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619B1 -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619B1
KR101974619B1 KR1020180107338A KR20180107338A KR101974619B1 KR 101974619 B1 KR101974619 B1 KR 101974619B1 KR 1020180107338 A KR1020180107338 A KR 1020180107338A KR 20180107338 A KR20180107338 A KR 20180107338A KR 101974619 B1 KR101974619 B1 KR 10197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time
image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준
Original Assignee
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준 filed Critical 강영준
Priority to KR102018010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는, 제 1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인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 2 유저가 제 1 유저가 설정한 시간에 제 1 유저가 설정한 장소에 위치하면, 영상을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본 발명은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제작 영상의 공유 방식을 유저 자신이 직접 설정하여 상대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성능이 증가함에 따라 유저는 어디에서나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영상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영상은 영상을 제작한 유저에 의해 소비되기도 한다. 하지만, 유저는 여러 사람들과 자신이 제작한 영상을 공유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54143호에서는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웹 서버에 등록 시 광고 정보를 삽입하고, 웹 서버에 등록된 영상에 대해 상대 유저로부터 선택된 영상을 광고와 함께 제공하는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한 광고 방법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유저 자신이 제작한 영상을 타인과 공유할 때, 웹 서버에 등록된 영상 중 상대 유저로부터 선택받은 영상을 상대 유저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영상을 제작한 유저 자신이 직접 영상의 공유 방식을 설정하여 영상을 원하는 형태로 타인에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제작 영상의 공유 방식을 유저 자신이 직접 설정하여 상대 유저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인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 유저가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장소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 장치의 영상 제공 방법은, 제 1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인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유저가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장소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제 1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인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유저가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장소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작 영상의 공유 방식을 유저 자신이 직접 설정하여 상대 유저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에서 영상 제공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과 장소의 다양한 조합에 대응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영상의 개수를 조정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되는 영상의 길이에 따른 과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을 위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영상'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형태의 영상으로 비디오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영상은 사진과 같은 형태의 '정지 영상'과 스틸컷과 같은 복수의 '정지 영상이 결합된 영상'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은 유저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유저의 단말에서 제작될 수 있다. 영상은 영상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제작 영상은 유저의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포토샵, 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등)에서 지원되는 영상 제작 툴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유저'는 영상을 제작하거나 상대 유저에게 영상을 공유하기 위해 배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상대 유저'는 유저 제작 영상을 소비하는 주체로서, 다른 유저들 중에서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유저로부터 선택된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하기에서 '유저'의 기재는 '상대 유저' 또는 '다른 유저'로 특정하지 않는 한 영상을 제작 또는 배포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0)은 단말(101, 102)과 영상 제공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1, 102)은 유저가 사용하는 기기로서 영상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1)은 유저의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을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영상을 영상 제공 장치(100)에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제 1 단말(101)은 영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영상을 제공할 상대 유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유저는 상대 유저에 의해 사용 중인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대 유저가 아닌 특정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단말(101)은 영상의 재생을 위한 시간과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은 영상 재생을 위해 유저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의미하며, 날짜까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은 영상 재생을 위해 설정된 특정 시각뿐만 아니라 특정 시간 범위 또는 특정 날짜 범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장소'는 영상 재생을 위한 상대 유저의 위치에 대응되는 요소로서, 상대 유저 또는 상대 유저가 소지한 단말의 지리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장소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구현된 가상 공간 내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101)은 영상 제공 장치(100)에 영상을 등록할 수 있으며, 영상 등록 시, 영상의 재생을 원하는 상대 유저, 시간, 및 장소에 관련된 정보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제 2 단말(102)은 제 1 단말(101)의 유저에 의해 영상 제공 장치(100)에 등록된 영상을 제공받도록 설정된 상대 유저의 단말이다. 제 2 단말(102)은 일정 주기를 간격으로 자신의 위치를 영상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 2 단말(102)은 제 1 단말(101)이 등록한 영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 1 단말(101)이 등록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102)은 영상 제공을 위해 설정된 시간에 제 2 단말(102)이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 1 단말(101)로부터 제작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과 함께 제 1 단말(101)의 유저로부터 영상 재생을 위해 선택된 상대 유저,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상대 유저의 단말, 즉 제 2 단말(102)의 위치를 일정 주기를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의 제공을 위해 설정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의 제공을 위해 설정된 시간을 만족하면, 제 2 단말(102)의 위치가 설정된 장소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을 위해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장소 내에 제 2 단말(102)이 위치하면, 영상을 제 2 단말(102)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안된 영상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제작 영상을 유저에 의해 설정된 상대 유저가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작 영상의 공유 방식을 유저 자신이 직접 설정하여 상대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전자 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전자 