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465A -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465A
KR20190114465A KR1020180037225A KR20180037225A KR20190114465A KR 20190114465 A KR20190114465 A KR 20190114465A KR 1020180037225 A KR1020180037225 A KR 1020180037225A KR 20180037225 A KR20180037225 A KR 20180037225A KR 20190114465 A KR20190114465 A KR 2019011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area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116B1 (ko
Inventor
정원빈
Original Assignee
정원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빈 filed Critical 정원빈
Priority to KR102018003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116B1/ko
Priority to PCT/KR2019/000853 priority patent/WO2019190038A1/ko
Publication of KR2019011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기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VIRTUAL AREA 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본원은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사용자와 개시된 누적 콘텐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사용자간 인맥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정보의 집중과 용이한 인맥확대라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성장세는 사용자가 공유하는 신규 콘텐츠의 생성 속도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속도를 넘어선 상태로, 사용자는 신규 콘텐츠를 본인의 입장에서 중요도에 따라 재구성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부 콘텐츠의 소비를 기피하거나 포기하는 실정이다. 이런 현상은 단순히 사용자의 한정된 콘텐츠 소비 시간에만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관심 없는 광고나 악의적인 목적을 지닌 거짓 정보, 복수의 인맥을 통해 게시된 동일한 콘텐츠, 개인의 과시를 위해 작성된 콘텐츠 등 다른 사용자에게 소비 가치가 낮은 콘텐츠의 지속적인 배포가 또 다른 이유라 할 수 있다.
또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콘텐츠의 최신성을 기준으로 최신에 생성되거나 갱신된 콘텐츠를 사용자 화면에 우선 배치하게 함으로써, 시간이 흐를수록 과거에 생성된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신문기사나 행사일정, 인물이나 사건의 현황 등 최신성이 요구되는 일부 콘텐츠는 위 배포 환경에서 가치 있게 소비되고 있는 반면, 깨달음과 감동을 주는 예술작품이나 회상을 위해 재 소비되는 일기나 사진첩처럼 사용자의 소비 시점이 콘텐츠의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콘텐츠들의 소비수명은 짧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콘텐츠의 성질에 따른 분류 기능,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관리 및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적극성과 추가적인 시간이 요구된다.
블로그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지식과 경험, 감정 등을 불특정 다수 혹은 지정된 지인들과 공유하는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블로그 서비스는 카테고리 별, 순차 별 콘텐츠 작성에 유리하고 콘텐츠 편집기능이 발달하여 전문지식을 집중하고 배포하는데 유용한 서비스로서 전문가들의 사용도가 높다. 이로 인해 블로그에서 배포된 정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정보에 비해 전문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대중의 인식이 생겼고, 최근에는 이를 이용하여 기업들이 마케팅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블로그 서비스는 비단 전문가 집단만을 위한 서비스는 아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같이 개인이 기록하여 소장하고 싶은 사진이나 글 등의 보관장소로서, 또 가까운 지인들과 공유하는 목적으로도 여전히 이용되고 있다. 이는 블로그 서비스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비해 콘텐츠 성질에 따른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기존 공통관심사로 연결된 소규모 지인 집단과의 폐쇄적인 콘테츠 공유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대상의 범위가 작성자와 동일한 볼로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공통의 관심사 등으로 연결된 지인 집단에 한정된다는 점, 다시 말해 인연의 계기가 온라인이 아닌 가족이나 동문, 직장동료 등과 같은 오프라인 범주인 지인들과 콘텐츠를 공유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4777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속보성이나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자주 소비되지 않고 공유대상자가 미래 가감될 수 있는 개인기록적인 콘텐츠를 시계열, 카테고리별이 아닌 별도의 열람 조건으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보관, 배포, 열람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비가치가 훼손되지 않는 콘텐츠의 소비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콘텐츠 게시자가 콘텐츠 생성시점에 콘텐츠와 유관한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 조건을 추가로 지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위치 기반의 가상 영역을 이용한 콘텐츠 보관, 배포, 열람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관심없는 광고나 거짓 정보, 사용자에게 소비 가치가 낮은 콘텐츠의 지속적인 배포를 차단하고 개인기록적인 콘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별도의 열람 조건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유용할 수 있는 인근 화재, 교통사고 등 사고 정보나 역사적, 교육적 가치가 있는 정보 등을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구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기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 상기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 제2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 따라,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 설정부는, 제1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지도에 포함된 실제 지리, 지형, 지물 정보를 고려하여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입력 받는 제1사용자 단말,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상기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며,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에 요청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 상기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부합하는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속보성이나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자주 소비되지 않고 공유대상자가 미래 가감될 수 있는 개인 기록적인 콘텐츠를 시계열, 카테고리별이 아닌 열람할 수 있는 조건으로 제공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비가치가 훼손되지 않는 해당 콘텐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관심없는 광고나 거짓 정보, 사용자에게 소비 가치가 낮은 콘텐츠의 지속적인 배포를 차단하고 개인 기록적인 콘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별도의 열람 조건으로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콘텐츠 게시자가 콘텐츠 생성시점에의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 조건을 추가로 지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유용할 수 있는 인근 화재, 교통사고 등 사고 정보나 역사적, 교육적 가치가 있는 정보 등을 사용자의 적극성을 요구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설정한 보관 영역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가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가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1사용자 단말의 동작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1사용자 단말의 동작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의 콘텐츠 저장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의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 제공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정보 저장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제공의 