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895A -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895A
KR20190109895A KR1020180031542A KR20180031542A KR20190109895A KR 20190109895 A KR20190109895 A KR 20190109895A KR 1020180031542 A KR1020180031542 A KR 1020180031542A KR 20180031542 A KR20180031542 A KR 20180031542A KR 20190109895 A KR20190109895 A KR 20190109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hose
vinyl
wat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463B1 (ko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이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희 filed Critical 이성희
Priority to KR102018003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4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52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 수막호스를 부동상태로 설치하여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과 함께 재배중인 농작물의 수막재배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성함을 제공하도록, 내측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며 내부프레임 및 내벽피복비닐로 구성한 내부하우스와, 상기 내부하우스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하며 외부프레임 및 외벽피복비닐로 구성한 외부하우스를 포함하는 하우스본체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내부하우스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관정으로부터 지하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하우스의 내벽피복비닐을 향해 살수가능하게 형성하는 수막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호스부는 상기 하우스본체의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 개의 살수공을 형성하는 수막호스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상기 외부하우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막호스를 부동상태로 연결 지지하는 호스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Vinyl House with Improving Functionality}
본 발명은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 결로방지, 보온성 기능, 및 개패 기능의 구조적 안정성과 편리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철제파이프 등을 연결한 터널 형태의 외형골조에 피복비닐을 덮여진 구조물로서, 주로 채소류나 화훼류, 과실류 등의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며, 폭설이나 강풍 등의 재해를 고려하여 설계한 권장 종류 및 규격의 비닐하우스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일부 보온력이 유지할 수 있어 사계절 내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지만, 식물의 주요 생육환경인 햇빛ㅇ온도ㅇ습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기존 비닐하우스구조물은 여름철의 강풍과 겨울철 한파 등이 하우스본체 외부프레임에 결합된 출입문인 도어부재, 외벽피복비닐에 설치된 차단막 사이로 바람이 유입되어 농작물이 피해를 입게 되어 생육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동절기(대략 11월부터 4월초까지)에 비닐하우스의 보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자연에너지인 지하수를 비닐하우스의 피복비닐에 살수하여 보온 및 단열효과를 높이므로 저온성 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수막(water curtain)재배 기술을 개발되고 있다.
상기 수막재배는 사계절 내내 일정한 온도(12~15℃)를 유지하는 지하수를 관정으로부터 인위적으로 끌어올려 급수관을 통해 공급하되, 비닐하우스의 비닐피복을 향해 지하수를 살수할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내 상단부 중간에 위치하는 수막호스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수막호스를 비닐하우스에 설치함에는 수막호스가 꼬이거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닐하우스의 설정위치에 정확하게 시공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수막호스의 설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58943호(2012.02.22.)에는 골주결속구는 중앙에 골주삽입홈을 형성하되 상/하측에는 가이드부 및 사각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지지부에는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조립공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호스걸이구는 호형인 호스걸이구 본체의 하방에는 요홈을 형성하되 상부 일방의 지지판 중앙에는 지지핀을 형성하며, 외측에 형성된 지지턱 및 타측 상부 선단에 형성된 조립공과 외측에는 지지턱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호스걸이구의 지지핀에 상기 골주결속구 하방의 사각지지부에 구비된 조립공을 선택하여 끼우고, 호스걸이구 타측의 조립공을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 비닐하우스의 수막재배용 용수호스 걸이대에 있어서, 골주결속구의 사각지지부는 호스걸이구 상부의 지지판과 조립공 내측에 위치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수호스의 꼬임과 처짐 없이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수막재배용 용수호스 걸이대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수막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 내 용수호스 즉 수막호스의 설치가 단순히 수막호스의 외주 둘레를 감싸며 걸이대의 자체적인 회동이 가능한 결합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수막호스의 지속적인 살수 수압이 영향을 미쳐 살수방향이 틀어지는 등 유동현상이 발생하며, 결국 외측 피복비닐을 비롯해 물이 사방으로 살수되어 비닐하우스 내 결로현상을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458943호 (2012.0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외 이중구조의 비닐하우스에 살수 중 살수호스의 부동상태를 지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살수호스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결로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수막재배를 위한 시설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외부 비가림 또는 해가림 자재의 개폐를 위한 개폐기의 지지구조 및 비닐하우스 도어의 개폐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비닐하우스의 내구성과 구동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는 내측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며 내부프레임 및 내벽피복비닐로 구성한 내부하우스와, 상기 내부하우스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하며 외부프레임 및 외벽피복비닐로 구성한 외부하우스를 포함하는 하우스본체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내부하우스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관정으로부터 지하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하우스의 내벽피복비닐을 향해 살수가능하게 형성하는 