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283A -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283A
KR20190110283A KR1020180032060A KR20180032060A KR20190110283A KR 20190110283 A KR20190110283 A KR 20190110283A KR 1020180032060 A KR1020180032060 A KR 1020180032060A KR 20180032060 A KR20180032060 A KR 20180032060A KR 20190110283 A KR20190110283 A KR 20190110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493B1 (ko
Inventor
박경욱
강경윤
Original Assignee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filed Critical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18003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493B1/ko
Priority to PCT/KR2019/003155 priority patent/WO2019182318A1/ko
Publication of KR2019011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20Preparation of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compound)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전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A method of Compound K using Panax ginseng sprout and the composition having antioxid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comprising Compound K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compound)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싹인삼의 주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류를 컴파운드 K로 고효율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삼은 오갈피과 식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주로 사람의 모양을 닮은 살이 많은 뿌리를 약용으로 쓰는 식물이다. 산삼은 천연 산삼의 종자가 산림내의 자연환경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아하여 번식생육한 삼을 말하며 산양삼은 산삼의 종자를 산 속에 파종하여 자연 상태 그대로 자생시킨 삼을 말한다. 산삼과 산양삼의 학명은 모두 Panax ginseng C.A. Mayer 로 어원을 보면 'Pan'은 '모든 것', 'Axos' 는 '의학' 이라는 뜻으로 '만병 통치'의 의미를 가진다. 산양삼은 유효성분의 종류가 다양하고 함량도 풍부하여 고가로 거래되고 있지만 생물산양삼의 경우 일반적으로 1주일 이상의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산양삼 자체로 상품화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과학적 연구는 주로 인삼의 약리효능 및 성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왔으며 산양삼의 희소성 가치 때문에 산양삼에 대한 약리효능 및 생리학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인삼 및 산(양)삼에 들어있는 사포닌 및 비 사포닌계 물질(Panacen, 다당류, 아미노산 유도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페놀화합물)은 뛰어난 약리활성을 가지며, 유해 활성산소(free radical)소거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며 항암, 혈압강하, 지질강하, 간독성 등에 뛰어난 효능을 지닌다. 인삼의 주요 약리성분으로 잘 알려진 인삼사포닌은 PPD(Protopanaxadiol) 및 PPT(Protopanaxatriol) 계열로 나누어진다. PPD 계열의 사포닌은 기본 구조인 PPD에 다양한 치환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 Rb2, Rc, Rd, F2, Rg3, 컴파운드(Compound) K 등이 대표적인 사포닌이다. PPT 계열의 사포닌은 PPT가 기본 구조이며 진세노사이드 Re, Rf, Rg1, Rh1 등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배당체 화합물들은 그 자체보다는 당이 분해되어 비당체가 되었을 때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Med. Pharm. Soc. 1992, 9:1-13) 인삼사포닌의 경우도 당이 3개 이상 결합된 진세노사이드 Rb1, Rb2, Rd, 및 Re보다 일부의 당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진세노사이드 Rg3, Rh1, Rh2, F2, CY 및 CK 등이 생체 내로의 흡수나 생리활성 등의 면에서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inseng Res. 2003, 27:129-134). 당이 많이 결합되어 있는 인삼사포닌은 소장 내에서 우리 몸으로 흡수되는 양이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의 배설물에서 추출된 장내 미생물의 진세노사이드 Rb1의 가수분해능력을 실험한 결과, 장내 미생물의 21%는 분해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해능력이 있는 70%정도의 장내 미생물은 인삼사포닌을 분해하는 능력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Planta Medica. 1998, 64:696-700).
