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141A -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141A
KR20190113141A KR1020180035408A KR20180035408A KR20190113141A KR 20190113141 A KR20190113141 A KR 20190113141A KR 1020180035408 A KR1020180035408 A KR 1020180035408A KR 20180035408 A KR20180035408 A KR 20180035408A KR 20190113141 A KR20190113141 A KR 20190113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e suction
user
unit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502B1 (ko
Inventor
김선태
홍성주
최일환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가 배치된 시료흡입장치, 상기 시료흡입장치 다수개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모듈 및 상기 시료흡입모듈과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부 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냄새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후각에 의한 냄새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냄새를 흡입할 때,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ODOR EVALUATION DEVICE FOR MULTI SAMPLE SUCTION MODULE}
본 발명은 냄새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 각각의 냄새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냄새는 사람이 느끼는 감각으로써, 사람이 직접 평가한 사항이 중요하지만, 동일한 냄새에 대해서도 교육, 생활 수준, 심리적 상태 등에 따라 개인마다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타인은 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때도 의식적으로 냄새가 느껴진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악취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악취가 느껴지지 않는데도 악취가 느껴진다는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공공기관에서 처리하는 민원에 관련된 사항뿐만 아니라, 냄새 또는 향기를 이용한 사업 분야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아로마를 포함한 향기산업은 향수와 향초, 디퓨저 등의 방향제는 물론 스포츠 의학 및 이비인후과, 한방병원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냄새, 즉, 향기와 관련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냄새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시료를 최대한 순수하게 흡입하고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 10- 0692422호(2007.03.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후각에 의한 냄새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흡입된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가 배치된 시료흡입장치, 상기 시료흡입장치 다수개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모듈 및 상기 시료흡입모듈과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장치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가 배치되도록 수납부가 구비된 시료부, 상기 시료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외부공기가 상기 시료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필터부 및 상기 시료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료부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타측에 위치된 사용자의 코로 흡입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유체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는 상기 시료부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필터개폐막, 상기 시료부와 상기 유체유동부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시료개폐막 및 상기 유체유동부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고, 개방 시 외부공기가 유체유동부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며, 폐쇄 시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시료부를 통과한 공기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도록 유체개폐막이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부는 상기 시료흡입모듈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료흡입모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료흡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가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시료흡입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부에는 중공의 내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폐쇄 시에는 상기 시료흡입장치로부터 시료의 냄새가 유입되도록 구비된 외기개폐막 및 내부에 유동되는 시료의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코 주변의 피부와 밀착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끝단에 형성된 밀착부가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부의 하단은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에 구비된 유동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료흡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각각과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모듈과 상기 시료흡입부의 사이에는 유체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제어부는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상기 시료흡입부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며,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중단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상기 시료흡입부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유체제어막이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에서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사용자의 뇌파의 변화를 통해 각각의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시료의 냄새를 개별적으로 데이터화하도록 다중뇌파측정부를 포함하는 뇌파측정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는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후각에 의한 냄새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흡입된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흡입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의 유동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흡입장치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료흡입장치(100)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112)가 배치되도록 수납부(111)가 구비된 시료부(110), 상기 시료부(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외부공기가 상기 시료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필터부(120), 상기 시료부(1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료부(110)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타측에 위치된 사용자의 코로 흡입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유체유동부(13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흡입장치(100)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112)가 배치되도록 수납부(111)가 구비된 시료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료부(11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사용자에게 냄새를 공급하도록 시료(112)가 배치된다. 상기 시료부(110)의 내측면에서는 시료(112)가 고정되도록 수납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111)에 의해서 시료(112)가 고정된다. 상기 시료(112)의 고정방법은 다양하게 적용가능하고 시료(112)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용기에 담기거나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112)의 종류는 기상, 액상 또는 고상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시료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시료(112)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료(112)의 냄새가 공급된다.
또한, 시료부(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외부공기가 시료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필터부(12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부(120)의 내부에는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시료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에 의해서 걸러져 상기 시료부(110)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20)에 의해서 걸러진 외부공기가 상기 시료부(110)를 지나 사용자에게 공급되므로 외부환경의 영향이 최소화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20)는 불필요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냄새의 흡착력이 강하고, 기체나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활성탄 등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어 외부공기 중 불필요한 냄새가 제거된 공기만을 상기 시료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코로 흡입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유체유동부(13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체유동부(130)는 상기 시료부(1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료부(110)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타측에 위치된 사용자의 코로 흡입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유체유동부(130)의 타측으로 흡입하면 상기 필터부(120)로부터 유동된 공기가 상기 시료부(110)를 지나 상기 유체유동부(130)를 통해 냄새가 공급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필터개폐막(15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개폐막(150)은 상기 시료부(110)와 상기 필터부(120)의 사이에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코를 통해 상기 유체유동부(130)의 타측에서 흡입하게 되면, 상기 시료부(110)와 상기 필터부(120) 사이에 구비된 상기 필터개폐막(150)은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코로 냄새가 공급되고,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력을 제거하면, 상기 필터개폐막(150)은 탄성에 의해서 일측으로 되돌아가며 사용자의 코로 공급되던 냄새가 차단된다.
