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286A -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286A
KR20230151286A KR1020220050792A KR20220050792A KR20230151286A KR 20230151286 A KR20230151286 A KR 20230151286A KR 1020220050792 A KR1020220050792 A KR 1020220050792A KR 20220050792 A KR20220050792 A KR 20220050792A KR 20230151286 A KR20230151286 A KR 2023015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composition
periodontal disease
preventing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환
허율
김진희
이현철
하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진
Priority to KR102022005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286A/ko
Priority to PCT/KR2022/012484 priority patent/WO2023210880A1/ko
Publication of KR2023015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2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nc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부작용이 적거나 없으며 치주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본 발명자들은 홍삼 등에서 유래하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진세노사이드 Rg3(R+S), 진세노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b1이 혼합된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이 치주질환의 원인균 억제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 조성물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뿐만 아니라, 치약, 구강세척제를 비롯한 구강용 조성물로 이용 가능하며, 그 외에도 껌, 음료, 과자 등의 식품 조성물에도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ginsenoside compound K or complex ginsenoside composition}
본 발명은 홍삼에서 추출 및/또는 가공한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잇몸 질환은 주로 30대 이후에 발생하여 중년에 들어서는 이가 빠지거나 다른 관련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잇몸 질환은 치아를 떠받들고 있는 치아 주위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치주질환에 이환되게 되면 임상적으로 치은출혈과 종창,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인하여 치아가 상실될 수 있다. 치주질환의 원인으로는 국소적요인과 전신적요인이 있는데, 국소적 요인으로 치태(dental plaque)가 치주낭 내에 기계적으로 축적되면 주변에 존재하는 세균들의 서식처가 되고, 서식하는 세균은 점차 호기성, 통기성, 그람 양성 세균에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으로 점차 이행되며, 치주낭의 심부로 증식하게 된다. 이때 증식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의 독소 및 산물이 직접 조직을 파괴하거나 면역계를 자극하여 자극된 면역계에서부터 여러 작용에 의하여 치주조직 파괴 및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치태가 6개월 이상 경과하는 경우에는 칫솔로는 제거할 수 없는 딱딱한 치석으로 변하게 된다.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치아의 잇몸 분리가 계속되어 음식물 찌꺼기가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며 치아를 제자리에 고정시켜주는 주위조직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과정으로 발생하는 잇몸 질환 또는 치주질환을 구강 내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예컨대 치주염, 치은염, 풍치, 지치우위염, 치주농양, 치은증식증, 치근막염, 마모증 또는 교모증 등을 포함한다.
비교적 발생빈도가 높은 치주질환은 만성치은염, 만성치주염, 소년치주염, 급성괴저성궤양성치은염을 예로 들 수 있다. 치주질환은 치아우식증과 마찬가지로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에 의해 야기되는데, 치은연상 치면세균막(Supragingival plaque) 내에 있는 세균은 치은염(gingivitis)발생과 연관이 깊고, 치은연하 치면세균막(Subgingival plaque)의 세균은 치주염(Periodontitis)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다. 치주염은 치은염과 함께 발생되나 모든 치은염이 치주염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치아우식증을 일으키는 세균과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은 종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우식 원인균은 호기성 균인 반면,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균은 혐기성균으로서, 대표적인 치주질환 원인균은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ro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revotella intermedia),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미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에이케넬라 코로덴츠 (Eikenella corrodents), 푸소박테리움 누클레아툼 (Fusobacterium nucleatum), 박테리오이데스 포르시티우스 (Bacteroides forsythius), 캄피박테렉투스 트레포네마 (Campybacterrectus, Treponema (spirochetes)) 등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치주질환 중 특히 치은염은 대부분 치은의 염증성 변화에 의해서 발생되며, 이때 적절한 관리를 통해 원상태로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위와 같이, 치아우식증과 마찬가지로 치주질환 또한 감염성 질환으로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치주질환은 병원균의 작용과 숙주방어체계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 질병의 진행과 회복이 순환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치아우식증의 경우와는 달리 이 과정에 영양요인이 치주병 발생에 좀 더 미묘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치주질환은 적절한 영양섭취를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상처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따른다.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불소 화합물,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트리클로산 등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 성분들은 부작용의 우려가 높고 내성 균주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생약재를 비롯한 천연 성분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천연 성분 추출물이 치주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용으로 구강조성물, 약학 조성물 등에 응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344605호는 매스틱 검이 포집된, 인삼 사포닌 추출물에 β-글루카나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부분가수분해 진세노사이드로서, 상기 부분가수분해 진세노사이드는 F2, Rg1, F1, Rf 및 Rg2를 포함하고 및 용제로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지질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잇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6-124007호는 진세노사이드 Rg3의 진세노사이드 Rb1에 대한 중량비가 0.20 이상인 삼칠 및 숙지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거나 없으며 좀 더 높은 치주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물질 유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물질 유래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물질 유래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홍삼 또는 인삼으로부터 추출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용매를 사용하여 홍삼 또는 인삼으로부터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고 이를 흡착수지에 흡착한 후 용매로 탈착하여 부분 정제하여 홍삼 농축물을 혼합한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의 설명, 도면에서 "BTEX-K"와 혼용함)이 농도별로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밝히고, 이 조성물들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세척제 조성물 및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발명하였다.
