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163A - 가교 가능한 접착성 화합물 - Google Patents

가교 가능한 접착성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163A
KR20190112163A KR1020197027152A KR20197027152A KR20190112163A KR 20190112163 A KR20190112163 A KR 20190112163A KR 1020197027152 A KR1020197027152 A KR 1020197027152A KR 20197027152 A KR20197027152 A KR 20197027152A KR 20190112163 A KR20190112163 A KR 2019011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sition
psa
radica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623B1 (ko
Inventor
토비아스 폰 베델-패로우
안나 슈베르트
마이케 슈트레블-파르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9011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B29B7/007Methods for continuous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29B7/485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with three or more shafts provided with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 B29B7/60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in measured doses, e.g. proportioning of several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8Crosslinking by silane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a) 최소한 (i) 서로 독립적으로, 올레핀계 불포화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인,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를 들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 및 (ii) 적어도 하나의 카복실산 기 및/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를 갖는 올레핀계 불포화된 모노머인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 D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 b)화학식 (1)[R1-Si(OR2)nR3 m(1), 여기서, R1은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이고, 기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기, 알킬 기, 사이클로알킬 기, 아릴 기 또는 아실 기이고, 0R3은 수소 기, 알킬 기, 사이클로알킬 기 또는 아릴 기이고, n은 2 또는 3을 나타내고, m은 3-n의 결과 값을 나타냄]의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및 c)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착성 화합물을 열 가교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가교된 접착성 화합물, 접착 테이프를 생산하기 위한 접착성 화합물의 용도, 및 상기 가교된 접착성 화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교 가능한 접착성 화합물
본 발명은 카복실산 기 및/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를 갖는 가교 가능한 폴리머,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및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감압 접착제 조성물의 열 가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가교 가능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의 용도, 및 가교된 감압 접착제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감압 접착제 조성물(PSA)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PSA는 비교적 약한 인가 압력 하에서도 기재에 내구성 결합을 허용하고 사용 후에 실질적으로 잔류물 없이 기재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는 접착제이다. PSA는 실온에서 영구적으로 점착성이고, 이에 따라 충분히 낮은 점도 및 높은 점착성을 가지므로, 낮은 인가 압력 하에서도 각각의 결합 베이스의 표면을 습윤되게 한다. 접착제의 접합성(bondability) 및 재탈착성은 접착 성질 및 응집 성질로부터 유도된다. PSA에 적합한 기반이 되는 화합물은 다양하다.
감압 접착 테이프로서 알려진 PSA가 제공된 접착 테이프는 현재 산업 및 가정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감압 접착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한면 또는 양면에 PSA가 제공된 캐리어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PSA 층만으로 이루어지고 캐리어 필름은 없는 감압 접착 테이프도 있으며, 이들은 전사 테이프로 알려져 있다. 감압 접착 테이프의 조성은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상이한 적용의 특정 요건에 의해 가이딩된다. 캐리어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예컨대,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밖의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자가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실리콘, 천연 러버, 합성 러버,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적용에 적합한 성질을 제형화하기 위해, 점착부여 수지, 가소제, 가교제 또는 충전제의 혼합에 의해 PSA가 개질될 수 있다.
충전제는 예를 들어 PSA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종종 이 경우에 충전제/충전제 상호 작용 및 충전제/폴리머 상호 작용의 조합이 폴리머 매트릭스의 요망하는 강화를 유도한다. 충전제는 또한 종이, 플라스틱 및 또한 접착제, 코팅 및 다른 제품의 중량 및/또는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혼합된다. 충전제의 첨가는 종종 제품의 기술적 유용성을 개선시키고 이들의 품질, 예를 들어, 강도, 경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천연, 무기 및 유기 충전제, 예컨대 탄산 칼슘, 카올린, 탈크, 백운석 등은 기계적으로 생산된다. 러버(rubber) 및 합성 엘라스토머의 경우도, 예를 들어 경도, 강도, 탄성 및 신장과 같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널리 사용되는 충전제는 카보네이트, 특히 탄산 칼슘 뿐만 아니라 실리케이트(탈크, 점토, 운모), 규조토, 황산칼슘 및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유리 섬유 및 유리 구체, 및 또한 카본 블랙이다. 무기 및 유기 충전제는 또한 이들의 밀도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및 또한 접착제에 흔히 사용되는 무기 충전제, 예컨대 초크, 이산화티타늄, 황산칼슘 및 황산바륨은 이들 자체가 폴리머의 밀도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기 때문에 복합체의 밀도를 증가시킨다. 유사한 막 두께의 경우, 평량(basis weight)이 더 높다. 또한 복합체의 전체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충전제가 있다. 이들은 중공 미소구체, 매우 부피가 큰 경량 충전제를 포함한다. 구체는 공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로 채워져 있으며, 구체의 쉘은 유리 또는 다르게는, 특정 제품의 경우,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의 적용의 경우, 금속 대신에 플라스틱이 증가하는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이들 기재에 대한 결합을 더욱 어렵게 한다. 또한, 접착제 결합이 에이징 및 열에 대해 가능한 한 안정적이어야 한다. 현재까지, 사용된 제품은 주로 아크릴레이트(에이징에 안정적이나, LSE 표면으로 알려진 표면 에너지가 낮은 표면에는 잘 접착되지 않음), SBC 합성 러버(LSE 표면에는 잘 접착되지만 내열성은 아님) 또는 천연 러버(LSE 표면에는 잘 접착되지만 에이징에는 안정적이지 않음)을 기반으로 하였다. LSE 표면은 특히 PVA, 폴리스티렌, PE, PP, EVA 또는 테플론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전히 양호한 성질을 모두 결합한 해결안은 부족하다.
표면 에너지는 50 mN/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mN/m 미만, 및 특히 35 mN/m 이하인 경우 낮은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가 비극성 표면 또는 저에너지 표면을 갖는 물질을 언급하는 경우, 해당 물질은 50 mN/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m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mN/m 이하의 상응하게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면 에너지에 대한 데이터는 "측정 방법" 섹션에 명시된 방법에 의한 결정을 기반으로 한다.
EPDM 접착제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종종 EPDM/열가소성 블렌드이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의미에서 PSA가 아닌 핫멜트 접착제이다. 감압 접착 성을 설정하기 위해 추가의 폴리머를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블렌드를 나타내는 EPDM-기반 PSA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충분한 전단 강도는 후속 가교(일반적으로 황 가황, 퍼옥사이드 가교 또는 페놀성 수지 가교)를 통해서만 달성된다.
따라서, DE 10 2009 046 362 A1은 가교 가능한 폴리올레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폴리올레핀은 적어도 2개의 모노머 A 및 B, 및 가교하기 쉬운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 C로 이루어지며, 모노머 A 및 B는 α-올레핀, 비닐 아세테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EPDM의 경우, 디엔, 예컨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이다. DE 10 2009 046 363 A1은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적어도 일면 상에 용융물로부터 코팅되고 예를 들어, 0.86 내지 0.89 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러버, 예컨대, EPDM, 및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내부 아웃피팅(interior outfitting)을 위한 접착제 어셈블리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적용에서 기술되는 접착제는 LSE 표면에서도 높은 박리 접착력 및 또한 높은 에이징 안정성을 갖지만, 이들의 전단 강도는, 가교된 후에도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
아직 미공개된 출원 DE 10 2015 217 376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체 EPDM 러버 및 또한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PSA에 관한 것으로, 점착부여 수지의 분율은 30 내지 130 phr이고 접착제는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아직 미공개된 출원 DE 10 2015 224 734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가교 가능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하기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R1-Si(OR2)nR3 m (1),
(상기 식에서,
R1은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를 함유하는 라디칼이고,
라디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알킬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R3은 하이드록실 기 또는 알킬 라디칼이고,
n은 2 또는 3이고, m은 3-n의 결과 값임);
c) 가교 가능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 간의 반응을 촉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 작용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기반 PSA는 일반적으로 비극성 기재에 대해 불충분한 박리 접착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공개된 최신 기술과 관련하여, 특히 LSE 표면에 대한 높은 박리 접착력을 갖고, 통상적으로 높은 에이징 안정성을 가지며, 또한 가교를 통해, 예로 특히 고온 조건 하에서 우수한 전단 강도의 접착제를 생성하는,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를 위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감압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a) 적어도 하나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로서, 폴리머가 적어도, (i) 각각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올레핀계 불포화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 및 (ii) 적어도 하나의 카복실산 기 및/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를 갖는 올레핀계 불포화된 모노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 D로 구성되는 폴리머,
b) 하기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R1-Si(OR2)nR3 m (1),
(상기 식에서,
R1은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는 라디칼이고,
라디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R3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고,
n은 2 또는 3이고, m은 3-n의 결과 값임); 및
c)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PSA는 LSE 표면, 및 예를 들어, 금속, PVC, 폴리카보네이트, 플렉시유리 또는 페인트 표면과 같은 극성 표면 둘 모두에 대해 높은 박리 접착력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PSA를 기반으로 한 접착 테이프는 특히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접착 테이프는 에이징에 안정하다. 또한, PSA의 가교는 높은 전단 강도를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PSA를 기반으로 한 접착 테이프는 고온에서도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며, 따라서 열 안정성이다.
본 발명의 PSA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종속항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PSA의 열 가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가교된 PSA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PSA의 용도로서, 캐리어가 PSA로 코팅되고, PSA가 열 가교되어 가교된 PSA 층을 제공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가교된 PSA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감압 접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일반적인 사용법 내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특히 실온에서 영구적으로 점착성이고 또한 접착성인 물질로서 이해된다. 감압 접착제의 특징은 그것이 적용되는 압력 또는 이 압력에 노출되는 기간에 대한 추가 정의 없이 기재에 압력에 의해 적용될 수 있고 기재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 경우에는, 감압 접착제의 정확한 성질, 온도 및 대기 습도 및 또한 기재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온건한 접촉을 넘지 않는 짧은 지속 시간의 최소 압력이 접착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만, 다른 경우에서는, 높은 압력으로의 보다 장기간의 노출이 필요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영구적인 점착성 및 접착성을 야기하는 특정의, 특징적인 점탄성 성질을 갖는다. 이들 접착제의 특징은 이들이 기계적으로 변형될 때 점성 유동의 과정이 있고 또한 탄성 회복력의 발달이 있다는 것이다. 두 과정은 감압 접착제의 정확한 조성, 구조, 및 가교도 뿐만 아니라 변형 속도 및 기간, 및 온도에 따라 각각의 비율 측면에서 서로 특정 관계를 갖는다.
접착력을 얻기 위해서는 비례 점성 유동이 필요하다. 비교적 높은 이동성을 갖는 거대분자에 의해 야기된 점성 성분만이 결합이 발생하는 기재 상에 효과적인 습윤 및 효과적인 유동을 허용한다. 높은 점성 유동 성분은 높은 점착성(표면 점착성으로도 지칭됨)을 야기하며, 따라서 종종 또한 높은 박리 접착력을 야기한다. 고도로 가교된 시스템, 결정질 폴리머, 또는 유리유사 응고를 갖는 폴리머는 유동성 성분이 결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점착성이 없거나 적어도 점착성이 거의 없다.
