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618B1 -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618B1
KR101678618B1 KR1020160034561A KR20160034561A KR101678618B1 KR 101678618 B1 KR101678618 B1 KR 101678618B1 KR 1020160034561 A KR1020160034561 A KR 1020160034561A KR 20160034561 A KR20160034561 A KR 20160034561A KR 101678618 B1 KR101678618 B1 KR 10167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fence
designated area
information
designat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주)도일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일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도일시스템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618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26841A1/ko
Priority to JP2017034543A priority patent/JP201717441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04L67/18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구글 또는 애플사에서 제공하는 단순한 원형 형태의 지오펜스 설정기능을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설정이 가능하게 하고, 지오펜스의 가장자리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은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의 일반정보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의 주요 지점별 지오펜스정보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의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의 지역정보, 지오펜스정보, 지오펜스트랙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앱을 생성하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정보관리유닛,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SYSTEM TO SET UP A GEOFENCE ON THE DIGITAL MAP}
본 발명은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GeoFence)를 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환경에서 지정지역의 주요 특징에 대해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모바일장치의 디지털지도의 지정지역에 가상의 울타리(지오펜스-GeoFence)를 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5년 3월 한국통신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의 스마트 폰 보급율이 80%를 상회하여 세계 4위 라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 모바일 장치의 디지털지도상의 지정지역에 대한 가상 경계를 설정하여 모바일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가상경계에 접근하면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오펜스(geofence)란 '지구', '토양' 등의 뜻을 표시하는 접두어인 'geo'와 울타리를 의미하는 'fence'를 결합한 단어로써, 사전적으로는 '실제 지형에 구획된 가상의 반경(a virtual perimeter for a real-world)'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오펜스는 특정지점을 중심으로 한 반경 100m 공간으로 사전에 정해진 구역이 지오펜스 역할을 한다. 지오펜싱(geofencing)은 어원적으로 지리적(geographic)과 울타리(fencing)의 합성어이다. 지리적으로 울타리안에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알려주는 API (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기술이다. 이는 위치추적기술 중 하나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는데, GPS를 통해 지오펜스(geofence)라는 가상의 울타리를 설정해 놓으면 지오펜스 구역에 사용자가 진입하거나,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것이 지오펜싱의 역할이다.
지역의 특징을 안내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현재의 지오펜싱 기술은 특정 GPS좌표 값(위도, 경도)을 중심으로 하고 특정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으로 설정하고 있어 다양한 지리적 환경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심각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지오펜스의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장치가 위치할 경우 GPS(위성항법장치)의 오차에 의해 모바일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지오펜스 내·외를 수시로 들락거리는 것으로 표시되어, 기존 방법으로는 이를 정확히 통제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정확한 안내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지오펜스의 가장자리에 있을 경우의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완충지대를 설정하는 기능과, 지정지역의 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각기 다른 반경을 가진 원형 지오펜스, 크기가 다양한 타원 형태의 지오펜스, 정형 및 비정형 다각형 형태의 지오펜스, 양 끝이 개방된 비 정형 직선 및 곡선 등의 개방형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기능, 지정지역 내 그룹 관심지역, 그룹 관심지역을 구성하는 요소 관심지역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설정하는 기능, 지정지역의 관심지역에 관한 제반 정보를 등록, 인지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의 일반 정보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의 GPS좌표(경도, 위도)정보, 지오펜스 정보 및 지오펜스 인지 코드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 트랙Data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을 안내하는 앱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정보관리유닛이 포함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관리유닛에서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데이터는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에 의해 관리되어지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지정지역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유닛이 포함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시스템 사용자정보를 등록하는 시스템 사용자정보 등록단계, 지정지역의 관련정보를 등록하는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시스템 사용자 등록단계에서는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사용할 시스템 관리자 정보, 지정지역 관련 정보를 관리할 관리자 정보를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에 등록한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에서는 안내하고자 하는 지정지역의 명칭, 개요, 지정지역 대표 홈페이지 주소, 관리자, 관심지역명칭, 관심지역의 GPS좌표(경도, 위도), 관심지역을 표현하는 이미지파일, 다국어로(한국어, 영아, 중국어, 일본어 등)된 관심지역 설명내용 등 지정지역의 일반 정보를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에 등록한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에서는 관리하고자 하는 지정지역의 관심지역별 지오펜스 형태, 지오펜스 내·외부 경계 반경 길이, 상위 지오펜스 ID, 하위 지오펜스 ID 등의 정보를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에서는 관리하고자 하는 지정지역내의 관심지역을 연결하는 경로, 각 관심지역간 거리 및 통과 소요시간(도보) 등의 정보를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단계에서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의 ID, 생성일, 최근 수정일, 운영시스템 명 (안드로이드 or IOS), 운영시스템의 요구 버전정보,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등을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에 등록한다.
