 상기 내통의 투입구 상단부와 연결하고 나서 상기 외통의 상, 하반부를 연결하여 내, 외통 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내부물코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으로 외부물코를 덮어씌워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물코의 배출구와 연결하여 내, 외부물코 간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입구커버가 투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투입구커버의 외주판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투입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커버는, 상판의 일측에 손잡이를 마련하고,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판을 형성하며, 상기 외주판의 하단부 테두리에 하판을 연결하여 상, 하판 및 외주판으로 둘러싸인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선단인 외부물코의 일측에 힌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축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마련하며,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개폐부를 고정 지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배출구커버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주전자 제조방법.
KR1020180038464A 2018-04-03 2018-04-03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5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64A KR20190115587A (ko) 2018-04-03 2018-04-03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64A KR20190115587A (ko) 2018-04-03 2018-04-03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87A true KR20190115587A (ko) 2019-10-14

Family

ID=6817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64A KR20190115587A (ko) 2018-04-03 2018-04-03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5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99B1 (ko) 2023-04-03 2024-02-20 (주)리빙글로리 주전자 바디 제작 장비의 주전자 상반 바디전용 지지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전자 바디 제작 장비
KR102638700B1 (ko) 2023-04-03 2024-02-20 (주)리빙글로리 주전자 바디 제작 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10Y1 (ko) 1999-08-03 2000-02-15 주식회사타이거 주전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10Y1 (ko) 1999-08-03 2000-02-15 주식회사타이거 주전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99B1 (ko) 2023-04-03 2024-02-20 (주)리빙글로리 주전자 바디 제작 장비의 주전자 상반 바디전용 지지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전자 바디 제작 장비
KR102638700B1 (ko) 2023-04-03 2024-02-20 (주)리빙글로리 주전자 바디 제작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1814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US9315305B2 (en) Canned beverage sealer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115587A (ko) 이중벽 주전자 및 그 제조방법
JP6882014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WO2005095226A1 (en) Thermally-insulated flask
US20160347514A1 (en) Container lid
JP526937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WO1998001364A1 (en) Sealed liquid container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5301378B2 (ja) 飲料サーバ
CN104843306A (zh) 托盘弯曲吸管盖
JP4245061B2 (ja) 金属製保温容器
JPH0451743Y2 (ko)
JP4458337B2 (ja) 飲料容器
TWI813470B (zh) 蓋組件及帶蓋容器
JP6459534B2 (ja) 飲料用容器
CN210696364U (zh) 保温且便携式午餐盒
RU50993U1 (ru) Крышка бутылки с призом
JP2011235934A (ja) 断熱食品容器
CN211186739U (zh) 易于装配的隔热杯盖
CN209252433U (zh) 一种加热杯的盖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