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527A -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527A
KR20190112527A KR1020180034620A KR20180034620A KR20190112527A KR 20190112527 A KR20190112527 A KR 20190112527A KR 1020180034620 A KR1020180034620 A KR 1020180034620A KR 20180034620 A KR20180034620 A KR 20180034620A KR 20190112527 A KR20190112527 A KR 2019011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luminum
dross
gas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589B1 (ko
Inventor
안병두
신용국
윤수현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리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리퀴드 filed Critical (주)디에스리퀴드
Priority to KR102018003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8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1/00Obtaining aluminium
    • C22B21/0015Obtaining aluminium by wet processes
    • C22B21/0023Obtaining aluminium by wet processes from was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6Wet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플럭스 처리된 알루미늄 용탕에 알루미늄 스크랩을 용해할 때 발생한 블랙 드로스를 재활용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랙 드로스를 알루미늄 알갱이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로 분할하는 분할 유닛; 및 상기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를 물과 반응시켜 가용성 고용분, 불용성 고형분 및 가수분해 가스로 분할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물에 통과시켜 상기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포집하는 트랩기와, 상기 트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냉각하여 상기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하는 물 분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System for aluminium black dross recycling}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의 재활용 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가전 제품 및 건축용 자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많은 알루미늄 부품은 알루미늄 주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알루미늄 주조 장치에 알루미늄 용탕을 공급하는 것이 알루미늄 용해로이다. 알루미늄 용해로는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알루미늄 스크랩을 고열로 용해시키는 장치이다.
알루미늄은 산화성이 강한 금속이므로, 알루미늄을 알루미늄 용탕에 용해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산화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산화물의 발생량이 증가하면 알루미늄의 회수율이 떨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용탕에 투입되는 알루미늄 덩어리에는 도료 기타 개재물이 개재된다. 이러한 개재물이 증가하면, 알루미늄의 순도가 감소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산화물과 개재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의 산화를 방지하고 또한 개재물의 포획이 가능한 플럭스를 알루미늄 용탕에 투입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럭스 처리된 알루미늄 용탕에 알루미늄 스크랩을 용해시킬 때 발생하는 드로스를 블랙 드로스라고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산화물 및 플럭스 등 블랙 드로스에 포함된 물질들을 용도에 맞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블랙 드로스를 효과적으로 재활용 처리 가능한 방법이 제안되지 않았다. 따라서, 블랙 드로스는 토양에 매립되어 폐기 처분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의 우려와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랙 드로스에 포함된 조성물들을 재활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은, 플럭스 처리된 알루미늄 용탕에 알루미늄 스크랩을 용해할 때 발생한 블랙 드로스를 재활용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랙 드로스를 알루미늄 알갱이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로 분할하는 분할 유닛; 및 상기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를 물과 반응시켜 가용성 고용분, 불용성 고형분 및 가수분해 가스로 분할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물에 통과시켜 상기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포집하는 트랩기와, 상기 트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냉각하여 상기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하는 물 분해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루미늄 스크랩은, 적어도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을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는, 염화 나트륨(NaCl)과 염화 칼륨(KCl)이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 93-97 중량부 및 빙정석류(Cryolite, Potassium Cryolite) 3-7 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 유닛은, 상기 블랙 드로스를 파쇄 및 분쇄하여 상기 알루미늄 알갱이와 상기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로 분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분해 유닛은, 상기 반응기에 수용된 상기 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을 통과하도록 상기 반응기와 상기 트랩기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연결 라인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잠기도록 마련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통과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장부를 통과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에 분사 가능하도록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랩기는,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상기 응축기 쪽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분리판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판들은, 각각의 분리판에 구비된 상기 안내공들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분해 유닛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가 상기 응축기에 전달되도록, 상기 트랩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라인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분해 유닛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 및 상기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각각 유입됨과 함께, 상기 가수분해 가스가 냉각되어 발생하는 부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트랩기 및 상기 응축기와 각각 연결되는 가스압 보상 라인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물 및 상기 응축수가 서로 혼합된 혼합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혼합수 챔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수 챔버는, 상기 혼합수의 수위 변화를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찰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트랩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트랩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개폐 밸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물 및 상기 응축수가 서로 혼합된 혼합수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드레인 밸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물이 수압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트랩기와 연결된 제1 유입구와, 상기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응축기와 연결된 제2 유입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연소하는 연소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가스 저장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연소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알루미늄 스크랩을 상기 가수분해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해 예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에 포함된 조성물들을 그 성격에 따라 알루미늄 알갱이, 가용성 고형분, 불용성 고형분 및 가수분해 가스로 재활용하여, 블랙 드로스에 포함된 조성물들 중 재활용되지 못한 채 폐기되는 조성물을 최소화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의 필터링을 통해 가수분해 가스의 순도를 높여, 경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 용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용해실과 유동력 부여실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용해실에서 구형 블랙 드로스가 형성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2의 용해실에서 형성된 구형 블랙 드로스의 사진.
도 6은 도 2의 용해실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의 표면에 구형 블랙 드로스가 부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용해실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미립화된 드로스 파우더의 사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물 분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나는 개략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랩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리판들의 평면도.
도 12는 석출 및 건조 처리한 가용성 고형분의 사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용성 고형분을 정성 분석한 SEM-EDS 차트.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가용성 고형분의 조성비를 나타내는 도표.
도 15는 건조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의 사진.
도 16은 소성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의 사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소성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을 정성 분석한 SEM-EDS 차트.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소성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의 조성비를 나타내는 도표.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도 19에 기재된 알루미늄 용해 단계와 구형 블랙 드로스를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의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1은 도 19에 기재된 드로스 파우더 물 분해 단계와 물 분해물 재활용 단계의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1)은, 알루미늄 스크랩을 플럭스 처리된 알루미늄 용탕에 용해하기 위한 알루미늄 용해로(2); 및 알루미늄 스크랩을 알루미늄 용탕에 용해할 때 알루미늄 용탕에 포함된 개재물이 플럭스에 포획되어 형성된 블랙 드로스를 재활용 처리하기 위한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3)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1)은, 알루미늄 주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알루미늄 용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스크랩을 플럭스 처리된 알루미늄 용탕에 용해함과 함께, 블랙 드로스에 포함된 성분들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블랙 드로스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알루미늄 용해로(2)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 용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용해로(2)는, 알루미늄 용탕(M)이 가열되는 가열실(10)과, 알루미늄 스크랩(A)과 플럭스(F)가 각각 알루미늄 용탕(M)에 투입되는 용해실(20)과, 알루미늄 용탕(M)에 유동력을 부여하는 유동력 부여실(30)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용해로(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물 재질을 갖는 벽체들에 의하여 구획된 다수의 공간들을 구비한다. 가열실(10), 용해실(20) 및 유동력 부여실(30)은 각각, 알루미늄 용해로(2)의 다수의 공간들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다른 공간들과 독립된 상태로 마련된다.
가열실(10)은, 알루미늄 용탕(M)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공간이다.
가열실(10)은, 후술할 용해실(20)의 제2 유동 통로(29)와 연통되어 용해실(20)로부터 알루미늄 용탕(M)을 전달받는다. 가열실(10)은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후술할 제1 유동 통로(16) 및 제2 유동 통로(29)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외부와 차단된 밀폐 구조로 형성된다.
가열실(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용탕(M)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12)과, 알루미늄 용탕(M)을 알루미늄 용해로(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탕구(14)와, 가열실(1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을 유동력 부여실(30)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동 통로(16)를 포함한다.
가열 유닛(12)은, 알루미늄 용탕(M)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열 유닛(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10)을 구획하는 벽체들에 설치되는 버너일 수 있다. 알루미늄 용탕(M)의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루미늄 용탕(M)의 온도는 가열실(10)에 설치된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가열 유닛(12)은, 온도 센서로부터 알루미늄 용탕(M)의 온도를 입력받아, 알루미늄 용탕(M)을 미리 정해진 가열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출탕구(14)는, 가열실(10)에서 가열된 알루미늄 용탕(M)을 알루미늄 용해로(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출탕구(14)는, 알루미늄 주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알루미늄 주조 장치와 연결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용탕(M)을 이송하기 위한 용탕 이송 용기와 연결될 수 있다. 출탕구(14)에는, 출탕구(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밸브(18)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유동 통로(16)는, 가열실(1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을 유동력 부여실(30)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동 통로(16)는 가열실(10)과 유동력 부여실(30)을 구획하는 벽체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알루미늄 용탕(M)은 제1 유동 통로(16)를 통해 유동력 부여실(30)로 유입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해실과 유동력 부여실의 단면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도 2의 용해실에서 구형 블랙 드로스가 형성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에 도시된 도 2의 용해실에서 형성된 구형 블랙 드로스의 사진이다.
용해실(20)은, 플럭스(F)와 알루미늄 스크랩(A)을 알루미늄 용탕(M)에 투입하기 위한 공간이다.
용해실(20)은, 후술할 유동력 부여실(30)의 제3 유동 통로(34)와 연통되어 알루미늄 용탕(M)을 유동력 부여실(30)로부터 전달받는다. 용해실(20)은, 플럭스(F)와 알루미늄 스크랩(A)을 알루미늄 용탕(M)에 투입할 수 있도록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 구조로 형성되며, 가열실(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을 갖는다. 즉, 용해실(20)은, 알루미늄 스크랩(A)을 용해실(20)에 투입하여 용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방 구조로 형성되고,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가열실(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을 갖는 것이다.
용해실(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용탕(M)에 선회 하강하는 와류(V)를 생성하는 와류 유닛(21)과, 플럭스(F)를 와류(V)에 투입하는 플럭스 공급 유닛(23)과, 알루미늄 스크랩(A)을 와류(V)에 투입하는 원재료 공급 유닛(25)과,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을 가열실(10)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유동 통로(29)를 포함한다.
와류 유닛(21)은,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에 선회 하강하는 와류(V)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다.
