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662A - 언어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어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662A
KR20090000662A KR1020070026235A KR20070026235A KR20090000662A KR 20090000662 A KR20090000662 A KR 20090000662A KR 1020070026235 A KR1020070026235 A KR 1020070026235A KR 20070026235 A KR20070026235 A KR 20070026235A KR 20090000662 A KR20090000662 A KR 2009000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sentence
image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옥
Original Assignee
장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옥 filed Critical 장성옥
Priority to KR102007002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662A/ko
Publication of KR2009000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 G06V30/2268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stroke segmentation
    • G06V30/227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stroke segmentation with lexical matc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 학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자의 단어 또는 문장 발음을 입력받아 이를 평가함으로써, 외국어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어 학습 게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학습자의 선택명령에 따라 이미지 또는 문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거나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 및 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이미지 또는 문장을 제시하고, 그에 대응되는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평가함으로써,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언어, 학습용 게임, 회화, 음성인식

Description

언어 학습 게임 및 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Speech studying game and system using the g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이 탑재된 학습자 컴퓨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언어 학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자의 단어 또는 문장 발음을 입력받아 이를 평가함으로써, 외국어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어 학습 게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언어 학습은 학습지, 학습 내용이 저장된 미디어 또는 학원의 수강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나, 인터넷과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 증가로 인터넷과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한 사이버 강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학습자가 즐겁게 게임을 즐기면서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게임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언어 학습용 게임은 주로 CD와 같은 저장 매체로 제공되는데, 대부분의 학습용 게임은 타이핑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학습용 게임은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제공하고, 학습자는 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답을 입력하며, 이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외국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 생각이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말하기 학습과 상대방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듣기 학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이핑 방식의 언어 학습은 단어 또는 문법의 공부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자신이 숙지하고 있는 언어를 구사하거나 들을 수 있는 회화 학습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학습자에게 이미지 또는 문장을 제시하고, 그에 대응되는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평가함으로써,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문제에 해당하는 문장의 단어들을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문장화하여 말하게 함으로써, 말하기 능력과 동시에 문법 학습도 동시에 할 수 있는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학습자의 컴퓨터 즉, 퍼스널 컴퓨터에 탑재되어 구동될 수 있다. 학습자가 자신의 컴퓨터 즉 학습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언어 학습 게임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학습자 컴퓨터는 언어 학습 게임을 실행하고, 언어 학습 게임은 표시수단으로 학습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학습자에게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의 선택을 요청한다.
이에 학습자가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 정보를 입력하면, 언어 학습 게임은 해당 선택정보에 따라 단어 학습을 위한 그래픽 이미지 또는 문장 학습을 위한 문장을 학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컴퓨터에 구비된 음성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학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그래픽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을 읽게 되며, 언어 학습 게임은 해당 학습자의 답변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답변 음성 신호가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과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학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학습자의 답변 음성이 정확할 경우 언어 학습 게임은 이를 카운팅하는 한편 다음 스텝의 그래픽 이미지 또는 문장을 제공하고, 답변 음성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해당 그래픽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학습자 컴퓨터에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여 학습자가 정확한 발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학습자가 언어의 말하기 학습과 동시에 문법 학습도 할 수 있도록 문장 학습 선택시 제공되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를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인식하여 답변 음성을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말하기 학습은 물론 불규칙적으로 나열된 단어로 구성되는 문장을 유추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하여 말하기와 문법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학습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획득한 스코어에 따른 랭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학습자가 인터넷과 연결된 학습자 컴퓨터를 통해 학습 서버에 접속하고, 획득한 스코어 정보를 제공하면, 학습 서버는 해당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 수신된 다수의 학습자별 스코어 정보와 비교하여 랭킹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랭킹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의 언어 학습을 통한 실력 향상을 다른 학습자와 비교할 수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랭킹에 따라 언어 학습 게임 제공사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이 탑재된 학 습자 컴퓨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이 탑재된 학습자 컴퓨터(10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와 같은 표시수단(110)과 학습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입력 수단(120)과, 컴퓨터의 기본 구성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언어 학습 게임은 CD 또는 이동식 저장 장치와 같이 스토리지 매체로 제공되어 학습자 컴퓨터(1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저장되는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와, 다수의 언어 학습용 문장이 저장되는 문장 데이터베이스(140)와, 그래픽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과 대응되는 음성 신호가 저장되는 음성 신호 데이터베이스와, 언어 학습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표시수단(110)을 통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 정보에 따라 해당 이미지 또는 문장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학습자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게임 진행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 및 문장 데이터베이스(140)는 학습자 컴퓨터(100)의 저장수단에 구현될 수 있으며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는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은 게임 진행 모듈(150)에 의해 엑세스 제어된다.
