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385A -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385A
KR20190109385A KR1020197011637A KR20197011637A KR20190109385A KR 20190109385 A KR20190109385 A KR 20190109385A KR 1020197011637 A KR1020197011637 A KR 1020197011637A KR 20197011637 A KR20197011637 A KR 20197011637A KR 20190109385 A KR20190109385 A KR 2019010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artificial tooth
poetic
sphe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다키자와
마사시 요시오카
마코토 구가
다카유키 미치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어덴탈 랩 요코하마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어덴탈 랩 요코하마,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어덴탈 랩 요코하마
Publication of KR2019010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7Artificial teeth; Making same characterised by occlusal profiles, i.e. chewing contact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G05B19/4099Surface or curve machining, making 3D objects, e.g. desktop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012Cad c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시적용 상, 및 시적용 상에 배열된 인공치를 갖고, 인공치는 범용의 인공치인 시적구로 한다.

Description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
본 개시는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AD/CAM을 사용하여 의치의 설계에서부터 제조까지를 데이터로서 취급하고, 최종적으로는 당해 데이터에 기초하여 NC 공작 기계를 사용하여 깎아냄으로써 의치를 얻는 기술이 이용된다. 이에 따르면, 종래부터 행해져 온 로스트 왁스법에 비하여 공정이 적어, 의치를 이제까지보다 단기간에 고정밀도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작할 의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천연치나 치과 보철물이 존재하는 경우, 및 고도의 교합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교합의 적정을 도모하기 위해 시적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시적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을 행하여, 최종적인 의치로 한다. 특허문헌 1에도 시적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932803호 공보
종래의 시적을 위한 기구(시적구)는, CAD/CAM으로 깎아낸 시적용 상(床)부와 인공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임시적인 것이며, 교합 조정은 이러한 임시 인공치부의 치면을 깎음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임시 인공치부에 대한 교합 조정을, 최종 의치에 배치되는 인공치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반영시키기는 어려우며, 최종 의치에 있어서의 교합 상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적구는, CAD/CAM으로 깎아낸 시적용 상부와 인공치부가 별개로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CAD/CAM으로 형성한 시적구를 시적에 사용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추가로 CAD/CAM 등에 의해 의치를 제작하기 때문에, 시적구에도 최종 의치와 마찬가지로 손이 많이 갔었다.
그래서, 본 개시는, 최종적으로 얻는 의치에서 정밀도가 좋은 교합 상태를 간이하게 얻을 수 있는 시적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이 시적구를 사용한 의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의치의 교합 상태를 조정하는 시적구이며, 시적용 상, 및 시적용 상에 배열된 인공치를 갖고, 이 인공치는 범용의 인공치로 되는 시적구이다.
여기서 「범용의 인공치」란, 미리 교합면이 부여된 시중에 판매되어 입수 가능한 인공치를 말하며, 레진이나 세라믹 등으로 제작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보다 교합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등의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 레진제의 기존 인공치나 왁스, 패턴용 레진으로 시술자가 제작한 인공치 형태의 것을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의치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시적구를 제작하는 공정과, 시적구의 인공치에 대하여 행해진 교합 조정 후의 시적구의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과,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치상을 제작하는 공정과, 시적구에 배치되어 있던 인공치를 의치상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의치의 제조 방법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의치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시적구를 제작하는 공정과, 시적구의 인공치에 대하여 행해진 교합 조정 후의 시적구의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과,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치상, 및 다른 인공치를 제작하는 공정과, 다른 인공치를 의치상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의치의 제조 방법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범용의 인공치에 의한 시적구로 교합 조정이 행해지고, 이 인공치가 직접 의치에 적용, 또는 이 인공치에 의한 교합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인공치가 제작되므로, CAD/CAM으로 시적구를 제작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교합 조정이 고정밀도로 의치에 반영된다.
도 1은, 시적구(10)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시적구(10)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의치(20)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의치(20)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의치(20)를 인공 치열(22)측으로부터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6은, 의치상(21)을 오목부(21b)측으로부터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7은, 인공치(23)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설계 장치(3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의치의 제조 방법 S10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의치의 제작 공정 S15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의치의 제조 방법 S20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의치의 제작 공정 S25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각 양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각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시적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시적구(10)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시적구(10)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본 형태에서는, 상악의 의치(20)(도 3, 도 4 참조)를 위한 상악 시적구(10)이며, 도 1, 도 2에는 아울러 천연치(1a)에 의한 천연 치열(1)도 도시되어 있다. 시적구(10)는, 시적을 위해 제작되어 사용되는 기구이며, 시적구(10)에 의한 교합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의치가 제작된다.
