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386A -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386A
KR20190110386A KR1020180032293A KR20180032293A KR20190110386A KR 20190110386 A KR20190110386 A KR 20190110386A KR 1020180032293 A KR1020180032293 A KR 1020180032293A KR 20180032293 A KR20180032293 A KR 20180032293A KR 20190110386 A KR20190110386 A KR 2019011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smartphone
pet
module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진
Original Assignee
양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진 filed Critical 양수진
Priority to KR102018003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386A/ko
Publication of KR2019011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통신 모듈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의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외부의 사용자 전자기기와 통신을 연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집에 홀로 남겨진 반려동물과 원거리에서도 상호작용하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반려동물용 가구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어 반려동물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생활 반경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ARATUS FOR PLAYING WITH COMPANION ANIMAL, METHOD FOR PLAYING WITH COMPANION ANIMAL,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PERFORMING METHOD FOR PLAYING WITH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그리고 '가정'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급증하는 반려동물 수와 더불어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제반조건 등이 갖추어져야 하는 실정이나, 아직까지는 충분한 사회 인프라가 구축되지는 못한 상태이다.
특히 1인 가구 구성원의 반려동물은 종종 홀로 집에 남겨질 수 있는데, 반려동물을 위탁할 수 있는 기관이 많지 않고 또한 집을 비울 때마다 반려동물을 기관에 맡기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도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과 물리적으로는 분리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반려동물이 주인과 지속적으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장치와 놀이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한편으로 지속적으로 주인과의 정서적 교감을 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주인이 집을 비운 상태에서도 반려동물과 원격으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반려동물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구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과 근거리에서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유선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반려동물에 대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부는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공 던지기 장치, 및 간식 주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제2 동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부는 상기 제1 동작부의 동작에 상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이 다른 전자기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은 스마트폰에 의해 수행되며, 감지 모듈을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행동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이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반려동물 놀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를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은,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감지 모듈에서 감지한 반려동물 행동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행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반려동물 행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감지 모듈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한편으로 지속적으로 주인과의 정서적 교감을 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주인이 부재중에도 반려동물과 원격으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 시스템을 개략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과 함께 실내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할 수 있는 반려동물 놀이장치와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와 고정부를 통해 반려동물 놀이장치에 고정된 스마트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 시스템(10)을 개략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놀이 시스템(10)은 실내에 위치한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스마트폰(120), 및 스마트폰(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전자기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스마트폰(120)은 Wi-Fi, NFC, 블루투스, 초음파 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20)은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전자기기(130)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서버(14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스마트폰(120)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여야 통신이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실내의 일정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가구에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를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120)은 사용자가 국내 통신 사업자를 통한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공기계로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이 아닌 구형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마트폰(120)은 본래 내부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통신하도록 하는 한편으로 스마트폰(120)에 구비된 센서, 카메라,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부가 구성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반려동물 놀이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폰(120)은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하고 전자기기(130)와는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전자기기(130)를 연결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스마트폰(120)과 통신하여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은 반려동물에 대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반려동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은 반려동물에게 다양한 놀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반려동물에 대해 레이저를 발사하여 레이저의 움직임을 좇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거나, 공을 발사 시켜 공을 가지고 노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고, 센서를 작동시켜 센서에 대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내부의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하여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기기(130)로부터 전달된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정보와 무관하게 스마트폰(120)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즉 특정 패턴에 따라 생성되거나, 스마트폰(120)이 반려동물의 행동을 직접 감지하거나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로부터 제공된 행동 신호를 수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전자기기(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120)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 놀이장치(110) 자체적으로는 전자기기(13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도 스마트폰(120)을 통해 전자기기(130)와 통신함에 따라 전자기기(130)의 사용자가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반려동물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전자기기(130)는 스마트폰(120)과 유사하게 통신 모듈 등을 구비한 통신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기기(130)를 통하여 스마트폰(120)으로부터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한 반려동물 행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려동물 행동 정보는 스마트폰(120)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반려동물의 