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385A - 스위블 조인트 - Google Patents

스위블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385A
KR20190114385A KR1020180037001A KR20180037001A KR20190114385A KR 20190114385 A KR20190114385 A KR 20190114385A KR 1020180037001 A KR1020180037001 A KR 1020180037001A KR 20180037001 A KR20180037001 A KR 20180037001A KR 20190114385 A KR20190114385 A KR 2019011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m
swivel joint
spac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367B1 (ko
Inventor
전창환
전인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03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3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Abstract

밀폐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토출확관부가 단부에 형성된 유압배관 라인과 걸림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간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된 유입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타측 내주면에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로부터 연장된 연장체결부가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연장체결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관통공간 및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관통유로가 형성되되, 일단부에 상기 제2단턱부에 안착되되 밀폐수단이 개재되는 밀폐홈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토출확관부에 밀폐 접촉되도록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잘린 구형의 구형밀폐부가 형성되는 스템부; 및 상기 제1단턱부 내벽면과 상기 스템부 외면 사이를 회전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위블 조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본 발명은 스위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스위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블 조인트(Swivel jonit)는 기름, 물, 공기, 가스, 화학약품 등 각종 유체가 흐르는 2개의 배관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을 매개하는 배관연결용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위블 조인트는 각종 기계의 로딩암의 유체 공급 및 전송, 호스 릴 조립, 자동 세차 설비 및 공장 설비 기계 등과 같이 매우 폭넓은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여객선의 구명정 고정 크레인, 어선의 그물 크레인 등과 같은 해상용 크레인에 적용되는 스위블 조인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육상용 스위블 조인트와는 달리 해상용 스위블 조인트는 누유와 유압을 견디는 기술 뿐만 아니라 염분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여기서, 스위블 조인트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기체, 유체 등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기체, 유체 등이 외부로 누유됨이 방지되고 고압의 유체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실링 장치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블 조인트에 형성되는 유입단 및 토출단에는 각각 배관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유입단측 배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스위블 조인트 내부의 유로를 통과하여 토출단측 배관으로 유동된다.
그러나, 고압의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상기 배관의 꼬임 및 휘어짐 발생으로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튜브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상기 튜브의 꼬임 및 휨이 더욱 심각하게 발생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스위블 조인트의 유입단 및 토출단에 연결되는 각 배관의 연결부가 고압의 유체이동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밀폐성이 저하되어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블 조인트 및 배관 사이에 누유가 발생하거나 상기 스위블 조인트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보수를 위해 진행중인 작업이 중단되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0189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위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스위블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토출확관부가 단부에 형성된 유압배관 라인과 걸림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간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된 유입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타측 내주면에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로부터 연장된 연장체결부가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연장체결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관통공간 및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관통유로가 형성되되, 일단부에 상기 제2단턱부에 안착되되 밀폐수단이 개재되는 밀폐홈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토출확관부에 밀폐 접촉되도록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잘린 구형의 구형밀폐부가 형성되는 스템부; 및 상기 제1단턱부 내벽면과 상기 스템부 외면 사이를 회전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위블 조인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형밀폐부는 설정된 구형 프로파일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에 구배면이 형성되되, 상기 토출확관부가 축방향으로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밀폐부와 상기 토출확관부 간의 밀폐 접촉되는 라인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동심 구형의 구배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기설정된 공차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제1단턱부의 내벽면 및 상기 스템부 사이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템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2단턱부에 안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 형성되며, 상기 스템부의 일단부 외면에는 상기 