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246A -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246A
KR20190112246A KR1020180034179A KR20180034179A KR20190112246A KR 20190112246 A KR20190112246 A KR 20190112246A KR 1020180034179 A KR1020180034179 A KR 1020180034179A KR 20180034179 A KR20180034179 A KR 20180034179A KR 20190112246 A KR20190112246 A KR 2019011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ection
suction space
suction
photovolta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8003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2246A/ko
Publication of KR2019011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혼류되는 부유(미세)먼지 필터링 장치를,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에 저구통과 연계되도록 구비로서, 건축물에 사용하는 에너지발전과 아울러 분사된 수분으로 필터링이 보강되는 흡습포로 실내에 청결한 공기를 제공시켜 주기 위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에는 대부분 신재생발전을 위하여 태양광발전모듈을 설치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 또는 사무실 등에서는 공기에 대한 정화를 위하여 냉각탑과 이를 실내로 연결하기 위하는 덕트 등을 이용하여서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 있으나, 이는 미세먼지에 대한 제거력이 미흡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또한 정화시설을 구축하기에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사이를 감싸서 흡입공간(100)을 형성하도록, 지지기둥(60)의 외측구간으로 감싸주어서 원통형의 필터체(80)과, 상기 필터체(80)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되는 자켓(82)과, 상기 자켓(82)의 단부를 차단문(142)의 조립으로 밀폐되도록 고정되는 흡입공간(100)과, 상기 필터체(80)에 미세먼지 필터보강을 위한 용수를 미도시된 펌프로 공급되는 용수를 분사시켜 주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에 구비된 분사대(93)와, 상기 흡입공간(100)으로 흡입된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건축물(77)의 실내로 공급시켜 주는 공급관(98)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Omitted}
본 발명은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혼류되는 부유(미세)먼지 여과장치를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에 저수통과 연계되도록 구비로서, 건축물에 사용하는 에너지발전과 아울러 분사된 수분으로 필터링이 보강되는 흡습포로 실내에 청결한 공기를 제공시켜 주기 위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에는 대부분 신재생발전을 위하여 태양광발전모듈을 설치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건조하면서 황사가 불어주는 봄철의 경우에는 미세먼지에 의하는 호흡기의 질환의 발생이며, 또한 차량이나 밀집된 주택지역에서는 신선한 공기의 유지가 어려운 형편이다.
또한 실내 또는 사무실 등에서는 공기에 대한 정화를 위한 공기 필터장치와, 이를 실내로 연결하기 위한 덕트 설치로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나, 이는 미세먼지에 대한 필터력이 미흡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의 고도화로 발생하는 건조한 시기에 발생하는 미세먼지나 공장의 배기가스, 경유차량의 배기가스에 혼입된 유해가스는 특히 극미세먼지에 대한 효과적인 필터링(걸름)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걸름장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원자력이나 석탄으로 발전된 전력의 공급이며, 또한 공기오염에 대한 필터링용 전력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도심지의 건축물에서 옥상의 면적에는 친환경적인 발전을 위하여 태양광발전장치가 구축되는 추세이다.
또한 공기 오염이나 고도의 산업발전으로 태양광발전에 대한 사용이 주거용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 등에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나, 본인의 선 발명출원된 10-2017-102921호에 의하여 제공되었으나,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에 대한 필터링장치가 제공되었으며, 이는 폭염이 발생하는 하절기에는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냉각효과가 부족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 중에 증발된 수증기는 태양열로 인하여 증발하는 과정에서 증발(기화)열의 흡수로서 주변이 서늘하게 낮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인의 선발명 등록된 10-1102616호에 제공된 바와 같이, 추운 동절기의 건조하면서 미세먼지로 혼탁한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정은 실내공기의 건조사항으로 위생상 미달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이는 여과포를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서 강제로 통과하는 원리는, 구조상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에 대한 미세한 먼지의 필터링의 효과에 대하여 보강구조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친환경적인 에너지의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소정의 넓은 면적의 태양광발전판과, 상기 태양광발전판으로 형성되는 그늘지역에 구비되는 미세먼지의 걸름장치용 걸름막에 수분 분사로 적셔줌으로서, 수분(물기)의 응집력으로 미세한 먼지를 응집시켜 주는 필터링이 거의 완벽한 걸름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성되는 응축수를 가능한 지속적으로 흡수하도록 여과포를 흡습포로 제공하여서 완벽한 미세먼지의 제거를 위한 구성을 지속적으로 제공을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폭염기에 가열되는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높은 온도를 수증기 증발 과정의 흡수열로 서냉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에 지지기둥에결합된 프레임으로 고정되는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상하측 단부를 자켓의 고정으로 밀폐시켜 형성되는 흡입공간과, 상기 필터체에다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지지기둥에 구비된 다수개의 미세한 알갱이로 스프레이하도록 별도의 가압펌프로 흡입된 공기를 품어주는 분무대의 구비로서, 흡입공간에 구비된 흡입펌프의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에 부유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청정공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필터링 과정에서 서냉된 공기를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으로 이동시켜서, 폭염기에 태양열로 가열된 발전판을 서냉으로서 태양광발전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함이다.