영상,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성, 센서를 통해 수신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스마트폰(120)에 구비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폰(120)은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서 감지된 반려동물의 행동 신호를 수신하여 그대로 전자기기(130)에 전달하거나, 스마트폰(120)에서 행동 신호를 분석하여 반려동물 행동 정보로서 전자기기(1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자기기(130)를 통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바,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나 행동 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대해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외부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기기(130)의 외부 명령은 스마트폰(120)에 제공되어 스마트폰(120)의 동작이 제어되거나 스마트폰(120)에서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 시스템(10)은 서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40)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고 이들의 제어 신호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더 나은 놀이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30)의 사용자는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폰(1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자와 동일한 사업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전자기기(130)에도 설치하고 식별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서버(140)에 자신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외출하는 시각이나 외출 시에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를 통해 반려동물에 수행되는 동작들을 미리 등록하고 서버(140)는 전자기기(130)를 대신하여 등록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120)에 대하여 적절한 외부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서버(14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적합한 놀이를 판단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가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자기기(130)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나 전자기기(130)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과 함께 실내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할 수 있는 반려동물 놀이장치와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제어 모듈(111), 인터페이스 모듈(113), 및 통신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1)은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관리하며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데,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반려견에 대해 시각적, 청각적인 자극을 제공하거나 반려동물이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을 던져주거나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반려동물에게 동작을 수행하거나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3)이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가구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에게 동작을 수행하거나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데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반려동물용 가구와 결합되는 물리적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되거나 반려동물용 가구의 일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주로 제어 모듈(111)을 통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와 통신할 수 있으나 통신 모듈(115)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115)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12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5)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20)과 통신하거나, 스마트폰(120)의 충전 단자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저장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117)에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13)을 통하여 반려동물에 대하여 레이저 놀이를 수행할 때에 저장 모듈(117)에는 자동으로 어떠한 패턴의 레이저 운동을 수행하여 반려동물에 대하여 놀이를 제공할 것인지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모듈(117)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 모듈(117)이 휘발성 메모리만으로 구현된 경우,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 대해 전원이 켜지는 것에 응답하거나, 스마트폰(120)과의 통신이 개시되는 경우와 같은 초기화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스마트폰(120), 전자기기(130) 또는 서버(140)로부터 저장 모듈(117)에 대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제어 모듈(121), 감지 모듈(123), 통신 모듈(125) 및 기록매체(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스마트폰(12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반려동물 행동 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감지 모듈(123)로부터 수집된 반려동물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기기(130)로부터의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서버(140)로부터의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또는 임의로 생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제공된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인터페이스 모듈(113)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감지 모듈(123)은 다양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모듈(123)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120)에 구비될 수 있는 카메라, 마이크, 터치 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모듈(123)은 카메라를 통해 반려동물의 영상을 수집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반려동물의 음향을 수집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 모듈(123)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제어 모듈(121)을 통해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가 움직일 수 있는데, 스마트폰(120)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에 따라 감지 모듈(123)의 위치도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모듈(123)에 포함된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어 모듈(121)에서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감지 모듈(123) 역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여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5)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듈(1251)과 제2 통신 모듈(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제1 통신 모듈(1251)을 통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와는 근거리 또는 직접 연결된 유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하고, 전자기기(130)와는 제2 통신 모듈(1252)을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는 간단한 통신 모듈(115)만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전자기기(130)를 통해 스마트폰(120)에 접속할 수 있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반려동물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에 구비된 제어 모듈(121), 감지 모듈(123), 및 통신 모듈(125)은 일반적인 스마트폰(120)에 모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12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놀이방법은 스마트폰(120)에 구비된 기록매체(127)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120)은 출력 모듈(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129)은 카메라 플래쉬(flash),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 모듈(129)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120)에 구비되는 요소들일 수 있다.