Hasegawa 등은 프레보테라 오리스(Prevotella oris)라는 주요 장내 미생물에 의해 인삼사포닌이 인체 내에서 면역증강작용, 종양혈관신생억제작용 및 암세포침윤 억제작용 등과 같은 활성이 더 뛰어난 새로운 물질인 컴파운드 K(Compound K; FGM1, M1, IH-901, 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를 생산한다고 보고하였다(Planta medica. 1996, 62:453-457). 컴파운드 K는 간암 억제작용, 면역증강작용 등 그 약리작용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지만 천연에 존재하는 양이 극히 적어 이를 제조하고자 하는 방법들이 연구가 되어 현재까지 가열처리, 산처리, 효소처리 등의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처리나 산처리 방법은 무작위로 당을 가수분해하는 비특이적 반응으로 컴파운드 K의 수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는 반면 효소를 이용할 경우 당의 특정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기 때문에 높은 수율로 컴파운드 K를 생산할 수 있다(J. Microbiol. Biotechnol. 17(12):1937-1943). 그러나 효소 전환법의 경우 기질로 사용되는 인삼사포닌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므로 높은 농도의 기질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생물 전환법에 의한 컴파운드 K의 생산은 상당한 배양시간이 요구되며 생성되는 컴파운드 K의 항균성으로 인한 전환용 세균의 사멸을 유도하여 고효율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J. Ginseng Res. 2008, 32(3):226-231).
컴파운드 K 제조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다이올계 사포닌을 효소인 베타-갈락토시다아제(한국공개특허 제2003-94757호), 페니실리움속 미생물에서 분리한 셀룰라아제 또는 아스퍼질러스속에서 분리한 베타-갈락토시다아제(한국등록특허 제377546호), 페니실리움속에서 분리한 나린지나제 또는 아스퍼질러스속에서 분리한 펙티나제(한국등록특허 제418604호) 등을 처리함으로써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5472호는 식용가능한 다당류 분해 효소인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및 라피다제(Rapidase) TF를 이용하여 인삼사포닌으로부터 높은 수율의 컴파운드 K로 전환할 때 기질에 의한 효소의 활성억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회분식 반응법이 아닌 연속반응법을 도입하여 컴파운드 K의 생산효율을 높인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싹인삼을 이용하여 컴파운드 K를 생산하는 방법을 계속 연구하던 중 새싹인삼을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형태로 제조하고 여기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과 같은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고효율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첨가하여 30 내지 60℃에서 20 내지 50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으로부터 하기 화학식 1의 컴파운드(Compound) K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과 같은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효소 처리를 통하여 컴파운드 K로 고효율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높이는 60㎝이고 뿌리줄기의 끝부분에서 1개의 원줄기가 나온다. 잎은 끝부분에 3~4개씩 돌려나고 5개의 장상복엽이 긴 잎자루의 끝부분에 달리며, 작은 잎은 끝부분이 뾰족한 달걀모양 또는 거꾸로 된 달걀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고 잎의 앞면 맥 위에 잔털이 조금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일가화로 연녹색의 산형화서가 줄기의 끝부분과 잎 가운데의 긴 꽃줄기 끝부분에 달리며,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으며 납작한 둥근 모양으로 여러 개가 산형화서로 달린다. 인삼은 예로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각종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치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전혀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27종의 진세노사이드라는 사포닌을 함유하며, 암,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치매, 골다공증 예방, 노화 방지, 두뇌활동 촉진, 갱년기 장애, 여성 피부미용 등에 좋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주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때 약리적 효능이 알려진 인삼 뿌리를 주로 사용해 왔으나, 인삼 잎, 인삼 씨, 인삼 꽃에도 약리적 효능이 있음이 밝혀져 그동안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버려지던 인삼의 부산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인삼의 재배기간은 평균 4년 이상이 소요되며, 최고 효능의 인삼을 얻기 위해서는 6년간 재배해야 하므로 재배기간이 오래 걸리고, 재배하는 동안 자연 재해 또는 병충해 등이 발생하면 최초 재배량보다 적은 양으로 수확되므로 가격이 비싸고, 독특한 향과 쓴맛으로 인해 젊은 층이나 외국인에게는 선호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어, 한약재 외에 인삼가공품의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새싹인삼은 보통 1~2년 이내의 기간 동안 재배한 것으로, 뿌리보다 잎과 줄기의 사포닌 성분이 약 7~8배 더 함유되어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수경재배, 연중생산 가능 및 재배기간의 단축으로 인해, 종래에 이용되는 뿌리인삼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인삼가공품의 원료로서 사용이 용이하다.