알림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제공의 알림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의 이동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은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 제1사용자 단말(200) 및 제2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작성하는 사용자 단말로서(콘텐츠 작성 단말기), 웹(web)이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작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 해당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입력, 열람조건(보관영역, 열람기간, 열람제한횟수) 설정, 사본소유권자, 재배포권자, 순수열람권자의 지정, 조건열람권자의 조건 지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200)은 보관영역 설정에 이용될 수 있는 위치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제공하고,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콘텐츠 및 사업자명, 공공기관명, 위치, 업종 등의 관련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작성된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로서(콘텐츠 조회 단말기),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웹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 콘텐츠 식별자와 열람 조건을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해당 내용을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 콘텐츠 전달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지정열람권자인 콘텐츠의 식별자 및 열람 조건을 저장하고,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와 통신 연동을 통해 콘텐츠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위치정보, 현재 시각을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열람조건과 비교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콘텐츠 목록이 있는지 확인하여 알림 메시지 등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1사용자 단말(200) 및 제2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면,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 제1사용자 단말(200) 및 제2사용자 단말(300)은 상호간에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 무선의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사용자 단말(200) 및 제2사용자 단말(300)은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작성 및 등록하고, 제2사용자 단말(300)은 프로그램을 통해 등록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먼저, 제1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살펴보면, 제1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이 데스크탑과 같은 PC일 경우, 웹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와 연동 또는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문자, 사진, 음성, 영상 외부 미디어 콘텐츠, 외부 서비스(전자상거래) 등에 접근할 수 있는 형식의 정보를 나타내며, URL과 같은 웹 주소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작성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의미하며, 예시적으로, 이름, 성별, 연령, 국적, 사용 언어, 전화번호, 이메일 계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 사용자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콘텐츠를 작성하는 제1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기록자로서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기록자는 콘텐츠를 최초 작성하고,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 해당 콘텐츠를 전송 및 저장하는 사용자를 의미하며, 작성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고, 콘텐츠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하거나, 해당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별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본소유권자, 재배포권자, 순수열람권자 등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사용자를 열람권자라 하고,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조건을 콘텐츠 열람 조건이라 하겠다. 제1사용자 단말(2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통해 열람권자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열람권자는 지정열람권자 및 조건열람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정열람권자는 콘텐츠를 작성한 기록자가 지정한 사용자(열람권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정열람권자는 기록자, 사본소유권자, 재배포권자, 순수열람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록자는 작성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자를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통해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조건열람권자는 기록자가 설정한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자를 의미한다. 즉, 조건열람권자는 어떠한 열람권자(제2사용자 단말)이더라도 기록자가 설정한 열람 조건에 부합하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열람권자는 성별, 연령, 국적, 사용언어 등의 개인정보가 기록자가 특정하거나 정한 범위에 일치하며, 해당 콘텐츠를 열람만할 수 있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지정열람권자라 하더라도, 기록자가 설정한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지정열람권자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별로 콘텐츠 접근에 대한 권한이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콘텐츠 기록자의 친구, 지인, 가족 등 기록자가 원하는 사용자가 지정열람권자로 지정될 수 있다. 기록자는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서 가족에게 남기고 싶은 메시지를 포함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해당 콘텐츠의 지정열람권자를 가족으로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가족 외에는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없고, 가족만이 열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자는 지정열람권자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작성한 콘텐츠에 대해 열람 조건만 설정한 경우, 해당 콘텐츠는 조건열람권자에게 공개된 콘텐츠이고, 열람 조건에 부합하면 어떠한 열람권자도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열람권자는 사본소유권자, 재배포권자, 순수열람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본소유권자는 해당 콘텐츠와 동일한 사본을 보유할 수 있다. 사본소유권자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 해당 콘텐츠의 사본을 별도로 저장한 사용자를 나타내며, 콘텐츠의 사본을 기록자와 동등한 권한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사본소유권자는 동일한 콘텐츠의 사본을 열람할 수 있고, 동일한 사본에 대해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본소유권자, 재배포권자 및 순수열람권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콘텐츠의 사본을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재배포권자는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고, 해당 콘텐츠에 대해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순수열람권자를 지정할 수 있다. 순수열람권자는 해당 콘텐츠를 열람만 할 수 있다.
