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520A -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의 감소 및 임상 재발 방지 - Google Patents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의 감소 및 임상 재발 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520A
KR20190113520A KR1020187028559A KR20187028559A KR20190113520A KR 20190113520 A KR20190113520 A KR 20190113520A KR 1020187028559 A KR1020187028559 A KR 1020187028559A KR 20187028559 A KR20187028559 A KR 20187028559A KR 20190113520 A KR20190113520 A KR 20190113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a
ffa
patients
fecal calprotectin
mon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스틴 슬라겔
Original Assignee
에스.엘.에이. 파르마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에이. 파르마 에이지 filed Critical 에스.엘.에이. 파르마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9011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61K31/606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amin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감소시키고 UC 환자에서 임상 재발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리 지방산(EPA-FFA)으로서 고순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 엔산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지방산(EPA-FFA) 형태의 에이코사펜타엔산은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의 감소 및 임상 재발 방지
본 발명은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highly purified eicosapentaenoic acid as free fatty acids, EPA-FFA)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 및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은 대장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활동기와 완화기가 교대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임상적 활동에는 점진적인 무증상 점막 염증이 종종 선행된다. 전임상 상태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면 임상 재발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UC 관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36-kilodalton 칼슘과 아연 결합 단백질인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 FC)은 과립성 백혈구(granulocytes)의 전체 시토졸 단백질(cytosolic protein) 60% 이하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최대 7일 동안 대변에서 안정하고, 분변 과립 배설과 잘 연관되며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환자의 점막 염증의 유용한 마커이다(2). 특히 UC 환자의 경우 150 ㎍/g 초과의 FC 레벨은 내시경(3) 및 조직학적 활동(4)과 관련이 있으며 임상 재발을 예측할 수 있다(5-7).
장쇄 음식물인 n-3 폴리불포화 지방산(polyynsaturated fatty acids, PUFA), 특히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n-3 어유의 주성분)은 여러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 유익하다(8). EPA는 면역 및 염증반응의 조절에 관여한다. n-6 PUFAs를 치환함으로써 세포막의 조성을 조절하고 세포 신호전달에서 지질 유동성(lipid raft) 형성에 영향을 주고(9) 레졸빈(resolvins), 디펜신(defensins) 및 메레신(meresins, 8)과 같은 항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유도한다.
염증성 장 질환(IBD)에서 n-3 PUFAs의 역할에 생물학적 타당성을 암시하는 실험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IBD에서 n-3 PUFA의 효과에 대한 임상 데이터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특히 크론병(Crohn's disease, CD, 10-12)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역학 연구에 따르면 n-3 PUFAs가 UC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나(13-15), 결과는 그 반대이다.
1. Langholz E, Munkholm P, Davidsen M, et al. Course of ulcerative colitis: Analysis of changes in disease activity over years. Gastroenterology 1994; 107: 3-11. 2. Sipponen T, Kolho K-L. Fecal calprotectin in diagnosis and clinical assess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2015; 50: 74-80.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3. Lobatn T, Rodrguez-Moranta F, Lopez A, et al. A New Rapid Quantitative Test for Fecal Calprotectin Predicts Endoscopic Activity in Ulcerative Colitis. Inflamm Bowel Dis 2013; 19: 1034-104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4. Guardiola J, LLobatn T, Rodrguez-Alonso L, et al. Fecal Level of Calprotectin Identifies Histologic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in Clinical and Endoscopic Remission.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4; 12: 1865-1870. 5. Scaioli E, Scagliarini M, Cardamone C,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faecal calprotectin in ulcerative colitis patient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15; 27: 1418-1424. 6. Costa F, Mumolo MG, Ceccarelli L, et al. Calprotectin is a stronger predictive marker of relapse in ulcerative colitis than in Crohn's disease. Gut 2005; 54: 364-368. 7. Garcia-Sanchez V, Iglesias-Flores E, Gonzalez R, et al. Does fecal calprotectin predict relapse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J Crohns Colitis 2010; 4: 144-152. 8. Calder PC. Marine omega-3 fatty acids and inflammatory processes: Effects, mechanisms and clinical relevance. Biochim Biophys Acta 2015; 1851: 469-484. 9. Yaqoob P. Mechanisms underlying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n-3 PUFA. Proc Nutr Soc 2010; 69: 311-315. 10. Lev-Tzion R, Griffiths AM, Leder O, et al. Omega 3 fatty acids (fish oil) for maintenance of remission in Crohn's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 (2): CD006320. 11. Turner D, Shah PS, Steinhart AH, et al. Maintenance of remissio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omega-3 fatty acids (fish oi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Inflamm Bowel Dis 2011; 17: 336-345. 12. MacLean CH, Mojica WA, Newberry SJ,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n-3 fatty acid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 J Clin Nutr 2005; 82: 611-619. 13. Lee D, Albenberg L, Compher C, et al. Diet i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2015; 148: 1087-1106. 14. Ananthakrishnan AN, Khalili H, Konijeti GG, et al. Long-term intake of dietary fat and risk of ulcerative colitis and Crohn's disease. Gut 2014; 63: 776-784. 15. Lewis JD, Abreu MT. Diet as a Trigger or Therap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2017; 152: 398-414.e6. 16. Schroeder KW, Tremaine WJ, Ilstrup DM. Coated Oral 5-Aminosalicylic Acid Therapy for Mildly to Moderately Active Ulcerative Colitis. N Engl J Med 1987; 317: 1625-1629. 17. Daperno M, Castiglione F, de Ridder L, et al. Results of the 2nd part Scientific Workshop of the ECCO (II): Measures and markers of prediction to achieve, detect, and monitor intestinal healing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Crohns Colitis 2011; 5: 484-498. 18. Geboes K, Riddell R, Ost A, Jensfelt B, et al. A reproducible grading scale for histological assessment of inflammation in ulcerative colitis. Gut 2000; 47: 404-409. 19. de Silva PSA, Olsen A, Christensen J, et al. An Association Between Dietary Arachidonic Acid, Measured in Adipose Tissue, and Ulcerative Colitis. Gastroenterology 2010; 139: 1912-1917. 20. De Ley M, de Vos R, Hommes DW, et al. Fish oil for induction of remission in ulcerative colit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 (4):CD005986. 21. Cheifetz AS, Gianotti R, Luber R,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used by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2017; 152: 415-29.e15. 22. Marion-Letellier R, Savoye G, Beck PL, et 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a reappraisal of effects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flamm Bowel Dis 2013; 19: 650-661. 23. Belluzzi A, Brignola C, Campieri M, et al. Effects of new fish oil derivative on fatty acid phospholipid-membrane pattern in a group of Crohn's disease patients. Dig Dis Sci 1994; 39: 2589-2594. 24. el Boustani S, Colette C, Monnier L, et al. Enteral absorption in man of eicosapentaenoic acid in different chemical forms. Lipids 1987; 22: 711-714. 