밀폐홈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밀폐홈부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배치되어 상기 제2단턱부의 내벽면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오링 및 백업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너트부 및 상기 구형밀폐부의 사이에는 상기 스템부가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토출확관부 및 상기 구형밀폐부 간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유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스러스트 베어링은 유압에 의해 상기 스템부가 일정 각도 휘어지더라도 상기 스템부에 밀착 및 지지됨에 따라 스위블 조인트에 연결된 배관연결부 및 유압배관의 꼬임 및 휨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둘째, 구형 프로파일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에 구배면이 형성되는 구형밀폐부는 토출확관부가 축방향으로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밀폐부와 상기 토출확관부 간의 밀폐 접촉되는 라인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동심 구형의 구배면이 형성되어 스템부가 휘어지는 경우에도 밀폐 접촉이 유지되어 누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밀폐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스템부 사이가 밀폐되도록 오링 및 백업링을 포함하는 이중 밀폐 구조의 밀폐수단이 밀폐홈부에 삽입되어 스위블 조인트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스템부 사이로 누유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식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 및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스템부의 축방향으로부터 상기 토출확관부가 미세한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스템부에 밀착 및 지지됨에 따라 밀폐성능이 보장되므로 스위블 조인트에 연결된 배관연결부 및 유압배관의 꼬임 및 휘어짐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P'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P'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조인트(100)는 하우징부(10), 커버부(20), 스템부(30), 및 스러스트 베어링(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는 걸림너트부(50)와 같은 걸림수단 및 배관연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부(10)에는 내부에 관통공간(1)이 상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간(1)의 일측 테두리에 몸체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유입체결부(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징부(10)의 몸체부 및 상기 유입체결부(11)의 외면은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체결부(11)의 외경은 상기 몸체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체결부(11)의 외경은 상기 유입체결부(11)의 외면에 체결 및 고정되는 유입측 유압배관(미도시)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체결부(11)의 외주면에는 유입측 유압배관(미도시)의 단부가 나사 체결되도록 제1나사산(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체결부(11)에 상기 유입측 유압배관(미도시)이 연결되어 고압의 유체가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 내부의 상기 관통공간(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입체결부(11)의 내주면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유입확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측 유압배관(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유체가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의 내부로 유동됨에 따라 폭이 좁아지므로 유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간(1)의 타측 내주면에 제1단턱부(13) 및 제2단턱부(12)가 순차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단턱부(13) 및 상기 제2단턱부(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단턱부(12)는 상기 스템부(30)의 일단부가 삽입 및 안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턱부(13)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이 배치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체결부(14)는 상기 제1단턱부(13)로부터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체결부(14)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체결부(14)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커버부(20)가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는 SCM415 등의 구입이 용이하고 강도, 경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일측에는 디컷면이 형성되는 디컷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컷부(15)는 상기 하우징부(10)의 몸체부 외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디컷면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연장체결부(14)에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20)의 내부에 상기 관통공간(1)과 연통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상하측이 개구되는 중공(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공(21)이 형성되는 상기 커버부(20)의 내주면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는 SCM415 등의 구입이 용이하고 강도, 경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에는 커버몸체(23)가 상기 연장체결부(14)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장체결부(14)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몸체(23) 및 연장체결부(14)의 단부가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 내부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2)는 상기 연장체결부(14)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몸체(23)의 내측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나사산(14b)과 나사 체결되도록 제3나사산(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템부(30)가 상기 관통공간(1) 및 상기 중공(21) 내부에 삽입된 뒤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커버부(20)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스템부(30)가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커버부(20)로부터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템부(30)에는 