고로 상기 비산된 부유공기는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인 그늘지역으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수증기의 분사로 젖은상태로 형성시켜 주되, 또한 상기 젖은 상태의 공기를 더 완벽히 필터링을 위하여 필터체(여과포)에 분사로 급수제공으로서,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여과포에 별도의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물기로 적셔주면, 미세먼지 알갱이에 대한 응집력의 보강으로 미세먼지의 여과력이 보강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지는 지붕의 경사도에 맞추어서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공간에다 필터링하는 부직포와 수분을 분사하는 분사대가 결합된 흡입공간을 구비로서, 건축물의 실내에 청정된 공기를 제공시켜 주는 태양광발전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공기 중에서 비산된 부유물을 포집함이며, 상기 포집된 부유물을 흡습포의 필터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스라브(72)나 지붕(71)이 구축으로 실내가 구비된 건축물(77)과, 지면의 기초대(67)에서 돌출된 지지기둥(60)과 프레임(75)에 고정으로 경사지도록 양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지지되도록 태양광 발전판(70)과,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공기의 이동공간(90)이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모듈(50)과,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에는 건축물(77)의 실내로 연동되도록 미도시된 제어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모듈(50)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사이를 감싸서 흡입공간(100)을 형성하도록, 지지기둥(60)의 외측구간으로 감싸주어서 원통형의 필터체(80)과, 상기 필터체(80)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되는 자켓(82)과, 상기 자켓(82)의 단부를 차단문(142)의 조립으로 밀폐되도록 고정되는 흡입공간(100)과, 상기 필터체(80)에 미세먼지 필터보강을 위한 용수를 미도시된 펌프로 공급되는 용수를 분사시켜 주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에 구비된 분사대(93)와, 상기 흡입공간(100)으로 흡입된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건축물(77)의 실내로 공급시켜 주는 공급관(98)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경사지는 지붕(71)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필터체(80)가 구비된 흡입공간(100)과,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으로 구비된 필터체(80)의 내측구간으로 제2필터체(84)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2필터체(84)에 분무수사 분사되도록 지지기둥(60)에 별도의 분사대(94)을 구비로서, 흡입된 공기에 분무된 미세먼지의 필터링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흡입공간(100)의 중앙측에 벽체(107)의 구비로 형성되는 제1,2흡입공간(101)(102)과, 상기 제1흡입공간(101)의 저측면에 제3필터체(87)와 제3필터체(87)에 용수 분사용 분사대(108)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제1흡입공간(101)의 상측으로 가압펌프(106)의 구비와, 상기 가압펌프(106)로 공급되는 가습공기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구간(a)으로 이동시켜 주는 유입대(113)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제2흡입공간(102)에서 태양광발전판(70)의 상측구간으로 배출대(104)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구간(a)에서 양측의 유입대(113)와 배출대(114)를 연결시켜 주는 자켓(82)과, 상기 자켓(82)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과 이격된 간격에는 태양광발전판(70)의 냉각공기 이동구간(110)형성으로서, 태양광발전판(70)에 대한 태양광가열로 인한 냉각장치를 제공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자켓(82)을 감싸서 조립된 흡입공간(100)의 일측으로 가압펌프(106)로 배출대(114)에 연결된 유입구간(156)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타측으로 연결된 배출구간(157)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흡입공간(100)의 상,하측으로 각각 고정판(147)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고정판(147)에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에 맞추어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요홈(139)과, 상기 부직포(127)에는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에 고정하도록 양측으로 조립되는 조립용벤드(137)와, 상기 조립용벤드(137)에 고정된 부직포(127)을 관통되는 조립구(141)와, 상기 조립구(141)에 삽입되는 조립볼트(142)와, 상기 조립볼트(142)가 돌출로 형성된 돌출조(142’)가 조립요홈(139)이 형성되는 고정판(147)에 걸려주도록 돌출되고, 상기 부직포(127)에 결합된 상하측 조립용벤드(137)의 상하측 구간에 일체로 조립되는 지지철망(144)과, 상기 부직포(127)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파킹(129)의 구비로서,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구간(121)이 