시적구(10)는, 시적용 상(11) 및 치열부(12)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시적용 상(11)은, 의치(20)의 의치상(21)(도 3 내지 도 6 참조)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부위이다. 따라서 시적용 상(11)에는 그 한쪽 면에 치열부(12)가 형성됨과 함께, 그 다른쪽 면에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강 내의 악제정(顎堤頂)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시적용 상(11)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지만, 예를 들어 밀랍을 들 수 있으며, 형상의 안정을 위해 레진 등으로 만들어져도 된다.
치열부(12)는, 의치(20)의 인공 치열(22)(도 3 내지 도 5 참조)이 되는 부위이다. 치열부(12)에는, 복수의 인공치(12a)가 시적용 상(11)에 치열궁형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공치(12a)는 교합면(12b)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형태의 인공치(12a)는, 미리 준비된 범용의 인공치가 사용된다. 즉, 본 형태의 시적구(10)에는, 최종적으로 제작되는 의치(20)의 인공치(23)로서도 적용 가능한 인공치(12a)가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시적구(10)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적구(10)의 인공치(12a)를 깎거나 하여 교합 상태를 조정하고, 이 인공치(12a)를 그대로 의치(20)의 인공치(23)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후에 기술하는 「제조 방법 S10」). 따라서, 이 경우에는, 미리 준비된 범용의 인공치이기 때문에, CAD/CAM으로 시적구를 제작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시적구를 제작할 수 있음과 함께, 조정된 교합 상태가 고정밀도로 의치(20)에 반영되어, 양호한 교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시적구(10)의 인공치(12a)를 깎거나 하여 교합 상태를 조정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다른 인공치를 제작하여 이것을 의치(20)의 인공치(23)로 할 수도 있다(후에 기술하는 「제조 방법 S20」). 이 경우에도, 시적구에는, 미리 준비된 범용의 인공치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CAD/CAM으로 시적구를 제작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시적구를 제작할 수 있음과 함께, 조정된 교합 상태가 고정밀도로 의치(20)에 반영되어, 양호한 교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진단 정보나 치료 스테이지에 의해 인공치의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상악측의 시적구(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악측의 시적구여도 되고, 상악측 및 하악측의 양쪽의 시적구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시적구(10)를 사용하여 의치(20)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형태의 의치(20)는 상악측에 배치되는 의치이다.
도 3에는 의치(20)의 측면도, 도 4에는 의치(20)의 정면도, 도 5에는 의치(20) 중 인공 치열(22)측으로부터 평면으로 본 도면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의치(20)가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어, 결손되어 버린 천연치를 인공적으로 보충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의치(20)는, 의치상(21) 및 복수의 인공치(23)가 배열된 인공 치열(22)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 6에는 의치상(21), 도 7에는 하나의 예에 관한 인공치(23)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의치상(21)은, 인공치(23)를 소정의 위치에 보유 지지함과 함께, 구강 점막 상에 의치(20)를 안정되게 장착시키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다. 본 형태에서는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치(23)가 배열되는 부위로서 둑 모양의 부풀어오른 제부(21a)를 구비함과 함께, 이 제부(21a)의 정상부에 인공치(23)의 일단이 삽입되고, 인공치(23)가 고정되는 오목부(21b)가 마련되어 있다.
의치상(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되므로, 일반적인 상(床)용 레진 재료(아크릴계 레진), 필러 및 가교제 등을 포함한 레진 재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소결체 등의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치(23)는, 결손된 천연치 대신에, 당해 천연치의 기능을 갖도록 제작된 인공 치아이다. 인공치(23)는 의치상(21)의 상기 오목부(21b)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인공치(23)가 치열과 같이 궁 모양으로 배열되어 인공 치열(22)로 되고, 천연치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이 인공치(23)는, 의치(20)의 제조 방법의 차이에 의해, 시적구(10)에 사용된 인공치(12a)여도 되고(후에 기술하는 「제조 방법 S10」), 인공치(12a)를 구비하는 시적구(10)에 의한 시적 결과에 기초하여 제작된 다른 인공치여도 된다(후에 기술하는 「제조 방법 S20」).
인공치(23)에는 인공치에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세라믹, 레진, 경질 레진 및 금속을 들 수 있다.
