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43A -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43A
KR20170059343A KR1020150163613A KR20150163613A KR20170059343A KR 20170059343 A KR20170059343 A KR 20170059343A KR 1020150163613 A KR1020150163613 A KR 1020150163613A KR 20150163613 A KR20150163613 A KR 20150163613A KR 20170059343 A KR20170059343 A KR 2017005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sitor
location
terminal
area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형
Original Assignee
박치형
디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치형, 디프트(주) filed Critical 박치형
Priority to KR102015016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343A/ko
Publication of KR2017005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사용자가 동일 현장에 위치할 때, 현장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콘텐츠에 대한 동일 또는 유사한 감성을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콘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방문자 단말기가 위치 정보에 따른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공개지역 범위에서 콘텐츠에 미리 설정된 공개개수 조건 및 시간 조건을 참조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METHOD FOR SHARING CONTENT ON THE BASIS OF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와 관련된 지역에서 방문자가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와 방문자가 동일 위치에서 동일한 현장감을 느끼면서 공감을 이루도록 하는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 페이스북, 트위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유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서로 알고 지내는 지인은 물론, 공통의 관심사가 있다면, 불특정 다수와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의 특징을 토대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소셜 네트워크에서 공유되는 정보는 정보를 공유하는 각 당사자가 처한 상황이나 입장에 따라, 해당 정보를 받아들이는 정보가 차별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공유되는 영상을 다수의 팔로워가 공유할 때, 팔로워들이 영상으로 정보를 보는 느낌과, 현장에서 직접 느끼는 것은 동일할 수 없는데, 이는 공유되는 정보가 "현장감"이 배제되는데 따른다.
예컨대, 시골의 풍경을 보고 안식을 느끼는 사용자가 있는가 하면, 해당 풍경의 영상을 보고 낙후되었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집트에서 여행하며, 피라미드를 바라볼 때 건축물의 웅장함과 세월을 느끼는 사용자가 있는 반면, 영상으로 보이는 피라미드를 삼각형의 과거 구조물로만 느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정보와 감성의 관계는 현장감이 공유되지 않는 한, 동일한 감정을 느끼기 힘든 특징이 있다.
이에 대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115545는 지역별로 콘텐츠 제공 서버를 두고, 각 콘텐츠 서버가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로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지역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하, R1이라 한다)을 제안한 바 있고,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72571은 디바이스의 위치 이동 경로를 토대로,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GEOPOSITIONING SAMPLES(이하, R2라 한다)를 제안한 바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89847은 영업점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쿠폰이나 광고를 포함하는 POI(Point Of Interest)를 웹 서버에 등록 시, 사용자가 이를 수신하여 이용하며, 영업점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도록 하는 웹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온라인 메시지 마케팅 방법론(이하, R3라 한다)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R1의 경우, 각 지역별 서버에서 주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정보 교류나 감성 교류를 일으키지 못하고,
R2의 경우,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맞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한 명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일 뿐, 타 사용자와의 감성 교류나 정보 교류를 일으키지 못하며,
R3의 경우, 쿠폰이나 광고를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일 뿐, 이 또한, 사용자간 정보나 감성 교류를 유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해결하기 위한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콘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방문자 단말기가 위치 정보에 따른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공개지역 범위에서 콘텐츠에 미리 설정된 공개개수 조건 및 시간 조건을 참조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i) 콘텐츠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ii)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콘텐츠에 대한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b) 콘텐츠에 대해 부여된 평판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c) 방문자 단말기가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평판 점수를 참조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접속되는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콘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방문자 단말기가 위치 정보에 따른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콘텐츠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개수 조건 또는 콘텐츠에 대응되어 있는 시간 조건을 참조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접속되는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콘텐츠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콘텐츠에 대한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하고, 콘텐츠에 대해 부여된 평판 점수를 산출하며, 방문자 단말기가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평판 점수를 참조로 하여 방문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가 동일 현장에 위치할 때, 현장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콘텐츠에 대한 동일 또는 유사한 감성을 교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서 공개지역 범위에 위치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서 시간차를 두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와 도 5는 공개지역 범위 설정방법의 일 예에 따른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는 휴대단말기에서 표현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에 따른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은 물론, 스마트 워치나 구글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프로세서, 디스플레이장치, 카메라, 및 무선 통신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는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등록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자의 휴대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를 공급받는 측을 "방문자 휴대단말기라" 하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측을 "휴대단말기"라 지칭하여 양자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서 공개지역 범위에 위치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서 시간차를 두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하며, 도시하며, 도 4와 도 5는 공개지역 범위 설정방법의 일 예에 따른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 위치 정보(GPS 위치 정보), 공개지역 범위 및 열람그룹 설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GPS 위성으로부터 직접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측위법과, 망(Network) 기반 측위법이 이용될 수 있다.
