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539A -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539A
KR20190109539A KR1020197025784A KR20197025784A KR20190109539A KR 20190109539 A KR20190109539 A KR 20190109539A KR 1020197025784 A KR1020197025784 A KR 1020197025784A KR 20197025784 A KR20197025784 A KR 20197025784A KR 20190109539 A KR20190109539 A KR 2019010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phase angle
voltage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브롬바흐
Original Assignee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3/38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6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adjustment of reactive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02E10/7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02E4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드 전압(UGRID)으로 작동되며 그리드 정격 전압(UNENN)을 갖는 전력 공급 그리드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급된 전력은 무효 전력 성분을 가지며, 상기 무효 전력 성분은 위상각(φ)에 의해 미리 정해지고, 상기 위상각은 공급된 전력의 전류(I)와 전압(U)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상기 위상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T1)를 특징으로 하는 지연 함수(310)를 갖는 위상각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전력 공급 그리드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기 에너지 발전기, 특히 풍력 발전 설비 및 풍력 발전 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 발전기는 전력 공급 그리드의 전기 부하와 병렬 모드에서 작동된다.
이러한 모드 동안 발전기 의해 제공되는 유효 전력은 변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발전기의 그리드 접속점에서 그리드 전압(UGRID)도 변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동은 안전한 작동을 위해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유효 전력 공급의 변동 시에도 전압 변동을 보다 잘 제어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적어도 기존의 공개된 해결 방법에 대한 대안예가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력 공급 그리드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방법이 제안된다. 전력 공급 그리드는 그리드 정격 전압을 가지며, 그리드 전압으로 작동된다. 또한, 공급된 전력은 유효 전력- 및 무효 전력 성분을 갖는다.
전력 공급의 제어는 본 발명에 따라 위상각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위상각은 공급된 전력의 전압과 공급된 전류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위상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를 특징으로 하는 지연 함수를 갖는 위상각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공급된 전력의 무효 전력 성분을 제어하기 위해, 위상각 제어부가 제안되고, 상기 위상각 제어부는 이를 위해 지연 함수를 갖는다.
간단히 지연이라고도 하는 지연 함수는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를 갖는다.
따라서 위상각 제어부는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변동에 즉시 응답하지 않고, 오히려 시간 지연되어 이에 뒤쳐진다.
시간 상수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전력 공급 그리드에 대한 발전기의 시스템 거동을 감쇄시킨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그리드의 진동이 발생하면, 발전기는 이러한 진동에 감쇄 작용을 하고 또는 이를 증폭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진동 또는 그리드 교란에 특히 조심스럽게 반응한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그리드 교란에 대한 응답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발전기의 소위 오버 슈트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에 의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다음과 같이 전력 공급 그리드를 지원하도록 제공된다: 그리드 전압이 초기에 일시적으로 변동되는 경우, 전류 공급은 처음 순간, 즉 일시적인 그리드 전압 변동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유도성으로 공급하는 풍력 발전 설비 또는 풍력 발전 단지가 동시에 저여기 운전 시 부하가 연결되는 경우에, 풍력 발전 설비 또는 풍력 발전 단지의 접속 단자에서의 위상은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 위상기로 점프한다. 전력 공급 그리드에서 부하 연결로 인해 공급 그리드 전압은 일반적으로 국부적으로 떨어지고, 그리드 내의 주파수는 감소한다. 그러나 지연된 위상각 제어부는 전력 공급 그리드의 주파수를 지원하기 위해 유효 전력 공급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풍력 발전 설비 또는 풍력 발전 단지의 축소된 저여기 운전에 의해 전압이 지원되며, 그 이유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저여기된 공급된 무효 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부하 차단으로 인해 위상이 전류 위상기에서 멀어지면, 공급 그리드 전압은 상승한다. 그러나 제안된 지연된 위상각 제어부는, 전력 공급 그리드의 주파수를 지원하기 위해 유효 전력 공급을 감소시키고, 전압 상승을 축소하기 위해 유도성 무효 전류를 높인다. 바람직하게는 위상각 제어부는 특히, 그리드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전압 설정값으로 조절되도록, 전력 공급 그리드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전압에 따라서 위상각을 변경한다. 따라서 위상각은 검출된 그리드 전압에 따라서 설정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발전기의 그리드 접속점에서 그리드 전압이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특히 전력 공급 그리드의 상이한 지점에서 그리드 전압이 간단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고, 따라서 기존의 발전기, 특히 풍력 발전 설비에서 큰 복잡성 없이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상각은, 상기 위상각이 그리드 전압을 미리 정해진 전압 설정값으로 조절하도록 설정된다. 이를 위해, 미리 정해진 전압 설정값은 자유롭게 파라미터화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 그리드 정격 전압의 105% 내지 110% 범위의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발전기는, 그리드 접속점에서의 그리드 전압을 그리드 정격 전압 이상의 값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발전기, 특히 풍력 발전 단지가 공급에 의해 야기된 그리드 접속점에서의 전압 상승을 무효 전력 공급에 의해 자체 보상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지점에서 그리드 전압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도록, 위상각이 변경된다.