또한, 의치상(21)에 인공치(23)를 접착하는 재료로서는,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는 예를 들어 즉시 중합 레진, 잇몸색 레진, 의치상용 레진, 에폭시 접착제 등의 공지의 공업용 접착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인공치(23)에는, 인공치(23)를 의치상(21)에 배치하였을 때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인공치(23)에 원형이 아닌 돌기를 마련하고, 오목부(21b)측에 이 돌기를 삽입하는 구멍을 마련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이어서, 의치(2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 형태에 관한 의치의 설계 장치(30)에 포함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의치의 설계 장치(30)(이하, 「설계 장치(30)」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는, 입력 수단(31), 연산 장치(32) 및 표시 수단(38)을 갖고 있다. 그리고, 연산 장치(32)는, 연산 수단(33), RAM(34), 기억 수단(35), 수신 수단(36) 및 출력 수단(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입력 수단(31)에는 키보드(31a), 마우스(31b) 및 기억 매체 중 하나로서 기능하는 외부 기억 장치(31c)가 포함되어 있다.
연산 수단(33)은, 소위 CPU(중앙 연산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구성 부재에 접속되어, 이것들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기억 매체로서 기능하는 기억 수단(35) 등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35a)을 실행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후에 설명하는 각종 데이터의 생성이나 데이터의 선택 수단으로서 연산을 행하는 것도 연산 수단(33)이다.
RAM(34)은, 연산 수단(33)의 작업 영역이나 일시적인 데이터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구성 부재이다. RAM(34)은, SRAM, 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공지의 RAM과 마찬가지이다.
기억 수단(35)은, 각종 연산의 근거가 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보존되는 기억 매체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또한 기억 수단(35)에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얻어진 중간, 최종의 각종 결과를 보존할 수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 수단(35)에는, 프로그램(35a), 인공치 형상 데이터베이스(35b), 의치상 형상 데이터베이스(35c)가 기억(보존)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정보가 함께 보존될 수 있어도 된다.
프로그램(35a)은 설계 장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인공치 형상 데이터베이스(35b)는 인공치에 관한 형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인공치 형상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치열궁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공치가 하나의 조가 되어, 상하 치열궁이 서로 물린 상태로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는 양태여도 된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하나 하나의 인공치마다 외에, 몇 개의 인공치가 포함되는 분할된, 몇 개의 유닛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인공치의 조는, 예를 들어 「성별」, 「체격」 등, 환자의 특징에 맞추기 위한 복수의 베리에이션을 가진 것이 준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인공치 형상 데이터베이스(35b)에는, 상기 설명한 회전을 규제하는 수단의 형태도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의치상 형상 데이터베이스(35c)는, 의치상에 관한 형상 등의 정보가 수납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수납되는 의치상에 관한 데이터의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인공치가 설치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상반부만」이 교합된 인공치 데이터와의 위치 관계(예를 들어 접착용의 0.1mm 이상 0.5mm 이하의 스페이스 등)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베리에이션에 대해서도 인공치의 크기에 맞춘 조합으로 3종류 내지 4종류 크기의 데이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의치상 형상 데이터베이스(35c)에는, 설치한 인공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수단의 형태도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수신 수단(36)은,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연산 장치(32)에 적절하게 도입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구성 부재이며, 입력 수단(31)이 접속된다. 소위 입력 포트, 입력 커넥터 등도 이것에 포함된다.
출력 수단(37)은, 얻어진 결과 중 외부에 출력해야 할 정보를 적절하게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 부재이며, 모니터 등의 표시 수단(38)이나 각종 장치가 여기에 접속된다. 소위 출력 포트, 출력 커넥터 등도 이것에 포함된다.
입력 장치(31)에는, 예를 들어 키보드(31a), 마우스(31b), 외부 기억 장치(31c) 등이 포함된다. 키보드(31a), 마우스(31b)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기억 장치(31c)는, 공지의 외부 접속 가능한 기억 수단이며, 기억 매체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시켜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기억 수단(35)과 마찬가지의 프로그램, 데이터가 여기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연산 장치(32)에 의한 데이터 생성 시의 기초가 되는 인상 데이터나 교합 관계의 데이터 등을 외부 기억 장치(31c)에 기억해 두어도 된다.
외부 기억 장치(31c)로서는, 공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CD-ROM, CD-ROM 드라이브, DVD, DVD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및 각종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네트워크나 통신에 의해 수신 수단(36)을 통하여 연산 장치(32)에 정보가 제공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나 통신에 의해 출력 수단(37)을 통하여 외부의 기기(예를 들어 NC 공작 기계)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어도 된다.