25. Davidson MH, Johnson J, Rooney MW, et al. A novel omega-3 free fatty acid formulation has dramatically improved bioavailability during a low-fat diet compared with omega-3-acid ethyl esters: the ECLIPSE (Epanova® compared to Lovaza® in a pharmacokinetic single-dose evaluation) study. J Clin Lipidol 2012; 6: 573-584. 26. Scaioli E, Cardamone C, Liverani E, et al. The pharmacokinetic profile of a new gastroresistant capsule preparation of eicosapentaenoic acid as the free fatty acid. BioMed Res Int 2015; 2015: 360825. 27. Sandborn WJ, Panes J, Zhang H, et al.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s of fecal calprotectin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in a phase 2 trial. Gastroenterology 2016; 150: 96-102. 28. Feagan BG, Sandborn WJ, Mittmann U, et al. Omega-3 free fatty acids for the maintenance of remission in Crohn disease: the EPIC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AMA 2008; 299: 1690-1697. 29. Sahmoud T, Hoctin-Boes G, Modigliani R, et al. Identifying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relapse in quiescent Crohn's disease. The GETAID Group. The Groupe d'Etudes Therapeutiques des Affections Inflammatoires Digestives. Gut 1995; 37: 811-818. 30. Zenlea T, Yee EU, Rosenberg L, et al. Histology Grade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elapse Risk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in Clinical Remission: A Prospective Study. Am J Gastroenterol 2016; 111: 685-690. 31. Mooiweer E, Severs M, Schipper MEI, et al. Low fecal calprotectin predicts sustained clinical remissio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s: a plea for deep remission. J Crohns Colitis 2015; 9: 50-55. 32. Prossomariti A, Scaioli E, Piazzi G, et al. Short-term treatment with eicosapentaenoic acid improves inflammation and affects colonic differentiation markers and microbiota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Sci Rep 2017; 7: 7458. 33. Vermeire S, Van Assche G, Rutgeerts P. Laboratory markers in IBD: useful, magic, or unnecessary toys, Gut 2006; 55: 426-431. 34. Molander P, Farkkila M, Ristimaki A, et al. Does fecal calprotectin predict short-term relapse after stopping TNFα-blocking agent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s in deep remission? J Crohns Colitis 2015; 9: 33-40.
따라서, 보다 강력하고 활성이며, 또한, 생체 내 안정성 및 순도가 우수한 오메가-3 PUFA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의 레벨 및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 지방산으로 단리되고 정제된 오메가-3 PUFA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감소시키고 임상적 재발의 위험이 있는 무증상의 UC 환자군에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150 ㎍/g의 분변 칼프로텍텐으로 정의되는,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as free-fatty acid, EPA-FFA)의 유효성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지방산 형태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FFA)은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EPA-FFA를 객체에 투여함으로써 객체에 있어서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150㎍/g 미만의 분변 칼프로텍텐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g 미만의 배설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g 이상의 FC의 유효량으로 6개월 동안 감소시키고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재발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중요하게는, 본 발명은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도로 정제된 EPA-FFA를 투여한 6개월 동안 FC의 100㎍/g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정제된 EPA-FFA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또는 담체없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EPA-FFA 단독 또는 UC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치료제와의 조합을 객체에 투여함으로써 객체에 있어서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150㎍/g 미만의 분변 칼프로텍텐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g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85㎍/g 미만의 배설물의 약제학적인 유효량으로 6개월 동안 감소시키고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재발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EPA-FFA와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치료제는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메살라민(mesalamine), 올살라진(olsalazine) 및 발살라지드(balsalazide)와 같은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s, 5-ASA); 프레드니손(prednis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및 부데소니드(budesonide)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암피실린,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등과 같은 항생제; 및 항체와 같은 생물학적 치료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EPA-FFA 단독 또는 UC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치료제와의 조합을,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150㎍/g 미만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g 미만의 배설물로 감소시키는 약제학적인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EPA-FFA와 조합될 수 있는 치료제는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메살라민(mesalamine), 올살라진(olsalazine) 및 발살라지드(balsalazide)와 같은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s, 5-ASA); 프레드니손(prednis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및 부데소니드(budesonide)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암피실린,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등과 같은 항생제; 및 항체와 같은 생물학적 치료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추가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EPA-FFA를,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150㎍/g 미만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g 미만의 배설물로 감소시키는 약제학적인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치료량은 약 250mg/일 내지 4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0mg 내지 약 2g/일이다. EPA-FFA와 조합될 수 있는 치료제는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메살라민(mesalamine), 올살라진(olsalazine) 및 발살라지드(balsalazide)와 같은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s, 5-ASA); 프레드니손(prednis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및 부데소니드(budesonide)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암피실린,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등과 같은 항생제; 및 항체와 같은 생물학적 치료제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고도로 정제된 EPA-FFA를 투여하기 전에 6개월의 기간 동안 약 150㎍/g 내지 약 200㎍/g 초과의 FC 레벨을 가진 환자에서 결정된 FC의 양에 대하여 FC의 양을 100㎍/g 이상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EPA-FFA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가지고, 치료량이 250mg/일 내지 4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0mg/일 내지 약 2g/일이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고도로 정제된 EPA-FFA를 투여하기 전에 6개월의 기간 동안 약 150㎍/g 내지 약 200㎍/g 초과의 FC 레벨을 가진 환자에서 결정된 FC의 양에 대하여 FC의 양을 100㎍/g 이상 감소시키는 고도로 정제된 EPA-FFA의 용도를 제공한다. EPA-FFA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가지고, 치료량이 250mg/일 내지 4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0mg/일 내지 약 2g/일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보다 완전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EPA-FFA를 사용하여 UC에서 중요한 염증 마커인 대변 칼프로텍틴 레벨이 감소하고 UC 환자에서 증상이 없는 완화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망한 치료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실험 프로필이다. EPA-FFA = 에이코사펜타엔산-유리 지방산.
도 2는 1차(A)와 2차 종점(B)을 달성한 환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I = 신뢰 구간; EPA-FFA = 에이코사펜타엔산-유리 지방산; OR = 오즈비(odds ratio).
도 3은 누적 3개월 및 6개월 무재발 생존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Kaplan-Meier 방법). EPA-FFA = 에이코사펜타엔산-유리 지방산.
도 4는 치료 유형에 따라 기준선, 3개월 및 6개월의 중앙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EPA-FFA = 에이코사펜타엔산-유리 지방산.