일 측에 의하면, 최신정보기술의 하나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법(SaaS : Software as a Service)을 적용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은 웹 서버에 하나의 시스템으로 설치·운영되며 복수개의 지정지역별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첫째,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설정 기능은 다양한 지리적 환경을 고려한 효과적인 지오펜스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둘째, GPS좌표(경도, 위도)를 중심으로 한 내·외부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모바일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지오펜스의 가장자리에 도달했을 때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지오펜스로의 진입·진출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셋째, 최소한 3단계 계층(Parent-Child-Grandson) 이상으로 구성되는 지오펜스 계층 구조는 지정지역의 특징, 지정지역 내 관심지역의 특징, 지정지역 내부의 관심지역 내부의 관심지역의 특징을 계층화하여 제시할 수 있다.
넷째,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SaaS : Software as a Service)을 채택한 단일 시스템으로 수 많은 지정지역별 각각의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 및 단일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으로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경제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운영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계층구조를 갖는 지오펜스, 각 지오펜스의 내부경계, 외부경계, 완충지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 중 관심지역 GPS좌표 등록, 지오펜스 설정, 관심지역 사진 및 설명 등록, 관심지역 경로 등록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지오펜스 설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타원형 지오펜스 5각형 지오펜스의 경계를 산출하는 공학적 알고리듬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10) 및 그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의 운영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다단계 계층 구조(Parent-Child-Grandson)를 갖는 지오펜스, 각 지오펜스의 내부경계, 외부 경계, 완충지대 개념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 중 관심지역 GPS좌표 등록, 지오펜스 설정, 관심지역 사진 및 설명 등록, 관심지역 경로 등록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오펜스 설정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7은 지오펜스의 다양한 유형 중 타원형, 5각형의 경계를 산출하는 공학적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10)은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정보 관리모듈(21), 지정지역의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22), 지정지역의 지오펜스 정보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23), 지정지역 트랙Data를 관리하는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24), 지정지역을 안내하는 앱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25)을 포함하는 정보관리유닛(20) 및 정보관리유닛(20)의 각 관리모듈에서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데이터는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에 의해 관리되어지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32),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33), 지정지역 트랙 Data정보 데이타베이스(34), 지정지역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35)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유닛(30)이 포함된다.
상기 정보관리유닛(20)은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1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 지오펜스를 설정하고자 하는 지정지역의 일반정보, 지정지역의 지오펜스정보, 지정지역의 트랙Data정보,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생성 및 관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보관리유닛(20)은 사용자정보 관리모듈(21),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22),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23),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24),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25)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정보 관리모듈(21)은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10)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 관리자 및 지정지역 관리자의 사용자정보를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31)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31)는 사용자의 소속기관 명칭, 일련번호, 사용자 성명, 비밀번호, 핸드폰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이메일 수신여부, SMS문자 수신여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22)은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10)을 통해 방문자에게 지정지역의 특징을 안내하려고 하는 지정지역의 일반정보를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32)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32)는 지정지역의 특징을 안내하려는 지역 명칭, 지역 면적, 지역 거주 인구수, 지역을 대표하는 사진파일, 지역의 특징 설명, 지역 내 주요 관심지역, 관심지역의 이미지 파일, 다국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된 관심지역의 특징 설명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23)은 지정지역 내부의 주요 관심지역의 GPS좌표(경도, 위도)와 관련된 