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687A -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687A
KR20190109687A KR1020180031095A KR20180031095A KR20190109687A KR 20190109687 A KR20190109687 A KR 20190109687A KR 1020180031095 A KR1020180031095 A KR 1020180031095A KR 20180031095 A KR20180031095 A KR 20180031095A KR 20190109687 A KR20190109687 A KR 20190109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mpressor
clamp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728B1 (ko
Inventor
이정애
김길섭
Original Assignee
이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애 filed Critical 이정애
Priority to KR102018003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7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봉부재를 사용하기 본선이 있는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슬리브를 좌우 양측에서 받침대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선에 압축기에 고정된 슬리브를 걸어서 고정할 때 슬리브가 압축기에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Clamp for sleeve compressor}
본 발명은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봉부재를 사용하기 본선이 있는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슬리브를 좌우 양측에서 받침대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선에 압축기에 고정된 슬리브를 걸어서 고정할 때 슬리브가 압축기에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 상의 본선과 분기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전선 접속용 슬리브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각각 본선과 인하용 분기선을 삽입한 후, 압축기에 삽입되어 압축 공정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졌다.
종래의 슬리브용 압축기는 삽입홈에 슬리브를 삽입한 후 압축기의 실린더가 상승하여 슬리브를 압축하였으나, 작업자가 한 손으로 압축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슬리브를 압축기에 삽입한 뒤 압축기의 실린더를 구동하여 슬리브의 압축이 이루어졌다.
종래의 슬리브 압축기는 작업자가 슬리브를 압축기의 슬리브 삽입홈에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 슬리브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슬리브를 고정하는 다이스와 슬리브의 거리가 너무 이격되어 슬리브가 압축기의 슬리브 삽입홈에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거나 압축기로부터 이탈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다이스가 슬리브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다이스를 움직일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000호에서는 압축기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갖으며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삽입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하며, 내부가 비어 있고 일측에 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 프란자와;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 수용홈에 볼이 삽입되며 스프링 프란자와 결합되도록 내부에 볼 프란자가 삽입되는 체결부가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지지형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슬리브를 압축기 상단에 배치된 다이스로 고정하는 데 실제 작업 중 압축기에서 슬리브가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안전상 문제가 있었으며, 작업자가 본선 높이까지 올라가서 압축기 헤드를 잡고 작업을 해야 하므로, 접속 작업 대상 본선 주변에 다수의 전선들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졌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본선에 분기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작업용 사다리차를 이용하지 않으면 작업을 할 수 없는 제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00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봉부재를 사용하기 본선이 있는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슬리브를 좌우 양측에서 받침대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선에 압축기에 고정된 슬리브를 걸어서 고정할 때 슬리브가 압축기에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는 본선에 분기선을 연결하는 슬리브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절단된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 절단면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상기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고정부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2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와 지지부재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고정부 몸체와; 한 쌍의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의 양단을 받치는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되는 손잡이 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있어서, 받침대는 상기 제2고정홀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있어서, 받침대는 상기 슬리브의 하단을 받치는 'V'자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제2고정홀의 하단으로 인출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제2고정홀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2연결바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있어서, 수용부 또는 연결부 내면에는 복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있어서, 손잡이 봉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원판이 형성되는 제1봉부재와, 일단에 상기 제1원판에 결합하는 제2원판이 형성되는 제2봉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원판 및 제2원판은 각각 중앙에 체결구가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서로 맞닿는 면에는 치합되는 방사형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의하면, 손잡이 봉부재를 사용하기 본선이 있는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슬리브를 좌우 양측에서 받침대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선에 압축기에 고정된 슬리브를 걸어서 고정할 때 슬리브가 압축기에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슬리브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슬리브를 제거한 상태의 슬리브 압축기에서 실린더가 상승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슬리브를 삽입한 다음, 받침대를 상승시켜 슬리브를 고정한 다음, 본선과 분기선을 삽입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서 회동가능한 구조의 손잡이 봉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 봉부재가 제1, 2봉부재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용부 또는 연결부 내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및 클램프 모듈을 압축기에 설치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슬리브를 제거한 상태의 슬리브 압축기에서 실린더가 상승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 슬리브를 삽입한 다음, 받침대를 상승시켜 슬리브를 고정한 다음, 본선과 분기선을 삽입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에서 회동가능한 구조의 손잡이 봉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 봉부재가 제1, 2봉부재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수용부 또는 연결부 내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100)는 크게 클램프 몸체(110)와, 제1고정부 몸체(120)와, 제2고정부 몸체(122)와, 받침대(130)와, 손잡이 봉부재(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100)가 설치되는 압축기(10)는 압축기 헤드(11)와, 상기 압축기 헤드(11)에 마련된 삽입홈(12)과, 상기 압축기 헤드(11) 하부에 배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 등으로 구동하는 실린더(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슬리브(20)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본선(23)과 분기선(25)을 삽입하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본선에 분기선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삽입홈에 슬리브를 삽입 및 고정한 다음, 압축기에 고정된 슬리브의 상측 삽입구(21)에 본선이 삽입되도록 하고, 하측 삽입구(22)에 분기선을 삽입하고, 압축기의 실린더를 상승시켜 슬리브를 압축하면 본선과 분기선의 접속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 몸체(110)는 압축기 헤드(11)의 하측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절단된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1)와, 상기 지지부재(111)의 양단 절단면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관통공(11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112)와, 상기 관통공(113)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구(115)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1)를 압축기 헤드(11) 하부에 끼운 다음 관통공(113)에 볼트 등의 체결구(115)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1고정부 몸체(120)는 상기 손잡이 봉부재(150)를 클램프 몸체(110)의 지지몸체(131)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121)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12)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고정홀(121)에는 상기 손잡이 봉부재(150)의 일단에 마련된 볼트 등의 체결구(115)가 삽입되고 너트로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부 몸체(122)는 상기 받침대(130)를 클램프 몸체(110)의 지지몸체(131)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11)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2고정홀(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 몸체(122)는 상기 절곡부(112)와 지지부재(111)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30)는 상기 슬리브(20)의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슬리브(20)의 좌우 양측을 받치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받침대(130)는 한 쌍의 제1고정홀(121)에 체결된다.