임상 재발의 예방은 궤양성 대장염(UC) 환자의 치료에서 주요 결과를 나타낸다. 높은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은 점막 염증을 나타내며 UC 환자의 많은 그룹에서 임상 재발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역학 연구에 따르면 n-3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UC 발병을 예방한다.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 n-3 어유의 주성분인 에이코사펜타엔산은 항염증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변 칼프로펙틴 레벨을 ≥150㎍/g으로 정의된 대로 감소시키고 임상적 재발의 위험이 있는 무증상의 UC 환자군에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지방산(EPA-FFA)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효과를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도로 정제된 EPA-FFA의 투여로 6개월 동안 치료된 UC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위약 대조 시험이 심각한 부작용 없이 칼프로텍 틴의 배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고도로 정제된 EPA-FFA는 치료된 환자에서 분변 칼프로텍틴 FC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용도는 고도로 정제된 EPA-FFA를 사용하여 UC 환자에서 효과를 시험하고 증상이 없는 완화를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EPA-FFA의 투여가 생체 내에서 분변 칼프로텍틴의 레벨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기초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의학적 제제, 약제 또는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EPA-FFA는 약 90% 이상의 순도를 가지며, 최소량 또는 약제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양의 다른 임의의 고도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지 않을 것이다. 95% 초과의 순도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최고 등급(약 99% 순도)이며, 가장 선호되는 물질인 다른 고도불포화 지방산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유리 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을 사용하여 치료된 객체에서 분변 칼프로펙틴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제 또는 약제를 제조한다.
EPA는 어유, 식물 또는 미생물에서 유리 지방산 또는 아실글리세롤, 인지질, 황지질(sulfolipids) 또는 당지질과 같은 컨쥬게이트된 형태로 발견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유기 용매로의 추출, 초음파 처리,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 및 프레스와 같은 물리적 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수성층을 산성화시켜 음으로 하전된 부분을 양성자화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목적 생성물을 유기층으로의 분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추출 후에 유기 용매는 질소 스트림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컨쥬게이트된 형태로 단리될 때, 생성물은 효소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유리 지방산 또는 덜 복잡한 복합체를 방출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원하는 최종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해 추가 조작을 할 수 있다.
추가 정제가 필요한 경우 표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추출, 요소를 이용한 처리, 분별 결정화, HPLC, 분별 증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원심분리 또는 증류 또는 이들 기술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산 또는 알케닐 기와 같은 반응기의 보호는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알킬화 또는 요오드화을 통해 임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호 그룹은 어떤 단계에서든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PA를 함유하는 분획의 정제는 초기 에스테르화, 우레아 처리, 초 임계 유체 추출 및 후속으로 유리 지방산을 분리하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EPA를 분리하기 위해, 정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가수분해 또는 에스테르 교환에 의해 지방산을 유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정제는 분별 증류, 분자 증류 및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유럽특허 EP 0 712 65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동상으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EPA는 100%에 근접한 수준으로 정제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실용적인 이유로 EPA는 그 에틸 또는 메틸에스테르로 정제될 수 있으며 자유 지방산 형태로 다시 가수분해된다. 정제하여 고농축이며 완제품에서 덜 바람직한 지방산이 없는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탄화수소, 살충제 잔류물 등과 같은 다른 화학 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고도로 정제된 EPA는독소, 부적당성(unpalatability)에 기여하는 화합물 또는 포화 지방산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지방산을 실질적으로 감소된 수준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인간의 섭취에 적합하다. 유리 지방산 형태의 EPA는 사전 효소 전환 없이도 소화관에서 쉽게 흡수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약 150kg의 EPA 불순물이 50kg의 본질적으로 순수한 EPA-FFA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90% 이상의 순도이다.
추가 정제가 필요한 경우 표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추출, 요소를 이용한 처리, 분별 결정화, HPLC, 분별 증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원심분리 또는 증류 또는 이들 기술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산 또는 알케닐 기와 같은 반응기의 보호는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알킬화 또는 요오드화을 통해 임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호 그룹은 어떤 단계에서든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PA를 함유하는 분획의 정제는 초기 에스테르화, 우레아 처리, 초 임계 유체 추출 및 후속으로 유리 지방산을 분리하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EPA 유리 지방산은 상품명 ALFA™ (S.L.A. Pharma, UK)로 시판 중이다. 이 PUFA는 유리 지방산 형태의 99% 순수 EPA이며, pH 5.5의 소장에서 내용물을 방출하도록 고안된 pH 의존성 장용성 코팅 캡슐로 제형화된다. 다른 성분은 AA (≤0.5%)와 미량의 다른 지방산을 포함한다. 이 EPA 제제의 주요한 이점은 많은 어유 제품에 비해 높은 순도를 가지며, 전신 생체 이용률을 극대화시키는 유리 지방산으로 제시되고, 500mg 캡슐로 복용이 용이하며 지연 방출 프로파일로 위장의 부작용이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99% 순수한 EPA-FFA는 하루에 약 250mg 내지 4g,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1000mg 내지 약 2g의 양으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매일 투여될 수 있지만, 복용량에 따라 약 1 내지 8개월 동안 격일로, 매주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ALFA™ 캡슐로서의 99% 순수한 EPA의 내약성은 우수하고 EPA의 우세한 소장 전달은 종래에 다른 어유 제제의 치료를 방해했던 불쾌한 맛 및 냄새 감각을 최소화하였다.
단독 또는 UC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치료제와 조합된 EPA-FFA는 다중 전달 모드로 제형화될 수 있다. 활성제는 액체 또는 고체 조성물 형태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알약, 캡슐, 과립, 정제 및 분말과 같은 고체 형태 및 용액, 시럽, 엘릭시르제(elixirs) 및 현탁액과 같은 액체 형태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유용한 형태는 무균 용액, 에멀젼 및 현탁액을 포함한다.
고체 조성물 형태는 향미제, 윤활제, 가용화제, 현탁제, 충전제, 활택제, 압축보조제, 결합제 또는 정제-붕해제와 같이 작용할 수 있는 고체 담체 및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 물질일 수 있다. 분말에서, 담체는 미분 된 활성 성분과 혼합된 미분된 고체이다. 정제에서, 활성 성분은 적절한 비율로 필요한 압축 특성을 갖는 담체와 혼합되고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압축된다. 적합한 고체 담체는 예를 들어, 인산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활석, 당, 락토오스,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융점 왁스 및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한다.