망 기반 측위법은 비콘(Beacon), Wi-Fi, Blue-tooth, RFID,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단말기가 일정 공간에 다수 설치되고, 이들 단말기의 통신 커버리지, 전파 송수신 강도 또는 전파 수신 각도를 참조하여 휴대단말기(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망 기반 측위법은 기본적으로 삼각 측위법을 기반으로 하며, 기준점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에 해당하는 단말기와 휴대단말기(10)의 통신 거리가 짧고, 기준점의 수가 많을 수로 좋다. 현재 망 기반 측위법에서 언급되는 통신 방식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이유가 여기에 기인한다.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휴대단말기(1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휴대단말기(10)가 콘텐츠를 생성한 위치 정보를 결합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결합된 위치 정보를 하나의 키(Key)로 이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단순히 콘텐츠의 생성위치만을 나타내지 않으며, 콘텐츠가 오픈될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하는 하나의 키(Key)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의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의 사용자와 동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며, 상호 정보를 공유하는 관계라 하더라도,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키(Key)로 지정된 공개지역 범위(S1)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가 정보와 감성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따른다.
한편, 콘텐츠에 결합되는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일 수 있는데, GPS 위치 정보는 포인트 좌표로 표현되는 것으로서, 어떤 지역에 대해 범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따라서,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과 근거리에 위치할 때,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포인트 위치 정보를 범위정보의 형태(공개지역 범위)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위치 정보를 범위정보(공개지역 범위)의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은 아래의 각 호에 따른다.
1)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형성하여 공개지역 범위(S1)를 설정하는 방법,
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 군, 구, 동, 읍 또는 리의 행정 구역을 공개지역 범위(S1)로 설정하는 방법,
3)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행정 구역을 복수 개 묶어 하나의 지역 그룹으로 형성하는 방법 및
4) 휴대단말기(1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11)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직접 공개지역 범위(S01)를 설정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1)의 경우,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반경 100m, 500m, 1Km, 및 3Km의 형태로 공개지역 범위(S1)를 설정할 수 있는데, 공개지역 범위(S1)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에서 자동 설정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10)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설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 측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는 전자 지도에서 원하는 지점(P01)을 직접 터치하고, 터치된 지점(P01)의 좌표 정보가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로 통지되면,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가 지점(P01)을 중심으로 100m, 500m, 1Km, 3Km의 형태로 원을 형성하여 공개지역 범위(S01)를 설정할 수 있다.
3)의 경우는 공통되는 특징을 중심으로, 1) 또는 2)로 지정된 영역을 하나로 묶는 방식에 해당한다. 예컨대, 읍 단위의 행정구역 3개(A1, A2, A3)가 태안 진흙축제를 연다고 가정할 때, 태안 진흙축제와 같은 이벤트에 관련된 행정구역 3개를 하나의 지역그룹으로 묶고, 방문자 단말기(20a 내지 20n가 해당 지역그룹 내에 위치하는 경우,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콘텐츠의 위치 정보가 행정구역(A1)에서 생성되었다 하더라도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행정구역(A3)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4)의 경우는 휴대단말기(1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11)에 전자지도를 표시하고, 표시된 전자 지도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일정 범위에 터치 입력을 가해 직접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는 전자 지도를 참조하여 일 영역(P01)을 터치하고, 일 영역(P01)을 터치한 상태에서 D1 - D2 - D3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손가락을 드래그함으로써, 공개지역 범위를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에서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할 때,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는 수신된 푸쉬 메시지를 터치하여 콘텐츠에 다이렉트 접속하거나, 또는 푸쉬 메시지를 참조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후, 해당 콘텐츠를 조회할 수도 있다.
