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18A -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818A
KR20190110818A KR1020180032732A KR20180032732A KR20190110818A KR 20190110818 A KR20190110818 A KR 20190110818A KR 1020180032732 A KR1020180032732 A KR 1020180032732A KR 20180032732 A KR20180032732 A KR 20180032732A KR 20190110818 A KR20190110818 A KR 2019011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extension
circumferential surfac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054B1 (ko
Inventor
윤중호
차희승
유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론텍
Priority to KR102018003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0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6Surface treatment of parts furnished with screw-thread, e.g. for preventing seizure or fr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휠 볼트에 체결되는 모든 부분에 도금이 가능하고, 휠 볼트와 체결되는 제1 나사산 및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간단한 방법으로 휠 너트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을 결합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에 차량의 휠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휠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에 있어서, 상기 휠 볼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휠 볼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호 캡을 포함하는 휠 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Wheel nut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휠 볼트에 체결되는 모든 부분에 도금이 가능하고, 휠 볼트와 체결되는 제1 나사산 및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간단한 방법으로 휠 너트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을 결합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휠(20)을 차량 바디에 장착된 휠 베어링에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휠 너트(1)를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10)에 체결하게 된다.
휠 너트(1)는 공압을 이용한 체결 공구인 복스에 맞물린 후 회전하면서 휠 볼트(10)에 체결되며, 이러한 휠 너트(10)는 체결 공구에 맞물리도록 다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때, 휠 너트(1)에는 차량 주행 중 휠 볼트(10)와 휠 너트(1)의 체결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캡(2)이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캡(2)은 휠 너트(1)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마찰 용접을 통해 휠 너트(1)에 결합된다.
휠 너트(1)와 캡(2)이 결합되면 이후에는 미려한 외관과 부식 방지를 위해 휠 너트(1)를 전기 도금하게 되는데, 이러한 휠 너트(1)의 도금은 전처리, 니켈 도금, 세척, 크롬 도금 및 후처리의 공정을 거치게 되나, 캡(2)이 결합된 휠 너트(1)는 휠 볼트(10)와 체결되는 홀의 깊이가 깊고, 도금액 충전 과정에서 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모두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 있게 됨으로 인해 홀 내부에 도금액이 완전하게 충전되지 못하고, 결국 휠 너트(1) 내부는 도금되지 못하고 미 도금된 상태로 휠 볼트(10)에 체결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휠 너트(1)의 내부가 도금되지 않은 상태에서 휠 볼트(10)에 체결되면 차량 주행 과정에서 휠(20)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체결면에 부식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부식으로 인해 휠 너트(1)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휠 볼트에 체결되는 모든 부분에 도금이 가능한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휠 볼트와 체결되는 제1 나사산 및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간단한 방법으로 휠 너트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을 결합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너트는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에 차량의 휠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휠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에 있어서, 상기 휠 볼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휠 볼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호 캡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휠 볼트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각각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캡은 상기 연장부에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홈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너트 제조 방법은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에 차량의 휠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휠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휠 볼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휠 볼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동시에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보호 캡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휠 볼트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동시에 도금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가 액체 상태의 도금액에 잠기도록 배치한 후 다시 인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가 액체 상태의 도금액에 잠기도록 배치하는 단계는, 도금액이 상기 제1 관통공 또는 상기 제2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른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보호 캡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는,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상기 보호 캡을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휠 볼트에 체결되는 모든 부분에 도금이 가능하므로 차량 주행 과정에서 휠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체결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휠 너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휠 너트에는 휠 볼트와 체결되는 제1 나사산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제2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휠 너트의 체결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휠 너트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을 이중사출 방식으로 결합시키므로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고, 보호 캡이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내부식성이 크며, 다양한 색상의 보호 캡을 결합해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휠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너트의 연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 너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휠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너트의 연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 너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10)에 차량의 휠(20)이 관통된 상태에서 휠(20)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30)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휠 너트(30)는 휠 볼트(10)에 나사 체결되는 몸체부(100)와, 이러한 몸체부(100)에서 연장되어 휠 볼트(10)에 체결되는 연장부(200) 및 이러한 연장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호 캡(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복스와 같은 체결 공구에 맞물리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아울러 휠 볼트(10)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110)이 형성되되, 이러한 몸체부(10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00)의 내주면에도 휠 볼트(10)와 나사 체결되는 제2 나사산(210)이 형성된다.