응집력을 얻기 위해서는 비례 탄성 회복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높은 코일링도(degree of coiling)를 갖는 매우 긴 사슬의 거대 분자에 의해, 또한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거대 분자에 의해 야기되며, 이들은 접착제 결합에 작용하는 힘의 전달을 허용한다. 이러한 회복력의 결과로, 접착제 결합은 예를 들어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충분히 장기간 전단 하중의 형태로 그에 작용하는 장기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탄성 및 점성 성분의 범위 및 성분들 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설명 및 정량화를 위해, 저장 모듈러스(G') 및 손실 모듈러스(G")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적 기계적 분석(Dynamic Mechanical Analysis)(DMA)을 통해 결정된다. G'는 물질의 탄성 성분의 척도이고, G'는 점성 성분의 척도이다. 두 변수는 변형 빈도 및 온도에 따른다.
변수는 레오미터(rheometer)의 도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사 중인 물질은 플레이트/플레이트 배열에서 사인파 진동 전단 응력에 노출된다. 전단 응력 제어로 작동하는 기기의 경우, 변형은 시간의 함수로서 측정되며, 이 변형의 시간 오프셋은 전단 응력의 도입과 관련하여 측정된다. 이 시간 오프셋은 위상 각(δ)으로 지칭된다.
저장 모듈러스(G')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 = (τ/γ)·cos(δ)(τ= 전단 응력, γ = 변형, δ = 위상 각 = 전단 응력 벡터와 변형 벡터 간의 위상 변이). 손실 모듈러스(G")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 = (τ/γ)·sin(δ)(τ = 전단 응력, γ = 변형, δ = 위상 각 = 전단 응력 벡터와 변형 벡터 간의 위상 변이).
실온에서, 현재 23℃에서의 정의에 의해 100 내지 101 rad/sec의 변형 주파수 범위에서 G'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103 내지 107 Pa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및 G"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물질은 일반적으로 감압 접착제인 것으로 간주되고, 본 발명의 목적상 감압 접착제인 것으로 정의된다. "부분적으로"는 G' 곡선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100(경계값 포함) 내지 101 rad/sec(경계값 포함)(가로 세포)까지의 변형 주파수 범위 및 103(경계값 포함) 내지 107 이하 Pa(경계값 포함)(세로 좌표)까지의 G'값 범위에 의해 기술된 윈도우(window)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G"에 대해, 이것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화수소"는 탄소 및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올레핀계 불포화된" 화합물(예컨대, 이를테면, "올레핀계 불포화된" 탄화수소 또는 "올레핀계 불포화된" 모노머)은 적어도 하나의 C=C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벤젠과 같은 방향족 또는 에틴과 같은 알킨은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불포화된 화합물이 아니다).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은 바람직하게는 승온에서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 결합"은 특히 주로 공유 결합을 지칭한다. 결합은 공유 분율이 이온 분율보다 크거나 공유 분율이 100%일 때 주로 공유된다. 본 발명의 PSA에 존재하는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이 마찬가지로 PSA에 존재하는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하는 것은,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 가능한 실릴 기 서로의 축합 반응과 함께 PSA의 가교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PSA는 가교를 위해 물을 임의로 추가로 첨가하거나 대기 수분에 노출시킬 필요가 없으며; 단지 짧은 시간 후에, 생성물의 요망하는 가교도가 달성되었다. 따라서, 가교 가능한 폴리머에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잔류 수분이 가교에 필요할 경우 가교에 충분하였다. 또한,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과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의 반응은 물의 형성을 야기하고, 이는 가교를 촉진한다. 저장 동안 대기 수분의 증가는 마찬가지로 가교 반응 촉진을 야기하였다. 대안적으로, 물은 본 발명의 PSA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본 발명의 물-함유 PSA는 마찬가지로 가속되어 가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SA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에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1-헥센 또는 1-옥텐, 또는 디엔, 예컨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이다. 특히, 모노머 A는 에틸렌이고, 모노머 B는 프로필렌이고, 존재할 경우, 모노머 C는 디엔, 예컨대, 이를테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이고,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이 특히 바람직한 디엔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교 가능한 폴리머가 특히, EPDM 또는 EPM을 기반으로 한 폴리머임을 의미한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전형적으로 엘라스토머계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매우 낮은 결정도를 갖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머의 경우와 같이 임의의 한정된 융점을 갖지 않는다. 특히,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비정질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코모노머 D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푸마르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메틸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크로톤산 무수물, 4-메틸사이클로헥스-4-엔-1,2-디카복실산 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디카복실산 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디카복실산, 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3-디카복실산, 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3-디카복실산 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복실산, 바이사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복실산 무수물, 5-노르보르넨-2,3-디카복실산, 노르보른-5-엔-2,3-디카복실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또는 푸마르산 무수물, 및 특히 말레산 무수물이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에서 카복실산 기의 높은 분율은 극성 기재에 대한 형성된 PSA의 특히 높은 접착력 및 높은 가교도를 야기한다. 이러한 PSA는 흔히 다시 벗겨 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카복실산 무수물-함유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낮은 산 함량을 갖고, 이에 따라 형성된 PSA는 또한 잠재적으로 극성 기재로부터 다시 벗겨지게 될 수 있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예를 들어,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공중합시켜 폴리머를 얻고, 코모노머 D를 폴리머 상에 그라프팅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는 형성되는 폴리머에서, 코모노머 D가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포함하는 폴리머 상에 그라프팅됨을 의미한다. 그라프팅은 당업자에 익숙한 공정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재(M. D. Lechner, K. Gehrke, E. H. Nordmeier: "Makromolekulare Chemie", 5th edition, Springer Verlag Berlin Heidelberg, 2014, p. 27 and pp. 147 to 150)가 참고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이로써 본 출원에 포함된다. 또한, 에틸렌계 불포화된 카복실산 및/또는 카복실산 유도체의 폴리올레핀으로의 그라프팅과 관련하여, US 6,894,115 B2, US 5,604,033, 및 EP 0369604 A2가 참조되며, 마찬가지로 그 내용은 이로써 본 출원에 포함된다. 또한, 문헌(Oostenbrink, A.J., Gaymanns, R.J.: "maleic anhydride grafting on EPDM Rubber in the melt", Twente University of Technology, Oct 1990, and also Kang et al: "Preparation of maleated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modified with a,o-Aminopropyl polydimethylsiloxane",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 6, No. 4, July 2000, 270-275)이 참조되며, 마찬가지로 그 내용이 이로써 본 출원에 포함된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코모노머 D와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는 형성되는 폴리머에서, 코모노머 D가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포함하는 폴리머에 중합에 의해 혼입됨을 의미한다.
모노머 A, B 및 임의로 C 및/또는 D의 공중합은 마찬가지로 당업자에게 익숙한 공정, 더욱 특히 메탈로센-촉매작용 또는 지글러-나타-촉매작용 중합 및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중합은 예를 들어 저비점 용매(특히 탄화수소) 중에서 가압 하에 또는 액화된 모노머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프로필렌)의 현탁 중합으로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다른 가능성은 촉매의 고정층 상에서 기체 상으로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것이다. 모든 경우에, 과량의 모노머 및 사용된 임의의 용매는 이어서 반응 혼합물의 팽창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각각의 경우에 기본 모노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9.9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5 wt% 정도의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 0.1 내지 1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wt%, 특히 1 내지 3 wt% 정도의, 코모노머 D, 및 0 내지 4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wt% 정도의,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올레핀계 불포화된 모노머 E를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모노머 E로서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비닐계 작용성화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 E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아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3,5-디메틸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4-쿠밀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바이페닐일 아크릴레이트, 4-바이페닐일 메타크릴레이트,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3-메톡시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디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350,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50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디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트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3,4,4-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4,4,5,5,6,6,7,7,8,8,8-펜타데카플루오로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1-메틸운데실)아크릴아미드, N-(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옥타데실)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치환된 아미드 예컨대, 이를테면,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벤질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N-3차-옥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 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 에테르, 예컨대 비닐 메틸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할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할라이드, 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N-비닐프탈이미드, N-비닐락탐,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o- 및 p-메틸스티렌,
α-부틸스티렌, 4-n-부틸스티렌, 4-n-데실스티렌, 3,4-디메톡시스티렌, 매크로모노머, 예컨대 2-폴리스티렌-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 E는 또한 유리하게는 이후 방사선 가교(예를 들어, 전자 빔, UV에 의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공중합 가능한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작용성화된 벤조페논 유도체 모노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및 알릴 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PSA에 존재하는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각각의 경우에 기본 모노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wt%, 특히 45 내지 60 wt% 정도의 에틸렌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각각의 경우에 기본 모노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wt% 정도의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또한,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각각의 경우에 기본 모노머 조성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wt% 정도의 디엔을 포함한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25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초과, 및 특히 55 초과의 무우니 점도(Mooney viscosity)(ML 1+4/125℃)를 갖는다. 무우니 점도(ML 1+4/125℃)는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DIN 53523에 따라 측정된다.
PSA에서,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wt%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가 있다.
본 발명의 PSA는 하기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을 포함한다:
R1-Si(OR2)nR3 m (1),
상기 식에서,
R1은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는 라디칼이고,
라디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R3는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고,
n은 2 또는 3이고,
m은 3-n의 결과 값이다.
이러한 종류의 오가노실란은 바람직하게는 승온에서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 반응할 수 있다. 즉, 화학 결합, 예컨대 더욱 특히 주로 공유 결합에 개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디칼 R1에 따라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무수물 기는 라디칼 R1과 자체로 이미 반응할 수 있고/거나 이에 따라 개환 형태의 무수물을 통해 라디칼 R1과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특히 가수분해에 의해, 즉, PSA에 존재하는 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과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 간의 이러한 종류의 화학 결합으로의 개입은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 가능한 실릴 기 서로 간의 축합 반응과 함께 PSA의 가교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기 및/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으로의 연결 뿐만 아니라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 가능한 실릴 기 서로 간의 축합 반응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실란은 폴리머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연결로 비롯되는 네트워크로 혼입된다.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각각 알킬 기 또는 아세틸 기,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 기이고,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기, 및 특히 에틸 기이다. 알콕시 기, 및 특히 메톡시 및 에톡시 기는 빠르고 쉽게 가수분해되고, 분해 생성물로서 형성되는 알코올은 조성물로부터 비교적 쉽게 제거되고, 흔히 심각한 독성을 갖지 않는다.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3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알킬 기이고,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기, 및 특히 메틸 기이다.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 NHR4(여기서, R4는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R4가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인 경우, 이러한 라디칼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아미노 기 NHR4,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 NHR4를 함유한다. 언급된 라디칼 R1은 특히 사전 개환 없이도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 기 NHR4를 포함하는 라디칼 R1을 함유하는 오가노실란의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가능한 폴리머와의 반응은 특히 안정한 것으로 간주되는 아미드 화합물을 형성한다.