이후,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는 콘텐츠를 조회 후, 콘텐츠에 대해 리플 메시지를 남기거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평판 점수를 매겨 회신할 수 있다. 이때, 공개지역 범위(S1)에 위치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복수인 경우, 공개지역 범위(S1)에 위치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만이 상호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리플 메시지를 남기거나 평판 점수를 매길 수 있다.
한편, 공개지역 범위(S1) 주변이 통신 음영지역(S11)인 경우,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의 콘텐츠 수신이 곤란할 수 있다.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통신 음영지역(S11)을 거쳐 공개지역 범위(S1)에 도달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의 이동 경향을 참조하여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제공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오픈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문자 휴대단말기(20a)가 P1지점에서 P2지점을 지나 P3지점을 향한다고 가정할 때,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가 P1지점에서 P2지점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속도에 따라 P2지점에서 P3지점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유추할 수 있다.
P1지점과 P2지점 사이의 거리가 D1이고 D1을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거리(D1)를 나누면 방문자 휴대단말기(20a)가 P1지점에서 P2지점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산출되고, 이를 토대로 P2지점에서 P3지점으로 이동하는 속도 "ts"가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방문자 휴대단말기(20a)가 통신 음영지역(S11)을 지나는 경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가 P1 지점에서 P2 지점으로 이동할 때, 방문자 휴대단말기(20a)로 콘텐츠를 사전에 제공하되, 콘텐츠가 "ts" 시간 지난 후, 방문자 휴대단말기(20a)에서 표시되도록 시간을 설정해 둘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로 콘텐츠를 사전에 제공하되, 콘텐츠가 일정 시간 동안만 방문자 휴대단말기(20a)가 조회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일정 시간이 되면 자동 파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콘텐츠에 대해 시간을 설정해두면, 콘텐츠에 대해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경우에만 조회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위치와 관련하여 방문자 단말기(20a 내지 20n)를 매칭시켰다. 그러나, 콘텐츠를 생성하는 위치가 꼭 해당 지역이 아니어도 해당 지역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용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예를 들어, S1 지역)에 위치하는 사람을 상대로 모임이나 회합을 할 수 있고, 특정 지역(예를 들어, S1 지역)에서 이전에 생성하였던 콘텐츠를 타 지역에서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로 업로드 할 수도 있으며, 타 지역에서 특정 지역(예를 들어, S1 지역)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11)에 전자 지도가 표시되고, 전자 지도가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된 이후, 사용자가 임의의 일 지점(P1)을 터치하여 콘텐츠의 생성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지도상의 일 지점(P01)을 터치하는 경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휴대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선택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후, 사용자 선택된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형성하며, 형성된 원을 공개지역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직접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 측 터치스크린(11)에 전자 지도가 표시된 후, 사용자가 일 지점(P02)을 터치하고, 지점(P02)를 터치한 상태에서 D1 - D2 - D3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P02 - D1 -D2 -D3에 의해 정의되는 원의 내주연이 공개지역 범위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공개지역 범위는 “S02”에 해당한다.
이 외에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 측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는 전자 지도를 터치하는 시간에 따라 공개지역 범위의 지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의 일 지점(P01)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는 공개지역 범위(S01)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11)의 임의의 지점에서 터치 입력이 가해지는 시간에 따라 공개지역 범위(S01)의 크기가 결정된다.