액체 담체는 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엘릭시르제 및 가압 조성물을 w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활성 성분은 물, 유기 용매, 둘 모두의 혼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 또는 지방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액체 담체에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액체 담체는 가용화제, 유화제, 완충제, 방부제, 감미제, 향미제, 현탁제, 증점제, 착색제,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또는 삼투압 조절제와 같은 다른 적합한 약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경구 및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담체의 적합한 예는 물(부분적으로 상기 첨가제, 예컨대 셀룰로오스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용액); 알코올(일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 오일(예를 들어 분획된 코코넛 오일 및 아라키스 오일)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담체는 또한, 에틸올레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유성 에스테르일 수 있다. 무균 액체 담체는 비경 구 투여를 위한 무균 액체 형태 조성물에 유용하다. 가압된 조성물을 위한 액체 담체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추진제 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를 제공한다.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이 ≥ 150㎍/g이고 지난 3개월 동안 안정적인 치료를 받은 60명의 UC 환자를 1:1 무작위로 매일 EPA-FFA 2g (500mg 서방형 캡슐 2회 투여량, 하루에 두 번) 또는 위약( 500mg 카프릭산 및 카프릴산의 서방형 캡슐 2회 투여량, 하루에 두 번)을 6개월 동안 투여하였다. 기준선에서, 환자는 총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 임상 및 실험실 평가는 기준선, 3개월 및 6개월 또는 임상적 재발 시점에 수행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인 Mayo score ≥ 2으로 증가하는 증상의 발생 및/또는 치료법의 변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재발한 환자는 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코호트 그룹은 임상적 및 인구 통계적 특성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은 위약군과 비교하여 EPA-FFA 군에서 놀랍게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4). 분석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EPA-FFA 군 환자의 76.7%와 위약군 환자의 50%가 6개월 치료 시점에서 임상적 완화를 유지하였다(χ2 p = 0.03). 2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는 재발 환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EPA-FFA 치료가 유일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HR 0.30, 95% CI 0.10-0.92, p=0.03). EPA-FFA 군에서 3개월과 6개월의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86.7과 76.7%로 위약군에서는 80% 및 50%와 비교되었다(Log-Rank test p = 0.04 ). 두 치료법 모두 안전하고, 내약성이 우수하며, 주요 부작용이 없었다. 따라서 놀랍게도 예기치 않게 EPA-FFA가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을 감소시키고 UC 환자에서 증상이 없는 완화를 유지하기 위한 안전하고 허용되는 치료제라는 것이 밝혀졌다.
물질 및 방법
연구 설계 및 환자
자격이 되는 환자는 임상, 내시경 및 조직학적 기준에 근거하여 UC 진단을 받은, 적어도 3개월 동안 부분 Mayo 스코어가 < 2로 정의되고, FC 레벨 ≥150㎍/g으로 점막 활동 정도가 정의된 18세 이상의 개인이다(16). 지난 3개월 동안 (경구용 메살라진, 면역조절제 및/또는 생물학적 약제와 같은) UC에 대한 병용 치료법을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제외 기준은 1) 최근 스테로이드(< 3개월), 국소 메살라진(< 3개월) 또는 기타 실험 약물(3 개월 미만); 2)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및/또는 항응고제의 병용; 3) 직장염; 4) 임신 또는 모유 수유; 5) EPA 또는 n-3 PUFAs에 대해 과민 반응이 있거나 의심되는 것; 6) 심한 합병증(심각한 심폐 기능, 간 기능, 신장 기능, 신경 기능, 정신 질환, 당뇨병 또는 출혈성 질환). 모든 환자는 서면 동의서를 제공하였다.
포함 기준을 만족시키는 환자는 C-반응성 단백질(CRP) (정상 상한선 5 mg/L) 및 기준선에서 다중 생검과 함께 총 대장 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혈액 검사를 받았다. 그런 다음 1:1로 무작위로 1일 2g의 EPA-FFA (2 x 500mg 위 내성 서방형 캡슐, 하루에 2회) 또는 2g의 위약(2 x 500mg 분획화된 식물성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인 카프릭산 및 카프릴산의 위 내성 서방형 캡슐, 하루에 2회)으로 6개월 동안 투약하였다. 무작위 추출 목록은 병원의 IDS (Investigational Drug Service Unit)에서 컴퓨터로 생성했으며 모든 환자, 조사자 및 전체 연구팀은 치료 과제를 알지 못하였다.
1차 종점(primary endpoint)은 6개월 만에 FC 레벨의 기준에서 100점 감량(100㎍/g 이상)을 달성한 환자의 비율이었다. 2차 종점(secondary endpoint)은 6개월째 임상적 완화를 유지하는 환자의 수이며, 치료에 변화없이 안정적인 부분 Mayo 스코어 < 2로 정의된다. 1차 및 2차 종점을 달성한 환자수로 구성된 종합 종점도 계산되었다
임상 평가, FC 측정 및 혈액 검사가 3 개월 및 6 개월에 반복되었거나 임상 재발 당시 부분적인 Mayo 스코어가 2 이상으로 증가하고 치료법을 변경해야 하는 증상의 발생으로 정의되었다. 치료의 변화는 스테로이드 및 / 또는 면역 억제 약물의 도입으로 진행중인 치료의 단계적 확대로 정의된다. 임상적 재발이 있는 환자들만이 두 번째 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각 식단 방문시식이 습관의 변화 (철저한 채식주의 자 변화 또는 채식주의자 식단 포함)가 확인되었다. 치료에 대한 순응도는 캡슐 수에 의해 평가되었다 : 처방 된 캡슐의 80-100 %가 외래 진료소로 반송되지 않으면 수용 가능한 수준의 순응이 달성되었다.
분변 칼프로텍틴 정량법
분변 칼프로텍틴 분석은 스크리닝 단계 동안, 3개월 및 6개월 또는 임상 재발 시점(대장 내시경 검사 24시간 전)에 수행되었다. 이전에 증명된 바와 같이, FC 컷-오프 레벨 ≥ 150㎍/g은 내시경 및/또는 조직학적 활동 및 조기 임상 재발의 지표로 고려되었다(4-7). 이들 가정에 따라 100-포인트 감소(㎍/g)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로 보았다.
내시경 및 조직학적 평가
다중 결장 생검을 동반한 대장 내시경 검사가 기준선에서 그리고 임상 재발이 발생했을 때 수행되었다. 내시경 점막 염증의 등급은 Mayo 내시경 서브-스코어에 따라 기록되었다(16). 내시경 활동은 Mayo 내시경 서브-스코어 > 0으로 정의되었다(17). 생검 샘플은 Geboes 등급 시스템에 따라 컷-오프 스코어 ≥ 3.1로 점수를 매겼으며, 이는 활성 조직 염증을 나타낸다(18).
분변 칼프로텍틴 정량법
아침에 첫 번째 배변에서의 분변 샘플을 2~8℃에서 최대 24시간 동안 냉장보관한 후에 분석하였다. FC 레벨의 정량화는 정량적인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 (Calprest, Eurospital, Trieste, Italy)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칼프로텍틴의 공지 농도의 표준 물질을 대조 물질로 사용하였다. 측정범위는 15~3000㎍/g이었다.
내시경 및 조직학적 평가
생검에서 다른 활성 정도를 나타내었을 때, 가장 높은 정도의 염증이 고려되었다. 내시경 의사와 병리학자는 평가시점(기준 대 재발)에 대해 알지 못하였다.