각각 밀폐되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부직포(127)의 하측구간에 결합된 조립용벤드(137)의 하측으로 연장으로 저수통(131)에 저수된 용수에 잠겨서 삼투압이 제공되는 심지포(123)와, 상기 유입구간(156)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부유된 공기를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기로 적셔진 부직포(127) 사이의 밀폐된 이동구간(121)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을 위한 발전판의 면적은 넓은 구간으로 필요하나 공기 중에 비산된 미세먼지 여과를 위한 필터링 장치의 크기에 맞추어서 효과적으로 조립으로 공간에 대한 효과를 제공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판의 저측구간에 형성된 그늘진 공간에서 미세먼지가 부유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여과포를 습한 상태로 제공하여서, 상기 습한 상태의 흡습포는 미세먼지의 흡착력보강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기 중에서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여과로 흡수하여서, 친환경적인 공기로 제공하는 실용성 및 경제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4은 봄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7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8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9는 도8에 대한 요부에 대한 결합상태의 일부절개된 부분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4은 봄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7은 도6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9는 도8에 대한 요부에 대한 결합상태의 일부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소정의 크기로 제작되는 태양광발전판(70)을 지지기둥(60)으로 고정시켜서 태양광이 비치는 방향으로 수임이 확대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는 필히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형성되는 그늘구간은 서늘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실내 등을 구축하는 건축물(77)의 스라브(72) 또는 지붕(71)이나, 지면의 기초대(67)에서 태양광이 비치는 경사도에 맞추어 태양광 발전판(70)이 경사지도록, 양측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지지되도록 프레임(75)과 연계로 고정되는 지지기둥(60)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상기 지지기둥(60)의 구비로 스라브(72)나 지면에서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공기의 이동공간(90)이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모듈(50)과,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에 구비된 미도시된 제어장치가 건축물(77)의 전력시설로 연동되는 전력장치가 설정된 태양광 발전모듈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공간에서 공기 중에 부유로 이동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필터링시켜 주는 장치를 첨부된 도1 내지 도2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사이를 감싸서 태양광 발전판(70)의 면적의 크기에 맞추어 주는 흡입공간(100)을 형성하도록, 태양광 발전판(7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기둥(60)의 외측구간으로 감싸주는 원통형의 필터체(80)과, 상기 필터체(80)의 내측공간을 밀폐로서 흡입펌프(85)로 흡입력에 의하여 필터체(80)의 매쉬(통과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주도록, 상기 필터체(80)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하도록 프레임(75)에 조립되는 자켓(82)으로 밀폐되는 흡입공간(100)과, 상기 필터체(80)에 미세먼지 필터보강을 위한 용수를 뿜어주도록, 미도시된 펌프로 공급되는 용수의 분사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비하면서 미도시된 가압펌프로 공급되는 고압수로 분사된 분사대(93)를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간(100)으로 흡입된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건축물(77)의 실내로 공급시켜 주는 공급관(98)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공간에 구비된 흡입공간(100)의 면적은, 건축물에 구비되는 청정공기 공급용 실내의 면적에 따라, 적절한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지지기둥이 구비되는 소정의 구간에 설치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대부분의 건축물(77)에는 지붕(71)의 구조가 중앙부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사면에는 기와와 같은 덮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3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상기 경사진 지붕(71)에 설치된 넓은 면적의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공간에 구비된 대한 흡입공간(100)과, 상기 흡입공간에 필터링을 위한 부직포(127)을 구비시켜서, 미세먼지에 대한 필터링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이다.