상기 관통공간(1) 및 상기 중공(21) 내부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템몸체부(3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유로(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유로(2)가 형성되는 상기 스템몸체부(31)의 내주면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간(1)으로 유입된 고압의 유체가 상기 관통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템몸체부(31)의 외주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20)의 내주와 기설정된 공차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차 간격은 실질적으로 극소한 간격으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템부(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단턱부(12)에 안착되되 밀폐수단(32a,32b)이 개재되는 밀폐홈부(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스템부(30)의 일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외경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의 외경이 상기 스템몸체부(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형성된 상기 스템부(30)의 일단부는 상기 제2단턱부(12)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템부(30)는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의 상기 관통공간(1)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단턱부(12)에 안착되므로 상기 하우징부(10)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부(30)의 일단부의 외면에는 상기 밀폐홈부(32)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홈부(32)에는 상기 밀폐수단(32a,32b)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수단(32a,32b)에는 상기 스템부(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찰 접촉되되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스템부(30) 사이로 누유가 방지되도록 밀폐하는 오링(32a)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32a,32b)에는 상기 오링(32a)이 단독으로 상기 밀폐홈부(32)에 삽입시 상기 오링(32a)이 상기 스템부(30)의 비틀림에 따라 가압되어 발생될 수 있는 누유가 방지되도록 이중으로 밀폐하는 백업링(32b)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링(32a) 및 상기 백업링(32b)은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스템부(30) 사이에 밀착되어 밀폐하도록 고무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스템부(30)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오링(32a) 및 상기 백업링을 포함하는 이중 밀폐 구조의 상기 밀폐수단(32a,32b)이 상기 밀폐홈부(3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유체가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스템부(30) 사이로 누유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식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 및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템부(30)의 타단부에는 상기 커버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잘린 구형 형상의 구형밀폐부(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형밀폐부(34)는 설정된 구형 프로파일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에 구배면이 형성되되, 토출확관부(61)가 축방향으로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밀폐부(34)와 상기 토출확관부(61) 간의 밀폐 접촉되는 라인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동심 구형의 구배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형밀폐부(34)는 반경방향 최외곽라인이 가상 구의 중심 원점으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반경 거리(R)에 형성되되, 상기 최외곽라인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동심 구형의 구배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형밀폐부(34)는 외면이 잘린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면에는 상기 관통유로(20)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 구의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구형밀폐부(34)의 전후측으로 상기 동심 구형의 구배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동심 구형의 구배면의 최외곽라인은 상기 가상 구의 원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상기 반경 거리(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관연결부(60)에는 일측 내주면에 상기 구형밀폐부(34)의 전후측에 밀폐 접촉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상기 토출확관부(6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형밀폐부(34) 및 상기 걸림너트부(50)의 사이에는 상기 스템부(30)가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토출확관부(61) 및 상기 구형밀폐부(61) 간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유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잘린 구형의 상기 구형밀폐부(34)에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상기 토출확관부(61)가 밀폐 접촉되어 상기 스템부(30)가 휘어지는 경우에도 밀폐 접촉이 유지되어 누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밀폐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부(30)의 축방향으로부터 상기 토출확관부(61)가 미세한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스템부(30)에 밀착 및 지지됨에 따라 밀폐성능이 보장되므로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에 연결된 상기 배관연결부(60) 및 상기 유압배관(a)의 꼬임 및 휘어짐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스템부(30)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걸림홈부(33)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홈부(33)에는 상기 배관연결부(60)에 연결되는 상기 걸림너트부(50)의 일측이 걸림되어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스템부(30) 및 상기 걸림너트부(50)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걸림홈부(33)는 상기 걸림너트부(50)의 일측을 감싸면서 형합되도록 함몰된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템부(30)는 SCM415 등의 구입이 용이하고 강도, 