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887U -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 Google Patents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887U
KR20130003887U KR2020130004613U KR20130004613U KR20130003887U KR 20130003887 U KR20130003887 U KR 20130003887U KR 2020130004613 U KR2020130004613 U KR 2020130004613U KR 20130004613 U KR20130004613 U KR 20130004613U KR 20130003887 U KR20130003887 U KR 201300038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ump dispenser
head
push head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대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to KR202013000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887U/ko
Publication of KR20130003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복적인 푸시 동작에 의해 내용물이 분출되는 푸시헤드 구조를 개선하여 한 손으로도 손쉽게 내용물을 분출시키면서 바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60)에 의하면; 실린더(40)측과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수직유로(62)가 형성된 원통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의 내용물 분출구(64)가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헤드몸체(61)와; 이 헤드몸체(61)의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을 향해 경사지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쪽에 분출구(64)들을 통해 분출된 내용물이 고일 수 있는 오목홈(65)이 도넛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누를 수 있는 외향플랜지(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PUSH-HEAD OF PUMP DISPENSER}
본 고안은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디스펜서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이를 반복적으로 눌러 내용물을 분출시킬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디스펜서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이 담긴 용기에 장착되며 푸시헤드를 통해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것으로, 화장품, 세제, 샴푸, 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펌프디스펜서는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내용물이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도록 압력실이 형성된 펌핑유닛과, 이 펌핑유닛의 압력실에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 푸시헤드유닛으로 대별된다. 푸시헤드유닛 배출구의 내용물 배출 방향은 통상적으로 상단부 벽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누름 동작 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푸시헤드유닛을 반복적으로 누르면, 펌핑유닛의 압력실에 저장된 내용물이 푸시헤드유닛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펌프디스펜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푸시헤드유닛을 누르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배출되는 내용물을 받는 동작을 취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화장솜 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받아 피부 클린징을 하거나 마사지를 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푸시헤드유닛을 누르고 다른 한 손은 화장솜을 파지한 상태에서 배출구에 갖다 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인 푸시 동작에 의해 내용물이 분출되는 푸시헤드 구조를 개선하여 한 손으로도 손쉽게 내용물을 분출시키면서 바로 받아 사용할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캡의 상부에 위치하며 반복적인 누름 동작을 통해 실린더에서 펌핑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있어서;
상기 푸시헤드가; 상기 실린더측과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수직유로가 형성된 원통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의 내용물 분출구가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을 향해 경사지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쪽에 상기 분출구들을 통해 분출된 내용물이 고일 수 있는 오목홈이 테두리 형태로 형성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누를 수 있는 외향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푸시헤드가 상기 헤드몸체의 하단부 내측에 수용 배치되며 분출되는 내용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의하면; 외향플랜지 부위를 통해 푸시헤드를 누르면 분출구들에서 분출되는 내용물은 오목홈에 고이며 이를 받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푸시헤드 상부에 화장솜 등을 올려놓고 누르면, 분출구들에서 분출되는 내용물이 화장솜에 즉시 흡수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한 손으로도 내용물을 분출시키면서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에 의하면; 펌핑/분출되는 내용물이 헤드몸체의 하단부에 배치된 거름망을 경유하기 때문에 분출구들을 통해서는 내용물이 보다 고르게 분출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내부구조를 발췌해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용 푸시헤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서는 푸시헤드가 포밍 펌프디스펜서에 적용된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푸시헤드는 포밍 펌프디스펜서 이외에 액체를 직접 분출시키는 유체 펌프디스펜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구성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제품용기(10)에는 거품 내용물(용액)이 저장되며, 제품용기(10)의 네크(11)에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펌핑하여 거품 형태로 분출시키기 위한 펌프디스펜서(20)가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펌프디스펜서(20)는 제품용기(10) 네크(11)에 장착되는 대캡(30)과, 이 대캡(30)내에 설치되며 에어실린더(41)와 용액실린더(42)가 일체로 이루어진 실린더바디(40)와, 용액실린더(42)의 저부에 마련된 흡입구(43)를 개폐하는 밸브부재(50)와, 대캡(30)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지지되며 거품이 분사되는 분출구(64)가 마련된 푸시헤드(60)와, 에어실린더(41)내의 공기를 가압하여 푸시헤드(60)측으로 펌핑하는 에어피스톤(70)과, 용액실린더(42)내의 내용물을 가압하여 푸시헤드(60)측으로 펌핑하는 용액피스톤(80)과, 에어실린더(41) 내부에 배치되어 용액피스톤(80) 및 에어피스톤(70)을 복원시키기 위한 코일스프핑(90)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대캡(3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제품용기(10) 네크(1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대캡(30)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캡(30)의 상부에는 푸시헤드(60)의 하단부가 수용되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가이드(31)가 마련된다.