정보를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33)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33)는 지정지역내의 관심지역의 GPS좌표(경도,위도)정보, 지오펜스 형태, 지오펜스의 외부 경계, 내부 경계, 완충지대 간격, 상위 지오펜스 ID, 하위 지오펜스 ID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24)은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를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터베이스(34)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터베이스(34)는 지정지역 내부의 트랙Data ID, 트랙Data 명칭, 트랙ID별 연결되는 관심지역ID, 각 관심지역간 거리 및 통과 소요시간(도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25)은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35)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35)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의 ID, 생성일, 최근 수정일, 운영시스템 명 (안드로이드 or IOS), 운영시스템의 요구 버전정보,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10)을 이용한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시스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다(1000). 상기 시스템 사용자정보 등록단계(1000)는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템 사용자정보 등록단계(1000)는 정보관리유닛(20)의 사용자정보 관리모듈(21)을 통해 시스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관리유닛(30)의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31)에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사용자정보 등록단계(1000) 이후에는, 지정지역 관련정보를 등록한다(2000).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2000)는 지정지역 일반정보,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2000)는 지정지역 일반정보 등록기능(2100),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의 GPS좌표정보 등록기능(2200),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의 지오펜스 설정기능(2300), 지정지역 내부의 관심지역 사진 및 설명 등록기능(2400),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 경로 등록기능(2500)을 포함한다. 지정지역 일반정보 등록기능(2100),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 GPS좌표정보 등록기능(2200),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 사진 및 설명등록기능(2400)은 정보관리유닛(20)의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22)를 통해 데이타베이스관리유닛(30)의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32)에 저장한다. 또한 지정지역 내부 지오펜스 설정기능(2300)은 정보관리유닛(20)의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23)을 통해 데이타베이스관리유닛(30)의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33)에 저장한다. 또한,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 경로 등록기능(2500)은 정보관리유닛(20)의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24)을 통해 데이타베이스관리유닛(30)의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타베이스(34)에 저장한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지정지역 내부 지오펜스 설정기능(2300)은 관심지역 명칭, 이미지파일 및 GPS좌표정보를 조회(2301)하여 소그룹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필요성이 없으면 GPS좌표간 최단거리 추출기능(2307)을 수행하고, 소그룹으로 결합될 관심지역을 결정하고(2302), 소그룹 내 관심지역의 GPS좌표간 최단거리를 추출하여(2303) 소그룹 내 GPS좌표별 반지름 길이를 결정하고(2304) 소그룹의 중심점이 될 GPS좌표 및 반지름 길이를 결정하고(2305) 소그룹을 관심지역으로 등록한다(2306). 소그룹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정지역 내 관심지역(소그룹으로 분류된 관심지역 포함)의 GPS좌표간 최단거리를 추출하여(2307) 관심지역의 반지름 길이를 결정한다(2308). 각각의 관심지역에 주변 지리환경을 고려하여 지오펜스의 유형을 결정하여 타원형이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결정된 반지름 길이를 x축의 양의방향 및 음의 방향을 축으로 하는 초점을 결정한다(2310). 타원형의 내곽의 경계는 도 7의 a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관심지역의 양 끝이 개방된 형태의 지오펜스가 필요한 관심지역에 대해서는 완충지대(Buffered Zone)의 방향을 결정하고(2311), 지오펜스의 형태가 직각삼각형일 경우 결정된 반지름 길이를 이용하여 관심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둘레를 결정하고 임의의 점을 결정하고(2312), 지오펜스의 형태가 사각형 일 경우 대각선 길이를 결정하고(2313), GPS좌표상의 4지점을 결정한다(2314), 지오펜스의 유형이 오각형일 경우 도 7의 b를 참조하여 GPS좌표(O값) 및 반지름 이용 C,D,E 값 결정(2315) 후 선분 BE를 이용 원주를 5등분한 지점을 결정한다(2316). 이후에는 완충지대(Buffered Zone)의 폭을 결정하고(2317), GPS좌표 별 지오펜스를 설정한다(2318). 지정지역의 지오펜스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룹 관심지역 및 개별 관심지역의 위도, 경도의 최대값, 최소값을 추출하고(2319), 일정한 거리의 완충지대(Buffered Zone)를 갖는 지정지역 지오펜스를 설정한다(2320).