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442A -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442A
KR20190113442A KR1020180036136A KR20180036136A KR20190113442A KR 20190113442 A KR20190113442 A KR 20190113442A KR 1020180036136 A KR1020180036136 A KR 1020180036136A KR 20180036136 A KR20180036136 A KR 20180036136A KR 20190113442 A KR20190113442 A KR 2019011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protective film
functional group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897B1 (ko
Inventor
김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엠
Priority to KR102018003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8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functional group)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Photo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ing polycarbonate dio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에 관련된 것이다.
편광 필름은 통상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라 함)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적층한 구조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한 편광 필름은 편광 렌즈, 액정표시장치, 썬글라스, 고글 등 다양한 광학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 편광 렌즈, 썬글라스, 고글 등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편광 필름을 렌즈에 부착시켜야 한다.
편광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10-1397696(출원번호: 10-2011-0124641, 출원인: 제일모직주식회사)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및 금속산화물 분산액을 포함하고, 70℃에서 Tanδ 값이 0.7~1.5인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이 밖에도, 편광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과 관련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 중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10-1397696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고신뢰성을 갖는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접착력이 우수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성형 후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functional group)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반응 촉매와 함께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에 이소시아네이트를 적하하며 교반하는 단계, 교반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열처리하여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올리고머를,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필름은 성형물에 접착되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제1 면 상의 제1 보호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제2 보호 필름, 상기 제2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 보조 필름을 상기 제2 보호 필름에 접착시키고,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제2 보호 필름 및 상기 접착 층 사이에 배치되고,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접착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학 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기기는 성형물, 및 상기 성형물에 부착된 편광 필름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편광 필름 구조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편광 필름, 상기 제1 면 상의 제1 보호 필름,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제2 보호 필름, 상기 제2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고,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접착 보강층, 상기 접착 보강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성형물과 일체(one body)를 이루는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접착 보조 필름을 상기 접착 보강층에 접착시키고,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력, 내수성, 내열성, 및 열성형 후 부착성이 우수한 고신뢰성의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편광 필름, 상기 제1 면 상의 제1 보호 필름, 상기 제2 면 상의 제2 보호 필름,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접착 보조 필름,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 및 상기 접착층 사이에 배치되고, 실란커플링제,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산성 용액을 포함하는 접착 보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물과의 접착력이 향상된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기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polycarbonate diol)이 반응 촉매와 함께 반응기에 투입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은 DURANOL T56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 촉매는 송원산업의 TL-6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상기 반응 촉매는 각각 265g, 0.2g의 용량이 상기 반응기 내로 투입될 수 있다.
반응기에 투입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가 적하되며 교반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애보닉사의 IPDI가 66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200rpm이 속도로 교반될 수 있다.
교반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열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가 형성될 수 있다(S30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반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가 열처리되기 전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니폰쇼쿠바이사의 2-HEA가 160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첨가제는 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상기 올리고머는, 복합 모노머,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와 혼합되어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개시제는 바스프사의 Irgacure 184가 5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M300이 24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모노머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functional group)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모노머는 쇼와덴코사의 KARENZ MOI이 20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다우코닝사의 Z-6030이 1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상기 올리고머는, 상기 복합 모노머, 상기 실란커플링제, 상기 광개시제, 및 상기 가교제와 반응기 내에서 500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혼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가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은 편광 필름(110), 제1 보호 필름(120), 제2 보호 필름(130),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접착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110)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110)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아세탈(polyvinyl acetal), 또는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110)은 염료 또는 요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필름(120)은 상기 편광 필름(110)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은 상기 편광 필름(110)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보호 필름(12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사이에 상기 편광 필름(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필름(12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은 상기 편광 필름(110)을 스크래치(scratch)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편광 필름(11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보호 필름(120)과 상기 편광 필름(110) 사이,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과 상기 편광 필름(110) 사이에 수성 접착층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접착층들에 의해, 상기 제1 보호 필름(120) 및 상기 제1 보호 필름(130)이 상기 편광 필름(11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필름(12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보호 필름(12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tri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아크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은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상기 편광 필름(110) 