라디칼 R1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X-(CH2)-(CH2)p(여기서, X는 하이드록실 기, 티오 기 또는 아미노 기 NHR4이고, 여기서 R4는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고, p는 0 내지 10 및 특히 0 내지 2의 정수이고, R4가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인 경우, 그것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아미노 기 NHR4,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은 N-사이클로헥실-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CAS No. 3068-78-8, 예를 들어, Wacker로부터의), N-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CAS No. 26495-91 0, 예를 들어, Wacker로부터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CAS No. 13822-56-5, 예를 들어, Gelest Inc.로부터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CAS No. 919-30-2, 예를 들어, Gelest Inc.로부터의),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CAS No. 3179-76-8, 예를 들어, from Gelest Inc), 3-(2-아미노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CAS No. 5089-72-5, 예를 들어, Wacker로부터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은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를 함유하는 라디칼일 수 있다. R1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사이드 기,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사이드 기를 함유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R1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시딜옥시 기,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사이클로헥실 기 예컨대, 이를테면,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기,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헥실 기 예컨대, 이를테면, 5,6-에폭시헥실 기, 적어도 하나의 옥세타닐메톡시 기 예컨대, 이를테면, 3-옥세타닐메톡시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라디칼 R1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Y-(CH2)-(CH2)q(여기서, Y는 이러한 기이고, q는 0 내지 10 및 특히 0 내지 2의 정수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CAS No. 2530-83-8, 예를 들어, Dynasylan® GLYMO, Evonik),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CAS No. 2602-34-8, 예를 들어, Dynasylan® GLYEO, Evonik),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CAS No. 65799-47-5, 예를 들어, Gelest Inc.로부터의),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CAS No. 2897-60-1, 예를 들어, Gelest Inc.로부터의), 5,6-에폭시헥실트리에톡시실란(CAS No. 86138-01-4, 예를 들어, Gelest Inc.로부터의),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CAS No. 3388-04-3, 예를 들어, Sigma-Aldrich로부터의),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CAS No. 10217-34-2, 예를 들어, ABCR GmbH로부터의), 트리에톡시[3-[(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프로필]실란(CAS No. 220520-33-2, 예를 들어, Aron Oxetane OXT-610, Toagosei Co., Lt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를 갖는 오가노실란은 특히 이것들이 분명한 안정성을 나타낸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PSA는 추가로 (i) 라디칼 R1이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 NHR4(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또한 (ii)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를 함유하는 라디칼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을 포함한다.
PSA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을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총 0.05 내지 2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 0.2 내지 1 wt% 및 특히 0.5 내지 0.8 wt%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이외에, 또한 본 발명의 PSA에 가교제로서 다작용성 에폭사이드 또는 옥세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3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1-에틸(3-옥세타닐)]메틸 에테르, 2,4:3,5-디안하이드리도-1,6-디-O-벤조일만니톨, 및 1,4-비스[2,2-디메틸-1,3-디옥솔란-4-일]-3,3-디메틸-2,5-디옥사바이사이클로[2.1.0]펜탄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에 추가하여, 대안적으로 또한 본 발명의 PSA에서 가교제로서 다작용성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 바람직하게는 다작용성 아민 예컨대, 이를테면, 디에틸렌트리아민 또는 트리에틸렌테트라민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SA는 가교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촉진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은 특히 증가된 반응 속도를 달성하도록 물질이 제1 가교 반응 -라디칼 R1의 폴리머로의 부착- 을 지지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류의 촉진제는 그 자체로 또한 수분 존재 하에서 유기 실란의 가수 분해 및 형성되는 실란올의 후속 축합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촉진제는 가교 반응의 동역학에서 실질적인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촉매적으로 뿐만 아니라 반응 이벤트로의 혼입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존재하는 경우, 촉진제 물질은 전체 가교 메커니즘에 대한 촉진 효과를 갖는다.
특히,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이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를 함유하는 라디칼인 경우, 촉진 물질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작용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를 포함하거나, 유기 아민이다. 유기 아민의 경우에, 암모니아에서 출발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유기 기, 특히 알킬 기로 치환된다. 아미노 기 및/또는 아민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가교 가능한 폴리머, 특히 이들의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하지 않거나, 이러한 결합을 단지 매우 느리게 형성하는 것들이다. 본 문맥에서 화학 결합의 느린 형성은 화학 결합이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의 활성화보다 실질적으로 더욱 느리게 개입됨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물론 둘 이상의 일차 및/또는 이차 및/또는 삼차 아미노 기를 갖는 것들, 예컨대 디아민, 트리아민 및/또는 테트라민을 포함하여 일차(NRH2), 이차(NR2H) 및 삼차(NR3) 아민이 적합하다. 적합한 촉진제의 예는 피리딘, 이미다졸(예컨대, 이를테면, 2-메틸이미다졸),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크-7-엔, 지환족 폴리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또는 포스페이트-기반 촉진제, 예컨대 포스핀 및/또는 포스포늄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또는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이다.
특히,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이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 NHR4(여기서,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촉진 물질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산성 작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PSA가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물질은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wt%의 양으로 PSA에 존재한다.
가교 비율의 설명을 위해, 특히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의 수에 대한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과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는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 실란의 라디칼 R1에서 작용기의 수의 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이 비는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고, 이에 따라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일부에서의 과량의 카복실산(무수물) 기, 기의 수치 평등 또는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에서의 과량의 작용기가 존재한다. 이 비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과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는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실란의 작용기가 최대 수치 평등이 부족하도록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실란의 상기 작용기의 총수 대 가교 가능한 폴리머에서 그것들에 대해 반응성인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의 수의 비는 0.05:1 내지 1:1이다. 또한, 가교가 일어난 후 얻어진 PSA의 성질, 및 특히 그의 탄성은 또한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실란의 물-제거 가능한 기의 수에 의해, 또한 존재하는 경우, 다작용성 에폭사이드 또는 옥세탄, 다작용성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 또는 촉진 물질의 양의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SA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점착부여 수지"는 당업자의 일반적인 이해에 따라, 통상적으로 점착부여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그렇지 않으면 동일한 PSA와 비교하여 PSA의 접착성(점착력(tack), 고유의 점착성)을 증가시키는 저분자량,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수지를 지칭한다. 점착부여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방향족 및 알킬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탄화수소 수지, 작용성 탄화수소 수지 및 천연 수지로부터 선택된다. 탄화수소 수지가 상용성이 뛰어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점착부여 수지는 피넨 수지, 인덴 수지, 및 고진, 이들의 불균형화된, 수소화된, 다이머화된, 폴리머화된 및/또는 에스테르화된 유도체 및 염, 테르펜 수지 및 테르펜-페놀계 수지, 및 또한 C5, C9 및 그 밖의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및 추가의 수지의 조합은 또한 유리하게는 생성된 PSA의 성질을 요건에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소화된 로진 또는 로진 유도체를 기반으로 한 수지가 특히 적합하다. 이들은 모든 점착부여 수지 중에서 가장 큰 점착력(점착성, 그랩(grap))을 갖는다. 테르펜-페놀 수지가 마찬가지로 특히 적합하고; 결과적인 점착력은 적당하나 전단 강도와 에이징 내성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점착 부여 수지는 본 발명의 PSA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와 상용성이며, 이는 본질적으로 "가용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PSA는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wt%, 및 특히 40 내지 50 wt%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PSA는, 특히 점착성이어야 하는 경우, 점착부여 수지의 원료, 특히 상기 언급된 부류의 점착부여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액체 가소제, 예컨대, 이를테면, 지방족(파라핀 또는 분지된), 지환족(나프텐계) 또는 방향족 광유,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시트르산 또는 아디프산의 에스테르, 액체 러버(예를 들어, 저분자량 니트릴 러버, 부타디엔 러버 또는 폴리이소프렌 러버), 이소부텐 및/또는 부텐의 액체 폴리머, 또는 40℃ 미만의 연화점을 갖는 액체 수지 또는 가소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이소부텐 폴리머, 예컨대, 이를테면, 이소부텐 호모폴리머 또는 이소부텐-부텐 코폴리머, 또는 40℃ 미만의 연화점을 갖는 액체 수지 또는 가소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유는 매우 저렴하고 가교 가능한 폴리머에서 점착성을 포뮬레이팅하는데 매우 적합하지만, 종이와 같은 결합 기재로 이동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일 구체예에서, 감압 접착제는 광유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일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PSA는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wt%, 및 특히 10 내지 15 wt%의 가소제, 특히 액체 가소제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PSA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뿐만 아니라 추가로 가교 가능한 폴리머과의 믹스 또는 블렌드로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A는 천연 러버, 합성 러버, EVA, 실리콘 러버, 아크릴 러버 및 폴리비닐 에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열 가교제가 첨가되기 전에 첨가된다. 폴리머 블렌드는 예를 들어, DE 19806609 A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중축 압출기 또는 유성 롤 믹서에서 제조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 외에, 본 발명의 PSA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노머 A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고, 모노머 B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이고, 존재하는 경우, 모노머 C는 바람직하게는 디엔, 예컨대, 이를테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이다. 더욱 특히 추가 폴리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포함하며, 디엔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 및 특히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이다. 이는 추가 폴리머가 바람직하게는 추가 작용성화가 없는 EPM 또는 EPDM 러버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PSA에 추가적으로 임의로 존재하는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모 모노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wt%, 특히 45 내지 60 wt% 정도의 에틸렌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는 각각의 경우에 모 모노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wt% 정도의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는 각각의 경우에 모 모노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2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wt% 정도의 디엔을 포함한다.
PSA에 추가적으로 임의로 존재하는 폴리머 뿐만 아니라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의 무우니 점도(ML 1+4/125℃)를 갖는다. 이 무우니 점도(ML 1+4/125℃)는 DIN 53523에 따라 측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머는 액체이다.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PSA 및 가교 가능한 폴리머에 임의로 추가로 존재하고,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포함하는 폴리머에 의해, PSA의 성질, 특히 이의 점착성(tack)이 가교되기 전 및 후 둘 모두에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포함하는 액체 폴리머, 즉 액체이고 추가 작용성화가 없는 EPM 또는 EPDM 러버는 PSA에 탁월한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PSA의 점착성은 전형적으로 다른 가소제가 사용되는 PSA에 비해 추가로 개선된다.
일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PSA는, 가교 가능한 폴리머 이외에, 각각의 경우에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wt%, 및 특히 10 내지 20 wt%의, 에틸렌, 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포함하는 액체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PSA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제, 염료 또는 안료 예컨대, 이를테면, 쵸크(CaCO3), 이산화 티탄, 산화 아연 및/또는 카본 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특히 이들의 보강 및/또는 연마 효과가 알려져 있다. 언급된 물질은 또한 PSA에 높은 비율로, 즉, PS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wt%까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SA는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저인화성 충전제, 예컨대, 이를테면,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및 알루미늄 디에틸 포스피네이트; 전기 전도성 충전제, 예컨대, 이를테면, 전도성 카본 블랙, 탄소 섬유 및/또는 은 코팅된 비드); 열 전도성 물질, 예컨대, 이를테면 질화 붕소, 산화 알루미늄, 탄화 규소; 강자성 첨가제, 예컨대, 이를테면 철(III) 산화물; 부피 증가, 특히 발포된 층을 생성하기 위한 첨가제, 예컨대, 이를테면 팽창제, 고체 유리 구체, 중공 유리 구체, 다른 재료로 제조된 미소구체, 팽창성 마이크로벌룬, 실리카, 실리케이트, 유기 재생 원료, 예를 들어 목분, 유기 및/또는 무기 나노 입자, 섬유, 에이징 억제제, 광 안 정제, 오존분해 방지제 및/또는 컴파운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유리 구체 및 팽창성 마이크로벌룬이 바람직한 첨가제이고, 팽창성 마이크로벌룬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에이징 억제제는 일차 에이징 억제제, 예를 들어, 4-메톡시 페놀 및 이차 에이징 억제제, 예를 들어, BASF로부터의 Irgafos® TNPP 둘 모두(서로의 조합 포함); 및 또한 산소의 존재 하에서의 페노티아진(C-라디칼 스캐빈져(radical scavenger)) 또는 하이드로퀴논 메틸 에테르, 및 또한 산소 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가교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정은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가교 반응을 개시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응하게,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열 가교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가교된 감압 접착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공정 내에서, 가교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SA의 용융물에서 개시되고, 이후 용융물은 아직 너무 점성이 아니고 이에 따라 뛰어나게 처리 가능한, 즉, 예를 들어, 균질한 코팅 및/또는 성형되기 쉬운 시점에서 추가로 처리된다. 특히 접착 테이프의 경우, 균질하고 균일한 코팅된 양태가 필요하며, 접착제 층에 덩어리, 얼룩 등이 없어야 한다. 상응하는 균질한 폴리머는 다른 형태의 적용에도 필요하다.
