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081A -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 Google Patents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081A
KR20190114081A KR1020180036218A KR20180036218A KR20190114081A KR 20190114081 A KR20190114081 A KR 20190114081A KR 1020180036218 A KR1020180036218 A KR 1020180036218A KR 20180036218 A KR20180036218 A KR 20180036218A KR 20190114081 A KR20190114081 A KR 2019011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ump dispenser
flow path
head uni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936B1 (ko
Inventor
용 대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to KR102018003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3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거품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분출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마사지부재를 부설하여 손바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거품 내용물을 피부에 직접 고르게 바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피부 굴곡에 따라 마사지부재를 보다 편리하게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300)』에 의하면; 실린더바디(220) 상부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올라가는 수직유로(311)가 마련되고, 수직유로(311)의 상부와 연통되며 상향 경사지게 볼-연결구(312)가 돌출 형성된 헤드본체(310)와; 헤드본체(310)의 볼-연결구(312)에 수용 결합되면서 수직유로(311)와 연통되도록 조인트-볼(321)이 후면 중심부위에 마련되어 상하 및 좌우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노즐베이스(322)와, 노즐베이스(322)의 앞면부를 덮도록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내부 중앙에는 수직유로(311)와 연통되도록 노즐유로(323)가 형성된 덮개(324)를 포함하는 노즐(320)과; 노즐(320)의 덮개(324)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노즐유로(323)를 통해 빠져나오는 거품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구(33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플레이트부(331)와, 플레이트부(331)의 앞면 전역에 걸쳐 돌출되어 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마사지-돌기(333)들로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마사지부재(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PUSH HEAD UNIT FOR FOAMING PUMP DISPENSER }
본 발명은 포밍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핑 동작에 따라 용액과 공기가 펌핑/혼합되어 분출되는 폼(거품)을 손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도 피부에 고르게 바르거나 세정(또는 마사지)할 수 있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밍펌프 디스펜서는 용기에 저장된 액체내용물(용액)을 기액혼합실에서 공기를 합류시킴과 동시에 균질화관체(거름망체)를 통해 균일한 거품 액체를 배출하는 것으로; 목욕삼푸, 모발 화장품 또는 욕실, 부엌,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세정제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군에 사용된다.
종래 포밍펌프 디스펜서는 푸시헤드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액상)이 펌핑/배출되면서 공기가 합류되어 거품으로 변환되며, 이 거품이 푸시헤드의 노즐을 통해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포밍펌프 디스펜서에서는 단순히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펌핑하여 노즐을 통해 거품 형태로 배출하기 때문에, 분출된 거품을 피부에 발라 클린징을 하거나 마사지를 하는 경우 반드시 손바닥에 펌핑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손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서도 분출되는 거품을 피부에 직접 바를 수 있는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를 발명(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7411호)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인이 발명한 특허 제10-1127411호에 개시된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는 헤드-몸체(10)의 분출유로(11) 선단부에 결합되면서 연통되는 결합구(21)가 후면에 마련되고, 앞면으로는 내용물 분출공간(22)이 형성된 원반 형태의 브러시-장착부재(20)와; 이 브러시-장착부재(20)의 앞면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분출홀(31)이 천공된 덮개플레이트(30)와; 이 덮개플레이트(30)가 배치된 브러시-장착부재(20)의 앞면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며 분출홀(31)들과 연통되도록 배출구(41)들이 천공된 플레이트부(42)와, 이 플레이트부(42)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탄성 변형되면서 브러시-장착부재(20)의 후면 가장자리를 감싸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크걸림부(43)와, 플레이트부(42)의 앞면 전역에 걸쳐 돌출되어 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마사지-돌기(44)들과, 후크걸림부(43)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착탈 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돌기(45)로 이루어진 고무재질의 브러시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헤드-몸체(10)를 누르면 용기 내용물이 브러시부재(40)측으로 분출됨으로써, 손바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마사지-돌기(45)를 통해 내용물을 피부에 직접 바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브러시부재(40)의 마사지-돌기(45)들을 이용하여 분출되는 거품 내용물을 피부에 고르게 바르면서 마사지 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특허 제10-1127411호에 개시된 푸시헤드에서는 브러시-장착부재(20)가 헤드-몸체(10) 선단부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된 거품을 피부에 고르게 바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피부 굴곡에 따라 용기를 잡고 손목을 구부르고 펴기를 반복해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분출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마사지부재를 부설하여 손바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거품 내용물을 피부에 직접 고르게 바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피부 굴곡에 따라 마사지부재를 보다 편리하게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캡의 상부에 위치하며 반복적인 누름 동작을 통해 실린더바디 중앙 상부로 펌핑된 액상 내용물과 가압공기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이; 