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885A -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885A
KR20190112885A KR1020180034776A KR20180034776A KR20190112885A KR 20190112885 A KR20190112885 A KR 20190112885A KR 1020180034776 A KR1020180034776 A KR 1020180034776A KR 20180034776 A KR20180034776 A KR 20180034776A KR 20190112885 A KR20190112885 A KR 2019011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scores
answer
sound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751B1 (ko
Inventor
김준호
윤창호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주)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스 filed Critical (주)주스
Priority to KR102018003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7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은 좀 더 정확하게 청음평가를 할 수 있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음평가방법은,
저장되어 있는 청음곡을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악보를 입력받는 단계; 평가모듈에 의해 상기 답안악보를 기초로 하여 청음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모듈에 의해,
상기 청음곡에 대응하는 문제악보 및 답안악보로부터 각각의 평가요소를 추출하여 시간프레임에 따라 각 음의 평가요소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하나의 악보를 기준으로 '가'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진 'A'음을 다른 악보에서 찾아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가' 다음 순서의 '나'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지며 시간프레임상 'A'음보다 뒤에 배열되는 'B'음을 다른 악보에서 검출하여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의 마지막까지 동일한 음을 찾아 배열하여 가장 긴 최장배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상기 최장배열에 속하는 음 또는 상기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평가를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가 별도 연주자 없이도 혼자 청음학습을 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에 의해 정확하게 자신의 답안을 평가받을 수 있어 학습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Automated estimation method for music dictation and estim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좀 더 정확하게 청음평가를 할 수 있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청음(music dictation)은 리듬이나 멜로디, 하모니 등을 듣고 그것을 악보에 받아쓰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단선율 또는 2~4성의 짧은 악곡을 부르거나 연주하는 것을 듣고 5선보에 받아쓰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청음은 음악의 기초훈련으로서 중요한 교육방법 중 하나이며, 음악대학 입학시험에서 청음을 시험과목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청음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피아노 등의 악기를 이용하여 연주를 해주고 학생이 그것을 받아적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 개인레슨으로 이루어져 학생은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다.
이러한 이유로 온라인상에서 청음학습을 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출원번호 제10-2001-0051952호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청음교육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학습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청음문제를 청취하고 이에 대한 악보를 오선지 등에 기보하게 되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답악보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음에서 중요한 것은 학습자가 어느 부분이 약한지를 집어주는 과정인데 위 특허에 의하면 단지 정답악보만 보여주어 정답확인만 하게 할 뿐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학습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학습자가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고 어느 부분이 약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음평가방법은,
저장되어 있는 청음곡을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악보를 입력받는 단계; 평가모듈에 의해 상기 답안악보를 기초로 하여 청음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모듈에 의해,
상기 청음곡에 대응하는 문제악보 및 답안악보로부터 각각의 평가요소를 추출하여 시간프레임에 따라 각 음의 평가요소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하나의 악보를 기준으로 '가'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진 'A'음을 다른 악보에서 찾아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가' 다음 순서의 '나'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지며 시간프레임상 'A'음보다 뒤에 배열되는 'B'음을 다른 악보에서 검출하여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의 마지막까지 동일한 음을 찾아 배열하여 가장 긴 최장배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상기 최장배열에 속하는 음 또는 상기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평가를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평가모듈은,
동일한 길이의 최장배열이 복수 개가 추출된 경우,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을 기준으로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상기 문제악보 및 답안악보를 비교하여 같은 평가요소를 가진 음의 개수를 검출하여 휴리스틱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휴리스틱값이 가장 작은 최장배열을 기준으로 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가 별도 연주자 없이도 혼자 청음학습을 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에 의해 정확하게 자신의 답안을 평가받을 수 있어 학습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누적된 평가데이터에 의해 학습자의 약점이나 중점정으로 학습해야 할 점 등을 알 수 있으므로 학습자는 효과적으로 청음학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음평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제악보와 답안악보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평가모듈에 의한 동일 음높이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 및 도 5는 최장배열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휴리스틱값의 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청음평가시스템은 청음서버(100) 및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청음서버 및 사용자단말기는 모두 컴퓨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청음서버(100)는 곡DB(110), 회원관리모듈(120), 평가모듈(130),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은 각 사용자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휴대전화번호, 평가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모듈은 사용자단말로부터 접속시도가 있는 경우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이나 로그아웃 등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청음평가이력인 평가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곡DB(110)에는 청음용 음원이 저장된다. 상기 곡DB(110)에는 장르별로 청음곡 음원 및 해당 악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특정 음높이나 박자별로 곡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난이도별로 나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답안악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평가모듈에서 빠르게 평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청음시작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150)에서는 곡DB(110)를 검색하여 적절한 청음곡을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준다. 이와 함께, 사용자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오선지를 표시하여 주고 사용자로부터 답안악보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청음곡을 들으면서 입력부를 통해 답안악보를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답안악보의 입력을 마치고 입력완료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악보가 청음서버로 전송되어 청음평가가 시작된다.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모듈(130)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답안악보를 각 음마다 분할하여 평가요소를 배열한다. 상기 평가요소는 음높이, 박자, 음정 등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음높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평가모듈(130)에서는 곡DB(110)를 검색하여 청음곡에 대응하는 문제악보 및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악보에서 각각의 음높이를 추출하여 시간프레임에 따라 음을 배열하게 된다.
