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82318A1 -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82318A1
WO2019182318A1 PCT/KR2019/003155 KR2019003155W WO2019182318A1 WO 2019182318 A1 WO2019182318 A1 WO 2019182318A1 KR 2019003155 W KR2019003155 W KR 2019003155W WO 2019182318 A1 WO2019182318 A1 WO 20191823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1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9182318A9 (ko
Inventor
박경욱
강경윤
Original Assignee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filed Critical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ublication of WO20191823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82318A1/ko
Publication of WO2019182318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82318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20Preparation of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compound K using sprout ginseng and to a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of Sprout ginseng ginseng extract (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Plantase MAX, Brumex GXL, Alphalase AP3, Alpha Various ginsenosides contained in shoot ginseng were treated by reacting with enzym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ze NP, Sumizyme SPC, Plan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verting compound K into high efficiency and a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omprising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ly.
  • Wild ginseng is a perennial Sukchocho belonging to the Ogalpiaceae, and it is a medicinal plant that uses fleshy roots that resemble humans.
  • Wild ginseng refers to ginseng whose natural wild ginseng seeds germinate and grow naturally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forest.
  • Sansam ginseng refers to ginseng that has grown wild ginseng seed in the mountain.
  • the scientific names of wild ginseng and wild ginseng are Panax ginseng C.A. In the etymology of Mayer, 'Pan' means 'everything' and 'Axos' means 'medicine', which means 'panacea'. Goats have various types of active ingredients and are rich in content, so they are traded at high prices.
  • Ginseng saponin which is well known as a major pharmacological component of ginseng, is divided into PPD (Protopanaxadiol) and PPT (Protopanaxatriol) family.
  • the saponins of the PPD family have a structure in which various substituents are bonded to the basic structure of PPD, and ginsenosides Rb1, Rb2, Rc, Rd, F2, Rg3, and Compound K are representative saponins.
  • PPT is a basic structure of the saponin of the PPT, ginsenosides Re, Rf, Rg1, Rh1 is typical.
  • Ginsenosides Rg3, Rh1, Rh2, F2, CY, and CK which are formed by hydrolysis of some sugars than ginsenosides Rb1, Rb2, Rd, and Re having three or more sugars, are absorbed or physiologically in vivo It is known to show a much better effect in terms of activity (Ginseng Res. 2003, 27: 129-134). Ginseng saponin, which has a lot of sugar, is known to be absorbed into our body in the small intestine very little.
  • Compound K which is a new substance that is more active in the human body due to a major intestinal microorganism called Prevotella ori s, such as immune enhancement, tumor angiogenesis inhibition and cancer cell infiltration.
  • Compound K; FGM1, M1, IH-901, 20-O- ⁇ -D-glucopyranosyl-20 (S) -protopanaxadiol) was reported to produce (Planta medica. 1996, 62: 453-457).
  • Compound K is known to have very good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liver cancer suppression and immune enhancement, but the amount of it is very small, and the methods to manufacture it have been studied. So far, heat treatment, acid treatment, enzyme treatment, etc. Has been developed.
  • the heat treatment or the acid treatment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yield of compound K is very low because it is a non-specific reaction that randomly hydrolyzes sugars.
  • enzymes selectively hydrolyze only a specific portion of sugars to produce compound K in high yield.
  • enzyme conversion method enzyme activity is inhibited by ginseng saponin used as a substrate, and thus a high concentration of substrate cannot be used.
  • the production of compound K by the microbial conversion method requires a considerable incubation time,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high efficiency by inducing the killing of converting bacteria due to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mpound K produced (J. Ginseng Res. 2008, 32 (3). ): 226-231).
  • Patents related to compound K production include diol-based saponins, beta-galactosidase enzyme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94757), cellulase isolated from penicillium microorganisms or beta isolated from the genus Aspergillus.
  • Compound K was prepared by treating galactosidase (Korean Patent No. 377546), naringinase isolated from Penicillium or pectinase (Korean Patent No. 418604) isolated from Aspergillus. Methods of making are known.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5472 discloses the activity of an enzyme by a substrate when converting ginseng saponin to high yield of compound K using edible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s, Celluclast and Rapidase TF.
  • compound K has been introduced in a continuous reaction method rather than a batch reaction method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Compound K.
  • the present inventors continue to study the method of producing compound K using sprout ginseng in the form of extract or fraction of sprout ginseng (Sumyzyme) AC, cellulase (Kellulase) KN, plantase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Plantase MAX, Brumax GXL, Alpasease AP3, Alphalase NP, Sumizime SPC, Plantase AK, Pluszym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various ginsenosides contained in shoot ginseng can be converted into compound K with high efficiency by treating and reacting enzymes such as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und K using sprout ginseng.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 an enzy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L and reacted for 20 to 50 hours at 30 to 60 °C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compound) of the formula (1) from sprout ginse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 a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s an active ingredie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 sprout ginseng extract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prout ginseng extract, sprout ginseng fraction or mixtures thereof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ntase MAX, BrewMax GXL, Alpasease AP3, Alfalase NP, Sumizime SPC, Plant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the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 to this method is excellent i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 FIG. 1 disclos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contained in sprout ginseng to Compound K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ach scale of the ginseng extract.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and the filtrate methanol extract.
  • Figure 4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ation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ginseng extract scale (laboratory or factory).
  • Figure 6 is the result shown by measuring the reducing power of the shoot ginseng extract fraction.
  •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for various strains.
  • Figure 11 show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for various strains.
  • Sprout ginseng extract, Sprout ginseng fraction or mixtures thereof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Plantase Reactions were treated with enzymes such as MAX, Brumax GXL, Alfasease AP3, Alfase NP, Sumizime SPC, Plan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enzymes such as MAX, Brumax GXL, Alfasease AP3, Alfase NP, Sumizime SPC, Plan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Ginse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Elmaceae, the height is 60cm one stem comes out from the end of the root stem.
  • the leaves turn 3 ⁇ 4 at the end and 5 long mesocarps hang at the end of long petiole.
  • the small leaves are pointed or inverted egg shaped with edges on the edge and on the front vein of the leaf. There is a little fine hair.
  • Ginseng has been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 Korea and China since ancient times, and it is known that the ginseng has not only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and no side effects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 it contains 27 kinds of ginsenosides, saponins, which are known to be good for cancer, diabete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dementia, osteoporosis prevention, anti-aging, promoting brain activity, menopausal disorders, and skin care for women. has been used.
  • ginseng roots which are known for their pharmacological effects, have been mainly used, but it has been found that ginseng leaves, ginseng seeds, and ginseng flowers have pharmacological effects, and interest in by-products of ginseng, which has been abandoned, has not been found.
  • the cultivation period of ginseng takes more than 4 years on average, and it takes 6 years to get the best ginseng, so it takes a long time to grow, and if a natural disaster or pest occurs during the cultivation, it is harvested in less than the initial amount. Because of the high price, the unique fragrance and bitterness, the young people and foreigners have a low preference,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raw material of ginseng processed products other than herbal medicine.
