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98A -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98A
KR20190109998A KR1020180032270A KR20180032270A KR20190109998A KR 20190109998 A KR20190109998 A KR 20190109998A KR 1020180032270 A KR1020180032270 A KR 1020180032270A KR 20180032270 A KR20180032270 A KR 20180032270A KR 20190109998 A KR20190109998 A KR 2019010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oil
weight
tea powd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다
Priority to KR102018003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998A/ko
Publication of KR2019010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가루를 이용한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잎을 미세분말화 하여 클렌징오일밤을 제조함으로써 황사와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탈리시킴은 물론이고, 녹차에 함유된 다량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천연물질로 피부의 탄력개선과 피부의 진정효과를 주는 동시에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세정효과를 내는 올리브오일과; 피부의 유연제로 사용되는 세틸에틸헥사노에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와; 계면활성제 역활을 하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와; 경화제로 사용되는 비즈왁스와; 얼굴피부의 미세먼지와 노폐물을 흡착하여 탈리시킬 수 있는 녹차가루와; 상기 녹차가루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정제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Composition of cleansing oil balm that can remove fine dust using green tea powder}
본 발명은 녹차가루를 이용한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잎을 미세분말화 하여 클렌징오일밤을 제조함으로써 황사와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탈리시킴은 물론이고, 녹차에 함유된 다량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천연물질로 피부의 탄력개선과 피부의 진정효과를 주는 동시에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피부 역시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되게 되고, 그 결과로서 피부 탄력 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위축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은 피부 표면의 주름 발생뿐 아니라 얼굴의 전체적인 라인의 변화를 가져 오게 된다.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은 노화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생체기능의 저하로 인한 여러 가지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는데 그 발생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aging)와 내인성 노화에 외부인자, 특히 자외선에 의한 손상이 덧붙여져서 발생하는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된다. 외부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태양광선중의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다. 내인성 노화 과정에서는 특징적인 임상피부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그리고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되며,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 섬유층 물질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꺼워지며 느슨해진다.
이와 더불어, 중국의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석탄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고, 날이 추워지는 10~11월부터는 난방을 하기 위하여 화석연료인 석탄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겨울철이 되면 대기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렇게 발생되는 중국발 미세먼지는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발생량이 늘어나는데, 이렇게 발생된 미세먼지는 겨울철에 기온이 내려가면 공기가 가라앉기 때문에 대기중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면서 장기적인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석탄과 석유에 포함되어 있는 황성분이 연소에 의해 산소와 결합하여 발생되며, 대기오염의 최대 원인이 되는 아황산가스(SO2), 연료가 고온에서 연소될 때 대기중의 질소의 일부가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 납(Pb), 오존(O3), 일산화탄소(CO) 등과 함께 수많은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서, 자동차, 공장, 난방용 화석연료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중에서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일컫는다.
이 같은 미세먼지는 일반적인 먼지와는 달리 그 지름이 머리카락 굵기의 1/10정도인 10㎛이하로 코, 구강,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는데, 미세먼지가 기관지에 쌓이면 가래가 생기고 기침이 잦아지고, 기관지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세균이 쉽게 침투되기 때문에 만성 폐질환이 있는 사람은 폐렴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 취약해짐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특히, 지름이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그 크기가 극히 작기 때문에 폐포를 통해 혈관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되면서 협심증, 뇌졸중의 위험을 높이며, 미세먼지가 체내에 축적되면 산소교환을 어렵게 만들어 질환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사람의 얼굴 등 피부가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경우, 미세먼지가 모공을 막아 여드름이나 뾰루지를 유발하고, 피부를 자극하면서 피부 트러블증상을 유발하고 아토피성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며, 알러지성 비염(鼻炎) 환자의 경우 미세먼지가 코 점막을 자극해 증상을 악화시키는 한편, 두피(頭皮)가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모낭세포의 활동력을 떨어져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쉽게 부러지고 작은 자극에도 쉽게 탈모(脫毛)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입이나 코를 