수막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호스부는 상기 하우스본체의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 개의 살수공을 형성하는 수막호스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상기 외부하우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막호스를 부동상태로 연결 지지하는 호스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외부에 천정 및 양쪽 측면을 감싸는 차단막과, 상기 하우스본체의 일측 지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지지봉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봉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막을 권취하는 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상기 개폐기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외부연장바와, 상기 외부연장바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기가 장착된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도어부재 상에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우스본체의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우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마감 측 벽면에 대하여 마감피복비닐을 결속 고정하는 비닐결속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비닐결속수단은 상기 내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마감피복비닐에 대응하여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결속홈을 형성하는 결속바와, 상기 결속바의 결속홈 내 설치하되 상기 마감피복비닐을 상기 결속홈 내 탄력적으로 접촉 고정하는 결속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수막호스부의 호스고정수단은 상기 외부하우스의 외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지지바와, 상기 연장지지바 상에 끼움 결합하고 외주면에 상기 수막호스가 감싸질 수 있게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동방지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연장지지바 상에 끼움 결합가능하게 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결단과, 상기 수직연결단 상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막호스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전후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단에는 상기 수막호스가 부분 절개상태로 연결되되 상기 수막호스 반대편의 상기 수평지지단에 지하수 공급을 위한 급수호스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에는 상기 수평지지단 상에 상기 수막호스 및 상기 급수호스를 압박고정하는 결박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내 수막호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우수한 살수효율을 도모하여 수막재배를 위한 하우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하우스 내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시설운영 및 내구성을 높이면서 동절기 작물의 재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비닐하우스의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와, 도어부재의 개폐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레일가이드를 구성으로 도어부재는 하우스본체의 전방에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패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도어부재는 레일가이드의 결속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됨에 따라 내외공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보온효과를 높이고 작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는 하우스본체에 연장하여 개폐기의 지지봉을 일체로 연결하므로, 개폐기의 구동력이 가해질 때 지지봉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개폐기의 구동안정성을 도모하고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는 하우스본체의 시공마감 측 벽면의 마감피복비닐을 결속 고정하므로, 마감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고 하우스 외부환경에 따른 재배환경의 악영향을 방지하며 시설의 구조적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하우스본체의 개폐기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 및 레일가이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하우스본체 중 마감 측 벽면 부분의 비닐결속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비닐결속수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수막호스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본 발명은 내측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며 내부프레임 및 내벽피복비닐로 구성한 내부하우스와, 상기 내부하우스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하며 외부프레임 및 외벽피복비닐로 구성한 외부하우스를 포함하는 하우스본체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내부하우스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관정으로부터 지하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하우스의 내벽피복비닐을 향해 살수가능하게 형성하는 수막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호스부는 상기 하우스본체의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 개의 살수공을 형성하는 수막호스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상기 외부하우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막호스를 부동상태로 연결 지지하는 호스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스본체(100)와, 수막호스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스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외측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이중설치구조로서, 내부하우스(110) 및 외부하우스(120)를 구성한다.
상기 내부하우스(110)는 상기 외부하우스(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측에 다양한 품종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내부하우스(110)에는 외면에 상기 수막호스부(200)로부터 지하수가 살수되어 수막재배가능한 재배환경이 조성되게 형성한다.
상기 내부하우스(110)는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의 구조로서, 지면에 설치 고정되되 활 형태를 이루며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아치형골조와 함께 상기 아치형골조를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가로골조 및 세로골조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111)과, 상기 내부프레임(111)을 전체적으로 덮어 내측 벽면을 형성하며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실 차단하는 내벽피복비닐(115)로 구성한다.
상기 외부하우스(120)는 상기 내부하우스(110)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구조로서, 외부프레임(121) 및 외벽피복비닐(125)로 구성한다.