  • the shoot ginse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grown for a period of 1 to 2 year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bout 7 to 8 times more saponin components of leaves and stems than roots, and also hydroponic cultivat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year-round production and shortening of the cultivation period, there is an advantage of forming a lower price than the root ginseng conventionally used, it is easy to use as a raw material of processed ginseng.
  • ginseng Representative saponin-specific effects of shoot ginseng include: 1) Stimulants: Ginseng improves mental performance, especially in older people. Ginseng contains choline, a chemical in the brain that is essential for learning and memory retention (Rb1, Rg1); 2) Antioxidants: Ginseng contains antioxidants, which are substances that prevent cell damage due to oxidation, exposure to unstable molecules called free radicals (R0, Rf, Rg2); 3) anti-aging: ginseng showed anti-aging effect and induced alleviation of aging-related symptoms in the group of middle-aged and old-age subjects (Rd et al.); Anticancer: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unpurified saponin, a compound found in ginseng,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actually converted diseased cells into normal cells.
  • Ginseng also helps the body cope with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Rb2, Re, Rg3, Rh1, Rh2, Rh3); 5) Adaptogenic: The excellent 'tongue' quality of ginseng (helping the body adapt to stress, fatigue and cold) has been identified (Rb1, Rc, Rg1); 6) Menopause: Ginseng contains compounds with a similar action on female sex hormone estrogen (Rd); 7) Antidiabetics: Ginseng helps the body maintain normal blood sugar and cholesterol levels and stimulates a wide range of immune systems and endocrine responses (Rb1, Rb2, Rc, Rb2, etc.).
  • extract refers to a formulation prepared by squeezing a crude drug into an appropriate leaching solution and evaporating the leaching solution, but not limited thereto, and extracting the extract obtained by the extraction treatment, a dilution or concentrate of the extract, and drying the extract It can be a dried product obtained by these, these adjustment products, or a refined product.
  • Sprout ginseng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common extraction method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extraction method may be a method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cold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w myrtle skin extract is reflux water extract It can be obtained by reflux organic solvent extract, hot water extract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
  • These extraction method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general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organic solvent i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butanol, ethylene, acetone, 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N, N-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1 , 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can be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or wa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extract is not destroyed or minimized. Since the extraction degree and the loss degree of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extract may vary depending on the organic solvent to be extracted,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a suitable organic solvent.
  • the leaves and roots of sprouts ginseng can be extracted using a rinse after washing clean,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alcohol can be 20 to 100% (v / v) have.
  • the sprout ginseng extract may be prepared by repeated reflux extraction at 50 to 100 ° C using alcohol.
  • sprout ginseng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extracting sprout ginseng using 20 to 100% (v / v) alcohol.
  • Ginseng fraction a fraction of the ginseng extract
  • the shoot ginseng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performing column chromatography using the shoot ginseng extract water or 20 to 100% (v / v) alcohol as a solvent do.
  • Sprout ginseng extract, Sprout ginseng fraction,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as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Plantase MAX, BrewMax GXL, Alfasease AP3, Alfase NP, Sumizyme SPC, Plant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One or more enzym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rious ginsenosides contained in the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sprouts can be carried out bioconversion to Compound (Compound) K.
  • the method of adding an enzy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of inactivating the enzyme.
  • reaction temperature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at which enzyme inactivation does not occur, and the temperatur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 temperature for each enzyme activity.
  • sprout ginseng extract Specifically, sprout ginseng extract, sprout ginseng fraction or mixtures thereof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Plantase Add Lantase MAX, BrewMax GXL, Alphalase AP3, Alphalase NP, Sumizyme SPC, Plant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enzyme, respectively
  • Compound K can be prepared in high yield by reacting at 30 to 60 ° C. for 20 to 50 hours.
  • enzymes for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contained in the shoot ginseng to Compound K include Sumyzyme AC, Cellulase KN, and Planase.
  •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Plantase MAX, Brumax GXL, Alpasease AP3, Alphalase NP, Sumizime SPC, Plantase AK, Pluszyme Preference is given to using one or more enzyme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adding an enzyme and then reacting to filter and extract using an organic solvent.
  • the shoot Ginseng extract or Sprout ginseng fraction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Group consisting of TCL, Plantase MAX, BrewMax GXL, Alfasease AP3, Alfase NP, Sumimime SPC, Plant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Compound K can be produced with high efficiency by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contained in shoot ginseng by reaction by adding one or more enzymes in.
  • ginsenosides contained in sprout ginseng can be converted to compound K more efficiently.
  • the bioconversion product of Sprout ginseng extract, the bioconversion product of Sprout ginseng fraction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solvent extract of the bioconversion product may have an increased content of Compound K, which may significantly increase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 the amount of Compound K bioconver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bioconversion filtrate of the alcohol 70% fraction represented about 10% of the total substrate.
  • the antioxidant activity in all samples was high overall, especially the highest 20% fraction of alcohol, and showed high efficacy in the 70% fraction of bioconverted alcohol (lab, factory). .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ginseng extract and extract of the bioconversion filtrate of the fraction showed a high overall effect in the methanol extract.
  • all samples that were bioconverted from Staphylococcus epidermidis , a dermatological bacterium showed an effect.
  • Enterobacter cloacae methanol extract of the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of sprout ginseng extract All of the extracts showed an effect.
  •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ruginosa in extracts extracted from the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of the bioconversion filtrate with methanol auruginosa )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 the antimicrobial activity that did not appear in the ginseng extract ginseng appeared through the bioconver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appearing in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iltrate,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an antimicrobial active material later.
  • the methanol extract of the filtrate obtained by bioconverting the alcoholic fraction of the shoot ginseng extract has a high utilization value due to the metabolism of compound K, which is a high value-added product, and the remaining fraction of the shoot ginseng extract.
  • the methanol extract of the bioconversion filtrate is preferably used as an antimicrobial material, and the extract-alcoholic 20% fraction may be used as an antioxidant activ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ontaining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 the extra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b extracts) were prepared by repeating the reflux extraction three times at 60 ° C. for 3 hours using a ethanol.
  • Bulk extract of Sprout ginseng (Bulk extract) was prepared by repeating three times reflux extraction for 3 hours at a temperature of 60 ° C. or more using alcohol. Thereafter,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the filter extract was concentrated using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and the concentrated samples were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after filtration using a sterile membrane filter.
  • Each of the Ginseng Lab extract and Bulk extract of Sprout ginseng prepared in 1-1 were prepared by using a column chromatograph (hereinafter, the fraction of Lab extract is called Lab fraction and the fraction of Bulk extract is called Bulk fraction).
  • the fraction of Lab extract is called Lab fraction
  • the fraction of Bulk extract is called Bulk fraction.
  • solvent and water were used, and thus, 10 fractions were obtained. Thereafter, the obtained fractions were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and the filtered fractions were concentrated using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The concentrated samples were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after filtration using a sterile membrane filter.
  • the sample for analysis (the sample before the reaction) was removed, and the enzymes were added. Then, the mixture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after shaking and cultured, and 20 mL of the reaction filtrate was put into a 50 mL tube and dried. The remaining reaction filtrate was stored after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scale down drying. What remained on the filter paper after filtration was recovered after drying.