실린더바디(40)는 대캡(30)의 내부에 동심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푸시헤드(60)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에어실린더(41)와, 이 에어실린더(41)의 저부에 동심을 이루면서 하측으로 연장된 용액실린더(4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실린더(41)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가압 토출되는 것으로, 이의 벽면에는 에어실린더(41) 내부와 제품용기(10) 내부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부압홀(45)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에어실린더(41)의 저부에는 코일스프링(90)의 하단이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 안착부(46)가 성형되어 있다. 이 스프링 안착부(46)는 링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90)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위치에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용액실린더(42)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에어실린더(41)의 저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제품용기(10)내의 내용물이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또한 용액실린더(42)의 저부에는 내용물 흡입을 위해 흡입구(43)가 마련되며, 여기에는 제품용기(10) 저부까지 연장된 흡입튜브(44)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용액실린더(42)의 흡입구(43)를 개폐하는 밸브부재(50)는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하 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한 것으로, 용액피스톤(80)의 하강 시 흡입구(43)를 폐쇄하며 용액피스톤(80)의 승강시에는 용액실린더(42)의 부압에 의해 흡입구(43)를 개방하게 된다.
에어피스톤(70)은 푸시헤드(60)의 저부에 결합되며 다단의 원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피스톤(70)의 하측 단부는 에어실린더(41)의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푸시헤드(60)를 누르게 되면 에어실린더(41)내의 공기를 가압하면서 푸시헤드(60)측으로 펌핑하게 되며, 펌프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압홀(45)을 막아 제품용기(10) 내부와 실린더바디(40)의 에어실린더(41) 내부 사이의 공기 출입을 허용하지 않게 한다. 또한, 에어피스톤(70)의 중간부분에는 에어밸브(72)가 구비되어 있어서, 그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71)로부터의 공기 유입과 에어피스톤(70) 상부로의 공기 유출을 제어하게 된다.
용액피스톤(8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용물 유로(81)가 확보된 일종의 중공피스톤으로, 에어피스톤(70)의 중심부에 상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용액피스톤(80)의 하부에는 용액실린더(42)의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부재(82)가 마련된다. 따라서 에어피스톤(70)과 함께 용액피스톤(80)이 하강하게 되면, 용액실린더(42)내의 내용물은 가압되면서 내용물 유로(81)를 통해 푸시헤드(60)측으로 펌핑되게 된다.
또한, 코일스프링(90)은 푸시헤드(60)와 에어피스톤(70) 및 용액피스톤(80)을 초기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에어실린더(41) 중심부에서 용액피스톤(80) 외곽을 감싸도록 세워져 설치된다. 즉, 코일스프링(90)의 상단은 용액피스톤(80)의 상부에 지지되고, 이의 하단은 에어실린더(41) 저부에 마련된 스프링 안착부(46)에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푸시헤드(60)는 대캡(30)의 원통형 가이드(31)를 통해 지지되면서 실린더바디(40) 내부를 상하로 출입하는데;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바디(40) 상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수직유로(6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개의 내용물 분출구(64)가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헤드몸체(61)와, 이 헤드몸체(61)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테두리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누를 수 있는 외향플랜지(66)를 갖추고 있다. 헤드몸체(61)는 실린더바디(40) 상부와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원통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 분출구(64)들이 헤드몸체(61)의 최상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천공되면서 120도 간격으로 3개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63"은 헤드몸체 (61)외곽에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캡(30)의 원통형 가이드(31) 외측을 감싸는 "원통부"이다. 그리고 외향플랜지(66)는 헤드몸체(61)의 최상부에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을 향해 경사지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여기에는 안쪽에 분출구(64)들을 통해 분출된 내용물이 고일 수 있는 오목홈(65)이 도넛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푸시헤드(60)는 헤드몸체(61)의 하단부 내측에 수용 배치되며 분출되는 내용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67)을 더 갖추고 있다. 이 거름망(67)은 외형을 이루며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바디(67a)와, 이 바디(67a)의 상하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매쉬(67b)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푸시헤드(60)의 내부로는 가압된 공기와 내용물이 혼합되면서 발생된 거품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 거품은 거름망(67)을 경유하면서 보다 고르게 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 푸시헤드의 작용 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디스펜서의 초기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90)에 의해 푸시헤드(60)와 에어피스톤(70) 및 용액피스톤(80)이 상측으로 올라온 상태이며, 에어실린더(41)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고 용액실린더(42)에는 흡입튜브(44)를 통해 흡입된 소량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헤드(60)의 외향플랜지(66)를 누르면, 코일스프링(90)이 압착됨과 동시에 에어피스톤(70) 및 용액피스톤(80)이 하강한다. 이때 에어피스톤(70)이 하강하면서 에어실린더(41) 내부 공기는 가압되며 계속하여 에어홀(71) 및 에어밸브(72)를 통해 용액피스톤(80) 상단 외주를 타고 푸시헤드(60) 수직유로(62)측으로 빠져나간다.