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다양한 방식으로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한편으로, 출력 모듈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1)은 전자기기(130) 또는 서버(140)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여 반려동물과 교감하게 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제1 동작부(1131) 및 제2 동작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부(1131)는 반려동물에 대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동작부(1131)는 레이저 포인터, 공 던지기 장치, 및 간식 주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반려동물용 가구와 결합하여 또는 부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반려동물의 행동 반경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부(1131)가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레이저를 쏘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모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는 물리적으로 스마트폰(1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폰(120)을 고정하는 고정부는 반려동물용 가구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반려동물용 가구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스마트폰(120)를 거치하는 독(dock) 형태의 고정부(1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스마트폰(120)이 고정되는 고정부(112)를 이동시키는 제2 동작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동작부(1133)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동작부(113)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스마트폰(12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작부(1133)와 제1 동작부(1131)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현됨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하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과 스마트폰(120)이 움직이는 동작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던지기 장치나 간식주기 장치와 같은 제1 동작부(1131)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동안에 제2 동작부(1133)는 제1 동작부(1131)의 동작과는 별개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향으로 스마트폰(120)이 움직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동작부(1131)와 제2 동작부(1133)가 물리적으로 이격된 경우에는 스마트폰(12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이 제1 동작부(1131)와 제2 동작부(1133) 각각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달되거나 유선 연결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130)의 사용자가 실내 어느 위치를 보고 싶은지에 따라 전자기기(130)를 통해 외부 명령을 스마트폰(120)에 제공하고, 스마트폰이 해당 외부 명령에 응답하여 제2 동작부(1133)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센싱부(1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35)는 실내에 위치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35)는 반려동물용 가구에 부착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부(1135)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가구의 앞 뒤에 근접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 행동 신호에 따라 반려동물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13)을 통해 수집된 행동 신호가 특정 패턴에 부합하는 경우, 제어 모듈(111)을 통해 다시 인터페이스 모듈(113)의 제1 동작부(113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1)은 저장 모듈(117)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행동 신호가 특정 패턴에 부합하는지, 특정 패턴에 부합하는 경우에 제1 동작부(1131)를 어떠한 방식으로 제어하는지 판단하여 제1 동작부(113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이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탁자를 세 번 통과하는 경우에 간식을 주도록 프로그래밍 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13)을 통해 수신된 행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111)이 제1 동작부(1131)에 포함된 간식 주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부(1135)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행동 신호는 통신 모듈(115)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제어 모듈(111)을 통해 분석되어 스마트폰(120)에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행동 신호를 자체적으로 분석하거나 통신 모듈(125)을 통해 행동 신호를 전자기기(130)에 다시 전달하고 전자기기(130)로부터 그에 기초한 외부 명령을 수신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와 고정부를 통해 반려동물 놀이장치에 고정된 스마트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외관은 제1 동작부에 포함된 레이저 포인터(1131a)와 고정부(112)가 관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동작부에는 레이저 포인터를 움직이게 하는 모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외관에서는 관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4의 스마트폰(120)은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 고정부(112)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나, 레이저 포인터(1131a)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 전체가 움직이게 되면 스마트폰(120)도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120)은 레이저 포인터(1131a)의 동작에 상응하게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도 4와 같은 고정부(112)의 하부에 스마트폰(120)의 이동을 위한 제2 동작부(1133)가 구비되어 레이저 포인터(1131a)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스마트폰(12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112)는 반려동물용 가구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반려동물용 가구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레이저 포인터(1131a)도 반려동물용 가구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120)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 모듈에 포함된 카메라(123a)를 통해 반려동물의 모습 또는 실내 모습이 촬영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은 사용자의 전자기기(130)에 제공되거나 스마트폰(120) 내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의 인터페이스 모듈(113)을 통해 반려동물에 대하여 동작이 수행된다(단계 S510). 예를 들어 제1 동작부(1131)에 포함된 레이저 포인터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레이저를 쏘게 되면, 반려동물이 레이저 포인터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동작부(1131)의 동작은 전자기기(130)나 서버(140)의 외부 명령에 의해 개시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은 스마트폰(120)에 이미 설정된 패턴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사용자가 전자기기(130)를 통해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한 외부 명령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120)의 감지 모듈(123)은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한다(단계 S520). 감지 모듈(123)은 제1 동작부(1131)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제2 동작부(1133)가 움직임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 부근에 반려동물이 잘 움직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동작부(1133)가 제1 동작부(1131)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전자기기(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외부 명령에 의해 동작하여 사용자는 감지 모듈(123)을 통해 원하는 위치 영상이나 음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감지된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30).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모듈(121)은 감지 모듈(123)로부터 수집된 반려동물의 영상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행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제2 동작부(1133)가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따르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동작부(1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동작부(1131)가 공 던지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도 5의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공 던지기 장치가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또는 정해진 시간이 됨에 따라 공 던지기 동작을 수행하면(단계 S510), 스마트폰(120)의 감지 모듈(123)을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이 감지된다(단계 S520).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공 던지기 장치의 위치와 그 궤적을 예상하여 감지 모듈(123)이 공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제2 동작부(1133)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와 마이크 등을 통해 감지되는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로부터 지속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2 동작부(113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30).