게임 진행 모듈(150)은 언어 학습 게임 전반을 제어하며, 학습자로부터 입력 되는 답변 음성에 따라 해당 답변의 정확도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제공한다. 게임 진행 모듈(150)은 학습자의 학습 명령에 따라 표시수단(110)으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제공부(151)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 학습을 위한 이미지 또는 문장을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 또는 문장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엑세스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152)와,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자 답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학습 정보 제공부(15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학습 평가부(153)와, 학습 평가부(153)의 판단에 따라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답변 음성이 정확히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스코어 산출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픽 인터페이스 제공부(151)는 학습자의 학습 게임 실행 명령에 따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학습자 컴퓨터(100)의 모니터와 같은 표시수단(1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학습자 컴퓨터(100)의 예를 들면,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즈와 같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윈도우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학습자가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명령 입력부분과 학습 정보 제공부(152)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문장을 디스플레이하는 부분과 평가결과 및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도 구현가능하다.
학습 정보 제공부(152)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어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에 따라 이미지 또는 문장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학습자가 단어 학습을 선택하였을 경우 학습 정보 제공부(152)는 랜덤 또는 미리 지정된 학습 레벨에 따른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엑세스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가 문장 학습을 선택하였을 경우 학습 정보 제공부(152)는 랜덤 또는 미리 지정된 학습 레벨에 따른 문장을 문장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학습자가 언어의 말하기 학습과 동시에 문법 학습도 할 수 있도록 문장 학습 선택시 제공되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를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인식하여 답변 음성을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학습 정보 제공부(152)는 문장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엑세스된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해당 단어들을 재배열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이러한 문장의 불규칙한 배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렇게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어순에 맞지 않게 배열하는 이유는 학습자가 언어의 말하기 학습을 함과 동시에 문법 학습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학습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인지하여 문장을 유추하고, 유추된 문장을 읽음으로써, 말하기와 문법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해당 문장의 의미를 표시하여 문장의 이해를 돕도록 할 수 있다.
학습 평가부(153)는 학습자 컴퓨터(100)에 구비된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 즉,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하여 단어 또는 문장인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학습 정보 제공부(15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학습 평가부(153)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데 이러한 음성인식 기술은 이미 날려진 기존의 음성 기술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학습 평가부(153)는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답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결과와, 학습 정보 제공부(152)에 의해 제공된 단어 또는 문장을 함께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스코어 산출부(154)는 학습 평가부(153)의 판단결과에 따라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답변 음성에 따른 단어 또는 문장과 학습 정보 제공부(152)에 의해 제공된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였을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스코어 산출부(154)에 의해 제공되는 스코어는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조정에 이용되거나 추후 기술할 학습 서버에서 산출하는 학습자별 학습 랭킹에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학습자의 답변 음성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학습자에게 통보하고, 정확한 발음을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여, 학습자의 듣기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진행 모듈(150)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이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을 경우 이를 학습자에게 통보하고, 정확한 발음을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발음 출력부(155)를 더 포함한다.
발음 출력부(155)는 학습 평가부(153)의 평가결과 질의 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학습자의 답변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학습자에게 통보하고,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학습자 컴퓨터(100)의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정확한 단어의 스펠링 또는 문장을 텍스트화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학습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획득한 스코어에 따른 랭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진행 모듈(150)은 소정 주기 또는 학습 서버로의 접속시마다 스코어 산출부(154)에 의해 산출된 스코어를 학습 서버로 제공하고,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랭킹 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랭킹 정보 제공부(156)를 더 포함한다.