단말기는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제공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유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영상 제공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상술된 통신은 예시일 뿐이며, 영상 제공 장치(1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통신 기법이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단말(101, 102)과 통신할 수 있으며, 단말(101, 102)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거나, 단말(101, 102)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단말(101, 102)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는 후술될 제어부(140)에 의해 액세스되어 이용되거나, 또는 제어부(140)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유저의 제작 영상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부(130)는 유저의 제작 영상을 원하는 상대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30)는 영상의 제공을 위해 상대 유저,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영상과 함께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회원 가입 등을 통해 유저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회원 가입 시 등록된 정보를 사용하여 유저의 로그인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단말을 통해 접속된 유저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상대 유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대 유저를 확인하면, 상대 유저의 단말을 통해 상대 유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시간 측정을 위한 타이머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상에 설정된 시간을 확인하고, 영상에 설정된 시간에 상대 유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유저가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설정된 시간에 상대 유저가 설정된 장소에 위치한 경우, 상대 유저의 단말로 영상을 제공하며, 상대 유저가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대 유저의 단말로 영상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영상을 제작한 유저에 의해 지정된 상대 유저가 영상에 설정된 시간에 영상에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말에게 영상의 등록과 제공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영상의 공유 및 제공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시간과 장소의 조합에 따라 영상의 종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동일한 시간에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상대 유저들 각각에게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서로 다른 시간에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 상대 유저 각각에게, 동일한 장소라 하더라도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장소에 대응되는 시간(또는 날짜)이 빠를수록 상대 유저의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영상의 개수를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설정된 장소에서 제공 가능한 영상을 복수개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설정된 장소에 위치한 상대 유저의 시간이 빠를수록 재생 가능한 영상의 개수를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 설정된 장소에서 7월 15일 11시 10분에 위치한 상대 유저에게 3개의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7월 30일 10시20분에 위치한 상대 유저에게 1개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시간과 장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이 존재하고, 복수의 영상이 서로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 제 2 영상, 제 3 영상이 하나의 스토리를 기준으로 분할된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설정된 시간에서 설정된 장소에 위치한 상대 유저에게 제공될 영상이 제 3 영상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 3 영상을 재생하기 이전에 선후 관계를 갖는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먼저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제 3 영상을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유저로부터 영상의 제작 또는 등록 시 영상의 길이에 기초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소정 시간 이내의 길이를 갖는 영상에 대해서는 과금을 수행하지 않고,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는 영상에 대해 영상의 길이에 비례하여 과금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과금을 위해 별도의 과금 서버 또는 금융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210)을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210)에는 재생을 위한 상대 유저, 시간, 장소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210)을 재생하기 위한 상황이 상대 유저의 단말인 제 2 단말(102)이 15시30분의 시간(220)에 제 2 장소에 위치하는 상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단말(102)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 2 단말(102)로부터 제 1 장소(231)에 대응되는 제 1 위치(A)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 제공을 위해 설정된 시간(220)인 약 15시 30분인 경우, 제 2 단말(102)의 위치를 확인한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 2 단말(102)로부터 제 2 위치(B)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 재생을 위해 설정된 시간(220)인 15시 30분경에 제 2 장소(232)에 제 2 단말이 위치하기 때문에 영상을 제 2 단말(102)로 제공하여 영상이 제 2 단말(102)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영상 제공 장치(100)는 15시 30분경에 제 2 단말(102)이 제 1 위치(A)에 위치하면, 영상을 제작한 유저가 설정하지 않은 제 1 장소(231)에 위치하기 때문에 영상이 재생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에서 영상 제공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할 상대 유저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할 상대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기 이전에 유저로부터 제작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할 상대 유저, 시간 및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영상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 각각에 대해 상대 유저, 시간 및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영상과 함께 설정하여 등록한다. 따라서, 영상을 제공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여러 개의 영상을 등록하는 경우, 상대 유저에게 제공할 영상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현재 시간이 영상의 재생을 위해 설정된 시간인지 확인한다(S320). 영상 제공 장치(100)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현재 시간이 유저에 의해 설정된 소정 날짜 또는 소정 시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S320단계의 확인결과, 영상의 재생을 위해 설정된 시간이 아니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S310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주기를 간격으로 상대 유저의 위치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S320단계의 확인결과, 영상을 재생을 위해 설정된 시간이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S330단계로 진행한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상대 유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된 장소에 상대 유저가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330). 영상 제공 장치(100)는 상대 유저의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위치 정보가 영상에 설정된 장소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30단계의 판단결과, 설정된 장소에 상대 유저가 위치하지 않으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S310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주기를 간격으로 상대 유저의 위치를 계속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S330단계의 판단결과, 설정된 장소에 상대 유저가 위치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S340단계로 진행한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상대 유저의 단말에서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해 상대 유저의 단말로 영상을 제공하고 동작을 종료한다(S340).