새싹인삼의 대표적인 사포닌 성분별 효능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자극제 : 인삼은 특히 노인에게 있어서, 정신적 성능을 개선시킨다. 인삼은 학습 및 기억 유지에 필수적인 뇌에서의 화학물질인 콜린을 함유한다(Rb1, Rg1); 2) 항산화제 : 인삼은 산화, 유리 라디칼로 불리는 불안정한 분자에 대한 노출에 기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물질인 항산화제를 함유한다(R0, Rf, Rg2); 3) 노화방지 : 인삼은 항노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중년 및 노년 대상체의 그룹에서 노화-관련된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였다(Rd 등); 4) 항암: 다수의 연구의 결과는 인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인 비정제된 사포닌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실제로 질병 세포를 정상 세포로 전환시켰음을 발견하였다. 인삼은 또한 신체가 화학요법의 부작용에 대처하도록 도와준다(Rb2, Re, Rg3, Rh1, Rh2, Rh3); 5) 강장성 (adaptogenic): 인삼의 탁월한 '강장' 품질 (신체가 스트레스, 피로 및 감기에 적응하도록 도와줌)이 확인되었다(Rb1, Rc, Rg1); 6) 폐경기: 인삼은 여성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대한 작용이 유사한 화합물을 함유한다(Rd); 7) 항당뇨병: 인삼은 신체가 정상적인 혈당 및 콜레스테롤 레벨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며, 광범한 면역 시스템 및 내분비 반응을 자극한다(Rb1, Rb2, Rc, Rb2 등).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인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고온고압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저근백피 추출물은 환류 물 추출물, 환류 유기용매 추출물, 열수 추출물 또는 고온고압 추출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들의 추출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적합한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새싹인삼의 잎 및 근을 포함한 전초를 깨끗이 세척한 후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이 때 주정의 농도는 20 내지 100%(v/v)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정을 이용하여 50 내지 100℃에서 환류 반복 추출하여 새싹인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새싹인삼 추출물은 새싹인삼을 20 내지 10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을 추가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새싹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이하 새싹인삼 분획물이라 함)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새싹인삼 분획물은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을 물 또는 20 내지 100%(v/v)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이용하여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류를 컴파운드(Compound) K로의 생물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효소를 첨가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효소의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반응온도는 효소의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의 온도는 각각의 효소활성을 위한 온도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상기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 효소를 각각 첨가하고, 30 내지 60℃에서 20 내지 50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컴파운드 K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K로 생물전환(Bio-conversion)하는 효소로는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 또는 새싹 인삼 분획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생물전환시켜 컴파운드 K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효소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된 산물을 추가로 여과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보다 고효율로 컴파운드 K를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새싹인삼 추출물의 생물전환 산물, 새싹인삼 분획물의 생물전환 산물 및 상기 생물전환 산물의 유기용매 추출물은 컴파운드 K의 함량이 향상되어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현격하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효소를 이용하여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생물전환한 결과 다양한 유용물질(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탄닌류)들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고부가가치 성분인 컴파운드 K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주정 70%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이 생물전환된 컴파운드 K의 생산량은 전체 기질의 약 10% 정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주정 20% 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생물전환한 주정 70% 분획물(실험실, 공장)에서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항균 효과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을 메탄올 추출한 추출물에서 전반적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피부상재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서 생물전환한 모든 시료들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엔테로박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을 메탄올 추출한 추출물 전부에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슈도모나스 아우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항균활성이 생물전환을 통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추후 항균 활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새싹인삼 추출물의 주정 분획물을 생물전환시킨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고부가가치 산물인 컴파운드 K의 대사 생성으로 활용가치가 높으며, 새싹인삼 추출물 중 나머지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항균소재로 활용하고, 추출물- 주정 20% 분획물의 경우는 항산화 활성 소재로 활용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는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K로 생물전환하는 공정에 대한 일례를 개시한 것이다.