와류 유닛(21)은 적어도 일부분이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되도록 용해실(20)에 설치된다. 와류 유닛(21)에 의하여 생성된 와류(V)와 제3 유동 통로(34)를 통해 용해실(20)로 유입되는 알루미늄 용탕(M)의 유동이 직접적으로 대면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용탕(M)의 유동이 방해 받을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유닛(21)은 제3 유동 통로(34)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용해실(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류 유닛(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되는 하단 및 알루미늄 용탕(M)의 외부로 연장되어 구동 모터(미도시)와 축 결합되는 상단을 갖는 회전축(21a), 및 회전축(21a)의 하단에 축 결합되는 교반 임펠러(21b)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임펠러(21b)가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에는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선회 하강하는 와류(V)가 생성된다.
플럭스 공급 유닛(23)은, 외부의 플럭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플럭스(F)를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플럭스(F)는, 알루미늄보다 비중이 작은 혼합염으로서, 개재물과 친화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플럭스 공급 유닛(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럭스(F)를 와류 유닛(21)에 의하여 생성된 와류(V)에 투입한다. 그러면, 와류(V)에 의하여 플럭스(F)가 알루미늄 용탕(M)에 신속하게 침지되어 용해된 후 용해실(20)에 고르게 퍼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럭스 공급 유닛(23)은 와류(V)가 아닌 다른 부분에 플럭스(F)를 투입할 수도 있다.
플럭스(F) 투입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럭스 공급 유닛(23)은, 원재료 공급 유닛(25)이 와류(V)에 알루미늄 스크랩(A)을 투입하기 이전에 플럭스(F)를 와류(V)에 미리 투입할 수 있다. 그러면, 플럭스(F)는 와류(V)에 의해 선회 하강하면서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되어 용해된다. 그런데, 플럭스(F)는 알루미늄 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므로, 알루미늄 용탕(M)에 용해된 플럭스(F)는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으로 부상하여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 용융 플럭스층, 즉, 염욕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용융 플럭스층은, 알루미늄 용탕(M) 및 알루미늄 용탕(M)에 투입된 알루미늄 스크립(A)이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알루미늄 산화물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플럭스(F)는 개재물을 선택적으로 포획 가능함과 동시에 용융 플럭스층을 형성 가능한 조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플럭스(F)는, 염화나트륨(NaCl)과 염화칼륨(KCl)이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 93-97 중량부 및 빙정석류(Cryolite, Potassium Cryolite)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플럭스(F)는, 염화 나트륨(NaCl) 47.5 중량부, 염화 칼륨(KCl) 47.5 중량부 및 포타슘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KAlF4)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원재료 공급 유닛(25)에 의해 알루미늄 스크랩(A)의 투입이 시작되면, 플럭스 공급 유닛(23)은 원재료 공급 유닛(25)과 동시 또는 이시에 플럭스(F)를 와류(V)에 투입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스크랩(A)의 투입이 시작된 이후에도 플럭스(F)는 알루미늄 스크랩(A)의 공급 추이에 맞추어 계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플럭스(F)는 이를 이용하여 포획하고자 하는 개재물의 양과 동일한 양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플럭스(F)의 공급량은 알루미늄 스크랩(A)의 공급량과 알루미늄 스크랩(A)의 종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도료 기타 다량의 개재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스크랩(A)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플럭스(F)의 공급량이 증가되고,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 스크랩(A)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플럭스(F)의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다.
원재료 공급 유닛(25)은, 외부의 원재료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알루미늄 스크랩(A)을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원재료 공급 유닛(2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유닛(21)에 의하여 생성된 와류(V)에 알루미늄 스크랩(A)을 투입한다. 그러면, 알루미늄 스크랩(A)은 와류(V)에 의해 선회 하강하면서 알루미늄 용탕(M)에 신속히 침지되어 용해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된 알루미늄 스크랩(A)과 대기의 접촉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알루미늄 산화물의 발생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알루미늄 스크랩(A)의 투입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재료 공급 유닛(25)은,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 용융 플럭스층이 형성된 이후에 알루미늄 스크랩(A)의 투입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면, 알루미늄 스크랩(A)은,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 용융 플럭스층이 형성된 상태로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된 알루미늄 스크랩(A)과 대기의 접촉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되므로, 알루미늄 산화물의 발생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알루미늄 스크랩(A)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열 전달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스크랩(A)은 5 ㎝ 이하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스크랩(A)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크랩(A)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합금을 주로 포함하는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UBCs, A 3XXX 계열, A 5XXXX 계열)일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의 화학 조성은 표 1과 같다.
부품
Al 합금
계열
화학조성 (%)
Si Fe Cu Mn Zn Mg
몸체 A 3004 < 0.3 < 0.70 < 0.25 1.0 - 1.5 < 0.25 0.8 - 1.3
뚜껑 A 5052 < 0.25 < 0.40 < 0.10 < 0.10 < 0.10 2.2 - 2.8
A 5182 < 0.2 < 0.35 < 0.15 0.2 - 0.5 < 0.25 4.0 - 5.0
한편, 알루미늄 스크랩(A)의 개재물(介在物, Inclusions)은, 알루미늄 스크랩(A)이 알루미늄 용탕(M)에 장입되어 용해될 때, 용융 알루미늄과 응집되는 성질을 갖는다. 그런데, 용용 플럭스층 즉, 플럭스(F)는, 개재물과 용융 알루미늄의 응집력을 약화시켜 개재물과 용융 알루미늄을 해리시키고, 용융 알루미늄과 해리된 개재물을 선택적으로 포획하여 블랙 드로스(B1)를 형성한다. 블랙 드로스(B1)는, 전술한 형성 과정에서 부피가 증가되어 용융 알루미늄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며, 이로 인해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으로 부상한다.또한, 블랙 드로스(B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V)에 의해 선회 하강하다가 와류(V)의 하단에 도달하면 와류(V)로부터 이탈되며, 그 다음에는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으로 부상된 후 다시 와류(V)의 흡입력에 의해 와류(V)에 합류된다. 따라서, 블랙 드로스(B1)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서 생성된 다른 블랙 드로스(B1)와 결합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랙 드로스(B1)가 구형으로 결집된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형성된다. 즉, 와류 유닛(21)은, 와류(V)를 통해 블랙 드로스(B1)를 반복적으로 하강 및 부상시킴으로써, 다수의 블랙 드로스(B1)가 구형으로 결집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화학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스크랩(A)은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UBCs 스크랩)이고 또한 플럭스(F)는 염화 나트륨(NaCl) 47.5 중량부, 염화 칼륨(KCl) 47.5 중량부 및 포타슘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KAlF4)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구형 드로스(B2)의 화학 조성은 표 2와 같다.
조성 화학물질 화학조성 (%)
Al 5-10
Al2O3 25-35
Mg 5-10
MgO 5-10
NaCl 20-30
KCl 20-30
구형 블랙 드로스(B2)는, 블랙 드로스(B1)가 알루미늄 용탕(M)을 하강 및 부상하기를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하강 및 부상 과정 없이 일회적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블랙 드로스에 비해 개재물의 제거 성능이 뛰어나다. 이로 인해,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형성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블랙 드로스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드로스 중의 알루미늄 함유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블랙 드로스, 예를 들어, 종래의 알루미늄 폐캔 용해 공정에서 화이트 드로스를 플럭스 처리하여 형성한 일반 블랙 드로스는 약 50% 이상의 알루미늄 함유율을 가지나, 구형 블랙 드로스(B2)는 약 10% 이하의 알루미늄의 함유율을 갖는다. 따라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형성함으로써, 순수 알루미늄의 용해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형 블랙 블록 드로스(B2)를 형성함으로써, 발열제 플럭스 및 재처리 압입기를 이용해 드로스를 재처리하여 드로스에 포획된 알루미늄을 회수하는 드로스 재처리 과정을 생략 가능하므로, 이러한 드로스 재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제2 유동 통로(29)는, 알루미늄 스크랩(A)이 용해된 알루미늄 용탕(M)을 가열실(10)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동 통로(29)는 용해실(20)과 가열실(10)을 구획하는 벽체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알루미늄 용탕(M)은 제2 유동 통로(29)를 통해 가열실(10)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유동력 부여실(30)은, 알루미늄 용탕(M)이 가열실(10)과 용해실(2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용탕(M)에 유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공간이다.
유동력 부여실(30)은, 가열실(10)의 제1 유동 통로(16)와 연통되어 알루미늄 용탕(M)을 가열실(10)로부터 전달받는다.
유동력 부여실(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10)의 제1 유동 통로(16)와 용해실(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동력 부여실(30)은 용해실(20)의 제2 유동 통로(29)와 가열실(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유동력 부여실(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용탕(M)을 가속하여 알루미늄 용탕(M)에 유동력을 부여하는 가속 유닛(32), 및 유동력이 부여된 알루미늄 용탕(M)을 용해실(20)로 전달하는 제3 유동 통로(34)를 포함한다.
가속 유닛(32)은, 적어도 일부분이 알루미늄 용탕(M)에 침지되도록 유동력 부여실(3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가속 유닛(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력 부여실(30)의 외부에 마련된 구동 모터(미도싱)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유동력 부여실(3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을 순환시킬 수 있는 용탕 펌프일 수 있다.
제3 유동 통로(34)는, 가속 유닛(32)에 의하여 유동력이 부여된 알루미늄 용탕(M)을 유동력 부여실(30)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동 통로(34)는 유동력 부여실(30)과 용해실(20)을 구획하는 벽체의 하부가 가속 유닛(32)의 임펠러와 대면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알루미늄 용탕(M)은 제3 유동 통로(34)를 통해 용해실(20)로 유입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가열실(10)과 용해실(20) 사이에 가속 유닛(32)을 구비한 유동력 부여실(30)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용해실(20)의 와류 유닛(20)은 와류(V)를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용탕(M)을 승하강시킴과 동시에 알루미늄 용해로(2)를 순환하기 위한 유동력을 알루미늄 용탕(M)에 부여할 수 있으므로, 유동력 부여실(30)과 이에 마련된 가속 유닛(32)은 생략 가능하다.