따라서 위상각은 가변적이고, 즉 위상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위상각은,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한 지점에서의 그리드 전압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지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발전기의 그리드 접속점이다. 예를 들어, 발전기는 풍력 발전 단지이고 미리 정해진 지점은 풍력 발전 단지의 그리드 접속점이다. 이 경우 위상각은, 그리드 접속점에서의 그리드 전압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그리드 접속점에서의 그리드 전압의 1.05 p.u.이도록, 검출된 그리드 전압에 따라서 변경된다. 따라서 발전기는 그리드 접속점에서 무효 전력 성분과 유효 전력 성분을 포함하는 전력을 공급하여, 그리드 접속부에서의 그리드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실질적으로 미리 정해진 전압 설정값에, 예를 들어 그리드 정격 전압의 1.05 p.u에 상응한다. 발전기의 그리드 접속점에서 전력 공급 그리드가 10kV의 그리드 정격 전압을 가지면, 발전기는, 그리드 접속점에서 10.5kV의 그리드 전압이 설정되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풍력 발전 단지가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임의의 사전 설정 가능한 지점에서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그리드 전압을 지원하고 또는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전기 에너지 발전기, 예를 들어 풍력 발전 단지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지점은 그리드 접속점이고, 그리드 전압은 발전기의 그리드 접속점에서도 검출된다.
바람직하게 위상각은 설정 전압에 따라서 변경되며, 설정 전압은 그리드 정격 전압의 105 % 내지 110 %의 범위에서 미리 정해진다.
따라서 위상각은 설정 전압에 따라서 변경되고, 상기 설정 전압, 즉 전압 설정값은 그리드 정격 전압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드 정격 전압 이상의 설정 전압의 이러한 선택은 위상각의 트래킹,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함수와 마찬가지로 전력 공급 그리드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인식되었다. 이로 인해 전력 공급 그리드의 진동 거동과 관련하여 특히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이로써 공급 그리드 내에 발생하는 그리드 진동이 평소보다 더 많이 감쇄될 수 있어서, 특히 시스템 분할 또는 정전의 위험이 더욱 최소화된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예를 들어 브라질과 같은 약한 전력 공급 그리드와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SSR 진동이라고도 하는 서브 동기 진동 공진을 감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SSR 진동은 그리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예를 들어 50Hz의 그리드 주파수에서 30Hz의 진동이다. 제안된 지연 트래킹으로 인해 직렬 공진에 의한 이러한 제어 진동은 쉽게 불가능하며, 그 이유는 위상각 제어부의 지연이 이를 저지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지연 함수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가 변경된다.
따라서 시간 상수는 변경 가능하다. 특히, 시간 상수는 작동 중에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우세한 그리드 조건 또는 우세한 그리드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상수는 불안정한 그리드 상태보다 매우 안정한 그리드 상태에서 더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시간 상수는 바람직하게 그리드 상태 또는 우세한 그리드 상태에 따라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연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 또는 지연 함수는 적응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응은 특히 그리드 상태에 따라서 수행된다.
따라서 지연 함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는 작동 중에 적응 또는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조정되거나 설정된다. 적응은 바람직하게는 그리드 상태에 따라서, 예를 들어 검출된 그리드 전압에 따라서 수행된다. 시간 상수는 예를 들어 그리드 정격 전압과 검출된 그리드 전압의 편차에 따라서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연 함수의 설정 또는 변경은 적응 알고리즘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그리드 감도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된다. 그리드 감도는 그리드 접속점에서 유효 전력 공급의 변동에 대한 그리드 접속점에서 전압 변동의 비율로 설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상각 제어부는 비례 전달 거동을 가지므로, 위상각 제어부는 전압 편차에 비례해서 위상각을 미리 정하고, 지연 함수는 1차, 2차 또는 더욱 고차의 전달 함수, 특히 선형 전달 함수를 갖는다.