상기 외부하우스(120)는 상기 내부하우스(110)보다 단지 면적이 넓게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외부하우스(120)의 구성인 외부프레임(121) 및 외벽피복비닐(125)은 각각 상기 내부하우스(110)의 내부프레임(111) 및 내벽피복비닐(115)의 구성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스본체(10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나 해를 가려주거나 바람을 막아주기 위한 목적을 갖는 차단막(135)과 함께 상기 차단막(135)을 개폐가능하게 구동하는 개폐기(137)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차단막(135)은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외부 벽면 즉 상기 외부하우스(120)의 외부 천정 및 양쪽 측면을 감쌀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차단막(135)으로는 일반적인 비닐이나 차광지 등의 재질을 사용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을 여러 겹으로 구비하는 다중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기(137)는 상기 차단막(135)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게 권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개폐기(137)는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일측에 이격되어 지면에 설치된 지지봉(133)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봉(133) 상에 상기 개폐기(137)가 수직이동가능하며 위치조정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개폐기(137)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봉(133)은 상기 하우스본체(100)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한다. 즉 상기 하우스본체(100)에는 상기 외부하우스(120)의 외부프레임(121)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개폐기(137)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외부연장바(131)와, 상기 외부연장바(131)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기(137)가 장착된 상기 지지봉(133)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130)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봉(133)에는 상단부가 상기 외부연장바(131)를 향해 굽어진 굽힘연장단부(134)를 구비하고, 상기 굽힘연장단부(134)에 상기 연결브라켓(130)이 접하여 연결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연결브라켓(130)은 상기 외부연장바(131)를 감싸되 상기 지지봉(133)의 굽힘연장단부(134)의 상/하부를 구분하여 감쌀 수 있게 접촉 고정하는 분할연결단(132)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외부연장바(131)에 접하는 상기 굽힘연장단부(134)의 끝단은 상호 용접 접합하여 1차 고정한 후, 상기 연결브라켓(130)으로부터 2차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구조적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우스본체(100)에 연장하여 개폐기(137)의 지지봉(133)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면, 개폐기(137)의 구동력이 가해질 때 지지봉(133)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개폐기(137)의 구동안정성을 도모하고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스본체(100)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140)와, 상기 도어부재(140)의 개폐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41) 및 레일가이드(143)를 구성한다.
상기 도어부재(140)는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전방에 좌우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도어부재(140)는 상기 하우스본체(100) 중 상기 내부하우스(110) 및 외부하우스(120)에 각각 구분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스(110) 및 상기 외부하우스(120)의 도어부재(140)에 모두 상기 가이드레일(141) 및 레일가이드(143)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41)은 상기 도어부재(140) 상에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레일가이드(143)는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내부프레임(111) 및 외부프레임(121) 상에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레일가이드(143)는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141)이 수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지지한다.
상기 레일가이드(143)는 상기 도어부재(140)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141)의 좌우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므로, 상기 도어부재(140)의 좌우 원활한 직선이동을 도모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141) 및 레일가이드(143)를 구성하면, 도어부재(140)의 원활한 개폐 직선이동을 도모하여 도어부재(140)의 흔들림 또는 걸림 등의 현상을 방지하며 시설의 사용편의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스본체(100)에는 내벽피복비닐(115) 또는 외벽피복비닐(125)을 전체적으로 감아 벽면을 시공한 후 마감 측 벽면의 시공에 대하여 마감피복비닐(157)을 결속 고정하는 비닐결속수단(150)을 구성한다.
상기 비닐결속수단(15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내부프레임(111) 및 외부프레임(121)) 상에 좌우 횡 방향 및 상하 종 방향으로 연장하여 고정 설치되는 결속바(151)와, 상기 결속바(151) 내 설치되는 결속스프링(155)으로 구성한다.
상기 결속바(151)에는 상기 마감피복비닐(157)에 대응하여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결속홈(152)을 형성한다.
상기 결속바(151)에는 상기 결속홈(152)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53)을 형성하므로, 상기 결속홈(152) 내 결합되는 결속스프링(155)을 이탈을 방지한 채 마감피복비닐(157)의 결속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속스프링(155)은 상기 결속바(151)의 결속홈(152) 내 설치하되 상기 마감피복비닐(157)을 상기 결속홈(152) 내 탄력적으로 접촉 고정한다.
상기 결속스프링(155)은 상하 수직방향을 향한 탄성력을 생성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물결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스본체(100)의 시공마감 측 벽면의 마감피복비닐(157)을 결속 고정가능한 비닐결속수단(150)을 구성하면, 마감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고 하우스 외부환경에 따른 재배환경의 악영향을 방지하며 시설의 구조적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막호스부(200)는 이중으로 설치된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구성 중에서 내부하우스(110)의 내벽피복비닐(115) 외면에 지하수를 살수하여 수막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막호스부(200)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스본체(100) 중 내부하우스(110)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내부하우스(110)의 내벽피복비닐(115)을 향해 살수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수막호스(210) 및 호스고정수단(220)을 구성한다.