고로 첨부된 도3 및 도8,9에 의거 상세히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경사진 지붕(71)의 경사도에 맞추어서 설치되는 필타링을 위한 흡입공간(100)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상,하측으로 각각 고정판(147)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고정판(147)에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부직포(127)가 등 간격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요홈(139)과, 상기 부직포(127)에는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에 고정하도록 양측으로 조립되는 조립용벤드(137)와, 상기 조립용벤드(137)을 고정하도록 부직포(127)을 관통되는 조립구(141)와, 상기 조립구(141)에 삽입되는 조립핀(142)으로 조립되면서 조립용벤드(137)를 돌출로 부직포(127)가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 가장자리에 안치로 조립되는 조립핀(142)와, 상기 부직포(127)의 하측의 구간에 결합된 조립용벤드(137)의 하측으로 연장시켜 주되, 상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저수통(131)의 용수에 잠기도록 서로 중첩으로 연장되면서 삼투압이 형성되는 심지포(123)와, 상기 유입구간(156)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으로 형성된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구간(121)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간(1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부유된 미세먼지가 다수개 부직포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경사지는 지붕(71)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하향되는 프리임(75)에 고정시켜 주는 필터체(80)가 필터링하도록 흡입공간(100)에 구비되는 흡입펌프(85)를 설치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필터체(80)으로 밀폐된 흡입공간(100)에 대한 필터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으로 구비된 필터체(80)의 내측구간으로 제2필터체(84)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2필터체(84)에 분무수가 분사되도록 지지기둥(60)에 별도의 분사대(94)을 구비로서, 흡입된 공기에 분무된 미세먼지의 필터링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제공된 요부인 흡입공간(100)에서 태양광발전판(70)에 대한 발전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한 냉각장치의 구비는 필수요소로서, 특히 혹서기에 가해지는 태양광가열에 대한 발전력 보강을 위하면서, 냉각구조를 제공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 내지 도3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건축물(77)은 대부분 양측으로 경사지는 지붕(71)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70)에서 태양광이 최대한 수임으로 발전력이 제공되도록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혹한기에 사용되는 동안에 상기 흡입공간(100)에 조성되는 용수의 분사로서 미세먼지 필터링 과정에서 서냉되는 공기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으로 순환으로서 태양열로 가열된 고온을 냉각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지게 설치된 지붕(71)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70)에 용이하게 미세먼지 필터링하는 흡입공간(100)에서 공급되는 서냉된 공기를 순환 사용으로 태양광발전판(70)을 냉각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상기 경사지는 태양광발전판(70)의 경사진 저측구간을 2등분으로 밀폐시켜주는 벽체(107)로 구비되는 제1흡입공간(101)과 경사진 상측구간으로 제2흡입공간(102)으로 분리시켜 주고, 상기 경사진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에 인접으로 서냉(냉각)된 공기의 이동으로 태양광발전판(70)이 냉각되도록 제공시켜 주기 위한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상기 흡입공간(100)의 중앙측에 벽체(107)의 구비로 각각 분리로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제1,2흡입공간(101)(102)과, 상기 제1흡입공간(101)의 저측면에 제3필터체(87)와 제3필터체(87)에 용수 분사용 분사대(108)을 구비로서 제1흡입공간(101)에 대한 미세먼지의 필터링구간을 저측면으로 확대시켜 주고, 상기 제1흡입공간(101)의 상측으로 가압펌프(106)의 구비와, 상기 가압펌프(106)로 공급되는 가습공기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구간(a)으로 이동시켜 주는 유입대(127)을 형성시켜서 경사지지게 설치된 태양광발전판(70)의 하측단의 저측구간(a)으로 필터링된 공기의 유입량을 확대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2흡입공간(102)에서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구간(a)의 상측구간으로 배출대(114)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구간(a)에서 양측의 유입대(113)와 배출대(114)를 연결시켜 주는 자켓(82)과, 상기 자켓(82)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과 이격된 간격에는 태양광발전판(70)의 냉각공기 이동구간(110) 형성으로서, 태양광발전판(70)에 대한 태양광가열로 인한 냉각장치가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제2흡입공간(102)에 구비된 필터체(80)의 필터력은 분사대(93)에서 분사된 수분과 건축물(77)의 실내로 공급시켜 주는 공급관(98)에 구비된 가압펌프(106)의 흡입력으로 제공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유입대(113)과 배출대(114)의 구조는 경사지는 태양광발전판(70)의 상하측 단부구간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링장치(135)에 대한 설치를 위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작업실이나 주거를 위한 실내가 구비된 건축물(77) 부근의 자투리 땅에 구비로서, 건축물 주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을 위하도록 미세먼지를 