본 특허 출원의 목적 상, 용어 "용융물"은 특히 혼합물이 소성 변형 가능한 상태를 지칭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압출기 또는 내부 믹서에서, 균질한 혼합물을 제조하거나 혼합물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물에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들의 전형적 탄성 특성으로 인해, 그리고 열가소성 부재로 인해, 이 경우에 달성되는 상태는 혼합물이 액체의 거동에 도달하는 용융된 상태가 아니다. 이 거동은혼합물의 개별 구성 성분이 아니라 균질한 혼합물과 관련되며, 이는 실제로 액체 또는 용융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수지는 통상적으로 한정된 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PSA에 사용된 바와 같은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아직 가교되지 않았거나 낮은 정도로만 가교될 때 처리 가능하고(예를 들어, 코팅 가능 및/또는 성형 가능); 코팅 또는 성형과 같은 처리 개시시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가교도는 바람직하게는 요망하는 최종 가교도의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및 특히 1% 이하이다. 또한, 가교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최종 가교도에 도달할 때까지 PSA의 냉각 후 계속된다.
여기서 및 이하 "냉각"의 개념은 또한 가열 제거의 결과로서 수동 냉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정의 맥락에서, 가교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처리 직전에, 보다 특히 성형 또는 코팅 전에 특정 시점에 개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처리 반응기(예를 들어, 컴파운더-압출기)에서 일어난다. 이후, 조성물을 컴파운더로부터 꺼내어 요망에 따라 추가 처리에 주어진다. 추가 처리 과정에서 또는 그 이후에, PSA는 능동적으로 냉각 및/또는 가열을 조정함으로써, 또는 온도가 실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의도되는 경우, PSA를 작용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여기서, 또한 임의로, 사전에 능동 냉각 후) 냉각된다.
추가 처리는 특히 영구 또는 임시 캐리어 상에 코팅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 캐리어"는 그 특성을 통해 PSA의 경계층에 견고하게, 그리고 이에 따라 영구적으로 결합된 캐리어이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영구 캐리어는 또한 경계 PSA 층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될 수 있는 영구 캐리어는 모든 공지된 캐리어이며, 예는 레이드 스크림(laid scrim), 직물, 편직물 및 부직포, 필름, 종이, 티슈, 포움 및 발포 필름, 바람직하게는 포움이다. 적합한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바람직하게는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이를테면 PET, 또는 비가소화된 및/또는 가소화된 PVC의 필름이다. 또한, 폴리올레핀 포움, 폴리우레탄 포움, EPDM 포움 및 클로로프렌 포움, 특히 EPDM 포움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올레핀은 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의미하고, 폴리에틸렌이 가소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용어 "폴리에틸렌"은 LDPE을 포함하나, 에틸렌 코폴리머, 예컨대 LLDPE 및 EVA도 포함한다. 가교된 폴리에틸렌 포움 또는 점탄성 캐리어가 특히 적합하다. 점탄성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가교된 EPDM,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매우 낮은 점착성을 갖는 가교된 EPDM로 제조된다. 점탄성 캐리어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유리의 중공 바디 또는 폴리머로 채워지며, 특히 중공 유리 구체 또는 팽창된 마이크로벌룬, 예컨대 이를테면, 팽창된 이크로벌룬으로 채워진다.
영구 캐리어는 본 발명에 따라 PSA와 결합되기 전에, 프라이밍에 의해, 물리적 전처리, 예컨대 코로나 또는 화학적 전처리, 예컨대 에칭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임시 캐리어"는 본 발명에 따라 그 특성에 의해 PSA의 경계층으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는 캐리어를 지칭한다. 이러한 종류의 임시 캐리어는 전형적으로 양면 접착방지 코팅된 물질, 예를 들어 접착방지 이형 코팅,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코팅을 갖는 이형지(예를 들어, 캘린더지) 또는 이형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의)이다. 임시 캐리어는 또한 "라이너"로서 지칭된다. 진행중인 처리 작업 자체 내에서 라이너가 PSA 층에서 제거되는 경우, 또한 "공정 라이너"로서 지칭된다.
본 발명의 공정의 하나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본 발명의 PSA는 처리 반응기로부터의 제거 동안 또는 후에 영구 또는 임시 캐리어 상에 코팅되고, 코팅 동안 또는 후에 실온(또는 실온에 근접한 온도)으로 냉각되며, 특히 코팅 직후에 냉각된다.
개시, "직전" 추가 처리는 특히 가교에 필요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이 가능한 한 늦게, 그러나, 필요에 따라 폴리머 물질과의 효과적인 균질화를 달성하도록 필요에 따라 일찍 핫멜트에(따라서, 용융물에)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가교 반응이 본 발명의 PSA에 존재하는 폴리머 물질의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 특히 실온에서 진행되도록 선택된다. 실온에서의 가교 가능성은 최종 가교도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 처리 동안 및/또는 추가 처리 후에 추가 에너지가 공급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최종 가교도가 또한 실온에서 저장 동안, 그리고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실온에서의 가교"는 특히 접착 테이프, 점탄성 비점착성 물질 등의 통상적인 보관 온도에서의 가교를 지칭하며, 이에 따라 20℃로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에 따라, 날씨 관련 또는 다른 온도의 변동으로 인해 저장 온도가 20℃에서 벗어나거나, 지역 상황으로 인해 실내 온도가 20℃와 다르고, 가교가 추가 에너지 공급 없이 진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컴파운더는 특히 압출기 예컨대, 이를테면, 유성 롤 압출기 및/또는 이축 압출기일 수 있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와 점착부여 수지의 혼합물은 용융 단계에서 이미 첨가된 후 또는 컴파운더에서 용융 상태로 가열된 후 컴파운더에서 용융물에 존재한다. 후자의 경우, 점착부여 수지는 또한 둘 이상의 부분으로 첨가될 수 있다. 컴파운더에서, 혼합물은 가열에 의해 용융물로 유지된다.
가교제, 즉 화학식(1)에 따른 오가노실란은 혼합물에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용융물에서 가능한 온도는 폴리머 및/또는 점착부여 수지의 분해 온도에 의해 제한된다. 컴파운더에서의 공정 온도는 통상적으로 8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예컨대, 이를테면 140℃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촉진제가 사용되는 경우,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촉진제 전에 또는 촉진제와 함께 폴리머에 첨가된다.
가교제 물질, 및 의도되는 경우, 촉진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추가 처리 직전에, 특히 코팅 또는 다른 성형 직전에 폴리머에 첨가된다. 코팅 전 첨가를 위한 시간 윈도우는 특히 이용 가능한 가사 시간(pot life)에 의해, 즉, 형성되는 생성물의 성질에 유해한 변화 없이 용융물에서의 작업 시간에 의해 가이딩된다. 본 발명의 공정으로, (선택된 실험 파라미터에 따라) 수 분에서 수십 분의 가사 시간을 달성할 수 있었고, 따라서 가교제 및 의도된 경우, 촉진제는 코팅 전에 이러한 시간 범위 내에 첨가되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가교제 및/또는 촉진제는 폴리머 물질과의 효과적인 균질화를 여전히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늦게, 그러나 필요에 따라 일찍 핫멜트에 첨가된다.
이러한 목적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 시간 범위는 100 내지 150℃, 예컨대, 이를테면, 140℃의 공정 온도에서 2 내지 10 분, 더욱 특히 5분 초과이다.
가교제 및, 의도된 경우, 촉진제는 또한 둘 모두 폴리머의 추가 처리 직전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가교제, 및 사용되는 경우, 촉진제를 단일 위치에서 동시에 작업에 도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원칙적으로, 상기 관찰에 따라 가교제 및 사용되는 경우, 촉진제의 첨가 시점 및/또는 첨가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촉진제는 가교제 물질 전에 첨가된다.
컴파운딩 작업에서, 가교제 및/또는 촉진제의 첨가시 폴리머의 온도는 5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및 특히 약 140℃이다.
조성물이 컴파운딩된 후, 특히 영구 또는 임시 캐리어 상으로의 코팅에 의해 추가 처리된다.
PSA의 코팅은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핫멜트 코팅 노즐, 또는 바람직하게는 코팅 캘린더를 포함하는, 롤 어플리케이터로 일어날 수 있다. 코팅 캘린더는 유리하게는 두개, 세개, 네개 또는 그 초과의 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과 접촉하게 되는, 롤 중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에 접착 방지 롤 표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캘린더의 모든 롤이 접착 방지 피니시를 가질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 방지 롤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스틸-세라믹-실리콘 복합체이다. 이러한 종류의 롤 표면은 열적 및 기계적 하중에 저항성이 있다. 표면 구조를 갖는 롤 표면, 더욱 특히 롤 표면이 처리될 PSA 층과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종류의 롤 표면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는 매끄러운 롤에 비해 접촉 면적이 더 작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그레이브드(engraved) 금속 롤-인그레이브드 스틸 롤과 같은 구조화된 롤이 특히 유리하다.
코팅은 특히 WO 2006/027387 A1 제12면 5행 내지 제20면 13행에 개시된 코팅 기술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WO 2006/027387 A1의 관련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특히 우수한 결과는 접착 방지 또는 개질된 표면이 구비된 캘린더 롤을 사용하는 2 롤 및 3 롤 캘린더 스택에 의해 달성된다. 인그레이브드 금속 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인그레이브드 금속 롤은 규칙적으로 기하학적으로 중단된 표면 구조를 갖는다. 이는 전사 롤
Figure pct00001
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된다. 접착 방지 및 구조화된 표면은 접착 방지 처리된 캐리어 표면으로도 PSA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표면이 코팅 공정의 성공에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기여한다. 다양한 종류의 접착 방지 표면 코팅이 캘린더 롤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된 것은, 예를 들어, Pallas Oberfl
Figure pct00002
chentechnik GmbH(Germany)로부터의 금속-세라믹-실리콘 복합체 Pallas SK-B-012/5 및 또한 Advanced Surface Technologies(Germany)로부터의 AST 9984-B이다.
코팅 과정에서, 특히 멀티롤 캘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300m/분의 코팅 속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1에는 예로서 연속 공정에 기초한 컴파운딩 및 코팅 작업이 도시되어 있다. 폴리머 및 점착부여 수지는 제1 공급 지점(1.1)에서 컴파운더(1.3), 여기서, 예를 들어 압출기로 도입된다. 도입은 용융물에서 이미 이루어지거나, 폴리머 및 점착부여 수지가 용융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컴파운더에서 가열된다.
코팅이 일어나기 직전에, 화학식(1)에 따르는 유기 실란 및 의도된 경우 촉진제는 제2 공급 지점(1.2)에서 첨가된다. 이것의 성공은 가교제 및 임의로 촉진제가 코팅 직전에야 폴리머에 첨가되어, 용융물에서의 반응 시간이 짧다는 것이다.
반응 방식은 또한 불연속적일 수 있다. 상응하는 컴파운더, 예컨대 반응기 탱크에서, 예를 들어, 폴리머, 점착부여 수지, 가교제 및 임의로 촉진제의 첨가는 상이한 시간에 일어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지 않은, 상이한 위치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후, 조성물은 닥터 롤(doctor roll)(2) 및 코팅 롤(3)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롤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라이너 또는 다른 적합한 캐리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사용되는 롤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100 내지 150℃,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이다. 예를 들어, 닥터 롤의 온도는 140℃이고 코팅 롤의 온도는 120℃일 수 있다. 코팅 적용 직후에 가교 가능한 폴리머는 단지 약간 가교되지만 아직 충분히 가교되지는 않는다. 가교 반응은 유리하게는 캐리어 상에서 진행된다.