즉, 종래의 휠 너트(1)의 경우 휠 너트(1)의 내주면에만 나사산이 형성될 뿐 캡(2)의 내부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휠 너트(30)는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제1 나사산(110)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보호 캡(300)이 결합되는 연장부(200)의 내주면에도 제2 나사산(210)을 형성함으로써 휠 볼트(10)와의 체결 면적 증대를 통한 체결력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휠 너트 자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체결 면적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휠 너트에 캡이 결합되면 전체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휠 너트의 설계 조건을 만족할 수 없는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방식은 제한된 길이를 갖는 휠 너트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휠 너트(30)의 경우 설계 조건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한된 길이를 만족함과 동시에 체결력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몸체부(100)의 일단에는 휠 볼트(10)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연장부(200)의 타단에는 제1 관통공(120)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즉, 몸체부(100)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00)는 제1 관통공(120)과 제2 관통공(220)이 형성됨으로 인해 축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종래의 휠 너트의 경우 도금 과정에서 홀 내부에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남아있게 됨으로 인해 휠 너트의 내부가 도금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하게 되면 휠 너트(30)의 도금 과정에서 도금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공(120)으로 유입된 후 타측에 형성된 제2 관통공(210)을 통해 유출되면서 공기가 전부 배출될 수 있으므로 휠 너트(30)의 내부가 완전하게 도금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를 통해 몸체부(100)와 연장부(20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도금층이 고르게 형성됨으로써 차량 주행 과정에서 휠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체결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휠 너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휠 너트(30)의 도금 과정에서 도금액이 타측에 형성된 제2 관통공(210)으로 유입된 후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공(110)을 통해 유출되면서 공기가 전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휠 너트(30)의 몸체부(100)와 연장부(20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도록 도금 과정을 진행한 후에 연장부(200)에 보호 캡(300)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보호 캡(300)은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300)을 사용하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연장부(200)에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 사출 방식으로 휠 너트(30)의 연장부(200)에 보호 캡(300)을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간단한 과정을 통해 보호 캡(300)이 일체 결합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보호 캡(300)이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내부식성이 커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색상의 보호 캡(300)을 결합해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연장부(20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캡(300)의 결합은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캡(300)과 금속 재질의 연장부(200) 사이의 이종 재질 간의 결합이므로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연장부(200)의 외주면에 걸림홈(230)을 형성하면 이종 재질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걸림홈(230)은 몸체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걸림홈(231)과, 이러한 제1 걸림홈(23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홈(231)은 보호 캡(300)이 몸체부(100) 타단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같이 보호 캡(300)이 몸체부(100)의 타단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 이물질이 몸체부(100)와 보호 캡(3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 걸림홈(232)은 보호 캡(300)이 축 방향을 따라 밀리면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제1 걸림홈(231)과 제2 걸림홈(232)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깊이와,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걸림홈(231)의 경우 보호 캡(300)이 몸체부(100)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깊이가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걸림홈(232)의 경우 보호 캡(300)이 축 방향을 따라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가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깊이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걸림홈(230) 형성 시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깊이와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를 모두 크게 형성하게 되면 보호 캡(300)이 밀리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걸림홈(230)은 연장부(200)의 외주면을 기계 가공을 통해 절삭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걸림홈(230)의 형상이 커질수록 연장부(200) 내구성이 저하되어 휠 볼트(10)와 제2 나사산(210)의 체결력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제1 걸림홈(231)과 제2 걸림홈(232)의 각각의 기능에 대응되도록 형상을 형성하므로 휠 볼트(10)의 체결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장부(200)와 보호 캡(300) 사이의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00)의 외주면에는 연장부(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턱(24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캡(300)을 이중 사출 방식으로 연장부(200)에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장기간의 차량 주행 과정에서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호 