  • the filtrate was then extracted with MeOH.
  • the lyophilized filtrate was analyzed after filtration by membrane filtration. After the reaction, the sample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the reaction.
  • FIG. 1 disclos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contained in sprout ginseng to Compound K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tal tannin content was measured by absorbance at 500 nm after adding 2 mL of vanillin dissolved in H 2 SO 4 solution to 1 mL of the sample diluted in distilled water.
  • Catechin (catechin) was used as a standard, and the total tannin content of the extract was expressed as ⁇ g CE (catechin equivalent) / g after preparing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added 1.25 mL and 75 ⁇ L of 5% NaNO 2 solution was added and left for 5 minutes. 150 ⁇ L of a 10% AlCl 3 ⁇ 6H 2 O solution was added and left for 6 minutes. 500 ⁇ L of 1M NaOH and 275 ⁇ L of distilled water were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0 nm. After preparing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using quercetin,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extract was expressed in ⁇ g QE (Quercetin equivalent) / g.
  •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method of Blois. 60 ⁇ l of 0.45 mM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was added to 120 ⁇ l of each sample solution, which was allowed to stand for 15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7 nm.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expressed as the absorbance reduction rate of the sample solution addition group and no addition group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using ABTS Cationic Radicals It was measured by cationic radical bleaching analysis. 7 mM 2,2-azino-bis (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and 2.45 mM potassium persulfate were mixed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o form ABTS cationic radical, diluted with ethanol to give substrate 100 100 ⁇ l of the sample was added to the ⁇ l, and the resultant was allowed to stand for 7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734 nm. Scavenging abilit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 10: 1 1 each of 300 mM acetate buffer (pH 3.6), 10 mM TPTZ (2,4,6-tripyridyl-S-triazine) solution in 40 mM HCl and 20 mM FeCl 3 .6H 2 O, respectively. Pre-mixed at a ratio of (v / v / v) and then warmed in a 37 ° C. water bath was used. 100 ⁇ L of the extract was sequentially mixed and reacted at 37 ° C. for 4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93 nm using a UV spectrophotometer.
  • a-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b-2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plant)
  • c-2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d-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plant)
  • e-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100% spirit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factory)
  • the total flavonoid content showed the same pattern as the polyphenol content (a: sprout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lab): 290.67 ⁇ 5.88,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plant): 248.44 ⁇ 1.57), at the condensed tannin content c: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spirit fraction (lab): 75.76 ⁇ 0.54, f: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plant): 65.21 ⁇ 1.21) showed the highest content, a: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extract (Lab) and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extract (Lab).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was the highest in c-1: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31.45 ⁇ 0.26).
  • d-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plant) (23.91 ⁇ 0.48) was high.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flavonoid content, the highest at 19.54 ⁇ 1.51 in the laboratory and 23.91 ⁇ 0.48 at the plant. However, condensed tannins were similar in 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10.00 ⁇ 0.29, factory: 11.35 ⁇ 1.93) and 10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 Plant: 10.65 ⁇ 0.29).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tract and the filtrate.
  •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35.91 ⁇ 0.20)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lant 22.45 ⁇ 0.25.
  • sprouted ginseng 70% ethanol extract-70% ethan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41.20 ⁇ 2.62) was the highest, but then the laboratory: 37.04 ⁇ 1.17, plant: 30.18 ⁇ 1.24 This highly appearing pattern was show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ach scale of the ginseng extract.
  • a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lab)
  • b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lab)
  • c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Lab)
  • d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plant)
  • e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plant)
  • f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plant)
  • Vit.C ascorbic acid.
  •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extract 20% fraction show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about 90%, and the alcohol 20% fraction (factory) was the highest. Next, 70% and 20% were higher, and the laboratory sca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actory.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and the filtrate methanol extract.
  • a-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lab)
  • b-1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plant)
  • c-1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oratory)
  • d-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plant)
  • e-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 plant)
  • a-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b-2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plant)
  • c-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d-2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 the 70%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oratory, factory) show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over 80%) in the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and the filtrate methanol extract.
  • Figure 4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ation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raction by the scale of sprout ginseng extract (laboratory or plant).
  • a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spirit fraction (lab)
  • b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lab 70% alcohol fraction (lab)
  • c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spirit fraction ( Laboratory)
  • d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plant)
  • e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plant)
  • f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Factory)
  • Vit.C Ascorbic acid.
  • ABTS cationic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bility of about 90% of the alcohol 20% fraction (lab), followed by the alcohol 20% fraction (plant). Next, 70% and 20%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the laboratory sca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actory. This shows a pattern similar to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 the alcoholic extract 70% fraction bioconcentrate filtrate (lab, plant) and 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had the highest ABTS cationic radical scavenging ability (Above 90%), and the ABTS cationic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 analysis result based on a concentration of 1000 ⁇ g / mL.
  • Figure 6 is the result shown by measuring the reducing power of the shoot ginseng extract fraction.
  • a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lab)
  • b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lab)
  • c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Lab)
  • d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plant)
  • e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plant)
  • f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plant)
  • Vit.C ascorbic acid.
  • a-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lab)
  • b-1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plant)
  • c-1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oratory)
  • d-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plant)
  • e-1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 plant)
  • a-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b-2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plant)
  • c-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d-2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plant)
  • e-2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 FRAP reducing power
  • alcohol 20% fraction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 alcohol 20% fraction plant was the highest.
  • 70% and 20%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the laboratory sca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actory.
  • 70%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oratory, plant)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in the 70% alcohol extract bioconcentrate filtrate and the filtrate methanol extract, and the concentration of 1000 ⁇ g / mL Based on the criteria, the pattern was similar to other antioxidant activity experiments.
  • the LC / MS used consisted of 1200 series liquid chromatography / 6130 single quadrupole mass selective detector (Agilent Technologies, USA), and the ionization method of MS is electrospray ionization (ESI). It was analyzed by reversed phas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LC / MS in the positive mode of the method and attached to a quadrupole mass separation tube as a method of separating ions. Separation conditions used a Shiseido capcell pak C18 MG-II (5 ⁇ m 4.6mmX250mm) column and the mobile phase used HPLC grade water (A) with 0.5% formic acid and HPLC grade acetonitrile (B) with 0.5% formic acid.
  • A Shiseido capcell pak C18 MG-II
  • B HPLC grade acetonitrile
  • B 5% at 0-4 minutes, B: 5-25% at 4-10 minutes, B: 25-40% at 10-20 minutes, B: 40-60% at 20-26 minutes, 26-40 B: 60 to 85%, 40 to 50 minutes B: 85 to 100%, 50 to 56 minutes B: 100%, 56 to 60 minutes B: 100 to 5%
  • the flow rate was 1 mL / min.
  • nitrogen (99.99%) was used as a dry gas at a flow rate of 12 L / min, and the vaporization temperature was sprayed at 350 ° C. and 35 psi injection pressure to 70 fragment voltage. .