도 2는 새싹인삼 추출물의 스케일별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새싹인삼 추출 스케일별(실험실 or 공장) 분획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새싹인삼 추출 분획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컴파운드 K와 진세노사이드 F2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도 10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도 11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1-1. 새싹인삼 추출물 제조
새싹인삼의 잎 및 근을 포함한 전초를 깨끗이 세척한 후 주정을 이용해 60℃ 이상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반복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이하, Lab 추출물이라 함)을 제조하였으며, 벌크형으로 새싹인삼을 주정을 이용해 60℃ 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반복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새싹인삼 벌크형 추출물(Bulk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 추출물은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농축된 시료들은 멸균 막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1-2. 새싹인삼 분획물 제조
상기 1-1에서 제조한 새싹인삼 Lab 추출물 및 Bulk 추출물 각각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이하, Lab 추출물의 분획물은 Lab 분획물이라 하고, Bulk 추출물의 분획물은 Bulk 분획물이라 함). 상기 분획물 제조 시 용매는 물, 주정을 사용하였으며, 그에 따라 10가지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그 후 상기 획득된 분획물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한 분획물은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농축된 시료들은 멸균 막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Bio-conversion)
상기 실시예 1-2의 새싹인삼의 Lab 추출물 및 분획물과 Bulk 추출물 및 분획물을 각각 여러 가지 경우로 혼합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 효소 각각을 이용하여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류를 컴파운드(Compound) K로의 생물전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100mL와 증류수 100mL를 혼합한 후 분석용 시료(반응 전 시료)를 덜어낸 뒤 상기 효소를 각각 첨가하였다. 그 다음 진탕배양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고, 반응 여과물 20mL을 50mL 튜브에 넣어 건조 진행하였다. 남은 반응 여과물은 감압농축 후 스케일 다운(scale down) 건조 진행 후 보관하였다. 여과 후 여과지에 남은 것은 건조 후 회수하였다.
이어서, 상기 여과액을 MeOH로 추출하였다. 상기 동결건조된 여과물은 막여과로 여과 후 분석 진행하였다. 반응 후 반응 전과 동일하게 샘플링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K로 생물전환하는 공정에 대한 일례를 개시한 것이다.
이하 실험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3> 항산화 활성 검증
3-1. 실험 방법
(1) 축합형 탄닌 함량 측정
총 탄닌(tannin) 함량은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 1mL에 H2SO4용액에 녹인 바닐린(Vanillin) 2mL를 가하고 15분 동안 방치한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카테친(catechin)을 사용하였으며, 표준 검량선을 작성 후 추출물의 총 탄닌 함량은 μg CE (catechin equivalent)/g으로 나타내었다.
(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정량은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 25㎕에 증류수 75㎕와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시약 25㎕를 가하고, 6분간 반응 시킨 뒤 포화용액 Na2CO3 100㎕를 가하여 혼합한 후 9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물질인 갈산(Gallic acid)으로 미리 작성한 표준곡선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5 mL를 가하고 5% NaNO2 용액 75 μL를 넣고 5분간 방치하였다. 10% AlCl6H2O 용액 150 μL를 가하고 다시 6분간 방치하였다. 위 반응액에 1M NaOH 500 μL와 증류수 275 μL를 가한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쿼세틴(Quercetin)을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한 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μg QE(Quercetin equivalent)/g로 나타내었다.
(4) 전자공여능 측정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120㎕에 0.45mM의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DPPH) 60㎕를 넣고 15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시료용액의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5)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양이온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양이온 라디칼 탈색 분석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mM 2,2-아지노-비스(3-에틸-벤티아졸린-6-술폰산)과 2.45mM 과황산 칼륨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 양이온 라디칼을 형성시킨 후 에탄올로 희석하여 기질 100㎕에 시료 100㎕를 가하여 7분 동안 방치한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술하였다.