다른 한편, 도 4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에 가하는 터치 압력에 따라 공개지역 범위(S01)의 크기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가하는 터치 압력이 약할 때는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는 공개지역 범위(S01)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고, 반대로, 터치 압력이 강할 때는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되는 공개지역 범위(S01)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정되면,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콘텐츠가 최초 생성된 위치(또는 공개지역 범위)와 관련 없이 사용자 설정된 위치(또는 공개지역 범위)에 대응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타 서버(콘텐츠 서버, 미디어 서버, 웹 서버, 검색 서버 등)에서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는 프로세서(120) 및 통신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로세서(120)에서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범위 매칭모듈(131), 열람 제어모듈(132), 평점 산출모듈(134) , 위치 지정모듈(135)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며,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휴대단말기(10) 또는 유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타 콘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와 유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타 콘텐츠 서버(미도시)는 콘텐츠 서버, 웹 서버, 검색 서버를 비롯 다양한 유형의 서버일 수 있으며, 이들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획득하고 이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130)을 구동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하나씩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범위 매칭모듈(131)은 휴대단말기(10)에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에 콘텐츠를 전송할 때, 콘텐츠를 위치 정보(GPS 위치 정보)에 매칭하고, 휴대단말기(10)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공개지역 범위(S1)를 설정하거나 또는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에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공개지역 범위(S1)를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치 정보와 공개지역 정보의 매칭은 전술한 1) 내지 3)의 기준에 따를 수 있다. 이후, 공개지역 범위(S1)가 매칭되면, 범위 매칭모듈(131)은 매칭된 결과, 즉 콘텐츠와 공개지역 범위(S1)가 매칭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열람 제어모듈(132)은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10) 및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부터 각자의 위치 정보(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의 위치가 콘텐츠에 설정된 공개지역 범위(S1)에 대응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판단결과, 콘텐츠에 설정된 공개지역 범위(S1)에 대응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중 적어도 하나)가 발견되면, 열람 제어모듈(132)은 공개지역 범위(S1)에 대응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중 적어도 하나)로 콘텐츠 조회를 위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푸쉬 메시지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콘텐츠로 다이렉트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 조회를 권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열람 제어모듈(132)은 통신부(110)에서 제공되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의 GPS 위치정보를 참조로 하여,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통신 음영지역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사전에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콘텐츠에 시간 제한을 걸어 콘텐츠가 일정 시간 동안만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에서 유효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열람 제어모듈(132)은 콘텐츠에 대해 단위 시간(예컨대 1일, 1주, 1달 1년 등)당 열람 회수를 제한하여 콘텐츠를 한정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가 한정판으로 설정되면,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공개지역 범위(S1)에 지속적으로 방문하더라도, 선착순으로 콘텐츠가 제공되고, 콘텐츠에 대한 제한 개수를 넘어가면, 이후의 방문자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없다. 이 상태에서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제한 개수를 초과한 콘텐츠를 열람하고자 한다면,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는 열람 제어모듈(132)에 열람 제한을 위한 비용을 입금하거나, 온라인 공간에서 유통되는 온라인 페이(Pay)를 지불할 수 있다.
열람 제어모듈(132)은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에 시간 제한을 설정하여 발송하거나 또는 제한 시간 내에 자동 파기되도록 푸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평점 산출모듈(134)은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가 콘텐츠를 조회하면서 콘텐츠에 대해 부여하는 평점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별로 데이터베이스(140)에 기록할 수 있다.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는 콘텐츠를 조회 후, 콘텐츠의 중요도, 콘텐츠에 대한 감성 공감도, 감성 전달성과 같은 항목에 대해 부여된 평판 점수를 평점 산출모듈(134)로 제공할 수 있다.
평점 산출모듈(134)에 의해 콘텐츠에 부여된 평판 점수가 최종 산출되면, 산출된 평판 점수는 아래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에 설정된 기준 점수와 평판 점수를 비교하여, 평판 점수가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로 콘텐츠를 안내하거나 제공하지 않는다.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는 콘텐츠 조회가 허여된 공개지역 범위(S1)에서 해당 콘텐츠를 보면서 감성이 어느 정도 공감되는지, 콘텐츠가 해당 공개지역 범위(S1)에 어느 정도 적정한 것인지, 해당 공개지역 범위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 중요도인지에 대한 평점을 제공하고, 평점 산출모듈(130)은 이를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휴대단말기(10) 사용자는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타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사용자의 평가를 조회할 수 있다.