즉, 도 2에서 문제악보의 음높이는
C5,G6,F#5,G5,F5,E5,C5,F5,D5,C5,A6,C5,E5,G5,F5,E5,C5,F5,D5,C5,A6가 되고,
답안악보의 음높이는
C5,G6,F5,G5,E5,D5,C5,F6,E5,D5,A6,C5,E5,G5,D5,C5,F5,E5,D5,A6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평가모듈(130)에서는 문제악보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어느 한 음의 음높이와 답안악보의 음높이를 비교하여 동일한 음높이를 가진 음을 답안악보에서 검출한다. 이때, 문제악보와 답안악보의 비교는 시간순서대로 한다.
즉, 도 2에서 첫 음인 C5를 '가'음이라고 하면, 답안악보에서 시간프레임에 따라 C5와 동일한 'A'음을 찾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답안악보에서도 가장 첫 음의 음높이가 C5이므로 이 음이 'A'음이 된다.
이후, 문제악보에서 다음 음을 '나'음이라고 하면 '나'음의 음높이는 G6가 되고, 답안악보에서 G6의 음높이를 가진 'B'음을 검출한다. 도 3에서 답안악보의 두번째 음의 음높이가 G6이므로 두번째 음이 'B'음이 된다.
다음, 세번째 음의 음높이는 F#5인데, 답안악보에는 동일한 음이 없으므로 평가모듈에서는 네번째 음으로 넘어간다.
이러한 식으로 문제악보와 답안악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음높이의 음을 검출하여 검출된 음을 배열한다. 두 악보의 비교는 시간프레임순으로 하고 악보의 마지막에 도달하면 검출을 종료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렇게 검출된 배열은
C5,G6,G5,E5,C5,F5,D5,C5,A6이다.
한편, 평가모듈(130)에서는 각 음마다 모두 동일한 음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각 음마다 동일한 음을 검출하지 않고 다음 음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거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음들은 큰 의미가 없으므로 생략하고 도 3에서 '자'음(C5)과 동일한 음이 검출되지 않고 다음 음(A6)으로 넘어가서 동일한 음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렇게 검출된 배열은
C5,G6,G5,E5,C5,F5,D5,A6,C5,E5,G5,F5,E5,D5,A6이다.
도 3과 비교하여 배열의 길이가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평가모듈에서는 이렇게 각 음에 대하여 동일한 음의 검출과 생략을 반복하면서 모든 경우에 대하여 검출된 배열을 저장한다. 또한, 문제악보를 기준으로 동일 높이음 배열을 검출한 다음에는 답안악보를 기준으로 동일한 과정으로 검출된 배열을 저장한다.
각 음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동일한 음의 검출과 생략을 하므로 음의 개수가 많아질 수록 경우의 수가 매우 많아져 평가모듈에 의한 검출과정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검출시간을 줄이기 위해 특정음의 시간프레임 상에서 일정 시간프레임 이상 떨어진 음은 검출을 생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음높이의 검출은 인접한 3개의 음에서만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배열의 예를 나타낸다.
C5,G6,G5,E5,C5,F5,D5,A6,C5,E5,G5,F5,E5,D5,A6
C5,G6,G5,E5,C5,F5,D5,A6,C5,E5,G5,C5,F5,D5,A6
상기 배열은 검출된 배열 중 가장 긴 배열로서 평가모듈에서는 검출된 배열 중 길이가 가장 긴 최장배열을 추출한다.
최장배열은 복수 개가 추출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길이의 최장배열이 복수 개가 추출된 경우 평가모듈은 각 최장배열에서 휴리스틱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평가모듈(130)에서는 우선 문제악보를 기준으로 하여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에 대해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답안악보의 음과 음높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문제악보의 음높이와 답안악보의 음높이가 동일하면 휴리스틱값을 1 증가시키고, 다르면 휴리스틱값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즉, 도 6에서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첫 음의 음높이인 F#5와 동일한 시간프레임에 속하는 답안악보의 음의 음높이를 비교한다. 답안악보의 음높이는 F5로 다르므로 휴리스틱값을 0으로 유지한다.