도 6은 도 2의 용해실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의 표면에 구형 블랙 드로스가 부유된 상태를 나타내는 용해실의 평면도이다.
많은 개수의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와류(V)에 밀집되면, 와류(V)에 의한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하강 및 부상 작용이 약화되어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형성 효율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기준 직경만큼 성장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와류(V)로부터 이탈시켜 와류(V)에 위치한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밀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기준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크랩(A)은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UBCs 스크랩)이고 또한 플럭스(F)는 염화 나트륨(NaCl) 47.5 중량부, 염화 칼륨(KCl) 47.5 중량부 및 포타슘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KAlF4)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기준 직경은 2 cm 내지 5 cm 이다.
이와 같이 기준 직경만큼 성장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와류(V)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용해실(20)은,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와류(V)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유닛(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 유닛(2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 부유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와류(V)로부터 먼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분리판(27a)과, 구동 장치(미도시)와 분리판(27a)을 연결하는 연결봉(27b)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장치는, 용해실(20)의 외부에 마련된 작업 차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분리 유닛(27)이 마련됨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준 직경을 갖는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분리판(27a)을 이용해 와류(V)로부터 먼 쪽으로 끌어당겨 와류(V)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밀집됨으로 인해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형성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유닛(27)은,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알루미늄 용탕(M)에서 퍼내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분리 유닛(27)을 이용하여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와류(V)로부터 먼 쪽으로 끌어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은 와류(V)로부터 이탈된 구형 블랙 드로스(B2)로 덮인다. 그러므로,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은 이를 덮은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의하여 대기와 차단되며, 구형 블랙 드로스(B2)는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에 대한 보온 효과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의하여 알루미늄 용탕(M)의 열 손실이 최소화됨으로써, 알루미늄 용탕(M)이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의해 덮이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알루미늄 용탕(M)의 온도가 상승된다.
종래의 알루미늄 용해로는 일반적으로 용해실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의 온도가 700 ℃℃ 이하이나, 알루미늄 용해로(2)는 용해실(20)에 수용된 알루미늄 용탕(M)의 온도가 730 ℃℃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알루미늄 용해로(2)는, 종래의 알루미늄 용해로에 비해 알루미늄 스크랩(A)의 용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블랙 드로스 재활용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알루미늄 용해로(2)를 이용해 알루미늄 스크랩(A)을 용해하면 블랙 드로스(B1)가 구형으로 결집된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형성된다. 구형 블랙 드로스(B2)는 일반적인 블랙 드로스에 상대적으로 비해 낮기는 하지만 소정 비율의 알루미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산화물, 플럭스(F) 등과 같이 경제적인 가치가 있는 조성물을 소정 비율만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재처리 과정 없이 매립 등의 방법을 통해 그대로 폐기하는 경우에는,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포함된 조성물들을 재활용할 수 없어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구형 블랙 드로스(B2)로 인해 환경 오염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1)은,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포함된 조성물들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재활용 처리하는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3)를 포함하는 것이다.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 및 분쇄하여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로 분할하는 분할 유닛(40)과,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W1)과 물 분해 반응시켜 가용성 고형분(S), 불용성 고형분(I) 및 가수분해 가스(G)로 분해하는 물 분해 유닛(50)과, 가용성 고형분(S)이 석출되도록 가용성 고형분(S)이 용해된 수용액(Q)을 증류하는 석출 유닛(60)과,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여 저장하는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70)과, 알루미늄 알갱이(N)를 저장하는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유닛(80)과,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 및 소성하여 저장하는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90)과, 가수분해 가스(G)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할 유닛(40)은,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 및 분쇄하기 위한 장치이다.
분할 유닛(40)은,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하는 파쇄기(41)와,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파쇄물 중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리하는 제1 분리 부재(42)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는 분쇄기(43)와, 드로스 파우더(P1)의 분쇄물 중 알루미늄 알갱이(N)와 분쇄기(43)에 의해 분쇄되어 미립화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분리하는 제2 분리 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쇄기(41)는,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하여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로 분할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포함된 알루미늄 입자들과 알루미늄 합금 입자들 중 상대적으로 입도가 큰 알루미늄 입자들과 알루미늄 합금 입자들은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할 때 발생한 열로 인해 응집되어 알루미늄 알갱이(Aluminum Granule)와 알루미늄 합금 알갱이(Aluminum Alloy Granule)가 된다. 또한,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포함된 알루미늄 입자들과 알루미늄 합금 입자들 중 상대적으로 입도가 작은 알루미늄 입자들과 알루미늄 합금 입자들은 응집되지 못한 채 알루미늄 파우더와 알루미늄 합금 파우더가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알루미늄 알갱이(N)와 알루미늄 합금 알갱이를 통칭하여 알루미늄 알갱이(N)로 명명하기로 한다.
파쇄기(41)는, 이러한 알루미늄 입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용해로(2)로부터 공급받은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하여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로 분할하는 것이다. 드로스 파우더(P1)는,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조성물들 중 상대적으로 입도가 큰 알루미늄 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조성물들을 파우더 형태로 포함한다.
제1 분리 부재(42)는,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파쇄물 중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를 서로 분리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분리 부재(4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분리 부재(42)는,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입도를 갖는 진동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입도는 약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분리 부재(42)는,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리한 후, 알루미늄 알갱이(N)는 알루미늄 저장 유닛(80)으로 전달하고 또한 드로스 파우더(P1)는 분쇄기(43)로 전달한다.
분쇄기(43)는,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로 분할하기 위한 장치이다.
드로스 파우더(P1)에 포함된 조성물들 중 산화 알루미늄과, 산화 마그네슘 같은 불용성 고형분(I)은, 이를 용이하게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미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여 미립화시키기 위한 분쇄기(43)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분쇄기(43)를 이용해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는 중 드로스 파우더(P1)에 포함된 일부의 알루미늄 입자들이 응집되어 알루미늄 알갱이(N)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기(43)는, 제1 분리 부재(42)로부터 전달받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알갱이(N)와 분쇄되어 미립화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로 분할한다.
제2 분리 부재(44)는, 드로스 파우더(P1)의 분쇄물 중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서로 분리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분리 부재(44)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분리 부재(44)는,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입도를 갖는 트롬멜 스크린(Trommel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준 입도는, 0.5 ㎜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분리 부재(44)는, 분쇄기(43)로부터 전달받은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분리한 후, 알루미늄 알갱이(N)는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유닛(80)으로 전달하고 또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는 후술할 물 분해 유닛(50)의 반응기(51)로 전달한다.
도 8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의 사진이다.
다음으로, 물 분해 유닛(50)은, 제2 분리 부재(44)로부터 전달받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하기 위한 장치이다.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alt Flux,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마그네슘 및 산화물 등 다양한 물리 화학적인 성격을 갖는 조성물들을 포함하여, 짙은 회색의 파우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조성물들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조성물들을 재활용하기 용이하도록 전환 및 분해시키는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하여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 가능한 물 분해 유닛(50)이 마련되는 것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물 분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나는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랩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리판들의 평면도이다.
물 분해 유닛(50)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가 물(W1)과 물 분해 반응되어 가용성 고형분(S), 불용성 고형분(I) 및 가수분해 가스(G)로 분해되도록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W1)과 교반하는 반응기(51)와, 반응기(51)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를 물(W2)에 통과시켜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포집하는 트랩기(52)와, 트랩기(52)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도록 가수분해 가스(G)를 냉각하는 응축기(53)와,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를 분리 정제하는 가스 분리 정제기(54)와, 가용성 고형분이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에 용해되어 형성된 수용액(Q)과 불용성 고형분(I)을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기(55)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51)는,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와 물(W1)을 교반하여,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51)는, 물(W1)이 미리 정해진 수위만큼 내부에 수용된 탱크 형상을 갖는다. 특히, 반응기(51)는, 내부에 수용된 물(W1)의 수면과 반응기(51)의 천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미리 정해진 용적을 갖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반응기(51)는, 미리 정해진 혼합 비율로 혼합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와 물(W1)을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들(51a)을 이용해 교반하여,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한다.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와 물(W1)의 혼합 비율은, 1 : 2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W1)과 교반할 경우에 발생하는 물리 화학적인 현상을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조성물들의 성질 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조성물들 중 물(W1)에 용해되는 가용성을 갖는 가용성 고형분(S)은 물(W1)에 용해되며, 이로 인해 가용성 고형분(S)을 용질로서 포함하고 또한 물(W1)을 용매로서 포함하는 수용액(Q)이 생성된다. 이러한 가용성 고형분(S)은, 염화 나트륨(NaCl)과, 염화 칼륨(KCl) 등 플럭스(F)에 함유된 염화물염들을 주로 포함한다.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와 물(W1)의 혼합 비율이 1 : 2인 경우에, 수용액(Q) 중 염화물염의 농도는 약 20 %가 된다.
다음으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조성물들 중 물(W1)에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을 갖는 불용성 고형분(I)은 수용액(Q)에 분산 또는 침전된다. 불용성 고형분(I)은,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마그네슘(MgO) 및 스피넬 산화물(MgAl2O4)를 주로 포함한다.
다음으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조성물들 중 물(W1)에 의해 가수분해 반응되는 성질을 갖는 반응물은 물(W1)에 의해 가수분해된다. 이러한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물 분해 고형분과 가수분해 가스(G)가 생성되고, 이에 수반하여 반응열이 발생한다. 반응물은, 알루미늄(Al)과, 마그네슘(Mg)과, 알루미늄 카바이드(Al4C3) 등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포함된 금속과 금속 화합물들을 주로 포함한다. 여기서, 알루미늄 카바이드(Al4C3)는, 알루미늄 폐캔의 최초 조성물은 아니며, 알루미늄 폐캔을 가공하여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이다.