통하여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바,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세안(洗顔) 또는 세수(洗手)를 하는 것만으로는 피부의 모공에 침투한 미세먼지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근자에는 얼굴 피부에 침착된 미세먼지와 황사, 그리고 모공 속의 피지 및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각종 클렌징오일밤을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6-0066780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친환경 녹차추출물을 함유한 고기능성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초음파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하여 녹차잎에서 추출한 녹차추출물을 0.1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민감성 피부의 진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피부에 형성된 각질의 제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피부의 모공에 침투된 미세먼지와 피지 등은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여드름 등 각종 피부트러블 증상 및 아토피성 피부염등의 발생원인을 전혀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녹차잎을 미세분말화 하여 클렌징오일밤을 제조함으로써 황사와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탈리시킴은 물론이고, 녹차에 함유된 다량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천연물질로 피부의 탄력개선과 피부의 진정효과를 주는 동시에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모공 속의 미세먼지와 기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세정효과를 내는 올리브오일과; 피부의 유연제로 사용되는 세틸에틸헥사노에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와; 계면활성제 역활을 하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와; 경화제로 사용되는 비즈왁스와; 얼굴피부의 미세먼지와 노폐물을 흡착하여 탈리시킬 수 있는 녹차가루와; 상기 녹차가루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정제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오일 20~40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트 10~30중량%, 에틸헥실팔미테이트 10~30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30중량%,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0~30중량%, 비즈왁스 5~10중량%, 정제수 1~5중량%, 녹차가루 0.1~3중량%를 기본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해바라기씨 오일 1~5 중량%를 첨가하고, 호호바씨오일 0.5~1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5~1 중량%, 페녹시에탄올 0.5~1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5~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레몬껍질오일, 세드랏껍질오일, 왕귤껍질오일, 오렌지오일, 필리핀오렌지껍질오일, 라벤더오일, 유칼립튜스잎오일, 로즈마리잎오일, 오렌지꽃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녹차잎을 미세분말화 하여 클렌징오일밤을 제조함으로써 모공속의 황사와 미세먼지, 각종 노폐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이고, 녹차에 함유된 다량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천연물질로 피부의 탄력개선과 피부의 진정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은 크게 나누어,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세정효과를 내는 올리브오일과; 피부의 유연제로 사용되는 세틸에틸헥사노에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와; 계면활성제 역활을 하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와; 경화제로 사용되는 비즈왁스와; 얼굴피부의 미세먼지와 노폐물을 흡착하여 탈리시킬 수 있는 녹차가루와; 상기 녹차가루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정제수;로 조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올리브오일 20~40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트 10~30중량%, 에틸헥실팔미테이트 10~30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30중량%,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0~30중량%, 비즈왁스 5~10중량%, 정제수 1~5중량%, 녹차가루 0.1~3중량%를 기본적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 해바라기씨 오일 1~5 중량%를 첨가하고, 호호바씨오일 0.5~1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5~1 중량%, 페녹시에탄올 0.5~1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5~1 중량%를 함유한다.
또, 본 발명은 레몬껍질오일, 세드랏껍질오일, 왕귤껍질오일, 오렌지오일, 필리핀오렌지껍질오일, 라벤더오일, 유칼립튜스잎오일, 로즈마리잎오일, 오렌지꽃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녹차잎의 분말가루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하였다.
전통적이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착제는 활성탄이다. 그러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재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 때문에 최근에는 활성탄을 대체 할 수 있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생흡착제(biosorbent)가 각광받고 있다(Farooq et al., 2010). 예를 들면, 농업폐기물(Kurniawan et al. 2006), 계란 껍질과 산호분말(Ahmad et al., 2012), 해초(Kratochvil et al., 1988), 산림 폐기물(Cutillas-Barreiro et al., 2016), 조류(Kapoor and Viraraghavan, 1995) 등과 같은 폐기물 또는 부산물들을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농업폐기물은 접근성이 용이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대체 흡착제로써 가장 적합한 원료이다. 그 중 녹차잎은 국내에서 흔히 발생하는 농업폐기물이다.
녹차의 어린잎과 새싹은 녹차 생산에 이용되고 수확시기를 놓쳐 상품성이 없는 잎들과 줄기는 폐기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비타민 C와 비타민 E,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 및 항암, 항염증 등의 약리작용이 주목받고 있어 녹차는 의약품이나 화장품등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Sandeep et al., 2012). 인삼의 뿌리는 과거부터 우수한 약리작용을 인정받아 약재로 사용되었으나 잎과 줄기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었다.