상기 실린더바디 상부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바디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올라가는 수직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수직유로의 상부와 연통되며 상향 경사지게 볼-연결구가 돌출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볼-연결구에 수용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유로와 연통되도록 조인트-볼이 후면 중심부위에 마련되어 상하 및 좌우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노즐베이스와, 상기 노즐베이스의 앞면부를 덮도록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내부 중앙에는 상기 수직유로와 연통되도록 노즐유로가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덮개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노즐유로를 통해 빠져나오는 거품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구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앞면 전역에 걸쳐 돌출되어 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마사지-돌기들로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마사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즐의 노즐유로를 통해 빠져나오는 거품을 상기 분출구들측으로 분배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분배유로가 상기 마사지부재의 플레이트부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에 의하면; 푸시헤드유닛의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따라 용기의 내용물은 마사지부재의 분출구들을 통해 거품으로 분출됨으로써 손바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거품을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피부를 세정(클린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분출되는 거품을 마사지부재의 마사지-돌기들을 통해 피부에 직접 고르게 바르면서 마사지 효과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사지부재는 조인트-볼을 통해 헤드본체의 선단부에 상하 및 좌우 방향 조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어서, 굴곡에 따라 마사지-돌기들을 보다 편안하게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에 의하면; 노즐유로를 통해 빠져나오는 거품은 분배유로를 통해 분배되면서 분출구들 측으로 안내됨으로써, 거품이 보다 균일하면서 용이하게 분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특허 제10-1127411호에 개시된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내부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유닛의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작동에 따른 거품 배출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유닛의 마사지부재 방향 조작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 및 푸시헤드유닛의 구성 설명>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제품용기(100)에는 내용물(용액)이 저장되며, 제품용기(100)의 네크(110)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펌핑하여 거품 형태로 분출시키기 위한 포밍펌프 디스펜서(20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200)는; 제품용기(100) 네크(110)에 장착되는 대캡(210)과, 대캡(210) 내에 설치되며 에어실린더(221)와 용액실린더(222)가 일체로 이루어진 실린더바디(220)와, 용액실린더(222)의 저부에 마련된 흡입구(223)를 개폐하는 밸브부재(224)와, 대캡(210)을 통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지지되며 거품 내용물이 분출되는 푸시헤드유닛(300)과, 에어실린더(221)내의 공기를 가압하여 푸시헤드유닛(300)측으로 펌핑하는 에어피스톤(230)과, 용액실린더(222)내의 내용물을 가압하여 푸시헤드유닛(300)측으로 펌핑하는 용액피스톤(240)과, 용액실린더(222) 내부에 배치되어 용액피스톤(240) 및 에어피스톤(230)을 복원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25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포밍펌프 디스펜서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대캡(21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제품용기(100) 네크(110)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대캡(210)의 내부에는 암나사(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캡(211)의 상부에는 푸시헤드유닛(300)의 하단부가 수용되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가이드(212)가 마련된다.
실린더바디(220)는 대캡(210)의 내부에 동심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푸시헤드유닛(300)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에어실린더(221)와, 에어실린더(221)의 저부에 동심을 이루면서 하측으로 연장된 용액실린더(22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실린더(221)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가압 토출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에어피스톤(230)이 밀착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에어실린더(221)의 벽면 상측에는 에어실린더(221) 내부와 제품용기(100) 내부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부압홀(225)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용액실린더(222)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에어실린더(221)의 저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제품용기(100)내의 내용물(용액)이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용액실린더(222)의 저부에는 용액 흡입을 위해 흡입구(223)가 마련되며, 흡입구(223)에는 흡입튜브(226)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또한, 용액실린더(222)의 저부에는 코일스프링(250)의 하단이 수용 배치되며,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250)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위치에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용액실린더(222)의 흡입구(223)를 개폐하는 밸브부재(224)는 강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내용물(용액) 흡입시 상측으로 약간 떠올라 흡입구(223)를 개방하게 되며 내용물(용액) 배출시에는 하측으로 내려가 흡입구(223)를 폐쇄하게 된다.
용액피스톤(24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용액 유로가 확보된 일종의 중공피스톤으로 이루어지며 에어피스톤(230)의 중심부에 상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용액피스톤(240)의 하부는 용액실린더(222)의 내벽에 밀착된다. 따라서 에어피스톤(230)과 함께 용액피스톤(240)이 하강하게 되면, 용액실린더(222)내의 내용물(용액)은 가압되면서 용액 유로를 통해 푸시헤드유닛(300)측으로 펌핑하게 된다.