이러한 설계 장치(30)에 따르면, 의치상을 직접 깎아낼 수 있어, 로스트 왁스법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거치는 일 없이 의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제1 형태에 관한, 시적구(10) 및 의치(20)를 제조하는 방법 S10(「제조 방법 S1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계 장치(30)를 사용한 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당해 제조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취지를 포함하는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다른 장치에서 행할 수도 있다.
도 9에 제조 방법 S10의 흐름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 방법 S10은, 시적구의 제작 공정 S11, 교합의 조정 공정 S12, 디지털화 공정 S13, 의치의 설계 공정 S14 및 의치의 제작 공정 S15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형태는, 의치(20)에 사용하는 인공치(23)에, 시적구(10)에 사용한 인공치(12a)를 사용하는 예이다.
공정 S11은, 시적구(10)를 제작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인상 채득에 의해 얻은 인상에 대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고, 이 석고 모형에 밀랍을 사용하여 시적용 상이 되는 교합상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밀랍에 의한 교합상에 인공치(12a)를 배열하여 시적구(10)로 한다.
공정 S12는, 교합 조정을 행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S11에서 얻어진 시적구(10)를 환자의 구강 내 또는 교합기에 배치하여 교합의 조정을 행한다. 교합 조정은 통상대로이지만, 예를 들어 교합면(12b)을 깎거나, 인공치(12a)의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공정 S13은, 공정 S12에서 얻어진 교합 조정이 행해진 시적구(10)로부터, 해당 시적구(10)의 CAD 데이터를 얻는 공정이다. CAD 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차원 광학 스캐너를 들 수 있다.
공정 S14는, 공정 S13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될 의치(20)의 형상을 결정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S13에서 얻어진 데이터 및 설계 장치(30)에 보존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의치의 형상을 데이터 상에서 결정한다. 이때, 공정 S13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인공치부의 측면(미조정부)을 기준으로 하여 인공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대해 의치상에 대한 인공치의 결합부(오목부(21b), 소켓부)의 형상도 함께 결정된다.
그리고, 공정 S14에서는, 결정된 의치 데이터로부터 인공치 형상 데이터베이스(35b)(도 8 참조)에 보존된 인공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공치 부분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의치상 절삭을 위한 가공 데이터를 작성하여 이 가공 데이터를 의치의 제작 공정 S15(공작 기계)에 출력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의 공정 S14에서 행해지는 각 연산은 설계 장치(30)에 의해 행해진다. 즉, 설계 장치(30)에 구비되는 기억 장치(35)에 보존된 프로그램(35a)을 따라 연산 수단(33)이 연산을 행함으로써 진행된다. 따라서, 여기서 취급되는 각종 형상은, 모두 데이터로서 존재하며,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공정 S15는, 공정 S14로부터 출력된 공작 기계에 대한 의치용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형상을 깎아냄과 함께, 의치(20)로서 마무리하는 공정이다.
도 10에는 공정 S15의 흐름을 도시하였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정 S15는, 의치상에 대한 인공치의 설치 공정 S15a, 및 마무리 연마 공정 S15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공작 기계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NC 공작 기계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의치상(21) 재료는 일반적인 상용 레진 재료(아크릴계 레진), 필러 및 가교제 등을 포함한 레진 재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소결체 등이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삭을 적절하게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공정 S15a는, 의치상(21)에 인공치(12a)를 설치하는 공정이다. 의치상(21)의 오목부(21b)에 인공치(12a)를 배치하여 접착제로 고정한다. 여기서, 인공치(12a)는, 시적구(10)에 사용되며, 이미 공정 S20에서 교합면(12b)이 이동함으로써 적절하게 교합 상태가 조정된 인공치이므로, 고정밀도로 교합이 조정된 상태에 있다.
공정 S15b는, 공정 S15a에서 얻어진 의치에 대하여 마무리 연마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의치(20)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제조 방법 S10에 따르면, 시적구(10)의 인공치(12a)를 삭감하여 교합 상태를 조정하고, 이 인공치(12a)를 그대로 의치(20)의 인공치(23)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준비된 범용의 인공치이기 때문에, CAD/CAM으로 시적구를 제작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시적구를 제작할 수 있음과 함께, 조정된 교합 상태가 고정밀도로 의치(20)에 반영되어, 양호한 교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제2 형태에 관한, 시적구(10) 및 의치(20)를 제조하는 방법 S20(「제조 방법 S2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계 장치(30)를 사용한 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당해 제조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취지를 포함하는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다른 장치에서 행할 수도 있다.
