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100A -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100A
KR20190114100A KR1020180036262A KR20180036262A KR20190114100A KR 20190114100 A KR20190114100 A KR 20190114100A KR 1020180036262 A KR1020180036262 A KR 1020180036262A KR 20180036262 A KR20180036262 A KR 20180036262A KR 20190114100 A KR20190114100 A KR 20190114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ischarge
coupled
extraction
extra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780B1 (ko
Inventor
이왕일
Original Assignee
이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일 filed Critical 이왕일
Priority to KR102018003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5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의 배출이 조절되며, 휴대가 용이한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추출탱크부와, 추출탱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배출홀이 형성되는 배출부와, 배출부에 결합되어 추출탱크부에 위치한 음료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수 조절부를 포함하고, 배수 조절부는 배출홀을 막는 구 형상의 막음부재와, 배출부에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상기 막음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의 배출이 조절되며, 휴대가 용이한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는 여러 식물의 잎, 과실, 뿌리, 껍집 또는 곡류 등을 우리거나 달여 만든 기호 음료로, 원료에 따라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현대인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는 찻잎이나 다른 식물부위를 뜨거운 물에 접촉시켜 찻물을 추출하는데, 이러한 추출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질 수 있다.
하나는 찻잎 자체를 포장하여 찻잎이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티백(Tea bag)을 이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거름 수단이 구비된 용기를 이용하여, 차를 우려낸 후 찻물은 외부로 흘러나오게 하고, 찻잎은 걸러내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용기는 몸체가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휴대 중에 용기가 가압되는 경우,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 내의 음료의 추출 정도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 및 세척이 용이하며, 용기 내의 음료의 추출 정도가 확인 가능한 음료 추출 용기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3243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및 세척이 용이하며, 용기 내의 음료의 추출 정도가 확인 가능한 음료 추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추출탱크부와, 추출탱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배출홀이 형성되는 배출부와, 배출부에 결합되어 추출탱크부에 위치한 음료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수 조절부를 포함하고, 배수 조절부는 배출홀을 막는 구 형상의 막음부재와, 배출부에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상기 막음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부는 중공이 형성되는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막음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배출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부재는 상면에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제1돌기는 막음부재가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수평부재는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일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면에 배치된 필터부를 고정시키는 제2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부는 수평부재의 하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수평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탱크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2돌기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의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부재는 배출부를 관통하며, 일단이 막음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일부분이 굴곡되게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연장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핸들부재를 포함하고, 핸들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막음부재가 상승되며, 추출탱크부의 음료가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부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탱크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며, 배출부 및 상기 리드부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부재의 중공에 끼워지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를 수집하는 수집탱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중에 음료의 배출을 조절하는 핸들부재가 가압되지 않도록 하여, 의도치 않게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추출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분리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배수 조절부가 결합된 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배수 조절부가 결합된 배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배수 조절부가 결합된 배출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의 측면도이다.
음료 추출 장치(1)는 커피 또는 차 등과 같은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추출탱크부(10), 배출부(20) 및 배수 조절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출탱크부(10)는 음료 추출을 위해 물 및 추출원료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추출탱크부(10)에 담긴 음료의 양 또는 음료의 추출 정도(추출원료의 성분이 물에 녹아나온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추출탱크부(10)는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중공(110)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부(20) 및 배수 조절부(30)에 의해, 하단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탱크부(10)는 투명한 재질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음료의 추출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배출부(20)는 추출탱크부(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추출탱크부(10)에 담긴 음료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심부에 배출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추출탱크부(10)에 위치한 음료는 배출홀(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20)는 실리콘 등과 같이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부(20)가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배출부(20)를 구부리며,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배출부(20)는 높이방향으로 중공(211)이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수직부재(210) 및 수직부재(210)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수평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평부재(220)는 수직부재(210)의 중공을 덮을 