통계 분석
EPA-FFA군 환자의 70% 이상과 위약군 환자의 30%(40% 차이)에서 기준선에서 FC의 100포인트 감소를 가정하였을 때, 5% 유의 수준, 80% 출력, 양면 피셔의 정확한 검사(two-sided Fisher's exact test) 결과, 등록 환자 수는 56명이었다. 7%의 탈락률을 가정하였을 때, 60명의 환자가 등록하는 것이 필요했다. 연구 약제를 1회 이상 투여한 무작위로 치료된 모든 환자가 ITT (intention-to-treat) 분석에 포함되었다. 부작용(AEs)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하여 연구를 중단한 환자는 비반응자(non-responders)로 간주되었다. 기술 통계는 각 그룹에 대해 보고되었다(표준편차 [SD] 또는 사분위 범위[IQR]의 중간값); 2차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1차, 2차 및 결합 목표를 평가하였다. FC의 정규분포를 추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파라메트릭 만-휘트니 U-검정(non-parametric Mann-Whitney U-test)을 사용하여 각 시점에서 그룹 간의 FC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는 한편 프리먼 테스트(Friedman test)의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FC 변화를 기준선에서 각 그룹 내 3개월 및 6개월까지 평가하였다. 프리먼 테스트가 유의미한 경우, 본페로니 교정(Bonferroni correction)을 사용한 post-hoc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이 수행되었다. 카플란-마이어 방법(Kaplan-Meier method)을 사용하여 3개월 및 6개월 시점에서 각 치료군의 무재발 생존율(relapse-free survial, RFS)을 측정하였고, 로그순위법(log-rank test)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0.05 미만의 p 값은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IBM SPSS 버전 23.0 (Chicago, Illinois, USA)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 인구
60명의 환자가 포함기준을 만족시켰고 ITT 인구에 등록되어 활동 그룹에 30명, 위약 그룹에 30명 포함되었다(도 1). 두 치료 그룹은 기준 인구 통계 및 임상 특성과 잘 일치하였다(표 1). 제안된 EPA-FFA 및 제안된 위약 그룹에서 기준선에서 중간 FC 수치는 각각 177.5 (IQR 161.5-210.3) ㎍/g 및 181 (IQR 154.5-208.3) ㎍/g이었다. 기저 대장 내시경 검사(baseline colonoscopy)에서 모든 환자는 마요 내시경 서브스코어(Mayo endoscopic subscore) ≤1을 보였으며; 30명의 환자 중 24명 (80%)과 30명 중 19명(63.3%)의 환자가 EPA-FFA 및 위약 그룹에서 마요 내시경 서브스코어 = 1을 보였다. 모든 환자는 3.1와 4.1 사이의 조직학적 게보즈 점수(Geboes score)를 보였다.
[표 1]
환자 인구 통계 및 기준선 특성
Figure pct00005
1 Chi-square test
2 T-test
3 Mann-Whitney U-test
4 Fisher's exact test
EPA-FFA: 에이코사펜타엔이 없는 유리지방산(eicosapentaenoic free fatty acid);
BMI: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EIMs: 외장 발현(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5ASA: 메살라진(mesalazine);
AZA: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FC: 분변 카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
BMI: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CRP: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IQR: 사분위 범위(interquartile range);
SD: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TNF: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1차 종점: 6개월에서의 FC 레벨에서 100-포인트 감소
3개월 후 EPA-FFA 환자 30명 중 16명(53.3%)이 위약군의 30명 중 4명(13.3%)과 비교하였을 때, 100-포인트의 FC 감소를 나타내었다(오즈비 [OR] 7.59, 95% 신뢰 구간 [CI] 2.04-28.15, p=0.002). 6개월 후 EPA-FFA 군과 위약군에서 각각 30명 중 19명(63.3%)과 30명 중 4명(13.3%)의 환자가 FC 레벨이 100-포인트 감소하였다 (OR 12.0, 95% CI 3.12-46.24, p<0.001)(도 2A).
2차 종점: 6개월에서의 임상 완화 유지
6개월 후 60명 중 38명이 임상 완화를 유지하였다: EPA-FFA 군에서 30명 중 23명(76.7%), 위약군에서 30명 중 15명(50%)(OR 3.29, 95% CI 1.08-9.95, p=0.035)(도 2B). EPA-FFA군의 3개월 및 6개월 누적 RFS는 86.7% 및 76.7%이었고 위약군에서는 각각 80% 및 50%로 이를 서로 비교하였다(로그 순위 p=0.04)(도 3).
복합 종점: FC 레벨에서 100-포인트 감소 및 6개월에서 임상 완화 유지
6개월 후 EPA-FFA 군과 위약군 각각에서 30명 중 19명(63.3%)과 30명 중 4명(13.3%)의 환자가 FC 레벨이 100-포인트 감소하고 임상 완화를 유지되었다(OR 13,95% CI 2.71-62.9, p=0.001).
치료 그룹 간 및 치료 그룹 내 FC 레벨의 비교
3회의 FC 측정이 가능했던 2차 종점을 완료한 환자만을 고려하여 볼 때(EPA-FFA 및 위약군 각각에서 23명 및 15명), EPA-FFA 군의 중간 FC 레벨은 3개월 및 6개월 후에 모두 위약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Mann-Whitney p=0.002 및 p<0.001). FC 레벨은 EPA-FFA 군에서만 3개월 및 6개월에 기준선으로부터 유의하게 감소했다(Friedman: χ2 (df2) = 24.02, p=0.001). 본페로니 교정(Bonferroni correction)을 사용한 post-hoc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은 p<0.017 (3 비교)로 설정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준선, 3개월 및 6개월째 EPA-FFA 군의 중앙(IQR) FC 레벨은 각각 176(160-207) ㎍/g, 53(40-117) ㎍/g 및 40(16-64) ㎍/g이었다. 기준선에서 3개월(Z = -3.362, p=0.001)까지, 그리고 기준선에서 6개월(Z = -3.711; p<0.001)까지의 중간 FC 레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고, 3개월과 6개월 사이에 FC 레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Z = -1.429; p=0.153). 그러나 위약군에서는 기준선, 3개월 및 6개월(Friedman: χ2(df2) = 3.73, p=0.155)에서 FC 레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도 4).
치료 그룹 간의 CRP 레벨의 비교
중간 CRP 레벨은 3개월과 6개월에 두 치료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Mann-Whitney 각각 p=0.8, p=0.55), 연구기간 동안 각 군 내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EPA-FFA 및 위약에 각각에 대해, Friedman: χ2(df2) = 0.44, p=0.80 및 χ2(df2) = 0, p=1).
재발을 경험한 환자의 특성
도중에 포기한 4명을 제외한(임신 1명, 경미한 부작용 사례 3명), 18명의 환자가 임상 재발을 경험하였다(평균 4.78개월, 95% CI 4.11-5.45). 재발 당시의 중간(IQR) FC 레벨은 위약군(n=13)보다 EPA-FFA 군(n=5)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각각 412㎍/g (374-495) 및 535㎍/g 476.5-738)(Mann-Whitney p=0.01). 부분 마요(Mayo) 스코어, 마요(Mayo) 내시경 서브스코어 및 재발시 게보즈(Geboes) 스코어에서 그룹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표 2).