코팅 작업 후, PSA는 사실상 저장 온도, 일반적으로 실온으로 비교적 빠르게 냉각된다. 본 발명의 가교제 또는 가교제-촉진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추가 열 에너지 공급 없이(열 공급없이) 가교 반응이 계속되게 하는 데 적합하다.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 가교제의 라디칼 R1 간 및 또한 가교제의 가수분해 가능한 실릴 기들 간의 가교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표준 조건(실온) 하에서 열 공급 없이도 완전히 진행된다. 가교는 상기 기술된 반응 둘 모두가 일어날 때만 일어나기 때문에, 두 반응 중 하나가 컴파운더 자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일어나는 속도로 진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5 내지 14일 이하의 저장 시간 후에, 가교는 기능성 제품, 더욱 특히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접착 테이프 또는 기능성 캐리어 층이 존재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완결된다. 이에 따라 폴리머의 최종 상태 및 최종 응집력이 폴리머 및 가교제 또는 가교제-촉진제 시스템의 선택에 따라, 특히 5 내지 14일의 저장 시간 후, 유리하게는 5 내지 10일의 저장 시간 후, 그리고 예상되는 바와 같이, 보다 높은 저장 온도에서는 더 일찍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PSA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wt%의 고형물 함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wt%, 예컨대 이를테면 32 wt%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용액 형태로 제공되고, 처리(예를 들어, 캐리어 상에 코팅)될 수 있고, 이후 용매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예컨대, 이를테면 120℃의 승온에서 증발되고, PSA가 가교된다. 고려되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벤진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 용액이며, 사용되는 벤진은 특히 벤진 60-95이다. 캐리어는 영구 또는 임시 캐리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예컨대, 이를테면 120℃의 승온에서, 가교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최종 가교도에 도달될 때까지 진행된다. 이를 위해, PSA는 전형적으로 5 내지 15분, 더욱 특히 10분의 기간에 걸쳐 명시된 온도에 주어진다. 대안적으로, PSA는 최종 가교도에 도달하기 전에도, 예를 들어 실온으로 냉각된 후, 최종 가교도에 도달할 때까지, 예를 들어 5 내지 14일에 걸쳐 추가로 가교될 수 있다.
가교는 폴리머의 응집력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또한 전단 강도(고온 조건에서도)를 증가시킨다. 연결이 매우 안정적이다. 이는 매우 에이징 안정적이고 내열성인 제품, 특히 접착 테이프를 가능하게 한다.
최종 생성물의 물리적 특성, 특히 이의 점도, 박리 접착성 및 점착성은 가교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최종 생성물은 반응 조건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다양한 요인이 공정의 작업 윈도우를 결정한다.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교제 및 선택적으로 촉진제의 양(서로에 대한 농도 및 비율) 및 화학적 성질, 작동 온도 및 코팅 온도, 컴파운더(특히 압출기) 및 코팅 어셈블리에서의 체류 시간,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작용기, 즉,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의 분율, 및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평균 분자량이다.
본 발명에 의해 가교된 PSA의 제조와 관련된 다수의 연관성이 하기에 기술되며, 이는 제조 공정을 보다 밀접하게 특징화한다.
일정한 온도에서 촉진제 농도에 대한 가교 시간의 의존성에 대해, 가교도의 최종 값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나, 높은 촉진제 농도에서, 이 값은 낮은 촉진제 농도보다 더 빨리 달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가교 반응의 반응성은 또한 요망에 따라, 특히 표준 조건 하에서 저장 과정에서 "내재된 가교"의 이점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교제 및 임의로 촉진제의 일정한 농도에서, 작동 온도의 증가는 감소된 점도를 초래하여, 조성물의 코팅성을 향상시키지만 작업 시간을 감소시킨다.
작업 시간의 증가는 촉진제 농도의 감소, 폴리머 분자량의 감소, 폴리머의 작용기(즉, 카복실산/무수물 기)의 농도의 감소, 반응성이 낮은 가교제 또는 반응성이 낮은 가교제-촉진제 시스템의 사용 및/또는 작동 온도의 감소에 의해 얻어진다.
조성물의 응집력의 개선은 다양한 경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한 가지로, 촉진제 농도를 증가시켜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일정한 촉진제 농도에서, 사용된 폴리머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임의의 경우에 가교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조성물 또는 생성물의 요망하는 요구 사항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언급된 파라미터를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PSA는 특히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 테이프"라는 표현은 2차원적으로 연장된 필름 또는 필름 섹션, 연장된 길이 및 제한된 폭을 갖는 테이프, 테이프 섹션, 다이 컷, 라벨 등과 같은 모든 시트형 구조를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컷 또는 라벨 형태가 아닌 롤로서의 연속 웹 형태이다. 접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롤 형태, 즉, 아르키메데스 나선 형태로 그 자체로 롤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영구 캐리어와는 달리, 임시 캐리어는 접착 테이프의 구성 요소로 간주되지 않고, 단지 그 제조(공정 라이너)에 대한 보조로서 또는 그것의 라이닝을 위한 수단으로서 간주된다.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PSA의 사용에서, 캐리어는 PSA로 코팅되고 PSA는 열적으로 가교되어 본 발명의 가교된 PSA 층을 제공한다. 캐리어는 영구 캐리어 또는 임시 캐리어일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캐리어를 PSA로 코팅"은 특히 이미-제조된 캐리어가 PSA로 코팅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은 캐리어와 공압출되는 PSA를 지칭할 수도 있다. "PSA로 캐리어 코팅"은 또한 본 특허 출원에서 PSA가 캐리어의 한 표면과 직접 접촉하고, 즉 캐리어의 한 표면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그것은 또한 PSA가 캐리어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이 캐리어가 PSA로 코팅되고 있는 경우 캐리어와 PSA 사이에 배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SA로 캐리어를 코팅"하기 위해, PSA는 캐리어의 한 표면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캐리어는 본 발명의 PSA로 일면 또는 양면이 선택적으로 코팅될 수 있고, 본 발명의 PSA 또는 PSA는 추가로 열 가교된다. 캐리어가 본 발명의 PSA로 양면이 코팅되는 경우, 캐리어의 양면은 그 조성이 동일한 본 발명의 PSA로 또는 그 조성이 상이한 본 발명의 PSA로 코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SA는 조성이 동일하다. 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PSA의 열 가교는 캐리어가 PSA로 코팅된 후에만 이루어질 수 있거나, 캐리어를 PSA로 코팅하기 전에도 또는 그 동안에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SA는 여러 공정으로 캐리어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존재하는 장비, 목표 코트 중량, 가교의 반응 속도,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용해도에 따라, PSA는 용액으로부터 또는 용융물로부터, 대안적으로 캐리어 상으로의 코팅 또는 캐리어와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고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SA는 바람직하게는 용융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약 80 μm 초과의 두께를 갖는 PSA 층은 블리스터링, 매우 낮은 코팅 속도, 문제가 있는 얇은 층의 적층, 및 층형성된 어셈블리에서의 약한 지점과 같은 일어나는 문제로 인해 용매 기술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용융물의 적합한 제조 절차는 배치 공정 및 연속 공정 둘 모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PSA는 용액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벤진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벤진은 바람직하게는 벤진 60-95이다.
본 발명의 PSA가 용액으로부터 코팅되는 경우, 용액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공정에 의해 미리 제조된다. 특히, 예를 들어, 폴리머는 용매의 제1 부분에서 분해되고, 적합한 반죽기(예를 들어, 이중-시그마 반죽기)에서 예비 팽창된다. 이어서, 나머지 애주번트가 동시에 또는 시간에 따라 엇갈리게 첨가되고, 결국 요망하는 고형물 함량의 균질 혼합물이 확립된다. 본 발명의 PSA에 첨가되는 오가노실란 및 임의로 촉진제는 조기 가교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 작업 직전에야 균질하게 혼입된다. 이후, 코팅은 가사 시간 또는 개방 시간 내에, 즉 가교가, 얇은 코트 중량에서도 균일한 코팅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지점으로 진행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용매 함유 PSA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SA는 콤마 바(comma bar) 또는 메이어 바(Meyer bar)에 의해, 또는 인그레이브드 롤에 의해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노즐이 코팅에 사용될 수 있으며, PSA는 분무 또는 스크린 프린팅 공정으로 적용된다. 이후, 용매가 적합한 건조 터널에서 제거된다. 본 발명의 PSA의 가교는 전형적으로 대체로 자체 건조 작업 동안에 달성되지만, 또한 별도로, 그리고 예를 들어 적외선 조사에 의해 건조 터널 끝에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제조시, 임의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PSA 외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임의의 PSA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의 PSA는 임의로 특히 열 가교 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SA에 존재하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PSA의 바람직한 첨가제에 관한 진술은 추가 PSA에 대해 유사하게 유효하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PSA가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제조시에 사용될 경우,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한면이 본 발명의 PSA로 코팅되고, 이 PSA는 열 가교되고, 캐리어는 본 발명의 PSA 반대쪽에 추가의 PSA로 코팅되고, 이 추가의PSA는 그것이 가교 가능한 PSA인 경우 가교된다.