다음,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두번째 음의 음높이인 G5와 동일한 시간프레임에 속하는 답안악보의 음의 음높이를 비교한다. 답안악보의 음높이는 G5로 동일하므로 휴리스틱값을 1로 증가시킨다.
4번음의 경우 음높이가 C5이고,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답안악보 음은 전 시간프레임의 음(11번)이 연장된 것으로 보므로 동일한 C5로 계산되어 휴리스틱값을 2로 증가시킨다.
5번음의 경우도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문제악보의 음높이와 답안악보의 음높이가 F5로 동일하므로 휴리스틱값을 3으로 증가시킨다.
평가모듈(130)에서는 문제악보를 기준으로 하여 휴리스틱값을 산출한 후에 다시 답안악보를 기준으로 하여 휴리스틱값을 산출한다.
답안악보를 기준으로 7번음의 경우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답안악보와 문제악보의 음높이가 G5로 동일하므로 휴리스틱값은 4로 증가한다.
다른 음들은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음높이가 동일한 것이 없으므로 본 최장배열의 휴리스틱값은 4가 된다.
도 7의 경우 같은 방법으로 하면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동일한 음높이가 없으므로 휴리스틱값은 0이 된다.
평가모듈(130)에서는 각 최장배열의 휴리스틱값을 산출한 후에 휴리스틱값이 가장 작은 최장배열을 최종선택하고 선택된 최장배열을 기준으로 평가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평가모듈(130)에서는
정답률 = 최장배열의 원소개수 / 문제악보 음표의 개수 X 100
으로 계산하여 저장하며,
문제악보에서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을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약한 부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음서버에 곡DB 및 평가모듈이 저장되어 청음평가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곡DB 및 평가모듈은 하나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모두 설치되어 청음평가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평가요소를 음높이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평가요소를 박자 또는 음정으로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청음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청음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청음시작버튼을 누르면 청음시작신호가 청음서버로 전송되고, 청음서버의 제어부에서는 곡DB에서 청음곡을 검색하여 청음곡을 사용자단말기로 송출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오선지를 표시하여 주고 사용자로부터 답안악보를 입력받도록 대기한다.
사용자는 청음곡을 들으면서 사용자단말기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답안악보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이 완료되면 답안악보는 청음서버로 전송된다.
청음서버의 평가모듈에서는 상기 청음곡에 대응하는 문제악보 및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답안악보에서 평가요소를 추출한다. 또한, 시간프레임에 따라 평가요소를 배열한다. 이렇게 배열된 평가요소를 기초로 LCS(최장공통부분수열)를 검출할 수 있다.
평가모듈에서는 문제악보를 기준으로 하나의 음에 대한 평가요소를 답안악보의 음과 비교하여 동일한 평가요소가 있는 음을 검출한다. 이때, 각 음마다 검출을 하거나 검출을 생략하고 다음 음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문제악보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가요소 검출이 끝나면, 이번에는 답안악보를 기준으로 동일하게 검출한다.
평가도뮬에서는 검출된 음을 배열하여 가장 긴 최장배열을 추출하고, 최장배열이 복수 개 있을 경우에는 각 최장배열마다 휴리스틱값을 산출한다. 그 결과 휴리스틱값이 가장 낮은 최장배열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최장배열을 기준으로 청음평가를 수행한다.
이렇게 수행된 청음평가 결과는 사용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청음서버 110 : 곡DB
120 : 회원관리모듈 130 : 평가모듈
140 ; 인터페이스부 150 : 제어부
3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4)

  1. 평가모듈을 가진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음평가방법은,
    상기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청음곡을 송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악보를 입력받는 단계;
    평가모듈에 의해 상기 답안악보를 기초로 하여 청음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청음곡에 대응하는 문제악보 및 답안악보로부터 각각의 평가요소를 추출하여 시간프레임에 따라 각 음의 평가요소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하나의 악보를 기준으로 '가'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진 'A'음을 다른 악보에서 검출하여 배열하되, 동일하지 않은 시간프레임에서 상기 'A'음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의 마지막까지 동일한 음을 검출하여 배열하는 단계;
    검출된 음의 배열에 기초하여 평가를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하나의 악보를 기준으로 '가'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진 'A'음을 다른 악보에서 찾아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가' 다음 순서의 '나'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지며 시간프레임상 'A'음보다 뒤에 배열되는 'B'음을 다른 악보에서 검출하여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의 마지막까지 동일한 음을 찾아 배열하여 가장 긴 최장배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상기 최장배열에 속하는 음 또는 상기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평가를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모듈은,
    동일한 길이의 최장배열이 복수 개가 추출된 경우,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최장배열에 속하지 않는 음을 기준으로 동일한 시간프레임에서 상기 문제악보 및 답안악보를 비교하여 같은 평가요소를 가진 음의 개수를 검출하여 휴리스틱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휴리스틱값이 가장 작은 최장배열을 기준으로 평가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4. 컴퓨터를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청음평가시스템은,
    저장되어 있는 청음곡을 전송하는 스피커;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악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답안악보를 기초로 하여 청음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청음곡에 대응하는 문제악보 및 답안악보로부터 각각의 평가요소를 추출하여 시간프레임에 따라 각 음의 평가요소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 중 하나의 악보를 기준으로 '가'음의 평가요소와 동일한 평가요소를 가진 'A'음을 다른 악보에서 검출하여 배열하되, 동일하지 않은 시간프레임에서 상기 'A'음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문제악보 또는 답안악보의 마지막까지 동일한 음을 검출하여 배열하는 단계;
    검출된 음의 배열에 기초하여 평가를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평가시스템.