상기 치주질환은 구강 내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치은염, 치주염, 풍치, 지치우위염(사랑니염), 치주농양, 치은증식증, 부정교합, 치근막염, 마모증 또는 교모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100중량부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g3(R+S), 진세노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b1이 각각 7 중량부 이상 함유된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이하 명세서 및 도면에서 "BTEX-K"와 혼용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의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이
1) 홍삼을 추출 및 농축하여 홍삼 농축물을 얻는 단계;
2) 홍삼 농축물을 용해시킨 후 합성흡착수지 컬럼에 통과시켜 흡착한 후 에탄올로 탈착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를 포함하는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얻는 단계;
3)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알파-갈락토시다제로 처리하여 발효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얻는 단계; 및
4)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홍삼 농축물에 상기 3) 단계에서 얻은 발효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가하여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합성흡착수지 컬럼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다공성 흡착수지 컬럼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HP2MG 또는 HP-20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a)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100mg/g 이상이거나 또는
b)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100mg/g 이상, 진세노사이드 Rg3(R+S), 진세노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b1이 각각 8mg/g 이상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상기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는 100㎍/㎖ 내지 1mg/㎖ 또는 상기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500㎍/㎖ 내지 5mg/㎖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 2) 및 4) 단계의 홍삼 농축물은 분말 상태 또는 액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및/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주사형태, 경구투여, 도포제 형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제형 중 예컨대, 주사용 조성물은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고, 언급한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보조제(예: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또는 완충제)를 함유한다. 또한, 이들은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는 유당, 포도당, 자당, 소르비톨, 마니톨, 전분, 검 아카시아,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네랄 오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에는 또한 윤활제, 웨팅제, 풍미제,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또는 건조 시럽제 등의 경구용 제제 또는 주사제 등의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피하 투여, 근육 투여 또는 경구투여, 정맥 투여, 구강 도포, 잇몸 도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용량은 일일 투여량이 0.001㎍/㎏~100㎎/㎏의 양을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투여시간, 투여방법,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및/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특히 잇몸 도포 또는 구강 도포용 외용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도포제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서 크림형 도포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수중유형(O/W) 또는 유중수형(W/O)의 크림 베이스에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을 함유시키고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한편,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세척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및 음료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각종 음료, 껌, 차, 과자, 비타민 복합체, 건강 보조식품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섭취하는 사람의 상태, 체중, 증상의 정도, 식품 형태, 섭취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이 1일 0.2㎎/㎏ 내지 200㎎/㎏으로 섭취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스틱오일, 프로폴리스 추출물, 피로인산나트륨, 플루오르화나트륨,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감미제, 점증제, 연마제, 습윤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필요에 따라 부가하여 통상의 치약 조성물 제조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척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용화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향료, 감미제, 방부제 또는 약효제 등을 필요에 따라 부가하여 통상의 구강세척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으며, 껌(gum), 구강 세정제, 구강 청결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패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는 치면 세균막 감소 및 치면 유기산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잇몸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치약, 구강세척제를 비롯한 구강용 조성물로 이용 가능하며, 그 외에도 껌, 음료, 과자 등의 식품 조성물에도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Compound-K)와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 화합물 농도별 처리에 따른 항균력 결과 (페이퍼 디스크 방법)이다 ((좌) P.intermedia, (우) P.gingivalis).
