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384A -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384A
KR20190109384A KR1020197011433A KR20197011433A KR20190109384A KR 20190109384 A KR20190109384 A KR 20190109384A KR 1020197011433 A KR1020197011433 A KR 1020197011433A KR 20197011433 A KR20197011433 A KR 20197011433A KR 20190109384 A KR20190109384 A KR 2019010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ase
front case
case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림
한종범
임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부를 수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결합되며, 외관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일 단이 상기 리어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통하여 제어명령을 형성하거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합니다.

Description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두부에 장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발명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글래스타입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글래스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웨어러블형(wearable-type) 글래스타입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글래스 타입(glass type) 단말기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에 해당될 수 있다. HMD와 같은 글래스 타입(glass type)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51)는 단순한 영상출력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기술, N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두부에 장착되어야 하는 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무거우면 사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어려우며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사용자의 사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초경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렌즈부를 수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결합되며, 외관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일 단이 상기 리어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통하여 제어명령을 형성하거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고정부는 제어명령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력에 의하여 눌리는 키 유닛에 해당되며, 상기 눌림키 모듈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는 키 브라켓과 상기 키 브라켓에 눌림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눌림부를 포함하여, 추가적인 고정구조가 불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구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홀에 각각 배치되며 청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유닛을 포함하므로, 대칭적인 구조로 리어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리어 케이스와 연결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밴드부의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슬릿을 포함하므로, 프론트 케이스에 추가적인 고정구조 없이 보다 강성이 높은 리어 케이스에 밴드부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리브(rib)들로 이루어져 경량의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에 의하여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가 연결되므로, 추가적인 고정구조가 불필요하므로 무게를 최소화하면서 심플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재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지지부를 이루는 리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리어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b는 키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a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접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리어 케이스의 보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프론트 케이스의 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프론트 케이스(100), 밴드부(200), 리어 케이스(300, 도 2a 참조), 패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상기 밴드부(200)에 의하여 양안을 가리도록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된다. 사용자의 양안 상에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장착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가 배치된다.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닿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렌즈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안착되어 빛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고정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개구부를 관통하는 버튼부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분리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튼부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에 해당된다. 즉, 상기 버튼부는 제어명령을 형성하기 위한 입력부. 예를 들어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물리적 버튼키,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키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고정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를 관통하는 구성요소에 해당된다.
한편,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버튼부 대신 청각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인 이어폰 유닛(340)이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어폰 유닛(340)이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재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삽입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상기 밴드부(200)의 양단이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400)가 상기 리어 케이스(300)를 덮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안착되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바디부(310), 렌즈부(320), 키유닛(330), 이어폰 유닛(340) 및 회로기판(350), 바디커버(31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31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320)는 양안에 대응되는 한 쌍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3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바디부(310)의 내부공간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렌즈부(320)는 특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디커버(3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바디부(310)에 안착되는 키유닛(330), 이어폰 유닛(340) 및 회로기판(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350)은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일 면에 배치되며, 전자부품들의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키 유닛(330)은 상기 바디부(310)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 측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의하여 감싸지는 일 면에 해당된다. 한 쌍의 이어폰 유닛(340)이 상기 바디부(310)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이어폰 유닛(340)은 상기 바디부(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이어폰 유닛(340) 및 상기 키 유닛(33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두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제1 면(110a) 및 상기 제1 면(110a)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면(11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110a)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2 면(110b)는 특징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면(110b)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안착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상기 제1 및 제2 면(110a, 110b)에 의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면(110b)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홀(111, 112)을 포함한다.