도 11에 제조 방법 S20의 흐름을 도시하였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 방법 S20은, 시적구의 제작 공정 S21, 교합의 조정 공정 S22, 디지털화 공정 S23, 의치의 설계 공정 S24 및 의치의 제작 공정 S25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형태는, 의치(20)에 사용하는 인공치(23)에, 시적구(10)에 의한 교합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작한 다른 인공치를 사용하는 예이다.
공정 S21은, 시적구(10)를 제작하는 공정이다. 인상 채득에 의해 얻은 인상에 대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고, 이 석고 모형 상에 기초상 및 밀랍을 사용하여 시적용 상으로 되는 교합상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밀랍에 의한 교합상에 인공치(12a)를 배열하여 시적구(10)로 한다.
공정 S22는, 공정 S12와 마찬가지로, 교합 조정을 행하는 공정이다. 즉, 공정 S21에서 얻어진 시적구(10)를 환자의 구강 내 또는 교합기에 배치하여 교합 조정을 행한다. 교합 조정은 통상대로이지만, 예를 들어 교합면(12b)을 깎거나, 인공치(12a)의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공정 S23은, 공정 S13과 마찬가지로, 공정 S22에서 얻어진 교합 조정이 행해진 시적구(10)로부터, 해당 시적구(10)의 CAD 데이터를 얻는 공정이다. CAD 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차원 광학 스캐너를 들 수 있다.
공정 S24는, 공정 S23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될 의치(20)의 형상을 결정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S23에서 얻어진 데이터 및 설계 장치(30)에 보존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의치의 형상을 데이터 상에서 결정한다.
본 형태에서는, 의치상(21)의 형태는 공정 S23에서 얻어진 데이터가 사용되어 의치상(21)의 데이터로 된다.
한편, 인공치(23)의 형태는, 공정 S23에서 얻어진 인공치(12a)에 의한 데이터와, 인공치 형상 데이터베이스(35b)(도 8 참조)에 보존된 인공치 데이터가 중첩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인공치 데이터를 인공치(12a)에 의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형시켜, 의치(20)를 위한 인공치(23)의 형상으로 한 인공치의 가공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에 따르면, 진단 정보나 치료 스테이지에 따라서 인공치의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공정 S23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인공치부의 측면(미조정부)을 기준으로 하여 인공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대해 의치상에 대한 인공치의 결합부(오목부(21b), 소켓부)의 형상도 함께 결정된다.
그리고, 공정 S24에서는, 결정된 의치 데이터로부터, 공정 S14와 마찬가지로 의치상(21)의 데이터와 인공치(23)의 데이터를 분리하고, 각각을 위한 가공 데이터를 작성하여, 이 가공 데이터를 의치의 제작 공정 S25(공작 기계)에 출력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의 공정 S24에서 행해지는 각 연산은 설계 장치(30)에 의해 행해진다. 즉, 설계 장치(30)에 구비되는 기억 장치(35)에 보존된 프로그램(35a)을 따라 연산 수단(33)이 연산을 행함으로써 진행된다. 따라서, 여기서 취급되는 각종 형상은, 모두 데이터로서 존재하며,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공정 S25는, 공정 S24로부터 출력된 공작 기계에 대한 의치용 가공 데이터, 인공치의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을 깎아냄과 함께, 의치(20), 인공치(23)로서 깎아내거나 하여 의치를 마무리하는 공정이다.
도 12에는 공정 S25의 흐름을 도시하였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정 S25는, 의치상(21)에 대한 인공치(23)의 설치 공정 S25a, 및 마무리 연마 공정 S25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공작 기계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NC 공작 기계로 행할 수 있다.
공정 S25a는, 의치상(21)에 인공치(23)를 설치하는 공정이다. 의치상(21)의 오목부(21b)에 인공치(23)를 배치하여 접착제로 고정한다.
공정 S25b는, 공정 S25a에서 얻어진 의치에 대하여 마무리 연마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의치(20)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제조 방법 S20에 따르면, 시적구(10)의 인공치(12a)를 깍아 교합 상태를 조정하고, 이 인공치(12a)에 의해 의치(20)의 인공치(23)를 제작한다. 따라서, 시적구의 인공치는 미리 준비된 범용의 인공치이기 때문에, CAD/CAM으로 시적구를 제작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시적구를 제작할 수 있음과 함께, 조정된 교합 상태가 고정밀도로 의치(20)에 반영되어, 양호한 교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10: 시적구
11: 시적용 상
12: 치열부
12a: 인공치
12b: 교합면
20: 의치
21: 의치상
21a: 제부
21b: 오목부
22: 인공 치열
23: 인공치

Claims (3)

  1. 의치의 교합 상태를 조정하는 시적구이며,
    시적용 상, 및 상기 시적용 상에 배열된 인공치를 갖고,
    상기 인공치는 범용의 인공치인, 시적구.