랭킹 정보 제공부(156)는 학습자가 인터넷과 연결된 학습자 컴퓨터(100)를 통해 학습 서버에 접속하면, 스코어 산출부(154)에 의해 산출된 해당 학습자의 획득한 스코어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학습 서버는 해당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 수신된 다수의 학습자별 스코어 정보와 비교하여 랭킹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랭킹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의 언어 학습을 통한 실력 향상을 다른 학습자와 비교할 수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랭킹에 따라 언어 학습 게임 제공사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서버/클라이언트 개념의 학습 시스템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언어 학습 시스템은 도 2와 도 3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서버와 연결되어 언어 학습 게임을 제공받는 다수의 학습자 컴퓨터(200)와, 다수의 학습자 컴퓨터(200)로 언어 학습을 위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요청에 따라 이미지 또는 문장을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며,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와,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답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 장의 발음과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습자 컴퓨터(200)는 예를 들면,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학습 서버와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이면 족하며,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학습자의 언어 학습 게임을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답변 음성을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학습 서버로 제공하며,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평가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학습 서버는 예를 들면, 다수의 학습자 컴퓨터(200)가 인터넷을 통해 동시에 접속 가능한 웹 서비스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학습자 컴퓨터(200)의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 요청에 따라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각각의 학습자 컴퓨터(200)의 언어 학습 게임을 제어하며,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수신하여 평가하여 그 평가 결과를 각각의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이러한 학습 서버는 다수의 학습자 컴퓨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인증을 처리하고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 처리 수단(310)과, 다수의 학습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321)와,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저장되는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와, 다수의 언어 학습용 문장이 저장되는 문장 데이터베이스(323)를 포함하는 메모리(320)와, 학습 서버 전반을 제어하되, 접속 처리 수단(310)을 통해 인증된 학습자 컴퓨터(200)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 정보에 따라 해당 이미지 또는 문장을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학습 자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는 학습 평가 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처리 수단(310)은 가수의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학습자 컴퓨터(200)로 예를 들면, 아이디/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언어 학습 게임으로의 접속을 처리한다. 이러한 접속 처리 및 인증 과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320)는 학습 서버에 구비되는 대용량 하드디스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수의 학습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321)와,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저장되는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와, 다수의 언어 학습용 문장이 저장되는 문장 데이터베이스(323)가 구현된다.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321)는 학습 서버에서 제공하는 언어 학습 게임에 등록한 학습자들의 개인 정보는 물론 게임 접속에 필요한 아이디/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가 저장된다.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 및 문장 데이터베이스(323)는 학습자 컴퓨터(200)의 저장수단에 구현될 수 있으며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는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들은 게임 진행 모듈(150)에 의해 엑세스 제어된다.
학습 평가 수단(330)은 학습 서버 전반을 제어하되,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학습자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학습 평가 수단(330)은 학습자 컴퓨터(200)의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 요청에 따라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31)와,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 학습을 위한 이미지 또는 문장을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 또는 문장 데이터베이스(323)로부터 엑세스하여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332)와,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자 답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학습 정보 제공부(33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는 학습 평가부(333)와, 학습 평가부(333)의 판단에 따라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답변 음성이 정확히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저장하고,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는 스코어 산출부(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31)는 접속 처리 수단(310)에 의해 인증 처리된 학습자 컴퓨터(200)의 학습 게임 참여 요청에 따라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이에 학습자 컴퓨터(2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학습자 컴퓨터(200)에 설치하고, 학습 어플리케이션 내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여 학습자 컴퓨터(200)의 모니터와 같은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학습자 컴퓨터(200)의 예를 들면,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즈와 같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윈도우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학습자가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명령 입력부분과 학습 정보 제공부(332)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문장을 디스플레이하는 부분과 평가결과 및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로도 구현가능하다.
