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330A -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330A
KR20190113330A KR1020180035865A KR20180035865A KR20190113330A KR 20190113330 A KR20190113330 A KR 20190113330A KR 1020180035865 A KR1020180035865 A KR 1020180035865A KR 20180035865 A KR20180035865 A KR 20180035865A KR 20190113330 A KR20190113330 A KR 20190113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high speed
blockchai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동
은기찬
Original Assignee
지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앨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330A/ko
Publication of KR2019011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04B5/00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1Revocation or update of secret information, e.g. encryption key update or re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카드(100);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하는 카드 단말기(200); 및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드에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저장할 수 있고, 디지털 카드가 초고속 통신 모듈을 통해 카드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장점이 있고, 카드 단말기가 초고속 통신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서버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로 전송할 수 있고,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무선으로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고, 키생성루틴이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BLOCK CHAIN TERMI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USING ULTRA HIGH SPEED NEAR-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드(100)와 카드 단말기(200)간에 대용량의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송수신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도 임의로 수정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분산 데이터 저장기술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잘 알려진 블록체인의 응용 사례는 암호화폐의 거래과정을 기록하는 탈중앙화된 전자장부로서 비트코인이 있다. 이 거래 기록은 의무적으로 암호화되고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상에서 운영된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들이 블록체인 기술 형태에 기반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카드 결제가 활용되고 있지만 디지털 카드(100)에 대용량의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기술은 초고속 근접통신의 부재로 인해 아직 상용화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837168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등록번호 제10-1591244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드에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 모듈을 통해 카드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서버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로 전송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무선으로 전원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키생성루틴을 가지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카드(100);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하는 카드 단말기(200); 및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카드(100)는 카드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 및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와 통신하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 및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른 블록체인 서버(3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디바이스 모듈(410); 디바이스 모듈(410)의 하드웨어 계층에 정합하는 디바이스 하드웨어(420); 및 디바이스 하드웨어(420)에 무선 정합하는 디바이스 RF 모듈(430)을 포함한다.
또한,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발진기(531), 증폭기(532), 정합 회로(533) 및 코일(534)로 구성된 무선 전원 공급 장치(500)를 포함하고, 발진기(531)는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고, 증폭기(532)는 무선 주파수를 증폭하고, 정합 회로(533)는 코일(534)과 증폭기(532)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코일(534)은 무선 전원을 전송한다.
또한,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60GHz, 70GHz, 80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인증 처리하고,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키생성루틴(110)을 가지고, 키생성루틴(110)에 의해 업데이트된 비밀번호와 디지털 카드(100)의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를 인증하고, 디지털 카드(100)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카드 단말기(200)에 로그인하고, 키생성루틴(110)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고, 다음 로그인시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로 로그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디지털 카드에 대용량의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드가 초고속 통신 모듈을 통해 카드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드 단말기가 초고속 통신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서버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무선으로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생성루틴이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은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디지털 카드(1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카드 단말기(2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무선전원공급장치(500)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디지털 카드(100)와 카드 단말기(200)의 인증 절차를 보인 예시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카드(100);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하는 카드 단말기(200); 및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30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드(100)는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디지털 카드(100)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카드 결제로 블록체인 거래 장부가 생성된다. 디지털 카드(100)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200)의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다수의 컴퓨터에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분산 저장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2는 디지털 카드(1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디지털 카드(100)는 카드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 및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카드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한다. 디지털 카드(100)는 카드 단말기(200)와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통신한다. 디지털 카드(100)의 프로세서는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면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3은 카드 단말기(2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와 통신하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 및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른 블록체인 서버(3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디지털 카드(10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른 블록체인 서버(3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100)로 전송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와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통신한다. 카드 단말기(200)의 프로세서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블록체인 서버(300)에 전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카드 결제에 따른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디지털 카드(100)로 전송한다.
도 4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디바이스 모듈(410); 디바이스 모듈(410)의 하드웨어 계층에 정합하는 디바이스 하드웨어(420); 및 디바이스 하드웨어(420)에 무선 정합하는 디바이스 RF 모듈(43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모듈(410)은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디바이스 하드웨어(420)는 디바이스 모듈(410)의 하드웨어 계층에 정합한다.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디바이스 하드웨어(420)에 무선 정합한다.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전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OOK(On-Off Keying) 변조방식을 사용하고, 이를 위해 OOK 송신부와 수신부 구성을 포함한다.