  2. 의치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항에 기재된 시적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시적구의 상기 인공치에 대하여 행해진 교합 조정 후의 상기 시적구의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치상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시적구에 배치되어 있던 상기 인공치를 상기 의치상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의치의 제조 방법.
  3. 의치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항에 기재된 시적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시적구의 상기 인공치에 대하여 행해진 교합 조정 후의 상기 시적구의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치상, 및 다른 인공치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다른 인공치를 상기 의치상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의치의 제조 방법.
KR1020197011637A 2018-03-16 2018-11-27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 KR20190109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9788 2018-03-16
JPJP-P-2018-049788 2018-03-16
PCT/JP2018/043522 WO2019176178A1 (ja) 2018-03-16 2018-11-27 試適具、及び義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385A true KR20190109385A (ko) 2019-09-25

Family

ID=6790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637A KR20190109385A (ko) 2018-03-16 2018-11-27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61190A1 (ko)
EP (1) EP3593757A1 (ko)
JP (1) JPWO2019176178A1 (ko)
KR (1) KR20190109385A (ko)
CN (1) CN110505853A (ko)
WO (1) WO2019176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650A (zh) * 2020-08-24 2022-02-25 郑文钦 活动假牙模块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803A (ja) 1982-07-02 1984-02-22 ドイツチェ・フオルシュングスアンシュタルト・フュール・ルフトー・ウント・ラウムファールト・エー・ファウ 測定変換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803B2 (ja) 1977-01-31 1984-08-11 豊和工業株式会社 多位置制御装置
WO2009032228A2 (en) * 2007-08-31 2009-03-12 Dentsply International Inc. Three-dimensional prin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making dental products
CN102805670B (zh) * 2012-08-28 2015-06-17 山东大学 一种全牙列全口义齿成品树脂牙及其制备方法
DE102013003913A1 (de) * 2013-03-07 2014-09-11 Amann Girrbach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thesenbasis
CN104715099B (zh) * 2013-12-17 2018-03-30 北京大学口腔医学院 用于牙齿冠桥功能性咬合面的虚拟牙合架设计方法
DE102014110154A1 (de) * 2014-07-18 2016-01-21 Heraeus Kulzer Gmbh Dentalprothese zur Bestimmung von Abrasionsfacetten
US9877814B2 (en) * 2015-05-01 2018-01-30 Sirona Dental Systems Gmbh Methods, apparatuses, computer programs, and systems for creat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using a CAD/CAM system
EP3603568A1 (en) * 2017-03-30 2020-02-05 GC Corporation Try-in denture, try-in denture manufacturing program, and try-in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803A (ja) 1982-07-02 1984-02-22 ドイツチェ・フオルシュングスアンシュタルト・フュール・ルフトー・ウント・ラウムファールト・エー・ファウ 測定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1190A1 (en) 2020-08-20
EP3593757A1 (en) 2020-01-15
WO2019176178A1 (ja) 2019-09-19
CN110505853A (zh) 2019-11-26
JPWO2019176178A1 (ja)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2698B2 (ja) 人工歯
US20220015864A1 (en) System For Preparing Teeth For The Placement Of Veneers
US10307227B2 (en) Methods for placing an implant analog in a physical model of the patient's mouth
JP6244022B2 (ja) 人工歯
KR20190120813A (ko) 시적 의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의치 제작 방법
JP4959854B2 (ja) 咬合調整部分決定方法及び咬合調整部分決定プログラム
RU2526270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е модел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тереолитографии
US10144100B2 (en) Method of preparation for restoring tooth structure
US11896459B2 (en) Methods for placing an implant analog in a physical model of the patient's mouth
KR20130137095A (ko) 치아 임플란트용 인공 유사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90109385A (ko) 시적구, 및 의치의 제조 방법
JP6802927B2 (ja) 試適義歯、及び試適義歯作製プログラム
US11890151B2 (en) Method for designing denture,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and positioning means
US20240180674A1 (en) Methods for placing an implant analog in a physical model of the patient's mouth
JP2016193266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2020010950A (ja) 義歯床の製造方法および切削装置ならびに切削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