수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평부재(220)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222)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222)의 중심에는 배출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222)에는 배출홀(2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막음부재(31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220)는 상면에 제1돌기(223)가 수용공간(22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돌기(223)가 형성됨으로써, 막음부재(310)는 수용공간(22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부(20)는 복수의 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30)는 추출탱크부(10)에 담긴 음료의 무게에 의해 수평부재(22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부재(22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복수의 지지부재(23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일단은 수직부재(210)에 결합되고, 일단과 수직한 면은 수평부재(22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부(40)는 원두 또는 찻잎과 같은 추출원료를 거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고, 수평부재(2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4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름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수평부재(220)는 필터부(40)를 고정하기 위한 제2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224)는 수평부재(22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일부가 절곡되어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부(40)는 제2돌기(224)의 절곡 부위보다 아래 위치한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제2돌기(22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224)는 수직부재(210)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돌기(224)와 수직부재(210)의 내주면 사이 공간(225)에는 추출탱크부(10)의 일영역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추출탱크부(10)는 제2돌기(224)와 수직부재(210)에 의해 배출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20)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패킹이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추출탱크부(10)를 배출부(2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배수 조절부(30)는 배출홀(221)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여 추출탱크부(10)에 위치한 음료의 배출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배출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배수 조절부(30)는 수용공간(222)에 위치하며 배출홀(221)을 막는 구 형상의 막음부재(310) 및 외력에 따라 막음부재(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출홀(2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조절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재(310)는 음료의 밀도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음료 상에 부유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막음부재(310)는 배출홀(22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출홀(22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조절부재(320)는 배출부(20)를 관통하여 일단이 배출홀(221)에 위치한 막음부재(310)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일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연장부재(321) 및 연장부재(321)의 타단에 결합되는 핸들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배출부(20)의 외부에 위치한 핸들부재(322)에 외력을 가하여 연장부재(321)를 통해 막음부재(310)를 상승시켜, 추출탱크부(10)에 위치한 음료를 배출홀(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핸들부재(322)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핸들부재(322)의 하단부를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막음부재(310)를 상승시켜, 배출홀(221)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수직부재(210)는 연장부재(321)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홀(212)과 연통하며 핸들부재(322)가 안착되는 제2관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관통홀(212)은 제2관통홀(213)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핸들부재(322)가 제1관통홀(21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제2관통홀(213)은 핸들부재(322)보다 넓은 넓이로 형성되며, 핸들부재(32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핸들부재(322)가 제2관통홀(213) 내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핸들부재(322)가 제2관통홀(213)에 안착됨으로써, 파지 중에 의도치 않게 핸들부재(322)가 가압되어, 추출탱크부(10)에 위치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관통홀(213)에는 핸들부재(322)의 가압을 방지하며, 음료 추출 장치(1)의 자세에 따라 핸들부재(322)가 회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가압방지부재(2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압방지부재(240)가 배출부(20)에 결합된 경우, 핸들부재(322)의 상단 및 하단이 가압방지부재(240)에 접촉되기 때문에, 음료 추출 장치(1)의 자세가 변화된다 하더라도, 핸들부재(322)는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가압방지부재(24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된 부분은 제2관통홀(213)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관통홀(213)은 제1관통홀(212)과 연통되며, 제1관통홀(212)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제2-1관통홀(미도시) 및 제2-1관통홀과 연통되며, 제2-1관통홀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제2-2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2관통홀에는 가압방지부재(240)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관통홀(213)이 형섬됨으로 인해, 가압방지부재(240)는 핸들부재(322)를 가압하지 않으며, 핸들부재(3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가압방지부재(24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압방지부재(240)의 측면과 인접한 배출부(20)를 가압하며, 가압방지부재(24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음료 추출 장치(1)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관통홀(213)에 가압방지부재(240)를 결합하여 이동함으로써, 이동중에 추출탱크부(10)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는 리드부(50) 및 수집탱크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부(50)는 추출탱크부(10)의 중공(110)으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추출탱크부(10)를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서, 추출탱크부(1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추출탱크부(10)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된 리드부(50)는 후술할 수집탱크부(6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드부(50)가 형섬됨으로 인해, 음료 추출 장치(1)의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리드부(50)는 실리콘과 같은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출탱크부(10)의 상단에 결합된 리드부(50)의 중심을 가압하는 경우, 추출탱크부(10)의 중공(110)으로 압력이 가해지며 음료가 빠르게 추출될 수 있다.