조건열람권자는 기록자(제1사용자 단말(200))가 설정한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면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콘텐츠 열람 조건은 예를 들어, 지도 기반 가상 영역 상에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현재 위치 정보), 콘텐츠의 열람 기간, 열람 제한 횟수 등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건열람권자로 설정된 제2사용자 단말(300)이 제1사용자 단말(200)이 지정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내에 위치하면, 즉, 콘텐츠가 저장된 가상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지도상의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보관 영역에 대한 조건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영역 및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는 후술하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콘텐츠를 요청한 시각이 미리 설정된 기간 내 이면 열람 기간에 대한 조건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열람 기간은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람 기간의 조건은 제2사용자 단말(300) 별로 즉, 열람권자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열람제한횟수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최대 횟수로서의 조건이며, 해당 콘텐츠의 기 열람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미만이면, 열람 제한 횟수에 대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열람 제한 횟수 정보는 열람권자별(제 2사용자 단말(300))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영역 설정부(110) 콘텐츠 저장부(120), 콘텐츠 관리부(130) 및 콘텐츠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의 저장, 열람 조건의 관리 및 배포 등, 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영역 설정부(110)는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보관 영역 요소는 지도상 가상의 영역을 의미하고, 지도의 위치정보로 표시할 수 있는 면이나 선으로 이루어진 경계로 구분될 수 있다. 보관영역요소 별로 고유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설정한 보관 영역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육각형의 모양으로 구획된 보관 영역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기록자가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 제1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보관 영역 요소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콘텐츠를 보관하기 위해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관 영역 요소 및 일정 반경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관 영역은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집합으로, 콘텐츠를 보관하는 지도상의 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부(1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보관 영역 요소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영역 요소 상호간 크기 및 모양이 다르게 구획할 수 있다. 보관 영역 요소가 상호간 크기 및 모양이 다른 경우, 구획되지 않은 가상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영역 요소는 구획에 따라 상호간 중첩될 수 있고, 보관 영역 요소가 모든 지도 영역에 대해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각각의 보관 영역 요소는 해당 보관 영역 요소의 실제 위치와 연계된 위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자를 콘텐츠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한 열람 조건과 함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사용자 단말(200)은 기록자가 콘텐츠를 작성하는 시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자를 기록자의 선택으로 간주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는 광고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에 접속한 기록자가 사업자 또는 공공기관의 계정인 경우, 제1사용자 단말(200)(이 경우, 제1사용자 단말은 고정형 장치(PC)인 것으로 가정한다.)은 광고 대상인 위치 즉, 사업장 및 공공기관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자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업장 및 공공기관의 경우, 사용자 단말의 GPS 기능을 활용하지 않고, 미리 사용가능한 보관 영역 요소 (사업장 인근, 공공기관의 관리지역 등)를 활용하여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콘텐츠,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전술한 열람 조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 콘텐츠 열람 가능한 위치 식별자 및 제1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20)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즉,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상기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표시된 영역은 기록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즉, 보관 영역)를 나타내고, 꽃 모양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꽃 모양의 아이콘은 보관 영역이 복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제1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최초로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록자가 미술관에서의 경험을 콘텐츠로 남기고자 할 경우, 제1사용자 단말(20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1사용자 단말(200)은 기록자로부터 미술관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때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는 도 4의 b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은 기록자가 입력한 콘텐츠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자와 함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열람 조건 등의 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콘텐츠 저장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상기 선택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고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2사용자 단말(300)에게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이때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라고 가정한다.). 한편, 제1사용자 단말(200)이 열람권자로 지정한 제2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면, 저장된 콘텐츠가 있다는 알림을 표시하게 되고(이때 제2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콘텐츠에 대해 설정된 콘텐츠 열람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제2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열람권자는 기록자가 미술관에서 느꼈던 감정 및 경험 등을 콘텐츠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및 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보다 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가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110)는 지도에 포함된 실제 지리, 지형, 지물 정보를 고려하여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영역 설정부(110)는 실제 지도상의 지리, 지형, 지물 정보에 따라 보관 영역 요소 각각의 크기, 모양 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관광 명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요소의 색 및 음식점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요소의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역 설정부(110)는 실제 지형 또는 건물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보관 영역 요소의 크기 또는 형상을 다르게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역 설정부(110)는 실제 지리에서 상대적으로 유명 또는 인기가 많은 관광지, 기록지 등이 밀집되어 있는 지형은 상대적으로 세밀하게 보관 영역 요소의 크기 또는 형상을 설정하고 경우에 따라 중첩되게 표시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유명 또는 인기가 적은지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포괄적으로 보관 영역 요소의 크기 또는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설정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테마 별로 보관 영역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 테마 별로 보관 영역 요소의 크기, 모양 및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엔터테인먼트 테마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영역 설정부(110)는 영화관, 노래방, 오락실 등에 대한 보관 영역 요소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가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역 설정부(110)는 제1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기록자)의 취미, 관심사, 음식 등 사용자가 선호하는 요소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거주 지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음식에 대한 사용자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설정된 보관 영역 요소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카페에 대한 사용자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설정된 보관 영역 요소를 도시한다. 