사이에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은 상기 광학 필름(100)이 부착되는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의 노출된 면에 상기 성형물이 부착되어, 상기 광학 필름(100)이 상기 성형물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상기 성형물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의 노출된 면이 상기 성형물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은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보호 필름(120)의 일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0)은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0)에 의해,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0)은,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 사이에, 제1 필름(F1) 및 제2 필름(F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일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F2)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편광 필름(110), 제1 보호 필름(120), 및 제2 보호 필름(130)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구조체(polarizing film structure) 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 사이에 접착제(150a)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50a)는,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접착제(150a), 및 상기 제1 롤러(210) 및 상기 제2 롤러(220)의 압착에 의해,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이 접착된 후, 상기 제1 필름(F1) 의 노출면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은 UV 광이고, 250 mW의 광도 및 1000 mJ/cm3의 광량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접착제(150a)가 경화되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광학 필름(1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광학 필름(100)은 제3 롤러(230)에 권취(捲取)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필름(F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접착보조 필름(140)이고, 상기 제2 필름(F2)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150a)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이 접착된 후, 상기 제1 필름(F1)의 노출면 및 상기 제2 필름(F2)의 노출면으로 각각 광들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광은 UV 광이고, 500 mJ/cm3의 광량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후, 수성접착제를 이용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편광 필름(110)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보호 필름(120)을 접착하고, 상기 편광 필름(110)의 상기 제2 면에 상기 제1 필름(F1)이 접착된 상기 제2 필름(F2)을 접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광학 필름(100)이 제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광학 필름(100)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기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몰드(310) 및 제2 몰드(320)에 의해 제공되는 주형 공간 내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100)이 상기 주형 공간 내에 제공되기 전, 상기 광학 필름(100)을 가온 가압하여, 상기 광학 필름(100)이 상기 주형 공간과 동일/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100)이 제공된 후, 상기 제1 몰드(310)의 주입구(310a)를 통해 상기 주형 공간 내에 성형물 수지가 사출(射出)될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수지가 상기 주형 공간의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성형물(240)에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이 부착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가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기기는 편광 렌즈, 고글 등일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수지가 사출되는 동안, 상기 편광 필름(100)의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이 용융되어, 상기 성형물(240)과 일체(one body)를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과 상기 성형물(240) 사이의 경계가 없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에서 접착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 및 그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은 편광 필름(110), 제1 보호 필름(120), 제2 보호 필름(130), 접착 보조 필름(140), 접착층(150), 및 접착 보강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110), 제1 보호 필름(120), 제2 보호 필름(130),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접착층(15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 필름(110), 제1 보호 필름(120), 제2 보호 필름(130),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접착층(150)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및 상기 접착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다우코닝사의 Z-6030이 10g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상기 접착층(1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및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15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접착 보강층(160)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150) 두께의 1/10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및 상기 접착층(150) 사이에 배치되되,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산성 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성 용액은 염산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은 상기 접착층(1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층(150) 및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은,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 필름(F2)이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에 각각 배치된 후, 사이에 접착제(150a)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필름(F1)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착 보조 필름(140)일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F2)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편광 필름(110), 제1 보호 필름(120), 제2 보호 필름(130), 및 접착 보강층(160)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구조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과 같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필름(F2)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기 편광 필름 구조체가, 상기 제2 보호 필름(130)상에 상기 접착 보강층(160)이 코팅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보강층(160)은 실란커플링제,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산성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 사이에 접착제(150a)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50a)는,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접착제(150a), 및 상기 제1 롤러(210) 및 상기 제2 롤러(220)의 압착에 의해,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F1) 및 상기 제2 필름(F2)이 접착된 후, 상기 제1 필름(F1) 의 노출면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은 UV 광이고, 250 mW의 광도 및 1000 mJ/cm3의 광량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접착제(150a)가 경화되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광학 필름(1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광학 필름(100)은 제3 롤러(230)에 권취(捲取)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 또한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과 상기 성형물(240)이 일체(one body)를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과 상기 성형물(240) 사이의 경계가 없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의 제조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의 제조 방법과 같이, 제1 몰드(310) 및 제2 몰드(320)에 의해 제공되는 주형 공간 내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100)이 상기 주형 공간 내에 제공되기 전, 상기 광학 필름(100)을 가온 가압하여, 상기 광학 필름(100)이 상기 주형 공간과 동일/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100)이 제공된 후, 상기 제1 몰드(310)의 주입구(310a)를 통해 상기 주형 공간 내에 성형물 수지가 사출(射出)될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성형물 수지가 상기 주형 공간의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성형물(240)에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이 부착된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가 제조될 수 있다.