Figure pat00003
(6) FRAP 분석
300 mM 아세테이트 완충액(pH 3.6), 40 mM HCl에 용해한 10 mM TPTZ (2,4,6-트리피리딜-S-트리아진) 용액 및 20 mM FeCl3·6H2O를 각각 10:1:1(v/v/v)의 비율로 미리 혼합한 다음 37℃ 수욕상에서 가온한 것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100 μL를 차례로 혼합하여 37℃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UV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2. 실험 결과
(1)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형 탄닌 함량 측정 결과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형 탄닌 함량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Polyphenols (GAE)a Flavonoids
(QE)b
Tannins
(CE)c
a 43.08±0.83 290.67±5.88 50.48±0.33
b 27.16±0.58 229.19±41.70 53.82±0.76
c 13.94±0.06 144.00±8.89 75.76±0.54
d 38.84±0.16 248.44±1.57 57.87±1.26
e 22.02±0.27 183.63±4.49 52.82±0.44
f 12.87±0.05 160.67±26.71 65.21±1.21
a-1 16.35±0.35 1.66±0.23 5.71±0.33
b-1 15.12±0.08 2.57±0.23 5.97±0.40
c-1 31.45±0.26 19.54±1.51 10.00±0.29
d-1 23.91±0.48 13.78±0.57 11.35±1.93
e-1 14.12±0.06 5.06±0.01 10.65±0.29
a-2 12.48±0.19 37.04±1.17 52.63±4.91
b-2 11.32±0.15 30.18±1.24 43.72±0.62
c-2 35.91±0.20 41.20±2.62 16.74±0.99
d-2 22.45±0.25 13.93±1.72 20.65±0.73
e-2 8.02±0.04 12.23±1.12 19.43±0.91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추출 분획물 중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이 가장 높은 함량 (43.08±0.83)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폴리페놀 함량과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 290.67±5.88,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 248.44±1.57), 축합형 탄닌 함량에서는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75.76±0.54,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 65.21±1.2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과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31.45±0.26)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23.91±0.48)이 높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실험실이 19.54±1.51 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장이 23.91±0.48을 함유하였다. 하지만 축합형 탄닌은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 10.00±0.29, 공장 : 11.35±1.93),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 10.65±0.29)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물 및 여과액과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 35.91±0.20)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장이 22.45±0.25으로 높았다. 하지만 총 플라보노이드에서는 다른 군들과 다르게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 41.20±2.62)이 가장 높았으나, 다음으로 실험실 : 37.04±1.17, 공장 : 30.18±1.24이 높게 나타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축합형 탄닌의 경우는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52.63±4.9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이 43.72±0.62으로 높았다. 이를 통해서 동량의 시료를 생물전환 함으로 인해서 더 높은 유용성분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특히 생물전환 후 여과되지 않은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이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도 2는 새싹인삼 추출물의 스케일별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전자공여능은 추출 분획물 중 주정 20% 분획물(실험실)이 가장 높은 약 9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주정 20% 분획물(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70%, 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보다는 실험실 스케일이 더 높게 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도 3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공장)이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8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실험실), 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1000㎍/mL의 농도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 분획물 및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이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주정 20% 분획물(실험실) 가장 높았다. 또한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주정 70% 분획물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함량 분석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3)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도 4는 새싹인삼 추출 스케일별(실험실 또는 공장) 분획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5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여기에서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 분획물 중 주정 20% 분획물(실험실)이 가장 높은 약 9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주정 20% 분획물(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70%, 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보다는 실험실 스케일이 더 높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공장)과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실험실)이 가장 높은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1000㎍/mL의 농도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전자공여능 및 함량 분석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4) FRAP 분석