  • the capillary voltage was 3,000 V, and the detection method used a scan mode in the range of 100-1500.
  • the mass spectrometer used 360 ELSD (Agilent Technologies, U.S.A) and used 1.60 SLM gas flow rate, 100% LED intensity, 30 ° C. evaporation temperature, 30 ° C. atomizer temperature. Quantification was quantified through each standard curv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compound K which is a high value-added component, can be generated by bioconversion using enzymes.
  • processes and analytical methods for generating them were established.
  • Liquid media for pre-culture and main culture include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Escherichia coli ), Enterobacter cloacae , Pseudomonas Use of liquid and solid medium with the nutrient medium (NB) with nutrient agar Scar Philo Lactococcus brother-less (liquid and is Gifu anaerobic medium (GAM) and Gifu basic medium (GAM) to the solid medium of Staphylococcus aureus) agar in auruginosa)
  • yeast peptone dextrose (YPD) medium and yeast peptone dextrose (YPD) agar medium were used. Incubated at 37 ° C. in a BOD incubator.
  •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paper disc agar diffusion.
  • each strain cultured on a plate medium was inoculated with 1 platinum, incubated for 18 to 24 hours in 10 mL of liquid medium, and then inoculated with 0.1 mL of the bacterial solution to 10 mL of the liquid medium, followed by main culture for 3 to 6 hours, and then per plate medium.
  • the cells were inoculated with about 1 ⁇ 10 7 cells and evenly spread with a sterile swab.
  •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for various strains.
  • A Staphylococcus epidermidis
  • B Candida albicans albicans
  • C Staphylococcus aureus
  • D enterobacter ( Enterobacter) cloacae
  • E Escherichia coli
  • F Pseudomonas auruginosa
  • a ascorbic acid
  • b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plant)
  • c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lab)
  • d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20% alcohol fraction (factory)
  • e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laboratory)
  • f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factory)
  • g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lab + factory).
  • A Staphylococcus epidermidis
  • B Candida albicans albicans
  • C Staphylococcus aureus
  • D Enterobacter cloacae
  • E Escherichia coli
  • F Pseudomonas auruginosa
  • a ascorbic acid
  • b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 c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 Plant d: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 e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7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plant)
  • f sprout ginseng 70 %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Lab + Factory).
  • cloacae showed growth inhibition of 5.3 ⁇ 0.6 mm and 6.3 ⁇ 0.6 mm in d and e, and growth inhibition of 16.3 ⁇ 1.2 mm in positive control.
  • E. coli and P. auruginosa strains showed growth inhibition of 7.7 ⁇ 0.6 mm and 8.0 ⁇ 0.1 mm in positive control substance, but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when treatment with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 Figure 11 show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prout ginseng extract and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for various strains.
  • A Staphylococcus epidermidis
  • B Candida albicans albicans
  • C Staphylococcus aureus
  • D Enterobacter cloacae
  • E Escherichia coli
  • F Pseudomonas auruginosa
  • a ascorbic acid
  • b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c sprouts ginseng 70% alcohol extract bioconversion filtration Water methanol extract (plant)
  • d sprout ginseng 70% spirit extract-70% spirit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e sprout ginseng 70% spirit extract-70% spirit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 Plant)
  • f sprout ginseng 70% alcohol extract-100% alcohol fraction bioconversion filtrate methanol extract (lab + plant).
  • aureus showed 3.0, 0.1, 2.0, 0.1, and 2.0, 0.1 mm growth inhibition in b, c, and f,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positive control.
  • growth inhibition rings of 3.7 ⁇ 0.6 mm, 1.7 ⁇ 0.6 mm, 5.0 ⁇ 0.1 mm, 5.3 ⁇ 0.6 mm, and 3.7 ⁇ 0.6 mm in b, c, d, e and f were observed.
  • growth inhibition ring of 16.3 ⁇ 0.6 mm was observed.
  • sprout ginseng extract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prout ginseng extract, sprout ginseng fraction or mixtures thereof Sumyzyme AC, Cellulase KN, Plantase TL, Plantase PE Conc, Plantase TC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ntase MAX, BrewMax GXL, Alpasease AP3, Alfalase NP, Sumizime SPC, Plantase AK, Pluszyme 2000D and Rohament CL
  • the compound K prepared according to this method is excellent i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compound)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전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compound)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싹인삼의 주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류를 컴파운드 K로 고효율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삼은 오갈피과 식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주로 사람의 모양을 닮은 살이 많은 뿌리를 약용으로 쓰는 식물이다. 산삼은 천연 산삼의 종자가 산림내의 자연환경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아하여 번식생육한 삼을 말하며 산양삼은 산삼의 종자를 산 속에 파종하여 자연 상태 그대로 자생시킨 삼을 말한다. 산삼과 산양삼의 학명은 모두 Panax ginseng C.A. Mayer 로 어원을 보면 'Pan'은 '모든 것', 'Axos' 는 '의학' 이라는 뜻으로 '만병 통치'의 의미를 가진다. 산양삼은 유효성분의 종류가 다양하고 함량도 풍부하여 고가로 거래되고 있지만 생물산양삼의 경우 일반적으로 1주일 이상의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산양삼 자체로 상품화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과학적 연구는 주로 인삼의 약리효능 및 성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왔으며 산양삼의 희소성 가치 때문에 산양삼에 대한 약리효능 및 생리학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인삼 및 산(양)삼에 들어있는 사포닌 및 비 사포닌계 물질(Panacen, 다당류, 아미노산 유도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페놀화합물)은 뛰어난 약리활성을 가지며, 유해 활성산소(free radical)소거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며 항암, 혈압강하, 지질강하, 간독성 등에 뛰어난 효능을 지닌다. 인삼의 주요 약리성분으로 잘 알려진 인삼사포닌은 PPD(Protopanaxadiol) 및 PPT(Protopanaxatriol) 계열로 나누어진다. PPD 계열의 사포닌은 기본 구조인 PPD에 다양한 치환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 Rb2, Rc, Rd, F2, Rg3, 컴파운드(Compound) K 등이 대표적인 사포닌이다. PPT 계열의 사포닌은 PPT가 기본 구조이며 진세노사이드 Re, Rf, Rg1, Rh1 등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배당체 화합물들은 그 자체보다는 당이 분해되어 비당체가 되었을 때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Med. Pharm. Soc. 1992, 9:1-13) 인삼사포닌의 경우도 당이 3개 이상 결합된 진세노사이드 Rb1, Rb2, Rd, 및 Re보다 일부의 당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진세노사이드 Rg3, Rh1, Rh2, F2, CY 및 CK 등이 생체 내로의 흡수나 생리활성 등의 면에서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inseng Res. 2003, 27:129-134). 당이 많이 결합되어 있는 인삼사포닌은 소장 내에서 우리 몸으로 흡수되는 양이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의 배설물에서 추출된 장내 미생물의 진세노사이드 Rb1의 가수분해능력을 실험한 결과, 장내 미생물의 21%는 분해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해능력이 있는 70%정도의 장내 미생물은 인삼사포닌을 분해하는 능력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Planta Medica. 1998, 64:696-700).