학습 정보 제공부(332)는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 학습을 위한 이미지 또는 문장을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 또는 문장 데이터베이스(323)로부터 엑세스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단어 학습을 선택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학습 정보 제공부(332)는 랜덤 또는 미리 지정된 학습 레벨에 따른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2)로부터 엑세스하여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고, 학습자 컴퓨터(200)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가 문장 학습을 선택하였을 경우 학습 정보 제공부(332)는 랜덤 또는 미리 지정된 학습 레벨에 따른 문장을 문장 데이터베이스(323)로부터 엑세스하여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고, 학습자 컴퓨터(200)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학습자가 언어의 말하기 학습과 동시에 문법 학습도 할 수 있도록 문장 학습 선택시 제공되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를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 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인식하여 답변 음성을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학습 정보 제공부(332)는 문장 데이터베이스(323)에서 엑세스된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해당 단어들을 재배열하여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고, 학습자 컴퓨터(200)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어순에 맞지 않게 배열하는 이유는 학습자가 언어의 말하기 학습을 함과 동시에 문법 학습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학습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인지하여 문장을 유추하고, 유추된 문장을 읽음으로써, 말하기와 문법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해당 문장의 의미를 표시하여 문장의 이해를 돕도록 할 수 있다.
학습 평가부(333)는 학습자 컴퓨터(200)에 구비된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 즉,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하여 단어 또는 문장인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학습 정보 제공부(33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 학습 평가부(333)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데 이러한 음성인식 기술은 이미 날려진 기존의 음성 기술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학습 평가부(333)는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답변 음 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결과와, 학습 정보 제공부(332)에 의해 제공된 단어 또는 문장을 함께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스코어 산출부(334)는 학습 평가부(333)의 판단결과에 따라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된 답변 음성에 따른 단어 또는 문장과 학습 정보 제공부(332)에 의해 제공된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였을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스코어 산출부(334)에 의해 제공되는 스코어는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조정에 이용되거나 추후 기술할 학습 서버에서 산출하는 학습자별 학습 랭킹에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학습 평가 수단(330)은 학습자의 답변 음성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통보하고, 정확한 발음에 따른 음성 신호를 제공하여 학습자 컴퓨터(200)의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듣기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평가 수단(330)은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이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을 경우 음성 신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는 발음 제공부(335)를 더 포함한다.
발음 제공부(335)는 학습 평가부(333)의 평가결과 질의 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학습자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답변 음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통보하고,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정확한 단어의 스펠링 또는 문장을 텍스트화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학습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획득한 스코어에 따른 랭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평가 수단(330)은 각 학습자별로 학습 스코어 산출부(334)에 의해 산출된 누적 스코어에 따른 랭킹을 산출하고, 산출된 랭킹 정보를 학습자 컴퓨터(200) 접속시마다 해당 학습자의 학습 랭킹을 제공하는 학습 랭킹 정보 제공부(336)를 더 포함한다.
랭킹 정보 제공부(336)는 스코어 산출부(334)에 의해 산출된 해당 학습자의 획득한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학습자별로 획득한 스코어 정보와 비교하여 랭킹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랭킹 정보를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의 언어 학습을 통한 실력 향상을 다른 학습자와 비교할 수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랭킹에 따라 언어 학습 게임 제공사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 및 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이미지 또는 문장을 제시하고, 그에 대응되는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평가함으로써,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게임 및 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문장을 불규칙적으로 나열된 단어로 구성되게 하도록 하고, 학습자가 문장을 유추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말하기와 문법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학습 서버는 각각의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학습자별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 수신된 다수의 학습자별 스코어 정보와 비교하여 랭킹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랭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의 언어 학습을 통한 실력 향상을 다른 학습자와 비교할 수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랭킹에 따라 언어 학습 게임 제공사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학습자의 선택명령에 따라 이미지 또는 문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거나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어 학습 장치가: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저장되는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다수의 언어 학습용 문장이 저장되는 문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언어 학습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 정보에 따라 해당 이미지 또는 문장을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학습자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게임 진행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모듈이:
    학습자의 학습 명령에 따라 표시수단으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 학습을 위한 이미지 또는 문장을 상기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또는 문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엑세스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와;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자 답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학습 평가부와;
    상기 학습 평가부의 판단에 따라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답변 음성이 정확히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스코어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가:
    단어 학습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덤하게 이미지를 엑세스하여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가:
    문장 학습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문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엑세스된 문장의 단어를 어순에 관계없이 그래픽 인터페이스상에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모듈이: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이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을 경우 이를 학습자에게 통보하고, 정확한 발음을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발음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모듈이:
    소정 주기 또는 상기 학습 서버로의 접속시마다 상기 스코어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스코어를 상기 학습 서버로 제공하고,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랭킹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랭킹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게임.