도 6은 새싹인삼 추출 분획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7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여기에서,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FRAP(환원력) 또한 앞의 전자공여능,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및 함량 분석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추출 분획물 중 주정 20% 분획물(실험실)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주정 20% 분획물(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70%, 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보다는 실험실 스케일이 더 높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공장)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의 경우에도 1000㎍/mL의 농도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다른 항산화 활성검증 실험들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성분 분석
4-1. 실험 방법
(1) LC-MS와 ELSD를 이용한 정량 및 정성 분석
사용한 LC/MS는 1200 시리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6130 단일 사중극자 질량선택적 탐색기(single quadrupole mass selective detector, Agilent Technologies, U.S.A)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MS의 이온화 방식은 전자분무이온화(electrospray ionization, ESI)법의 양성 모드이고, 이온의 분리 방식으로 사중극자 질량 분리관이 부착된 LC/MS를 이용한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리조건으로는 Shiseido capcell pak C18 MG-II (5㎛ 4.6mm*250mm)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0.5% 포름산을 포함한 HPLC급 수(A)와 0.5% 포름산을 포함한 HPLC급 아세토니트릴(B)을 사용하여 0-4분에 B:5%, 4-10분까지 B:5~25%, 10-20분까지 B:25~40%, 20-26분까지 B:40~60%, 26-40분까지 B:60~85%, 40-50분까지 B:85~100%, 50-56분까지 B:100%, 56-60분까지 B:100~5%의 조성이 되도록 기울기 조건으로 사용하였고, 유속은 1mL/min였다. 전자분무이온화법의 분석조건은 건조기체로 질소(99.99%)를 12 L/min의 유량으로 사용하였고, 기화 온도는 350℃, 35 psi 분사압력으로 시료를 분무시키고 70 단편화 전압(fragmentor voltage)으로 하였다. 모세관 전압(Capillary voltage)은 3,000 V였고, 검출방법은 스캔 모드로 범위는 100-1500을 사용하였다. 질량분석기는 360 ELSD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사용하였으며, 1.60 SLM 기체 유동율, 100% LED 강도, 30℃ 증발 온도, 30℃ 분무기 온도로 사용하였다. 정량은 각각의 표준곡선을 통해서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Ginsenoside F2 Compound K
새싹인삼 추출물 (공장) 2.82 ㎍/80㎍ ㎍/80㎍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실험실) 0.45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공장) 0.62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100% 분획물 (실험실+공장) 1.11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0.44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0.47 0.68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실험실+공장) - 0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0.91 0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1.48 0.79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0.49 0.51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0.61 1.20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실험실+공장) 0.94 7.25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정량 및 성성 분석 결과에서 생물전환을 진행함으로써 컴파운드 K가 생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새싹인삼 추출물- 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실험실+공장)이 7.25㎍/80㎍으로 약 10% 전환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전반적으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F2가 미량 함유되어 있으나 그중에서 새싹인삼 추출물 (공장)이 2.82㎍/80㎍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효소를 이용한 생물전환을 통해서 고부가가치 성분인 컴파운드 K를 전화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생성하기 위한 공정 및 분석방법 등을 확립하였다.
도 8a 내지 도 8f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컴파운드 K와 진세노사이드 F2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5> 항균 활성 검증
5-1. 실험방법
(1) 균배양
전 배양 및 본 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의 액체 및 고체배지로는 영양배지(NB)와 영양 아가를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의 액체 및 고체배지로는 Gifu 혐기성배지(GAM)와 Gifu 염기성배지(GAM) 아가를 사용했고,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액체 및 고체배지로는 효모 펩톤 덱스트로스(YPD) 배지와 효모 펩톤 덱스트로스(YPD) 아가 배지를 사용했다. BOD 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였다.