여과시켜 주는 필터링장치(135)을 제공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첨부도면 도6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82)으로 외부와 차단으로 형성된 흡입공간(100)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일측으로 가압펌프(106)로 배출구(114)에 연결된 유입구간(156)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타측으로 연결된 배출구간(157)을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간(100)을 통과하는 과장에서, 공기 중에 부유된 미세먼지를 순차적으로 필터링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흡입공간(100)의 상,하측으로 각각 고정판(147)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고정판(147)에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부직포(127)가 등 간격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요홈(139)과, 상기 부직포(127)에는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에 고정하도록 양측으로 조립되는 조립용벤드(137)와, 상기 조립용벤드(137)을 고정하도록 부직포(127)을 관통되는 조립구(141)와, 상기 조립구(141)에 삽입된 조립핀(142)의 돌출로 부직포(127)가 고정판(147)에 안치로 조립되는 조립핀(142)와, 상기 부직포(127)의 하측에 결합된 조립용벤드(137)의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저수통(131)의 용수에 잠겨서 삼투압이 형성되는 심지포(123)와, 상기 유입구간(156)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으로 형성된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구간(121)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장치(135)의 설치는 건축물(77)의 부근에 설치하도록 제공되므로, 이는 계절상 혹한기에 결빙으로 부직포(127)에 대한 삼투압이나 가압펌프(106)의 흡입력으로 강제적인 유입공기의 이동력으로, 두께가 두툼한 부직포(127)에 구비된 미세구멍을 통과로서 미세먼지가 필터링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두툼한 부직포(127)을 강제적으로 관통으로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압력으로 부직포(127)의 조립된 결합상태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127)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파킹(129)으로서,
상기 파킹(129)은 흡입공간(100)을 형성하는 자켓(82)과 일측으로 조립되는 차단문(142)의 조립으로서, 상기 흡입공간(100)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조립되는 다수개의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공간(121)(121‘) 사이를 밀폐로 각각 분리를 시켜 줌으로서, 싱기 흡입공간(100)의 출구(128)에 구비된 흡입펌프(106)의 흡입력으로 유입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부직포(127)의 메쉬(133)를 통과로 미세먼지가 필터링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127)에는 계속적으로 물기를 적셔주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127)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에 고정하도록 양측으로 조립되는 조립용벤드(137)와, 상기 조립용벤드(137)을 고정되는 하측으로 연결된 부직포(127)를 저수통(131)에 담아진 용수에 잠겨서, 물기가 삼투압으로 흡수하여서, 계속 부직포(127)를 적셔주도록 한다.
이는 상기 흡입공간(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저수통(131)으로 심지포(123)를 적셔주고, 상기 유입구간(156)에 구비되는 가열희터(140)와, 상기 부직포(127)에 결합된 상하측의 조립용벤드(137) 상하측 구간에 일체로 조립되는 지지철망(144)이 구성된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부유먼지 필터링 장치를 건축물(77)의 옥상이나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에 일체로 고정된 필터링장치(135)의 구비로 사용하도록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링장치(135)에 대한 설치를 위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작업실이나 주거를 위한 실내가 구비된 건축물(77) 부근의 옥상에 구비로서, 첨부된 도6 내지 도7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소정의 크기로 경사지는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공간에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링장치(135)의 조립하도록 지지기둥(60)에 결합된 태양광발전모듈(50)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링장치(135)을 구비하여 주도록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공간에 일체되면서, 경사지는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에 구비되는 공기의 유입구(113)와, 상기 유입구(113)에서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에 형성되는 가열공간(110)의 배출구(114)에 연결로 유입되는 유입구간(156)에는 필터링장치(135)에 형성된 흡입공간(100)에 연결로서 필터링이 되도록 제공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필터링장치(13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사이에 고정되는 자켓(82)으로 외부와 차단으로 형성된 흡입공간(100)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일측으로 가압펌프(106)로 배출구(114)에 연결된 유입구간(156)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타측으로 연결된 배출구간(157)을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간(100)을 통과하는 과장에서, 공기 중에 부유된 미세먼지를 순차적으로 필터링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흡입공간(100)의 상,하측으로 각각 