상술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 및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력, 내수성, 내열성, 및 열성형 후 부착성이 우수한 고신뢰성의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상기 편광 필름(110), 상기 제1 면 상의 상기 제1 보호 필름(120), 상기 제2 면 상의 제2 보호 필름(130), 상기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보조 필름(14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50),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130) 및 상기 접착층(150) 사이에 배치되고, 실란커플링제,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산성 용액을 포함하는 접착 보강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물과의 접착력이 향상된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가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의 구체적인 실험 예 및 특성 평가 결과가 설명된다.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제조
아사히 카세이사의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DURANOL T5650J 520g 및 송원산업의 TL-600 0.2g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애보닉사의 이소시아네이트 IPDI 66g을 적하시키며,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교반된 반응물에 니폰쇼쿠바이사의 2-HEA를 160g의 용량으로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혼합하여 실시 예에 따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쇼와덴코사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KARENZ MOI,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가교제 M300, 다우코닝사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Z-6030, 및 바스프사의 광개시제 Irgacure 184가 준비된다.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50: 20: 24: 1: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상기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70: 12: 12: 1: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3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상기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60: 20: 14: 1: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1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준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가교제, 및 광개시제가 70: 25: 5 wt%의 비율로 혼합된 비교 예 1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준비된다.
비교 예 2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준비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가교제, 및 광개시제가 70: 25: 5 wt%의 비율로 혼합된 비교 예 2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준비된다.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필름 제조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염료계 편광 필름, 및 PC(polycarbonate) 필름이 준비된다. 이후, 편광 필름과 PC 필름 사이에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고, 5 미크론(μm)의 두께를 갖도록 합지하였다. 계속해서, 합지된 편광 필름 및 PC 필름의 양 방향에서 UV 광원을 250 mW의 광도 및 1000 mJ/cm3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필름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필름이 준비된다. 준비된 광학 필름들 각각을 렌즈 모양으로 열포밍한 후, 지그에 고정하고 300℃의 온도로 녹인 PC 레진을 금형에 사출하여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렌즈를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술된 광학 렌즈들의 접착력 테스트는, 50N의 만능 인장기로 180°의 각도로 박리하며 측정하였다. 광학 렌즈들의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은, 40℃의 온도 및 90%의 습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챔버에서 96시간 보관하고, 이후 상온에서 다시 4시간 보관한 뒤 상술된 접착력 테스트의 방법으로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광학 렌즈들의 내충격성 테스트는, 상술된 각각의 광학 렌즈들을 500g의 추로 75 cm의 높이에서 떨어뜨려 파괴한 후 렌즈와 광학 필름의 박리유무에 따라 아래 <표 1>과 같이 평가하였다.
단계 상태
내충격성 0 렌즈와 광학 필름이 완전히 박리되어 접합부 없이 분리됨
내충격성 1 렌즈와 광학 필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지만, 파괴면에서 25%이하의 면적에서만 접합되어 있음
내충격성 2 렌즈와 광학 필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지만, 파괴면에서 25% 초과 50% 이하의 면적에서만 접합되어 있음.
내충격성 3 렌즈와 광학 필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지만, 파괴면에서 50% 초과 75% 이하의 면적에서만 접합되어 있음.
내충격성 4 렌즈와 광학 필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지만, 파괴면에서 75% 초과 면적에서 접합되어 있음. 다만, 일부 분리가 관찰 됨.
내충격성 5 렌즈와 광학 필름이 분리되지 않고, 파괴면에서도 일체화 되어 있음.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에 대한 테스트 결과가 아래 <표 2>를 통하여 정리된다.