상기 수막호스부(200)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관정으로부터 지하수를 공급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수막호스부(200)의 수막호스(210)에 지하수를 양수할 수 있도록 지하에 관정(도면에 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수막호스(210)에는 관정으로부터 지하수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막호스(210)는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연 상에 상기 내부하우스(110)를 향해 살수가능한 복수 개의 살수공(211)을 형성한다.
상기 수막호스(210)는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며 고정 설치하되,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의 일부가 상기 수막호스(210)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에 대응하여 상기 수막호스(210)를 절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막호스(210)의 절개된 한쪽 끝단은 상기 외부하우스(120) 상에 고정한다.
상기 수막호스(210)로 사용가능한 재질로는 염화비닐필름(PVC film)이나 폴리에틸렌필름(PE film), 아세트산비닐필름(EVA film) 등을 사용가능하다.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은 상기 수막호스(210)를 부동상태로 연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은 상기 수막호스(210)를 지지토록 연결하되 상기 하우스본체(100) 중 상기 외부하우스(120) 상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호스고정수단(22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스(120)의 외부프레임(121) 상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지지바(221)와, 상기 연장지지바(221) 상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수막호스(210)를 연결 지지하는 유동방지부재(225)를 구성한다.
상기 연장지지바(221)는 상기 외부프레임(121) 상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수평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유동방지부재(225)에 대응하여 수직직선방향으로 상향 굴곡됨에 따라 상단에 상기 유동방지부재(225)를 지지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외부프레임(121) 상에 설치되는 상기 연장지지바(221)의 경우 상기 외부프레임(121) 상에 설치되되 상기 연장지지바(221)의 한쪽 단부를 감싸 연결 고정하는 고정브라켓(222)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22)에 있어서는 상기한 연결브라켓(13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이루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25)는 상기 연장지지바(221)와의 끼움 결합을 위하여 상하 종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연결단(226)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연결단(226) 상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막호스(21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전후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단(227)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지지단(227)에는 상기 수막호스(210)와 함께 외부로부터 지하수가 공급될 수 있는 경로인 급수호스(2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지지단(227)의 일단에는 상기 수막호스(210)가 연결되며, 상기 수막호스(210) 반대편의 상기 수평지지단(227)에는 급수호스(230)가 연결되어 상기 수막호스(210)를 향해 지하수가 공급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유동방지부재(225)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서, "┬"자형 또는 "+"자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25)에는 상기 수막호스(210) 및 상기 급수호스(230)가 접하는 상기 수평지지단(227) 상에 상기 수막호스(210) 및 상기 급수호스(230)를 압박고정하기 위한 결박부재(228)를 구성하는 것이 수막호스(210)를 보다 부동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결박부재(228)로는 케이블타이나 끈, 고무밴드 등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내 수막호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우수한 살수효율을 도모하여 수막재배를 위한 하우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하우스 내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시설운영 및 내구성을 높이면서 동절기 작물의 재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하우스본체 110 : 내부하우스
111 : 내부프레임 115 : 내벽피복비닐 120 : 외부하우스
121 : 외부프레임 125 : 외벽피복비닐 130 : 연결브라켓
131 : 외부연장바 132 : 분할연결단 133 : 지지봉
134 : 굽힘연장단부 135 : 차단막 137 : 개폐기
140 : 도어부재 141 : 가이드레일 143 : 레일가이드
150 : 비닐결속수단 151 : 결속바 152 : 결속홈
153 : 걸림턱 155 : 결속스프링 157 : 마감피복비닐
200 : 수막호스부 210 : 수막호스 211 : 살수공
220 : 호스고정수단 221 : 연장지지바 222 : 고정브라켓
225 : 유동방지부재 226 : 수직연결단 227 : 수평지지단
230 : 급수호스

Claims (8)

  1. 내측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며 내부프레임 및 내벽피복비닐로 구성한 내부하우스와, 상기 내부하우스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하며 외부프레임 및 외벽피복비닐로 구성한 외부하우스를 포함하는 하우스본체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내부하우스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관정으로부터 지하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하우스의 내벽피복비닐을 향해 살수가능하게 형성하는 수막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막호스부는 상기 하우스본체의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 개의 살수공을 형성하는 수막호스와, 상기 하우스본체 중 상기 외부하우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막호스를 부동상태로 연결 지지하는 호스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외부에 천정 및 양쪽 측면을 감싸는 차단막과, 상기 하우스본체의 일측 지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지지봉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봉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막을 