상기 키 유닛(330)의 단부는 상기 바디부(310)에 고정된다. 상기 키 유닛(330)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1 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키 유닛(330)의 상기 나머지 영역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 유닛(33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제1 홀(111)에 의하여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눌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키 유닛(330)이 눌리면 제어명령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은 한 쌍의 제2 홀(112)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어폰 유닛(112)의 일 영역이 상기 한 쌍의 제2 홀(112)에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홀(11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어폰 유닛(340)의 일 영역은 상기 바디부(310)에 고정되며,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2 홀(112)에 끼워지므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와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한 쌍의 연결홀(31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홀(311)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밴드부(20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한 쌍의 연결홀(311)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홀(311)은 상기 한 쌍의 이어폰 유닛(340)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상기 한 쌍의 이어폰 유닛(340)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두부에 장착되는 밴드부(200)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연결된다.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를 가리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와 함께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홀(111, 112)을 관통하는 키유닛(330) 및 이어폰 유닛(340)에 의하여 프론트 케이스(1000)와 리어 케이스(300)가 고정되므로, 추가적인 고정구조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프론트 케이스의 구조가 심플해지며,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케이스(10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에 공기를 주입하여 발포제로 변환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소재를 사출기에 넣고 스팀을 주입하고 가압하여 형상을 구현하므로, 공기를 주입한 공기영역(110')이 형성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이루어진 프론트 케이스(100)의 외관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 수 있다. 따라서, 연마(바렐, 샌딩) 또는 NC가공 등의 공정을 거쳐 표면이 매끈한 프론트 케이스(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120)는 지지부(121) 및 커버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1)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122)가 덮여 빛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지지부(121)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121)는 복수의 홀(h)을 이루는 복수의 리브(121')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리브(121')는 특정 형상의 홀(h)을 이룬다. 상기 복수의 리브(121')는 전면부(121a) 및 측면부(121b)를 이룬다. 상기 전면부(121a) 및 상기 측면부(121b)는 각각 형성되어 서로 조립된다. 상기 지지부(121)는 PC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122)는 상기 전면부(121a) 및 상기 측면부(121b)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1 커버부(121a) 및 제2 커버부(121b)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22)는 패브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22)는 상기 복수의 홀(h)을 통하여 유입되는 빛을 차단한다. 상기 전면부(121a) 및 상기 측면부(121b)는 서로 봉제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120)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122)의 주름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21)는 리브들로 이루어지므로 프론트 케이스(120)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지지부를 이루는 리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에 다른 지지부의 홀(h1)은 육각구조를 이룬다. 홀(h1)은 6개의 리브들로 이루어진다. 수학식 1은 3개의 리브가 연결되는 경우의 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식이다. L은 각 리브의 길이를 나타내고, P는 가해지는 하중을 의미하며, E는 재질의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 δ는 처짐정도에 해당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수학식 2는 2개의 리브가 연결되는 경우 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식이다. 즉, 상기 리브들의 길이가 길수록 처짐정도는 증가하고, 여러 개의 리브들이 한 점으로 연결되는 구조일수록 외력에 의한 강성은 증가한다.
도 4b에 따른 지지부의 홀(h2)은 삼각구조를 이룬다. 하나의 점에 4개 또는 5개의 리브가 만나지만 복수의 리브들이 이루는 홀이 서로 다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홀은 하나의 형상으로 통일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서로 다른 형상의 홀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홀을 이루는 리브의 구조에 따라서 하중의 분산 정도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중 분산에 유리한 리브의 구조에 의하여 가벼우면서 쳐짐 정도가 적은 지지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a는 리어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키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b는 키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키유닛(330)은 상기 제1 홀(111)에 삽입된다.. 상기 키 유닛(330)은 키 브라켓(331), 누름부(332), 걸림부(333)을 포함한다. 상기 키 브라켓(331)은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제1 장착영역(313a)에 안착된다. 상기 키 브라켓(331)은 상기 제1 홀(111)을 관통하며, 상기 키 브라켓(331)의 외주는 상기 제1 홀(111)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33)는 상기 키 브라켓(331)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 유닛(330)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의하여 분리되지 아니한다.
상기 키 브라켓(331)에 상기 누름부(332)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누름부(332)는 외력을 인가 받아 이동하며 제어명령을 형성한다. 상기 누름부(332)를 고정하는 상기 키 브라켓(331)이 상기 제1 홀(111)에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누름부(332)가 움직이더라도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이어폰 유닛(340)은 각각 한 쌍의 제2 홀(112)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이어폰 유닛(340)은 상기 리어 케이스(310)의 제2 장착영역(313b)에 장착되는 제어모듈(342), 상기 제어모듈(342)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홀(112)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341) 및 상기 하우징(341)에 안착되며 상기 제어모듈(3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모듈(343)을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모듈(343)은 상기 제어모듈(342)과 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 모듈(343)은 상기 하우징(341)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1)은 상기 이어폰 모듈(343)이 인출되어도 상기 제2 홀(112)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341)과 상기 제어모듈(342)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홀(11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서로 가장 멀리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홀(111, 1112)에 고정되는 상기 키 유닛(330) 및 상기 이어폰 모듈(340)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2a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접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상기 제1 면(110a)과 상기 리어 케이스(300) 사이에 접착가이드부(113)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 가이드부(113)는 상기 리어 케이스(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가이드부(113)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면(11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면(113a)와 상기 제1 면(110a)의 내면이 접착한다. 상기 접착면(113a)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가이드부(113)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가 서로 접착되므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 및 상기 리어 케이스(3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착가이드부(113)가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리어 케이스(3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도 7은 리어 케이스의 보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일 면에 렌즈부(320)가 장착되며, 상기 일 면과 마주보는 타면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에 안착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31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310a)는 상기 일 면의 가장자리를 중 일부를 따라 돌출되며, 기 설정된 너비를 갖는다.