KR1020180034776A 2018-03-26 2018-03-26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KR10209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76A KR102098751B1 (ko) 2018-03-26 2018-03-26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76A KR102098751B1 (ko) 2018-03-26 2018-03-26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85A true KR20190112885A (ko) 2019-10-08
KR102098751B1 KR102098751B1 (ko) 2020-04-20

Family

ID=6820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776A KR102098751B1 (ko) 2018-03-26 2018-03-26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8064A (zh) * 2021-04-06 2021-06-04 江苏省南京工程高等职业学校 一种语文教学用听写装置
KR20220064716A (ko) * 2020-11-12 2022-05-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래 부르기를 기반으로 청능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751A (ja) * 1996-09-03 1998-03-24 C V Mitsukusu:Kk 音楽学習装置及び音楽学習方法
JP2001100630A (ja) * 1999-09-30 2001-04-1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聴音訓練装置
JP2001242863A (ja) * 1999-12-24 2001-09-07 Yamaha Corp 演奏評価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KR20120034486A (ko) * 2010-10-01 2012-04-12 김부전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751A (ja) * 1996-09-03 1998-03-24 C V Mitsukusu:Kk 音楽学習装置及び音楽学習方法
JP2001100630A (ja) * 1999-09-30 2001-04-1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聴音訓練装置
JP2001242863A (ja) * 1999-12-24 2001-09-07 Yamaha Corp 演奏評価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KR20120034486A (ko) * 2010-10-01 2012-04-12 김부전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16A (ko) * 2020-11-12 2022-05-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래 부르기를 기반으로 청능 훈련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908064A (zh) * 2021-04-06 2021-06-04 江苏省南京工程高等职业学校 一种语文教学用听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751B1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lossmann et al. The Magaloff project: An interim report
AU2009212869B2 (en) Electronic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teaching and examining music and other subjects
Pardue et al. A low-cost real-time tracking system for violin
CN110070847B (zh) 乐音测评方法及相关产品
CN104063443A (zh) 搜索结果的提供方法和装置
Bozkurt et al. A dataset and baseline system for singing voice assessment
Weiss et al. Motion types of ancillary gestures in clarinet playing and their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musical performance
KR102098751B1 (ko) 자동화된 청음평가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청음평가시스템
Ycart et al. Investigating the perceptual validity of evaluation metrics for automatic piano music transcription
Köktürk-Güzel et al. Automatic assessment of student rhythmic pattern imitation performances
KR20090000103A (ko)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과 음파장을 이용한 평가시스템
Zabanal A survey of collegiate string musicians’ use of drone accompaniment to improve intonation
CN110890095A (zh) 语音检测方法、推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Asahi et al. Toward a high performance piano practice support system for beginners
Matsubara et al. CROCUS: Dataset of Musical Performance Critiques Relationship between Critique Content and Its Utility
CN112201100A (zh) 一种中小学艺术素质测评中音乐演唱评分系统和方法
KR20090000662A (ko) 언어 학습 시스템
Jylhä et al. Sonic handprints: person identification with hand clapping sounds by a model-based method
Löbbers et al. Seeing sounds, hearing shapes: a gamified study to evaluate sound-sketches
KR102269819B1 (ko) 악기 연주 연습 장치
KR102569219B1 (ko) 악기 연주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zhambazov et al. Sing master: an intelligent mobile game for teaching singing
KR102532811B1 (ko) 악보 제작 기능을 포함하는 음악 레슨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Rho et al. Automatic piano tutoring system using consumer-level depth camera
Cheng et a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for real time musical analysis and sight-reading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