Hasegawa 등은 프레보테라 오리스(Prevotella oris)라는 주요 장내 미생물에 의해 인삼사포닌이 인체 내에서 면역증강작용, 종양혈관신생억제작용 및 암세포침윤 억제작용 등과 같은 활성이 더 뛰어난 새로운 물질인 컴파운드 K(Compound K; FGM1, M1, IH-901, 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를 생산한다고 보고하였다(Planta medica. 1996, 62:453-457). 컴파운드 K는 간암 억제작용, 면역증강작용 등 그 약리작용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지만 천연에 존재하는 양이 극히 적어 이를 제조하고자 하는 방법들이 연구가 되어 현재까지 가열처리, 산처리, 효소처리 등의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처리나 산처리 방법은 무작위로 당을 가수분해하는 비특이적 반응으로 컴파운드 K의 수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는 반면 효소를 이용할 경우 당의 특정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기 때문에 높은 수율로 컴파운드 K를 생산할 수 있다(J. Microbiol. Biotechnol. 17(12):1937-1943). 그러나 효소 전환법의 경우 기질로 사용되는 인삼사포닌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므로 높은 농도의 기질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생물 전환법에 의한 컴파운드 K의 생산은 상당한 배양시간이 요구되며 생성되는 컴파운드 K의 항균성으로 인한 전환용 세균의 사멸을 유도하여 고효율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J. Ginseng Res. 2008, 32(3):226-231).
컴파운드 K 제조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다이올계 사포닌을 효소인 베타-갈락토시다아제(한국공개특허 제2003-94757호), 페니실리움속 미생물에서 분리한 셀룰라아제 또는 아스퍼질러스속에서 분리한 베타-갈락토시다아제(한국등록특허 제377546호), 페니실리움속에서 분리한 나린지나제 또는 아스퍼질러스속에서 분리한 펙티나제(한국등록특허 제418604호) 등을 처리함으로써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5472호는 식용가능한 다당류 분해 효소인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및 라피다제(Rapidase) TF를 이용하여 인삼사포닌으로부터 높은 수율의 컴파운드 K로 전환할 때 기질에 의한 효소의 활성억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회분식 반응법이 아닌 연속반응법을 도입하여 컴파운드 K의 생산효율을 높인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싹인삼을 이용하여 컴파운드 K를 생산하는 방법을 계속 연구하던 중 새싹인삼을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형태로 제조하고 여기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과 같은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고효율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첨가하여 30 내지 60℃에서 20 내지 50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으로부터 하기 화학식 1의 컴파운드(Compound) K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C000001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는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K로 생물전환하는 공정에 대한 일례를 개시한 것이다.
도 2는 새싹인삼 추출물의 스케일별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새싹인삼 추출 스케일별(실험실 or 공장) 분획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새싹인삼 추출 분획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컴파운드 K와 진세노사이드 F2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도 10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도 11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과 같은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효소 처리를 통하여 컴파운드 K로 고효율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높이는 60㎝이고 뿌리줄기의 끝부분에서 1개의 원줄기가 나온다. 잎은 끝부분에 3~4개씩 돌려나고 5개의 장상복엽이 긴 잎자루의 끝부분에 달리며, 작은 잎은 끝부분이 뾰족한 달걀모양 또는 거꾸로 된 달걀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고 잎의 앞면 맥 위에 잔털이 조금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일가화로 연녹색의 산형화서가 줄기의 끝부분과 잎 가운데의 긴 꽃줄기 끝부분에 달리며,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으며 납작한 둥근 모양으로 여러 개가 산형화서로 달린다. 인삼은 예로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각종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치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전혀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27종의 진세노사이드라는 사포닌을 함유하며, 암,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치매, 골다공증 예방, 노화 방지, 두뇌활동 촉진, 갱년기 장애, 여성 피부미용 등에 좋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주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때 약리적 효능이 알려진 인삼 뿌리를 주로 사용해 왔으나, 인삼 잎, 인삼 씨, 인삼 꽃에도 약리적 효능이 있음이 밝혀져 그동안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버려지던 인삼의 부산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인삼의 재배기간은 평균 4년 이상이 소요되며, 최고 효능의 인삼을 얻기 위해서는 6년간 재배해야 하므로 재배기간이 오래 걸리고, 재배하는 동안 자연 재해 또는 병충해 등이 발생하면 최초 재배량보다 적은 양으로 수확되므로 가격이 비싸고, 독특한 향과 쓴맛으로 인해 젊은 층이나 외국인에게는 선호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어, 한약재 외에 인삼가공품의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새싹인삼은 보통 1~2년 이내의 기간 동안 재배한 것으로, 뿌리보다 잎과 줄기의 사포닌 성분이 약 7~8배 더 함유되어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수경재배, 연중생산 가능 및 재배기간의 단축으로 인해, 종래에 이용되는 뿌리인삼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인삼가공품의 원료로서 사용이 용이하다.