구분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비교 예 1 비교 예 2
접착력
(gfs/25mm)
720 650 700 30 50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gfs/25mm)
600 560 580 박리 박리
내충격성
(단계)
4 4 4 0 1
상술된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들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은 상기 비교 예들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 보다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 1 내지 3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 효율이 상기 비교 예 1 및 비교 예 2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 효율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2에 따른 올리고머 제조
아사히 카세이사의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DURANOL T5652 215g 및 송원산업의 TL-600 0.1g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애보닉사의 이소시아네이트 IPDI 28g을 적하시키며,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교반된 반응물에 니폰쇼쿠바이사의 2-HEA를 300g의 용량으로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혼합하여 실시 예에 따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4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2에 따른 올리고머, 쇼와덴코사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KARENZ BEI,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가교제 M600, 다우코닝사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Z-6030, 및 바스프사의 광개시제 Irgacure 184가 준비된다.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50: 15: 32: 3: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4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5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2에 따른 올리고머, 쇼와덴코사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KARENZ BEI,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가교제 M600, 다우코닝사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Z-6030, 및 바스프사의 광개시제 Irgacure 184가 준비된다.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60: 30: 12: 3: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5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6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2에 따른 올리고머, 쇼와덴코사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KARENZ BEI,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가교제 M600, 다우코닝사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Z-6030, 및 바스프사의 광개시제 Irgacure 184가 준비된다.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70: 10: 10: 5: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5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7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제조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쇼와덴코사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KARENZ BEI,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의 가교제 M600, 다우코닝사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Z-6030, 및 바스프사의 광개시제 Irgacure 184가 준비된다.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가교제,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광개시제를 50: 15: 32: 3: 5 wt%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실시 예 7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내지 7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상기 실시 예 4 내지 7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이 준비된다. 이후, 상술된 실시 예 1에 따른 광학 필름 및 광학 렌즈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실시 예 4 내지 7에 따른 광학 렌즈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 예 4 내지 6에 따른 광학 렌즈 역시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아래 <표 3>을 통하여 정리된다.
구분 실시 예 4 실시 예 5 실시 예 6 실시 예 7
접착력
(gfs/25mm)
822 843 800 860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gfs/25mm)
690 720 740 712
내충격성
(단계)
4 4 4 4
상술된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들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 4 내지 7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 효율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8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다우코닝사의 실란커플링제 Z-6030 10g을 희석용제 이소프로필알코올 90g과 혼합하여 편광 필름용 프라이머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프라이머는 염료계 편광 필름에 바코터 #3으로 코팅하여 접착 보강층으로 제조하고, 80℃의 온도로 오븐에서 5분의 시간 동안 건조한 후, 4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에 따라, 접착 보강층이 코팅된 편광 필름이 준비되었다.
접착 보강층이 코팅된 편광 필름 및 PC필름 사이에 상기 실시 예 7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5 미크론(μm)의 두께를 갖도록 합지하였다. 계속해서, 합지된 편광 필름 및 PC 필름의 양 방향에서 UV 광원을 250 mW의 광도 및 1000 mJ/cm3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실시 예 1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실시 예 8에 따른 광학 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9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다우코닝사의 실란커플링제 Z-6040 10g을 희석용제 이소프로필알코올 90g과 혼합하여 편광 필름용 프라이머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프라이머는 염료계 편광 필름에 바코터 #3으로 코팅하여 접착 보강층으로 제조하고, 80℃의 온도로 오븐에서 5분의 시간 동안 건조한 후, 4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에 따라, 접착 보강층이 코팅된 편광 필름이 준비되었다.
이후, 상기 접착 보강층이 코팅된 상기 편광 필름을, 상기 실시 예 8에 따른 광학 필름 및 광학 렌즈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실시 예 9에 따른 광학 렌즈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0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다우코닝사의 실란커플링제 Z-6030 10g을 희석용제 이소프로필알코올 90g과 혼합 후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0.1 N 염산수용액 10g을 적하 하였다. 이후, 40℃의 온도를 유지하며 48 시간 동안 반응시켜 프라이버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프라이머는 염료계 편광 필름에 바코터 #3으로 코팅하여 접착 보강층으로 제조하고, 80℃의 온도로 오븐에서 5분의 시간 동안 건조한 후, 4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에 따라, 접착 보강층이 코팅된 편광 필름이 준비되었다.