(2) 생육 저해환(clear zone) 측정
항균력 측정은 페이퍼 디스크 아가 확산(paper disc agar diffusion) 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 취해서 액체배지 10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다시 액체배지 10mL에 균액을 0.1mL접종하여 3~6시간 본 배양한 후 평판배지 1개당 균수가 약 1X107 cells이 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여과지 디스크 (8mm, Whatman, Japan)를 고체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0.05mL/disc가 되도록 시료를 농도별로 흡수시켜 37℃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의 생육 저해환(clear zone) (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5-2. 실험결과
(1)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 생육 저해환 측정 결과
6가지 다양한 균주를 통해 6가지 종류의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모두 4mg/disc 농도로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도 4mg/disc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9는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B: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D :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E : 대장균(Escherichia coli), F :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이고, a : 아스코브산,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공장),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g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공장)이다.
Figure pat00004
도 9 및 표 3에서 보듯이, 먼저 S. epidermidis 균주에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b와 g에서 4.0±1.0 ㎜, 10.7±1.5 ㎜,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는 11.0±1.0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 albicans의 경우 g에서 2.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S. aureus의 경우에도 g에서 5.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 cloacae, E. coli, P. auruginosa 균주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 물질에서 11.0±1.0 ㎜, 5.0±1.0 ㎜, 15.3±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향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활성 생육 저해환 측정 결과
마찬가지로 6가지 다양한 균주를 통해 6가지 종류의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모두 4mg/disc 농도로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도 4mg/disc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10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B: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D :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E : 대장균(Escherichia coli), F :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이고, a : 아스코브산,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이다.
Figure pat00005
도 10 및 표 4에서 보듯이, 먼저 S. epidermidis 균주에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을 처리하였을 때, b, c, d, e, f 에서 4.7±1.2 ㎜, 4.0±0.1 ㎜, 2.0±0.1 ㎜, 4.3±0.6 ㎜, 7.3±1.5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는 10.7±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 albicans, S. aureus의 경우 양성 대조 물질과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 cloacae의 경우에는 d와 e에서 5.3±0.6 ㎜, 6.3±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으며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16.3±1.2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E. coli, P. auruginosa 균주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 물질에서 7.7±0.6 ㎜, 8.0±0.1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을 처리하였을 때 향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3)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추출물의 항균활성 생육 저해환 측정 결과
마찬가지로 6가지 다양한 균주를 통해 6가지 종류의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모두 4mg/disc 농도로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도 4mg/disc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11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B: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D :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E : 대장균(Escherichia coli), F :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이고, a : 아스코브산,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이다.
Figure pat00006
도 11 및 표 5에서 보듯이, 먼저 S. epidermidis 균주에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c, d, e, f 에서 16.7±0.6 ㎜, 9.0±0.1 ㎜, 2.7±0.6 ㎜, 5.3±0.6 ㎜, 15.7±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는 10.3±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 albicans의 경우 양성 대조 물질과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S. aureus의 경우에는 b, c, f에서 3.0±0.1 ㎜, 2.0±0.1 ㎜, 2.0±0.1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향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 cloacae의 경우에는 b, c, d, e, f 에서 3.7±0.6 ㎜, 1.7±0.6 ㎜, 5.0±0.1 ㎜, 5.3±0.6 ㎜, 3.7±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16.3±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E. coli 균주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 물질에서 5.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P. auruginosa의 경우에는 b와 c에서 4.3±0.6 ㎜, 3.3±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8.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laims (5)

  1.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30 내지 60℃에서 20 내지 50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으로부터 하기 화학식 1의 컴파운드(Compound) K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7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이 새싹인삼을 20 내지 10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새싹인삼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인삼 분획물이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을 물 또는 20 내지 100%(v/v)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0180032060A 2018-03-20 2018-03-20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10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0A KR102100493B1 (ko) 2018-03-20 2018-03-20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PCT/KR2019/003155 WO2019182318A1 (ko) 2018-03-20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0A KR102100493B1 (ko) 2018-03-20 2018-03-20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83A true KR20190110283A (ko) 2019-09-30