이러한 반응물과 물(W1)의 가수분해 반응을 살펴보면, 반응식 1 내지 3과 같이, 알루미늄과 물(W1)이 가수분해 반응되면 산화 알루미늄과 수소가 생성되고, 마그네슘과 물(W1)이 가수분해 반응되면 산화 마그네슘과 수소가 생성되고, 알루미늄 카바이드와 물(W1)이 가수분해 반응되면 산화 알루미늄과 메탄이 생성된다. 특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이 물(W1)과 접촉되면 가수분해 반응이 격렬하게 일어나 물(W1)의 온도는 90℃℃ 이상으로 상승되므로, 전술한 가수분해 반응은 이러한 온도 상승에 의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반응식 1>
2Al + 3H2O →→ Al2O3 + 3H2 + Heat
<반응식 2>
Mg + H2O →→ MgO + H2 + Heat
<반응식 3>
Al4C3 + 6H2O →→ 2Al2O3 + 3CH4 + Heat
이러한 가수 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 분해 고형분은,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합금, 카본 성분 등 불용성 고형분을 주로 포함하므로, 수용액(Q)에 분산 또는 침전된다. 따라서, 수용액(Q)에는,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이미 포함되어 있던 불용성 고형분(I)과, 물 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불용성 고형분이 각각 분산 또는 침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구형 블랙 드로스(B2)에 이미 포함되어 있던 불용성 고형분(I)과, 물 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불용성 고형분을 통칭하여 불용성 고형분(I)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알루미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카바이드 이외에도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미량의 반응물들이 가수분해 반응됨으로써, 다양한 가수분해 가스(G)가 생성된다. 이러한 가수분해 가스(G)의 조성 비율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구분 가스 성분(%)
수소 메탄 에탄 에텐 프로판 프로펜 황화수소
초기 포집
(다량)
48.14 51.55 0.020 0.009 0.009 0.012 0.0047
말기 포집(소량) 92.13 7.58 0.003 0.001 0.001 0.001 0.0020
가수분해 가스(G)는,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로 메탄 가스(CH4)와 수소 가스(H2)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탄 가스와 수소 가스는 가수분해 가스(G)의 발생량의 약 99%을 차지한다. 물 분해 공정 초기에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 카바이드의 가수분해 반응이 주로 진행되어 수소 가스와 메탄 가스가 주로 발생한다. 물 분해 공정의 시작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물 분해 공정 말기에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의 가수분해 반응이 주로 진행되어 수소 가스가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가수분해 가스(G)의 성분 분석은, ASTM D1945-03의 GC(Gas Chromatography) 분석 방법을 이용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한편, 가수분해 가스(G)의 발생량 측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가수분해 가스(G)의 발생량을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지름 2㎝ 내지 5㎝의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 및 분쇄한다. 다음으로,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파분쇄물 중 0.5㎝(500㎛) 통과분을 반응 시료로서 획득한다. 이후에, 반응 시료 100g과 증류수 1L를 2L 용량을 갖는 밀폐된 유리 재질 플라스크에 투입한다. 다음으로, 유리 재질 플라스크에 설치된 반응기(51)를 이용해 반응 시료와 증류수를 100rpm 내지 200 rpm으로 교반하여, 반응 시료를 물 분해한다. 이후에, 반응 시료의 물 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수분해 가스(G)를 눈금이 새겨진 실린더를 이용해 증류수로부터 수상 치환하여 포집한다. 이러한 시험 과정을 통해 100g의 반응 시료를 물 분해하면 8L 내지 12L의 가수분해 가스(G)를 포집할 수 있다.
트랩기(52)는, 반응기(51)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증기 및 불순물을 물(W2)을 이용해 포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51)에서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가수분해 가스(G)는,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에서 부상한 후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수면을 통해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수면과 반응기(51)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런데, 반응기(51)에서는 물(W1)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성질을 갖는 반응물이 물(W1)에 의해 격렬하게 가수분해되면서 반응열이 발생하므로,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은 이러한 반응열에 의해 격렬하게 가열된다. 이로 인해,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로부터 이탈된 가수분해 가스(G)에는,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이 잘게 부숴줘 생성된 물방울,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이 증발되어 생성된 수증기 등을 함유하는 수분과,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먼지, 알루미늄 스크랩(A)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 등을 함유하는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가수분해 가스(G)는 이러한 수분 및 불순물로 인해 순도가 떨어진 상태로 반응기(51)로부터 배출되므로, 가수분해 가스(G)를 반응기(51)로부터 배출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연소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랩기(52)는 가수분해 가스(G)를 물(W1)을 이용해 필터링하여 가수분해 가스(G)의 순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기(52)는, 물(W2)이 미리 정해진 수위만큼 내부에 수용된 탱크 형상을 갖는다. 특히, 트랩기(52)는, 내부에 수용된 물(W2)의 수면과 트랩기(52)의 천장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미리 정해진 용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트랩기(52)는, 반응기(51)로부터 가수분해 가스(G)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1 연결 라인(56)에 의해 반응기(51)와 연결된다. 제1 연결 라인(56)은,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로부터 이탈된 가수분해 가스(G)가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을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라인(56)의 일측 단부는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수면 및 반응기(51)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반응기(51)의 일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연결 라인(56)의 타측 단부는, 트랩기(52)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트랩기(5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라인(56)의 타측 단부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잠기도록 마련된 연장부(56a)와, 연장부(56a)를 통과한 가수분해 가스(G)를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배출하는 배출부(56b)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6a)의 상단부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잠기지 않도록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으로부터 트랩기(52)의 천장면을 향해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를 통해, 연장부(56a)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이 연장부(56a)의 상단부를 넘어 반응기(51)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6a)의 하단부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으로부터 트랩기(52)의 바닥면을 향해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러면, 연장부(56a)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과 연장부(56a)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깊이만큼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잠기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56b)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잠기도록, 연장부(56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특히, 배출부(56b)는, 연장부(56a)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배출부(56b)는, 연장부(56a)를 통과한 가수분해 가스(G)를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분사 가능하도록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들(56c)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사공들(56c)에 의하면, 트랩기(52)의 내부와 제1 연결 라인(56)의 내부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배출부(56b) 및 연장부(56a)의 내부에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이 분사공들(56c)을 통해 채워진다.
이러한 제1 연결 라인(56)에 의하면,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수면으로부터 이탈된 가수분해 가스(G)는 제1 연결 라인(56)의 일측 단부를 통해 제1 연결 라인(56)으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제1 연결 라인(56)으로 유입된 가수분해 가스(G)는, 제1 연결 라인(56)을 따라 유동하다가 연장부(56a)에 수용된 물(W2)에 유입된다. 이후에, 연장부(56a)에 수용된 물(W2)에 유입된 가수분해 가스(G)는, 연장부(56a) 및 배출부(56b)를 따라 유동하다가 분사공들(56c)을 통해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분사된다. 그러면,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은, 제1 연결 라인(56) 및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W2)에 의해 포집된다. 이처럼 트랩기(52)는, 물(W2)을 이용해 가수분해 가스(G)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여, 가수분해 가스(G)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라인(56)의 내부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잠기도록 배치된 배출부(56b)의 분사공들(56c)을 통해 트랩기(52)의 내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연결 라인(56)의 내부에 수용된 물(W2)에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용량에 비례하는 고압이 작용한다. 이러한 고압은, 가수분해 가스(G)가 제1 연결 라인(56)의 내부에 수용된 물(W2)에 유입될 때, 압력 부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연결 라인(56) 및 제1 연결 라인(56)과 연결된 반응기(51)의 내부 압력은, 제1 연결 라인(56)의 내부에 수용된 물(W2)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면, 반응기(51)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에 비해 높게 증가됨으로써,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끓는점은 대기압 상태에서의 물의 끓는점인 100℃에 비해 높게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51)의 내부 압력이 1.5 ㎏/㎠까지 증가된 경우에,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끓는점은 약 140℃ 내지 150℃까지 증가될 수 있다. 이처럼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의 끓는점이 증가되면 반응기(51)에서의 물 분해 반응이 촉진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트랩기(52) 및 제1 연결 라인(56)은 반응기(51)의 물 분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 라인(56) 및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가수분해 가스(G)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으로 부상하여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로부터 이탈된다. 그런데, 물(W2)을 이용해 가수분해 가스(G)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면, 고상인 부산물, 먼지 등을 함유하는 불순물은 대부분 제거되지만, 액상인 물방울이나 기상인 수증기 등을 함유하는 수분의 일부는 가수분해 가스(G)에 여전히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랩기(52)는,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물방울, 수증기 등의 잔여 수분을 가수분해 가스(G)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분리판들(52a, 52b)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판들(52a, 52b)은,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과 트랩기(52)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분리판들(52a, 52b)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과 트랩기(52)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에는 한 쌍의 분리판들(52a, 52b)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리판(52a, 52b)은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로부터 이탈된 가수분해 가스(G)를 응축기(53) 쪽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들(52c, 52d)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들(52a, 52b)은, 각각의 분리판(52a, 52b)에 구비된 안내공들(52c, 52d)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하측 분리판(52a)의 안내공들(52c)을 통해 하측 분리판(52a)과 상측 분리판(52b)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한 가수분해 가스(G)는, 하측 분리판(52a)의 안내공들(52c)과 상측 분리판(52b)의 안내공들(52d)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거리만큼 하측 분리판(52a)과 상측 분리판(52b) 사이 공간을 적어도 우회한 후 상측 분리판(52b)의 안내공들(52d)을 통해 응축기(53)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잔여 수분은,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물방울 위주로 분리판들(52a, 52b)의 벽면에 충돌하여 맺히게 된다. 따라서, 트랩기(52)는, 분리판들(52a, 52b)을 이용해 가수분해 가스(G)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여, 가수분해 가스(G)의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응축기(53)는, 트랩기(52)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를 냉각하여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트랩기(52)에서는 가수분해 가스(G)가 물(W2)과 분리판들(52a, 52b)에 의해 2차에 걸쳐 필터링되지만, 가수분해 가스(G)에는 미량의 수증기가 여전히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응축기(53)는, 가수분해 가스(G)를 수증기의 응축을 이용해 필터링하여 가수분해 가스(G)의 순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53)는, 트랩기(52)에서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가 유입되는 유입부(53a)와, 유입부(53a)를 통과한 가수분해 가스(G)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교환부(53b)와, 열교환부(53b)를 통과한 가수분해 가스(G)가 배출되는 배출부(53c) 등을 가질 수 있다.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증기의 응축을 위해 사용 가능한 냉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매는, 공기, 물 등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응축기(53)는, 배출부(53c)가 유입부(53a) 쪽에 비해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러면, 열교환부(53b)에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배출부(53c) 쪽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53)는, 트랩기(52)로부터 가수분해 가스(G)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제2 연결 라인(57)에 의해 트랩기(52)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라인(57)은, 분리판들(52a, 52b)을 통과한 가수분해 가스(G)가 응축기(53)의 유입부(53a)에 전달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라인(57)의 일측 단부는 분리판들(52a, 52b)과 트랩기(52)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트랩기(52)의 일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연결 라인(57)의 타측 단부는 유입부(53a)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응축기(53)의 일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 라인(57)에 의하면, 수증기를 포함한 상태로 분리판들(52a, 52b)을 통과한 가수분해 가스(G)는 제2 연결 라인(57)을 통해 응축기(53)의 유입부(53a)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응축기(53)의 유입부(53a)로 유입된 가수분해 가스(G)는 열교환부(53b)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다. 이 과정에서, 가수분해 가스(G) 및 이에 포함된 수증기가 냉매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증기는 응축되어 응축수가 된다. 이후에, 가수분해 가스(G) 및 응축수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 개별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 전달된 가수분해 가스(G)는 제3 연결 라인(58)을 통해 가스 분리 정제기(54)에 전달되고, 응축기(53)의 배출부(53c)로 전달된 응축수는 후술할 가스압 보상 라인(59)에 수용된다.