  8.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학습자 컴퓨터로 언어 학습을 위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를 포함하 는 학습 요청에 따라 이미지 또는 문장을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며, 학습자의 답변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답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과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서버가:
    다수의 학습자 컴퓨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인증을 처리하고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 처리 수단과;
    다수의 학습자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가 저장되는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다수의 언어 학습용 문장이 저장되는 문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학습 서버 전반을 제어하되, 상기 접속 처리 수단을 통해 인증된 학습자 컴퓨터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 정보에 따라 해당 이미지 또는 문장을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학습자 답변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학습 평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평가 수단이:
    상기 학습자 컴퓨터의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 요청에 따라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부와;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단어 학습 또는 문장 학습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 학습을 위한 이미지 또는 문장을 상기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또는 문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엑세스하여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와;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자 답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단어 또는 문장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학습 평가부와;
    상기 학습 평가부의 판단에 따라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답변 음성이 정확히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저장하고, 학습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스코어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가:
    상기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덤하게 이미지를 엑세스하여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 제공부가:
    상기 문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엑세스된 문장의 단어를 어순에 관계없이 불규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학습자 컴퓨터의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평가 수단이: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이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성 신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 또는 문장의 발음을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발음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학습 평가 수단이:
    각 학습자별로 상기 학습 스코어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누적 스코어에 따른 랭킹을 산출하고, 산출된 랭킹 정보를 학습자 컴퓨터 접속시마다 해당 학습자의 학습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KR1020070026235A 2007-03-16 2007-03-16 언어 학습 시스템 KR20090000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35A KR20090000662A (ko) 2007-03-16 2007-03-16 언어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35A KR20090000662A (ko) 2007-03-16 2007-03-16 언어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62A true KR20090000662A (ko) 2009-01-08

Family

ID=4048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35A KR20090000662A (ko) 2007-03-16 2007-03-16 언어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6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05B1 (ko) * 2009-04-16 2011-04-28 주환식 음성합성과 음성인식 기능이 채택된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1320066B1 (ko) * 2012-03-14 2013-10-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사용자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113539253A (zh) * 2020-09-18 2021-10-22 厦门市和家健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认知评估的音频数据处理方法和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05B1 (ko) * 2009-04-16 2011-04-28 주환식 음성합성과 음성인식 기능이 채택된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1320066B1 (ko) * 2012-03-14 2013-10-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사용자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113539253A (zh) * 2020-09-18 2021-10-22 厦门市和家健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认知评估的音频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13539253B (zh) * 2020-09-18 2024-05-14 厦门市和家健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认知评估的音频数据处理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8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calable educational content
US8700382B2 (en) Personal text assistant
US20170287356A1 (en) Teaching systems and methods
JP2013044770A (ja) 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学習支援方法
KR102161638B1 (ko)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술에 기반한 치매정도 판별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US107555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speech content scoring
CN109817244B (zh) 口语评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9503563A (ja) 話し言葉のコンピュータによる習熟度評価
US20090070112A1 (en) Automatic reading tutoring
US10762303B2 (en) Method for collecting translated content, and translation server
KR101136415B1 (ko) 학습자 인지능력 기반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53012A1 (en) Speech mapping system and method
CN111899576A (zh) 发音测试应用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9191349A (zh) 一种英文学习内容的展示方法及系统
KR100995847B1 (ko) 인터넷상에서의 소리분석 기반 어학 학습방법 및 시스템
US20120323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inyin and a dynamic memory state for modifying a hanyu vocabulary test
CN112562723B (zh) 发音准确度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090000662A (ko) 언어 학습 시스템
KR20180096317A (ko) 영단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
KR102321141B1 (ko) 발음 평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128237B (zh) 语音评测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80095314A (ko) 음소 이미지와 음소분석 알고리즘 적용 한글 읽기 학습 시스템
KR20110058016A (ko) 단어 암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931076B1 (ko) 발화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CN111091821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