즉, 영역 설정부(110)는 사용자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부(110)는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공통된 특성 정보(예를 들어, 음식점)에 대해서는 동일한 모양 및 색으로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성 상호간 구분이 용이하도록 특성 각각에 대해서는 보관 영역 요소의 모양 및 색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역 설정부(110)는 사용자 특성 정보를 통해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구획할 수 있으므로, 각 기록자 별로 개인화된 보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부(110)는 기록자가 콘텐츠를 보관하기 위해 선택하는 보관 영역 요소의 지도 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록자가 선택한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상호, 관광지, 기관 등 과거의 이력 정보를 학습하여, 새로운 콘텐츠 작성 시, 제1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서 기록자가 콘텐츠를 보관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보관 영역 요소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역 설정부(110)는 이력 정보를 참조하고, 기록자가 선택한 보관 영역 요소로부터 업종 또는 기관의 종류(예를 들어, 요식업, 의류업, 의료업, 유흥업, 미술관, 영화관, 박물관 등)를 분류할 수 있고, 기록자의 콘텐츠 보관 횟수가 높은 종류 순으로 보관 영역 요소로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수신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저장부(120)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300) 별로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 별로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라는 것은 제2사용자 단말기(단말기의 식별자) 별로 또는 동일한 제2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로그인 하는 사용자의 식별자(예를 들어, 사용자 ID) 별로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지정열람권자로서, 콘텐츠 저장부(120)는 지정열람권자(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콘텐츠 저장부(120)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콘텐츠의 식별자 및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콘텐츠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는 각 필드 별로 콘텐츠 식별자, 위치 식별자,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가 할당된 메시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 외에도 테이블, 리스트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저장부(120)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 별로 조건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저장부(120)는 각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조건열람콘텐츠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30)는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콘텐츠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130)는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 제2사용자 단말(300)에 대응하는(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연계된) 콘텐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제2사용자 단말(300)은 다양한 기록자들이 작성하고,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로서 지정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30)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콘텐츠 정보를 해당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부(13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정보 및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조건열람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열람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30)가 제2사용자 단말(300)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콘텐츠를 제외한 모든 정보가 제2사용자 단말(300)에 업데이트 및 저장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정보를 통해 제2사용자 단말(300)이 열람 가능한 어떤 콘텐츠들이 있고 해당 콘텐츠 각각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열람 조건 정보를 통한 콘텐츠의 위치 식별자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정보를 저장만 할 뿐 제2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즉, 열람권자에게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사용자 단말(30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및 시각을 수집하고, 현재 위치와 위치 식별자를 맵핑하는 함수를 통해 제2사용자 단말(300)이 콘텐츠의 위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지 연산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위와 같은 위치에 대한 조건, 열람 기간 및 열람 제한 횟수에 대한 조건에 부합하는지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열람권자에게 현재 위치(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 및 열람 조건과 연계하여 저장된 콘텐츠가 있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람권자는 기록된 콘텐츠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알지 못하고, 실제 콘텐츠가 기록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기록자의 콘텐츠가 보다 프라이빗 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록자는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권자, 위치, 기간, 횟수에 대한 조건을 걸어둠으로써,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자는 공개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기, 수기와 같이 개인적인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고, 콘텐츠를 위치와 함께 기록함으로써, 콘텐츠 작성 시의 경험, 생각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감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삭제되지 않는 한 조건을 만족하는 열람권자에게 콘텐츠가 제공되므로, 자녀, 후배 등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담은 콘텐츠를 기록하여, 자녀, 후배 등으로 하여금, 기록자가 콘텐츠를 작성할 시의 경험, 감정 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당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기록자가 지정열람권자로 설정한 경우에만 해당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고, 또한, 기록자가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무분별하게 콘텐츠가 제공되는 종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달리, 해당 콘텐츠를 공개할 대상을 선택함에 따라, 보다 유의미한 콘텐츠를 열람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실시간으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열람권자 즉 제2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해 다양한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조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40)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제2사용자 단말(300)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4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제2사용자 단말(300)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 따라,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제2사용자 단말(300)이 선택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이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콘텐츠에 설정된 콘텐츠 열람 조건(열람 기간, 열람 제한 횟수)에 