[표 2]
임상 재발시 환자의 특성(n = 18)
Figure pct00006
EPA-FFA: 에이코사펜타엔이 없는 유리지방산(eicosapentaenoic free fatty acid);
FC: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
IQR: 사분위 범위(interquartile range).
안전 및 준수
3명의 환자는 경미한 AEs로 인하여 연구를 중단하였다: 1개월 및 3개월 치료 후 설사로 인해 각각 2명(각 치료 그룹에서 1명) 및 3개월 후에 팽만해져서 1명(EPA-FFA 그룹에서). 어느 치료 그룹도 심각한 AEs가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를 완료한 모든 환자는 순응도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처방된 캡슐의 80-100%가 외래 환자 클리닉에 반환되지 않았다.
토론
이것은 FC 레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막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UC 환자의 증상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고도로 정제된 EPA-FFA의 유익한 효과를 증명하는 첫 번째 임상 연구이다. 선택된 1차 종점은 임상적 완화를 암시하는 조직 염증의 감소의 지표로서 FC 레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종점을 갖는 첫 번째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의 FC 레벨의 100-포인트 감소는 임의적이나, 공개된 문헌의 자료에 따르면 FC 값 < 150㎍/g이 낮은 등급의 조직학적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4).
최근의 역학 자료는 UC 발생률을 줄이는데 n-3 PUFAs가 잠재적으로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Ananthakrishnan et al.는 26년 넘게 수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간호사 건강 연구)에서 UC의 사례를 장래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n-3 PUFAs의 높은 섭취가 UC 발생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14). 또한, n-3 PUFAs에 대한 염증전(pro-inflammatory) n-6 PUFAs의 높은 비율은 UC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15, 19).
그러나 UC의 어유 유도체에 대한 이전의 임상 시험에서 혼합된 결과가 보고되었다(20, 21). 염증 감소와 스테로이드 사용 필요성 감소와 같은 몇 가지 유익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는 어유 유도체의 임상 재발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명확한 보호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결과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다른 연구 설계, 사용된 n-3 PUFAs의 화학식, 너무 광범위한 투여량, 환자의 낮은 순응도, 잘못된 시간에 투여 또는 위약으로서 올리브 오일 또는 기타 PUFAs의 사용과 관련될 수 있다(22).
본 발명에서, 활성 n-3PUFAs는 위 내성 캡슐에서 유리 지방산(FFA) 형태로 2g의 고도로 정제된 EPA (> 95%)로 제형화 되었다. 이전에, n-3 PUFAs의 FFA 형태가 에틸 에스테르 및 트리글리세리드 조제와 비교하여 가장 유리한 약물동력학적 프로파일을 제공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23-25). 또한, IBD 환자와 EPA-FFA를 매일 2g씩 8주간 투여한 건강한 지원자의 연구에서 EPA는 지속적으로 혈장 인지질 및 적혈구 막에 통합되었다. EPA-FFA는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을 통해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EPA는 n-3 PUFAs의 "보편공여자(universal donor)"로 간주될 수 있다(26).
이는 FC가 예방적 치료를 받을 자격이 있는 환자를 선택하기 위해 임박한 임상 재발의 대리인으로 사용된 첫 번째 연구이다. 이전에 공개된 강력한 데이터는 FC가 점막 염증의 매우 신뢰할 수 있는 마커이며 내시경 스코어(3, 5)와 조직학적 염증 등급(4), 임상적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5-7)과 우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이미 입증하였다. FC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반응의 예측인자로 고품질의 잘 설계된 임상 시험에 더 많이 포함된다(27).
단기간에 증상이 있는 재발을 일으킬 위험이 높은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최적의 FC 컷-오프 레벨은 아직 논의 중이지만 다른 사람들의 공개된 데이터(6, 7)에 의해 뒷받침된 이전의 경험(5)에 따르면 150㎍/g은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합당한 컷-오프 값이다. 재발 위험이 있는 환자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FC 및 결과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환자의 이 하위 그룹을 확인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급성 발진(acute flares)의 발병을 줄이고 입원, 더 많은 독성 약물의 필요 및 환자의 장애를 줄인다. (위험도가 낮은 환자를 확인하기 위한) 덜 최적의 마커의 부정적인 영향은 EPIC 1 시험에서 볼 수 있다(28). CD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n-3 PUFAs의 사용을 조사한 대규모 연구에서, 재발 위험의 유일한 기준 인 (3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이전의 완화와 함께 임상적 완화에서 CD를 가진 363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29). 결과는 1년간 추적 관찰한 후 활동(31.6%) 그룹과 위약(35.7%) 그룹의 환자에서 비교적 낮은 재발율을 보였다. 이 실패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의 민감도가 낮다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할 때 CRP와 같은 CD에서 신뢰할 수 있는 염증 마커를 사용하면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를 보다 잘 계층화할 수 있다.
점막 및 조직학적 염증은 악화되는 UC 과정의 예측 인자인 반면(30), 낮은 레벨의 FC는 지속적인 임상적 완화를 예상한다(31). 이러한 결과와 일치하여 FC 레벨의 유의한 감소가 증상 없는 질병 경과를 연장하기 위해서 도달하는 중요한 종점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데이터는 진행중인 UC 치료에 EPA-FFA를 첨가하면 경미한 점막 염증을 줄이고 질환의 임상 활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는 UC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시범 연구에서 동일한 EPA-FFA 투여량은 내시경 및 조직학적 염증을 개선시키고 배상세포 분화를 촉진시켰다(32).
본 발명에서는 위약군의 재발률이 높았으며(6개월째 50%) 이는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를 확인하기 위한 FC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5). FC가 임상 경과(6, 7) 및 질병 패턴의 예측 인자로 수행된 다른 연구에 따르면, CRP는 연구기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고, FC와 비교하여 UC 질병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서의 낮은 민감도를 확인하였다(33).
등록된 소수의 환자, 단일 센터 디자인 및 비교적 짧은 추적 기간과 같이 현재 테스트 결과에 몇 가지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상승된 FC 환자의 임상 재발의 대부분은 추적 관찰 기간의 첫 6개월 동안 발생한다(34). FC는 UC에서 점막 염증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마커이지만, 질병 활동에 대한 의심의 여지가 없는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기저선 및 임상 재발시 대장 내시경 검사를 다중 생검과 함께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스크리닝 단계에 비해 안정한 FC 레벨을 나타내는, 연구의 종료시 무증상 상태로 남아있는 환자는 마요 내시경 서브스코어를 변경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치료 종료시 생검과 함께 2차 대장 내시경 검사를하지 않는 것이 관련 연구의 한계이다. 선택된 1차 종점은 임상적 완화를 암시하는 조직 염증의 마커로서 FC 레벨의 감소였다. 그러한 종점을 가진 최초의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 결과로 FC 레벨의 100-포인트 감소는 임의적이었다. 그러나 공개된 문헌의 데이터에 따르면 FC 값 < 150㎍/g은 낮은 등급의 조직학적 활동을 나타낸다(4).