이러한 응축기(53)는, 수증기의 응축을 이용해 가수분해 가스(G)를 3차적으로 필터링하여, 가수분해 가스(G)의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응축기(53)의 열교환부(53b)에서 가수분해 가스(G)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부피가 수축됨에 따라,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은 응축기(53)의 유입부(53a)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에 비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해 유닛(50)은,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 및 응축기(53)에서 수용된 응축수가 각각 유입됨과 함께, 응축기(53)에서 가수분해 가스(G)가 냉각되어 발생하는 부압이 전달되도록, 트랩기(52) 및 응축기(53)와 각각 연결되는 가스압 보상 라인(5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압 보상 라인(59)은,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이 수압에 의해 유입되도록 트랩기(52)와 연결된 제1 유입구(59a)와,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 수용된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도록 응축기(53)의 배출부(53c)와 연결된 제2 유입구(59b)와, 제1 유입구(59a)를 통해 유입된 물(W2) 및 제2 유입구(59b)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서로 혼합된 혼합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혼합수 챔버(59c)와, 트랩기(52)와 혼합수 챔버(59c)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트랩기(52)와 혼합수 챔버(59c)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개폐 밸브(59d)와, 응축기(53)의 배출부(53c)와 혼합수 챔버(59c)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응축기(53)의 배출부(53c)와 혼합수 챔버(59c)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개폐 밸브(59e)와, 가스압 보상 라인(59)에 수용된 혼합수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밸브(59f)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스압 보상 라인(59)은, 내부에 소정량의 혼합수가 고일 수 있도록, 제1 유입구(59a) 및 제2 유입구(59b)가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U'자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입구(59a)는,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의 수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물(W2)이 수압에 의해 유입될 수 있도록 트랩기(52)의 일측벽과 연결된다. 제2 유입구(59b)는, 응축기(53)의 배출부(53c)의 바닥면으로 모여든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유입될 수 있도록 응축기(53)의 일측벽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유입구(59a) 및 제2 유입구(59b)에 의하면, 트랩기(52)에 수용된 물(W2) 및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 수용된 응축수가 제1 유입구(59a) 및 제2 유입구(59b)를 통해 가스압 보상 라인(59)의 내부로 각각 유입됨으로써, 가스압 보상 라인(59)에는 트랩기(52)로부터 유입된 물(W2) 및 응축기(53)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서로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된다. 가스압 보상 라인(59)에 수용된 혼합수의 수량은, 제1 개폐 밸브(59d), 제2 개폐 밸브(59e) 및 드레인 밸브(59f)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조절할 수 있다.
혼합수 챔버(59c)는, 혼합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혼합수 챔버(59c)는, 혼합수의 수면이 혼합수 챔버(59c)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유입구(59a)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제2 유입구(59b)가 제1 유입구(59a)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면, 혼합수의 수면은 혼합수 챔버(59c)에 위치할 수 없다. 따라서, 가스압 보상 라인(59)은 제2 유입구(59b)가 제1 유입구(59a)에 비해 높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혼합수 챔버(59c)는, 혼합수의 수위 변화를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찰창(59g)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창(59g)은, 혼합수 챔버(59c)의 내부를 투영 가능하게 형성된 글래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찰창(59g)을 통해 혼합수의 수면의 위치 및 수위 변화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압 보상 라인(59)에 의하면,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이 응축기(53)의 유입부(53a)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에 비해 낮아지는 경우에, 가스압 보상 라인(59)에 수용된 혼합수에는 응축기(53)의 배출부(53c) 쪽으로 부압이 작용한다. 이러한 부압의 크기는, 응축기(53)의 유입부(53a)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과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의 압력차에 비례한다. 이러한 부압에 의하면, 가스압 보상 라인(59)에 수용된 혼합수가 부압에 의해 응축기(53)의 배출부(53c) 쪽으로 흡입됨으로써, 혼합수의 수면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혼합수의 수면 상승에 의해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이 보상됨으로써,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가스압 보상 라인(59)은, 이러한 압력 보상을 통해 응축기(53)의 배출부(53c)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을 응축기(53)의 유입부(53a)에서의 가수분해 가스(G)의 압력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스 분리 정제기(54)는, 가수분해 가수(G) 중 실제로 재활용 가능한 가스의 순도를 높이거나 재활용 목적에 맞는 특정 가스를 다른 가스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가수분해 가수(G)에 포함된 가스들을 분리 및 정제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가스 분리 정제기(54)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스 분리 정제기(54)는,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가스들을 압력 순환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방법을 통해 분리 정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분리 정제기(54)는, 가수분해 가스(G)로부터 분리 정제된 메탄 가스를 수증기 메탄 개질(Steam Methane Reforming)을 통해 개질하여 수소 가스로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분리 정제기(54)에서 분리 정제된 가수분해 가수(G)는 가스 저장 라인(110)을 통해 가스 저장 유닛(1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원심 분리기(55)는 수용액(Q)과 불용성 고형분(I)을 원심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기(51)에서 생성된 가수분해 가스(G)는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로부터 이탈된 후 트랩기(52)와 응축기(53)에 의해 필터링되지만, 반응기(51)에서 생성된 가용성 고형분(S)은 반응기(51)에 수용된 물(W1)에 용해되어 물(W1)과 함께 수용액(Q)을 구성하고, 반응기(51)에서 생성된 불용성 고형분(I)은 이러한 수용액(Q)에 침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심 분리기(55)는, 이러한 수용액(Q) 및 불용성 고형분(I)을 반응기(51)로부터 전달 받도록 마련된다.
제1 원심 분리기(55)는 B.S.P 원심 분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원심 분리기(55)는, 수용액(Q)과 불용성 고형분(I)을 분리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제3 기준 입도를 갖는 제1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는 부직포 필터이고, 제3 기준 입도는 7㎛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원심 분리기(55)는, 수용액(Q)과 불용성 고형분(I)을 제1 필터를 이용해 원심 분리한 후, 수용액(Q)은 석출 유닛(60)으로 전달하고 불용성 고형분(I)은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90)으로 전달한다.
한편, 불용성 고형분(I)과 수용액(Q)은 제1 원심 분리기(55)에 의해 분리되지만, 수용액(Q) 중 일부는 분리되지 못하고 불용성 고형분(I)에 흡착될 수 있다. 그런데, 수용액(Q)은 가용성 고형분(S)을 포함하므로, 불용성 고형분(I)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제조물이 가용성 고형분(S)에 포함된 염화물들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 또는 소성할 때 가용성 고형분(S)에 포함된 염화물들로부터 산화 나트늄(Na2O), 산화 칼륨 (K20)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산화 나트늄과 산화 칼륨에 의해 불용성 고형분(I)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제조물의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원심 분리기(55)는 불용성 고형분(I)의 염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염소 농도 이하가 되도록 증류수를 이용해 수용액(Q)이 흡착된 불용성 고형분(I)을 세척한 후 불용성 고형분(I)과 불용성 고형분(I)의 세척에 사용된 증류수를 원심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증류수를 이용한 불용성 고형분(I)의 세척 공정은, 불용성 고형분(I)의 염소 농도가 기준 염소 농도 이하에 될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염소 농도는 300 pp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원심 분리기(55)는, 후술할 석출 유닛(60)의 응축기(64)가 감압 증류기(62)에서 증발된 수증기(T)를 응축하여 생성한 증류수(D)로 불용성 고형분(I)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석출 유닛(60)은 가용성 고형분(S)이 수용액(Q)으로부터 석출되도록 수용액(Q)을 증류하기 위한 장치이다.