상기 필터개폐막(150)은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시료부(110)와 상기 필터부(120)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서 작동하는 구조로,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시료부(110)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서 상기 필터개폐막(150)이 상기 시료부(110)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력을 제거하면 상기 필터개폐막(150)의 타측에 위치된 복원스프링(162)에 의해서 본래의 자리로 이동하며 공간을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유체개폐막(170)의 개폐원리는 하기에서 언급될 시료개폐막(160)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시료개폐막(160)의 구조를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시료개폐막(16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료개폐막(160)은 상기 시료부(110)와 상기 유체유동부(130)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코를 통해 상기 유체유동부(130)의 타측에서 흡입하게 되면, 상기 유체유동부(130)와 상기 시료부(11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시료개폐막(160)은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코로 냄새가 공급되고,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력을 제거하면, 상기 시료개폐막(160)은 탄성에 의해서 일측으로 되돌아가며 사용자의 코로 공급되던 냄새가 차단된다.
상기 시료개폐막(160)은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유체유동부(130)와 상기 시료부(110)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서 작동하는 구조로 개폐막(161) 및 복원스프링(16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막(161)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막(161)을 일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복원스프링(162)의 타측에도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복원스프링(162)을 타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유체유동부(130)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서 상기 개폐막(161)이 상기 유체유동부(130)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력을 제거하면 상기 개폐막(161)의 타측에 위치된 복원스프링(162)에 의해서 본래의 자리로 이동하며 공간을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외부공기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도록 유체개폐막(17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체개폐막(170)은 상기 유체유동부(13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고, 개방 시 외부공기가 유체유동부(130)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며, 폐쇄 시 상기 필터부(120) 및 상기 시료부(110)를 통과한 공기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체개폐막(170)을 개폐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시료(112)로부터 공급된 냄새를 흡입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의 유동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200)은 상기 시료흡입장치가 다수개 포함되고, 다수의 시료가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모듈(211) 및 상기 시료흡입모듈(211)과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부(22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시료흡입모듈(200)은 다수의 시료가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모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은 상기 시료흡입장치 다수개가 본체부(211)에 수납되도록 구비되고, 다수의 시료가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은 다수개의 시료흡입장치가 본체부(211)에 수납되어 구성되고, 각각의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부에 각각 시료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을 통해 다수의 시료를 별도의 교체없이 코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하도록 시료흡입부(22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료흡입부(220)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과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시료의 냄새가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외기개폐막(221)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기개폐막(221)은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폐쇄 시에는 상기 시료흡입장치로부터 시료의 냄새가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외기개폐막(221)을 제어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시료의 냄새를 흡입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료흡입부(220)의 끝단에는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코 주변의 피부와 밀착된 밀착부(222)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밀착부(222)는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되는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코 주변의 피부와 밀착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부(222)는 사용자의 코의 주위 피부에 밀착가능하도록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테이퍼진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코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시료부(도 1 의 110) 및 유체유동부(도 1 의 130)를 지나 사용자의 코로 상기 시료(도 1 의 112)의 냄새가 공급된다.
또한, 시료흡입모듈(2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료흡입부(220)를 회전시켜 시료의 냄새가 시료흡입부(2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료흡입부(220)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중심부를 회전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가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을 구성하는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에는 내부의 시료로부터의 냄새가 포함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유동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홀(213)은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하단과 결합되어 시료로부터의 냄새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시료흡입부(220)에 위치한 사용자의 코로 흡입된다.
또한, 상기 시료흡입부(220)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므로, 일측에 위치된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시료로부터의 냄새를 흡입한 후 다른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으로 상기 시료흡입부(220)를 회전 및 결합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시료로부터의 냄새를 다시 흡입할 수 있고, 또 다른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으로 상기 시료흡입부(220)를 회전 및 결합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시료로부터의 냄새를 다시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시료흡입모듈(211)과 시료흡입부(220)의 사이에는 유체제어부(23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체제어부(230)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과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사이에는 유체제어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상기 시료흡입부(220)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며,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중단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상기 시료흡입부(220)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제어본체(231)의 일측에 유체제어막(232)이 구비된다.