부합하면(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 또는 조건열람권자의 조건을 만족하면), 콘텐츠 요청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를 제외한 모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 제2사용자 단말(300)에서 콘텐츠 각각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콘텐츠 요청 신호를 전송하므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서 처리 및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정보 통신부(310), 조건 판단부(32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 요청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정보 통신부(31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각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정보 통신부(310)는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각 정보와 함께 제2사용자 단말(300)과 연계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제2사용자 단말(300)과 연계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당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식별자 별로 저장된 조건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통신부(31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함께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정보 통신부(310)는 콘텐츠 정보의 요청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콘텐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최신의 콘텐츠 정보를 유지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조건 판단부(32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제2사용자 단말(300)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조건 판단부(32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및 시각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사용자 단말(300)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지 위치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조건 판단부(320)는 수신한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의 위치 식별자와 제2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맵핑하는 함수를 통해 제2사용자 단말(300)이 해당 콘텐츠가 보관된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콘텐츠에 설정된 열람 기간 정보 및 열람 제한 횟수 정보의 조건에 부합하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 조건 판단부(320)는 조건 부합의 판단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으며, 제2사용자 단말(30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서도 상기 판단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 판단부(32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가 보관영역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위치정보와 보관영역요소의 식별자를 맵핑하는 함수를 저장하고, 보관영역요소 별로 식별자를 저장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해당함수를 통하여 보관영역요소의 식별자로 변환한 뒤, 해당 식별자로 각 콘텐츠의 보관영역 조건의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건 판단부(320)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330)는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고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현재 열람 가능한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알림은 메시지, 팝업창 또는 소리의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출력부(330)는 해당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콘텐츠 정보 통신부(310)는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330)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하여 열람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1사용자 단말의 동작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1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웹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 작성 화면을 실행할 수 있고, 단계 S703에서, 신규 콘텐츠를 작성하는지 기 저장된 콘텐츠(예를 들어, 임시 저장된 콘텐츠)를 작성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신규 콘텐츠를 작성하는 경우, 단계 S704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제1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현재 위치에 대한 식별자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콘텐츠를 작성하는 경우, 단계 S721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에 임시 저장된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고, 단계 S722에서 편집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가 구획되어 포함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단계 S707에서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작성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지정열람권자를 지정할 수 있다. 조건열람권자에게만 공개할 경우 해당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작성한 콘텐츠 및 열람 조건 정보의 저장 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저장할 경우, 단계 S711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사용자 단말(200)에 저장할 경우, 단계S731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에 콘텐츠 및 열람 조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1사용자 단말의 동작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오프라인 사업자의 광고 목적으로 콘텐츠를 기록하는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7에서 설명한 흐름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의 제1사용자 단말(200)은 고정형 디바이스, 예를 들어 PC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804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 단말(200)은 프로그램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때, 제1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해당 위치를 포함하도록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생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8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조건열람권자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09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작성한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가 광고 목적이기 때문에 열람 제한 횟수 정보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고, 특정 기간에만 서비스 제공하는 이벤트 형식의 광고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열람 기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의 콘텐츠 저장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가 지정열람권자에게 공개되는 콘텐츠인지 조건열람권자에게 공개되는 콘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가 지정열람콘텐츠인 경우, 단계 S903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2사용자 단말(300) 별로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가 조건열람콘텐츠인 경우, 단계 S91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별로 보관 영역의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수신된 콘텐츠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의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제공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요청 신호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콘텐츠 요청 신호인 경우, 단계 S101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해당 