새싹인삼의 대표적인 사포닌 성분별 효능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자극제 : 인삼은 특히 노인에게 있어서, 정신적 성능을 개선시킨다. 인삼은 학습 및 기억 유지에 필수적인 뇌에서의 화학물질인 콜린을 함유한다(Rb1, Rg1); 2) 항산화제 : 인삼은 산화, 유리 라디칼로 불리는 불안정한 분자에 대한 노출에 기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물질인 항산화제를 함유한다(R0, Rf, Rg2); 3) 노화방지 : 인삼은 항노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중년 및 노년 대상체의 그룹에서 노화-관련된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였다(Rd 등); 4) 항암: 다수의 연구의 결과는 인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인 비정제된 사포닌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실제로 질병 세포를 정상 세포로 전환시켰음을 발견하였다. 인삼은 또한 신체가 화학요법의 부작용에 대처하도록 도와준다(Rb2, Re, Rg3, Rh1, Rh2, Rh3); 5) 강장성 (adaptogenic): 인삼의 탁월한 '강장' 품질 (신체가 스트레스, 피로 및 감기에 적응하도록 도와줌)이 확인되었다(Rb1, Rc, Rg1); 6) 폐경기: 인삼은 여성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대한 작용이 유사한 화합물을 함유한다(Rd); 7) 항당뇨병: 인삼은 신체가 정상적인 혈당 및 콜레스테롤 레벨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며, 광범한 면역 시스템 및 내분비 반응을 자극한다(Rb1, Rb2, Rc, Rb2 등).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인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고온고압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저근백피 추출물은 환류 물 추출물, 환류 유기용매 추출물, 열수 추출물 또는 고온고압 추출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들의 추출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적합한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새싹인삼의 잎 및 근을 포함한 전초를 깨끗이 세척한 후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이 때 주정의 농도는 20 내지 100%(v/v)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정을 이용하여 50 내지 100℃에서 환류 반복 추출하여 새싹인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새싹인삼 추출물은 새싹인삼을 20 내지 10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을 추가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새싹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이하 새싹인삼 분획물이라 함)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새싹인삼 분획물은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을 물 또는 20 내지 100%(v/v)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이용하여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류를 컴파운드(Compound) K로의 생물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효소를 첨가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효소의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반응온도는 효소의 불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의 온도는 각각의 효소활성을 위한 온도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상기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 효소를 각각 첨가하고, 30 내지 60℃에서 20 내지 50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컴파운드 K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K로 생물전환(Bio-conversion)하는 효소로는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 또는 새싹 인삼 분획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생물전환시켜 컴파운드 K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효소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된 산물을 추가로 여과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보다 고효율로 컴파운드 K를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새싹인삼 추출물의 생물전환 산물, 새싹인삼 분획물의 생물전환 산물 및 상기 생물전환 산물의 유기용매 추출물은 컴파운드 K의 함량이 향상되어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현격하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효소를 이용하여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생물전환한 결과 다양한 유용물질(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탄닌류)들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고부가가치 성분인 컴파운드 K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주정 70%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이 생물전환된 컴파운드 K의 생산량은 전체 기질의 약 10% 정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주정 20% 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생물전환한 주정 70% 분획물(실험실, 공장)에서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항균 효과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을 메탄올 추출한 추출물에서 전반적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피부상재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서 생물전환한 모든 시료들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엔테로박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을 메탄올 추출한 추출물 전부에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슈도모나스 아우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항균활성이 생물전환을 통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추후 항균 활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새싹인삼 추출물의 주정 분획물을 생물전환시킨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고부가가치 산물인 컴파운드 K의 대사 생성으로 활용가치가 높으며, 새싹인삼 추출물 중 나머지 분획물의 생물전환 여과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항균소재로 활용하고, 추출물- 주정 20% 분획물의 경우는 항산화 활성 소재로 활용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1-1. 새싹인삼 추출물 제조
새싹인삼의 잎 및 근을 포함한 전초를 깨끗이 세척한 후 주정을 이용해 60℃ 이상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반복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이하, Lab 추출물이라 함)을 제조하였으며, 벌크형으로 새싹인삼을 주정을 이용해 60℃ 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반복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새싹인삼 벌크형 추출물(Bulk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 추출물은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농축된 시료들은 멸균 막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1-2. 새싹인삼 분획물 제조
상기 1-1에서 제조한 새싹인삼 Lab 추출물 및 Bulk 추출물 각각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이하, Lab 추출물의 분획물은 Lab 분획물이라 하고, Bulk 추출물의 분획물은 Bulk 분획물이라 함). 상기 분획물 제조 시 용매는 물, 주정을 사용하였으며, 그에 따라 10가지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그 후 상기 획득된 분획물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한 분획물은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농축된 시료들은 멸균 막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 실시예 2>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물전환(Bio-conversion)
상기 실시예 1-2의 새싹인삼의 Lab 추출물 및 분획물과 Bulk 추출물 및 분획물을 각각 여러 가지 경우로 혼합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 효소 각각을 이용하여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류를 컴파운드(Compound) K로의 생물전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100mL와 증류수 100mL를 혼합한 후 분석용 시료(반응 전 시료)를 덜어낸 뒤 상기 효소를 각각 첨가하였다. 그 다음 진탕배양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고, 반응 여과물 20mL을 50mL 튜브에 넣어 건조 진행하였다. 남은 반응 여과물은 감압농축 후 스케일 다운(scale down) 건조 진행 후 보관하였다. 여과 후 여과지에 남은 것은 건조 후 회수하였다.
이어서, 상기 여과액을 MeOH로 추출하였다. 상기 동결건조된 여과물은 막여과로 여과 후 분석 진행하였다. 반응 후 반응 전과 동일하게 샘플링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새싹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컴파운드 K로 생물전환하는 공정에 대한 일례를 개시한 것이다.
이하 실험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 실시예 3> 항산화 활성 검증
3-1. 실험 방법
(1) 축합형 탄닌 함량 측정
총 탄닌(tannin) 함량은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 1mL에 H2SO4용액에 녹인 바닐린(Vanillin) 2mL를 가하고 15분 동안 방치한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카테친(catechin)을 사용하였으며, 표준 검량선을 작성 후 추출물의 총 탄닌 함량은 μg CE (catechin equivalent)/g으로 나타내었다.
(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정량은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 25㎕에 증류수 75㎕와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시약 25㎕를 가하고, 6분간 반응 시킨 뒤 포화용액 Na2CO3 100㎕를 가하여 혼합한 후 9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물질인 갈산(Gallic acid)으로 미리 작성한 표준곡선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5 mL를 가하고 5% NaNO2 용액 75 μL를 넣고 5분간 방치하였다. 10% AlCl6H2O 용액 150 μL를 가하고 다시 6분간 방치하였다. 위 반응액에 1M NaOH 500 μL와 증류수 275 μL를 가한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쿼세틴(Quercetin)을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한 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μg QE(Quercetin equivalent)/g로 나타내었다.
(4) 전자공여능 측정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120㎕에 0.45mM의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DPPH) 60㎕를 넣고 15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시료용액의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M000001
(5)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양이온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양이온 라디칼 탈색 분석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mM 2,2-아지노-비스(3-에틸-벤티아졸린-6-술폰산)과 2.45mM 과황산 칼륨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 양이온 라디칼을 형성시킨 후 에탄올로 희석하여 기질 100㎕에 시료 100㎕를 가하여 7분 동안 방치한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술하였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M000002
(6) FRAP 분석
300 mM 아세테이트 완충액(pH 3.6), 40 mM HCl에 용해한 10 mM TPTZ (2,4,6-트리피리딜-S-트리아진) 용액 및 20 mM FeCl3·6H2O를 각각 10:1:1(v/v/v)의 비율로 미리 혼합한 다음 37℃ 수욕상에서 가온한 것을 사용하였다. 추출물 100 μL를 차례로 혼합하여 37℃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UV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2. 실험 결과
(1)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형 탄닌 함량 측정 결과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형 탄닌 함량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T000001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추출 분획물 중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이 가장 높은 함량 (43.08±0.83)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폴리페놀 함량과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 290.67±5.88,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 248.44±1.57), 축합형 탄닌 함량에서는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75.76±0.54,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 65.21±1.2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과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31.45±0.26)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23.91±0.48)이 높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실험실이 19.54±1.51 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장이 23.91±0.48을 함유하였다. 하지만 축합형 탄닌은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 10.00±0.29, 공장 : 11.35±1.93),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 10.65±0.29)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물 및 여과액과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 35.91±0.20)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장이 22.45±0.25으로 높았다. 하지만 총 플라보노이드에서는 다른 군들과 다르게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 41.20±2.62)이 가장 높았으나, 다음으로 실험실 : 37.04±1.17, 공장 : 30.18±1.24이 높게 나타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축합형 탄닌의 경우는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52.63±4.9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이 43.72±0.62으로 높았다. 이를 통해서 동량의 시료를 생물전환 함으로 인해서 더 높은 유용성분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특히 생물전환 후 여과되지 않은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이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도 2는 새싹인삼 추출물의 스케일별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전자공여능은 추출 분획물 중 주정 20% 분획물(실험실)이 가장 높은 약 9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주정 20% 분획물(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70%, 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보다는 실험실 스케일이 더 높게 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도 3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공장)이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8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실험실), 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1000㎍/mL의 농도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 분획물 및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이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주정 20% 분획물(실험실) 가장 높았다. 또한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주정 70% 분획물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함량 분석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3)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도 4는 새싹인삼 추출 스케일별(실험실 또는 공장) 분획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5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양이온 라디컬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여기에서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 분획물 중 주정 20% 분획물(실험실)이 가장 높은 약 9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주정 20% 분획물(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70%, 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보다는 실험실 스케일이 더 높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공장)과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실험실)이 가장 높은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1000㎍/mL의 농도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전자공여능 및 함량 분석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4) FRAP 분석
도 6은 새싹인삼 추출 분획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도 7은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여기에서, a-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b-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c-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d-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e-1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 a-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b-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c-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d-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e-2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 Vit.C : 아스코브산이다.