그러나 최근 향균,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사포닌이 뿌리보다 더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어 화장품이나 사료 등에 이용되고 있다(Choi et al.,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폐기물인 녹차잎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중금속(Cd, Cu, Pb)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동역학적인 흡착실험(kinetic adsorption)과 등온흡착평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화장품 원료로 녹차잎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계면활성제 조건에서의 흡착실험을 통해 화장품 내에 흡착제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실험재료
본 연구에서 흡착제로 쓰인 녹차는 전남 보성에서 수확한 잎과 잔가지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인삼잎은 수경 재배한 인삼의 잎과 가지를 사용하였다. 녹차잎은 이물질 제거를 위해 3차 증류수로 세척하고 80에서 72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데시케이터에 보관하였고, 흡착제는 건조시킨 시료를 분쇄기로 파쇄한 후 100 mesh 체에 걸러 균질한 입자들로 구성하였다.
1.2 흡착제 특성분석
흡착제 표면의 작용기를 확인하기 위해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Perkinelmer Spectrum 100, USA) 분석을 실시하였고, 흡착제의 형상을 알아보기 위해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4700, Japan)을 사용하였다.
1.3 실험방법
녹차잎의 흡착능 평가를 위한 흡착실험은 동역학적인 흡착실험(Kinetic sorption)과 등온흡착평형 실험(Adsorption isotherm)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실온(252)에서 수행하였고, 용액의 초기pH를 조정하기 위해 5 M HNO3와 5 M NaOH를 사용하였다. 또한, 흡착 반응을 일정하게 교반시키기 위해 Orbital shaker (Stuart, UK)를 사용하였으며, 흡착 반응 후 시료는 0.45 syringe filter (Whatman, USA)로 여과한 후 ICP-OES (ICAP 6000 series, Thermo Scientific, USA)을 사용하여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역학적 흡착실험은 흡착제 0.1 g을 0.2 mM의 중금속(Cd, Cu, Pb) 용액 20 ml에 주입한 후 최대 360 분까지 시간경과에 따라 반응시켰다. 등온흡착평형 실험은 Cd, Cu, Pb의 초기 농도를 각각 0.15 ~ 0.75 mM 범위에서 일정한 양으로 변화시킨 용액에 흡착제 0.2 g을 주입한 다음 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계면활성제의 존재 여부에 따른 녹차잎의 중금속 흡착능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10%의 계면활성제와 0.2 mM Cd, Cu, Pb을 포함한 용액 20 ml에 흡착제 0.1 g을 주입한 후 6 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는 sodium lauryl sulfate(SLS)와 cocamidopropyl betamine(CAB)를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및 고찰
2.1 흡착제 특성분석
녹차잎의 표면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FE-SEM 분석을 시행하였다. 녹차는 계단식판형 구조를 하고 있는 반면, 인삼잎은 하기 도표와 같이 비교적 매끄럽고 균일한 원기둥형 구조를 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녹차는 1031, 1231, 1368, 1516, 1627, 2853, 2922 및 3303 cm-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3200-3600 cm-1에서 측정된 광범위하고 강한 피크는 O-H의 신축 진동(stretching vibration)을, 2850-2960 cm-1과 1200-1400 cm-1에서 측정된 피크는 C-H의 신축 진동을 나타낸다. 1600-1680 cm-1에서 측정된 강한 흡수 피크는 방향족 고리의 신축 진동에 기인한 것이며, 1000-1200 cm-1에서 측정된 피크는 C-O-H와 C-O-C의 글리코시드 신축 진동에 해당한다. 이는, 녹차잎을 FT-IR 분석한 기존의 문헌들과도 상당히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Cai et al., 2013, Wang et al., 2014, Wu et al., 2011). 따라서, 중금속 제거를 위한 흡착반응은 녹차잎을 구성하고 있는 페놀기, 아민기, 카르복실기 및 카르보닐기 그룹들 중 산소를 포함하는 작용기(-COOH, -OH, -C=O)에 의해 발생하였다(Gaballah et al., 1997).