결론적으로 EPA-FFA를 사용하면 UC에서 중요한 염증 마커인 대변 칼프로텍틴 레벨이 감소하고 UC 환자에서 증상이 없는 완화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망한 치료법임을 입증한다.

Claims (24)

  1.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의 레벨을 150㎍/g 미만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유효 치료량으로, 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EPA-FFA의 치료량을 객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 및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환자의 재발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A-FFA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변 칼프로텍틴의 레벨이 약 110㎍/g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정제된 EPA-FFA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또는 담체없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하루에 약 250mg 내지 4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약 1000mg 내지 약 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매일, 매주 및/또는 1 내지 8개월 동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의 레벨을 150㎍/g 미만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유효 치료량으로, 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EPA-FFA를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치료제와의 조합으로 객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 및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재발을 감소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PA-FFA와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치료제는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s, 5-ASA);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항생제 및 생물학적 치료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PA-FFA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변 칼프로텍틴의 레벨이 약 110㎍/g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하루에 약 250mg 내지 4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약 1000mg 내지 약 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매일, 매주 및/또는 1 내지 8개월 동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치료제와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의 레벨을 150㎍/g 미만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유효 치료량으로, 99% 이상의 순도를 가진 EPA-FFA와 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치료제는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s, 5-ASA);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항생제 및 생물학적 치료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분변 칼프로텍틴의 레벨을 110㎍/g 미만의 배설물로 감소시키기 위한 유효 치료량으로, 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EPA-FFA의 용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량이 하루에 약 500mg 내지 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9. 고도로 정제된 EPA-FFA를 투여하기 전에 3 내지 6개월의 기간 동안 약 150㎍/g 내지 약 200㎍/g 초과의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 FC)의 레벨을 가진 환자에서 결정된 FC의 양에 대하여 FC의 양을 약 100㎍/g 이상 감소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EPA-FFA가 95%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EPA-FFA가 하루에 약 250mg 내지 하루에 4g의 치료량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고도로 정제된 EPA-FFA를 투여하기 전에 3 내지 6개월의 기간 동안 약 150㎍/g 내지 약 200㎍/g 초과의 분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 FC)의 레벨을 가진 환자에서 결정된 FC의 양에 대하여 FC의 양을 100㎍/g 이상 감소시키는 용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PA-FFA가 95%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EPA-FFA가 하루에 약 250mg 내지 하루에 4g의 치료량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187028559A 2017-02-09 2018-02-06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의 감소 및 임상 재발 방지 KR20190113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6816P 2017-02-09 2017-02-09
US62/456,816 2017-02-09
PCT/IB2018/000168 WO2018146545A1 (en) 2017-02-09 2018-02-06 Highly purified eicosapentaenoic acid, as free fatty acid, reduces fecal calprotectin levels and prevents clinical relapse in ulcerative colitis pati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520A true KR20190113520A (ko) 2019-10-08

Family

ID=6168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559A KR20190113520A (ko) 2017-02-09 2018-02-06 유리지방산으로서 고도로 정제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분변 칼프로텍틴 레벨의 감소 및 임상 재발 방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13709B2 (ko)
EP (1) EP3579841A1 (ko)
JP (1) JP2020508285A (ko)
KR (1) KR20190113520A (ko)
CN (1) CN108778284A (ko)
WO (1) WO20181465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14788B1 (no) 1994-11-15 2003-05-26 K D Pharma Gmbh Framgangsmåte for utvinning av en eller flere forbindelser fra en blanding
GB0428384D0 (en) * 2004-12-24 2005-02-02 Sla Pharma Ag Eicosapentaenoic acid
US9629820B2 (en) * 2012-12-24 2017-04-25 Qualitas Health, Ltd. Eicosapentaenoic acid (EPA) formulations
CA2905671A1 (en) * 2013-03-13 2014-09-18 Matinas Biopharma Inc. Omega-3 pentaeno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GB201400442D0 (en) * 2014-01-10 2014-02-26 Sigmoid Pharma Ltd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ulcerative colitis
US9895333B2 (en) * 2014-06-26 2018-02-20 Patheon Softgels Inc. Enhanced bioavailability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on-Patent Citation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Langholz E, Munkholm P, Davidsen M, et al. Course of ulcerative colitis: Analysis of changes in disease activity over years. Gastroenterology 1994; 107: 3-11.
10. Lev-Tzion R, Griffiths AM, Leder O, et al. Omega 3 fatty acids (fish oil) for maintenance of remission in Crohn's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 (2): CD006320.
11. Turner D, Shah PS, Steinhart AH, et al. Maintenance of remissio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omega-3 fatty acids (fish oi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Inflamm Bowel Dis 2011; 17: 336-345.
12. MacLean CH, Mojica WA, Newberry SJ,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n-3 fatty acid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 J Clin Nutr 2005; 82: 611-619.
13. Lee D, Albenberg L, Compher C, et al. Diet i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2015; 148: 1087-1106.
14. Ananthakrishnan AN, Khalili H, Konijeti GG, et al. Long-term intake of dietary fat and risk of ulcerative colitis and Crohn's disease. Gut 2014; 63: 776-784.
15. Lewis JD, Abreu MT. Diet as a Trigger or Therap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2017; 152: 398-414.e6.
16. Schroeder KW, Tremaine WJ, Ilstrup DM. Coated Oral 5-Aminosalicylic Acid Therapy for Mildly to Moderately Active Ulcerative Colitis. N Engl J Med 1987; 317: 1625-1629.
17. Daperno M, Castiglione F, de Ridder L, et al. Results of the 2nd part Scientific Workshop of the ECCO (II): Measures and markers of prediction to achieve, detect, and monitor intestinal healing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Crohns Colitis 2011; 5: 484-498.
18. Geboes K, Riddell R, Ost A, Jensfelt B, et al. A reproducible grading scale for histological assessment of inflammation in ulcerative colitis. Gut 2000; 47: 404-409.
19. de Silva PSA, Olsen A, Christensen J, et al. An Association Between Dietary Arachidonic Acid, Measured in Adipose Tissue, and Ulcerative Colitis. Gastroenterology 2010; 139: 1912-1917.
2. Sipponen T, Kolho K-L. Fecal calprotectin in diagnosis and clinical assess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2015; 50: 74-80.
20. De Ley M, de Vos R, Hommes DW, et al. Fish oil for induction of remission in ulcerative colit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 (4):CD005986.