즉, 상기 유체제어부(230)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어본체(231)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본체(231)는 상기 시료흡입모듈(211)과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흡입부(220)를 통해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의 흡입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내부에 냄새분자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유체제어부(230)를 지나 상기 시료흡입부(220)에 위치된 사용자의 코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체제어부(230)는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에 구비된 유동홀(213)과 결합되는 유체제어막(232)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유체제어부(2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에 구비된 유동홀(213)과 상기 시료흡입부(220)의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제어부(230)의 하단에 구비된 시료흡입모듈(211)에는 다수의 시료흡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각각의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에 구비된 유동홀(213)에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제어부(230)에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대응되어 다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흡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결합시켜 상기 유체제어막(232)에 의해서 상기 시료흡입장치 내부의 냄새가 상기 유체흡입부를 통해 사용자의 코로 공급 또는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체제어막(232)이 개방되면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수 있고, 상기 유체제어막(232)이 폐쇄되면 상기 시료흡입장치로부터 시료의 냄새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료흡입부(220)를 회전시켜 필요한 시료의 냄새를 개별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개방되고, 흡입력을 제거하면 폐쇄되도록 유체제어막(232)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상기 시료의 냄새가 공급 또는 중단되도록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개방되고, 흡입력을 제거하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으로 인한 상기 시료흡입부(220)와 상기 시료흡입장치 간의 압력 차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된다.
사용자가 코를 통해 공기를 들여마시면 상기 시료흡입부(220) 내의 압력이 이와 연통된 상기 시료흡입장치 내의 압력보다 낮아지고 이로 인해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료흡입장치 내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분자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시료흡입부(220)로 유동되어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력을 차단하면 상기 시료흡입부(220) 내의 압력이 복귀되며 상기 유체제어막(232)은 복원스프링(162)에 의해서 제자리로 이동되며 시료의 냄새분자가 포함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상기 유체제어막(232)의 개폐원리는 상기에서 언급된 시료개폐막(160)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발명에 따른 시료흡입장치(211) 및 다중시료흡입모듈(200)은 필터부(120)의 필터에 의해 걸러진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시료의 냄새를 흡입함으로써, 비교적 외부의 영향을 차단하고 순수한 시료의 냄새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시료흡입모듈(210)이 구비되어 별도의 교체 작업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다수의 시료의 냄새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영향을 최소화하므로, 사용자의 후각에 의한 냄새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흡입된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흡입장치(211) 및 다중시료흡입모듈(200)을 통해 감성 평가 등과 같은 다른 측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측정 시료흡입장치 및 뇌파측정 다중시료흡입모듈은 사용자가 시료흡입장치 또는 다중시료흡입모듈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 흡입 시 뇌파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뇌파측정 시료흡입장치는 시료흡입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사용자의 뇌파의 변화를 통해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데이터화하도록 뇌파측정부(1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상기 뇌파측정부(180)를 통해 뇌파를 측정하여 변화된 뇌파를 데이터화하여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파측정 다중시료흡입모듈은 다중시료흡입모듈(200)에서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사용자의 뇌파의 변화를 통해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데이터화하도록 다중뇌파측정부(2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상기 다중뇌파측정부(240)를 통해 뇌파를 측정하여 변화된 뇌파를 데이터화하여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11: 시료흡입장치
110: 시료부
111: 수납부
112: 시료
120: 필터부
130: 유체유동부
150, 212: 필터개폐막
160: 시료개폐막
161: 개폐막
162: 복원스프링
170: 유체개폐막
180: 뇌파측정부
200: 다중시료흡입모듈
210: 시료흡입모듈
211: 본체부
213: 유동홀
220: 시료흡입부
221: 외기개폐막
222: 밀착부
230: 유체제어부
231: 제어본체
232: 유체제어막
240: 다중뇌파측정부

Claims (8)

  1.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가 배치된 시료흡입장치;
    상기 시료흡입장치 다수개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에 수납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모듈; 및
    상기 시료흡입모듈과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를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하도록 구비된 시료흡입부;
    를 포함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장치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시료가 배치되도록 수납부가 구비된 시료부;
    상기 시료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외부공기가 상기 시료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필터부; 및
    상기 시료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료부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타측에 위치된 사용자의 코로 흡입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유체유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장치는,
    상기 시료부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필터개폐막;
    상기 시료부와 상기 유체유동부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코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기가 유동되도록 시료개폐막; 및
    상기 유체유동부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고, 개방 시 외부공기가 유체유동부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며, 폐쇄 시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시료부를 통과한 공기가 사용자의 코로 전달되도록 유체개폐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부는 상기 시료흡입모듈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료흡입모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시료흡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에 구비된 시료의 냄새가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시료흡입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부에는,