제어 모듈(121)은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를 분석하여 제1 동작부(1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영상을 통해 더 이상 공 던지기 놀이에 흥미를 보이지 않거나 지친 기색을 보이는 등으로 분석되는 경우 등은 제1 동작부(1131)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제1 동작부(1131)의 동작 강도를 낮추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 모듈(121)은 공 던지기 놀이를 잘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10번 이상 공을 정확하게 물어온 경우를 분석하여 제1 동작부(1131)에 포함된 간식 주기 장치를 통해 간식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놀이장치(110)에 포함된 제1 동작부(1131)의 동작 수행에 따라 수집된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가, 스마트폰(120)의 제2 통신 모듈(1252)을 통해 전자기기(130)에 제공된다(단계 S525).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반려동물 놀이방법에서는 스마트폰(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이 분석되고 그에 따라 제어 신호가 생성되었으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반려동물 놀이 방법은 전자기기(130)에 대하여 감지된 반려동물의 행동이 전달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외부 명령을 포함하여 스마트폰(120)에서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단계 S530).
스마트폰(120)에서 전자기기(130)에 제공되는 반려동물의 감지된 행동, 즉 반려동물 행동 정보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전자기기(130)에 전달되거나 스마트폰(120)의 프로그램을 통해 필요한 정보만 포함되어 전자기기(130)에 제공됨에 따라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통신 속도를 향상시켜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의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120)의 감지 모듈(123)을 통해 수집된 반려동물 행동 정보는 노이즈 제거, 특정한 액션이 수행된 구간만을 선택, 반려동물이 포착된 구간만을 선택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가공되어 전자기기(130)에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영상 처리 장치 등을 구비하여 반려동물의 형상을 감지하거나 반려동물이 특정 동작을 수행한 구간의 반려동물 행동 정보만을 전자기기(130)에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기기(130)에 전달되는 프레임 레이트는 감지 모듈(123)이 수집한 로우 데이터(Raw data)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낮을 수 있다.