위치 지정모듈(135)은 휴대단말기(10)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해 임의의 위치나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 시, 이에 응답하여 콘텐츠의 제공 범위를 사용자 설정된 위치나 공개지역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위치 지정모듈(135)은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자 지도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전자 지도 상에서 터치하거나 드래그하여 설정한 위치 또는 공개지역 범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지정모듈(135)은 휴대단말기(10)로 앱(App)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앱(App)은 아래의 각 호에 따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5)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6)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로부터 전자 지도를 획득하여 터치스크린(11)에 표시하는 기능,
7) 위치 또는 공개지역 범위 변경을 위한 메뉴, 전송 메뉴 및 전자 지도 요청과 관련된 메뉴를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
8) 전자 지도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획득하여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휴대단말기에서 표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 예에 따른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6은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와 접속되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하단 좌측의 항목 "1"은 개방형 볼거리 제공을 위한 "퍼블릭 메뉴"를 나타내고, 항목 "2"는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를 조회하기 위한 "이벤트 수신메뉴"를 나타내고, 항목 "3"은 화면의 좌우상하 이동을 위한 DIFT(DImension shiFT) 메뉴를 나타내고, 항목 "4"는 휴대단말기(10) 사용자 본인이 부여한 이벤트 항목을 열람하기 위한 이벤트 메뉴에 해당하며, 항목 "5"는 개인 프로필을 설정하거나, 팔로워 설정 및 환경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메뉴에 해당한다. 여기서, 항목 "1"의 퍼블릭 메뉴가 사용자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퍼블릭 인터페이스 화면이 휴대단말기(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퍼블릭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다수의 이미지가 나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사진이나 동영상 모두 섬네일 이미지 형식으로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 선택될 때,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퍼블릭 인터페이스 화면은 휴대단말기(10) 사용자 또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사용자가 공개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공개한 콘텐츠에 해당한다. 휴대단말기(10) 사용자 또는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사용자가 특정인이나 특정 그룹을 지정하지 않았을 때 공개되는 콘텐츠가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공개된 콘텐츠에 대해 방문자 휴대단말기(20a 내지 20n)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을 때, 화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항목 "1"을 선택하면, 뒤로가기 메뉴에 해당하고, 항목 "2"를 선택하면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부여하고, 항목 "3"을 선택하면 콘텐츠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100)에 업로드한 휴대단말기(10)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항목 "4"는 불량 콘텐츠에 대한 신고 메뉴에 해당하고, 항목 "5"는 화면의 상하 스크롤 방식을 나타낸다.
도 9는 휴대단말기에서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 설정하는 설정메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에서,
항목 "1"은 콘텐츠를 전체 공개로 하는 메뉴에 해당하고,
항목 "2"는 팔로워에게 콘텐츠를 공개하는 메뉴에 해당하고,
항목 "3"은 휴대단말기(10)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에게만 콘텐츠가 공개되도록 하는 메뉴에 해당하고,
항목 "4"는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를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연동하는 메뉴를 나타내며,
항목 "5"는 도 9에서 공유 설정이 종료되면 이를 확인하고 마치는 확인 메뉴를 나타낸다.
도 9의 설정메뉴는 휴대단말기(10) 사용자가 콘텐츠 이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처럼, 콘텐츠는 휴대단말기(10)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범위에 따라 공개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콘텐츠에 설정된 공개지역 범위에 따라 콘텐츠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과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는 적정 범위의 사용자가 공개지역 범위에서 조회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콘텐츠의 단순 조회를 넘어 현장감을 공유하며 콘텐츠를 감성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 : 휴대단말기 20a 내지 20n : 방문자 휴대단말기
100 :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1 : 범위 매칭모듈
120 : 열람 제어모듈 133 : 푸쉬 메시지 전송모듈
130 : 평점 산출모듈 1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28)

  1.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콘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서 미리 설정된 공개개수 조건 및 시간 조건을 참조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개지역 범위는,
    상기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 설정된 반경에 따라 설정된 영역,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행정구역, 전자 지도를 복수로 구획한 분할 영역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개개수 조건은,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되며,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서 상기 콘텐츠가 배포되는 제한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한 개수를 초과한 이후,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는 방문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로 상기 콘텐츠 열람을 위한 비용 지불 후, 상기 콘텐츠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시간 조건은,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매칭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제공되는 시간 제한형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들 사이에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리플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가 통신 음영지역에 위치할 때,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도달하기 전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로 미리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조회할 수 있도록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i)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와 상기 공개지역 범위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하거나,
    ii) 상기 콘텐츠의 생성자가 방문자의 주거지역에 해당하거나, 방문자의 학교 동창, 직장 동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로 콘텐츠에 대한 힌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업로드 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자 지도가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단계;
    ii) 상기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상기 공개지역 범위로 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i) 콘텐츠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ii)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해 부여된 평판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평판 점수를 참조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개지역 범위는,