21. Cheifetz AS, Gianotti R, Luber R,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used by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2017; 152: 415-29.e15.
22. Marion-Letellier R, Savoye G, Beck PL, et 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a reappraisal of effects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flamm Bowel Dis 2013; 19: 650-661.
23. Belluzzi A, Brignola C, Campieri M, et al. Effects of new fish oil derivative on fatty acid phospholipid-membrane pattern in a group of Crohn's disease patients. Dig Dis Sci 1994; 39: 2589-2594.
24. el Boustani S, Colette C, Monnier L, et al. Enteral absorption in man of eicosapentaenoic acid in different chemical forms. Lipids 1987; 22: 711-714.
25. Davidson MH, Johnson J, Rooney MW, et al. A novel omega-3 free fatty acid formulation has dramatically improved bioavailability during a low-fat diet compared with omega-3-acid ethyl esters: the ECLIPSE (Epanova? compared to Lovaza? in a pharmacokinetic single-dose evaluation) study. J Clin Lipidol 2012; 6: 573-584.
26. Scaioli E, Cardamone C, Liverani E, et al. The pharmacokinetic profile of a new gastroresistant capsule preparation of eicosapentaenoic acid as the free fatty acid. BioMed Res Int 2015; 2015: 360825.
27. Sandborn WJ, Panes J, Zhang H, et al.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s of fecal calprotectin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in a phase 2 trial. Gastroenterology 2016; 150: 96-102.
28. Feagan BG, Sandborn WJ, Mittmann U, et al. Omega-3 free fatty acids for the maintenance of remission in Crohn disease: the EPIC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AMA 2008; 299: 1690-1697.
29. Sahmoud T, Hoctin-Boes G, Modigliani R, et al. Identifying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relapse in quiescent Crohn's disease. The GETAID Group. The Groupe d'Etudes Therapeutiques des Affections Inflammatoires Digestives. Gut 1995; 37: 811-818.
3. Lobatn T, Rodrguez-Moranta F, Lopez A, et al. A New Rapid Quantitative Test for Fecal Calprotectin Predicts Endoscopic Activity in Ulcerative Colitis. Inflamm Bowel Dis 2013; 19: 1034-1042.
30. Zenlea T, Yee EU, Rosenberg L, et al. Histology Grade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elapse Risk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in Clinical Remission: A Prospective Study. Am J Gastroenterol 2016; 111: 685-690.
31. Mooiweer E, Severs M, Schipper MEI, et al. Low fecal calprotectin predicts sustained clinical remission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s: a plea for deep remission. J Crohns Colitis 2015; 9: 50-55.
32. Prossomariti A, Scaioli E, Piazzi G, et al. Short-term treatment with eicosapentaenoic acid improves inflammation and affects colonic differentiation markers and microbiota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Sci Rep 2017; 7: 7458.
33. Vermeire S, Van Assche G, Rutgeerts P. Laboratory markers in IBD: useful, magic, or unnecessary toys, Gut 2006; 55: 426-431.
34. Molander P, Farkkila M, Ristimaki A, et al. Does fecal calprotectin predict short-term relapse after stopping TNFα-blocking agent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s in deep remission? J Crohns Colitis 2015; 9: 33-40.
4. Guardiola J, LLobatn T, Rodrguez-Alonso L, et al. Fecal Level of Calprotectin Identifies Histologic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in Clinical and Endoscopic Remission.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4; 12: 1865-1870.
5. Scaioli E, Scagliarini M, Cardamone C,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faecal calprotectin in ulcerative colitis patient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15; 27: 1418-1424.
6. Costa F, Mumolo MG, Ceccarelli L, et al. Calprotectin is a stronger predictive marker of relapse in ulcerative colitis than in Crohn's disease. Gut 2005; 54: 364-368.
7. Garcia-Sanchez V, Iglesias-Flores E, Gonzalez R, et al. Does fecal calprotectin predict relapse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J Crohns Colitis 2010; 4: 144-152.
8. Calder PC. Marine omega-3 fatty acids and inflammatory processes: Effects, mechanisms and clinical relevance. Biochim Biophys Acta 2015; 1851: 469-484.
9. Yaqoob P. Mechanisms underlying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n-3 PUFA. Proc Nutr Soc 2010; 69: 311-3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78284A (zh) 2018-11-09
JP2020508285A (ja) 2020-03-19
US11013709B2 (en) 2021-05-25
US20210251935A1 (en) 2021-08-19
WO2018146545A1 (en) 2018-08-16
US20190365691A1 (en) 2019-12-05
EP3579841A1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aioli et al. Eicosapentaenoic acid reduces fecal levels of calprotectin and prevents relapse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JP7136526B2 (ja) 心血管疾患を処置及び/又は予防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0427112B1 (ko) 염증성장질환을치료하는오메가-3다불포화산의경구제형
AU2017203953A1 (en) Low eruct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subject with fish allergy/hypersensitivity
US20090203655A1 (en) Prophylactic docosahexaenoic acid therapy for patients with subclinical inflammation
WO2006067362A1 (en) Treatment for severe melancholic depression with epa
Jin et al. Small, dense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atherosclerosis: relationship and therapeutic strategies
US11013709B2 (en) Highly purified eicosapentaenoic acid, as free fatty acid, reduces fecal calprotectin levels and prevents clinical relapse in ulcerative colitis patients
EP3340992B1 (en) Method for treatment of monocyte dysfunc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micro-and macro-vascular diseases
RU2761617C2 (ru) Комплекс липидов миелина центральной и периферическо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животных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демиелинизирующих нарушений и способы его применения
Bjørkkjær et al. A randomized double blind comparison of short-term duodenally administrated whale and seal blubber oil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joint pain
Mollace et al. The Role of Endothelial Dysfunction in the Connection Between Gut Microbiota, Vascular Injury, and Arterial Hypertension
Camargo11 et al. Ellencristina Silva Batista1, 2, 3, 4, Thaiane da Silva Rios2, 4, Vitor Rosetto Muñoz5, 4, Joyce Santos Jesus3, Marcel Monteiro Vasconcelos3, Diogo Thimóteo da Cunha6, Jose Luis Marques-Rocha7, Susana Castelo Branco Ramos Nakandakari2, 4, Roberta Lara2, Adelino Sanchez Ramos da Silva8, José Rodrigo Pauli5, 4, Eduardo Rochete Ropelle5, 4, Rania Angelina Mekary9, 10, Leandro Pereira de Moura5
US20190374496A1 (en) Treatment with highly purified eicosapentaenoic acid as free fatty acid improves inflammation, affects colonic differentiation markers and microbiota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WO2018191812A1 (en) Cyclic plasmenylethanolamines
WO2019048423A1 (en) L-SERINE SUPPLEMENTATION IN PREDIABETIC SUBJECTS
NZ763702B2 (en) Low eruct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subject with fish allergy/hypersen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