본 발명의 PSA는 특히 전사 테이프 형태의 접착 테이프, 단면 접착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더욱 특히 양면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사 테이프"는 본 발명의 단일 층 가교된 PSA를 지칭한다. 따라서, 그것은 단일 층, 양면 자가 접착 테이프를 구성한다. 전사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일면 또는 양면에 임시 캐리어, 즉 라이너로 코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임시 캐리어를 본 발명의 PSA로 코팅하고, PSA를 열 가교시키고, 임의로 임시 캐리어 반대편의 PSA 층의 표면 상에 추가의 임시 캐리어를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단면 접착 테이프"는 영구 캐리어가 그 표면 한면이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코팅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단면 접착 테이프는 영구 캐리어 및 본 발명의 가교된 PSA 층으로만 이루어진다. 임의로, 영구 캐리어 반대편의 가교된 PSA 층의 표면 상에 임시 캐리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i) 영구 캐리어를 본 발명의 PSA로 코팅하고, PSA를 열 가교시키고, 임의로 영구 캐리어 반대편의 생성된 가교된 PSA 층의 표면 상에 임시 캐리어를 적용하거나,
(ii) 임시 캐리어를 PSA로 코팅하고, PSA를 열 가교시키고, 임시 캐리어 반대편의 생성된 가교된 PSA 층의 표면 상에 영구 캐리어를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접착 테이프"는 영구 캐리어가 그 표면의 양면이 PSA로 코팅되고, 두 개의 PSA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가교된 PSA인 접착 테이프이다.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가 본 발명의 PSA 및 가교된 PSA이다. 후자의 경우에, 가교 된 PSA는 그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조성이 동일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면 접착 테이프는 영구 캐리어 및 2개의 PSA 층으로만 이루어진다. 임의로 각각의 경우에, 임시 캐리어는 영구 캐리어 반대편의 PSA 층의 표면 상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접착 테이프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영구 캐리어는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그 두 표면 중 하나에 코팅되고, 그 두 표면 중 다른 하나에 임의의 다른 PSA로 코팅된다. 이 다른 PSA도 마찬가지로, 특히 열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한 첨가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SA에 존재하는 첨가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PSA의 바람직한 첨가제에 관한 진술은 다른 PSA와 유사하게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양면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임시 캐리어를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PSA로 코팅하고, PSA를 열 가교시키고, 임시 캐리어 반대편에 있는 생성된 가교된 PSA 층의 표면을 영구 캐리어의 두 표면에 추가로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사용된 본 발명의 두 개의 PSA는 그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제조 공정의 대안적인 구체예는 사용된 두 개의 PSA 중 하나가 본 발명의 PSA가 아닌 임의의 다른 PSA라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PSA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열적으로 가교 가능한 경우라면, 그것은 또한 접착 테이프의 제조 동안 가교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제조시 본 발명의 PSA 층의 코트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0 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 g/㎡, 및 특히 약 50 g/㎡(각각의 경우에 최종 제조된 가교된 PSA 층을 기준으로 하여). 특히 가교 후 높은 전단 강도로 인해, 본 발명의 PSA는 또한 100 g/㎡ 초과, 예컨대, 이를테면, 200 g/㎡ 초과의 높은 코트 중량을 갖는 접착 테이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높은 코트 중량의 PSA 층으로도,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바로 층을 통해 균질한 가교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적용의 예로는 특히 건축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며, 예로는 절연 테이프, 부식 방지 테이프, 알루미늄 접착 테이프, 직물 강화 필름 접착 테이프(덕트 테이프), 특수-목적 건축 접착 테이프, 예를 들어, 증기 배리어, 접착 어셈블리 테이프, 케이블 포장 테이프; 자가-접착 필름 및/또는 종이 라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가교된 PSA의 적어도 하나의 층, 즉 본 발명의 PSA의 열 가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PSA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가교된 PSA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코팅된 영구 캐리어를 포함한다. "PSA로 코팅된 캐리어"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이미-제조된 캐리어가 PSA로 코팅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PSA가 캐리어와 공압출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SA로 코팅된 캐리어"는 어느 한 경우에 PSA 층이 캐리어의 한 표면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즉 캐리어의 한 표면에 직접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그것은 또한 PSA 층이 캐리어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대신 PSA 층과 캐리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이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PSA로 코팅된 캐리어"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PSA 층은 캐리어의 한 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즉,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의 한 표면 상에 직접 배치된다. 영구 캐리어는 선택적으로 한면 또는 양면이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코팅될 수 있다. 캐리어가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양면이 코팅된 경우, 캐리어의 양면은 그 조성이 동일한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또는 그 조성이 상이한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코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가교된 PSA는 그 조성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임의의 PSA 층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가교된 PSA 층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PSA 층은 임의로 특히 열 가교된 PSA 층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한 첨가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가교된 PSA 층에 존재하는 첨가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교된 PSA의 바람직한 첨가제에 관한 진술은 추가의 PSA에 대해 유사하게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PSA 층을 포함하는 경우,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한면이 본 발명의 가교된 PSA로 코팅되고, 본 발명의 가교된 PSA 층의 반대편이 추가의 PSA로 코팅되며, 추가의 PSA는 임의로 특히 열 가교되는 PSA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전사 테이프, 단면 접착 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이 경우에 전사 테이프, 단면 접착 테이프, 및 양면 접착 테이프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에서, 그 안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가교된 PSA 층의 코트 중량은, 서로 독립적으로, 10 내지 5000 g/㎡,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 g/㎡, 및 특히 약 50 g/㎡이다.
본 발명의 가교된 PSA 및 이러한 종류의 가교된 PSA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는 저에너지 표면, 예컨대, 이를테면 무극성 코팅, 인쇄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EPDM의 결합에 매우 적합하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백의 폐쇄 또는 스트랩핑에 또는 올레핀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부품, 특히 플라스틱 부품을 자동차에 고정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투명도가 높고 플라스틱 병에 잘 부착하고, 방수성이고, 에이징에 대해 안정적이기 때문에, 화장품 포장(예를 들어, 바디 로션 병 또는 샴푸 병)용 라벨에 이상적이다. 보안 라벨, 예컨대 자기 경보 라벨 또는 데이터 캐리어, 예컨대 Holospot®(tesa Holospot®은 크기가 단지 몇 제곱 밀리미터인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자가 접착성 폴리머 라벨이며; 라벨은 제품에 단단히 부착되고, 미리 고해상도 레이저를 사용하여 정보 필드에 미리 기록된 다양한 공개 및 비공개 보안 기능포함함)의 맥락에서, 무극성 기재에 대한 종래 접착제의 접착 불량 문제를 해결한다. 추가로, 접착 포장 테이프로서 건설 분야에서 스킨 및 거친 기재에 결합시키는데, 그리고 랩핑 용도에 적합하다. 스킨에 대한 용도의 예는 롤 및 개별 형태의 석고, 인공 항문 형성 백(colostomy bag) 및 전극의 결합을 위한 다이컷, 활성 성분 패치(경피 패치) 및 붕대이다. 에이징 안정성으로 인해, 피부 자극을 유발하거나 다른 화학 작용을 하는 물질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또한 위생 제품, 예컨대 기저귀 클로져, 유아 기저귀 또는 위생 수건의 구성에 적합하며; 또한, 이들은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필름 및 폴리올레핀 부직포 물질에 부착되며,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조성물보다 비용이 더 낮고 내열성이 더 높다. 래핑 용도의 예는 전기 절연 및 자동차 케이블 하네스(automobile cable harness)의 생산이다. 본 발명의 가교된 PSA 및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또한 PP, PE 및 PVC 와이어 절연체와 고온에서 상용성이다. 건축 용도에서, 지붕 단열 필름(수증기 또는 액체 수 배리어 필름)의 결합을 위한, 석고 테이프로서, 및 밀봉 용도 및 그 밖의 실외 용도를 위한 역청 접착 테이프로서, 이들은 저온 조건 하에서의 효과적인 결합 거동, 상대적으로 우수한 UV 안정성이 주목할 만하다. 추가의 용도는 인쇄된 또는 인쇄되지 않은 필름 웹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한 접착성 접합 테이프(adhesive splicing tape)로서의, 및 광기전 모듈 또는 전자 부품의 수분 및 산소의 확산에 대한 접착성 배리어 테이프로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에서 PSA 층은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 충전제로 충전될 수 있다. 공지된 공정에 의해 개방 셀 또는 폐쇄 셀 형태로 발포된 층도 가능하다. 가능한 발포 방법은 질소 또는 CO2와 같은 압축 가스를 사용하는 발포 방법, 또는 팽창제, 예컨대 하이드라진 또는 팽창성 마이크로벌룬을 사용하는 발포 방법이다. 팽창 마이크로벌룬이 사용되는 경우, PSA 또는 성형층은 유리하게는 열의 도입에 의해 적합하게 활성화된다. 발포는 압출기에서 또는 코팅 후에 일어날 수 있다. 적합한 롤 또는 이형 필름을 사용하여 발포 층을 평활화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포움-유사 층을 제조하기 위해, 중공 유리 구체 또는 이미 팽창된 폴리머성 마이크로벌룬이 또한 본 발명의 PSA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PSA 층은 또한 발포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사용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화학물질
Figure pct00003
PSA의 제조 및 이의 성질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용액 형태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PSA의 제조, 용액으로부터 캐리어 상으로의 상기 용액의 코팅, 및 본 발명의 가교된 PSA 층을 제공하기 위한 PSA의 가교를 기술한다.
비교 실시예 4는 용액 형태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가교제-비함유 PSA의 제조, 및 또한 용액으로부터 캐리어 상으로의 그러한 용액의 코팅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 및 6은 용액 형태의 EPDM을 기반으로 한 레졸-함유 PSA의 제조, 용액으로부터 캐리어 상으로의 그러한 용액의 코팅, 및 가교된 PSA 층을 제공하기 위한 PSA의 가교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7 및 8은 용액 형태의 EPDM을 기반으로 한 퍼옥사이드-함유 PSA의 제조, 용액으로부터 캐리어 상으로의 그러한 용액의 코팅, 및 가교된 PSA 층을 제공하기 위한 PSA의 가교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120 g의 Keltan® 1519r, 242 g의 벤진 60-95 및 13 g의 이소프로판올을 합치고, 24 시간 동안 23℃에서 예비 팽윤시킨 후, 15 분 동안 35 rpm에서 이중-시그마 반죽 후크(double-sigma kneading hook)를 갖는 반죽기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133.2 g의 Regalite® R1100을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6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45 g의 Ondina® 933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1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어서, 364 g의 벤진 60-95 및 19 g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3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42 g의 벤진 60-95 중의 1.3 g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용액을 첨가하고, 1 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였다. 이에, 16 g의 벤진 60-95 중의 0.5 g의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용액을 첨가하고, 1 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였다.
형성된 PSA를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 두께의 PET 필름 상에 표준 상업용 실험실 코팅 벤치(standard commercial laboratory coating bench)(예를 들어, 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 공기 건조 캐비닛에서 120℃에서 10 분 동안 증발시켰으며, 그 동안 PSA가 가교되기 시작하였다. 코팅 동안의 슬롯 폭(slot width)은 용매의 증발 후 달성되는 코트 중량이 50 g/m²이 되도록 설정되었다. 결과는 가교된 PSA 층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가교된 PSA 층을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나, 45 g의 Ondina® 933 대신에 47 g의 Trilene® 67를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가교된 PSA 층을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나, 45 g의 Ondina® 933 대신에 47 g의 Trilene® 67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1로부터의 추가의 출발에서,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가교제가 사용되지 않고, 단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68 g의 벤진 60-95 중의 2.1 g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용액을 첨가하고, 1 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였다.
비교 실시예 4:
120 g의 Keltan® 1519r, 242 g의 벤진 60-95 및 13 g의 이소프로판올을 합치고, 24 시간 동안 23℃에서 예비 팽윤시킨 후, 15 분 동안 35 rpm에서 이중-시그마 반죽 후크를 갖는 반죽기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133.2 g의 Regalite® R1100을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6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45 g의 Ondina® 933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1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어서, 364 g의 벤진 60-95 및 19 g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3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42 g의 벤진 60-95 중의 1.3 g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용액을 첨가하고, 1 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였다. 이에, 16 g의 벤진 60-95 중의 0.5 g의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용액을 첨가하고, 1 분 동안 교반을 수행하였다.
형성된 PSA를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 두께의 PET 필름 상에 표준 상업용 실험실 코팅 벤치(예를 들어, 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 공기 건조 캐비닛에서 120℃에서 10 분 동안 증발시켰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PSA 층은 실질적으로 용매를 함유하지 않았다. 코팅 동안의 슬롯 폭은 용매의 증발 후 달성되는 코트 중량이 50 g/m²이 되도록 설정되었다.
비교 실시예 5:
115.5 g의 Vistalon® 6602 및 213 g의 벤진 60-95를 합치고, 48 시간 동안 23℃에서 예비 팽윤시킨 후, 15 분 동안 35 rpm에서 이중-시그마 반죽 후크를 갖는 반죽기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125.4 g의 Regalite® R1100을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6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39 g의 Ondina® 933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1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14.1 g의 SP® 1045(가교제 수지) 및 5.9 g의 Bremazit® 3050(아연 레지네이트)을 20 g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제1 희석제 양의 192 g의 벤진 60-95와 함께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2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제2 희석제 양의 213 g의 벤진 60-95을 첨가하고, 3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함으로써 혼입시켰다.
형성된 PSA를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 두께의 PET 필름 상에 표준 상업용 실험실 코팅 벤치(예를 들어, 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 공기 건조 캐비닛에서 105℃에서 10 분 동안 증발시켰다. 코팅 동안의 슬롯 폭은 용매의 증발 후 달성되는 코트 중량이 50 g/m²이 되도록 설정되었다. 이어서, 용매 제거된 필름을 40 분 동안 180℃에서 가교시켰다. 결과는 레졸-가교된 PSA 층이었다.