경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상기 제1단턱부(13)의 내벽면과 상기 스템부(30) 외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부(30)가 회전지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베어링몸체부와 뚜껑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몸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볼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홈에 복수개의 볼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이 배치된 상기 베어링몸체부는 상기 뚜껑커버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볼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반경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의 내주면은 상기 스템몸체부(31)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의 외주면은 상기 제1단턱부(13)의 내벽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턱부(13)의 내벽면과 상기 스템부(30) 외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상기 스템부(30)의 일면과 마찰 접촉되어 상기 스템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단턱부(13) 및 상기 커버부(20)의 상기 체결부(22) 사이에 양단이 상하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공차간격을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의 측부는 상기 스템몸체부(31) 및 상기 제1단턱부(13)의 내벽면에 각각 밀착되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의 상하측은 상기 공차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여유공간이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커버부(20) 사이에 공차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여유공간이 형성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유압에 의해 상기 스템부(30)가 일정 각도 휘어지더라도 상기 스템부(30)에 밀착 및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40)은 상기 스템부(30)에 연결된 상기 배관연결부(60) 및 상기 유압배관(a)의 꼬임 및 휨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블 조인트(100)에는 내주에 체결나사산(50a)이 형성되며, 상기 구형밀폐부(34)에 걸림되는 상기 걸림돌설부(51)가 내측단에 형성된 걸림너트부(50)와, 외면부가 상기 체결나사산(50a)에 나사 체결되되, 일측 내주면에 상기 구형밀폐부(34)와 밀폐접촉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토출확관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측 유압배관이 연결되는 배관연결부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걸림너트부(50)와 같은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스템부(30)의 노출된 단부측에 배치되되 내주에 상기 체결나사산(50a)이 형성되며, 상기 구형밀폐부(34)의 상기 걸림홈부(33)에 걸림되는 상기 걸림돌설부(51)가 내측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걸림수단은 나사산과 같은 체결 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스템부(30)의 노출된 단부측과 결합되고, 반대측 단부측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 연장된 걸림돌설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연결부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림너트부(50)는 상하측이 개구된 중공형 육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SCM415 등의 구입이 용이하고 강도, 경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설부(51)는 상기 걸림너트부(50)의 일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설부(51)는 상기 걸림홈부(33)에 걸림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설부(51)는 상기 걸림홈부(33)에 걸림 체결되고, 상기 체결나사산(50a)에 상기 배관연결부(60)가 결합됨에 따라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스템부(30) 및 상기 걸림너트부(50)가 상호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너트부(50)의 내경은 상기 구형밀폐부(34)의 최외곽라인에 형성된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너트부(50) 및 상기 구형밀폐부(34) 사이에는 유격 공간이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토출확관부(61)가 상기 유격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연결부(60)에는 일측 내주면에 상기 구형밀폐부(34)와 밀폐 접촉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상기 토출확관부(6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접촉의 의미는 상기 구형밀폐부(34) 및 상기 토출확관부(61)가 면접촉되거나 경우에 따라 선접촉되어 누유가 방지되도록 밀폐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토출확관부(61)는 상기 스템부(30)가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구형밀폐부(34)와 접촉이 유지되도록 상기 걸림너트부(50) 및 상기 구형밀폐부(34) 사이에 형성된 유격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템부(30)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토출확관부(61)의 일측은 상기 구형밀폐부(34)의 후방부까지 삽입되며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구형밀폐부(34)의 전방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템부(30) 및 상기 배관연결부(60) 간의 밀폐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잘린 구형의 상기 구형밀폐부(34)에 끝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상기 토출확관부(61)가 밀폐 접촉되어 상기 스템부(3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토출확관부(61)의 일측이 상기 구형밀폐부(34)의 후방부에 밀폐 접촉되어 누유가 방지되므로 밀폐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연결부(60)에는 외면부에 상기 체결나사산(50a)에 나사 체결되도록 제4나사산(6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연결부(60)의 타측에는 유압배관(a)이 연결되는 배관연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관연결부(60)는 상기 유압배관(a)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별도의 부재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배관연결부(60) 및 상기 유압배관(a)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연결부(60)가 상기 걸림너트부(50)에 체결되고, 상기 걸림너트부(50)가 상기 스템부(30)에 걸림되어 고압 유체의 유동시에도 분리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위블 조인트 10: 하우징부
20: 커버부 30: 스템부