석출 유닛(60)은, 수용액(Q)을 미리 정해진 온도와 압력으로 감압 증류하여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시키는 감압 증류기(62)와, 수용액(Q)에 포함된 물(W1)이 감압 증류기(62)에 의해 증발되어 발생된 수증기(T)를 응축하여 증류수(D)를 생성하는 응축기(64)와, 감압 증류기(62)에 의해 석출된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을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기(66)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증류기(62)는, 제1 원심 분리기(55)로부터 배출된 수용액(Q)을 미리 정해진 감압 증류 온도와 감압 증류 압력으로 감압 증류하여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감압 증류기(62)는, 용질을 물 용매로부터 석출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감압 증류기로 구성될 수 있다. 감압 증류기(62)의 감압 증류 온도와 감압 증류 압력은 가용성 고형분(S)의 결정 성장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그런데, 가용성 고형분(S)은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륨(KCl) 등 플럭스(F)에 함유된 염화물염들을 주로 포함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감압 증류 온도는 40℃℃ 내지 70℃℃로 설정되고, 그리고 감압 증류 압력은 12 ㎪ 내지 40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온도 및 압력 하에 수용액(Q)을 감압 증류하면 수용액(Q)에 포함된 물(W1)이 증발하면서 가용성 고형분(S)의 농도는 증가하며, 가용성 고형분(S)의 농도가 포화 농도가 되면 가용성 고형분(S)은 수용액(Q)으로부터 석출되어 결정화되기 시작한다. 포화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압 증류 온도가 약 65 ℃℃이고 감압 증류 압력이 약 27 ㎪ 일 경우에, 감압 증류에 의한 수용액(Q1)의 포화 농도는 27% 내지 30% 가 된다.
이와 같이 수용액(Q)을 감압 증류하면, 수용액(Q)은, 감압 증류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T)와, 수용액(Q)으로부터 석출되어 결정화된 가용성 고형분(S)과, 석출되지 못한 잔여 가용성 고형분(S)이 용해된 수용액(Q1)으로 분리된다. 감압 증류기(62)는, 수증기(T)는 응축기(64)에 전달하고, 석출되어 결정화된 가용성 고형분(S)이 분산 및 침전된 수용액(Q1)은 제2 원심 분리기(66)로 전달한다.
응축기(64)는 수분을 응축하여 증류수(D)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응축기(64)는 감압 증류기(62)로부터 전달받은 수분을 응축하여 증류수(D)를 생성한다. 응축기(64)는, 제1 원심 분리기(55)가 수용액(Q)과 분리된 불용성 고형분(I)을 증류수(D)로 세척할 수 있도록 증류수(D)를 제1 원심 분리기(55)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원심 분리기(66)는 감압 증류기(62)로부터 전달받은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1)을 원심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 원심 분리기(66)는 콘타벡스 원심 분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원심 분리기(66)는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1)을 분리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제4 기준 입도를 갖는 제2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는 철망 필터이고, 제4 기준 입도는 0.05 ㎜ 내지 0.3 ㎜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 원심 분리기(66)는,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1)을 제2 필터를 이용해 원심 분리한 후 가용성 고형분(S)은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70)으로 전달하고 수용액(Q1)은 감압 증류기(62)로 재전달한다.
감압 증류기(62)는, 제2 원심 분리기(66)로부터 재전달된 수용액(Q1)을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으로 재감압 증류한다. 이러한 감압 증류 및 원심 분리 공정은,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로 상이한 감압 증류 온도 및 감압 증류 압력을 갖는 다수의 감압 증류기(62)들을 마련하여, 공정 순서에 따라 감압 증류기(62)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해 가용성 고형분(S)을 재석출할 수 있다.
한편, 감압 증류기(62)를 이용해 수용액(Q1)으로부터 가용성 고형분(S)을 재석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석출 유닛(60)은, 수용액(Q1)으로부터 가용성 고형분(S)을 재석출하기 위하여, 태양광 폭로 염전, 강제 증발식 실내 염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폭로 염전, 강제 증발식 실내 염전은 각각, 제2 원심 분리기(66)로부터 전달된 수용액(Q1)으로부터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하여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7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석출 및 건조 처리한 가용성 고형분의 사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용성 고형분을 정성 분석한 SEM-EDS 차트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가용성 고형분의 조성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다음으로,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70)은 제2 원심 분리기(66)로부터 전달받은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여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7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70)은,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는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와,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에 의해 건조된 가용성 고형분(S1)을 저장하는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는 제2 원심 분리기(66)에 의해 수용액(Q1)과 분리된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1)은 제2 원심 분리기(66)에 의해 분리되지만, 수용액(Q1) 중 일부는 가용성 고형분(S)과 분리되지 못한 채 가용성 고형분(S)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원심 분리기(66)에 의해 수용액(Q1)과 분리된 가용성 고형분(S)은 표면에 흡착된 수용액(Q1)에 의해 슬러리 상태로 존재한다. 그런데, 가용성 고형분(S)이 슬러리 상태로 존재하면 재활용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는, 가용성 고형분(S)이 미리 정해진 기준 수분 이하의 수분을 포함하도록 제2 원심 분리기(66)에서 배출된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한다. 기준 수분은, 약 0.3%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된 가용성 고형분(S1)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갖고, NaCl, KCl 등의 염화물염을 주로 포함한다.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는, 이와 같이 건조된 가용성 고형분(S1)을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로 전달한다.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는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가용성 고형분(S1)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는 저장 대상물을 저장 가능한 일반적인 저장 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는,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로부터 수분이 제거된 가용성 고형분(S1)을 전달받아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저장한다.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에 저장된 가용성 고형분(S1)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F)에 함유된 염화물염들을 주로 포함하므로, 플럭스(F)로서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용성 고형분(S1)은, 혼합 염분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유닛(80)은, 분할 유닛(40)에서 배출된 알루미늄 알갱이(N)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유닛(8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유닛(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리 부재(42)와 제2 분리 부재(44)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알루미늄 알갱이(N)를 저장 가능한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챔버(8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90)은, 제1 원심 분리기(55)로부터 전달받은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 및 소성하여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9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90)은,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하는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와,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에 의해 건조된 불용성 고형분(I1)을 소성하는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와,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에 의해 소성된 불용성 고형분(I2)을 저장하는 불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9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건조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의 사진이다.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는 제1 원심 분리기(55)에 의해 수용액(Q)과 분리된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불용성 고형분(I)은 증류수(D)와 제1 원심 분리기(55)에 의해 분리되지만, 일부의 증류수(D)는 불용성 고형분(I)과 분리되지 못한 채 불용성 고형분(I)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원심 분리기(55)에서 배출된 불용성 고형분(I)은, 약 30 ~ 40%의 수분을 포함하여, 슬러리 상태로 존재한다. 그런데, 불용성 고형분(I)이 슬러리 상태로 존재하면 불용성 고형분(I)의 이송 및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는, 불용성 고형분(I)이 미리 정해진 기준 수분 이하의 수분을 포함하도록 제1 원심 분리기(55)에서 배출된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한다.
기준 수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불용성 고형분(I)의 재활용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불용성 고형분(I)을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할 경우에, 기준 수분은 약 40 %이다. 예를 들어, 불용성 고형분(I)을 벽돌 내화물 또는 세라믹 재료로 재활용할 경우에, 기준 수분은 약 0.5 %이다. 참고적으로, 불용성 고형분(I)을 벽돌 내화물 또는 세라믹 재료로 재활용할 경우에는 약 1,200 ℃℃에서 소성한 재료를 필요로 하므로, 불용성 고형분(I)을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기준 수분이 요구된다.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에 의해 건조된 불용성 고형분(I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흡착된 카본 성분으로 인해 짙은 회색의 파우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불용성 고형분(I1)은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에 전달된다.
도 16은 소성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의 사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소성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을 정성 분석한 SEM-EDS 차트이며,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소성 처리한 불용성 고형분의 조성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는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에 의해 건조된 불용성 고형분(I1)을 소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에 포함된 미분의 알루미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이 물 분해될 때,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합금 수화물(이하, '수화물들'이라고 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화물들은 불용성 고형분(I)이므로, 제1 원심 분리기(55)에 의해 수용액(Q)과 분리되어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로 전달된다. 그런데, 수화물들은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합금 산화물(이하, '산화물들'이라고 함)에 비해 불안정한 물질이므로, 이러한 수화물들을 포함한 불용성 고형분(I)은 재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9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에 의해 건조 처리된 불용성 고형분(I1)을 소성 처리하여 불용성 고형분(I1)에 포함된 수화물들을 산화물들로 전이시키는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를 포함하는 것이다.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는, 불용성 고형분(I1)을 약 800 ℃℃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화물들을 소성 반응시킨다. 그러면, 수화물들은 소성되어 산화물들로 전이되며, 이와 동시에 불용성 고형분(I1)의 표면에 흡착된 카본 성분은 연소된다. 따라서,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에 의해 소성된 불용성 고형분(I2)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옅은 노란색의 파우더 형태가 된다.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는, 이러한 불용성 고형분(I2)을 불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96)에 전달한다.
한편,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가 마이크로웨이브 소성로와 같이 건조 공정과 소성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전술한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는 생략될 수 있다.
불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96)는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에 의해 소성된 불용성 고형분(I2)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불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96)는 저장 대상물을 저장 가능한 일반적인 저장 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불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96)는,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로부터 불용성 고형분(I2)을 전달받아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저장한다. 불용성 고형분(I2)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및 산화 알루미늄 합금을 주로 포함하므로, 추가적인 재활정 공정을 거친 후 세라믹 재료, 내화물 재료, 시멘트 재료로서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성 고형분(I2)의 추가적인 재활용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불용성 고형분의 추가적인 재활용 공정은, 산화 알루미늄과 산화 마그네슘을 약 2000 ℃℃로 고온 소성하여 스피넬(MgAl204)로 전이시키는 스피넬 제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스 저장 유닛(100)은 응축기(53)에서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스 저장 유닛(100)은 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저장 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 저장 유닛(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저장 라인(110)에 의해 응축기(53)의 배출부(53c)와 연결된다. 따라서, 가스 저장 유닛(100)에는, 가스 저장 라인(110)을 통해 응축기(53)의 배출부(53c)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가 저장된다. 이러한 가스 저장 유닛(100)은, 이에 저장된 가수분해 가스(G)를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반 드로스 재처리기(압입기)는, 일반 블랙 드로스에 초석(NaNO3)과 같은 발열제 플럭스를 투입하여, 일반 블랙 드로스를 재처리한다. 이와 같이 재처리된 일반 블랙 드로스를 물 분해하면, 일반 블랙 드로스에 포함된 질화 알루미늄과 규소화 알루미늄으로부터 인체에 유독한 암모니아 가스(NH3)와 실란 가스(SiH4)가 발생된다. 따라서, 재처리된 일반 블랙 드로스가 물 분해되어 발생된 가스는, 재활용되기 어렵다.