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현재의 지오펜싱 기술은 특정 GPS좌표 값을 중심으로 하고 특정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으로만 설정하고 있어 주변의 지리적 환경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설정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심각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지오펜스의 가장자리에 모바일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 GPS(위성항법장치)의 오차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가 지오펜스 내·외를 수시로 들락거리는 것으로 표시되어 정확한 안내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고 최소한 3단계 이상의 계층(Parent-Child-Grandson)으로 이루어지는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계층 구조(Parent-Child-Grandson)의 지오펜스는 지정지역의 특징, 관심지역의 특징, 관심지역 내부의 특징을 계층화하여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심지역의 내부 지오펜스(41), 외부 지오펜스(42), 지오펜스 완충지대(43)는 지오펜스의 가장자리에 모바일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 GPS(위성항법장치)의 오차에 의해 모바일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위치가 지오펜스 내·외를 수시로 들락거리는 것으로 표시되어 정확한 안내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오펜스 설정기능이며, 지정지역 지오펜스 그룹(44), 관심지역의 지오펜스(45), 그룹 관심지역 내 요소 관심지역의 지오펜스(46) 및 원형, 타원형, 다각형, 양쪽 끝이 개방되어 있는 지역의 지오펜스는 지리적 환경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지오펜스 설정기법이다.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2000) 이후에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생성한다(3000). 상기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단계(3000)는 정보관리유닛(20)의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25)을 통해 데이타베이스관리유닛(30)의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35)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정지역 관련정보 등록단계(2000)에서 정보관리유닛(20)의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22),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23),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24)에서 생성한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터베이스(32),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터베이스(33),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터베이스(34)를 참조하여 지정지역 관련정보를 확인한다(3001). 사용자 모바일 장치의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별 설치 파일을 생성한다.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인 경우 확장자가 apk인 파일을 생성하고(3002), 생성된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미국의 구글사에서 운영중인 Google Play Store에 등록한다(3004). 운영체계가 iOS인 경우 확장자가 ips인 파일을 생성하고(3003), 생성된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미국의 애플사에서 운영중인 Apple App Store에 등록한다(3004). 그리고 정보관리유닛(20)의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22)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유닛(30)의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터베이스(32)에 추가한다(3006).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20 : 정보관리유닛
21 : 사용자정보 관리모듈
22 :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
23 :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
24 :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
30 : 데이터베이스관리유닛
31 :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
32 :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
33 :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
34 : 지정지역 트랙 Data정보 데이타베이스
35 :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
41 : 관심지역의 내부 지오펜스(Inner Border)
42 : 관심지역의 외부 지오펜스(Outer Border)
43 : 관심지역의 지오펜스 완충지대(Buffered Zone)
44 : 지정지역 지오펜스 그룹 (Parent GeoFence)
45 : 관심지역의 지오펜스 (Child GeoFence)
46 : 그룹 관심지역 내 요소 관심지역의 지오펜스(Grandson Geofence)

Claims (5)

  1. 사용자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 일반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정보관리유닛;
    상기 정보관리유닛에서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일반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데이타베이스,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정지역 지오펜스정보 관리모듈은,
    관심지역 명칭, 이미지파일 및 GPS좌표정보를 조회하여 관심지역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결정된 관심지역에, 각각의 관심지역의 주변 지리환경을 고려하여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비정형 다각형 또는 양 끝이 개방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지오펜스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형태의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기능;
    상기 설정된 각각의 지오펜스 가장자리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 GPS좌표별 내부 지오펜스, 외부 지오펜스, 완충지대를 동시에 설정하는 기능;
    상기 관심지역의 위도, 경도의 최대값, 최소값을 추출하고, 일정한 거리의 완충지대의 폭을 설정하는 기능; 및
    지정지역을 효과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3단계 이상의 계층(Parent-Child-Grandson)을 갖는 계층별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기능;
    을 포함하고,
    안내하고자 하는 지정지역의 디지털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지역 트랙Data정보 관리모듈은,
    지정지역 내부의 주요 관심지역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 생성모듈은,
    지정지역의 특징을 설명하는 내용, 지정지역 내부 관심지역의 GPS좌표(경도,위도), 각 좌표별 지오펜스 정보, 각 좌표별 사진정보, 한국어 및 영어를 포함한 5개 이상의 언어로 된 설명정보, 지정지역 내부 주요 관심지역을 연력하는 경로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별로 생성하는 기능;