이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유저에 의해 원하는 특정 상대, 특정 시간 및 특정 장소(또는, 특정 위치)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안된 영상 제공 동작을 타임 캡슐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소정 기간이 경과한 미래의 시점(예를 들면, 15 년)이 경과한 시점에 특정 장소에서 상대방에게 원하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안된 영상 제공 동작을 장례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100)는 납골당(묘지)의 안치 기간 내 납골당 부근에 고인의 친인척이 위치하면, 고인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안된 영상 제공 동작을 상품 판매나 업체 홍보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세일 기간에 매장 방문 시 고객에게 세일 상품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거나, 홍보 기간에 매장 주변에 위치한 고객에게 매장 홍보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안된 영상 제공 동작을 관광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100)는 고궁과 같은 관광지에 봄에 대응되는 계절에 관광객이 입장하면, 관광객에게 고궁의 봄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안된 영상 제공 동작을 다양한 야외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물 찾기나 레크레이션 게임으로 행사 기간 내 특정 장소에 위치하면 보물이나 특정 미션에 관련된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안된 영상 제공 동작을 선거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선거 기간 내에 선거 후보의 공약(하수처리장 정비)에 관련된 장소(하수처리장)에 위치하면, 선거 후보의 공약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안된 영상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상황에서 특정 상대, 특정 시간 및 특정 장소 중 적어도 일부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대 유저의 단말로 유저에 의해 제작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과 장소의 다양한 조합에 대응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시간과 장소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상대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a)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4월 15일에 춘천에 위치한 상대 유저의 단말로 벚꽃 영상(410)을 제공할 수 있다.
(b)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4월 15일에 서울에 위치한 상대 유저의 단말로 한강영상(420)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상대 유저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간에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면 (a)에서와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c)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8월 15일에 춘천에 위치한 상대 유저의 단말로 호수영상(430)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상대 유저에 대해서도 동일한 장소에 서로 다른 시간에 위치하면 (a)에서와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과 장소에 따른 다양한 조합에 의해서도, 영상 제공 장치(100)는 제공되는 영상을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영상의 개수를 조정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특정 장소를 기준으로 도달한 시점이 빠를수록 상대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의 개수를 더 많이 제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a)에서, 상대 유저가 3월 10일에 춘천에 위치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상대 유저에게 네 개의 영상(A, B, C, D)을 제공할 수 있다.
(b)에서, 상대 유저가 4월 15일에 춘천에 위치하면, 상대 유저에게 세 개의 영상(A, B, C)을 제공할 수 있다.
(c)에서, 상대 유저가 5월 25일에 춘천에 위치하면, 상대 유저에게 두 개의 영상(A, B)을 제공할 수 있다.
(d)에서, 상대 유저가 6월 13일에 춘천에 위치하면, 상대 유저에게 한 개의 영상(A)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100)가 특정 장소를 기준으로 상대 유저의 도달 시점에 따라 제공되는 영상을 차등화하면, 특정 장소로의 상대 유저가 빠른 시일 내의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영상 제공 장치(100)는 특정 장소를 도달한 시점이 느릴수록 상대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의 개수를 더 적게 제공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3월 10일'에 '춘천'에서 재생되도록 설정된 영상(A3)을 상대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대 유저에게 제공될 영상(A3)이 화살표(510)로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영상(A3)이 다른 영상들(A1, A2, A4) 등과 연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A1, A2, A3, A4)는 내용, 이미지, 주제(속성), 종류 등과 같이 적어도 일부의 요소가 서로 관련성, 즉 연관관계를 갖고 있는 영상이다.
따라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A3)을 제공하기 전에, 관련성을 갖는 이전 영상(A1, A2)를 검색한 경우, 이전 영상(A1, A2)를 먼저 상대 유저에게 제공하여, 이전 영상(A1, A2)이 재생된 후에 영상(A3)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A3)과 관련성을 갖는 이후 영상(A4)을 검색한 경우, 영상(A3)이 재생된 후에 영상(A4)이 재생되도록 영상(A4)을 상대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A3)을 제공해야 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관련성이 있는 영상(A3)의 이전 영상(A1, A2)만을 유저에게 제공하거나 영상(A3)의 이후 영상(A4)만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영상(A3)에 관련된 모든 영상(A1, A2, A3, A4)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장치(100)는 특정 영상의 제공 시 관련성이 있는 적어도 일부의 영상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영상들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영상(A1, A2, A3, A4)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순서를 화살표(520)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시간이나 스토리와 같이 선후 관계가 존재하는 영상에 대해서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앞선 영상부터 순차적으로 재생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영상의 재생 순서와 관계없이 영상을 랜덤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되는 영상의 길이에 따른 과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장치(100)는 유저의 영상 등록 시 등록되는 영상의 길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영상 제공 장치(100)는 소정 길이 이내로 등록되는 영상에 대해서는 무료로 등록을 할 수 있고, 소정 길이를 벗어나는 영상에 대해서 과금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30초 길이의 영상(A)에 대해서는 과금을 수행하지 않는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A)을 등록한 유저에게 0코인의 비용을 과금할 수 있으며, 30초 길이 이하의 영상에 대해서는 과금하지 않을 수 있다.