따라서 위상각 제어부는 비례 거동을 갖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P-제어기의 이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전압 편차, 즉 그리드 정격 전압과 검출된 그리드 전압의 편차 또는 미리 정해진 전압 설정값과 검출된 그리드 전압의 편차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 상수 및 위상각 제어부의 비례 거동에 의해, 위상각 제어부는 그리드 교란에 특히 조심스럽게 반응한다. 이러한 위상각 제어부를 구현하기 위해, 특히 선형 전달 함수를 형성하는 PT1- 또는 PT2-요소, 즉 1차 또는 2차 지연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순수한 I-요소의 사용은 그리드 안정성과 관련해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지연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는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특히 전력 공급 그리드의 운영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시간 상수는 그리드 운영자에 의해 언제든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그리드 운영자는, 시간 상수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위상각 제어부 자체의 거동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임계적인 그리드 상황에서, 예를 들어 그리드 복구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위상각 제어부가 특히 엄격한 조절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리드 운영자는 이러한 요구 사항에 따라 시간 상수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상각 제어부는 비선형 전달 거동을 갖거나 위상각 제어부는 더 고차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차 다항 함수에 의해 맵핑될 수 있는 전달 거동을 갖는다. 이로 인해, 위상각 제어부의 진폭 의존성이 달성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더 높은 전압 편차에 대해 더 높은 이득이 달성될 수 있다.
비선형 거동은 예를 들어 위상각 제어부의 더 고차의 다항 함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상각 제어부는 전력 공급 그리드의 그리드 상황에 따라서, 특히 전력 공급 그리드의 그리드 감도에 따라서 위상각을 트래킹한다.
따라서, 위상각 제어부를 적응적으로, 특히 전력 공급 그리드 또는 전력 공급 그리드의 우세한 그리드 상황이 고려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그리드는 약하게 형성되고, 즉 소수의 발전기와 부하만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위상각 제어부는 전력 공급 그리드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특히 특수한 그리드 상황에 대해, 위상각의 제어 시 적절하게 그리드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위상각은 그리드 감도에 따라서 트래킹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 경우 그리드 감도는 또한 바람직하게 공급된 유효 전력의 변동에 대한 전력 공급 그리드의 전압의 변동으로서 지정된다. 따라서 위상각 제어부는 바람직하게 비선형 전달 거동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또는 이하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상각 제어부를 갖는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발전기, 특히 풍력 발전 설비가 제안된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 발전기는 바람직하게는 풍력 발전 설비이다. 풍력 발전 설비 또는 발전기는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 유닛, 예를 들어 전력 인버터를 포함한다. 전력 인버터는 또한 위상각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동부를 가지며, 상기 위상각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함수를 갖는다.
이로써, 풍력 발전 설비는 그리드 제어에 특히 조심스럽게 관여할 수 있다. 풍력 발전 설비는 이를 위해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풍력 발전 설비는, 특히 레벨 및 유형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을 매우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발전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력 발전 설비는 눈에 띄게, 물리적으로 제한된 자체 지연 거동을 갖지 않기 때문에, 발전기는 매우 신속하게 조절 및 반응하여 지연이 능동적으로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풍력 발전 설비와 하나의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가 추가로 제안되며, 상기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은 전술한 또는 하기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상각 제어부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함수를 포함하는 위상각 제어부는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에서 구현된다.
이로써 다수의 풍력 발전 설비들이 결합되어 전기 에너지 발전기를 형성하며, 상기 발전기는 본 발명에 따른 거동을 갖는다. 특히,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에서 지연 함수가 구현된다. 풍력 발전 단지도 기본적으로, 풍력 발전 설비처럼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고 따라서 풍력 발전 단지도 풍력 발전 설비에 대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방법의 실시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설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단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상각 제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 유닛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100)를 도시하고, 상기 발전기 유닛은 위상각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발전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를 특징으로 하는 지연 함수를 갖는 위상각 제어부에 의해 전술한 또는 이하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풍력 발전 설비는 타워(102) 및 나셀(104)을 갖는다. 나셀(104)에는 3개의 로터 블레이드(108) 및 스피너(110)를 갖는 로터(106)가 배치된다. 로터(106)는 작동 시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나셀(104) 내의 발전기를 구동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단지(200)의 구조를 도시한다. 풍력 발전 단지(200)는 예를 들어 풍력 발전 단지 그리드(220)를 통해 서로 연결된 3개의 동일한 구조의 풍력 발전 설비(210)를 갖는다. 풍력 발전 설비(210)는 풍력 발전 설비 제어 유닛(212)을 포함하고, 풍력 발전 단지 변압기(230), 공급 라인(240) 및 그리드 변압기(250)에 의해 그리드 접속점 PCC에서 풍력 발전 단지 그리드(220)를 통해 전력 분배 그리드(260) 내로 공급되는 무효 전력 성분을 포함하는 전력을 생성한다.