2.2 동역학적 흡착실험
반응시간 변화에 따른 흡착능을 평가하기 위해 0.2 mM Cd, Cu, Pb을 포함하는 용액에 흡착제 5 g L-1를 주입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초기pH를 5.8로 설정하여 실험한 결과, 흡착제의 최종pH는 5.4~5.7로 나타났다. 또한, 흡착제의 흡착반응 시간이 10 분일 때, 흡착평형에 도달했으며 녹차는 약 80.3~97.5%의 제거율을 보였다.
Table.1.
Figure pat00002
흡착데이터는 PFO와 PSO 모델을 적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모델식을 통해 얻은 동역학적 변수들은 상기 Table 1에 나타내었다. 실험값과 이론값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R2(상관계수)을 비교해 볼 때, 녹차의 경우 PSO을 적용한 상관계수(R2=0.9998, 1.0000, 1.0000)가 PFO를 적용한 상관계수(R2=0.4784, 0.6399, 0.9528)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잎에 의한 Cd, Cu, Pb의 흡착은 유사1차 모델식보다 유사2차 모델식에 더 부합하며 화학적 흡착에 기인한다(Dinu and Dragan, 2010).
3.3 등온흡착 실험
녹차잎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등온 흡착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초기pH를 6~6.5로 설정하여 실험한 결과, 두 흡착제의 최종pH는 5.2~5.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중금속 흡착량은 초기 중금속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카드뮴 흡착의 경우에는 녹차잎은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 흡착량이 약 8 mg/g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리 이온 흡착은 상대적으로 낮은 흡착량인 3-3.5 mg/g 범위를 보였다. 또한, 납 이온은 15 mg/g을 상회하는 가장 높은 흡착량을 보였다. Freundlich 모델식을 적용하여 피팅(fitting)한 결과, Langmuir 모델식에 비해 모든 중금속 흡착에서 녹차잎은 0.9586-0.9932 범위의 높은 상관계수값(R 2 ) 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금속 흡착이 주로 다층흡착(multilayer sorption)반응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Redlich-Peterson 모델 피팅 결과, 전반적으로 Freundlich 모델 피팅 곡선과 거의 일치된 피팅 곡선을 보이며 흡착제에 의한 중금속 흡착이 Freundlich 모델식을 따르는 것을 뒷받침하였다.
2.4 계면활성제에 따른 흡착능 비교
계면활성제에 따른 흡착능을 비교하기 위해 10%의 계면활성제와 0.2 mM Cd, Cu, Pb을 포함한 용액에 흡착제 5 g L-1를 주입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계면활성제를 미포함한 0.2 mM Cd, Cu, Pb을 용액에 동일양의 흡착제를 주입하는 실험도 수행하였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ionic surfactant)인 sodium lauryl sulfate(SLS)와 양성(amphoteric) 계면활성제인 cocamidopropyl betaine(CAB)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가 없는 용액에서 녹차잎의 Cd, Cu, Pb 제거율은 80.1~985%인데 반해, SLS를 주입한 용액에서의 제거율은 19.1~86.9%, CAB를 주입한 용액에서는 38.5~94.1%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임계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를 초과한 계면활성제가 교질입자(micelle)들을 형성하여 흡착제와 오염물질 간의 반응을 저해한 것으로 추정된다(Marcolongo and Mirenda, 2011). SLS 계면활성제의 경우에는 10% 고농도 대신 적정량을 찾아 사용할 경우, 음이온성 SLS가 흡착제에 붙어 중금속 흡착에 유리할 것으로 추정된다.