    중공의 내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개방 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폐쇄 시에는 상기 시료흡입장치로부터 시료의 냄새가 유입되도록 구비된 외기개폐막; 및
    내부에 유동되는 시료의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코 주변의 피부와 밀착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끝단에 형성된 밀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부의 하단은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상단에 구비된 유동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료흡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시료흡입장치의 각각과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흡입모듈과 상기 시료흡입부의 사이에는 유체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제어부는 사용자가 코를 통해 흡입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상기 시료흡입부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며, 사용자가 코를 통한 흡입중단 시 상기 시료흡입장치와 상기 시료흡입부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유체제어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 항에 따른, 상기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시료의 냄새를 흡입할 때, 사용자의 뇌파의 변화를 통해 각각의 시료의 냄새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시료의 냄새를 개별적으로 데이터화하도록 다중뇌파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측정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KR1020180035408A 2018-03-27 2018-03-27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KR10212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08A KR102125502B1 (ko) 2018-03-27 2018-03-27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08A KR102125502B1 (ko) 2018-03-27 2018-03-27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141A true KR20190113141A (ko) 2019-10-08
KR102125502B1 KR102125502B1 (ko) 2020-06-22

Family

ID=6820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08A KR102125502B1 (ko) 2018-03-27 2018-03-27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878A (zh) * 2020-07-31 2020-10-27 浦易(上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气味释放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422B1 (ko) 1999-03-03 2007-03-09 옵티노즈 에이에스 코 내부로 물질을 전달하는 장치
KR20070045721A (ko) * 2005-10-28 200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의 냄새 관능측정장치
JP4245274B2 (ja) * 1998-02-27 2009-03-25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試験標本の作成装置及び作成方法
JP2011075389A (ja) * 2009-09-30 2011-04-14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気体提示装置及び気体提示方法
JP5851054B2 (ja) * 2013-02-04 2016-02-03 大韓民国環境部国立環境科学院Republic Of Korea(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ガス状試料捕集装置
KR20160051038A (ko) * 2014-10-31 2016-05-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후각 기능 평가 방법 및 장치
JP2016129577A (ja) * 2015-01-14 2016-07-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嗅覚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5274B2 (ja) * 1998-02-27 2009-03-25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試験標本の作成装置及び作成方法
KR100692422B1 (ko) 1999-03-03 2007-03-09 옵티노즈 에이에스 코 내부로 물질을 전달하는 장치
KR20070045721A (ko) * 2005-10-28 200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의 냄새 관능측정장치
JP2011075389A (ja) * 2009-09-30 2011-04-14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気体提示装置及び気体提示方法
JP5851054B2 (ja) * 2013-02-04 2016-02-03 大韓民国環境部国立環境科学院Republic Of Korea(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ガス状試料捕集装置
KR20160051038A (ko) * 2014-10-31 2016-05-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후각 기능 평가 방법 및 장치
JP2016129577A (ja) * 2015-01-14 2016-07-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嗅覚検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878A (zh) * 2020-07-31 2020-10-27 浦易(上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气味释放装置
CN111820878B (zh) * 2020-07-31 2023-08-01 浦易(上海)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气味释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502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249B2 (en) Cannabis drug detection device
JP6903574B2 (ja) 検体を測定するための低コストテストストリップ及び方法
US9801581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bilateral differential in olfactory threshold for pure odorants
JP6666327B2 (ja) 純粋嗅剤に対する嗅覚検知閾値の左右差を検知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
JP4472533B2 (ja) 診断用ガス分析装置
US11986310B2 (en) Olfactory test systems and methods
US2019014232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olfactory sensitivity
CN109310368A (zh) 用于捕获呼吸样本的系统和设备
RU264509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плазмы от крови для оценки содержания билирубина
JP4926136B2 (ja) 呼気センシング装置
JP2013504074A5 (ko)
AU201434028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bilateral differential in olfactory threshold for pure odorants
Shajari et al. MicroSweat: A wearable microfluidic patch for noninvasive and reliable sweat collection enables human stress monitoring
US11029295B2 (en) Voctron: a low weight portable air sampling device
CN104939831B (zh) 从受试者的呼出气中收集样本的系统和方法及其用途
DE502004000946D1 (de) Einwegkassette mit integriertem Flüssigkeitsbehälter
KR20190113141A (ko) 다중시료흡입모듈을 이용한 냄새평가장치
CZ301234B6 (cs) Zarízení na zkoušení sterilizátoru
KR101910017B1 (ko) 호기 분석을 통한 질병진단장치
KR102061138B1 (ko) 냄새 강도 평가용 후각 강도 인지장치
KR102404140B1 (ko)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Morales Loro Chamber design of a portable breathalyzer for disease diagnosis
US20240230624A9 (en) Breath capture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101934194B1 (ko) 체내 이물질 수동 흡입 장치
WO2016166623A1 (en) Cannabis drug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