풍력 발전 단지(200)는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270)을 갖는다.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270)은 공급된 전력의 전류(I)와 전압(U)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위상각(φ)을 설정하기 위해 위상각 제어부(300)를 갖는다. 이를 위해, 위상각 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T1)를 특징으로 하는 지연 함수를 갖는다.
통신 인터페이스(27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T1)는, 예를 들어 그리드 운영자에 의해, 외부에서 설정될 수 있다. 설정 전압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72)를 통해, 특히 그리드 정격 전압(UNENN)의 105% 내지 110%의 범위에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270)은 그리드 전압(UGRID)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 장치(274) 및 풍력 발전 설비(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276)를 갖는다. 특히, 위상각 제어부(300)에 의해 계산된 위상각(φ1, φ2, φ3)은 제어 인터페이스(276)를 통해 풍력 발전 설비(21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상각 제어부(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위상각 제어부(300)는 1차 지연 함수를 가지며, 따라서 1차 전달 함수를 형성한다. 지연 함수(310)는 외부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상수(T1)를 갖는다. 이는, 예를 들어 그리드 운영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드 운영자는 지연을 변경하고 또는 시간 상수(T1)를 설정하기 위해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검출된 그리드 전압(UGRID) 및 설정 전압(USOLL)은 위상각(φN)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변수(AU)로서 사용되며, 이 경우 설정 전압(USOLL)은 그리드 정격 전압의 105% 내지 110%의 범위에서 미리 정해진다. 사전 설정은 그리드 운영자 또는 발전기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입력 변수(AU)는 따라서 조절 편차, 즉 검출된 그리드 전압(UGRID)과 미리 정해진 설정 전압(USOLL)의 차이이다.
따라서 위상각(φN)은 조절 편차(AU)로부터 결정되며, 상기 위상각(φN)은 지연된 위상각이다.
위상각(φN)은 발전기의 해당 제어 유닛에 전달된다. 따라서 위상각(φN)은, 그리드 전압이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지점에서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변경된다.

Claims (12)

  1. 그리드 전압(UGRID)으로 작동되며 그리드 정격 전압(UNENN)을 갖는 전력 공급 그리드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급된 전력은 무효 전력 성분을 가지며, 상기 무효 전력 성분은 위상각(φ)에 의해 미리 정해지고, 상기 위상각은 상기 공급된 전력의 전류(I)와 전압(U)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상기 위상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T1)를 특징으로 하는 지연 함수(310)를 갖는 위상각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되는 것인, 전력 공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위상각 제어부(300)는 특히, 그리드 전압(UGRID)이 미리 정해진 전압 설정값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 그리드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전압(UGRID)에 따라서 상기 위상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전력 공급 그리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지점에서 상기 그리드 전압(UGRID)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위상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위상각은 설정 전압(USOLL)에 따라서 변경되고, 상기 설정 전압(USOLL)은 상기 그리드 정격 전압(UNENN)의 105% 내지 110% 범위에서 미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지연 함수(310)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는, 특히 그리드 상태 및/또는 그리드 감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지연을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 또는 상기 지연 함수(310)는 적응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적응은 특히 그리드 상태 및/또는 그리드 감도에 따라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위상각 제어부(300)는 비례 전달 거동을 가지므로, 상기 위상각 제어부(300)는 전압 편차에 비례해서 위상각을 미리 정하고,
    - 상기 지연 함수(310)는 1차, 2차, 또는 더욱 고차의 전달 함수, 특히 선형 전달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지연을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상수는 외부에서, 특히 상기 전력 공급 그리드의 운영자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위상각 제어부(300)는 비선형 전달 거동을 갖거나, 또는
    - 상기 위상각 제어부(300)는, 더욱 고차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차 다항 함수에 의해 맵핑될 수 있는 전달 거동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위상각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 그리드의 그리드 상황에 따라서, 특히 전력 공급 그리드의 그리드 감도에 따라서 상기 위상각을 트래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상각 제어부(300)를 갖는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발전기, 특히 풍력 발전 설비.