그런데,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3)에 의해 처리되어 발생된 가수분해 가스(G)는, 수소, 메탄, 에탄, 에텐, 프로판, 프로펜 등의 가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들은, 에너지원으로서 사용 가능한 가스들로서 전술한 암모니아 가스와 실란 가스와 같은 유독성을 갖지 않으므로,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에너지원으로서 우수한 성질을 갖는 수소와 메탄이 가수분해 가스(G)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가수분해 가스(G)는 재활용 가치가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가수분해 가스(G)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1)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1)은, 가스 저장 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를 연소하는 연소 유닛(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유닛(120)은, 가스 저장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가수분해 가스(G)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가스 공급 라인(130)에 의해 가스 저장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수분해 가스(G)는 주로 메탄 가스와 수소 가스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소 가스는 메탄 가스에 비해 연소 조건을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연소 유닛(120)은, 수소 가스를 연소 가능하도록 마련된 버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소 유닛(120)은, 전술한 알루미늄 용해로(1)의 원재료 공급 유닛(25)에 공급되는 알루미늄 스크랩(A)을 가수분해 가스(G)의 연소열을 이용해 예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연소 유닛(120)을 이용해 알루미늄 스크랩(A)을 예열하면, 별도의 열원을 이용해 알루미늄 스크랩(A)을 예열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3)는 전술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블랙 드로스 재활용 처리 장치(1)는 구형 블랙 드로스(B2)와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일반 블랙 드로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용해 및 드로스 재활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20은 도 19에 기재된 알루미늄 용해 단계와 구형 블랙 드로스를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의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1은 도 19에 기재된 드로스 파우더 물 분해 단계와 물 분해물 재활용 단계의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용해 및 드로스 재활용 방법은, 알루미늄을 용해하는 단계(S 100)와, 알루미늄을 용해할 때 발생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S 200)와,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파쇄 및 분쇄되어 형성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하는 단계(S 300)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의 물 분해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00)를 포함한다.
먼저, 알루미늄을 용해하는 단계(S 1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용탕(M)에 와류(V)를 형성하는 단계(S 110)와,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 용융 플럭스층이 형성되도록 플럭스(F)를 와류(V)에 투입하는 단계(S 120)와, 용융 플럭스층을 통과하도록 알루미늄 스크랩(A)을 와류(V)에 투입하는 단계(S 130)와, 알루미늄 스크랩(A)이 용해된 알루미늄 용탕(M) 및 알루미늄 스크랩(A)이 알루미늄 용탕(M)에 용해될 때 발생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회수하는 단계(S 140)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용탕(M)에 와류(V)를 형성하는 단계(S 110)는, 회전 구동 가능한 전술한 와류 유닛(21)을 이용해 알루미늄 용탕(M)을 교반하여, 알루미늄 용탕(M)에 선회 하강하는 와류(V)를 형성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플럭스(F)를 와류(V)에 투입하는 단계(S 120)는, S 110 단계에서 형성된 알루미늄 용탕(M)의 와류(V)에 미리 정해진 플럭스(F)를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럭스(F)는, 염화나트륨(NaCl)과 염화칼륨(KCl)이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 93-97 중량부 및 빙정석류(Cryolite, Potassium Cryolite)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플럭스(F)는, 염화 나트륨(NaCl) 47.5 중량부, 염화 칼륨(KCl) 47.5 중량부 및 포타슘 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KAlF4)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럭스(F)가 와류(V)에 투입되면,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는 플럭스(F)가 용해되어 형성된 용융 플럭스층 즉, 염욕층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스크랩(A)을 와류(V)에 투입하는 단계는(S 130), 미리 정해진 알루미늄 스크랩(A)을 S 120 단계에서 형성된 용융 플럭스층을 통과하도록 알루미늄 용탕(M)의 와류(V)에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스크랩(A)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합금을 주로 포함하는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UBCs, A 3XXX 계열, A 5XXXX 계열)일 수 있다. 와류(V)에 투입된 알루미늄 스크랩(A)은 알루미늄 용탕(M)에 용해된다. 이와 동시에, 알루미늄 용탕(M)에 포함된 개재물이 용융 플럭스층 즉, 플럭스(F)에 포획되어 블랙 드로스(B1)가 형성되며, 이러한 블랙 드로스(B1)가 와류(V)에 의해 알루미늄 용탕(M)에서 반복적으로 하강 및 부상됨으로써 블랙 드로스(B1)가 구형으로 결집된 구형 블랙 드로스(B2)가 형성된다.
알루미늄 용탕(M)과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회수하는 단계(S 140)는, 알루미늄 스크랩(A)이 용해된 알루미늄 용탕(M)을 전술한 알루미늄 용해로(2)의 출탕구를 통해 배출함과 함께, 알루미늄 용탕(M)의 표면에 부유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전술한 분리 유닛(27)을 이용해 알루미늄 용탕(M)으로부터 퍼내어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분쇄 및 파쇄하는 단계(S 200)는, 알루미늄 용탕(M)으로부터 회수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하는 단계(S 210)와,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리하는 단계(S 220)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는 단계(S 230)와,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분리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한다.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파쇄하는 단계(S 210)는, S 140 단계에서 회수한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전술한 파쇄기(41)를 이용해 파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를 분리하는 단계(S 220)는, S 210 단계에서 형성된 구형 블랙 드로스(B2)의 파쇄물 중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파우더(P1)를 전술한 제1 분리 부재(42)를 이용해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리 부재(42)는, 약 10 ㎜의 입도를 갖는 진동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하는 단계(S 230)는, S 220 단계에서 알루미늄 알갱이(N)와 분리된 드로스 파우더(P1)를 분쇄기(43)를 이용해 분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분리하는 단계(S 240)는, S 230 단계에서 형성된 드로스 파우더(P1)의 분쇄물 중 알루미늄 알갱이(N)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전술한 제2 분리 부재(44)를 이용해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리 부재(44)는 약 0.5 ㎜의 입도를 갖는 트롬멜 스크린(Trommel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형 블랙 드로스(B2)를 분쇄 및 파쇄하는 단계(200)는, S 220 단계 및 S 240 단계에서 드로스 파우더(P1) 및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와 분리된 알루미늄 알갱이(N)를 재활용하는 단계(S 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갱이(N)의 재활용 단계(S 250)는, 알루미늄 알갱이(N)를 전술한 알루미늄 용탕(M)의 와류(V)에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하는 단계(S 300)는, S 240 단계에서 알루미늄 알갱이(N)와 재분리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반응기(51)를 이용해 물 분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반응기(51)는, 1 : 2 비율로 혼합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와 물(W1)을 교반하여,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를 물 분해하는 경우에,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는 가수분해 가스(G), 가용성 고형분(S) 및 불용성 고형분(I)을 포함하는 물 분해물들로 분해된다.
다음으로,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P2)의 물 분해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0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수분해 가스(G)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10)와, 가용성 고형분(S)이 물(W1)에 용해되어 생성된 수용액(Q)과 불용성 고형분(I)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S 420)와, 가용성 고형분(S)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30)와, 불용성 고형분(I)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40)를 포함한다.
가수분해 가스(G)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1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 411)와, 수분 및 불순물이 제거된 가수분해 가스(G)를 분리 정제하는 단계(S 412)와, 분리 정제된 가수분해 가스(G)를 저장하는 단계(S 413)를 포함한다.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 411)는, 반응기(54)로부터 배출된 가수분해 가스(G)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전술한 트랩기(52) 및 응축기(53)를 이용해 제거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수분해 가스(G)를 분리 정제하는 단계(S 412)은, S 411 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가수분해 가스(G) 중 실제로 재활용 가능한 가스의 순도를 높이거나 가스분해 가스(G) 중 재활용 목적에 맞는 특정 가스를 다른 가스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가수분해 가스(G)를 전술한 가스 분리 정제기(54)를 이용해 분리 정제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수분해 가스(G)를 저장하는 단계(S 413)는, S 412 단계에서 분리 정제된 가수분해 가스(G)를 전술한 가스 저장 유닛(100)에 저장하여 수행할 수 있다.
불용성 고형분(I)과 수용액(Q)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S 4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액(Q)과 불용성 고형분(I)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S 421)와, 불용성 고형분(I)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단계(S 422)와, 불용성 고형분(I)과 증류수를 원심 분리하는 단계(S 423)를 포함한다.
불용성 고형분(I)과 수용액(Q)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S 421)는, S 410 단계에서 가수분해 가스(G)와 분리된 불용성 고형분(I)과 수용액(Q)을 전술한 제1 원심 분리기(55)를 이용해 원심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불용성 고형분(I)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단계(S 422)는, S 421 단계에서 불용성 고형분(I)에 흡착된 염소가 불용성 고형분(I)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증류수를 이용해 불용성 고형분(I)을 세척하여 수행할 수 있다. S 421 단계에서 불용성 고형분(I)과 수용액(Q)을 원심 분리하더라도 일부의 수용액(Q)은 불용성 고형분(I)에 흡착된 상태로 남을 수 있는데, 이러한 수용액(Q)에는 염화물염을 포함하는 가용성 고형분(S)이 용해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불용성 고형분(I)에 흡착된 염화물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불용성 고형분(I)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용성 고형분(I)을 증류수로 세척하는 단계(S 422)는, 후술할 S 445 단계에서 생성된 증류수(D)를 이용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용성 고형분(I)과 증류수를 원심 분리하는 단계(S 423)는, S 422 단계 이후에, 전술한 제1 원심 분리기(55)를 이용해 불용성 고형분(I)과 증류수(D)를 원심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 422 단계와 S 423 단계는 불용성 고형분(I)에 흡착된 염화물염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농도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기준 농도는, 약 300 pp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용성 고형분(S)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3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액(Q)을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 하에서 감압 증류하여, 수용액(Q)으로부터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시키는 단계(S 431)와,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1)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S 432)와,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는 단계(S 433)와, 가용성 고형분(S1)을 저장하는 단계(S 434)를 포함한다.