3. 결론
본 연구에서는 흡착제로서의 녹차잎의 중금속 제거 흡착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 조건에서 흡착능을 평가하여 화장품 내 흡착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중금속(Cd, Cu, Pb)은 녹차잎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실기와 착화물을 형성하는 흡착반응을 통해 제거되었으며, 용액의 초기 pH 변화에 따른 최종 pH는 두 흡착제에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녹차잎은 흡착반응시간이 10 분일 때, 흡착평형에 도달했으며 제거율은 각각 약 80.3~97.5%, 약 81.9~90.4%이었다. 또한, 흡착 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PFO 및 PSO 모델을 적용한 결과, 녹차잎은 PFO보다 PSO에 더 부합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존재할 때 흡착제의 흡착능은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으나 38.5~94.1%의 중금속 제거율을 보이므로 화장품 내에 흡착제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올리브오일 20~40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트 10~30중량%, 에틸헥실팔미테이트 10~30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30중량%,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0~30중량%, 비즈왁스 5~10중량%, 정제수 1~5중량%를 기본으로 하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녹차가루 0.1~3중량%를 첨가하였다.
이때, 상기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녹차가루 0.1~3중량%를 초과하였을 시에는 계면활성제와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시험에 의해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클렌징오일밤 조성물에 녹차가루를 첨가한 후 해바라기씨 오일 1~5 중량%를 첨가하고, 호호바씨오일 0.5~1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5~1 중량%, 페녹시에탄올 0.5~1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5~1 중량%를 추가하여 피부의 클렌징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레몬껍질오일, 세드랏껍질오일, 왕귤껍질오일, 오렌지오일, 필리핀오렌지껍질오일, 라벤더오일, 유칼립튜스잎오일, 로즈마리잎오일, 오렌지꽃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4)

  1.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세정효과를 내는 올리브오일과; 피부의 유연제로 사용되는 세틸에틸헥사노에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와; 계면활성제 역활을 하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와; 경화제로 사용되는 비즈왁스와; 얼굴피부의 미세먼지와 노폐물을 흡착하여 탈리시킬 수 있는 녹차가루와; 상기 녹차가루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정제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올리브오일 20~40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트 10~30중량%, 에틸헥실팔미테이트 10~30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30중량%,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0~30중량%, 비즈왁스 5~10중량%, 정제수 1~5중량%, 녹차가루 0.1~3중량%를 기본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해바라기씨 오일 1~5 중량%를 첨가하고, 호호바씨오일 0.5~1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5~1 중량%, 페녹시에탄올 0.5~1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5~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레몬껍질오일, 세드랏껍질오일, 왕귤껍질오일, 오렌지오일, 필리핀오렌지껍질오일, 라벤더오일, 유칼립튜스잎오일, 로즈마리잎오일, 오렌지꽃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KR1020180032270A 2018-03-19 2018-03-19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KR20190109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70A KR20190109998A (ko) 2018-03-19 2018-03-19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70A KR20190109998A (ko) 2018-03-19 2018-03-19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98A true KR20190109998A (ko) 2019-09-27

Family

ID=6809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270A KR20190109998A (ko) 2018-03-19 2018-03-19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9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30B1 (ko) * 2020-07-24 2020-11-03 이도연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KR20220109819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라비오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30B1 (ko) * 2020-07-24 2020-11-03 이도연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KR20220109819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라비오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560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1821A (ko)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58507B1 (ko)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KR101032426B1 (ko) 한방 모발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8007411A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産生促進剤および表皮角化正常化剤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20150045049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40856A1 (zh) 雪莲花提取物、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109998A (ko) 녹차가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오일밤 조성물
CN106821776A (zh) 一种含石墨烯的黑头导出液
KR101703928B1 (ko) 미세 먼지 및 중금속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6611A (ko)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626A (ko) 누에 유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07929134B (zh) 一种苦参修复祛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191037A (zh) 一种银杏美白祛痘霜
KR101676292B1 (ko) 다시마, 오크라 및 참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2085170A (zh) 一种纳米级珍珠三七面膜膏及制备方法
CN108403532A (zh) 一种包含人参提取物的护肤剂
JPS60109526A (ja) 薬用植物エキスの製法
IT202100002735A1 (it) Metodo di estrazione e arricchimento di flavonoidi monoglicosilati da chrysanthellum indicum per il trattamento di patologie poliartritiche su base infiammatoria, per l'uso in dispositivi cosmetici, nutraceutici, medici e applicazioni farmaceutiche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06224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506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10943B1 (ko) 산딸기 추출물 분말 및 산딸기씨 분말을 함유하는 바디 스크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