    생성된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을 웹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컴퓨팅(SaaS : Software as a Service) 기술을 기반으로 복수개 지정지역의 관련 정보 및 지정지역 안내 앱 프로그램의 관리를 통해 복수개의 지정지역별 개별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KR1020160034561A 2016-01-18 2016-03-23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KR10167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0347 WO2017126841A1 (ko) 2016-01-18 2017-01-11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JP2017034543A JP2017174415A (ja) 2016-01-18 2017-02-27 内部/外部緩衝地帯を備えた様々な形態のジオフェンス基盤の指定地域自動案内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94 2016-01-18
KR20160005694 2016-0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618B1 true KR101678618B1 (ko) 2016-11-22

Family

ID=5754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561A KR101678618B1 (ko) 2016-01-18 2016-03-23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6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2656A (zh) * 2017-09-14 2018-01-23 王淑芳 一种重点营运车辆跨区域数据处理方法和系统
KR20190114465A (ko) * 2018-03-30 2019-10-10 정원빈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20022169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세스코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527A (ko) * 2011-06-03 2014-02-06 애플 인크. 지오펜스 이탈 모니터링
KR20140090213A (ko) * 2011-10-20 2014-07-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지오펜스 관리를 위한 방법 및/또는 장치
KR20150022055A (ko) * 2013-08-21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 펜스 기반의 일정 서비스 제공 사용자 장치, 서비스 장치, 시스템 그리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5927A (ko) * 2012-08-22 2015-04-29 이베이 인크. 모바일 장치에서의 수동형 다이내믹 지오펜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527A (ko) * 2011-06-03 2014-02-06 애플 인크. 지오펜스 이탈 모니터링
KR20140090213A (ko) * 2011-10-20 2014-07-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지오펜스 관리를 위한 방법 및/또는 장치
KR20150045927A (ko) * 2012-08-22 2015-04-29 이베이 인크. 모바일 장치에서의 수동형 다이내믹 지오펜싱
KR20150022055A (ko) * 2013-08-21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 펜스 기반의 일정 서비스 제공 사용자 장치, 서비스 장치, 시스템 그리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2656A (zh) * 2017-09-14 2018-01-23 王淑芳 一种重点营运车辆跨区域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07622656B (zh) * 2017-09-14 2020-08-04 王淑芳 一种重点营运车辆跨区域数据处理方法和系统
KR20190114465A (ko) * 2018-03-30 2019-10-10 정원빈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85116B1 (ko) 2018-03-30 2020-03-05 정원빈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20022169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세스코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5669B2 (en) Crowd detection and guidance on mobile devices
US8489127B2 (en) Context-based reverse geocoding
US10555130B1 (en) Pre-processing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eolocations according to travel mode in traffic analysis
CN108731692B (zh) 用于提供地图数据的装置和方法及其系统
KR101678618B1 (ko) 디지털지도에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시스템
JP2019512668A (ja) ルート逸脱認識方法、端末、および記憶媒体
US9702705B2 (en) Crowd-assisted micro-navigation
KR20160101112A (ko)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엔티티 식별
WO2017126841A1 (ko)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CN110677810B (zh) 用于生成地理围栏的方法和装置
US9392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ospatial assets
JP2016115095A (ja) 位置情報に基づく個人識別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121378A (ja) 明確なピックアップ場所を提供するための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88029B1 (ko) 지오펜싱기술 기반 안내 시스템
US11082802B2 (en) Application of data structures to geo-fencing applications
KR102029450B1 (ko) 격자화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Ranasinghe et al. Pedestrian navigation and GPS deteriorations: User behavior and adaptation strategies
CN108763414B (zh) 一种实景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101894154B1 (ko) 미아추적시스템
Xanthopoulos et al. A review on location based services for mobile games
Mackaness et al. Understanding Information requirements in “Text Only” pedestrian wayfinding systems
KR102046366B1 (ko) 위치 등록 및 위치 확인 시스템
JP6609592B2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Koyun et al. Implementation of a beacon-enabled mobile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90041767A (ko) 핑거프린트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