수용액(Q)을 감압 증류하여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시키는 단계(S 431)는, S 421 단계에서 불용성 고형분(I)과 원심 분리된 수용액(Q)을 전술한 감압 증류기(62)를 이용해 미리 정해진 감압 증류 온도 및 감압 증류 압력 하에서 감압 증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증류 온도는 40℃℃ 내지 70℃℃이고, 상기 감압 증류 압력은 12㎪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용성 고형분(S)과 수용액(Q1)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S 432)는, S 431 단계에서 수용액(Q)으로부터 석출된 가용성 고형분(S) 및 가용성 고형분(S)이 석출되고 남은 수용액(Q1)을 전술한 제2 원심 분리기(66)를 이용해 원심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는 단계(S 433)는, S 432 단계에서 수용액(Q1)과 원심 분리된 가용성 고형분(S)을 전술한 가용성 고형분 건조기(72)를 이용해 건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용성 고형분(S)을 건조하는 단계(S 433)는, 가용성 고형분(S)이 0.3 % 이하의 수분을 포함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용성 고형분(S1)을 저장하는 단계(S 434)는, S 433 단계에서 건조된 가용성 고형분(S1)을 전술한 가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74)에 저장하여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용성 고형분(S)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30)는, S 431 단계에서 수용액(Q)을 감압 증류할 때 발생된 수증기(T)를 응축하여 증류수(D)를 생성하는 단계(S 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류수(D)를 생성하는 단계(S 435)는, S 431 단계에서 발생된 수증기(T)를 전술한 응축기(64)를 이용해 응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증류수(D)를 생성하는 단계(S 435)에서 생성된 증류수(D)는, 전술한 제1 원심 분리기(55)로 전달되어 S 422 단계에서 불용성 고형분(I)을 세척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용액(Q)을 감압 증류하여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시키는 단계(S 430)는, S 421 단계에서 불용성 고형분(I)과 원심 분리된 수용액(Q)과 S 432 단계에서 가용성 고형분(S)과 원심 분리된 수용액(Q1) 중 어느 하나를 감압 증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수용액(Q1)에 용해된 가용성 고형분(S)을 석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수용액(Q1)을 전술한 감압 증류기(62)로 재전달(S 436)하여 재감압 증류를 실시하는 것이다.
불용성 고형분(I)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S 44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하는 단계(S 441)와, 불용성 고형분(I1)을 소성하는 단계(S 442)와, 불용성 고형분(I2)을 저장하는 단계(S 443)를 포함한다.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하는 단계(S 441)는, S 420 단계에서 불용성 고형분(I)과 분리되지 못한 채 불용성 고형분(I)에 흡착된 수분을 전술한 불용성 고형분 건조기(92)를 이용해 건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하는 단계(S 441)는, 불용성 고형분(I)을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불용성 고형분(I)이 40 % 이하의 수분을 포함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용성 고형분(I)을 건조하는 단계(S 441)는, 불용성 고형분(I)을 벽돌 내화물 또는 세라믹 재료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불용성 고형분(I)이 0.5 % 이하의 수분을 포함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용성 고형분(I1)을 소성하는 단계(S 442)는, S 441 단계에서 건조된 불용성 고형분(I1)을 전술한 불용성 고형분 소성로(94)를 이용해 소성하여 수행할 수 있다. 불용성 고형분(I1)은 불안정한 성질을 갖는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 수화물 등의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산화물들이 상대적으로 안정한 성질을 갖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 산화물로 전이되도록 불용성 고형분(I1)을 소성하는 것이다.
불용성 고형분(I2)을 저장하는 단계(S 443)는, S 442 단계에서 소성된 불용성 고형분(I2)을 전술한 불용성 고형분 저장 챔버(96)에 저장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알루미늄 용해 및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2 : 알루미늄 용해로
3 :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
10 : 가열실
20 : 용해실
30 : 유동력 부여실
40 : 분할 유닛
50 : 물 분해 유닛
60 : 석출 유닛
70 : 가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
80 : 알루미늄 알갱이 저장 유닛
90 : 불용성 고형분 저장 유닛
100 : 가스 저장 유닛
M : 알루미늄 용탕
V : 와류
A : 알루미늄 스크랩
F : 플럭스
B1 : 블랙 드로스
B2 : 구형 블랙 드로스
P1 : 드로스 파우더
P2 :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
N : 알루미늄 알갱이
S, S1 : 가용성 고형분
I, I1, I2 : 불용성 고형분
Q, Q1 : 수용액
G : 가수분해 가스
T : 수증기
D : 증류수

Claims (18)

  1. 플럭스 처리된 알루미늄 용탕에 알루미늄 스크랩을 용해할 때 발생한 블랙 드로스를 재활용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랙 드로스를 알루미늄 알갱이와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로 분할하는 분할 유닛; 및
    상기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를 물과 반응시켜 가용성 고용분, 불용성 고형분 및 가수분해 가스로 분할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물에 통과시켜 상기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수분 및 불순물을 포집하는 트랩기와, 상기 트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냉각하여 상기 가수분해 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하는 물 분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스크랩은, 적어도 알루미늄 폐캔 스크랩을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는, 염화 나트륨(NaCl)과 염화 칼륨(KCl)이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 93-97 중량부 및 빙정석류(Cryolite, Potassium Cryolite)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유닛은, 상기 블랙 드로스를 파쇄 및 분쇄하여 상기 알루미늄 알갱이와 상기 드로스 미립자 파우더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해 유닛은, 상기 반응기에 수용된 상기 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을 통과하도록 상기 반응기와 상기 트랩기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라인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잠기도록 마련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통과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장부를 통과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에 분사 가능하도록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기는,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상기 응축기 쪽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분리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들은, 각각의 분리판에 구비된 상기 안내공들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해 유닛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가 상기 응축기에 전달되도록, 상기 트랩기와 상기 응축기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해 유닛은, 상기 트랩기에 수용된 상기 물 및 상기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각각 유입됨과 함께, 상기 가수분해 가스가 냉각되어 발생하는 부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트랩기 및 상기 응축기와 각각 연결되는 가스압 보상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물 및 상기 응축수가 서로 혼합된 혼합수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혼합수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챔버는, 상기 혼합수의 수위 변화를 관찰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찰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트랩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트랩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응축기와 상기 혼합수 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개폐 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물 및 상기 응축수가 서로 혼합된 혼합수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드레인 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 보상 라인은, 상기 물이 수압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트랩기와 연결된 제1 유입구와, 상기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응축기와 연결된 제2 유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연소하는 연소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가스 저장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가수분해 가스를 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유닛은, 상기 알루미늄 스크랩을 상기 가수분해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해 예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KR1020180034620A 2018-03-26 2018-03-26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KR10207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20A KR102075589B1 (ko) 2018-03-26 2018-03-26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20A KR102075589B1 (ko) 2018-03-26 2018-03-26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527A true KR20190112527A (ko) 2019-10-07
KR102075589B1 KR102075589B1 (ko) 2020-02-10

Family

ID=6842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620A KR102075589B1 (ko) 2018-03-26 2018-03-26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566A (zh) * 2019-11-25 2020-04-10 耒阳市刘燕酿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冻干食品生产中生物纯水的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155A (ja) * 1994-09-06 1996-03-19 Gastar Corp ガス燃焼装置
KR101106563B1 (ko) * 2010-01-20 2012-01-19 주식회사 씨엔엘에너지 수소발생장치
KR101393109B1 (ko) * 2013-03-06 2014-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알루미늄 드로스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35425B1 (ko) * 2015-12-14 2017-05-16 (주)디에스리퀴드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155A (ja) * 1994-09-06 1996-03-19 Gastar Corp ガス燃焼装置
KR101106563B1 (ko) * 2010-01-20 2012-01-19 주식회사 씨엔엘에너지 수소발생장치
KR101393109B1 (ko) * 2013-03-06 2014-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알루미늄 드로스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35425B1 (ko) * 2015-12-14 2017-05-16 (주)디에스리퀴드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566A (zh) * 2019-11-25 2020-04-10 耒阳市刘燕酿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冻干食品生产中生物纯水的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589B1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425B1 (ko)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537727B1 (ko) 규산염 광물로부터 리튬의 회수
KR101711363B1 (ko) 알루미늄 스크랩의 블랙 드로스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N103052607B (zh) 氯旁路粉尘及废气的处理方法及处理装置
WO2016086734A1 (zh) 烟气脱硫生产硫酸镁的装置与方法
KR102090348B1 (ko) 희토류 추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8966A (ko) 리튬 화학물질 및 금속성 리튬의 제조
KR101735493B1 (ko)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4762481B (zh) 一种分离电弧炉烟尘中锌和铁的方法
FR2608618A1 (fr) Procede de recuperation de fluorures de matieres residuaires
KR102075589B1 (ko)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KR102075588B1 (ko)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용 물 분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RU2472865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фтор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алюминия
KR102081310B1 (ko) 알루미늄 용해 및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JP2008143728A (ja) セメント製造工程からの鉛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CN211311551U (zh) 一种电热炼铝的装置
KR102149267B1 (ko) 알루미늄 용해 및 블랙 드로스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6119546A (zh) 一种通过回转窑焙烧次氧化锌粉富集有价金属的方法
JP2007521393A (ja) 高温における揮発性金属の機械的分離
US3317414A (en) Production of magnesium chloride and magnesium metal
JP2001283871A (ja) 廃電池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5013356A (en) Process for the processing of slag from aluminium scrap and waste melting, recovery of components thereof and treatment of gasses generated
JP4949713B2 (ja) 重金属含有原料の焼成方法
JP2000247616A (ja) 廃棄物から燐を回収する設備及び方法
EA024717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ксида цинка из ру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