상기 받침대(130)는 상기 제2고정홀(123)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크게 지지몸체(131)와, 제1연결바(135)와, 제2연결바(136)와, 스프링(1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몸체(131)는 상기 슬리브(20)의 하단을 받치는 'V'자 형상의 수용부(132)와, 상기 수용부(13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3)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는 'Y'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32)를 상광하협의 'V'자 형상으로 구성한 이유는 폭이 다른 슬리브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용부 또는 연결부 내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내지 길이가 작은 슬리브(20)를 지지하여 상승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의 하단에는 홀(134)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바(135)의 상단이 삽입하여 나사 결합 방식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연결바(135)는 상단은 상기 연결부(133)에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2고정홀(123)에 삽입된다.
상기 제2연결바(136)는 상기 제1연결바(135)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135)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제2고정홀(123)의 하단으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홀(123)은 상기 제1연결바(135)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제2고정홀(123)의 하단에는 단턱(125)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37)은 제2고정홀(123)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연결바(135)를 탄성에 의해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연결바(136)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고정홀(123) 내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37)의 상단은 상기 제1연결바(135)의 하면에 접하게 되고, 하단은 상기 제2고정홀(123)의 하측 단턱(125)에 거치된다.
상기 제2연결바(13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홀(123)의 하측으로 인출된 영역에는 너트가 체결된다.
상기 너트(138)는 상기 제2연결바가 제2고정홀의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고정홀에 나서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2고정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상기 너트(138)를 돌려 위로 상승시킬수록 지지몸체(131)는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너트(138)를 반대로 돌려 아래로 하강시키게 되면 지지몸체(131)는 상측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지지몸체(131)는 상기 너트(138)가 제2고정홀(123)에 걸리지 않는 이상 스프링(137)에 의해 위로 상승하려는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2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슬리브 상단을 삽입홈 내지 다이스(13) 상단과 밀착시켜 고정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000호에서는 슬리브의 상단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삽입홈의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 프란자와, 스프링 프란자에 결합된 다이스가 개시되어 있었으나, 실린더의 상승으로 슬리브가 압착될 때 실린더의 압착력이 스프링 프란자에 그대로 전해지기 때문에 스프링 프란자의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스프링 프란자 및 다이스가 슬리브의 중앙 영역에서만 가압하기 때문에 본선을 슬리브의 상측 삽입구에 삽입할 때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슬리브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압축기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과 같이 한 쌍의 받침대가 슬리브의 양단 하단에서 가압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슬리브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 봉부재(150)는 슬리브 압착 작업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반 사정에 따라 작업자가 슬리브 압착 작업이 이루어지는 본선(23)과 이격되는 경우에도 압착기에 고정된 슬리브(20)를 본선(23)에 설치하고 압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손잡이 봉부재(150)는 전선 접속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절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 봉부재(150)는 그 상단에 마련된 볼트(151)를 상기 제1고정부 몸체(120)에 마련된 제1고정홀(121)에 삽입한 다음, 볼트(151)에 너트를 체결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손잡이 봉부재(150)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120)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원판(154)이 형성되는 제1봉부재(152)와, 일단에 상기 제1원판(154)에 결합하는 제2원판(155)이 형성되는 제2봉부재(153)로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봉부재는 작업 여건에 따라 작업자가 슬리브 압착작업이 이루어지는 본선의 직하방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도 압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제1원판(154) 및 제2원판(155)은 각각 중앙에 볼트 등의 체결구(115)가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관통홀(158)이 형성되며, 서로 맞닿는 면에는 치합되는 방사형 톱니(1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및 클램프 모듈을 압축기에 설치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d의 사진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을 제작하여 실제로 분기선 압축에 사용해 본 결과, 절연성의 손잡이 봉부재를 사용하기 본선이 있는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압축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슬리브를 좌우 양측에서 받침대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에 고정된 슬리브를 본선에 걸어서 고정할 때 슬리브가 압축기에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압축기 11 : 압축기 헤드