  12. 적어도 2개의 풍력 발전 설비(210)와 하나의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270)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단지(200)로서, 상기 풍력 발전 단지 제어 유닛(270)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상각 제어부(300)를 갖는 것인 풍력 발전 단지(200).
KR1020197025784A 2017-02-02 2018-02-02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KR20190109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2018.7A DE102017102018A1 (de) 2017-02-02 2017-02-02 Verfahren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in ein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DE102017102018.7 2017-02-02
PCT/EP2018/052617 WO2018141892A1 (de) 2017-02-02 2018-02-02 Verfahren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in ein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539A true KR20190109539A (ko) 2019-09-25

Family

ID=6118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784A KR20190109539A (ko) 2017-02-02 2018-02-02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68427B2 (ko)
EP (1) EP3577738A1 (ko)
JP (1) JP2020506664A (ko)
KR (1) KR20190109539A (ko)
CN (1) CN110249496A (ko)
BR (1) BR112019015157A2 (ko)
CA (1) CA3049617C (ko)
DE (1) DE102017102018A1 (ko)
WO (1) WO2018141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3627A1 (de) * 2021-01-26 2022-07-27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elektrischen versorgungsnetzes
EP4084259A1 (de) 2021-04-26 2022-11-02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und windenergiesystem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in ein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561B2 (ja) * 1986-10-17 1997-02-05 ニシム電子工業株式会社 交流定電圧装置
JP2000060003A (ja) * 1998-08-04 2000-02-25 Toshiba Corp 直流送電システムに用いる交直変換器の制御装置
DE10136974A1 (de) * 2001-04-24 2002-11-21 Aloys Wobbe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nergieanlage
CA2460724C (en) * 2001-09-28 2013-03-12 Aloys Wobben Method for operating a wind park
DE102009014012B4 (de) 2009-03-23 2014-02-13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nergieanlage
CA2871370C (en) * 2012-04-27 2018-08-14 Senvion Se Wind farm with fast local reactive power control
DE102012213830A1 (de) 2012-08-03 2014-02-06 Repower Systems Se Verbesserte Spannungsregelung für Windenergieanlagen
EP2793343A1 (en) * 2013-04-16 2014-10-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ordinating voltage controllers within a wind park being connected to a utility grid
JP6342203B2 (ja) 2014-04-03 2018-06-13 株式会社東芝 ウィンドファームの出力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DK3002453T3 (en) * 2014-09-30 2017-05-01 Siemens Ag Automatic setting of parameter values of a wind farm controller
US9831810B2 (en) * 2015-03-10 2017-11-2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reactive power speed-of-response for a wind farm
DE102016101468A1 (de) * 2016-01-27 2017-07-27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in ein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68427B2 (en) 2020-12-15
WO2018141892A1 (de) 2018-08-09
BR112019015157A2 (pt) 2020-03-24
US20200044455A1 (en) 2020-02-06
DE102017102018A1 (de) 2018-08-02
JP2020506664A (ja) 2020-02-27
CA3049617C (en) 2023-05-02
CN110249496A (zh) 2019-09-17
EP3577738A1 (de) 2019-12-11
CA3049617A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343B2 (en) Control method for a system comprising a frequency converter connected to a power grid
EP2594005B1 (en) Power oscillation damping controller
EP2075463B1 (en) Wind power install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it
CN111684679B (zh) 用于将电能馈入到供电网中的方法
KR101890465B1 (ko) 전기 발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896860B1 (ko) 전기 공급 계통 내로 전력의 피딩 방법
CN105917542B (zh) 风能设备、风电场、其运行方法和调节和/或控制装置
KR101919273B1 (ko)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JP6306804B2 (ja) ガスタービン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制御システム
KR100514495B1 (ko) 풍력 터빈 및 복수 개의 풍력 터빈으로 구성된 풍력 단지
CN111699602B (zh) 用于将电功率馈入到供电网中的方法
US11233400B2 (en) Balancing reactive current between a DFIG stator and a grid-side inverter
EP3633847B1 (en) A method for handling sub-synchronous resonances
KR20190109539A (ko) 전력 공급 네트워크 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Ray et al. Robust PID Controllers for Automatic Generation in Power System with Parametric Uncertainties
JP2022177905A (ja) 電流制御型イ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