캡(300)이 연장부(20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다가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20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턱(240)을 형성하게 되면 연장부(200)와 보호 캡(300) 사이의 결합력이 일부 저하되는 경우에도 보호 캡(300)이 연장부(20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턱(240)은 전술한 걸림홈(230)을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걸림홈(230) 형성 시 연장부(20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연장부(20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230)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하면 걸림홈(230)의 기능과 단턱(24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10)에 차량의 휠(20)이 관통된 상태에서 휠(20)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30)의 제조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볼트(10)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110)이 형성된 몸체부(100)와, 이러한 몸체부(100)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휠 볼트(10)와 나사 체결되도록 제2 나사산(210)이 형성된 연장부(200)를 형성하는 단계(S1)와, 이러한 몸체부(100)와 연장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동시에 도금하는 단계(S2) 및 연장부(200)의 외주면에 보호 캡(300)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제1 나사산(110)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보호 캡(300)이 결합되는 연장부(200)의 내주면에도 제2 나사산(210)을 형성함으로써 휠 볼트(10)와의 체결 면적 증대를 통한 체결력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몸체부(100)의 일단에는 휠 볼트(10)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연장부(200)의 타단에는 제1 관통공(110)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210)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술한 몸체부(100)와 연장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동시에 도금하는 단계는, 몸체부(100) 및 연장부(200)가 액체 상태의 도금액에 잠기도록 배치한 후 다시 인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몸체부(100) 및 연장부(200)가 액체 상태의 도금액에 잠기도록 배치하는 단계는, 도금액이 제1 관통공(110) 또는 제2 관통공(210)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몸체부(100) 및 연장부(2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른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휠 너트(30)의 도금 과정에서 도금액이 제1 관통공(110) 또는 제2 관통공(210)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후 다른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면서 공기가 전부 배출될 수 있으므로 휠 너트(30)의 내부가 완전하게 도금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를 통해 몸체부(100)와 연장부(20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도금층이 고르게 형성됨으로써 차량 주행 과정에서 휠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체결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휠 너트의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연장부(200)의 외주면에 보호 캡(300)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는, 도금층이 형성된 연장부(200)의 외주면에 보호 캡(300)을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중 사출 방식으로 휠 너트(30)의 연장부(200)에 보호 캡(300)을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간단한 과정을 통해 보호 캡(300)이 일체 결합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보호 캡(300)이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내부식성이 커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색상의 보호 캡(300)을 결합해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종래의 휠 너트
2 : 종래의 캡
10 : 휠 볼트
20 : 휠
30 : 휠 너트
100 : 몸체부
110 : 제1 나사산
120 : 제1 관통공
200 : 연장부
210 : 제2 나사산
220 : 제2 관통공
230 : 걸림홈
231 : 제1 걸림홈
232 : 제2 걸림홈
240 : 단턱
300 : 보호 캡

Claims (11)

  1.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에 차량의 휠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휠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에 있어서,
    상기 휠 볼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휠 볼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호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휠 볼트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각각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상기 연장부에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홈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8. 차량의 휠 베어링에 고정 장착된 휠 볼트에 차량의 휠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휠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휠 너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휠 볼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휠 볼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동시에 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보호 캡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휠 볼트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동시에 도금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가 액체 상태의 도금액에 잠기도록 배치한 후 다시 인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가 액체 상태의 도금액에 잠기도록 배치하는 단계는,
    도금액이 상기 제1 관통공 또는 상기 제2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른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보호 캡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는,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상기 보호 캡을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너트 제조 방법.