에어피스톤(230)은 에어실린더(221)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승하강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단의 원통으로 형성된다. 에어피스톤(230)의 하측 단부는 에어실린더(221)의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푸시헤드유닛(300)을 누르게 되면 에어실린더(221)내의 공기를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푸시헤드유닛(300)에서 손을 떼면 코일스프링(2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올라가게 된다. 에어피스톤(230)이 최대로 올라오면 부압홀(225)을 막아 제품용기(100) 내부와 실린더바디(220)의 에어실린더(221) 내부 사이의 공기출입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에어피스톤(230)의 중간부분에는 에어밸브(260)가 구비되어 있어서, 그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270)로부터의 공기 유입과 에어피스톤(230) 상부로의 공기 유출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피스톤(230)의 상측 중앙부위에는 기액혼합실(2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액혼합실(280)은 용액피스톤(240)과 에어피스톤(230)의 하강 시 펌핑되는 내용물(용액)과 가압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을 발생시키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적인 요소인 푸시헤드유닛(300)은 대캡(210)의 가이드(212)를 통해 실린더바디(220) 상부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이드되는데,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바디(220)의 상부(기액혼합실;280)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수직유로(311)가 형성된 헤드본체(310)와, 헤드본체(310)의 선단부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거품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320)과, 노즐(320)의 앞면부에 장착되는 마사지부재(330)로 이루어져 있다.
푸시헤드유닛(300)을 이루는 헤드본체(310)는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실린더바디(22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직유로(311)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유로(311)는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 즉 기액혼합실(280)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되는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거름부재(340)가 배치되어 있다. 거름부재(340)는 수직유로(311)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바디(341)와, 이 원통바디(341)의 하면과 상면을 덮는 메쉬 형태의 1차거름망(342)과 2차거름망(3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바디(341)의 하부 1차거름망(342) 메쉬 입도에 비해 상부 2차거름망(343) 메쉬 입도가 크게 이루어져 있어서, 기액혼합실(280)에서 발생된 거품은 1차거름망(342)과 2차거름망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러져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헤드본체(310)의 벽면 상단에는 수직유로(311) 상부와 연통되면서 선단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볼-연결구(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볼-연결구(312)는 내부가 텅 빈 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313'은 헤드본체(310)의 최상부에 마련된 누름부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노즐(320) 역시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이것은 헤드본체(310)의 볼-연결구(312)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수직유로(311)와 연통되는 조인트-볼(321)이 후면 중심부위에 마련된 노즐베이스(322)와, 이 노즐베이스(322)의 앞면부를 덮도록 억지끼움 형태로 마련되며 내부 중앙에는 수직유로(311)와 연통되도록 노즐유로(323)가 형성된 덮개(324)로 이루어져 있다. 노즐베이스(322)의 조인트-볼(321)은 볼-연결구(312)에 수용 결합되면서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을 통해 노즐(320)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조인트-볼(321) 역시 구 형태이며 볼-연결구(312)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제품 사용 중에 누유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사지부재(330)는 손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분출되는 거품 내용물을 직집 피부에 고르게 바를 수 있는 연질의 고무(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로 제작된 것으로, 이것은 노즐(320) 앞면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앞면에 분출구(33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플레이트부(331)와, 이 플레이트부(331)의 앞면 전역에 걸쳐 돌출되어 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마사지-돌기(333)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1)의 배면에는 덮개(324)의 노즐유로(323)를 통해 분출되는 거품을 분출구(332)들측으로 분배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분배유로(334)가 대략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결국,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펌핑 동작 시 거품은 최종적으로 푸시헤드유닛(300)의 마사지부재(330) 분출구(332)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의 작동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200)에서 푸시헤드유닛(300)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액혼합실(280)에서 발생된 거품은 거름부재(340)의 1차거름망(342)과 2차거름망(343)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러져 균질화되면서 수직유로(311)를 따라 올라간다. 계속하여, 수직유로(311)를 따라 올라오는 거품은 노즐(320)의 노즐유로(323) → 분배유로(334) → 분출구(332)들을 통해 마사지부재(330) 외부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인 푸시헤드유닛(300) 누름 동작에 따라 거품이 마사지부재(330)를 통해 최종 분출되는데, 사용자는 손바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마사지부재(330)를 통해 거품을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세정(클린징)할 수 있다. 특히, 마사지부재(330)의 앞면에 연질의 마사지-돌기(333)들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를 마사지하듯이 누르면서 거품을 고르게 바를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사지부재(330)가 장착된 노즐(320)은 조인트-볼(321)을 통해 헤드본체(310)의 선단부에서 상하 및 좌우 방향(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으로써, 굴곡에 따라서도 손목을 사용하지 않고 마사지부재(330)의 마사지-돌기(333)들을 보다 편안하게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100..제품용기 110..네크 200..포밍펌프 디스펜서