도 2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 농도별 처리에 따른 항균력 결과 (광학 밀도 측정법)이다 (*p<0.05, **p<0.01, ***p<0.001은 EtOH 그룹과 비교함).
도 3은 P.gingivalis 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의 항균력 결과이다 (**p<0.01, ***p<0.001은 EtOH 그룹과 비교함).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시험 방법
1.1 치주균 성장억제 (페이퍼 디스크 법)
① 균수가 105가 되도록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를 KCOM medium 1에서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② 위와 같이 배양된 균 일정량을 KCOM medium 1 고체배지에 접종 후 멸균된 면봉으로 배지 전체에 고르게 도말하였다.
③ 아래 표 1의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를 에탄올에 녹여 희석한 후 40 ul를 분취하여 페이퍼 디스크에 점적하여 말린 후 균이 도말된 고체배지의 일정한 구획에 올려놓았다. 대조군은 시료 추출물 대신 에탄올을 점적하였다.
번호 시료 농도
1 Compound K 25 mg
2 BTEX-K1 200 mg
④ 37℃의 혐기성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⑤ 페이퍼 디스크 주위의 억제환을 측정하였다.
1.2 치주균 성장억제 (광학 밀도 측정법)
① 균수가 105가 되도록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를 KCOM medium 1에서 혐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② 배양된 균 일정량을 KCOM medium 1 액체배지에 접종하였다.
③ 아래 표 2의 농도가 되도록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BTEX-K"를 액체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추출물 대신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번호 시료 농도
1 Compound K 200 ug/ml, 400 ug/ml
2 BTEX-K1 1 mg/ml, 2 mg/ml
④ 37℃의 혐기성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⑤ OD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시험결과
2.1 페이퍼 디스크 방법을 이용한 항균력 시험 결과
KCOM medium 1 배지에서 혐기적으로 배양된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를 KCOM medium 1 고체배지에 도말한 후 화합물 K를 각 1, 5, 10, 20 ug씩 점적한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은 다음 24시간 37℃ 혐기성 배양기에서 혐기적으로 배양한 결과, 억제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BTEX-K 역시 페이퍼 디스크에 각 5, 10, 20, 50, 100 ug씩 점적한 후 말린 다음 균주를 도말한 배지에 올려놓고 24시간 배양하였으나, 억제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데이터 나타내지 않음).
결론적으로 시료의 농도가 너무 낮아 억제환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페이퍼 디스크 방법이 아닌 광학 밀도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항균력을 측정하기로 하였다.
2.2 광학 밀도 측정방법을 이용한 항균력 시험 결과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의 경우 KCOM medium 1 배지에서 혐기적으로 배양된 균주들을 화합물 K가 200 ug/ml 의 농도로 맞춰진 KCOM medium 1 액체배지에 접종 후 37℃ 혐기성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동량의 에탄올만을 넣은 배양액과 비교하였다. BTEX-K 역시 배양배지에 1 mg/ml 의 농도로 넣고 일정량의 배양된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를 접종하여 위에 언급한 방법으로 배양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항균력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와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에서 화합물 K와 BTEX-K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BTEX-K보다는 화합물 K에 대한 항균력이 두 균 모두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에 대한 화합물 K의 항균력은 76%이며 BTEX-K의 항균력은 52%로 나타났다 (***p<0.001).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에 대한 화합물 K와 BTEX-K의 항균력은 각각 29% (***p<0.01)와 9%로 나타났다.