KR102100493B1 KR102100493B1 (ko) 2020-04-13

Family

ID=6798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60A KR102100493B1 (ko) 2018-03-20 2018-03-20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0493B1 (ko)
WO (1) WO20191823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5B1 (ko) * 2020-04-08 2020-08-31 (주)뉴트라파낙스 잔류농약과 프탈레이트 성분이 저감된 컴파운드 k 고함량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컴파운드 k 고함량 조성물
WO2023210880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비티진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612A (ko) * 2011-06-16 2012-12-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k 또는 이의 유도체로 된 항균제
KR20140003198A (ko) * 2012-06-29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19374A (ko) * 2016-08-16 2018-02-26 송하석 생물전환기술을 이용한 특이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고함량 제조기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893B1 (ko) * 2016-01-15 2019-07-08 김유근 새싹삼의 생리활성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612A (ko) * 2011-06-16 2012-12-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k 또는 이의 유도체로 된 항균제
KR20140003198A (ko) * 2012-06-29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19374A (ko) * 2016-08-16 2018-02-26 송하석 생물전환기술을 이용한 특이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고함량 제조기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스마트팜에서 재배된 인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기술개발", 산단R&BD역량강화사업 지원사업 최종보고서 (2017.10.12.)* *
Chem. Parm. Bull., Vol. 55, pp. 1522-1527 (2007.) *
Fitoterapia, Vol. 100, pp. 208-220 (2014.11.2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5B1 (ko) * 2020-04-08 2020-08-31 (주)뉴트라파낙스 잔류농약과 프탈레이트 성분이 저감된 컴파운드 k 고함량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컴파운드 k 고함량 조성물
WO2023210880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비티진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318A9 (ko) 2019-12-26
WO2019182318A1 (ko) 2019-09-26
KR102100493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Produc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secondary metabolit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Artemisia absinthium L.
Ming et al. Bioactive compounds from Rhodiola rosea (Crassulaceae)
Pradeepa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hytochemical analysis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Pelargonium graveolens L’Her
WO2018214458A1 (zh) 一种富含可溶性多酚以及黄酮苷元的番石榴叶及制备方法与应用
Acheampong et al.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FTIR analysis of methanol root extract of Cnestis ferruginea and ethanol root extract of Citrus limon
Rohini et al. A Review on Phytopharmacological Profile of Traditionally used medicinal plant Parkia biglandulosa (Mimosaceae)
Pavlović et al. The chemical profiling and assessment of antioxidative, antidiabetic and antineurodegenerative potential of Kombucha fermented Camellia sinensis, Coffea arabica and Ganoderma lucidum extracts
KR102100493B1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Gedük et al. LC-MS/MS phenolic composition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extracts and an evaluation of their antidiabetic,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Bekkar et al.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izyphus lotus l. and ruta chalepensis l. growing in mascara (Western Algerıa)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Akoto et al. Determination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af extracts of Griffonia simplicifolia
Kljakić et al. Chemical profiling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popanax hispidus extracts: A comparative insight on conventional and green extraction technologies
Mireku et al.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ndolphia heudelotti roots
Marquardt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in vitro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iliostigma thonningii leaf extracts from Benin
Saleh et al.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rofile of Salak (Salacca zalacca) Fruit Peel Extracts
Aryal et al. JNSC
Njenga et al.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Fruits of Vangueria madagascariensis JF Gmel
Ulpathakumbura et al. Anti-oxidative, anti-hyperglycemic and anti-obesity properties of selected edible leafy plants of Sri Lanka
Bunse et al. Evaluation of Geum urbanum L. Extracts with Respect to Their Antimicrobial Potential
Kecis et al. Phenolic profile and bioactivity of the aerial part and roots of Mentha rotundifolia L. grown in two different localities in northeastern Algeria: A comparative study
Akharaiyi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methanol and aqueous leaf extract of Phyllathus Muellerianus (KUNTZ) Exell
KR20200077060A (ko)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Gondim et al. HPLC-DAD-ESI-MS profile, antibacterial activity, and modulation of the activity of antibiotics by Carica papaya L. against Escherichia coli serotypes
US9585928B2 (en) Agave syrup extract having anticancer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