상기 보강부(310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부(310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외력으로 인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의 가장자리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프론트 케이스의 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리브들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121)은 키 유닛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키홀(121b')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351)을 구비하고, 상기 키홀(121b')을 관통한 누름부(335)는 상기 돔 스위치를 누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누름부(335)는 상기 키홀(121b')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부(3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리브들로 이루어져 경량의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키 유닛 또는 이어폰 유닛에 의하여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가 연결되므로, 추가적인 고정구조가 불필요하므로 무게를 최소화하면서 심플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고정구조가 없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에 관한 것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렌즈부를 수납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와 결합되어 외관을 이루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고, 제어명령을 형성하기 위해 외력에 의하여 눌리도록 형성되는 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키유닛은,
    상기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는 키 브라켓; 및
    상기 키 브라켓에 눌림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브라켓은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에 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홀에 각각 배치되며 청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 유닛 각각은,
    상기 이어폰 유닛은 상기 리어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이어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와 연결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밴드부의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의 일 면에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가이드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접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가이드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0197011433A 2017-02-16 2017-02-16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20190109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1716 WO2018151350A1 (ko) 2017-02-16 2017-02-16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384A true KR20190109384A (ko) 2019-09-25

Family

ID=6317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433A KR20190109384A (ko) 2017-02-16 2017-02-16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95890B2 (ko)
EP (1) EP3584625B1 (ko)
KR (1) KR20190109384A (ko)
WO (1) WO2018151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50213A1 (en) * 2022-04-28 2023-11-02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 frame, shroud, and face mask for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8483B1 (fr) 1987-07-23 1989-12-15 Sorenam Machine de forage par rotation et par louvoiement
WO1998029775A1 (en) * 1997-01-02 1998-07-09 Giora Kutz A persona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EP1971894B1 (en) * 2006-01-06 2015-08-26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JP5923926B2 (ja) * 2011-10-24 2016-05-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KR102298200B1 (ko) 2013-11-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2337B1 (ko) 2014-02-21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커버가 결합된 전자 장치
KR102230076B1 (ko)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10261579B2 (en) * 2014-09-01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101727512B1 (ko) 2014-11-04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120602A (ko) 2015-04-08 2016-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체 착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03917A1 (en) 2015-05-08 2018-04-19 Ngoggle Head-mounted display eeg device
KR101635892B1 (ko) * 2015-10-08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106019597A (zh) * 2016-07-27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1488A1 (en) 2019-11-28
EP3584625A4 (en) 2020-11-25
US10895890B2 (en) 2021-01-19
EP3584625A1 (en) 2019-12-25
WO2018151350A1 (ko) 2018-08-23
EP3584625B1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5686B (zh) 移动终端
CN111758082A (zh) 包括可移动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20190028791A1 (en) Earphone assemblies with multiple subassembly housings
US11190878B1 (en) Headphones with on-head detection
KR20210006249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1657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KR20190109384A (ko)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JP2018056698A (ja) アイウエア
EP3972282A1 (en) Headphones with off-center pivoting earpiece
KR20220061783A (ko) 노이즈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39058B1 (ko) 다중 급전을 이용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79396A (ko)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5197A1 (ko) 회로 기판의 댐핑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422549B1 (ko) 입출력 포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240016145A (ko) 회로 기판의 댐핑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WO2023287020A1 (ko) 컬러 글래스를 이용한 그라데이션 커버 글래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145729A1 (ko)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241926A1 (ko) 전자 장치 및 스트랩 장치
WO2022215927A1 (ko) 회전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20426A1 (ko) 전자 장치
KR20230137206A (ko) 멀티바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KR10258349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