수집탱크부(60)는 배출홀(221)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단이 개구된 내부공간(6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집탱크부(60)는 외부에서 음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배출부(20)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20)가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패킹이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수집탱크부(60)를 배출부(2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음료 추출 장치(1)는 드립용 필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립용 필터부(70)는 원두 가루와 같이 음료 추출을 위한 가루를 수용하며, 가루를 통과한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추출탱크부(1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드림용 필터부(7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축소된 직경을 가진 잘린 원뿔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단에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 유체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의 배출구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원두 가루가 수용된 드립용 필터부(70)를 추출탱크부(10)에 거치한 후, 물을 부어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료 추출 장치(1)는 드립용 필터부(70)와 리드부(50)를 함께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용도의 구성(드립용 필터부(70) 또는 리드부(50))을 추출탱크부(1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의 (a)는 배출홀(221)이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막음부재(310)가 배출홀(221)과 맞닿게 위치하는 경우, 막음부재(310)는 배출홀(221)을 막아 추출탱크부(10)에 위치한 음료(A)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추출탱크부(10)에 음료가 있는 상태에서 음료 추출 장치(1)를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제2관통홀(213)에 가압방지부재(240)를 결합하여, 휴대 중에 막음부재(3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배출홀(221)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관통홀(213)에 결합된 가압방지부재(240)를 분리한 후, 핸들부재(322)에 압력을 가해 막음부재(310)를 배출홀(22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막음부재(310)가 배출홀(221)과 분리되는 경우, 막음부재(310)와 배출홀(221)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생겨, 추출탱크부(10)에 위치한 음료(A)가 배출부(20)의 하부에 위치한 수집탱크부(60)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배출홀(221)을 폐쇄하여, 개인 기호에 맞게 차를 우린 후, 핸들부재(322)를 가압해 배출홀(221)을 개방하여 추출탱크부(10)를 기울이는 동작 없이도 우려진 차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음료 추출 장치
10 : 추출탱크부
20 : 배출부
30 : 배수 조절부
40 : 필터부
50 : 리드부
60 : 수집탱크부

Claims (10)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추출탱크부와,
    상기 추출탱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배출홀이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추출탱크부에 위치한 음료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조절부는,
    상기 배출홀을 막는 구 형상의 막음부재와,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상기 막음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중공이 형성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막음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막음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일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상면에 배치된 필터부를 고정시키는 제2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하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탱크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돌기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막음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일부분이 굴곡되게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핸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막음부재가 상승되며, 상기 추출탱크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탱크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 및 상기 리드부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중공에 끼워지며,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를 수집하는 수집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장치.
KR1020180036262A 2018-03-29 2018-03-29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KR102062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62A KR102062780B1 (ko) 2018-03-29 2018-03-29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62A KR102062780B1 (ko) 2018-03-29 2018-03-29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00A true KR20190114100A (ko) 2019-10-10
KR102062780B1 KR102062780B1 (ko) 2020-01-06

Family

ID=6820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62A KR102062780B1 (ko) 2018-03-29 2018-03-29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7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34B1 (ko) 2016-04-06 2018-02-26 (주)빈스코프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5469U (en) * 2002-02-08 2003-03-21 Chuen-Lan Gu Container for making drinks
KR200480118Y1 (ko) * 2014-05-12 2016-04-14 이종원 휴대용 음료 추출 용기
KR101615852B1 (ko) * 2015-05-15 2016-04-26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34B1 (ko) 2016-04-06 2018-02-26 (주)빈스코프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80B1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5567B2 (ja) 飲料製造装置においてカップ又は他の容器を支持する表面を2つ有する支持部
EP1906798B1 (en) Portafilter system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090126578A1 (en) Device and Disposable Capsule For Producing Liquid Products, in Particular Beverages
EP1658000B1 (en) A beverage making device having protrusions at the upper wall of the brewing chamber
MX2008002255A (es) Dispositivos para el percolado de bebidas.
KR20130141464A (ko) 캡슐로부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캡슐 및 음료 준비 시스템
EP1691650B1 (en) Beverage making device comprising a brewing chamber for enclosing a pad
KR101871845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CN100563527C (zh) 具有包括滤网的滤架的咖啡机
KR102062780B1 (ko) 휴대형 음료 추출 장치
US20090013874A1 (en) Beverage Making Device
US20200015619A1 (en) French Press
US11510519B2 (en) Stee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EP1694179B1 (en) A beverage making device
US1743925A (en) Drip-coffee maker
US136703A (en) Improvement in coffee-pots
EP2767198B1 (en) A filter hold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CN102144891B (zh) 一种饮料萃取过滤装置
EP3613318B1 (en) Beverage-dispensing system with optimized beverage-receptacle retention
EP3934491B1 (en) Funnel-shaped filter for moka coffee maker
US678692A (en) Tea or coffee pot.
JP3113882U (ja) 昇降調整式自動ブルーワー
US1077491A (en) Apparatus for making tea and other infusions.
US414596A (en) Coffee or tea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