고정판(147)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고정판(147)에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부직포(127)가 등 간격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요홈(139)과, 상기 부직포(127)에는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에 고정하도록 양측으로 조립되는 조립용벤드(137)와, 상기 조립용벤드(137)을 고정하도록 부직포(127)을 관통되는 조립구(141)와, 상기 조립구(141)에 삽입된 조립핀(142)의 돌출로 부직포(127)가 고정판(147)에 안치로 조립되는 조립핀(142)와, 상기 부직포(127)의 하측에 결합된 조립용벤드(137)의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저수통(131)의 용수에 잠겨서 삼투압이 형성되는 심지포(123)와, 상기 유입구간(156)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으로 형성된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구간(121)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50. 태양광발전모듈 60. 지지기둥 67. 기초대
70. 태양광 발전판 72. 스라브 75. 프레임 77. 건축물
80. 필터체 82. 자켓 84. 제2필터체
85. 흡입펌프 87.제3필터체 90. 이동구간
93. 분사대 94. 분사대 98.공급관 100. 흡입공간
101,102. 제1,2흡입공간 106. 가압펌프
107. 벽체 108. 분사대 110. 가열공간 113. 유입대
114. 배출대 123. 심지포 127. 부직포 129. 파킹
131. 저수통 135. 필터링장치 137. 조립용벤드

Claims (5)

  1. 스라브(72)나 지붕(71)이 구축으로 실내가 구비된 건축물(77)과, 지면의 기초대(67)에서 돌출된 지지기둥(60)과 프레임(75)에 고정으로 경사지도록 양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지지되도록 태양광 발전판(70)과,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공기의 이동공간(90)이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모듈(50)과,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에는 건축물(77)의 실내로 연동되도록 미도시된 제어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모듈(50)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70)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사이를 감싸서 흡입공간(100)을 형성하도록, 지지기둥(60)의 외측구간으로 감싸주어서 원통형의 필터체(80)과, 상기 필터체(80)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되는 자켓(82)과, 상기 자켓(82)의 단부를 차단문(142)의 조립으로 밀폐되도록 고정되는 흡입공간(100)과, 상기 필터체(80)에 미세먼지 필터보강을 위한 용수를 미도시된 펌프로 공급되는 용수를 분사시켜 주는 프레임(75)과 지지기둥(60)에 구비된 분사대(93)와, 상기 흡입공간(100)으로 흡입된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건축물(77)의 실내로 공급시켜 주는 공급관(98)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는 지붕(71)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판(70)의 저측공간으로 필터체(80)가 구비된 흡입공간(100)과,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으로 구비된 필터체(80)의 내측구간으로 제2필터체(84)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2필터체(84)에 분무수사 분사되도록 지지기둥(60)에 별도의 분사대(94)을 구비로서, 흡입된 공기에 분무된 미세먼지의 필터링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간(100)의 중앙측에 벽체(107)의 구비로 형성되는 제1,2흡입공간(101)(102)과, 상기 제1흡입공간(101)의 저측면에 제3필터체(87)와 제3필터체(87)에 용수 분사용 분사대(108)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제1흡입공간(101)의 상측으로 가압펌프(106)의 구비와, 상기 가압펌프(106)로 공급되는 가습공기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구간(a)으로 이동시켜 주는 유입대(113)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제2흡입공간(102)에서 태양광발전판(70)의 상측구간으로 연결된 배출대(104)과, 상기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구간(a)에서 양측의 유입대(113)와 배출대(114)를 연결시켜 주는 자켓(82)과, 상기 자켓(82)과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면과 이격된 간격에는 태양광발전판(70)의 냉각공기 이동구간(110)형성으로서, 태양광발전판(70)에 대한 태양광가열로 인한 냉각장치를 제공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82)을 감싸서 조립된 흡입공간(100)의 일측으로 가압펌프(106)로 배출대(114)에 연결된 유입구간(156)과, 상기 흡입공간(100)의 타측으로 연결된 배출구간(157)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흡입공간(100)의 상,하측으로 각각 고정판(147)을 결합시켜 주되, 상기 고정판(147)에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에 맞추어 조립되도록 형성된 조립요홈(139)과, 상기 부직포(127)에는 고정판(147)의 조립요홈(139)에 고정하도록 양측으로 조립되는 조립용벤드(137)와, 상기 조립용벤드(137)에 고정된 부직포(127)을 관통되는 조립구(141)와, 상기 조립구(141)에 삽입되는 조립볼트(142)와, 상기 조립볼트(142)가 돌출로 형성된 돌출조(142’)가 조립요홈(139)이 형성되는 고정판(147)에 걸려주도록 돌출되고, 상기 부직포(127)에 결합된 상하측 조립용벤드(137)의 상하측 구간에 일체로 조립되는 지지철망(144)과, 상기 부직포(127)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파킹(129)의 구비로서,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구간(121)이 각각 밀폐되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부직포(127)의 하측구간에 결합된 조립용벤드(137)의 하측으로 연장으로 저수통(131)에 저수된 용수에 잠겨서 삼투압이 제공되는 심지포(123)와, 상기 유입구간(156)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부유된 공기를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기로 적셔진 부직포(127) 사이의 밀폐된 