40: 스러스트 베어링 50: 걸림너트부
60: 배관연결부

Claims (5)

  1.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관되는 토출확관부가 단부에 형성된 유압배관 라인과 걸림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 조인트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간의 일측 테두리에 연장된 유입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타측 내주면에 제1단턱부 및 제2단턱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로부터 연장된 연장체결부가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연장체결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관통공간 및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관통유로가 형성되되, 일단부에 상기 제2단턱부에 안착되되 밀폐수단이 개재되는 밀폐홈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상기 토출확관부에 밀폐 접촉되도록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잘린 구형의 구형밀폐부가 형성되는 스템부; 및
    상기 제1단턱부 내벽면과 상기 스템부 외면 사이를 회전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위블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밀폐부는 설정된 구형 프로파일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에 구배면이 형성되되, 상기 토출확관부가 축방향으로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밀폐부와 상기 토출확관부 간의 밀폐 접촉되는 라인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동심 구형의 구배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기설정된 공차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제1단턱부의 내벽면 및 상기 스템부 사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2단턱부에 안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 형성되며, 상기 스템부의 일단부 외면에는 상기 밀폐홈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밀폐홈부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배치되어 상기 제2단턱부의 내벽면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오링 및 백업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조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너트부 및 상기 구형밀폐부의 사이에는 상기 스템부가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토출확관부 및 상기 구형밀폐부 간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유격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KR1020180037001A 2018-03-30 2018-03-30 스위블 조인트 KR10208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01A KR102087367B1 (ko) 2018-03-30 2018-03-30 스위블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01A KR102087367B1 (ko) 2018-03-30 2018-03-30 스위블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85A true KR20190114385A (ko) 2019-10-10
KR102087367B1 KR102087367B1 (ko) 2020-03-10

Family

ID=6820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01A KR102087367B1 (ko) 2018-03-30 2018-03-30 스위블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959B1 (ko) * 2020-08-18 2021-09-24 문성준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7316A1 (en) * 2001-06-01 2002-12-05 Baltrotors, Sia Swivel joint
US20100194096A1 (en) * 2009-02-04 2010-08-05 Robert Bosch Gmbh High pressure fuel fittings
KR20140101892A (ko) 2013-02-07 2014-08-21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 플랜트의 플레어 시스템용 스위블 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7316A1 (en) * 2001-06-01 2002-12-05 Baltrotors, Sia Swivel joint
US20100194096A1 (en) * 2009-02-04 2010-08-05 Robert Bosch Gmbh High pressure fuel fittings
KR20140101892A (ko) 2013-02-07 2014-08-21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 플랜트의 플레어 시스템용 스위블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959B1 (ko) * 2020-08-18 2021-09-24 문성준 소방호스용 꼬임 방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367B1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1853C2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 эластичным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кольцом
US4602806A (en) Seal construction for fluid swivel joints incorporating a free-floating anti-extrusion device with oil injection system
KR102087369B1 (ko) 스위블 조인트
CA2401386C (en) Coiled tubing swivel with stepped bearing races
WO2009000766A1 (en) Threaded joint with energizable seal
US4373753A (en) Spring finger connector
US3776578A (en) High pressure rotatable pipe connection
EP2663730B1 (en) Flowline divertor seal with spring-energized lips
US5322261A (en) Arrangement in closing valves
KR102087367B1 (ko) 스위블 조인트
JP2014122642A (ja) 圧力容器の継手構造及び配管の継手構造
EP2745017B1 (en) Bearing assembly for a vertical turbine pump
NO316910B1 (no) Tetningsanordning
US11261979B2 (en) Check valve pivot pin retainer seal
CN210687002U (zh) 轴流式调节阀的径向组合密封结构
US6508492B2 (en) Swiveling hose coupling
JP5746281B2 (ja) 流体圧シリンダ
RU2374540C1 (ru) Шаровой кран системы овандер
US8333387B2 (en) High pressure fluid sealing mechanism
BR112018073573A2 (pt) equipamento vedador metal-metal de poço
JP6902924B2 (ja) 管継手
BR112020025351A2 (pt) junta tubular e instalação
EP2954239B1 (en) Butterfly valve comprising removable coupling part
KR102279509B1 (ko) 로터리조인트
US11555552B2 (en) Retainer guidance for rinsing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