OOK RF의 송신부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1인 경우 반송파를 송신하고, 0인 경우 노 시그널 형태로 전송하며, 수신부는 이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송신부는 전송 속도에 따라 클럭을 조정하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가변하고, 수신부의 CDR(Clock Data Recovery) 회로에서 수신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한다.
일실시예로 CDR 회로는 입력단에서 데이터와 클락을 PD(Phase Detector), LPF(Low-Pass Filter),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로 이루어지는 피드백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는 PLL(Phase Locked Loop)을 이용하여 OOK 송신부로 입력되는 클락을 원하는 위상으로 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초고속 근접통신 방식으로 WPAN(Wireless Personal Arean Network)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IEEE 802.15.3e HRCP(High-Rate Close Proximity Point to Point Communication)을 따른다.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60GHz, 70GHz, 80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60GHz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 RF 모듈(430)은 변조방식이 최대 256QAM을 사용하여 전송 속도가 최대 100Gbps 정도된다.
도 5는 무선 전원 공급 장치(500)를 보인 예시도이다.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발진기(531), 증폭기(532), 정합 회로(533) 및 코일(534)로 구성된 무선 전원 공급 장치(500)를 포함하고, 발진기(531)는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고, 증폭기(532)는 무선 주파수를 증폭하고, 정합 회로(533)는 코일(534)과 증폭기(532)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코일(534)은 무선 전원을 전송한다.
디지털 카드(100)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 전원 공급 장치와 연동한다.
무선 전원 공급 장치(500)가 디지털 카드(100)의 무선 전원 공급 장치로 전원을 전송한다. 디지털 카드(100)의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무선 전원을 수신해서 장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카드 단말기(200)의 무선 전원 공급 장치(500)는 발진기(531), 증폭기(532), 정합 회로(533), 코일(534)로 구성된다. 발진기(531)는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고, 증폭기(532)는 무선 주파수를 증폭하고, 정합 회로(533)는 코일(534)과 증폭기(532)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한다. 코일(534)은 무선 전원을 전송한다.
디지털 카드(100)의 무선 전원 공급 장치는 코일(435), 정합 회로(436), AC/DC 컨버터(437), 레귤레이터(438)로 구성된다. 코일(435)은 무선 전원을 수신하고, 정합 회로(436)는 코일(435)과 AC/DC 컨버터(437)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한다. AC/DC 컨버터(437)는 무선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레귤레이터(438)는 DC 전원을 균일하게 만들고, 디지털 카드(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6은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60GHz, 70GHz, 80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한다.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메모리에서는 디지털 카드(100)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이러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에서 실행되는 절차를 시계열 순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카드(100)는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디지털 카드(100)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카드 결제로 블록체인 거래 장부가 생성된다. 디지털 카드(100)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200)의 카드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다수의 컴퓨터에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분산 저장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7은 디지털 카드(100)와 카드 단말기(200)의 인증 절차를 보인 예시도이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인증 처리하고,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키생성루틴(110)을 가지고, 키생성루틴(110)에 의해 업데이트된 비밀번호와 디지털 카드(100)의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를 인증하고, 디지털 카드(100)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카드 단말기(200)에 로그인하고, 키생성루틴(110)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고, 다음 로그인시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로 로그인한다.
카드 단말기(200)는 디지털 카드(100)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인증 처리하고,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키생성루틴(110)을 가지고, 키생성루틴(110)에 의해 업데이트된 비밀번호와 디지털 카드(100)의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를 인증한다.
디지털 카드(100)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카드 단말기(200)에 로그인하고, 키생성루틴(110)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고, 다음 로그인시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로 로그인한다.