KR1020180032732A 2018-03-21 2018-03-21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32A KR102048054B1 (ko) 2018-03-21 2018-03-21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32A KR102048054B1 (ko) 2018-03-21 2018-03-21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18A true KR20190110818A (ko) 2019-10-01
KR102048054B1 KR102048054B1 (ko) 2019-11-22

Family

ID=6820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732A KR102048054B1 (ko) 2018-03-21 2018-03-21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4503A1 (en) * 2020-06-25 2021-12-30 Tom Borst Collar Nut
CN114483731A (zh) * 2022-01-10 2022-05-13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一种旋铆紧固组件的成型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11U (ko) * 1985-06-28 1987-01-19
JPH01124415U (ko) * 1988-02-17 1989-08-24
JPH02195009A (ja) * 1989-01-24 1990-08-01 Fuse Rashi:Kk 袋ナット
KR200429853Y1 (ko) * 2006-08-10 2006-10-27 정도기 차량용 휠너트
KR20070012041A (ko) * 2005-07-22 2007-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휠너트의 캡구조
KR20070082732A (ko) * 2006-02-17 2007-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너트
KR20080006710U (ko) * 2007-06-27 2008-12-31 범아건설 주식회사 이중결합 나사유닛
KR101432986B1 (ko) * 2013-04-18 2014-09-25 장광식 휠 너트캡의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11U (ko) * 1985-06-28 1987-01-19
JPH01124415U (ko) * 1988-02-17 1989-08-24
JPH02195009A (ja) * 1989-01-24 1990-08-01 Fuse Rashi:Kk 袋ナット
KR20070012041A (ko) * 2005-07-22 2007-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휠너트의 캡구조
KR20070082732A (ko) * 2006-02-17 2007-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너트
KR200429853Y1 (ko) * 2006-08-10 2006-10-27 정도기 차량용 휠너트
KR20080006710U (ko) * 2007-06-27 2008-12-31 범아건설 주식회사 이중결합 나사유닛
KR101432986B1 (ko) * 2013-04-18 2014-09-25 장광식 휠 너트캡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4503A1 (en) * 2020-06-25 2021-12-30 Tom Borst Collar Nut
CN114483731A (zh) * 2022-01-10 2022-05-13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一种旋铆紧固组件的成型方法
CN114483731B (zh) * 2022-01-10 2024-03-22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一种旋铆紧固组件的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054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054B1 (ko) 차량용 휠 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A2569963C (en) Improved grinding wheel
DE102017211992A1 (de) Fahrrad-kettenrad-baueinheit
CN104148851A (zh) 一种用于焊接薄壁筒体环焊缝的无缝涨紧焊接夹具
US20070170690A1 (en) Steering bearing assembly for a bicycle
BR112013002286B1 (pt) dispositivo de vedação para vedar um rolamento
WO2013045618A1 (de) Rad
DE102017207190A1 (de) Baueinheit aus mehreren Kettenrädern für ein Fahrrad
WO2015017856A1 (en) Lightweight steering knuckl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7076811A2 (de)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333673A1 (de) Abdichtung für ein Wälzlager
US11186120B2 (en) Multi-part, sprung rail wheel
JP2013217486A (ja) ロックナット
BRPI0923528B1 (pt) engrenagem intermediária
US11661143B2 (en) Gearshift mechanism roller
US20180195552A1 (en) Wheel Bearing for a Motor Vehicle
EP2028388B1 (de) Gummilager
KR20150014120A (ko) 펌프용 웨어링의 볼트풀림 방지구조
JP5973271B2 (ja) 鞍乗型車両
CN211387237U (zh) 加工驻车齿轮用夹持工装
EP3642045B1 (en) Nipple for spoked wheels, particularly for motorcycles
JP3142298U (ja) 複合袋ナット
CN220659283U (zh) 一种加工长大油缸用的深孔镗头
US20040165938A1 (en) Positioning device for connecting spokes to bicycle rim
US614053A (en) Circular s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