(b)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60초 길이의 영상(B)에 대해서는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B)에 대해서는 500코인의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c)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100초 길이의 영상(C)에 대해서는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C)에 대해 1000코인의 비용을 과금할 수 있으며, 영상(B)보다 더 긴 시간의 영상이므로 더 많은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영상 제공 장치(100)는 영상의 등록 시, 모든 영상에 대해 영상 길이에 비례하여 과금을 할 수도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과금을 하는 동작은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영상 제공 장치(100)가 필요에 따라 영상의 등록이 아닌 영상의 재생 횟수 등을 기준으로 영상을 등록한 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을 위해 맵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을 수신할 상대 유저에게 맵(610)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물 찾기 또는 관광지 미션 스탬프 등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이나 영상 재생 장소를 알려줄 필요가 있는 경우, 영상 재생 장소를 표기한 맵(61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제공 장치(100)는 맵에 표시된 실제 장소(620) 내 특정 장소(A, B, C, D, E)에 상대 유저가 위치한 경우, 관련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영상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영상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영상 제공 시스템 101, 102: 단말들
100: 영상 제공 장치 110: 입출력부
120: 통신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Claims (14)

  1. 제 1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인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 유저가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장소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과 상기 장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이 연결 관계를 갖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영상의 선후 관계를 고려하여 선행하는 영상을 기준으로 영상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되, 상기 영상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영상만을 제공하거나 이후 영상만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시간 및 장소가 설정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과 상기 장소의 조합에 따라 서로 상이한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소에 대응되는 시간이 빠를수록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영상의 개수를 증가시켜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유저의 제작 영상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유저에게 미리 설정된 비용을 과금하되, 소정 시간 이내의 길이를 갖는 영상에 대해서는 과금을 수행하지 않고,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영상에 대해서만 과금을 수행하는 영상 제공 장치.
  8. 영상 제공 장치의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 1 유저가 제작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인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유저가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제 1 유저가 설정한 장소에 위치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과 상기 장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이 연결 관계를 갖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영상의 선후 관계를 고려하여 선행하는 영상을 기준으로 영상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되, 상기 영상의 재생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영상만을 제공하거나 이후 영상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유저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시간 및 장소가 설정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유저의 제작 영상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유저에게 미리 설정된 비용을 과금하되, 소정 시간 이내의 길이를 갖는 영상에 대해서는 과금을 수행하지 않고,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영상에 대해서만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과 상기 장소의 조합에 따라 서로 상이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장소에 대응되는 시간이 빠를수록 상기 제 2 유저의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영상의 개수를 증가시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3. 삭제
  14. 영상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07338A 2018-09-07 2018-09-0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7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338A KR101974619B1 (ko) 2018-09-07 2018-09-0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338A KR101974619B1 (ko) 2018-09-07 2018-09-0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619B1 true KR101974619B1 (ko) 2019-05-02

Family

ID=6658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338A KR101974619B1 (ko) 2018-09-07 2018-09-0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6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690A (ja) * 2000-07-07 2002-0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音声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映像・音声配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170059343A (ko) * 2015-11-20 2017-05-30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690A (ja) * 2000-07-07 2002-0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音声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映像・音声配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170059343A (ko) * 2015-11-20 2017-05-30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85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ilken Places nearby: Facebook as a location-based social media platform
JP6022481B2 (ja) ジオ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ソーシャル要素を用いるモバイル広告
US987057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user interaction based data in a virtual environment transmitted by three dimensional assets
JP6300295B2 (ja) 友達推薦方法及びそのためのサーバ、並びに端末
CN104756149B (zh) 与位置相关的社交数据的真实世界视图
US103624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70252657A1 (en) Matching sponsored game content to location by genre and playability
US9613455B1 (en) Local georeferenced data
KR20150128808A (ko) 리뷰 시스템
EP2973307A2 (en) Rewarding user generated content
US11210659B2 (en) Computing technologies for musical performances
KR101725008B1 (ko) 가상현실 광고 관리서버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JP5996749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22051923A (ja) 関心地点リストの購読とレビュー情報とに基づいて報酬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1435377A (zh) 应用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90213640A1 (en) Dynamic location type determination based on interaction with secondary devices
KR102075054B1 (ko) 여행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17688A (ko) 앱스토어와 타임라인을 연계하여 게시물을 추천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90213639A1 (en) Location-specific notifications and recommendations
KR101974619B1 (ko)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101242A1 (en) Export permissions in a claims-based social networking system
US99715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arrangement and represent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KR102235740B1 (ko)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03794B1 (ko) 커스터마이징된 미션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