디지털 카드(100)와 카드 단말기(200)의 인증 모듈은 로그인시 키생성루틴(110)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면서 인증 처리한다. 키생성루틴(110)은 시간값을 시드값으로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디지털 카드 110: 키생성루틴
200: 카드 단말기 300: 블록체인 서버
400: 초고속 통신 모듈 410: 디바이스 모듈
420: 디바이스 하드웨어 430: 디바이스 RF 모듈
531: 발진기 532: 증폭기
533: 정합 회로 534: 코일
435: 코일 436: 정합 회로
437: AC/DC 컨버터 438: 레귤레이터

Claims (7)

  1.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카드 결제된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카드 단말기(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카드(100);
    상기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블록체인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상기 디지털 카드(100)에 제공하는 카드 단말기(200); 및
    상기 카드 단말기(200)를 경유하는 상기 디지털 카드(100)의 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거래 장부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300)를 포함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드(100)는 상기 카드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초고속 통신 모듈(400); 및
    상기 초고속 통신 모듈(400)을 통해 상기 카드 단말기(2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 결과로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저장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200)는 상기 디지털 카드(100)와 통신하는 초고속 통신 모듈(500); 및
    상기 초고속 통신 모듈(500)을 통해 상기 디지털 카드(100)로부터 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요청에 따른 상기 블록체인 서버(300)에 카드 결제를 요청하여 생성되는 거래 장부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디지털 카드(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서(210)를 포함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상기 프로세서(120)와 연결되는 디바이스 모듈(410);
    상기 디바이스 모듈(410)의 하드웨어 계층에 정합하는 디바이스 하드웨어(420); 및
    상기 디바이스 하드웨어(420)에 무선 정합하는 디바이스 RF 모듈(430)을 포함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발진기(531), 증폭기(532), 정합 회로(533) 및 코일(534)로 구성된 무선 전원 공급 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발진기(531)는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고, 상기 증폭기(532)는 무선 주파수를 증폭하고, 상기 정합 회로(533)는 상기 코일(534)과 상기 증폭기(532) 사이의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상기 코일(534)은 무선 전원을 전송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통신 모듈(400)은 60GHz, 70GHz, 80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200)는 상기 디지털 카드(100)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인증 처리하고, 인증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는 키생성루틴(110)을 가지고, 상기 키생성루틴(110)에 의해 업데이트된 비밀번호와 상기 디지털 카드(100)의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를 인증하고,
    상기 디지털 카드(100)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상기 카드 단말기(200)에 로그인하고, 상기 키생성루틴(110)으로 비밀번호를 업데이트하고, 다음 로그인시 업데이트된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는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KR1020180035865A 2018-03-28 2018-03-28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KR20190113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865A KR20190113330A (ko) 2018-03-28 2018-03-28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865A KR20190113330A (ko) 2018-03-28 2018-03-28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330A true KR20190113330A (ko) 2019-10-08

Family

ID=6820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865A KR20190113330A (ko) 2018-03-28 2018-03-28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333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KR101837168B1 (ko) 2017-04-18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KR101837168B1 (ko) 2017-04-18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59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ocking FM transmit FM receiv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s using DDFS
US10128896B2 (en) Fully integrated complete multi-band RF frontend system integrated circuit (IC) chip
JP2015520555A (ja) 超広帯域周波数変調器
CN103107826B (zh) 一种多时隙收发信机及其规避同频干扰的方法
CN101090279A (zh) 无线收发器及其调制路径滞后校准方法
US10164766B1 (en) Advanced synchronization schemes for NFC card emulation mode, peer-to-peer mode and RFID tag design
WO2016014267A1 (en) Phase-modulated on-off keying for millimeter wave spectrum control
CN100414772C (zh) 用于形成天线方向图的方法和系统
EP0859459A1 (en) Phase-shift modulation of a direct antenna-driving VCO
JP4634428B2 (ja) Iq変調システム並びに個別的な位相パス及び信号パスを使用する方法
CN101855848B (zh) 时分双工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US9490966B2 (en) Frequency planning for digital power amplifier
CN103841062A (zh) 用于基于载波的系统中的双向通信的初始化序列
CN105024692A (zh) 具有双重锁相环的时钟产生电路
KR20190113330A (ko) 초고속 근접통신을 이용한 블록체인 단말송수신 장치
KR102092252B1 (ko) Usb 커넥터 프리 장치 및 방법
CN108075791B (zh) 无线发射机和无线通信芯片
CN202395808U (zh) 单点调制无线通信设备
US20150092636A1 (en) Single local oscillator architecture
RU2429566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хаотических радиоимпульсов и формирователь хаотических радиоимпульсов
US200802071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Multisystem Polar Transmitter
KR102543233B1 (ko) 주파수 체배 장치 및 주파수 체배 방법
US20080205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Phase Locked Loop for Upconversion in a Wideband Crystalless Polar Transmitter
KR100911821B1 (ko) Rfid 태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