비교 실시예 6:
87.3 g의 Vistalon® 6602 및 213 g의 벤진 60-95를 합치고, 48 시간 동안 23℃에서 예비 팽윤시킨 후, 15 분 동안 35 rpm에서 이중-시그마 반죽 후크를 갖는 반죽기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132.6 g의 Regalite® R1100을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6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60 g의 Trilene® 67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1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14.1 g의 SP® 1045(가교제 수지) 및 5.9 g의 Bremazit® 3050(아연 레지네이트)을 20 g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제1 희석제 양의 192 g의 벤진 60-95와 함께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2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제2 희석제 양의 213 g의 벤진 60-95을 첨가하고, 3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함으로써 혼입시켰다.
형성된 PSA를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 두께의 PET 필름 상에 표준 상업용 실험실 코팅 벤치(예를 들어, 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 공기 건조 캐비닛에서 105℃에서 10 분 동안 증발시켰다. 코팅 동안의 슬롯 폭은 용매의 증발 후 달성되는 코트 중량이 50 g/m²이 되도록 설정되었다. 이어서, 용매 제거된 필름을 40 분 동안 180℃에서 가교시켰다. 결과는 레졸-가교된 PSA 층이었다.
비교 실시예 7:
121.2 g의 Vistalon® 6602 및 213 g의 벤진 60-95를 합치고, 48 시간 동안 23℃에서 예비 팽윤시켰다. 이후, 127.2 g의 Regalite® R1100을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6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39.9 g의 Ondina® 933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1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첫번째 희석을 212 g의 벤진 60-95로 수행하였으며, 이는 2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함으로써 혼입되었다. 213 g의 벤진 60-95의 두번째 희석과 함께, 2.9 g의 TMPTA를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3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코팅 직전에, 아세톤 중의 10 wt% 강도 용액으로서 8.7 g의 BPO를 첨가하고, 20 분 동안 반죽에 의해 혼입시켰다.
형성된 PSA를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 두께의 PET 필름 상에 표준 상업용 실험실 코팅 벤치(예를 들어, 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 공기 건조 캐비닛에서 120℃에서 10 분 동안 증발시켰으며, 그 동안 PSA가 가교되기 시작하였다. 코팅 동안의 슬롯 폭은 용매의 증발 후 달성되는 코트 중량이 50 g/m²이 되도록 설정되었다. 결과는 퍼옥사이드-가교된 PSA 층이었다.
비교 실시예 8:
90 g의 Vistalon® 6602 및 213 g의 벤진 60-95를 합치고, 48 시간 동안 23℃에서 예비 팽윤시켰다. 이후, 138.3 g의 Regalite® R1100을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6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이후, 60 g의 Trilene® 67을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1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첫번째 희석을 212 g의 벤진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는 2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함으로써 혼입되었다. 213 g의 벤진 60-95의 두번째 희석과 함께, 2.9 g의 TMPTA를 첨가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30 분 동안 35 rpm에서 반죽하였다. 코팅 직전에, 아세톤 중의 10 wt% 강도 용액으로서 8.7 g의 BPO를 첨가하고, 20 분 동안 반죽에 의해 혼입시켰다.
형성된 PSA를 코팅 나이프를 사용하여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에칭된 23 ㎛ 두께의 PET 필름 상에 표준 상업용 실험실 코팅 벤치(예를 들어, Sondermaschinen Oschersleben GmbH로부터의) 상에 코팅하였다. 용매를 강제 공기 건조 캐비닛에서 120℃에서 10 분 동안 증발시켰으며, 그 동안 PSA가 가교되기 시작하였다. 코팅 동안의 슬롯 폭은 용매의 증발 후 달성되는 코트 중량이 50 g/m²이 되도록 설정되었다. 결과는 퍼옥사이드-가교된 PSA 층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9 내지 11: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3을 마찬가지로 DE19806609A1(본 발명의 실시예 9 내지 11)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압출기에서 무용매로 제조하였다. 이는 3개의 롤 실린더를 갖는, ENTEX Rust & Mitschke의 유성 롤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롤 실린더의 직경은 70 mm이고, 공정 길이(process length)는 1200 mm였다. 중앙 스핀들은 18℃로, 롤 실린더는 90℃로 컨디셔닝시켰다. 이송 스크류를 분당 75 회전으로 작동시켰으며, 각각의 롤 실린더는 7 개의 유성 스핀들을 포함하였다.
고체 EPDM 러버를 충전 포트를 통해 이송 스크류에 공급하였다. 용융된 점착 부여 수지를 제2 롤 실린더의 시작시 용융 펌프를 통해 첨가하고, 가소제를 제2 및 제3 롤 실린더 사이의 트러스트 링(thrust ring)에 공급하였다. 이어서, 균질 혼합물을 탈기를 위해 탈기 이축 압출기로 옮겼다. 이 압출기에서 오가노실란을 첨가하고 혼입시켰다. 탈기 후, 압출물을 PSA의 코팅을 위해 롤 어플리케이터로 직접 전달시켰다.
핫멜트 공정에서, 제조된 시편의 성질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용매 공정으로부터의 시편의 성질에 상응하였다(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결과: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가교된 PSA의 접착제 및 기계적 성질의 고찰, 및 또한 비교 실시예 4 내지 8의 비교 접착제에 대한 것들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가교된 PSA는 마찬가지로 비교 실시예 4로부터의 접착 테이프에 존재하는 종류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상응하는 비가교된 PSA보다 고온 조건 하에서도 훨씬 더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내열성이 훨씬 더 높다. 이는 상이한 수준의 힘 노출 하에서도, 비교 실시예 4에 비해 감소된, 40℃에서의 미세전단 이동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의 접착 테이프의 증가된 SAFT 온도("전단 접착 실패 온도")에서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의 접착 테이프의 내열성은 사용된 가소제의 성질 및/또는 사용된 오가노실란 가교제의 성질 및 양을 통해 추가로 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박리 접착력, 즉 박리 강도를 비교 실시예 4의 접착 테이프의 박리 접착력 비교하면,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가교된 PSA 층의 경우, 가교에도 불구하고, 마찬가지로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상응하는 비가교된 PSA 층의 것에 비교되는 박리 접착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의 접착 테이프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로부터의 접착 테이프의 비교는 추가로 박리 접착력이 PSA에 액체 EPDM을 사용함으로써 크게 더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박리 접착력은 각각의 경우에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 대해, 그리고 이에 따라 LSE 표면에 대해 측정되었기 때문에, 또한,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가교된 접착제-조성물 층이 상응하는 비가교된 접착제 조성물 층과 같이 LSE 표면을 포함하여 접착제 결합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EPDM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가교된 PSA는 또한 비교 실시예 5 내지 8의 EPDM을 기반으로 한 레졸-가교된 및 퍼옥사이드-가교된 PSA보다 현저히 우수하며, 이러한 우수성은 박리 접착력 및 내열성, 즉 고온에서의 전단력 둘 모두에 존재한다. 이는 다중 인자에 의해 더 낮은 미세전단 이동 값으로부터, 그리고 또한 레졸- 또는 퍼옥사이드-가교된 PSA에 비해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가교된 PSA에 대한 상승된 SAFT 값에 의해 명백하다.
측정 방법: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측정을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수행하였다. 하기 기술된 시험에 앞서, 완전한 후-가교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시편을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7일 동안 보관하였다.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고형물 함량
고형물 함량은 PSA에서 증발 불가능한 성분의 분율의 척도이다. PSA를 칭량한 다음, 건조 캐비닛에서 증발 가능한 분획을 120℃에서 2시간 동안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재칭량함으로써 중량 측정으로 측정한다.
두께
PSA 층의 두께는 캐리어 또는 라이너에 적용되는 이러한 접착제 층의 섹션의 두께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섹션은 사용된 캐리어 또는 라이너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섹션의 (알려져 있거나, 개별적으로 확인 가능한) 두께를 공제한, 규정된 길이 및 규정된 폭의 섹션이다. 접착제 층의 두께는 1 ㎛ 편차 미만의 정확도를 가진 상용 두께 게이지(센서 기기)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두께의 변동이 발견되는 경우, 보고된 값은 3개 이상의 대표 지점에서 측정한 것의 평균값, 즉, 특히 주름, 구김, 반점 등에서의 측정을 포함하지 않는 평균값이다.
코트 중량
g/㎡ 단위의 PSA 층의 코트 중량은 캐리어 또는 라이너에 적용되는 이러한 접착제 층의 섹션의 질량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섹션은 사용된 캐리어 또는 라이너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섹션의 (알려져 있거나, 개별적으로 확인 가능한) 질량을 공제한, 규정된 길이 및 규정된 폭의 섹션이다.
연화점
수지의, 연화 온도로도 불리우는 연화점은 링 앤 볼(ring & ball)로서 알려져 있는 관련 방법론에 따라 수행되며 ASTM E28에 따라 표준화된다.
180°박리 접착력 시험
박리 강도(박리 접착력)는 PSTC-1에 기초한 방법으로 시험된다.
2cm 폭의 스트립 형태의 단면 접착 테이프를 4kg 롤러를 사용하여 테이프를 앞뒤로 5회 롤링 다운하여 자유 PSA 측에 의해 5mm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 접착시킨다. 플레이트를 클램핑하고, 접착 테이프를 300mm/분의 속도로 180°의 박리 각도로 인장 시험기에서 자유 단부에 의해 잡아당긴다. 측정 결과는 N/cm 단위로 보고되며 3회 측정의 평균이다.
전단 접착 실패 온도( SAFT ), 내열성
이 시험은 온도 하중 하에서 접착 테이프의 전단 강도에 대한 가속 시험을 위해 사용된다. 시험을 위해, 조사 중인 단면 접착 테이프를 PSA 측에 의해 가열 가능한 강판에 부착되고, 추(50 g)가 로딩되고 전단 이동이 기록된다.
샘플 제조:
단면 접착 테이프를 10mm * 50mm 크기로 자른다.
크기에 맞춰 자른 접착 테이프를, 샘플의 접착 면적이 13 mm * 10 mm ― 높이 * 폭 ―이고 강철 시험판이 상단 가장자리에서 2 mm 돌출되는 방식으로, 아세톤으로 세정된 연마된 강철 시험판(강재 1.4301, DIN EN 10088-2, 표면 2R, 표면 거칠기 Ra = 30 내지 60 nm, 치수 50 mm * 13mm * 1.5 mm)에 자유 PSA 면에 의해 접착시킨다. 이후, 10kg/min의 속도로 2kg의 강철 롤러를 6회 롤링시킴으로써 결합을 고정시킨다. 상부에서 샘플을 이동 센서에 대한 지지체 역할을 하는 안정적인 접착 스트립으로 플러시(flush) 강화시킨다. 강판을 사용하여, 이후 보다 긴 돌출점을 갖는 접착 테이프 단부가 수직으로 아래로 향하도록 샘플을 현탁시킨다.
측정:
측정을 위한 샘플을 하단에 50g 추를 로딩한다. 결합된 샘플을 갖는 강철 시험판을 30℃에서 시작하여 9 K/분의 속도로 200℃의 최종 온도로 가열한다.
샘플의 슬립 이동을 온도 및 시간의 함수로서 이동 센서에 의해 관찰한다. 최대 슬립 이동을 1000 ㎛(1 mm)로 설정하며, 이를 초과하면 시험을 중단시키고, 실패 온도를 기재한다.