도 7은 인터페이스 모듈(113)에 포함된 센싱부(1135)를 통하여 행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동작부(1131)를 통해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단계 S510), 또는 전자기기(130)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을 전달한 것이 스마트폰(120)을 통해 출력되거나 스마트폰(120) 자체의 놀이 개시 알림 음향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게 놀이를 시작하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반려동물이 가구 등에 부착된 근접 센서(1135a, 1135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근접 센서(1135a, 1135b)의 행동 신호를 수신하여(단계 S540) 확인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행동 신호는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에서 분석되어 제어 모듈(121)이 자체적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3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행동 신호는 반려동물 놀이장치(110)로부터 스마트폰(120)의 제1 통신 모듈(1251)을 통해 수신되고, 스마트폰(120)의 제2 통신 모듈(1252)을 통해 전자기기(130)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525).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121)은 행동 신호를 분석하여 전자기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1)은 행동 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몇 번 가구를 통화하였는지를 분석하여 성공 횟수를 전자기기(130)에 전달하거나, 내부적으로 놀이 미션 성공 기준을 정하여 해당 미션 달성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전자기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기기(130)를 통해 행동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는 그 이후에 놀이를 계속한다 거나 간식을 준다 거나 반려동물에게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다양한 외부 명령을 전자기기(130)를 통하여 스마트폰(120)에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의 제어 모듈은 외부 명령 및 행동 신호 수신에 따른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단계 S530),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제어 신호(S530)에 따라 제1 동작부(1131) 또는 제2 동작부(1133)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음(단계 S550)은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지 않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여 실내의 반려동물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놀이장치는 스마트폰과 근거리 또는 충전 단자 통신을 하여 반려동물에 대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놀이를 제공하고 이러한 놀이 제공의 모습에 따른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 또는 행동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또는 전자기기에 제공함에 따라 반려동물과 주인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놀이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동물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유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반려동물에 대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부는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공 던지기 장치, 및 간식 주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제2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부는 상기 제1 동작부의 동작에 상응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이 다른 전자기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려동물 놀이장치.
  9. 스마트폰에 의해 수행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에 있어서,
    감지 모듈을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행동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이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반려동물 놀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외부 명령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감지 모듈에서 감지한 반려동물 행동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로부터 반려동물의 행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반려동물 행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놀이장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감지 모듈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놀이방법.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180032293A 2018-03-20 2018-03-20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90110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93A KR20190110386A (ko) 2018-03-20 2018-03-20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93A KR20190110386A (ko) 2018-03-20 2018-03-20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86A true KR20190110386A (ko) 2019-09-30

Family

ID=6809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293A KR20190110386A (ko) 2018-03-20 2018-03-20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3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198B1 (ko) * 2020-06-12 2020-11-04 박정훈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소통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사용자 단말기
KR20220114139A (ko) 2021-02-08 2022-08-17 김승희 개 인지능력 특성을 활용한 반려견 전용 게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20220126461A (ko) * 2021-03-09 2022-09-16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 유발형 놀이식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198B1 (ko) * 2020-06-12 2020-11-04 박정훈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소통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사용자 단말기
WO2021251711A1 (ko) * 2020-06-12 2021-12-16 박정훈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소통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사용자 단말기
KR20220114139A (ko) 2021-02-08 2022-08-17 김승희 개 인지능력 특성을 활용한 반려견 전용 게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20220126461A (ko) * 2021-03-09 2022-09-16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 유발형 놀이식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3544B (zh) 用于物联网设备的3d映射的方法、系统及介质
KR20190110386A (ko) 반려동물 놀이장치, 반려동물 놀이방법, 및 반려동물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10231442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mart pet alert,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08877126A (zh) 经由居家助手进行活动监视的系统、方法和设备
US20150042795A1 (en) Tracking system for objects
US20140267720A1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KR101413043B1 (ko)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US11185989B2 (en) Virtual creature control system and virtual creature control method
JP7326272B2 (ja) 混雑管理及びメンテナンス作業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938400B2 (en) Objec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060680B (zh) 电子设备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592046A (zh) 伴随对象的定制
JP73513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10607A1 (en) Remotely controlled robotic sensor ball
EP3752999B1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management on smart devices
JP6704979B1 (ja) 無人飛行装置、無人飛行システム及び無人飛行装置制御システム
US11511410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600359B2 (ja) モニタリング
KR20150114310A (ko) 동물움직임을 이용한 동물 통역 시스템
KR20190104798A (ko)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 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 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671547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890451B2 (ja) 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リモコ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1439B1 (ko) 반려동물 주인의 귀가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KR20200049189A (ko) 가전 기기
CN105988139A (zh) 智能清洁设备及其碰撞探测组件、脱困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