치주질환의 주요균인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에 대한 고농도 홍삼 추출물의 항균력 확인을 위해 화합물 K는 400 ug/ml의 농도에서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BTEX-K는 2 mg/ml의 농도에서 항균력을 재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K의 경우 대조군 대비 약 55%의 항균력을 보였고, BTEX-K의 경우 34%의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홍삼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균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3. 고찰
치주 원인균에 대한 홍삼 추출물 화합물 K와 BTEX-K의 항균력을 확인한 결과 치주균 중 프레보텔라 인테르메디아 (P.intermedia)의 성장 억제력 (항균력)이 다른 치주균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치주질환의 주요균인 프로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gingivalis)의 경우 홍삼 추출물의 농도가 높일수록 큰 항균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치주균 억제 실험을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페이퍼 디스크 방법과 광학 밀도 측정방법을 사용한 결과 페이퍼 디스크 방법보다 광학 밀도 측정방법이 항균력을 측정하는데 더 적합하였다.

Claims (11)

  1. (가)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100중량부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g3(R+S), 진세노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b1이 각각 7 중량부 이상 함유된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의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1) 홍삼을 추출 및 농축하여 홍삼 농축물을 얻는 단계;
    2) 홍삼 농축물을 용해시킨 후 합성흡착수지 컬럼에 통과시켜 흡착한 후 에탄올로 탈착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를 포함하는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얻는 단계;
    3)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알파-갈락토시다제로 처리하여 발효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얻는 단계; 및
    4)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홍삼 농축물에 상기 3) 단계에서 얻은 발효 복합 진세노사이드를 가하여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거쳐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a)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100mg/g 이상이거나 또는
    b)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100mg/g 이상, 진세노사이드 Rg3(R+S), 진세노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b1이 각각 8mg/g 이상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상기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는 100㎍/㎖ 내지 1mg/㎖ 또는 상기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500㎍/㎖ 내지 5mg/㎖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1), 2) 및 4) 단계의 홍삼 농축물은 분말 상태 또는 액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청구항 1의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1의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10. 청구항 1의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세척제 조성물.
  11. 청구항 1의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20050792A 2022-04-25 2022-04-25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1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792A KR20230151286A (ko) 2022-04-25 2022-04-25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2/012484 WO2023210880A1 (ko) 2022-04-25 2022-08-22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792A KR20230151286A (ko) 2022-04-25 2022-04-25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286A true KR20230151286A (ko) 2023-11-01

Family

ID=8851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792A KR20230151286A (ko) 2022-04-25 2022-04-25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1286A (ko)
WO (1) WO20232108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65B1 (ko) * 2008-02-13 2010-06-1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15058B1 (ko) * 2017-07-21 2018-1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0493B1 (ko) * 2018-03-20 2020-04-13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118998B1 (ko) * 2018-08-14 2020-06-04 주식회사 비티진 충치균의 생육억제 작용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880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899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저롤을 포함하는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083443A (ja) マスティックを用いた歯周病予防・治療用組成物及び歯周病予防・治療方法
KR101354923B1 (ko)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N111388560B (zh) 一种抑制牙菌斑形成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90000955A (ko)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806011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raliae cordatae radix extract or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itis
KR102118998B1 (ko) 충치균의 생육억제 작용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및 조성물
KR102207872B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88902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s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30151286A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296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8978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개선용 구강 조성물
US2022030494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ral diseases
KR102269164B1 (ko) 녹두 씨앗 추출물 등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280868B1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30085620A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1441B1 (ko)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546137B (zh) 一种治疗或预防口腔疾病的药物组合物
KR101555214B1 (ko) 소포라플라바논 g 및 홍삼 농축액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439853B1 (ko) 단풍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