요청이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고,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12에서 해당 콘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연계되어 저장된 콘텐츠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요청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13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판단 사항을 포함한 오류 내용을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1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해당 요청이 지정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 요청인지 조건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 요청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요청이 지정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의 요청인 경우, 단계 S102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연계되어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1022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검색된 콘텐츠 정보에 변경사항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변경사항이란 예를 들어,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의 변경, 지정열람콘텐츠의 증감 등의 사항이 있을 수 있다. 변경사항이 존재할 경우, 단계 S1023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해당 콘텐츠의 식별자, 변경사항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요청이 조건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의 요청인 경우, 단계 S103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2사용자 단말(300)이 요청 신호를 전송한 위치 즉,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요소 또는 현재 위치의 인접한 위치(예를 들어, 인접한 위치는 반경 영역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 요소와 연계하여 저장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1032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검색되거나 변동된 조건 콘텐츠 열람 조건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기록자가 특정한 조건열람권자의 조건에 제2사용자 단말(300)의 정보(현재 위치, 인접 위치, 시각 등)가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해당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023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해당 콘텐츠의 식별자 및 변경사항을 포함한 콘텐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정보 저장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통해 설명하는 제2사용자 단말(3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이 어떠한 콘텐츠에 대해 지정열람권자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01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로 설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102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로 설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 중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제2사용자 단말(300)은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콘텐츠 정보의 변경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에 대한 상태 고유값을 생성하고 이를 제2사용자 단말(300)에 콘텐츠 정보의 변경사항 송신 시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2사용자 단말(300)이 최종으로 갱신한 상태 고유값과 함께 콘텐츠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상태 고유값 이후의 변경사항만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1)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변경사항과 연계된 콘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은 자신이 지정열람권자로 지정된 콘텐츠의 식별자 및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제공의 알림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통해 설명하는 제2사용자 단말(3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이 어떠한 콘텐츠에 대해 지정열람권자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01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202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기 저장된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각 콘텐츠 별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확인하여, 수집된 현재 위치 및 시각이 기 저장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및 시각을 통해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으나,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서의 불필요한 연산 및 통신을 최소화 하도록, 제2사용자 단말(300)에서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단계 S1203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확인 결과 수집된 현재 위치 및 시각이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을 갱신할 수 있고, 단계 S1204에서, 신규 열람 가능콘텐츠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신규 콘텐츠를 포함한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 중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S1205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요청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206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지정열람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에 포함된 링크를 통해 기록자가 입력한 외부 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포함된 미디어 콘텐츠의 실행, 차기 열람 가능 시 알림 여부 및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 중 해당 콘텐츠 제거 여부 등의 추가적인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제공의 알림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01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302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조건열람권자에게 공개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고, 단계 S1303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 등과 연계된 조건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04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수집된 현재 위치 및 시각이 기 저장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단계 S1305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신규 열람 가능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신규 콘텐츠를 포함한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 중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S1306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요청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07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부터 조건열람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1402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단계 S1404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 및 콘텐츠 식별자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콘텐츠가 지정열람콘텐츠인 경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2사용자 단말(300) 별로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406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지정열람권의 동기화를 위해, 제2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가 지정열람권자로 설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408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2사용자 