시험 조건: 실온 23 +/- 3℃, 상대 습도 50 +/- 5%.
미세전단 시험
이 시험은 온도 하중 하에서 접착 테이프의 전단 강도에 대한 가속 시험에 사용한다.
미세전단 시험을 위한 샘플 준비:
각각의 샘플 시편으로부터 자른 단면 접착 테이프(길이 약 50mm, 폭 10mm)를 PSA 측에 의해 아세톤으로 세정된 시험 강판에 접착시키되, 이 결합은 강판이 접착 테이프를 지나 오른쪽 및 왼쪽으로 돌출하고, 접착 테이프가 시험 판을 지나 상단 에지에서 2mm 돌출되도록 한다. 높이 x 폭의 측면에서 샘플의 결합 면적은 13 mm x 10 mm이다. 결합 부위를 이어서 10 kg/분의 속도로 2 kg 스틸 롤러로 6회 롤링 다운한다. 접착 테이프를 이동 센서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안정적인 접착 스트립으로 플러시 강화시킨다. 시험판을 이용하여 샘플을 수직으로 현탁시킨다.
미세전단 시험:
측정을 위한 샘플 시편에 하단에 200 g(변형예 1) 또는 1000 g(변형예 2)의 추를 로딩시킨다. 시험 온도는 각각의 경우에 40℃이고, 시험 로드 지속 시간은 15 분이다. 일정한 온도에서 미리 정해진 시험 기간 후의 전단 이동을 결과로서 ㎛ 단위로 보고한다.
표면 에너지
표면 에너지(표면 장력)를 DIN ISO 8296에 따라 결정한다. 이는 예를 들어 Softal의 시험 잉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잉크는 30 내지 72 mN/m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다. 잉크를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잉크 라인으로 표면에 적용한다. 잉크 라인이 2초 미만으로 수축되면, 2초에 도달할 때까지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의 잉크로 측정을 반복한다. 잉크 라인이 2초 초과 동안 변하지 않으면, 2초에 도달할 때까지 보다 높은 표면 에너지의 잉크로 측정을 반복한다. 이후, 상응하는 잉크 병에 표시된 수치가 기재의 표면 에너지에 해당한다.

Claims (25)

  1. 감압 접착제 조성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가교 가능한 폴리머로서, 폴리머가 적어도, (i) 각각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올레핀계 불포화된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 및 (ii) 적어도 하나의 카복실산 기 및/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를 갖는 올레핀계 불포화된 모노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 D로 구성되는 폴리머,
    b) 하기 화학식(1)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
    R1-Si(OR2)nR3 m (1),
    (상기 식에서,
    R1은 카복실산 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기와의 화학 결합에 개입할 수 있는 라디칼이고,
    라디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실 라디칼이고,
    R3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고,
    n은 2 또는 3이고, m은 3-n의 결과 값임); 및
    c)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가교 가능한 폴리머의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가 서로 독립적으로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 예컨대, 이를테면, 에틸렌, 프로필렌, 1-헥센 또는 1-옥텐, 또는 디엔, 예컨대, 이를테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모노머 A가 에틸렌이고, 모노머 B가 프로필렌이고, 모노머 C가, 존재하는 경우, 디엔, 예컨대, 이를테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디엔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모노머 D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푸마르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메틸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크로톤산 무수물, 4-메틸사이클로헥스-4-엔-1,2-디카복실산 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디카복실산 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1]헵트-5-엔-2,3-디카복실산, 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3-디카복실산, 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3-디카복실산 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복실산, 바이사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복실산 무수물, 5-노르보르넨-2,3-디카복실산, 노르보른-5-엔-2,3-디카복실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또는 푸마르산 무수물, 및 특히 말레산 무수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 가능한 폴리머가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공중합시켜 폴리머를 얻고, 코모노머 D를 상기 폴리머 상에 그라프팅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 가능한 폴리머가 최소한 적어도 두 개의 모노머 A 및 B, 예컨대, 이를테면, 세 개의 모노머 A, B 및 C를 코모노머 D와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 가능한 폴리머가 25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초과, 및 특히 55 초과의 DIN 53523에 따라 측정된 무우니 점도(Mooney viscosity)(ML 1+4/125℃)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알킬 기 또는 아세틸 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알킬 기이고, 상기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기, 및 특히 에틸 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3가, 존재하는 경우, 알킬 기이고, 상기 알킬 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기, 및 특히 메틸 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이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 NHR4(여기서, R4는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임)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R4가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인 경우, 이 라디칼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아미노 기 NHR4,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R1이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 NHR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라디칼 R1이 X-(CH2)-(CH2)p 라디칼이고, 여기서 X는 하이드록실 기, 티오 기 또는 아미노 기 NHR4이고, R4는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고, p는 0 내지 10 및 특히 0 내지 2의 정수이고,
    R4가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인 경우, 이 라디칼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아미노 기 NHR4,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 적어도 하나의 티오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이 N-사이클로헥실-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2-아미노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의 라디칼 R1이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릭 에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라디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R1이 적어도 하나의 에폭사이드 기,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사이드 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R1이 적어도 하나의 글리시딜옥시 기,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사이클로헥실 기 예컨대, 이를테면,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기,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헥실 기 예컨대, 이를테면, 5,6-에폭시헥실 기, 적어도 하나의 옥세타닐메톡시 기 예컨대, 이를테면, 3-옥세타닐메톡시 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라디칼 R1이 Y-(CH2)-(CH2)q 라디칼이고, Y는 제17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기이고, q는 0 내지 10 및 특히 0 내지 2의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오가노실란이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5,6-에폭시헥실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3-[(3-에틸-3-옥세타닐)메톡시]프로필]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뿐만 아니라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이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오가노실란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에틸렌, 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디엔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5-비닐-2-노르보르넨, 및 특히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추가 폴리머가 바람직하게는 DIN 53523에 따라 측정된 25 미만의 무우니 점도(ML 1+4/125℃)를 지닌 고체 또는 액체이고, 특히 액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열 가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가교 가능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
  24.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로서, 캐리어가 상기 조성물로 코팅되고, 상기 조성물은 열 가교되어 제23항의 가교된 조성물의 층을 제공하는, 용도.
  25. 제23항의 가교된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KR1020197027152A 2017-02-20 2018-02-20 가교 가능한 접착성 화합물 KR102264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2668.5 2017-02-20
DE102017202668.5A DE102017202668A1 (de) 2017-02-20 2017-02-20 Vernetzbare Haftklebmasse
PCT/EP2018/054095 WO2018150040A1 (de) 2017-02-20 2018-02-20 Vernetzbare haftklebma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63A true KR20190112163A (ko) 2019-10-02
KR102264623B1 KR102264623B1 (ko) 2021-06-11

Family

ID=6125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152A KR102264623B1 (ko) 2017-02-20 2018-02-20 가교 가능한 접착성 화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40234A1 (ko)
EP (1) EP3583182A1 (ko)
KR (1) KR102264623B1 (ko)
CN (1) CN110520496B (ko)
DE (1) DE102017202668A1 (ko)
WO (1) WO2018150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1589A1 (de) * 2018-08-23 2020-02-27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sbesondere thermisch vulkanisierbaren Klebstoffs sowie eines Klebebandes mit dem thermisch vulkanisierbaren Klebstoff
DE102018214534A1 (de) 2018-08-28 2020-03-05 Tesa Se Klebeband insbesondere für ölige Oberflächen
DE102020205795A1 (de) 2020-05-07 2021-11-11 Tesa Se Hochtemperatur-Haftklebemasse auf Basis von EPDM-Kautschu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734A (ko) * 2005-06-24 2008-04-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작용화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접착제 조성물
DE102010043853A1 (de) * 2010-11-12 2012-05-16 Tesa Se Haft- oder Schmelzklebmassen für feuchtigkeitsunempfindliche Verklebung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0507C (en) 1988-10-19 1999-07-06 Du Pont Canada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rafted polymers of improved colour
AT403583B (de) * 1993-07-26 1998-03-25 Danubia Petrochem Polymere Modifizierte elastomere polypropylene
US5461110A (en) 1994-05-04 1995-10-24 Du Pont Canada Inc. Cross-linkable adhesive polymers
DE19806609A1 (de) 1998-02-18 1999-08-19 Beiersdor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lösungsmittel- und mastikationsfreien Herstellung von druckempfindlichen Selbstklebemassen auf Basis von nicht-thermoplastischen Elastomeren sowie deren Beschichtung zur Herstellung von selbstklebenden Artikeln
US6894115B2 (en) 2002-12-17 2005-05-17 Equistar Chemicals, Lp Dual-functionalized adhesive compositions
DE102004044086A1 (de) 2004-09-09 2006-03-16 Tesa Ag Thermisch vernetzte Acrylat-Hotmelts
DE102005022782A1 (de) * 2005-05-12 2006-11-16 Tesa Ag Haftklebemass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8061840A1 (de) * 2008-12-15 2010-06-17 Tesa Se Haftklebemasse
CN102395641B (zh) * 2009-02-13 2016-02-03 艾利丹尼森公司 粘合剂化合物
DE102009046362A1 (de) 2009-11-03 2011-05-05 Tesa Se Haftklebestoff aus einem vernetzbaren Polyolefin und einem Klebharz
DE102009046363A1 (de) 2009-11-03 2011-05-05 Tesa Se Montageklebeband für den Innenausbau
DE102010043866A1 (de) * 2010-11-12 2012-05-16 Tesa Se Klebmasse und Verfahren zur Kapselung einer elektronischen Anordnung
DE102014218260A1 (de) * 2014-09-11 2016-03-17 Albis Plastic Gmbh Haftungsmodifizierte olefinische thermoplastische Elastomere, insbesondere TPE-V, TPE-O
DE102015217376A1 (de) 2015-09-11 2017-03-16 Tesa Se Haftklebstoff auf Basis EPDM
DE102015224734A1 (de) 2015-12-09 2017-06-14 Tesa Se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Haftklebemass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734A (ko) * 2005-06-24 2008-04-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작용화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접착제 조성물
DE102010043853A1 (de) * 2010-11-12 2012-05-16 Tesa Se Haft- oder Schmelzklebmassen für feuchtigkeitsunempfindliche Verkleb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0040A1 (de) 2018-08-23
EP3583182A1 (de) 2019-12-25
KR102264623B1 (ko) 2021-06-11
US20200040234A1 (en) 2020-02-06
CN110520496A (zh) 2019-11-29
CN110520496B (zh) 2022-02-22
DE102017202668A1 (de)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299B1 (ko) 감압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JP6253291B2 (ja) 非極性表面上に接着するための発泡接着テープ
JP6526010B2 (ja) 後硬化性感圧接着剤
CA2677728C (en) Thermally crosslinking polyacrylat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572661B (zh) 熱交聯性組成物、熱交聯的聚丙烯酸酯及其用途與製造方法
TWI580722B (zh) 聚丙烯酸酯系用之交聯劑-促進劑系統
KR102264623B1 (ko) 가교 가능한 접착성 화합물
AU2017216394B2 (en) Improv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2020022406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EPDM
JP2020059020A (ja) 表面上にダイカットを貼付する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試験方法
US11958995B2 (en) Sealing adhesive tape for vehicle bodies
TWI232879B (e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rubber foam sheet using the sheet
KR100633667B1 (ko)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상기 시트를사용한 고무 발포체 점착 시트
CN113621327B (zh) 基于epdm橡胶的高温压敏胶粘剂
CA2961500A1 (en) Pigmentable primer
KR101992464B1 (ko) 착색가능한 프라이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