    상기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 설정된 반경에 따라 설정된 영역,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행정구역, 전자 지도를 복수로 구획한 분할 영역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서 공유하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리플 메시지에 대해, 콘텐츠 중요도, 감성 공감도 및 감성 전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평점을 부여 시, 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평판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된 기준 점수를 참조로 하여,
    상기 평판 점수가 상기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 상기 콘텐츠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되는 단말기 또는 타 서버로부터 콘텐츠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개수 조건 또는 상기 콘텐츠에 대응되어 있는 시간 조건을 참조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지역 범위는,
    상기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 설정된 반경에 따라 설정된 영역,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행정구역, 전자 지도를 복수로 구획한 분할 영역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개수 조건은,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되며,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서 상기 콘텐츠가 배포되는 제한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한 개수를 초과한 이후,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는 방문자 단말기는,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로 상기 콘텐츠 열람을 위한 비용 지불 후, 상기 콘텐츠에 접근하도록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매칭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제공되는 시간 제한형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들 사이에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리플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가 통신 음영지역에 위치할 때,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도달하기 전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로 미리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조회할 수 있도록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와 상기 공개지역 범위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접근 시,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로 상기 공개지역 범위 또는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관한 힌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업로드 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휴대단말기에 전자 지도가 표시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상기 공개지역 범위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되는 단말기 또는 타 서버로부터 콘텐츠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공개지역 범위를 설정하고, ii) 상기 콘텐츠에 대해 부여된 평판 점수를 산출하며,
    iii) 방문자 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는 상기 평판 점수를 참조로 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지역 범위는,
    상기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 설정된 반경에 따라 설정된 영역,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행정구역, 전자 지도를 복수로 구획한 분할 영역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문자 휴대단말기가 상기 공개지역 범위에서 공유하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리플 메시지에 대해, 콘텐츠 중요도, 감성 공감도 및 감성 전달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평점을 부여 시, 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평판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된 기준 점수를 참조하여, 상기 평판 점수가 상기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 상기 콘텐츠가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50163613A 2015-11-20 2015-11-20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KR20170059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613A KR20170059343A (ko) 2015-11-20 2015-11-20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613A KR20170059343A (ko) 2015-11-20 2015-11-20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43A true KR20170059343A (ko) 2017-05-30

Family

ID=5905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613A KR20170059343A (ko) 2015-11-20 2015-11-20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3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619B1 (ko) * 2018-09-07 2019-05-02 강영준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9190038A1 (ko) * 2018-03-30 2019-10-03 정원빈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38A1 (ko) * 2018-03-30 2019-10-03 정원빈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190114465A (ko) * 2018-03-30 2019-10-10 정원빈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1974619B1 (ko) * 2018-09-07 2019-05-02 강영준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031B1 (ko)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JP5486680B2 (ja) 指向性デバイス情報を介して検出された興味のある地点との対話に基づくポータルサービス
US11665122B2 (en) Geolocation-based data sharing system
US20190179509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CN102804905B (zh) 图像数据和地理要素数据的显示
US10523616B2 (en) Location information-based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4516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US20160021153A1 (e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social media utilizing navigation
WO2018092016A1 (en) Providing location specific point of interest and guidance to create visual media rich story
JP6556064B2 (ja) 情報案内方法、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82075A1 (en) Delivering Experience Opportunities
RU2691223C2 (ru) Платформа персональных логических возможностей
US201903252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objects by non-visible radio frequencies and displaying associated augmented reality effects
US20230334725A1 (en) Mixed-reality beacons
US105151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ewability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US20170332200A1 (en) Radio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393048B2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and incentivization methods
KR20170059343A (ko)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CN109584705B (zh) 一种地图展现方法及设备
US20170054676A1 (en) Virtual padlock providing system
US10368213B1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US10230676B2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US10116757B2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US20220327640A1 (en)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KR101607218B1 (ko) 스마트 단말수단에서의 지인 안내 서비스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