아울러 용액피스톤(80)이 하강함에 따라 용액실린더(42)내의 내용물은 중공의 용액피스톤(80) 내부를 통해 푸시헤드(60)측으로 펌핑되며, 에어실린더(41)로부터 유출되는 가압공기와 혼합되면서 거품을 이룬다. 계속하여 이러한 거품은 거름망(67)을 통과하면서 미세하게 이루어지며, 분출구(64)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그리고 푸시헤드(60)를 놓으면, 코일스프링(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에어피스톤(70) 및 용액피스톤(80)이 상부로 복귀된다. 이때, 에어실린더(41)에는 다시 외부공기가 유입/채워지는 것은 물론이며 용액실린더(42)에도 제품용기(10)내의 내용물이 밸브부재(50)를 개방시키면서 유입된다. 아울러, 내용물 일부가 빠져나간 제품용기(10)에는 부압홀(45)을 통해 그 체적만큼의 외부공기가 들어와 채워져 펌프디스펜서(20)는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제품용기(10)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거품형태로 펌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푸시헤드(60)의 외향플랜지(66)를 누르면 분출구(64)들에서 펌핑 분출되는 거품형태의 내용물이 오목홈(65)에 고이며 이를 받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푸시헤드(60) 상부에 화장솜 등을 올려놓고 한 손으로 누르면, 분출구(64)들에서 분출되는 내용물이 화장솜에 즉시 흡수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펌핑 분출되는 내용물은 거름망(67)을 경유하기 때문에 분출구(64)들을 통해서는 내용물이 보다 고른 타입으로 분출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구성 설명>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서는 분출구(64)들을 120도 간격으로 3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 분출구(64)들을 90도 간격으로 4개로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제품용기 11..네크 20..펌프디스펜서
30..대캡 31..가이드 40..실린더바디
41..에어실린더 42..용액실린더 43..흡입구
44..흡입튜브 45..부압홀 50..밸브부재
60..푸시헤드 61..헤드몸체 62..수직유로
63..원통부 64..분출구 65..오목홈
66..외향플랜지 67..거름망 67a..바디
67b..매쉬 70..에어피스톤 71..에어홀
72..에어밸브 80..용액피스톤 90..코일스프링

Claims (2)

  1. 대캡(30)의 상부에 위치하며 반복적인 누름 동작을 통해 실린더(40)에서 펌핑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60)에 있어서;
    상기 푸시헤드(60)는;
    상기 실린더(40)측과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수직유로(62)가 형성된 원통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의 내용물 분출구(64)가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헤드몸체(61)와;
    상기 헤드몸체(61)의 상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을 향해 경사지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쪽에 상기 분출구(64)들을 통해 분출된 내용물이 고일 수 있는 오목홈(65)이 도넛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누를 수 있는 외향플랜지(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헤드(60)는;
    상기 헤드몸체(61)의 하단부 내측에 수용 배치되며 분출되는 내용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6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KR2020130004613U 2013-06-10 2013-06-10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KR201300038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13U KR20130003887U (ko) 2013-06-10 2013-06-10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13U KR20130003887U (ko) 2013-06-10 2013-06-10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87U true KR20130003887U (ko) 2013-06-28

Family

ID=5242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613U KR20130003887U (ko) 2013-06-10 2013-06-10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8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9379A (zh) * 2019-05-14 2019-08-30 东营市浩瀚生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上出液的洗手液存放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9379A (zh) * 2019-05-14 2019-08-30 东营市浩瀚生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上出液的洗手液存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9439B2 (ja) 倒立型圧搾容器泡発生器
JP5847796B2 (ja) ディスペンサ装置付き容器
CA2509295C (en) Bellows dispenser
TWI457105B (zh) Pumped foam spit out the container
EP2133016B1 (en) Withdrawal discharging piston pump
KR100311592B1 (ko) 거품분출펌프부착용기
CA2613785C (en) Angled slot foam dispenser
US7931173B2 (en) Liquid dispenser
KR101514811B1 (ko)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KR20100137407A (ko) 액체용기용 포밍펌프 어셈블리
KR101517825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EA022373B1 (ru) Раздаточ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покапельной раздачи жидкости
KR101127411B1 (ko)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JP5214418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6509440B2 (ja) 圧搾容器用泡発生器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JP6389770B2 (ja) ノズル部材
KR200464671Y1 (ko) 액체용기용 펌프디스펜서
KR20160098115A (ko)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
KR20130003887U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
JP5178390B2 (ja) ポンプ式吐出容器
KR200423183Y1 (ko) 거품발생 디스펜서
KR20130089227A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JP2010235134A (ja) ポンプ付き薄肉容器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