12 : 삽입홈 13 : 다이스
14 : 실린더 20 : 슬리브
21 : 상측 삽입구 22 : 하측 삽입구
23 : 본선 25 : 분기선
100 : 클램프 110 : 클램프 몸체
111 : 지지부재 112 : 절곡부
113 : 관통공 115 : 체결구
120 : 제1고정부 몸체 121 : 제1고정홀
122 : 제2고정부 몸체 123 : 제2고정홀
125 : 단턱
130 : 받침대 131 : 지지몸체
132 : 수용부 133 : 연결부
134 : 홀 135 : 제1연결바
136 : 제2연결바 137 : 스프링
138 : 너트
150 : 손잡이 봉부재 151 : 볼트
152 : 제1봉부재 153 : 제2봉부재
154 : 제1원판 155 : 제2원판
157 : 방사형 톱니 158 : 관통홀

Claims (5)

  1. 본선에 분기선을 연결하는 슬리브 압축기에 설치되는 클램프 모듈에 있어서,
    일측이 절단된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 절단면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상기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클램프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고정부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2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와 지지부재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고정부 몸체와;
    한 쌍의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리브의 양단을 받치는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되는 손잡이 봉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2고정홀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슬리브의 하단을 받치는 'V'자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제2고정홀의 하단으로 인출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제2고정홀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2연결바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또는 연결부 내면에는 복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 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원판이 형성되는 제1봉부재와, 일단에 상기 제1원판에 결합하는 제2원판이 형성되는 제2봉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원판 및 제2원판은 각각,
    중앙에 체결구가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서로 맞닿는 면에는 치합되는 방사형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모듈.
KR1020180031095A 2018-03-16 2018-03-16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KR10210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95A KR102108728B1 (ko) 2018-03-16 2018-03-16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95A KR102108728B1 (ko) 2018-03-16 2018-03-16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687A true KR20190109687A (ko) 2019-09-26
KR102108728B1 KR102108728B1 (ko) 2020-05-11

Family

ID=6806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095A KR102108728B1 (ko) 2018-03-16 2018-03-16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701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작업용 압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210A (ja) * 2000-06-12 2001-12-2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ジャンパソケット開放工具
JP2008113513A (ja) * 2006-10-31 2008-05-15 Chudenko Corp 遠隔操作油圧工具
KR101115000B1 (ko) 2010-10-20 2012-04-17 주식회사 승호전기 슬리브 지지형 압축기
JP2014143820A (ja) * 2013-01-23 2014-08-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及び間接活線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210A (ja) * 2000-06-12 2001-12-2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ジャンパソケット開放工具
JP2008113513A (ja) * 2006-10-31 2008-05-15 Chudenko Corp 遠隔操作油圧工具
KR101115000B1 (ko) 2010-10-20 2012-04-17 주식회사 승호전기 슬리브 지지형 압축기
JP2014143820A (ja) * 2013-01-23 2014-08-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及び間接活線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701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작업용 압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728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9195A (zh) 一种机匣零件的支撑工装
KR20190109687A (ko) 슬리브 압축기용 클램프
CN203418476U (zh) 单作用千斤顶装配夹具
CN204533083U (zh) 一种卡扣结构的拆卸装置
CN210413371U (zh) 一种防水线夹前端卡口压入装置
CN218950799U (zh) 一种基于卫星承力筒吊装的吊具
KR101997685B1 (ko)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KR20130017279A (ko) 클램핑 장치
CN111288051A (zh) 快速锁高压接头机构
CN211709341U (zh) 一种用于机械手臂加工的夹持工具
CN210616308U (zh) 一种汽车零部件检测模具的固定装置
US6267486B1 (en) Locators in a net-shaped Christmas light assembly
KR20090012535U (ko) 호스 조임 장치
CN213540952U (zh) 快速锁高压接头机构
KR101531333B1 (ko) 선체블록용 전도방지장치
CN213954085U (zh) 一种多方位调节抱箍
CN108033396B (zh) 一种建筑施工起吊收紧装置
CN210938872U (zh) 一种工装压紧卡具装置
CN210388808U (zh) 一种简易抵钉座固定夹持装置
KR200477492Y1 (ko) 단자 압착기
CN217019435U (zh) 一种异型工件加工用辅助工装
CN2840433Y (zh) 安装电缆拉紧夹具
CN210268432U (zh) 一种安全气囊支架检具
CN219095065U (zh) 一种支撑稳固的可调节型加工平台
CN212520704U (zh) 用于开果的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