FRAP(환원력) 또한 앞의 전자공여능,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및 함량 분석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추출 분획물 중 주정 20% 분획물(실험실)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주정 20% 분획물(공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70%, 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장보다는 실험실 스케일이 더 높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및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공장)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의 경우에도 1000㎍/mL의 농도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다른 항산화 활성검증 실험들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성분 분석
4-1. 실험 방법
(1) LC-MS와 ELSD를 이용한 정량 및 정성 분석
사용한 LC/MS는 1200 시리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6130 단일 사중극자 질량선택적 탐색기(single quadrupole mass selective detector, Agilent Technologies, U.S.A)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MS의 이온화 방식은 전자분무이온화(electrospray ionization, ESI)법의 양성 모드이고, 이온의 분리 방식으로 사중극자 질량 분리관이 부착된 LC/MS를 이용한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리조건으로는 Shiseido capcell pak C18 MG-II (5㎛ 4.6mmX250mm)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0.5% 포름산을 포함한 HPLC급 수(A)와 0.5% 포름산을 포함한 HPLC급 아세토니트릴(B)을 사용하여 0-4분에 B:5%, 4-10분까지 B:5~25%, 10-20분까지 B:25~40%, 20-26분까지 B:40~60%, 26-40분까지 B:60~85%, 40-50분까지 B:85~100%, 50-56분까지 B:100%, 56-60분까지 B:100~5%의 조성이 되도록 기울기 조건으로 사용하였고, 유속은 1mL/min였다. 전자분무이온화법의 분석조건은 건조기체로 질소(99.99%)를 12 L/min의 유량으로 사용하였고, 기화 온도는 350℃, 35 psi 분사압력으로 시료를 분무시키고 70 단편화 전압(fragmentor voltage)으로 하였다. 모세관 전압(Capillary voltage)은 3,000 V였고, 검출방법은 스캔 모드로 범위는 100-1500을 사용하였다. 질량분석기는 360 ELSD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사용하였으며, 1.60 SLM 기체 유동율, 100% LED 강도, 30℃ 증발 온도, 30℃ 분무기 온도로 사용하였다. 정량은 각각의 표준곡선을 통해서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Ginsenoside F2 Compound K
새싹인삼 추출물 (공장) 2.82 ㎍/80㎍ ㎍/80㎍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실험실) 0.45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공장) 0.62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100% 분획물 (실험실+공장) 1.11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0.44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0.47 0.68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실험실+공장) - 0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0.91 0
새싹인삼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1.48 0.79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0.49 0.51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7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0.61 1.20
새싹인삼 추출물-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실험실+공장) 0.94 7.25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정량 및 성성 분석 결과에서 생물전환을 진행함으로써 컴파운드 K가 생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새싹인삼 추출물- 주정 100%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실험실+공장)이 7.25㎍/80㎍으로 약 10% 전환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전반적으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F2가 미량 함유되어 있으나 그중에서 새싹인삼 추출물 (공장)이 2.82㎍/80㎍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효소를 이용한 생물전환을 통해서 고부가가치 성분인 컴파운드 K를 전화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생성하기 위한 공정 및 분석방법 등을 확립하였다.
도 8a 내지 도 8f는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과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컴파운드 K와 진세노사이드 F2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실시예 5> 항균 활성 검증
5-1. 실험방법
(1) 균배양
전 배양 및 본 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의 액체 및 고체배지로는 영양배지(NB)와 영양 아가를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의 액체 및 고체배지로는 Gifu 혐기성배지(GAM)와 Gifu 염기성배지(GAM) 아가를 사용했고,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액체 및 고체배지로는 효모 펩톤 덱스트로스(YPD) 배지와 효모 펩톤 덱스트로스(YPD) 아가 배지를 사용했다. BOD 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였다.
(2) 생육 저해환(clear zone) 측정
항균력 측정은 페이퍼 디스크 아가 확산(paper disc agar diffusion) 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 취해서 액체배지 10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다시 액체배지 10mL에 균액을 0.1mL접종하여 3~6시간 본 배양한 후 평판배지 1개당 균수가 약 1X107 cells이 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여과지 디스크 (8mm, Whatman, Japan)를 고체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0.05mL/disc가 되도록 시료를 농도별로 흡수시켜 37℃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의 생육 저해환(clear zone) (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5-2. 실험결과
(1)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 생육 저해환 측정 결과
6가지 다양한 균주를 통해 6가지 종류의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모두 4mg/disc 농도로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도 4mg/disc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9는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B: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D :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E : 대장균(Escherichia coli), F :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이고, a : 아스코브산,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공장),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실험실),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20% 주정 분획물 (공장),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실험실),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공장), g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실험실+공장)이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T000002
도 9 및 표 3에서 보듯이, 먼저 S. epidermidis 균주에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b와 g에서 4.0±1.0 ㎜, 10.7±1.5 ㎜,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는 11.0±1.0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 albicans의 경우 g에서 2.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S. aureus의 경우에도 g에서 5.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 cloacae, E. coli, P. auruginosa 균주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 물질에서 11.0±1.0 ㎜, 5.0±1.0 ㎜, 15.3±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향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활성 생육 저해환 측정 결과
마찬가지로 6가지 다양한 균주를 통해 6가지 종류의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모두 4mg/disc 농도로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도 4mg/disc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10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B: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D :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E : 대장균(Escherichia coli), F :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이고, a : 아스코브산,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 (실험실+공장)이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T000003
도 10 및 표 4에서 보듯이, 먼저 S. epidermidis 균주에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을 처리하였을 때, b, c, d, e, f 에서 4.7±1.2 ㎜, 4.0±0.1 ㎜, 2.0±0.1 ㎜, 4.3±0.6 ㎜, 7.3±1.5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는 10.7±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 albicans, S. aureus의 경우 양성 대조 물질과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 cloacae의 경우에는 d와 e에서 5.3±0.6 ㎜, 6.3±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으며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16.3±1.2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E. coli, P. auruginosa 균주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 물질에서 7.7±0.6 ㎜, 8.0±0.1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액을 처리하였을 때 향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3)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추출물의 항균활성 생육 저해환 측정 결과
마찬가지로 6가지 다양한 균주를 통해 6가지 종류의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모두 4mg/disc 농도로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도 4mg/disc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11은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증 결과이다. 여기에서, A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B: 칸디나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C: 스카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D : 엔테로벡터 클로아카에(Enterobacter cloacae), E : 대장균(Escherichia coli), F : 슈도모나스 아루기노사(Pseudomonas auruginosa)이고, a : 아스코브산, b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c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d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 e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7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공장), f : 새싹인삼 70% 주정 추출물 - 100% 주정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 (실험실+공장)이다.