210..대캡 211..암나사 212..가이드
220..실린더바디 221..에어실린더 222..용액실린더
223..흡입구 224..밸브부재 225..부압홀
226..흡입튜브 230..에어피스톤 240..용액피스톤
250..코일스프링 260..에어밸브 270..에어홀
280..기액혼합실 300..푸시헤드유닛 310..헤드본체
311..수직유로 312..볼-연결구 313..누름부
320.노즐 321..조인트-볼 322..노즐베이스
323..노즐유로 324..덮개 330..마사지부재
331..플레이트부 332..분출구 333..마사지-돌기
334..분배유로 340..거름부재 341..바디
342..1차거름망 343..2차거름망

Claims (2)

  1. 대캡(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반복적인 누름 동작을 통해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로 펌핑된 액상 내용물과 가압공기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300)에 있어서;
    상기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300)은;
    상기 실린더바디(220) 상부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올라가는 수직유로(311)가 마련되고, 상기 수직유로(311)의 상부와 연통되며 상향 경사지게 볼-연결구(312)가 돌출 형성된 헤드본체(310)와;
    상기 헤드본체(310)의 볼-연결구(312)에 수용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유로(311)와 연통되도록 조인트-볼(321)이 후면 중심부위에 마련되어 상하 및 좌우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노즐베이스(322)와, 상기 노즐베이스(322)의 앞면부를 덮도록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내부 중앙에는 상기 수직유로(311)와 연통되도록 노즐유로(323)가 형성된 덮개(324)를 포함하는 노즐(320)과;
    상기 노즐(320)의 덮개(324)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노즐유로(323)를 통해 빠져나오는 거품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구(33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플레이트부(331)와, 상기 플레이트부(331)의 앞면 전역에 걸쳐 돌출되어 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마사지-돌기(333)들로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마사지부재(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재(330)의 플레이트부(331) 내면에는 상기 노즐(320)의 노즐유로(323)를 통해 빠져나오는 거품을 상기 분출구(332)들측으로 분배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분배유로(3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KR1020180036218A 2018-03-29 2018-03-29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KR10207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18A KR102071936B1 (ko) 2018-03-29 2018-03-29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18A KR102071936B1 (ko) 2018-03-29 2018-03-29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081A true KR20190114081A (ko) 2019-10-10
KR102071936B1 KR102071936B1 (ko) 2020-03-02

Family

ID=6820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18A KR102071936B1 (ko) 2018-03-29 2018-03-29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590A1 (en) * 2004-08-13 2006-07-20 Clearman Joseph H Spray apparatus and dispensing tubes therefore
KR101127411B1 (ko) * 2011-09-26 2012-03-2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590A1 (en) * 2004-08-13 2006-07-20 Clearman Joseph H Spray apparatus and dispensing tubes therefore
KR101127411B1 (ko) * 2011-09-26 2012-03-2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36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411B1 (ko)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CN113291610B (zh) 泡沫吐出容器
JP6509439B2 (ja) 倒立型圧搾容器泡発生器
US7837403B2 (en) Shampooing brush
JP6509440B2 (ja) 圧搾容器用泡発生器
WO2015186922A1 (ko)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KR20100048909A (ko) 돔형 펌프 스프레이 조립체
US7980489B2 (en) Multiple configuration shower device
WO2014142397A1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US4027984A (en) Shampoo brush
KR102071936B1 (ko)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유닛
KR20040098656A (ko) 물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의 분사를 포함하는 진공 마사지기구
KR20160098115A (ko)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
US10897986B2 (en) Brush device that dispenses cleaning fluid
KR20210133746A (ko) 휴대용 액체 분사 장치
KR20130089227A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CN212437683U (zh) 一种按压式喷雾按摩梳
JPH04176461A (ja) 噴流装置
JP2005287669A (ja) 鼻洗用ノズル
JP3104320U (ja) 鼻洗用ノズル
KR200429464Y1 (ko)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CN216678691U (zh) 手持式喷雾装置
JP2016150225A (ja) 美顔器
KR20130003887U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KR200465005Y1 (ko) 뚜껑과 분무기가 일체화된 모발 또는 두피 관리용 약액 버블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