단말(300)이 지정열람권자로 설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정보 중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변경사항을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410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각을 수집하고,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확인하여, 수집된 현재 위치 및 시각이 기 저장된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열람 가능 콘텐츠 목록의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 중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열람 가능한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412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지정열람콘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1414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의 이동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S1502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단계 S1504에서, 제1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수신한 콘텐츠,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 별로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506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조건열람권자에게 공개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조건열람권자에게 공개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508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조건열람 콘텐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510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콘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수집된 현재 위치 및 시각이 기 저장된 조건열람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열람 가능한 콘텐츠 목록 중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열람 가능한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 신호를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512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조건열람콘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1514에서 제2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방법은 앞선 도1 내지 도15를 통해 설명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5를 통해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1601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보관 영역 요소는 지도상 가상의 영역을 의미하고, 지도의 위치정보로 표시할 수 있는 면이나 선으로 이루어진 경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일정 지역에 대하여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거나 콘텐츠 열람조건 중 필수항목인 보관영역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미리 보관영역요소를 구획 및 결정하고 위치정보와 각 보관영역요소의 식별자를 맵핑하는 함수를 구현한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지정된 보관영역을 보관영역요소 식별자로 저장하고, 제2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해당함수를 통하여 보관영역요소의 식별자로 변환한 뒤, 해당 식별자로 조건의 부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2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1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콘텐츠,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 상기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정열람콘텐츠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지정열람권자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603에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제2사용자 단말(300)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콘텐츠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 제2사용자 단말(300)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제2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제2사용자 단말(300)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 따라, 제2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상기 제2사용자 단말(300)이 선택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네트워크
10: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100: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110: 영역 설정부
120: 콘텐츠 저장부
130: 콘텐츠 관리부
140: 콘텐츠 제공부
200: 제1사용자 단말
300: 제2사용자 단말
310: 콘텐츠 정보 통신부
320: 조건 판단부
330: 출력부

Claims (10)

  1.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기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 상기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콘텐츠 정보를 요청한 제2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 따라,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제1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지도에 포함된 실제 지리, 지형, 지물 정보를 고려하여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7.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입력 받는 제1사용자 단말;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상기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며, 제2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에 요청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는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보관 영역 요소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열람 기간 정보, 열람 제한 횟수 정보, 상기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사용자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 마다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식별자의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부합하는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인,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180037225A 2018-03-30 2018-03-30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8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25A KR102085116B1 (ko) 2018-03-30 2018-03-30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PCT/KR2019/000853 WO2019190038A1 (ko) 2018-03-30 2019-01-21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25A KR102085116B1 (ko) 2018-03-30 2018-03-30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465A true KR20190114465A (ko) 2019-10-10
KR102085116B1 KR102085116B1 (ko) 2020-03-05

Family

ID=6805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225A KR102085116B1 (ko) 2018-03-30 2018-03-30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5116B1 (ko)
WO (1) WO20191900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834B1 (ko) * 2023-08-17 2023-11-10 주식회사 이든엠 웹사이트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675A (ko) 2022-02-11 2023-08-21 아싸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KR20230121676A (ko) 2022-02-11 2023-08-21 아싸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종 정보의 선택적 오버랩을 통한 가상 공간 상의 융합 콘텐츠 생성 시스템