이후, 상기 접착 보강층이 코팅된 상기 편광 필름을, 상기 실시 예 8에 따른 광학 필름 및 광학 렌즈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실시 예 9에 따른 광학 렌즈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 예 8 내지 10에 따른 광학 렌즈 역시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아래 <표 4>를 통하여 정리된다.
구분 실시 예 8 실시 예 9 실시 예 10
접착력
(gfs/25mm)
920 900 910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gfs/25mm)
800 782 850
내충격성
(단계)
4 4 5
상술된 <표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 예 8 내지 10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이 상기 실시 예 1 내지 7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 예 10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이 상기 실시 예 8 및 9에 따른 광학 렌즈의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경우, 편광 필름에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접착 보강층을 코팅하는 것이,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가 실랑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뿐만 아니라, 염산수용액까지 포함하는 경우, 더 높은 접착력, 환경테스트 후 접착력, 및 내충격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광학 필름
110: 편광 필름
120: 제1 보호 필름
130: 제2 보호 필름
140: 접착 보조 필름
150: 접착층
160: 접착 보강층
150a: 접착제
210, 220, 230: 제1 내지 제3 롤러
240: 성형물
310, 320: 제1 및 제2 몰드

Claims (5)

  1.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로 합성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functional group)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2.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반응 촉매와 함께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에 이소시아네이트를 적하하며 교반하는 단계;
    교반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열처리하여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올리고머를,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및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복합 모노머, 불포화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광개시제, 및 가교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성형물에 접착되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제1 면 상의 제1 보호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제2 보호 필름;
    상기 제2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제2 보호 필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 보조 필름을 상기 제2 보호 필름에 접착시키고, 제1 항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필름 및 상기 접착층 사이에 배치되고,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접착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5. 성형물; 및
    상기 성형물에 부착된 편광 필름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편광 필름 구조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편광 필름;
    상기 제1 면 상의 제1 보호 필름;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제2 보호 필름;
    상기 제2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고, 실란커플링제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접착 보강층;
    상기 접착 보강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물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성형물과 일체(one body)를 이루는 접착 보조 필름; 및
    상기 접착 보조 필름을 상기 접착 보강층에 접착시키고, 제1 항에 따른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0180036136A 2018-03-28 2018-03-28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KR10208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136A KR102087897B1 (ko) 2018-03-28 2018-03-28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136A KR102087897B1 (ko) 2018-03-28 2018-03-28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442A true KR20190113442A (ko) 2019-10-08
KR102087897B1 KR102087897B1 (ko) 2020-03-11

Family

ID=6820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136A KR102087897B1 (ko) 2018-03-28 2018-03-28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7575A (zh) * 2020-02-28 2020-05-22 上海兰庆新材料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附加特殊功能表面的保护膜结构及其加工、涂布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21B1 (ko) * 2006-12-26 2009-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7696B1 (ko) 2011-11-25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필름
KR20150031534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에스디엠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JP2018002787A (ja) * 2016-06-29 2018-01-1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21B1 (ko) * 2006-12-26 2009-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7696B1 (ko) 2011-11-25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필름
KR20150031534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에스디엠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JP2018002787A (ja) * 2016-06-29 2018-01-1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7575A (zh) * 2020-02-28 2020-05-22 上海兰庆新材料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附加特殊功能表面的保护膜结构及其加工、涂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897B1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801B1 (ko) 편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0170174A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934940B1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7209316B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及其连续制造方法
JP7372824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160461A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2961610A (zh) 压敏粘合性组合物、压敏粘合剂以及压敏粘合片
KR20130034629A (ko) 아크릴계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JP2020160462A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160460A (ja)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80103111A (ko)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87897B1 (ko)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을 이용한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JP7178776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460090B1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2037495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90045855A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1621316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1621317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2087890B1 (ko)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광학 기기
CN116457207A (zh) 粘合剂组合物、粘合片、光学层叠体、图像显示装置及粘合片的制造方法
CN115335739A (zh) 双面带粘合剂的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TW202035607A (zh) 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JP6209034B2 (ja) 光学フィルム用接着剤、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98381A (zh) 偏光板及图像显示装置
JP7445726B2 (ja) 感圧性粘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有機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