이동구간(121)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간(100)의 일측으로 가압펌프(106)로 배출구(114)에 연결된 유입구간(156)에는 태양광발전판(70)의 저측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가열공간(110)용 배출구(114)를 연결되는 필터링장치(135)용 유입공간(156)과, 상기 유입공간(156)으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을 연결로서,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흡입간격(133)으로 형성된 부직포(127) 사이의 이동구간(121)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KR1020180034179A 2018-03-25 2018-03-25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KR20190112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179A KR20190112246A (ko) 2018-03-25 2018-03-25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179A KR20190112246A (ko) 2018-03-25 2018-03-25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57A Division KR20200004905A (ko) 2020-01-06 2020-01-06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KR1020200087816A Division KR102232307B1 (ko) 2020-07-15 2020-07-15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KR1020200092696A Division KR102224964B1 (ko) 2020-07-26 2020-07-26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246A true KR20190112246A (ko) 2019-10-04

Family

ID=6820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179A KR20190112246A (ko) 2018-03-25 2018-03-25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22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1335A (zh) * 2020-10-30 2021-03-12 韩兆勇 一种用于彩钢瓦屋顶的光伏安装板
CN112871771A (zh) * 2020-12-27 2021-06-01 内蒙古工业大学 一种户外太阳能光伏电路板批量清洁装置
CN114520628A (zh) * 2022-04-21 2022-05-20 南通市乐能电力有限公司 一种耐湿热的高可靠性光伏组件
CN114798649A (zh) * 2022-03-14 2022-07-29 合肥仁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扫设备及光伏系统
CN116526955A (zh) * 2023-02-17 2023-08-01 无锡轻大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节能型光伏建筑屋顶结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1335A (zh) * 2020-10-30 2021-03-12 韩兆勇 一种用于彩钢瓦屋顶的光伏安装板
CN112871771A (zh) * 2020-12-27 2021-06-01 内蒙古工业大学 一种户外太阳能光伏电路板批量清洁装置
CN112871771B (zh) * 2020-12-27 2022-02-25 内蒙古工业大学 一种户外太阳能光伏电路板批量清洁装置
CN114798649A (zh) * 2022-03-14 2022-07-29 合肥仁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扫设备及光伏系统
CN114520628A (zh) * 2022-04-21 2022-05-20 南通市乐能电力有限公司 一种耐湿热的高可靠性光伏组件
CN116526955A (zh) * 2023-02-17 2023-08-01 无锡轻大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节能型光伏建筑屋顶结构
CN116526955B (zh) * 2023-02-17 2024-05-24 无锡轻大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节能型光伏建筑屋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2246A (ko)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US7565775B2 (en) Vented roof and wall system
US7231744B2 (en) Roof venting system for improved interior air quality and hot water and electricity production
KR101992157B1 (ko) 쿨링 휴계 시설물
KR101018475B1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958989B1 (ko) 공조 및 다른 프로세스들을 위해 액체 흡습제들을 이용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
JP6820199B2 (ja) 太陽熱制御システム
KR102253380B1 (ko) 부유먼지청소와 수냉각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KR101102616B1 (ko)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CN101038132A (zh) 地下冷却装置
KR101855254B1 (ko) 자연 환기를 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구조체
US7887622B1 (e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recovering water from air
KR102232307B1 (ko)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KR20200004905A (ko)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KR20200092919A (ko) 부유먼지 여과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CN208685790U (zh) 一种生态建筑
KR20190036516A (ko) 부유먼지 걸름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KR102048085B1 (ko) 냉각장치가 보강된 태양광 발전모듈
CN113374136A (zh) 一种独立拆装的装饰幕墙及其构件总成
CN208012092U (zh) 吸热排冷循环蓄水池式水源空调热水器
JP2006097367A (ja) 建物水冷システム。
CN205552828U (zh) 箱梁自动养护系统
KR20070017679A (ko) 냉난방 시스템
KR20230020079A (ko) 응축수 포집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모듈
JP2000265585A (ja) 建物の冷却装置及び建物の環境創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