KR20230121674A (ko) 2022-02-11 2023-08-21 아싸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을 통한 콘텐츠 쉐어링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135A (ja) * 2003-11-27 200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087280A (ja) * 2007-10-03 2009-04-23 Ict Solutions:Kk マップ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及びマップ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1488141A (zh) * 2008-12-16 2009-07-22 南京莱斯大型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电子地图数据处理方法
KR20120076582A (ko) * 2010-12-03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106367A (ko) *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프리진 개방형 가상세계 간 통합 식별 체계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14424A (ja) * 2011-11-28 2013-06-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装置、情報処理装置、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方法、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設定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JP2014171032A (ja) * 2013-03-01 2014-09-18 Ntt Docomo Inc サーバー装置、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25776A (ko) * 2014-04-30 2015-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기반 메시지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5201082A (ja) *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グルーピング方法
KR20160027520A (ko) * 2014-09-01 2016-03-10 주식회사 모브릭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60277A (ko) * 2014-11-20 2016-05-3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지도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을 위한 우선순위를 고려한 지도 표출 방법
KR20160084265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레이아웃 구성 방법
KR101678618B1 (ko) * 2016-01-18 2016-11-22 (주)도일시스템즈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KR20170059343A (ko) * 2015-11-20 2017-05-30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WO2017126841A1 (ko) * 2016-01-18 2017-07-27 (주)도일시스템즈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725A (ko) *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101307476B1 (ko) * 2011-11-07 2013-09-11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38622B1 (ko) * 2015-04-22 2016-07-11 주식회사 카카오 사용자 단말의 이웃 단말들을 찾는 방법,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135A (ja) * 2003-11-27 200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087280A (ja) * 2007-10-03 2009-04-23 Ict Solutions:Kk マップ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及びマップ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1488141A (zh) * 2008-12-16 2009-07-22 南京莱斯大型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电子地图数据处理方法
KR20120076582A (ko) * 2010-12-03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106367A (ko) *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프리진 개방형 가상세계 간 통합 식별 체계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14424A (ja) * 2011-11-28 2013-06-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装置、情報処理装置、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方法、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設定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JP2014171032A (ja) * 2013-03-01 2014-09-18 Ntt Docomo Inc サーバー装置、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201082A (ja) *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グルーピング方法
KR20150125776A (ko) * 2014-04-30 2015-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기반 메시지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7520A (ko) * 2014-09-01 2016-03-10 주식회사 모브릭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60277A (ko) * 2014-11-20 2016-05-3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지도 디스플레이 속도 향상을 위한 우선순위를 고려한 지도 표출 방법
KR20160084265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레이아웃 구성 방법
KR20170059343A (ko) * 2015-11-20 2017-05-30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KR101678618B1 (ko) * 2016-01-18 2016-11-22 (주)도일시스템즈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WO2017126841A1 (ko) * 2016-01-18 2017-07-27 (주)도일시스템즈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834B1 (ko) * 2023-08-17 2023-11-10 주식회사 이든엠 웹사이트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116B1 (ko) 2020-03-05
WO2019190038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116B1 (ko)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US20190158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mapping and routing
KR101213857B1 (ko) 가상 세계
US9661462B2 (en) Location-based digital media platform
KR101213868B1 (ko) 가상 세계
JP6681029B2 (ja) ルート・ロギ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モバイルクライアント装置
US81087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within a user interface
Tussydiah et al. Interpreting tourist experiences from first-person stories: A foundation for mobile guides
US2015005832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enabling integrated activity scheduling, sharing and real-time social connectivity through an event-sharing platform
US10902529B2 (en) Social media and revenue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JP6748946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モバイル・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20140304014A1 (en)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travel planning
TW201546727A (zh) 日曆事件外圍視圖
KR20110106459A (ko) 관심사 기반 타겟 마케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EP2102597A1 (en) Dynamic map rendering as a function of a user parameter
EP2109855A1 (en) Dynamic rendering of map information
WO20160610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storylines
Gretzel et al. Social media in hospitality and tourism
US20140297669A1 (en) Attract mode operations associated with virtual tagging
KR20120019158A (ko) 증강 현실 기반의 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8108A (ko) 사용자 중심의 자유여행 정보 제공 및 플랜 수립 공유 플랫폼
US201500587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KR20170080009A (ko) 국내 방문 외국인을 위한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
Not Mining mobile application usage data to understand travel planning for attending a large event
KR20200097183A (ko) 외국인의 국내여행을 위한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