Figure PCTKR2019003155-appb-T000004
도 11 및 표 5에서 보듯이, 먼저 S. epidermidis 균주에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c, d, e, f 에서 16.7±0.6 ㎜, 9.0±0.1 ㎜, 2.7±0.6 ㎜, 5.3±0.6 ㎜, 15.7±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인 Vit.C는 10.3±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C. albicans의 경우 양성 대조 물질과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S. aureus의 경우에는 b, c, f에서 3.0±0.1 ㎜, 2.0±0.1 ㎜, 2.0±0.1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향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E. cloacae의 경우에는 b, c, d, e, f 에서 3.7±0.6 ㎜, 1.7±0.6 ㎜, 5.0±0.1 ㎜, 5.3±0.6 ㎜, 3.7±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16.3±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E. coli 균주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 물질에서 5.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지만, 새싹인삼 추출물 및 분획물 생물전환 여과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P. auruginosa의 경우에는 b와 c에서 4.3±0.6 ㎜, 3.3±0.6 ㎜ 크기의 생육 저해환 나타났고, 양성 대조 물질에서는 8.7±0.6 ㎜의 생육 저해환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를 처리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새싹인삼에 함유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류를 컴파운드 K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는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새싹인삼 추출물, 새싹인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수미자임(Sumyzyme) AC, 셀룰라제(Cellulase) KN, 플란타제(Plantase) TL, 플란타제 PE Conc, 플란타제 TCL, 플란타제 MAX, 브루멕스(BrewMax) GXL, 알파라제(Alphalase) AP3, 알파라제 NP, 수미자임 SPC, 플란타제 AK, 플러스자임(Pluszyme) 2000D 및 로하멘트(Rohament) 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30 내지 60℃에서 20 내지 50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새싹인삼으로부터 하기 화학식 1의 컴파운드(Compound) K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3155-appb-I00000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이 새싹인삼을 20 내지 10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새싹인삼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인삼 분획물이 상기 새싹인삼 추출물을 물 또는 20 내지 100%(v/v)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인삼으로부터 컴파운드 K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PCT/KR2019/003155 2018-03-20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WO20191823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60 2018-03-20
KR1020180032060A KR102100493B1 (ko) 2018-03-20 2018-03-20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318A1 true WO2019182318A1 (ko) 2019-09-26
WO2019182318A9 WO2019182318A9 (ko) 2019-12-26

Family

ID=6798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155 WO2019182318A1 (ko) 2018-03-20 2019-03-19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0493B1 (ko)
WO (1) WO2019182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5B1 (ko) * 2020-04-08 2020-08-31 (주)뉴트라파낙스 잔류농약과 프탈레이트 성분이 저감된 컴파운드 k 고함량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컴파운드 k 고함량 조성물
KR20230151286A (ko) *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비티진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198A (ko) * 2012-06-29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85990A (ko) * 2016-01-15 2017-07-25 김유근 새싹삼의 생리활성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
KR20180019374A (ko) * 2016-08-16 2018-02-26 송하석 생물전환기술을 이용한 특이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고함량 제조기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452A1 (ko) * 2011-06-16 2012-12-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k 또는 이의 유도체로 된 항균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198A (ko) * 2012-06-29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85990A (ko) * 2016-01-15 2017-07-25 김유근 새싹삼의 생리활성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
KR20180019374A (ko) * 2016-08-16 2018-02-26 송하석 생물전환기술을 이용한 특이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고함량 제조기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echnical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Using the Ginseng Grown in Smart-farm", INDUSTRIAL COMPLEX R&BD EMPOWERMENT BUSINESS FINAL REPORT, 12 October 2017 (2017-10-12) *
YANG, XI-DING ET AL.: "A review of biotransformation and pharmacology of ginsenoside compound K", FITOTERAPIA, vol. 100, 2015, pages 208 - 220, XP055551551, doi:10.1016/j.fitote.2014.11.0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318A9 (ko) 2019-12-26
KR20190110283A (ko) 2019-09-30
KR102100493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g et al. Bioactive compounds from Rhodiola rosea (Crassulaceae)
Pawlowska et al. Phenolics of Arbutus unedo L.(Ericaceae) fruits: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gallic acid derivatives
Laoufi et al. In vitro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Ononis angustissima extracts
Ruby et al. Poly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Bergenia species
El-Shiekh et al. In-vitro screening of selected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for their anti-obes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opoosamy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aloe emodin and aloin A isolated from Aloe excelsa
Hao-Cong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 actions of Cynomorium plants
Ads et al. Phytochemical, antimicrobial and cytotoxic evaluation of Ziziphus spina-christi (L.) stem bark
Aderogba et al. Isolation of two flavonoids from Bauhinia monandra (Kurz) leave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s
WO2019182318A1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Ajibesin et al. Antibacterial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Dacryodes edulis
Mahomoodally et al. Phenolic compounds analysis of three Euphorbia species by LC-DAD-MSn and their biological properties
Rohini et al. A review on phytopharmacological profile of traditionally used medicinal plant Parkia biglandulosa (Mimosaceae)
Akkol et al. Inhibitory activity of Scorzonera latifolia and its components on enzymes connected with healing process
Akoto et al. Determination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af extracts of Griffonia simplicifolia
Adeshin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queous and ethyl acetate sub-fractions of Alchornea cordifolia leaf.
Sahli et al. Antiprolifer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irsium scabrum from Tunisia
Popowski et al. Antiadhesive activity of hydroethanolic extract from bean pods of Phaseolus vulgaris (common bean) against uropathogenic E. coli and permeability of its constituents through Caco-2 cells monolayer
Bekkar et al.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izyphus lotus l. and ruta chalepensis l. growing in mascara (Western Algerıa)
Awotedu et al. Extraction of phytochemical compounds of Leea guineensis (G. Don) leaves using non-polar and polar solvents
WO2017018791A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ljakić et al. Chemical profiling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popanax hispidus extracts: A comparative insight on conventional and green extraction technologies
Aygun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anti-oxidant and anti-enzymatic properties of extracts from two Silene species: A focus on different plant parts and extraction methods
Divya et al. Evaluation of in vitro enzyme inhibitory,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ldenlandia corymbosa L. and Oldenlandia umbellata L. whole plant extracts
Edewor et al.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total phenolic, flavonoid and saponin contents in leaves of Anogeissus leiocarpus (DC.) Guill and Per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709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709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