권취하는 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상기 개폐기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외부연장바와, 상기 외부연장바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기가 장착된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도어부재 상에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우스본체의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재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우 슬라이딩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본체에는 마감 측 벽면에 대하여 마감피복비닐을 결속 고정하는 비닐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닐결속수단은, 상기 내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마감피복비닐에 대응하여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결속홈을 형성하는 결속바와, 상기 결속바의 결속홈 내 설치하되 상기 마감피복비닐을 상기 결속홈 내 탄력적으로 접촉 고정하는 결속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막호스부의 호스고정수단은, 상기 외부하우스의 외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지지바와, 상기 연장지지바 상에 끼움 결합하고 외주면에 상기 수막호스가 감싸질 수 있게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연장지지바 상에 끼움 결합가능하게 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결단과, 상기 수직연결단 상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막호스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전후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단에는 상기 수막호스가 부분 절개상태로 연결되되 상기 수막호스 반대편의 상기 수평지지단에 지하수 공급을 위한 급수호스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에는 상기 수평지지단 상에 상기 수막호스 및 상기 급수호스를 압박고정하는 결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KR1020180031542A 2018-03-19 2018-03-19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KR10204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542A KR102041463B1 (ko) 2018-03-19 2018-03-19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542A KR102041463B1 (ko) 2018-03-19 2018-03-19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95A true KR20190109895A (ko) 2019-09-27
KR102041463B1 KR102041463B1 (ko) 2019-11-06

Family

ID=6809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542A KR102041463B1 (ko) 2018-03-19 2018-03-19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05A (ko) * 2019-08-01 2021-02-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막 및 양액 통합 재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3B1 (ko) 1999-06-30 2004-12-03 주식회사 포스코 박슬라브 비상 주조완료 및 인발방법
KR20110001145U (ko) * 2009-07-27 2011-02-08 이성영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용 스프링 연결구
KR20110122292A (ko) * 2010-05-04 2011-1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비닐하우스의 광투과율 저하를 막기 위한 수막재배장치 및 방법
KR101168666B1 (ko) * 2012-02-15 2012-07-25 박영환 비닐하우스의 출입문
KR20140147264A (ko) * 2013-06-19 2014-12-30 정욱철 비닐하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3B1 (ko) 1999-06-30 2004-12-03 주식회사 포스코 박슬라브 비상 주조완료 및 인발방법
KR20110001145U (ko) * 2009-07-27 2011-02-08 이성영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용 스프링 연결구
KR20110122292A (ko) * 2010-05-04 2011-1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비닐하우스의 광투과율 저하를 막기 위한 수막재배장치 및 방법
KR101168666B1 (ko) * 2012-02-15 2012-07-25 박영환 비닐하우스의 출입문
KR20140147264A (ko) * 2013-06-19 2014-12-30 정욱철 비닐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05A (ko) * 2019-08-01 2021-02-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막 및 양액 통합 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463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45689A1 (en) Pergola cover
ES2679318T3 (es) Techo retráctil
US4979331A (en) Hothouse for cultivation
US99866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vertical planter
CN204409104U (zh) 异顶大棚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KR101623563B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2041463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비닐하우스
KR100832105B1 (ko) 조립식 미니텃밭
CA1076805A (en) System for supporting plants, bushes and small trees
KR101305406B1 (ko) 옥상용 식물재배 하우스
KR101284568B1 (ko) 작물재배용 시설하우스
KR101922033B1 (ko)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JP6861371B2 (ja) 農業用ハウス、農業用ハウスのカーテンシステム
KR102085248B1 (ko) 내 재해형 고단열 비닐하우스
KR20200057211A (ko) 과수목용 비닐하우스
CN205431264U (zh) 太阳能植物工厂温室
KR101149464B1 (ko) 비닐 하우스의 이중 필름 피복장치
UA75678C2 (en) Movable mountable-and-dismountable portable greenhouse
KR101207058B1 (ko) 작물재배용 가림막
KR100923590B1 (ko) 멀티 플렉스 하우스 구조물
CN216452262U (zh) 多功能折叠式幼苗遮阴棚
JPH05292840A (ja) 移動式植込み
KR101658953B1 (ko) 비닐하우스
KR100348531B1 (ko) 원예식물 재배용 온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